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046B1 -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046B1
KR102391046B1 KR1020197002944A KR20197002944A KR102391046B1 KR 102391046 B1 KR102391046 B1 KR 102391046B1 KR 1020197002944 A KR1020197002944 A KR 1020197002944A KR 20197002944 A KR20197002944 A KR 20197002944A KR 102391046 B1 KR102391046 B1 KR 10239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laminate
uni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515A (en
Inventor
도모야 호소다
히토시 스사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0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Abstract

제조가 간편하고 저비용이며,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발포나 크랙이 억제된 불소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특정한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고, 소성 온도 350 ℃ 이상 380 ℃ 미만, 소성 합계 시간 60 분 이하로 하고, 두께 50 ㎛ 이상의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또,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또한, 스테인리스제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의 두께 50 ㎛ 이상의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이 특정한 함불소 공중합체를 9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수지층과 상기 기재의 박리 강도가 14 N/㎝ 이상인, 적층체. 및,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탑코트층을 갖는, 적층체.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that is simple and low-cost and capable of forming a fluoro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ubstrate and suppressing foaming and cracking, and a laminate comprising a fluoro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ubstrate provides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nd fir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specific fluorinated copolymer and containing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on a substrate is repeated twice or more, and the firing temperature is 350°C or more and less than 380°C, and the firing tota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which sets it as time 60 minutes or less and forms a 50-micrometer-thick fluororesin layer. Further,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in which a top coat layer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In addition, a stainless steel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re provided, wherein the resin layer contains 90 mass% or more of a specific fluorinated copolymer, and the peel strength between the resi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is 14 N /cm or more, the laminate. and the top coat layer on a surface of the resin layer.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PFA) 등의 함불소 중합체는, 저마찰 계수를 갖고, 비점착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 공업 용품,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의 주방 기구, 다리미 등의 가정 용품, 전기 공업 용품, 기계 공업 용품 등의 표면 가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함불소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를 프라이팬 등의 기재 표면에 도장하고, 소성하여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Fluorinated polymers such as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PFA) have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are excellent in properties such as non-tackiness,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It is widely used for surface processing of kitchen utensils such as frying pans and pots, household items such as irons, electrical industrial goods, and mechanical industrial goods. For example, a method is known in which a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ing a fluorinated polym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such as a frying pan and fired to form a fluororesin layer to obtain a laminate.

그러나, 함불소 중합체는, 특히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하다. 그래서,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와 불소 수지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열성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와 함불소 중합체를 배합한 프라이머를 미리 하도 (下塗) 로서 기재 상에 도장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그 프라이머층 상에 함불소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에 의해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그러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조 방법이 번잡해지는 데다, 비용 면에서도 불리하다.However, the fluorinated polymer is particularly poor in adhesion to a stainless steel substrate. The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dhesiveness, forming a primer layer between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is proposed. For example, a primer in which a binder resin such as a heat-resistant resin and a fluorinated polymer are blended is previously applied as a primer on a substrate to form a primer layer, and on the primer layer, a powder coating containing a fluorinated polymer is applied. The method of forming a fluororesin layer by this is mentioned (patent document 1).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primer layer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s well as complicated manufacturing method.

그런데,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수지 파우더로서, 카르보닐기 함유기 등의 특정한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파우더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By the way, as a resin powder excellent in adhesiveness to a base material, the resin powder which consists of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which has specific functional groups, such as a carbonyl group containing group, is known (patent document 2).

국제 공개 제2011/048965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1/048965 국제 공개 제2016/017801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17801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특허문헌 2 의 수지 파우더를 분체 도료로서 기재에 정전 도장하고,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두께 50 ㎛ 이상의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불소 수지층에 발포나 크랙이 생기기 쉬운 것이 판명되었다.However,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when the resin powder of Patent Document 2 is electrostatically coated on a base material as a powder coating material and firing is repeated twice or more to form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the fluororesin layer is It turned out that foaming and a crack are easy to produce.

본 발명은, 제조가 간편하고 저비용이며,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발포나 크랙이 억제된 불소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is low cost, and can form a fluoro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ubstrate and suppressing foaming and cracking, and a fluoro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ubstrate. A laminate is provided.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This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s.

[1]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기재 표면에 두께가 50 ㎛ 이상인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1] A laminate comprising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wherein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on the base material and firing it twice or more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상기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containing the following polymer A,

소성 온도를 35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을 60 분 이하로 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laminated body which sets a calcination temperature to 350 degreeC or more and less than 380 degreeC, and sets the total time to set to the said calcination temperature into 60 minutes or less.

중합체 A :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융점이 260 ∼ 320 ℃ 인, 함불소 공중합체.Polymer A: a fluorine-containing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containing a unit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melting point of 260 to 320°C copolymer.

[2]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인, [1]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2]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polymer A is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a unit having the functional group.

[3]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1] 또는 [2]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3] The polymer A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1] or [ 2]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4] 상기 불소 수지층의 두께를 100 ㎛ 이상으로 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4]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fluororesin layer has a thickness of 100 µm or more.

[5] 상기 기재가 스테인리스제 기재인, [1] ∼ [4] 중 어느 하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5]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substrate is a stainless steel substrate.

[6]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6] A tower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mer A on the surface of the fluororesin layer of the laminate obtained by producing a laminate by the method of any one of [1] to [5] above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comprising forming a coating layer.

[7] 상기 탑코트층을,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파우더를 사용한 분체 도장에 의해 형성하는, [6]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7]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6], wherein the top coat layer is formed by powder coating using a resin powder containing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8]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가,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6] 또는 [7]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8]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 [6] or [7],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

[9]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기재 표면에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불소 수지층 위에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9] A base material and fluorine, characterized in that a fluorine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repeating an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on a base material and firing it twice or more, and a top coat layer is formed on the fluororesin layer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minated body provided with a resin layer,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50 ㎛ 이상이고,The total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is 50 μm or more,

상기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The powder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containing the following polymer A,

상기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The powder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top coat layer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and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following polymer A;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을 형성할 때의 소성 온도를, 각각 33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을 각각 60 분 이하로 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the laminate, wherein the firing temperatures for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are respectively 330°C or higher and less than 380°C, and the total time at the firing temperature is 60 minutes or less, respectively.

중합체 A :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융점이 260 ∼ 320 ℃ 인, 함불소 공중합체.Polymer A: a fluorine-containing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containing a unit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melting point of 260 to 320°C copolymer.

[10]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인, [9]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10]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9], wherein the polymer A is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a unit having the functional group.

[11]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9] 또는 [10]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11] wherein the polymer A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9] or [ 10]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

[12]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가,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9] ∼ [11] 중 어느 하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12]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9] to [11].

[13]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두께가 50 ㎛ 이상인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고,[13] A base material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상기 불소 수지층이, 하기 중합체 A' 를 90 질량% 이상 함유하고,The said fluororesin layer contains 90 mass % or more of the following polymer A',

상기 불소 수지층과 상기 기재의 박리 강도가 14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A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el strength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is 14 N/cm or more.

중합체 A'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이고, 또한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Polymer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ether) copolymer, or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an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 fluorinated copolymer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unctional group.

[14]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을 구비하고,[14] A base material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fluororesin layer and a top coat lay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상기 불소 수지층이, 하기 중합체 A' 를 90 질량% 이상 함유하고,The said fluororesin layer contains 90 mass % or more of the following polymer A',

상기 탑코트층이, 하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고,The top coat layer contains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following polymer A';

상기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50 ㎛ 이상이며,The total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is 50 μm or more,

상기 불소 수지층과 상기 기재의 박리 강도가 14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A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el strength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is 14 N/cm or more.

