KR102391878B1 -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878B1
KR102391878B1 KR1020190145466A KR20190145466A KR102391878B1 KR 102391878 B1 KR102391878 B1 KR 102391878B1 KR 1020190145466 A KR1020190145466 A KR 1020190145466A KR 20190145466 A KR20190145466 A KR 20190145466A KR 102391878 B1 KR102391878 B1 KR 10239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unctional beverage
beverage composition
extract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241A (ko
Inventor
박경욱
강경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19014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8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체내의 활성산소, 각종 스트레스와 공해, 흡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소비자들에게 항산화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FAT-REMOVED AND FERMENTED TENEBRIO MOLITOR}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관련 소비자의 요구는 삶의 가치인 웰빙, 행복, 건강의 3요소를 중시하는 트랜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건강식품의 선택에 패턴이 변하고 있으며, 특히 거의 매일 섭취하는 음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건강식품과 관련한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간은 우리 몸에서 피부 다음으로 큰 장기로서 지질의 에너지 대사작용, 각종 약물이나 알코올 등과 같은 독성물질의 해독, 담즙의 배설, 조혈, 혈액응고 및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 많은 기능을 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체내에 흡수된 혈중 에탄올은 간세포에서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전환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로 전환된 후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간기능의 주요 지표로 사용되는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ST, aspar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요소),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는 주로 간세포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아 사멸할 경우에 혈액으로 유리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질환에는 간 세포내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에 의한 지방간(fatty liver), 알코올에 의한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알코올성 간염(hepatitis), 이러한 간의 만성염증으로 간조직이 섬유화 조직으로 변형되는 간경변증(liver cirrhosis) 등이 있다.
현재까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간 건강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인정한 원료에는 밀크씨슬추출물, 브로콜리스프라우트분말, 표고버섯균사체, 표고버섯균사체추출물, 복분자추출분말 등이 있고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으로 효능을 개별인정한 원료에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유산균발효다시마 추출물 등이 있다. 최근 10년간 상기 예시의 원료를 사용한 각종 제제 형태의 식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대다수는 드링크제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는데 있어 일부의 생리적 개선 효과만 있거나 임상적으로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한편,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몸길이는 약 15mm정도이며,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갈색거저리 유충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하는데, 밀웜이 애완용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아 곤충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곡식을 먹이로 하는 매우 청결한 곤충이기 때문이다.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3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에 활동한다. 주로 인가 근처의 곡식부대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하다가 봄에 번데기와 성충으로 변태한다.
이러한 갈색거저리 유충은 곤충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지방함량이 낮아 단백질 보급원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갈색거저리와 관련된 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2253호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곤충어묵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6111호는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연하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갈색거저리의 용도와 관련된 특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1908호는 갈색거저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1110호는 갈색거저리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4331호는 갈색거저리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712호는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4125호는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4566호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과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기능성 음료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갈색거저리 유충을 탈지하고 발효한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과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기능성 음료에 적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간기능 개선과 황산화 효과가 우수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출원번호 제10-2019-0145085호에 기재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고안해낸 것으로, 상기 문헌에 기재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 내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세포 손상의 지표인 혈중의 γ-GTP, AST와 ALT 수치 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상실된 상태인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 특히, 간 기능의 개선을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헌에 기재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와 더불어 항산화 활성 효과가 있음을 추가로 밝혀내어 이를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상실된 상태인 간 질환, 예를 들어 간염, 간경변증, 지방간 또는 영양결핍 등을 개선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인체 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각종 스트레스와 공해, 흡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소비자들에게 항산화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에 혼합곡물 추출물, 대두단백질 분말, 배농축액, 아몬드페이스트,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자몽종자 추출물 등을 혼합함으로써 고단백질의 영양 섭취가 가능하며, 이취 및 이미가 나지 않아 소비자들의 기호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혼합곡물 추출물, 대두단백질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당액, 배농축액, 아몬드페이스트,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자몽종자 추출물,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니코틴산아미드, 잔탄검, 엽산, 비타민, 합성향료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 0.1~5 중량%, 혼합곡물 추출물 8~15 중량%, 대두단백질 분말 1~6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3~8 중량%, 당액 1~5 중량%, 배농축액 0.1~3 중량%, 아몬드페이스트 0.1~5 중량%,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0.01~1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1~2 중량%,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0.01~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1~1 중량%, 잔탄검 0.01~1 중량%, 엽산 