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16B1 -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16B1
KR102391416B1 KR1020180141650A KR20180141650A KR102391416B1 KR 102391416 B1 KR102391416 B1 KR 102391416B1 KR 1020180141650 A KR1020180141650 A KR 1020180141650A KR 20180141650 A KR20180141650 A KR 20180141650A KR 102391416 B1 KR102391416 B1 KR 10239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ens
unit
coupling part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929A (ko
Inventor
송호림
최경일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007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2124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14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1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는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로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끼워져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결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1 보조 고정부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부 엣지에서 상기 결합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대면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LUMINOUS CHEERING TOOLS AND COUPLING ELEMENT OF THE LUMINOUS CHEERING TOOLS}
본 발명은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경기장 또는 콘서트장 등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응원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서트장, 경기장과 같은 현장에서는 관람객 또는 팬들이 다양한 도구 예컨대, 응원봉을 이용하여 특정 팀 또는 특정 인물을 응원하고 있다.
이러한 응원봉은 단순히 소정의 컬러로 겉표면을 코팅하거나, 내부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LED 등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일정한 색상 또는 색상의 변경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응원봉은 상기 응원봉에 포함되는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볼트와 같은 다수의 불필요한 체결 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고, 응원봉에서 발광되는 부분의 형태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고 제2003-00286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 응원 도구에서 사용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최소한으로 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발광부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응원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는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로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끼워져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결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1 보조 고정부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부 엣지에서 상기 결합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대면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는 복수의 구성이 단계별로 조립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볼트, 나사와 같은 불필요한 체결 수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발광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연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다양한 형태의 발광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의 일부 구성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의 일부 구성들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연결 부재의 일 구성인 제1 렌즈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연결 부재의 일 구성인 제2 렌즈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제1 렌즈 결합부 및 제2 렌즈 결합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일 구성인 결합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결합 고정부가 제1 렌즈 결합부 및 제2 렌즈 결합부의 결합 구조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연결부 및 상기 발광 연결부가 발광 응원 도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10)의 정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 응원 도구(10)는 손잡이부(100), 연결 부재(200) 및 발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응원 도구(10)는 스위치(110)를 작동시킴에 따라 다양한 패턴, 광량, 색상의 불빛이 연결 부재(200) 및 발광부(300)를 통해 방출된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발광 응원 도구(10)는 공연장 또는 경기장 등에서 관람객 또는 방청객이 발광 기능을 통해 자신이 응원하고자 하는 대상을 응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에서 형성되는 스위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100)의 본체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예: 배터리 또는 건전지 등),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예: LED 소자 등) 및 전기 회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200)는 손잡이부(100)와 발광부(300)를 연결하는 구조로서, 후술할 렌즈부(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부재(200)는 복수의 구성이 단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요소(예: 볼트, 피스 등)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발광부(300)는 손잡이부(100)에 포함된 광원 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원을 반사, 확산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광원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일부 구성(예: 발광 바디)이 튜브등의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발광부(300)의 예시로서 튜브 형태와 재질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발광 연결부(310) 및 상기 발광 연결부(310)를 제외한 부분인 발광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10)의 일부 구성들의 분해도이다. 이러한 도 2의 분해도는 도 1의 발광 응원 도구(10)의 일부 구성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00)는 렌즈부(210), 제1 렌즈 결합부(220), 제2 렌즈 결합부(230) 및 결합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도 2에서 발광부(300)는 상기 발광부(300)와 연결 부재(200)를 연결하는 발광 연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응원 도구(10_1)의 정면도이다. 