중합체 A'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이고, 또한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Polymer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ether) copolymer, or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an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 fluorinated copolymer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unctional group.

[15]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가,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14] 의 적층체.[15]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 the laminate of [14].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간편하고 저비용이며,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발포나 크랙이 억제된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가 얻어진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is simple and low cost, and it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a base material, and the laminated body provided with the fluororesin layer by which foaming and cracking was suppressed is obtained.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The laminat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fluororesin layer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a base material.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이하의 용어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The meaning of the following terms in this specification is as follows.

「수지 파우더의 평균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해지는 체적 기준 누적 50 % 직경 (D50) 이다. 즉,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입자의 집단의 전체 체적을 100 % 로 하여 누적 커브를 구하고, 그 누적 커브 상에서 누적 체적이 50 % 가 되는 점의 입자경이다."Average particle diameter of resin powder" is a volume-based cumulative 50% diameter (D50) calculated|required by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That i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measured by the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a cumulative curve is obtained by taking the total volume of the particle population as 100%, and it is the particle diameter at the point where the cumulative volume becomes 50% on the cumulative curve.

「용융 흐름 속도」란, JIS K 7210 : 1999 (ISO 1133 : 1997) 에 규정되는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MFR) 이다.The "melt flow rate" is a melt mass flow rate (MFR) specified in JIS K 7210: 1999 (ISO 1133: 1997).

중합체에 있어서의 「단위」는, 단량체가 중합됨으로써 형성된, 그 단량체 1 분자에서 유래하는 원자단을 의미한다. 단위는, 중합 반응에 의해 직접 형성된 원자단이어도 되고,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를 처리함으로써 그 원자단의 일부가 다른 구조로 변환된 원자단이어도 된다.The "unit" in the polymer means an atomic group derived from one molecule of the monomer formed by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The unit may be an atomic group directly formed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r an atomic group in which a part of the atomic group is converted into another structure by treating the polymer obtained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meth)acrylate" is a generic term for an acrylate and a methacrylate.

[적층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기재 표면에 두께가 50 ㎛ 이상인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여,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얻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comprising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by repeating an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nd fir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on a base material twice or more to form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minated body which obtains a sieve.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 각 조작에 있어서의 분체 도료는, 동일해도 되고,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범위 내에서 상이한 분체 도료여도 된다. 예를 들어, 모두 중합체 A 이기는 하지만 상이한 중합체 (예를 들어, 후술하는 중합체 A1 과 중합체 A2) 를 함유하는 2 종의 분체 도료를 사용하여 적층체를 제조해도 된다.When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is repeated two or more times, the powder coating material in each operation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powder coating materials within the sco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both are polymer A , you may manufacture a laminated body using 2 types of powder coating materials containing different polymers (for example, the polymer A1 and polymer A2 mentioned later).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A well-known method can be employ|adopted for the method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소성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A well-known method can be employ|adopted as a baking method.

소성 온도는, 35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한다. 소성 온도가 350 ℃ 이상이면, 형성되는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소성 온도가 380 ℃ 미만이면, 불소 수지층에 발포나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가 얻어진다. 소성 온도는, 350 ∼ 375 ℃ 가 바람직하고, 350 ∼ 370 ℃ 가 보다 바람직하다.Firing temperature shall be 350 degreeC or more and less than 380 degreeC. When the firing temperature is 350°C or higher, the formed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have excellent adhesion. When the calcina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380°C,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oaming and cracks in the fluororesin layer, and a laminate having an excellent external appearance is obtained. 350-375 degreeC is preferable and, as for a calcination temperature, 350-370 degreeC is more preferable.

2 회 이상의 소성에 있어서의 각 소성의 소성 온도는, 상이한 온도로 해도 되고, 동일한 온도로 해도 된다.The firing temperature of each firing in two or more firings may be different or may be the same temperature.

2 회 이상의 소성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 (이하, 「소성의 합계 시간」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60 분 이하이고, 3 ∼ 60 분이 바람직하고, 4 ∼ 6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45 분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 30 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성의 합계 시간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불소 수지층에 발포나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가 얻어진다. 소성의 합계 시간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형성되는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우수하다.When calcining is performed two or more times, the total time set at the calcination temperatur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otal time of calcination") is 60 minutes or less, preferably 3 to 60 minutes, more preferably 4 to 60 minutes, , more preferably 5 to 45 minutes,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30 minutes. When the total time of firing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oaming and cracks in the fluororesin layer, and a laminate having an excellent external appearance is obtained.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a base material to be formed that the total time of baking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각 소성의 소성 시간은, 1 ∼ 20 분이 바람직하고, 1 ∼ 15 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소성의 소성 시간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어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 각 소성의 소성 시간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발포나 크랙이 억제되는 경향이 된다.1 to 20 minutes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baking time of each baking, 1 to 15 minutes are more preferable. When the calcination time of each calcination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resin is sufficiently melted and the surface smoothness is excellent. When the firing time of each firing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foaming and cracking tend to be suppressed.

2 회 이상의 소성에 있어서의 각 소성의 소성 시간은,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The firing time of each firing in two or more firings may be different and may be the same.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의 반복수는, 소성의 합계 시간이 60 분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형성하는 불소 수지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2 ∼ 15 회가 바람직하고, 2 ∼ 10 회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to be form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otal time of firing is 60 minutes or less, preferably 2 to 15 times, and 2 to 10 times is more preferable.

형성하는 불소 수지층의 두께의 하한치는, 50 ㎛ 이고, 프로세스 단축 면에서 100 ㎛ 가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층의 두께의 상한치는, 내약품성 향상 면에서 750 ㎛ 가 바람직하고, 5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to form is 50 micrometers, and 100 micrometers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of process shortening. 750 micrometers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of chemical-resistance improvement,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a fluororesin layer, 50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분체 도료는,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한다.A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s the resin powder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500 micrometers containing the polymer A.

중합체 A 는,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 (이하, 「관능기 (i)」라고도 한다) 를 갖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융점이 260 ∼ 320 ℃ 인 함불소 공중합체이다.Polymer A has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functional group (i)”)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a unit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It contains a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having a melting point of 260 to 320°C.

이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TFE」라고 하고, 「TFE 에 기초하는 단위」를 「TFE 단위」라고도 한다.Hereinafter, tetrafluoroethylene is referred to as "TFE", and "a unit based on TFE" is also referred to as a "TFE unit".

중합체 A 는 융점을 갖는 중합체인 것 보다, TFE 의 단독 중합체가 아니고, TFE 이외의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중합체 A 에 함유되는 TFE 이외의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로는, 1 종에 한정되지 않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TFE 이외의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로는, TFE 이외의 함불소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 및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또, 관능기 (i) 는, 중합체 A 에 함유되는 단위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중합체 A 의 주사슬의 말단에 존재하는 말단기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Rather than being a polymer having a melting point, polymer A is not a homopolymer of TFE, but a copolymer containing units based on monomers other than TFE. The unit based on monomers other than TFE contained in the polymer A is not limited to one, and two or more may be used. Examples of the unit based on a monomer other than TFE include a unit based on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other than TFE and a unit based on a monomer having no fluorine atom. Moreover, the functional group (i) may exist in the unit contained in the polymer A, and may exist in the terminal group which exists in the terminal of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A.

관능기 (i) 는, 중합체 A 에 함유되는 단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기 (i) 를 갖는 단위는, TFE 이외의 함불소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 및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al group (i) exists in the unit contained in the polymer A. The unit having the functional group (i) may be either a unit based on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other than TFE or a unit based on a monomer not having a fluorine atom, but is preferably a unit based on a monomer having no fluorine atom. .