0.001~1 중량%, 비타민 0.001~1 중량%, 합성향료 0.01~1 중량% 및 정제수 6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 1~3 중량%, 혼합곡물 추출물 8~12 중량%, 대두단백질 분말 2~4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3~5 중량%, 당액 2~3 중량%, 배농축액 1~3 중량%, 아몬드페이스트 3~5 중량%,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0.01~0.05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5~1 중량%,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0.01~1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1~0.05 중량%, 잔탄검 0.01~0.05 중량%, 엽산 0.002~0.008 중량%, 비타민 0.005~0.2 중량%, 합성향료 0.01~0.05 중량% 및 정제수 68~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 2 중량%, 혼합곡물 추출물 9.63 중량%, 대두단백질 분말 3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4 중량%, 당액 2.5 중량%, 배농축액 2 중량%, 아몬드페이스트 4 중량%,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0.02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8 중량%,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0.03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2 중량%, 잔탄검 0.03 중량%, 엽산 0.005 중량%, 비타민 0.014 중량%, 합성향료 0.03 중량% 및 정제수 72.64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을 제거한 다음 건조하고, 효모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에 함유된 유지 및 지방 성분 제거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헥산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는 유지 및 지방 성분이 제거된, 즉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에 효모 균주를 접종한 다음 3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4℃에서 60 내지 80 시간,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발효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거나 발효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이고, 발효 온도가 35℃ 초과하는 경우 효모 균주의 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발효 시간이 6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제조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발효 시간이 8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하의 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과 발효 효율에 차이가 없어 비경제적이다. 한편, 상기한 발효 시간 및 온도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를 위한 배지는 유지 및 지방 성분이 제거된, 즉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이외에 효모 추출물 및 덱스트로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은 4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로 포함하고, 덱스트로스는 90 내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로 포함한다. 또한, 발효를 위한 효모 균주는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발효 배지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상기 효모 균주는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오베야누스(S. eubayanus),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 사카로마이세스 플로렌티누스(S. florentinus)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 cerevisiae) 균주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발효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의 추출은 물 또는 유기용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수,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물을 물 또는 60 내지 100% 주정,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주정을 이용하여 가열, 비가열 또는 냉침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추출용매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소량이 아닌 대량으로 산업적으로 생산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또한,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상술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1g당 페닐알라닌을 13 내지 20mg, 바람직하게 15 내지 18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mg 함유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지표 물질 및 표준품을 확인하기 위하여 페닐알라닌을 선정하였으며, 상기 페닐알라닌은 지표 물질 및 표준품으로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는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간기능 개선 및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이미 및 이취가 발생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곡물 추출물은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곡물 추출물은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을 250~350 ℃, 바람직하게는 280~32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 ℃의 온도에서 각각 10~20분간 볶은 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파쇄된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을 정제수에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80~90 ℃, 바람직하게는 84~86 ℃, 가장 바람직하게는 85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혼합곡물 추출물을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곡물 추출물의 볶음온도 또는 추출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각 원재료가 가진 유효성분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아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비타민은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A 초산염, 비타민 E 및 비타민 D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A 초산염, 비타민 E 및 비타민 D3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이외에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기호에 따라 감미료, 식이섬유, 산도조절제, 영양강화제, 액상과당, 폴리덱스트로스 및 구연산나트륨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알코올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기능이 저하, 감소, 상실된 상태인 간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인체 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각종 스트레스와 공해, 흡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소비자들에게 항산화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에 혼합곡물 추출물, 대두단백질 분말, 배농축액, 아몬드페이스트,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자몽종자 추출물 등을 혼합함으로써 고단백질의 영양 섭취가 가능하며, 이취 및 이미가 나지 않아 소비자들의 기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곡물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유효성분을 분석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전자공여능 활성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EDTA의 Fe2+ 킬레이팅 활성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SOD 산화 환원 반응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의 소거능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의 FRAP 산화 환원반응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 제조
식품공전의 유기물질 추출방법인 유기용매(헥산)법을 이용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을 24시간 용매(헥산) 추출하여 유지 및 오일 성분을 분리하여 여과 및 제거한 후 남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건조한 후 파쇄기로 파쇄하여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제조된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은 100 ℃에서 45분간 살균 처리하였다.