도 1의 발광 응원 도구(10)와의 차이점은 도 3의 발광부(300_1)가 도 1의 발광부(300)와 달리 스틱형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스틱형의 발광 응원 도구(10)의 발광 연결부(310_1)는 그 형태가 도 2의 발광 연결부(310)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10)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렌즈부(2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4의 렌즈부(210)의 밑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210)는 밑면의 직경이 윗면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대략 사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밑면에는 확산 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10)의 밑면에서 수강되는 광원이 상기 렌즈부(210)의 윗면을 향해 보다 넓은 각도로 방출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원을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210)의 양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된 렌즈 돌기부(21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돌기부(217)는 후술할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와 상기 렌즈부(210)의 결합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연결 부재(200)의 일 구성인 제1 렌즈 결합부(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렌즈 결합부(220)는 렌즈부(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제 2 렌즈 결합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결합부(220)는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에 대응되는 렌즈 고정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결합부(220)는 제1 렌즈 안착부(224) 및 제2 렌즈 안착부(2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렌즈 안착부(224) 및 제2 렌즈 안착부(225)는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가 제1 렌즈 결합부(220)의 렌즈 고정홈(2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렌즈부(210)가 안착되어 상기 렌즈부(2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결합부(220)는 후술할 제2 렌즈 결합부(230)와 결합되는 엣지 부분에 소정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222, 223)가 형성됨으로써 제2 렌즈 결합부(23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외주면에는 발광부(300)의 발광 연결부(310)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 수단(227)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결합부(220)는 나선 구조의 체결 수단(227)을 통해 발광 연결부(31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외측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고정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조 고정부(228)에는 제1 결합 홀(228_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보조 고정부(228)로부터 상기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렌즈 결합부(220)의 외측면 일부에서는 제1 렌즈 결합부(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4 보조 고정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연결 부재(200)의 일 구성인 제2 렌즈 결합부(2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렌즈 결합부(230)는 제1 렌즈 결합부(2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렌즈 결합부(220)와 함께 렌즈부(21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결합부(230)는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에 대응되는 렌즈 고정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결합부(230)는 제1 렌즈 안착부(234) 및 제2 렌즈 안착부(2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렌즈 안착부(234) 및 제2 렌즈 안착부(235)는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가 제2 렌즈 결합부(230)의 렌즈 고정홈(23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렌즈부(210)가 안착되어 상기 렌즈부(21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결합부(230)는 보조 고정부(235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고정부(235_1)는 제1 렌즈 결합부(220)와 상기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결합을 보조함으로써 제1 렌즈 결합부(220)와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결합부(230)는 제1 렌즈 결합부(230)의 결합 돌출부(222, 223)에 대응되는 결합 수용홈(232, 233)이 형성됨으로써 제1 렌즈 결합부(22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외주면에는 발광부(300)의 발광 연결부(310)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 수단(237)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결합부(230)는 나선 구조의 체결 수단(237)을 통해 발광 연결부(31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 결합부(220)와 제2 렌즈 결합부(230)과 결합됨으로써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체결 수단(227)과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체결 수단(237)이 결합되고, 결합된 체결 수단(227, 237)과 발광 연결부(310)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외측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고정부(2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조 고정부(238)에는 제2 결합 홀(238_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보조 고정부(238)로부터 상기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상부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홈(236)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렌즈 결합부(230)의 외측면 일부에서는 제2 렌즈 결합부(2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4 보조 고정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210),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렌즈부(210)가 제1 렌즈 결합부(220)에 걸쳐진 구성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가 제1 렌즈 결합부(220)의 렌즈 고정홈(221)에 고정되면서 렌즈부(210)가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제1 렌즈 안착부(224) 및 제2 렌즈 안착부(225)에 안착된다. 도 8a에서는 렌즈부(210)가 제1 렌즈 결합부(220)에 먼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210)는 제2 렌즈 결합부(230)에 먼저 결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렌즈 결합부(230)가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렌즈부(230)와 결합된 구성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 결합부(220)의 결합 돌출부(222, 223)가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결합 수용홈(232, 233)에 끼워지고, 렌즈부(210)의 렌즈 돌기부(217)가 제2 렌즈 결합부(230)의 렌즈 고정홈(231)에 끼워지면서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렌즈 결합부(230)의 보조 고정부(235_1)가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엣지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 렌즈 결합부(220)와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러한 도 8b의 결합 상태에 의해 렌즈부(210),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가 1차 결합이 완료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200)의 일 구성인 결합 고정부(240)가 도시된다.
결합 고정부(240)는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끼워져 도 8b의 구성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 고정부(24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고정부(240)는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고정부(241)가 결합 고정부(240)의 하부 엣지에서 내주면 방향(또는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고정부(240)는 결합 고정부(24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보조 고정부(242)가 결합 고정부(240)의 하부 엣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0a 및 10b는 결합 고정부(240)가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결합 구조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결합 고정부(240)가 도 8b와 같은 결합 구조물에 끼워지면서 결합 고정부(240)의 제2 보조 고정부(241)가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가이드 홈(226, 236)을 따라 이동되어 제1 보조 고정부(228, 238)와 대면된다.