관능기 (i) 가 중합체 A 의 주사슬의 말단에 존재하는 말단기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 그 관능기 (i) 를 갖는 말단기는, 중합체 A 의 제조시에 사용된, 중합 개시제나 연쇄 이동제 등에서 유래하는 말단기이다. 중합체 A 는, 관능기 (i) 를 갖는 단위와 관능기 (i) 를 갖는 말단기의 양방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When the functional group (i) exists in a terminal group present at the terminal of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A, the terminal group having the functional group (i) is derived from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etc.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A is a terminal group that The polymer A may contain both the unit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i), and the terminal group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i).

또한, 이하, 「관능기 (i) 를 갖는 단위」를 「단위 (1)」이라고도 한다.In addition, hereafter, "the unit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i)" is also called "unit (1)".

중합체 A 는, TFE 단위 이외의 단위로서, TFE 이외의 함불소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 (단위 (1) 을 제외한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FE 이외의 함불소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로는,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에 기초하는 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기초하는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polymer A preferably contains, as a unit other than the TFE unit, a unit based on a fluorinated monomer other than TFE (excluding the unit (1)). As a unit based on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other than TFE, a unit based on perfluoro (alkyl vinyl ether) and a unit based on hexafluoropropylene are preferable.

또한, 이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를 「PAVE」라고도 하고, 「PAVE 에 기초하는 단위」를 「PAVE 단위」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이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HFP」라고도 하고, 「HFP 에 기초하는 단위」를 「HFP 단위」라고도 한다. 또, 이하, PAVE 단위와 HFP 단위를 총칭하여 「단위 (3)」이라고도 한다.Hereinafter, "perfluoro (alkyl vinyl ether)" is also referred to as "PAVE", and "unit based on PAVE" is referred to as "PAVE unit". Similarly, hereafter, "hexafluoropropylene" is also called "HFP", and "unit based on HFP" is also called "HFP unit". Hereinafter, the PAVE unit and the HFP unit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unit (3)".

중합체 A 가 TFE 단위와 단위 (3) 을 함유하고, 양자의 함유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상기 융점을 갖는 함불소 중합체되기 쉽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 A 의 융점이나 용융 흐름 속도 (MFR) 등의 물리적 물성은, 단위 (1) 의 유무나 말단기의 관능기 (i) 의 유무에 좌우되는 경우는 적고, 주로 TFE 단위와 단위 (3) 의 상대적인 비율이나 분자량에 의해 조정된다. 단위 (3) 을 함유하는 중합체 A 는, 단위 (3) 으로서 PAVE 단위와 HFP 단위의 양방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Polymer A contains the TFE unit and the unit (3), an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content ratio of both, it is easy to form a fluorinated polymer having the above melting poi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A, such as the melting point and melt flow rate (MFR), rarely depen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nit (1)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unctional group (i) of the terminal group, mainly the TFE unit and the unit It is adjusted by the relative ratio or molecular weight of (3). The polymer A containing the unit (3) may contain both a PAVE unit and an HFP unit as the unit (3).

중합체 A 는, TFE 단위 이외의 단위로서, 단위 (3) 이외의 단위 (단, 단위 (1) 을 제외한다) 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단위 (1), TFE 단위 및 단위 (3) 이외의 단위를, 이하, 「단위 (4)」라고도 한다. 그 단위 (4) 를 형성하는 단량체로는, PAVE 및 HFP 이외의 함불소 단량체,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A 는, 단위 (4) 의 적어도 1 종과 TF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olymer A may contain units other than the unit (3) (however, the unit (1) is excluded) as units other than the TFE unit. Units other than the unit (1), the TFE unit, and the unit (3) are also referred to as “unit (4)” hereinafter. Examples of the monomer forming the unit (4) include fluorinated monomers other than PAVE and HFP, and monomers having no fluorine atom. Polymer A may be a copolymer containing at least 1 type of unit (4) and a TFE unit.

단위 (4) 의 적어도 1 종과 TF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로는, TFE 단위와 단위 (3) 과 단위 (4) 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단위 (1) 과 TFE 단위와 단위 (3) 과 단위 (4) 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co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type of unit (4) and a TFE unit include a copolymer containing a TFE unit, unit (3) and unit (4), and unit (1) and a TFE unit and unit (3) Copolymers containing the unit (4) are preferred.

관능기 (i) 는,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이며, 중합체 A 는 이들 관능기의 2 종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관능기 (i) 로는, 카르보닐기 함유기가 바람직하다.The functional group (i) is a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the polymer A may have two or more of these functional groups. The functional group (i) is preferably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카르보닐기 함유기로는, 구조 중에 카르보닐기를 갖는 기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간에 카르보닐기를 가져 이루어지는 기, 카보네이트기, 카르복시기, 할로포르밀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산무수물 잔기, 폴리플루오로알콕시카르보닐기, 지방산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와의 밀착성 향상 면에서,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간에 카르보닐기를 가져 이루어지는 기, 카보네이트기, 카르복시기, 할로포르밀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산무수물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시기 및 산무수물 잔기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group having a carbonyl group in its structure. For example, a group having a carbonyl group between carbon atoms of the hydrocarbon group, a carbonate group, a carboxy group, a haloformyl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n acid anhydride residue, poly A fluoroalkoxy carbonyl group, a fatty acid residue, etc. are mentioned. Among them, a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roup having a carbonyl group between carbon atoms of a hydrocarbon group, a carbonate group, a carboxy group, a haloformyl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nd an acid anhydride residue in view of improving adhesion to the substrate is preferable, and a carboxy group and An acid anhydride residue is more preferable.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간에 카르보닐기를 가져 이루어지는 기에 있어서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2 ∼ 8 의 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알킬렌기의 탄소 원자수는, 그 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카르보닐기 이외의 부분의 탄소 원자의 수이다. 그 알킬렌기는 직사슬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된다.As a hydrocarbon group in the group which has a carbonyl group between carbon atoms of a hydrocarbon group, a C2-C8 alkylene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is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parts other than the carbonyl group in the alkylene group. The alkylene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할로포르밀기는, -C(=O)-X (단, X 는 할로겐 원자이다) 로 나타내는 기이다. 할로포르밀기에 있어서의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즉, 할로포르밀기로는 플루오로포르밀기 (카르보닐플루오라이드기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다.The haloformyl group is a group represented by -C(=O)-X (provided that X is a halogen atom). A fluorine atom, a chlorine atom, etc. are mentioned as a halogen atom in a haloformyl group, A fluorine atom is preferable. That is, as the haloformyl group, a fluoroformyl group (also referred to as a carbonyl fluoride group) is preferable.

알콕시카르보닐기에 있어서의 알콕시기는, 직사슬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된다. 그 알콕시기로는, 탄소 원자수 1 ∼ 8 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고,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alkoxy group in the alkoxycarbonyl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As this alkoxy group, a C1-C8 alkoxy group is preferable, and a methoxy group or an ethoxy group is especially preferable.

단위 (1) 로는, 관능기 (i) 를 갖는 단량체 (이하, 「단량체 (m1)」이라고도 한다) 에 기초하는 단위가 바람직하다. 단량체 (m1) 이 갖는 관능기 (i) 는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단량체 (m1) 이 2 개 이상의 관능기 (i) 를 갖는 경우, 그들 관능기 (i) 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As the unit (1), a unit based on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m1)”) is preferable.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 which a monomer (m1) has may be one, or two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When the monomer (m1) has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i), these functional groups (i)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espectively.