대량 발효를 위하여 총 150L 발효 기준으로 효모 추출물 1.5kg, 덱스트로스 3.0kg, 및 상기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3.0kg을 넣은 후 100℃에서 45분간 멸균하고 33℃로 냉각하였다. 이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 1.5kg을 접종하고 32 내지 35℃에서 72시간 동안 효모 발효를 진행하여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배양액 300L에 70% 주정 700 L를 혼합한 후 95℃에서 3시간 가열 추출을 진행한 다음 추출물을 부직포 여과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고 산업용 고온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12~13 Brix(%)가 확인된 시점에서 농축을 종료하였다. 그 제조된 발효 배양액 추출 농축물은 -40℃ 냉동고에 동결시킨 후 산업용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 제형으로 만든 후 진공 포장하여 보관하고,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상기 제조된 탈지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 추출물에 혼합곡물 추출물, 대두단백질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당액, 배농축액, 아몬드페이스트,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자몽종자 추출물,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니코틴산아미드, 잔탄검, 엽산, 비타민, 합성향료 및 정제수를 하기 표 1과 같은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인 프로핑크(혼합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합성향료는 현미 및 보리가 5:5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향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혼합곡물 추출물은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을 300 ℃에서 각각 15분씩 200 rpm으로 볶은 후 파쇄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에 상기 파쇄된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을 1: 1: 1: 1: 1: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85 ℃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20배 환류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추출된 추출물을 종이필터(Wattman 2호)로 여과한 후 농축시켜 혼합곡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은 공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1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아몬드페이스트, 자몽종자추출물 및 잔탄검을 제외하고, 하기 표 2와 같은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특히, 하기 비교예 2에서 합성향료는 볶은콩향 및 빵향이 5:5 부피비의 혼합향을 사용하였다. 하기 비교예 3은 하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성분에서 대두단백질 분말의 함량만을 5중량%로 혼합하였다. 또한 하기 비교예 4에서 합성향료는 현미 및 보리가 5:5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향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2
실험예 1: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기능성 음료의 관능평가에 경험이 있는 전문가 20명을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해당항목에 대해 1점(낮음)부터 10점(높음)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고 그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비린맛, 단맛 및 신맛이 적절하여 관능평가가 대체로 우수하였으며, 이취가 나지 않았고 향이 구수하여 종합적인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비교예 1의 경우 음료 조성물의 비린맛, 단맛 및 신맛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았으며, 이취가 발생하였다.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카제인나트륨 및 아로니아 식초를 더 포함하였으나 비린맛, 단맛 및 신맛의 부조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3의 경우 대두단백질 분말을 더 추가하였으나, 단맛 및 신맛의 부조화가 발생하고 이취가 심하여 종합적인 기호도가 저하되었다. 아울러, 상기 비교예 4의 경우 종합적인 기호도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단맛이 강하였다.