이 경우, 결합 고정부(240)의 제3 보조 고정부(242)는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각각의 제4 보조 고정부(229, 239)와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고정부(240)의 제3 보조 고정부(242)는 제4 보조 고정부(229, 239)가 제3 보조 고정부(242)에 내삽됨에 따라 소정 정도로 벌려짐과 동시에 제4 보조 고정부(229, 239)를 가압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4 보조 고정부(229, 239)가 제3 보조 고정부(242)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결합 고정부(240)를 이용한 결합에 의해, 렌즈부(210),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2차 결합이 완료된다. 특히, 2차 결합 과정까지는 결합을 위한 별도의 체결 수단(예: 나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조립식이므로 불필요한 부품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렌즈 결합부(220), 제2 렌즈 결합부(230) 및 결합 고정부(240)는 광원의 빛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암막 기능을 가지는 재질 즉, 광 투과성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00)의 사시도이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되며, 일측(예: 위측)이 연결 부재(200)와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100)는 제1 렌즈 결합부(220)의 제1 보조 고정부(228) 및 제2 렌즈 결합부(230)의 제1 보조 고정부(238)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와 같은 결합 구조물이 손잡이부(100)에 끼워진 뒤, 제1 결합 홀(228_1, 238_1), 제2 결합 홀(241_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인입부(110)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예: 나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부(210), 제1 렌즈 결합부(220), 제2 렌즈 결합부(230), 결합 고정부(240) 및 손잡이부(100)의 3차 결합이 완료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연결부(300) 및 상기 발광 연결부(300)가 발광 응원 도구(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1과 같이 발광부(300)가 튜브 재질인 경우 발광 연결부(30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300)는 접착 보호부(311) 및 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보호부(311)와 연결부(315)는 금속,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특히 접착 보호부(311)는 연결부(315)보다 더 큰 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금속,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 보호부(311)가 튜브 또는 풍선 형태의 발광부(300)와 접착 결합시, 튜브 또는 풍선의 팽창 정도에 따라 형태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광 응원 도구(10)를 사용함에 따라 풍선 또는 튜브 형태의 발광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특정 방향(예: 좌, 우)로 구부러지는 경우, 접착 보호부(311) 또한 구부러진 발광부(300)에 대응되도록 구부러짐에 따라 발광부(300)의 손상(예: 찢어지거나 터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보호부(311)의 상부면 중 광원이 방출되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연삭 가공처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 파장이 발광부(300)로 은은하게 방출될 수 있다.
발광 연결부(300)의 연결부(315)는 대응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15)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1 렌즈 결합부(220) 및 제2 렌즈 결합부(230) 각각의 체결 수단(227, 237)과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발광 응원 도구 100: 손잡이부
110: 스위치 200: 연결 부재
210: 렌즈부 220: 제1 렌즈 결합부
230: 제2 렌즈 결합부 240: 결합 고정부
300: 발광부

Claims (1)

  1.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로서,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끼워져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결합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 상기 제1 보조 고정부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는,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결합 고정부의 하부 엣지에서 상기 결합 고정부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고정부가 상기 제1 결합부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대면되는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KR1020180141650A 2017-01-03 2018-11-16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KR10239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650A KR102391416B1 (ko) 2017-01-03 2018-11-16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85A KR101921241B1 (ko) 2017-01-03 2017-01-03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KR1020180141650A KR102391416B1 (ko) 2017-01-03 2018-11-16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85A Division KR101921241B1 (ko) 2017-01-03 2017-01-03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929A KR20180125929A (ko) 2018-11-26
KR102391416B1 true KR102391416B1 (ko) 2022-04-27

Family

ID=8139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650A KR102391416B1 (ko) 2017-01-03 2018-11-16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34B1 (ko) 2018-10-22 2020-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온마이그레이션 검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702A (ja) 1998-09-10 2000-03-31 Toyoda Gosei Co Ltd スティックライト
JP2004047391A (ja) 2002-07-16 2004-02-12 Kazuo Someya ライト
JP2005174685A (ja) 2003-12-10 2005-06-30 Koito Mfg Co Ltd 局部照明灯
JP2013247108A (ja) 2012-12-07 2013-12-09 Ruifan Japan Ltd 棒状ライ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29B1 (ko) 2001-09-20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표면연마를 위한 자동 그라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702A (ja) 1998-09-10 2000-03-31 Toyoda Gosei Co Ltd スティックライト
JP2004047391A (ja) 2002-07-16 2004-02-12 Kazuo Someya ライト
JP2005174685A (ja) 2003-12-10 2005-06-30 Koito Mfg Co Ltd 局部照明灯
JP2013247108A (ja) 2012-12-07 2013-12-09 Ruifan Japan Ltd 棒状ラ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929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41B1 (ko)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US7152997B1 (en) LED utility light with stand
US20130135856A1 (en) Illumination device
US10378707B2 (en) Spa fixture lighting system
KR200454321Y1 (ko) 조사범위의 조절기능을 가지는 천정용 매입등
US20130051010A1 (en) Illumination device
US6808290B2 (en) LED flashlight assembly
KR102391416B1 (ko) 발광 응원 도구 및 발광 응원 도구의 연결 부재
EP1628070A3 (de) Beleuchtungseinrichtung
US20170030531A1 (en) Light sourc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204298A (ja) 応援道具
US8714767B2 (en) Modular stair unit
USD479317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D512498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20090161374A1 (en) Biaxial folding lamp structure
USD513316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JP3174017U (ja) ソーラーライト
KR102034491B1 (ko) 조명을 구비한 미러 장치
US9927089B1 (en) Lampshade
KR102034483B1 (ko) 조명을 구비한 미러 장치
JP4009506B2 (ja) 照明スタンド
KR102037282B1 (ko) 매립형 led 조명 기구
KR101155781B1 (ko) 벽등
KR20210122997A (ko) 덮개프레임이 구비된 엣지 조명등
KR20060006653A (ko) 형광등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