단량체 (m1) 로는, 관능기 (i) 를 1 개 갖고, 중합성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As a monomer (m1), the compound which has one functional group (i) and has one polymerizable double bond is preferable.

단량체 (m1) 중,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산무수물 잔기와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고리형 탄화수소 화합물 (이하, 「단량체 (m11)」이라고도 한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이하 「단량체 (m12)」라고도 한다), 비닐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CF2=CFORf1COOX1 (단, Rf1 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X1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3 의 알킬기이다)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 monomers (m1),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include a cyclic hydrocarbon compound having an acid anhydride residue and a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m11)”),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m12)"), vinyl ester, (meth)acrylate, CF 2 =CFOR f1 COOX 1 (provided that R f1 is a purple having 1 to 10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eal oxygen atom) It is a luoroalkylene group, and X< 1 > is a hydrogen atom or a C1-C3 alkyl group) etc. are mentioned.

단량체 (m11) 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의 산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무수 이타콘산 (이하, 「IAH」라고도 한다), 무수 시트라콘산 (이하, 「CAH」라고도 한다),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별칭 : 무수 하이믹산. 이하, 「NAH」라고도 한다),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m11), the acid anhydride of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 of the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include itaconic acid anhydrid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AH"), citraconic acid anhydrid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AH"), 5-norbornene-2; 3-dicarboxylic acid anhydride (an alias: hymic anhydride. Hereinafter, it is also called "NAH"), maleic anhydride, etc. are mentioned.

단량체 (m12) 로는, 예를 들어,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m12) include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itaconic acid, citraconic acid, 5-norbornene-2,3-dicarboxylic acid and maleic acid;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etc. are mentioned.

비닐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클로로아세트산비닐, 부탄산비닐, 피발산비닐, 벤조산비닐, 크로톤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vinyl ester include vinyl acetate, vinyl chloroacetate, vinyl butanate, vinyl pivalate, vinyl benzoate, and vinyl crotonate.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meth)acrylate, (polyfluoroalkyl)acrylate, (polyfluoroalkyl)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알릴에테르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으로서 말단 또는 측사슬에 1 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크로톤산하이드록시에틸 등의 크로톤산 변성의 화합물, 알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for example, vinyl esters, vinyl ethers, allyl ethers, (meth)acrylate-based compounds, etc.,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hydroxyl groups in the terminal or side chain, crotonic acid hydride Crotonic acid-modified compounds, such as oxyethyl, allyl alcohol, etc. are mentioned.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글리시딜에테르류 (예를 들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에테르, 비닐글리시딜에테르 등), 불포화 글리시딜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아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등)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which has an epoxy group, For example, unsaturated glycidyl ethers (For example, allyl glycidyl ether, 2-methylallyl glycidyl ether, vinyl glycidyl ether, etc.), unsaturated glycidyl ester (For example, glycid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etc.) etc. are mentioned.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2-(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a monomer which has an isocyanate group, For example,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2-(2-(meth)acryloyloxyethoxy)ethyl isocyanate, 1, 1-bis((meth)) Acryloyloxymethyl)ethyl isocyanate etc. are mentioned.

단량체 (m1) 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A monomer (m1)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단위 (1) 은, 기재와의 밀착성 향상 면에서, 관능기 (i) 로서 적어도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m1) 로는,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1) has at least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s the functional group (i)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bstrate. As the monomer (m1), a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is preferable.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열 안정성, 기재와의 밀착성 향상 면에서, 단량체 (m11) 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IAH, CAH, 및 NAH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IAH, CAH, 및 NAH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사용하면, 무수 말레산을 사용한 경우에 필요한 특수한 중합 방법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93312호 참조) 을 사용하지 않고, 산무수물 잔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IAH, CAH, 및 NAH 중에서는, 기재와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점에서, NAH 가 바람직하다.As the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the monomer (m11)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rmal stability and adhesion to the substrate. Among them, a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AH, CAH, and NAH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AH, CAH, and NAH is used, acid anhydride residues are used without using a special polymerization method (refer to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1-193312) required when maleic anhydride is used.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 fluorinated copolymer having Among IAH, CAH, and NAH, NAH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ore excell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단위 (3) 은, PAVE 단위 또는 HFP 단위이다.The unit (3) is a PAVE unit or an HFP unit.

PAVE 로는, 예를 들어, CF2=CFORf2 (단, Rf2 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를 들 수 있다. Rf2 에 있어서의 퍼플루오로알킬기는, 직사슬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된다. Rf2 의 탄소 원자수는 1 ∼ 3 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PAVE include CF 2 =CFOR f2 (provided that R f2 is a C1-C10 perfluoroalkyl group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The perfluoroalkyl group for R f2 may be linear or branched. As for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R f2 , 1-3 are preferable.

CF2=CFORf2 로는, CF2=CFOCF3, CF2=CFOCF2CF3, CF2=CFOCF2CF2CF3 (이하, 「PPVE」라고도 한다), CF2=CFOCF2CF2CF2CF3, CF2=CFO(CF2)8F 등을 들 수 있고, PPVE 가 바람직하다.As CF 2 =CFOR f2 , CF 2 =CFOCF 3 , CF 2 =CFOCF 2 CF 3 , CF 2 =CFOCF 2 CF 2 CF 3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PVE”), CF 2 =CFOCF 2 CF 2 CF 2 CF 3 , CF 2 =CFO(CF 2 ) 8 F, and the like, and PPVE is preferable.

PAVE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PAV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단위 (4) 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단량체 (m1), TFE, PAVE 및 HFP 이외의 단량체이다.The monomer forming the unit (4) is a monomer other than the monomer (m1), TFE, PAVE, and HFP.

단위 (4) 를 형성하는 단량체로는, 상기 함불소 단량체 (이하, 「단량체 (m41)」이라고도 한다), 상기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단량체 (이하, 「단량체 (m42)」라고도 한다) 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forming the unit (4) include the fluorine-containing monom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m41)") and the monomer having no fluorine atom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nomer (m42)"). there is.

단량체 (m41) 로는, 중합성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함불소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이하, 「VdF」라고도 한다),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이하, 「CTFE」라고도 한다) 등의 플루오로올레핀 (단, TFE 및 HFP 를 제외한다), CF2=CFORf3SO2X3 (단, Rf3 은, 탄소 원자수 1 ∼ 10 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 또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탄소 원자수 2 ∼ 10 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X3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하이드록시기이다), CF2=CF(CF2)pOCF=CF2 (단, p 는 1 또는 2 이다), CH2=CX4(CF2)qX5 (단, X4 는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이고, q 는 2 ∼ 10 의 정수이며, X5 는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이다),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The monomer (m41) is preferably a fluorine-containing compound having one polymerizable double bond, for example, vinyl fluoride, vinylidene fluorid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VdF”), trifluoroethylene, chlorotrifluoro Fluoroolefins such as ethylen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TFE”) (however, excluding TFE and HFP), CF 2 =CFOR f3 SO 2 X 3 (provided that R f3 is a purple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 luoroalkylene group or a perfluoro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having an ethereal oxygen atom, and X 3 is a halogen atom or a hydroxy group), CF 2 =CF(CF 2 ) p OCF=CF 2 (provided that p is 1 or 2), CH 2 =CX 4 (CF 2 ) q X 5 (provided that X 4 is a hydrogen atom or a fluorine atom, q is an integer of 2 to 10, and X 5 is hydrogen atom or fluorine atom) and perfluoro (2-methylene-4-methyl-1,3-dioxolane).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2 or more types.