실험예 2-1: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영양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해 영양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측정을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유효성분을 분석한 시험성적서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칼륨의 함량이 474.86 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나트륨, 칼슘 및 탄수화물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비소, 납 및 타르색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검출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2: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구성아미노산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해 유효성분인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측정을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3612.8 mg/100g인 것을 확인하였다. 구성아미노산을 조성하는 함량 중 감칠맛을 내는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802.3 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스파르트산, 알기닌, 로이신, 리신, 페닐알라닌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3: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유리아미노산의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해 유효성분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측정을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5
상기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50.7 mg/100g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7종의 유리아미노산 중 L-Alanine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L(-)-Proline, L-Aspartic acid, L-Leucine 및 L-Glutamic aci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필수 아미노산의 경우 L-Threonine, L-Valine, L-Methionine, L-Isoleucine, L-Phenylalanine, L-Lysine, L-Histidine, L-Arginine으로 총 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L-Valine이 10.7 mg/100g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중 총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44.1 mg/100g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중 29.3%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4: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지방산의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대해 유효성분인 지방산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식품과학연구원에 측정을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16675392-pat00006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포화지방산의 경우 미리스트산 (0.1%), 팔미트산 (6.3%), 스테아르산 (2.5%)의 3종이 확인되었으며, 총 8.9%의 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팔미톨레산 (0.5%), 올레산 (64.4%), 리놀레산 (25.8%), 가드올레산 (0.1%)의 4종이 확인되었으며, 총 90.8%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음료의 지방산 조성 중 올레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거저리의 주요 지방산 원소인 올레산과 일치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전자공여능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전자공여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DPPH)는 라디칼 형태의 불안정한 분자가 전자를 받아들여 발색반응을 하는 원리로 체내 활성산소종은 라디칼 형태를 가지며 얼마나 소거되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준비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전자공여능 활성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전자공여능은 1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 대조군인 뉴트리 웰 및 뉴트리 케어 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수치의 전자공여능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였다.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다른 유형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공여능 측정과 비슷한 반응으로 체내 활성산소종의 소거능을 이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준비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4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이 1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 상기 뉴트리 웰 및 뉴트리 케어 보다 월등히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전자공여능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Fe 2+ 킬레이팅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Fe2+ 킬레이팅 활성(Fe2+chelating activity)을 측정하였다. 2가 철의 킬레이팅(chelating) 활성은 금속이온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고 산화를 얼마나 저해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준비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EDTA의 Fe2+ 킬레이팅 활성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5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산화 저해 반응이 희석 30배, 100배에서 EDTA의 산화 저해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으나, 뉴트리 웰 및 뉴트리 케어의 산화 저해 반응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희석이 증가될수록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산화 저해 반응은 대조군인 뉴트리 웰 및 뉴트리 케어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농도 유의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SOD(Superoxide dismutase) 산화 환원 반응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SOD(Superoxide dismutase) 산화 환원 반응을 측정하였다. SOD는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의 일종으로 산화로 인해 형성된 유해한 산소 라디칼을 과산화수소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고 이를 다시 catalase에 의해 물과 산소 분자로 전환시켜 활성 산소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본 실험에서는 SOD의 활성을 측정하여 유해한 산소 라디칼 생성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 결과를 확인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준비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SOD 산화 환원 반응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6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비교하였을 때 프로링크의 경우 10배 희석농도에서 비타민 C (1mg/ml)의 약 50%에 해당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상기 뉴트리 웰 및 뉴트리 케어의 경우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실험예 7: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을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산소 소거능은 활성산소 종을 생성하는 효소의 일종인 Xanthine oxidase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발현되는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의 활성산소 소거능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를 준비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뉴트리 케어 및 비타민 C의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의 소거능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7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와 비교하여 300배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농도 유의적인 활성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1000배의 희석 농도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와 비교하여 우수한 초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의 소거능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8: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FRAP 산화 환원반응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산화 환원 반응을 측정하였다. 