단량체 (m41) 로는, VdF, CTFE 및 CH2=CX4(CF2)qX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The monomer (m41) is preferably a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dF, CTFE, and CH 2 =CX 4 (CF 2 ) q X 5 .

CH2=CX4(CF2)qX5 로는, CH2=CH(CF2)2F, CH2=CH(CF2)3F, CH2=CH(CF2)4F, CH2=CF(CF2)3H, CH2=CF(CF2)4H 등을 들 수 있고, CH2=CH(CF2)4F 및 CH2=CH(CF2)2F 가 바람직하다.CH 2 =CX 4 (CF 2 ) q X 5 , then CH 2 =CH(CF 2 ) 2 F, CH 2 =CH(CF 2 ) 3 F, CH 2 =CH(CF 2 ) 4 F, CH 2 = CF(CF 2 ) 3 H, CH 2 =CF(CF 2 ) 4 H, and the like, with CH 2 =CH(CF 2 ) 4 F and CH 2 =CH(CF 2 ) 2 F being preferred.

단량체 (m42) 로는, 중합성 이중 결합을 1 개 갖는 불소 원자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탄소 원자수 3 이하의 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As a monomer (m42), the compound which does not have a fluorine atom which has one polymerizable double bond is preferable, For example, C3 or less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be used 2 or more types.

단량체 (m42) 로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As the monomer (m42), ethylene and propylene are preferable, and ethyle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단위 (4) 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 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2 종 이상의 단량체 (m41) 을 병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단량체 (m42) 를 병용해도 되며, 1 종 이상의 단량체 (m41) 과 1 종 이상의 단량체 (m42) 를 병용해도 된다.The monomer which forms the unit (4)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When using 2 or more types together, 2 or more types of monomers (m41) may be used together, 2 or more types of monomers (m42) may be used together, and 1 or more types of monomers (m41) and 1 or more types of monomers (m42) may be used together. do.

중합체 A 로는,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 (이하, 「중합체 A1」이라고도 한다), 및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 (이하, 「중합체 A2」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고, 특히, 중합체 A1 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들 함불소 공중합체를 상세하게 해설한다.Examples of the polymer A include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the unit (1) and a TFE unit and a PAVE uni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olymer A 1 ”), and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the unit (1), a TFE unit and an HFP unit. Coalescin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olymer A 2 ”) is preferable, and polymer A 1 is particularly preferable. Hereinafter, these fluorinated copolym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중합체 A1 로는,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고,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1) 의 비율이 0.01 ∼ 3 몰% 이고, TFE 단위의 비율이 90 ∼ 99.89 몰% 이며, PAVE 단위의 비율이 0.1 ∼ 9.99 몰% 인 함불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The polymer A 1 contains a unit (1), a TFE unit, and a PAVE unit, the proportion of the unit (1) with respect to the total of all units is 0.01 to 3 mol%, and the proportion of the TFE unit is 90 to 99.89 mol %, preferably a fluorinated copolymer having a PAVE unit ratio of 0.1 to 9.99 mol%.

중합체 A1 은, 필요에 따라, HFP 단위 및 단위 (4) 의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1 은,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와 HFP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와 단위 (4)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단위 (1) 과 TFE 단위와 PAVE 단위와 HFP 단위와 단위 (4)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Polymer A 1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of an HFP unit and unit (4) as needed. Polymer A 1 may consist of unit (1), a TFE unit, and a PAVE unit, may consist of a unit (1), a TFE unit, a PAVE unit, and an HFP unit, and may consist of a unit (1), a TFE unit and a PAVE unit. and unit (4), or unit (1), TFE unit, PAVE unit, HFP unit, and unit (4).

중합체 A1 로는,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와,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단량체 (m11) 에 기초하는 단위와,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중합체 A1 의 구체예로는, NAH/TFE/PPVE 공중합체, IAH/TFE/PPVE 공중합체, CAH/TFE/PPVE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mer A 1 is preferably a copolymer containing a unit based on a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TFE unit, and a PAVE unit, and a unit based on the monomer (m11), a TFE unit, and a PAVE unit. Copolym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Specific examples of the preferred polymer A 1 include a NAH/TFE/PPVE copolymer, an IAH/TFE/PPVE copolymer, and a CAH/TFE/PPVE copolymer.

중합체 A1 은, 주사슬 말단기로서 관능기 (i)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주사슬 말단기로서의 관능기 (i) 로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보네이트기, 카르복시기, 플루오로포르밀기, 산무수물 잔기, 하이드록시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능기는, 중합체 A1 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도입할 수 있다.Polymer A 1 may have a functional group (i) as a main chain terminal group. As the functional group (i) as the main chain terminal group, an alkoxycarbonyl group, a carbonate group, a carboxy group, a fluoroformyl group, an acid anhydride residue, and a hydroxy group are preferable. These functional groups can be introduce|transduced by selecting suitably the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etc. us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polymer A1.

상기 단위 (1) 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부피 밀도가 큰 수지 파우더가 얻어지기 쉽고, 또 불소 수지층과 기재 (금속 등) 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단위 (1) 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중합체 A1 의 내열성이나 색조 등이 양호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unit (1), if it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it is easy to obtain a resin powder with a large bulk density, and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base material (metal etc.). When the ratio of the unit (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heat resistance, color tone, and the like of the polymer A 1 are good.

단위 (1) 의 비율은, 0.03 ∼ 2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1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the ratio of the unit (1), 0.03-2 mol% is more preferable, and its 0.05-1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상기 TFE 단위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중합체 A1 이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TFE 단위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중합체 A1 이 내스트레스 크랙성이 우수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TFE unit, polymer A 1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chemical-resistance, etc. as it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When the proportion of TFE uni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polymer A 1 is excellent in stress crack resistance.

TFE 단위의 비율은, 95 ∼ 99.47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96 ∼ 98.95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95-99.47 mol%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ratio of a TFE unit, 96-98.95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상기 PAVE 단위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범위 내이면, 중합체 A1 이 성형성이 우수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PAVE unit, if it is in the range of the said range, polymer A1 is excellent in moldability.

상기 PAVE 단위의 비율은, 0.5 ∼ 9.97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9.95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the ratio of the said PAVE unit, 0.5-9.97 mol% is more preferable, and its 1-9.95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중합체 A1 중의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1), TFE 단위 및 PAVE 단위의 합계의 비율은, 9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8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몰% 여도 된다.The ratio of the total of the unit (1), the TFE unit, and the PAVE unit to the total of all units in the polymer A 1 is preferably 90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5 mol% or more, and furthermore 98 mol% or more. desirable.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A1 중의 각 단위의 비율은, 용융 핵자기 공명 (NMR) 분석 등의 NMR 분석, 불소 함유량 분석,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7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 A1 을 구성하는 전체 단위 중의 단위 (1) 의 비율 (몰%) 을 구할 수 있다.The ratio of each unit in the polymer A 1 can be measured by NMR analysis such as fusi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alysis, fluorine content analysis,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analysis, or the like. For example,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314720, the proportion (mol%) of the unit (1) in the total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A 1 can be obtained using methods such as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analysis. there is.

중합체 A2 는,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를 함유하고,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1) 의 비율이 0.01 ∼ 3 몰% 이고, TFE 단위의 비율이 90 ∼ 99.89 몰% 이며, HFP 단위의 비율이 0.1 ∼ 9.99 몰% 인 공중합체 (단, 중합체 A1 은 제외한다) 가 바람직하다.Polymer A2 contains a unit ( 1 ), a TFE unit, and an HFP unit, the ratio of the unit (1) with respect to the sum total of all units is 0.01-3 mol%, The ratio of the TFE unit is 90-99.89 mol %, and the copolymer (however, polymer A1 is excluded) whose ratio of the HFP unit is 0.1-9.99 mol% is preferable.

중합체 A2 는, 필요에 따라, PAVE 단위 및 단위 (4) 의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2 는,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와 PAVE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 (단, 중합체 A1 은 제외한다) 이어도 되고,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와 단위 (4)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단위 (1) 과 TFE 단위와 HFP 단위와 PAVE 단위와 단위 (4) 로 이루어지는 것 (단, 중합체 A1 은 제외한다) 이어도 된다.Polymer A2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of a PAVE unit and unit ( 4 ) as needed. Polymer A 2 may consist of unit (1), a TFE unit, and an HFP unit, or may consist of a unit (1), a TFE unit, an HFP unit, and a PAVE unit (however, polymer A 1 is excluded), It may consist of unit (1), TFE unit, HFP unit, and unit (4), and it may consist of unit (1), TFE unit, HFP unit, PAVE unit and unit (4) (except for polymer A 1 ) do) may be

중합체 A2 로는, 카르보닐기 함유기를 갖는 단량체에 기초하는 단위와, TFE 단위와, HFP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단량체 (m11) 에 기초하는 단위와, TFE 단위와, HFP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중합체 A2 의 구체예로는, NAH/TFE/HFP 공중합체, IAH/TFE/HFP 공중합체, CAH/TFE/HFP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mer A 2 is preferably a copolymer containing a unit based on a monomer having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TFE unit, and an HFP unit, and a unit based on the monomer (m11), a TFE unit, and an HFP unit. Copolymers are particularly preferred. As a specific example of a preferable polymer A2, a NAH/TFE/HFP copolymer, an IAH/TFE/HFP copolymer, a CAH/TFE/HFP copolymer, etc. are mentioned.

중합체 A2 는, 주사슬 말단기로서 관능기 (i)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주사슬 말단기로서의 바람직한 관능기 (i) 로는, 중합체 A1 에서 든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Polymer A2 may have a functional group (i) as a principal chain terminal group. As a functional group (i) preferable as a principal chain terminal group,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mentioned for polymer A1 is mentioned.

상기 단위 (1) 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부피 밀도가 큰 수지 파우더가 얻어지기 쉽고, 불소 수지층과 기재 (금속 등) 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단위 (1) 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중합체 A2 의 내열성이나 색조 등이 양호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unit (1), if it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a resin powder with a large bulk density is easy to be obtained, and it is excellent in the adhesiveness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base material (metal etc.). The heat resistance, color tone, etc. of polymer A2 are favorable that the ratio of unit (1) is below the upper limit of the said range.

단위 (1) 의 비율은, 0.02 ∼ 2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1.5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the ratio of the unit (1), 0.02-2 mol% is more preferable, and its 0.05-1.5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상기 TFE 단위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중합체 A2 가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TFE 단위의 비율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중합체 A2 가 내스트레스 크랙성이 우수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TFE unit, if it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Polymer A2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chemical - resistance, etc. When the proportion of TFE uni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polymer A 2 is excellent in stress crack resistance.

TFE 단위의 비율은, 91 ∼ 98 몰% 가 바람직하고, 92 ∼ 96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91-98 mol%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ratio of a TFE unit, 92-96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상기 HFP 단위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의 범위 내이면, 박리 강도가 우수하다.About the ratio of the said HFP unit, it is excellent in peeling strength in it being in the range of the said range.

HFP 단위의 비율은, 1 ∼ 9 몰%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8 몰% 가 특히 바람직하다.1-9 mol%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ratio of an HFP unit, 2-8 mol% is especially preferable.

중합체 A2 중의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1), TFE 단위, 및 HFP 단위의 합계의 비율은, 9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8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0 몰% 여도 된다.The ratio of the total of the unit (1), the TFE unit, and the HFP unit to the total of all units in the polymer A 2 is preferably 90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5 mol% or more, and furthermore 98 mol% or more. desirable.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A 의 융점은, 260 ∼ 320 ℃ 이고, 280 ∼ 320 ℃ 가 바람직하고, 295 ∼ 315 ℃ 가 보다 바람직하며, 295 ∼ 31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A 의 융점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내열성이 우수하다. 중합체 A 의 융점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내열성과 가공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다.Melting|fusing point of polymer A is 260-320 degreeC, 280-320 degreeC is preferable, 295-315 degreeC is more preferable, 295-310 degreeC is still more preferable. It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s melting|fusing point of polymer A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aid range. It is excellent in the balance of heat resistance and workability that melting|fusing point of polymer A is below the upper limit of the said range.

또한, 중합체 A 의 융점은, 당해 중합체 A 를 구성하는 단위의 종류나 함유 비율, 분자량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FE 단위의 비율이 많아질수록, 융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In addition, melting|fusing point of polymer A can be adjusted with the kind, content rate, molecular weight, etc. of the unit which comprises the said polymer A. For exampl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FE units, the higher the melting point tends to be.

중합체 A 의 용융 흐름 속도 (MFR) 는, 0.1 ∼ 1000 g/10 분이 바람직하고, 0.5 ∼ 100 g/1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30 g/10 분이 더욱 바람직하며, 5 ∼ 20 g/10 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MFR 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가공성 이 우수하고, 평면 평활이 우수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MFR 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중합체 A 가 기계 강도가 우수하여, 불소 수지층이 기계 강도가 우수하다.The melt flow rate (MFR) of polymer A is preferably 0.1 to 1000 g/10 min, more preferably 0.5 to 100 g/10 min, still more preferably 1 to 30 g/10 min, still more preferably 5 to 20 g/10 min. Especially preferred. When MFR is at least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a layer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excellent planar smoothness can be formed. When MFR is below the upper limit of the said range, the polymer A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and the fluororesin layer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MFR 은, 중합체 A 의 분자량의 기준으로, MFR 이 크면 분자량이 작고, MFR 이 작으면 분자량이 큰 것을 나타낸다. 중합체 A 의 분자량, 나아가서는 MFR 은, 중합체 A 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의 중합시에 중합 시간을 단축하면, MFR 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MFR is a reference|standard of the molecular weight of polymer A, when MFR is large, molecular weight is small, and when MFR is small, it shows that molecular weight is larg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 furthermore, MF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polymer A. For example, if the polymerization time is shortened during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the MFR tends to increase.

중합체 A 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6/017801호의 [0053] ∼ [0060] 에 기재된 방법 (α) ∼ (γ) 를 들 수 있다.Polymer A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A include methods (α) to (γ) described in [0053] to [0060]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17801.

수지 파우더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중합체 A 이외의 함불소 중합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이미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The resin powder may contain fluorinated polymers other than the polymer A, aromatic polyester, polyamideimide, thermoplastic polyimide, and the like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지 파우더의 전체량에 대한 중합체 A 의 비율은, 8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10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80 mass % or more is preferable, as for the ratio of the polymer A with respect to the whole amount of resin powder, 85 mass % or more is more preferable, 90 mass % or more is still more preferable, and its 100 mass % is especially preferable.

수지 파우더의 평균 입경은, 10 ∼ 500 ㎛ 이고, 15 ∼ 400 ㎛ 가 바람직하며, 20 ∼ 3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파우더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정전 도장시에 에어를 혼입하기 어렵다. 수지 파우더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이면, 불소 수지층을 얇게 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resin powder is 10-500 micrometers, 15-400 micrometers is preferable, and its 20-30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esin powd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mix air during electrostatic coating. The fluororesin layer can be made thin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resin powder is below the upper limit of the said range.