체내에서 호흡을 위한 산화 환원 반응으로는 Fenton reaction을 예로 들 수 있고 환원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산화철인 3가철(Fe)의 환원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음성대조군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과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의 FRAP 산화 환원반응 측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8의 결과에 의하면, 30배 희석 농도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만 효과를 나타내었고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100배, 300배 1000배의 희석농도에서 상기 실시예의 환원반응이 뉴트리웰 및 뉴트리 케어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농도 유의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 0.1~5 중량%, 혼합곡물 추출물 8~15 중량%, 대두단백질 분말 1~6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3~8 중량%, 당액 1~5 중량%, 배농축액 0.1~3 중량%, 아몬드페이스트 0.1~5 중량%, 갈매보리수나무열매 분말 0.01~1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1~2 중량%,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0.01~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1~1 중량%, 잔탄검 0.01~1 중량%, 엽산 0.001~1 중량%, 비타민 0.001~1 중량%, 합성향료 0.01~1 중량% 및 정제수 60~80 중량%로 이루어진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로서,
    상기 혼합곡물 추출물은 쌀, 현미, 보리, 수수, 귀리, 및 검은콩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합성향료는 현미 및 보리가 5: 5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A 초산염, 비타민 E 및 비타민 D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항산화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
  7. 삭제
KR1020190145466A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39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66A KR102391878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66A KR102391878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41A KR20210058241A (ko) 2021-05-24
KR102391878B1 true KR102391878B1 (ko) 2022-04-29

Family

ID=7615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66A KR102391878B1 (ko) 2019-11-13 2019-11-13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359B1 (ko) 2023-07-06 2024-03-19 주식회사 한미양행 습식분쇄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 처리물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가된 고단백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240042778A (ko) 2022-09-26 2024-04-02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갈색거저리 유충의 오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654473B1 (ko) 2023-09-14 2024-04-04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 곤충을 이용한 가공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1638A (ja) * 1998-10-28 2018-08-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スクラロース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応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45B1 (ko) * 2009-03-02 2012-03-14 김원규 해양심층수,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80110486A (ko) * 2017-03-29 2018-10-10 (주)한스아그리젠토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026407B1 (ko) * 2017-11-24 2019-09-27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1638A (ja) * 1998-10-28 2018-08-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スクラロース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応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778A (ko) 2022-09-26 2024-04-02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갈색거저리 유충의 오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649359B1 (ko) 2023-07-06 2024-03-19 주식회사 한미양행 습식분쇄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 처리물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가된 고단백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654473B1 (ko) 2023-09-14 2024-04-04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 곤충을 이용한 가공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41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878B1 (ko)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조성물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WO2001093696A1 (fr) PROCEDE DE PRODUCTION D'ALIMENTS FERMENTES RICHES EN ACIDE η-AMINOBUTYRIQUE ET EN ACIDES AMINES LIBRES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20140016116A (ko)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경옥고 제조방법
KR101778260B1 (ko) 가바 함유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 방법
JP4119656B2 (ja) 抗酸化剤
Liu et al. A Review of Fermented Bee Products: Sources, Nutritional Values, and Health Benefits
CN114761539A (zh) 生产谷胱甘肽的酵母菌株和使用其生产谷胱甘肽的方法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sai et al. Effects of anti-hypertension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fed gammaaminobutyric acid-enriched Chingshey purple sweet potato fermented milk by lactic acid bacteria
JP2003024015A (ja) ゴマを原料としたガンマ−アミノ酪酸を豊富に含有する食品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6399A (ja) グルタチオン増加用組成物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1436A (ko) 레스베라트롤이 강화된 땅콩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Seo et al.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KR20090048903A (ko) 홍국 발효콩 추출물 함유의 복합 기능성 대두 요거트제조방법
JP7464940B2 (ja) γ-アミノ酪酸とシクロアリインを富化したタマネギ及びその製造方法
Tsai et al.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fermented lemon juice on blood pressure regulation and allergic responses in rodents.
JP2008050296A (ja) 生理活性組成物
KR101947889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쌀눈
KR20160047741A (ko) 기능성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6326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
Divyashri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rice flour contain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KR102426674B1 (ko) 흑노호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