분체 도료는, 필요에 따라, 수지 파우더 이외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안료, 카본 파이버, 그라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A powder coating material may contain components other than resin powder as needed. As other components, a pigment, carbon fiber, graphite, etc. are mentioned.

분체 도료 중의 수지 파우더의 함유량은, 9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파우더의 함유량의 상한치는 100 질량% 이다.90 mass % or more is preferable and, as for content of the resin powder in a powder coating material, 95 mass % or more is more preferable. The upper limit of content of resin powder is 100 mass %.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라이팬, 냄비, 다리미 등의 가정 용품이나, 공장의 배관 등을 들 수 있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base material, For example, household articles, such as a frying pan, a pot, and an iron, piping of a factory, etc. are mentioned.

기재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리스, 철 등의 금속, 수지, 유리, 세라믹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기재와 불소 수지층의 밀착성의 확보가 어려운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aterial of a base material, Metals, such as stainless steel and iron, resin, glass, ceramics, etc. are mention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is effec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tainless steel base material with which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adhesiveness of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또, 기재로서 금속박을 사용해도 된다. 금속박에 있어서의 금속으로는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구리가 바람직하다.Moreover, you may use metal foil as a base material. Copper, iron, aluminum, stainless steel, etc. are mentioned as a metal in metal foil, Especially copper is preferable.

또, 금속박보다 두꺼운, 두께 0.3 ∼ 0.5 ㎜ 정도의 굴곡 가능한 금속 기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불소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a fluororesin layer can be form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also about a bendable metal base material thicker than metal foil and about 0.3-0.5 mm in thicknes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중합체 A 를 함유하고 특정한 평균 입경인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를 사용하여, 2 회 이상의 소성의 소성 온도 및 합계 시간을 특정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발포나 크랙이 억제된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하며, 저비용이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us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ing polymer A and containing the resin powder of a specific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firing temperature and total time of two or more firings are specified in a specific range. By controlling to ,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aminate having a fluororesin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the substrate and suppressed foaming and cracking. Moreover, sinc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does not form a primer layer, manufacture is simple and low cost.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양태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p coat layer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mer 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uororesin layer of the laminate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는, 상기 관능기 (i) 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상기 중합체 A 와 동일 범주의 함불소 공중합체 (이하, 「중합체 B」라고도 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B 로는,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및 TFE 단위와 HFP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TFE 단위와 PAVE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단위의 함유 비율은, 상기 중합체 A 에 있어서 단위 (1) 의 함유 비율을 0 으로 한 경우의 각 단위의 함유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preferably a fluorinated copolymer of the same category as that of the polymer A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olymer B") except that it does not have the functional group (i). As polymer B, a copolymer containing a TFE unit and a PAVE unit and a copolymer containing a TFE unit and an HFP unit are preferable, and a copolymer containing a TFE unit and a PAVE un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rate of each unit in such a copolymer is the content rate of each unit at the time of making the content rate of unit (1) 0 in the said polymer A.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B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의 열 용융성의 함불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olymer B, and various types of thermally meltable fluorinated copolymers can be used.

탑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합계의 두께는, 7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lthough the thickness of a top coat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10 micrometers or more are preferable, and 30 micrometers or more are preferabl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750 micrometers or less, and, as for the total thickness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top coat lay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0 micrometers or less.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지층 표면의 비부착성이 향상되어, 내약품성 등의 화학적 물성이 보다 양호해진다.By forming the top coat layer, non-adhesiveness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is improved,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chemical resistance are further improved.

탑코트층은, 중합체 B 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를 사용한 도장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1 회 이상 반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B 를 함유하는 분체 도료나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분체 도료는 중합체 B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 소성 온도는 330 ℃ 이상 380 ℃ 미만, 바람직하게는 35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은 6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양태에 의해 불소 수지층을 형성한 후, 계속해서 동일한 조작으로 탑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top coat layer is preferably formed by a coating method us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polymer B, and particularly preferably formed by a method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at least o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polymer B or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bak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containing the polymer B, and the firing temperature is 330°C or more and less than 380°C, preferably 350°C or more and less than 380°C, the firing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otal time to be set to 60 minutes or less. In this way, after the fluororesin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top coat layer can be formed continuously by the same operation.

본 발명의 제 3 실시양태는, 불소 수지층의 두께의 한정을 제외한 제 1 양태와 상기 제 2 실시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태를 조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aspect excluding the limit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preferred aspect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bined.

즉,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기재 표면에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불소 수지층 위에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50 ㎛ 이상이고,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에 있어서의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수지 파우더와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에 있어서의 중합체 B 를 함유하는 수지 파우더는 모두 평균 입경 10 ∼ 500 ㎛ 이며,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을 형성할 때의 소성 온도를, 각각 330 ℃ 이상 380 ℃ 미만, 바람직하게는 35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을 각각 60 분 이하로 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That is, an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on a substrate and firing is repeated twice or more to form a fluororesi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top coat layer is formed on the fluororesin layer.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including a backing layer, wherein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is 50 µm or more, and a resin powder containing polymer A in a powder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and a top coat layer The resin powder containing the polymer B in the powder coating material forming Preferably, it is 350 degreeC or more and less than 380 degreeC, and i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laminated body which sets the total time to set to the said calcination temperature into 60 minutes or less, respectively.

제 3 실시양태에 있어서,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은 각각 1 층 구조여도 되지만, 불소 수지층은 2 층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탑코트층은 1 층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coat layer may each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but the fluororesin layer preferably has a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the topcoat layer preferably has a structure of one or more layers.

상기 불소 수지층의 두께는, 3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탑코트층의 두께는,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는, 7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30 micrometers or more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said fluororesin layer, 50 micrometers or more are more preferable. 20 micrometers or more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said top coat layer, 40 micrometers or more are more preferable. Moreover, 75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sum total of the thickness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top coat layer, 500 micrometer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적층체][Laminate]

본 발명의 제 4 실시양태는,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두께가 50 ㎛ 이상인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이다. 불소 수지층은, 중합체 A' 를 90 질량% 이상 함유한다.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는, 14 N/㎝ 이상이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comprising a stainless steel substrate and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fluororesin layer contains 90 mass % or more of polymer A'. The peeling strength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is 14 N/cm or more.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laminate of the 4th aspect of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중합체 A' 는, TFE/PAVE 공중합체 또는 TFE/HFP 공중합체이고, 또한 관능기 (i) 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이다. 중합체 A' 로는, 상기 중합체 A1 및 중합체 A2 가 바람직하고, 중합체 A1 이 특히 바람직하다.Polymer A' is a TFE/PAVE copolymer or a TFE/HFP copolymer, and is a fluorinated co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 As polymer A ', the said polymer A1 and polymer A2 are preferable, and polymer A1 is especially preferable.

불소 수지층 중의 중합체 A' 의 함유량은, 90 질량% 이상이고, 9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7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Content of polymer A' in a fluororesin layer is 90 mass % or more, 95 mass % or more is preferable, 97 mass % or more is more preferable, 100 mass % or more is especially preferable.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는, 15 ∼ 100 N/㎝ 가 바람직하고, 16 ∼ 90 N/㎝ 가 보다 바람직하며, 16 ∼ 85 N/㎝ 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불소 수지층이 잘 박리되지 않는다.15-100 N/cm is preferable, as for the peeling strength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base material, 16-90 N/cm is more preferable, 16-85 N/cm is especially preferable. When the peeling strength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adhesion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is excellent, and the fluororesin layer is not easily peeled off.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스테인리스제의 기재와, 상기 기재 표면에 형성된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이다. 불소 수지층은 중합체 A' 를 90 질량% 이상 함유하고, 탑코트층은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는 50 ㎛ 이상이고,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는 14 N/㎝ 이상이다.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comprising a stainless steel substrate, and a fluororesin layer and a top coat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fluororesin layer contains 90 mass % or more of the polymer A', and the top coat layer contains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mer A'.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is 50 µm or more, and the peel strength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is 14 N/cm or more.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는, 상기 중합체 B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TFE/PAVE 공중합체 및 TFE/HFP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is the said polymer B, and among these, a TFE/PAVE copolymer and a TFE/HFP copolymer are especially preferable.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laminate of the 5th aspect of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는, 제 4 에 실시양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5 ∼ 100 N/㎝ 가 바람직하고, 16 ∼ 90 N/㎝ 가 보다 바람직하며, 16 ∼ 85 N/㎝ 가 특히 바람직하다.As for the peeling strength of a fluororesin layer and a base material, 15-100 N/cm is preferable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4th embodiment, 16-90 N/cm is more preferable, 16-85 N/cm is especially preferable. Do.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 1, 2, 8 은 실시예이고, 예 3 ∼ 7 은 비교예이다.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is invention concretel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Examples 1, 2, and 8 are Examples, and Examples 3 to 7 are comparative examples.

[측정 방법][How to measure]

함불소 공중합체 및 수지 파우더에 대한 각종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Various measurement methods for the fluorinated copolymer and resin powder are shown below.

(1) 공중합 조성(1) copolymer composition

함불소 공중합체의 공중합 조성 중, NAH 에 기초하는 단위의 비율 (몰%) 은, 이하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구하였다. 그 밖의 단위의 비율은, 용융 NMR 분석 및 불소 함유량 분석에 의해 구하였다.The proportion (mol%) of units based on NAH in the copolymer composition of the fluorinated copolymer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analysis. The ratio of other units was calculated|required by melt|dissolution NMR analysis and fluorine content analysis.

<NAH 에 기초하는 단위의 비율 (몰%)><Ratio of units based on NAH (mol%)>

함불소 공중합체를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200 ㎛ 의 필름을 얻은 후, 적외 분광법에 의해 분석하여 적외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적외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함불소 공중합체 내의 NAH 에 기초하는 단위에 있어서의 흡수 피크는 1778 ㎝-1 에 나타난다. 그 흡수 피크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NAH 의 몰 흡광 계수 20810 mol-1·l·㎝-1 을 사용하여, 함불소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NAH 에 기초하는 단위의 비율을 구하였다.The fluorinated copolymer was press-molded to obtain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0 µm, and then analyzed by infrared spectroscopy to obtain an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In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the absorption peak in the unit based on NAH in the fluorinated copolymer appears at 1778 cm -1 . The absorbance of the absorption peak was measured, and the ratio of units based on NAH in the fluorinated copolymer was determined using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20810 mol -1 ·l·cm -1 of NAH.

(2) 융점 (℃)(2) Melting point (℃)

세이코 전자사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장치) 를 사용하여, 함불소 공중합체를 10 ℃/분의 속도로 승온시켰을 때의 융해 피크를 기록하고, 극대치에 대응하는 온도 (℃) 를 융점 (Tm) 으로 하였다.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device) manufactured by Seiko Electronics Co., Ltd., the melting peak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luorinated copolymer was raised at a rate of 10° C./min was recorded, and the temperature (° C.) corresponding to the local maximum was determined as the melting point (Tm) ) was set.

(3) MFR (g/10 분)(3) MFR (g/10 min)

데크노세븐사 제조의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372 ℃, 49 N 하중 하에서, 직경 2 ㎜, 길이 8 ㎜ 의 노즐로부터 10 분 동안 (단위 시간) 에 유출되는 함불소 공중합체의 질량 (g) 을 측정하여 MFR 로 하였다.Using a melt indexer manufactured by Decno Seven, the mass (g) of the fluorinated copolymer flowing out from a nozzle having a diameter of 2 mm and a length of 8 mm for 10 minutes (unit time) under a load of 372° C. and 49 N was measured It was measured and it was set as MFR.

(4) 함불소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4) Average particle size of fluorinated copolymer

2.000 메시 체 (메시 2.400 ㎜), 1.410 메시 체 (메시 1.705 ㎜), 1.000 메시 체 (메시 1.205 ㎜), 0.710 메시 체 (메시 0.855 ㎜), 0.500 메시 체 (메시 0.605 ㎜), 0.250 메시 체 (메시 0.375 ㎜), 0.149 메시 체 (메시 0.100 ㎜), 및 받침 접시를 이 순서로 위에서부터 겹쳤다. 그 위에서부터 시료 (함불소 공중합체) 를 넣고, 30 분 동안 진탕기에서 체 분별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각 체 위에 남은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각 메시치에 대한 통과 질량의 누계를 그래프에 나타내어, 통과 질량의 누계가 50 % 일 때의 입경을 시료의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2.000 mesh sieve (mesh 2.400 mm), 1.410 mesh sieve (mesh 1.705 mm), 1.000 mesh sieve (mesh 1.205 mm), 0.710 mesh sieve (mesh 0.855 mm), 0.500 mesh sieve (mesh 0.605 mm), 0.250 mesh sieve (mesh) 0.375 mm), 0.149 mesh sieve (mesh 0.100 mm), and a saucer were stacked in this order from above. A sample (fluorinated copolymer) was placed thereon, and sieving was performed on a shaker for 30 minutes. Thereafter, the mass of the sample remaining on each sieve was measured, the cumulative passing mass for each mesh value was plotted on the graph, and the particle size when the cumulative passing mass was 50% was taken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mple.

(5) 수지 파우더의 평균 입경의 측정(5) Measurement of average particle size of resin powder

호리바 제작소사 제조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LA-920 측정기) 를 사용하여, 수지 파우더를 수중에 분산시키고, 입도 분포를 측정하여, 평균 입경을 산출하였다.The resin powder was dispersed in water using a laser diffraction/scatt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LA-920 measu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Horiba Corporation,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average particle size.

(6) 소 (疏) 충전 부피 밀도 및 밀 (密) 충전 부피 밀도(6) Small packing bulk density and wheat packing bulk density

수지 파우더의 소충전 부피 밀도, 밀충전 부피 밀도는, 국제 공개 제2016/017801호의 [0117], [0118] 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small packing bulk density and tight packing bulk density of the resin powder were measured using the method described in [0117] and [0118]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17801.

(7) 박리 강도(7) Peel strength

각 예의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측의 표면에,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10 ㎜ 간격의 절입을 넣고, 불소 수지층의 일부를 박리한 후, 인장 시험기의 척에 고정시켜, 인장 속도 50 ㎜/분으로 90 도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 (N/㎝) 를 측정하였다.The surface of the laminate of each example on the fluororesin layer side was cut at intervals of 10 mm using a cutter knife, a part of the fluororesin layer was peeled off, and then fixed to the chuck of a tensile testing machine, and the tensile rate was 50 mm/min. The peel strength (N/cm) at the time of peeling by 90 degree|times was measured.

(8) 외관 평가(8) Appearance evaluation

각 예의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측의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The surface of the fluororesin layer side of the laminated body of each case was confirmed visually, and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evaluated it.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 : 불소 수지층에 발포 및 크랙이 보이지 않는다.○: Foaming and cracking are not seen in the fluororesin layer.

× : 불소 수지층에 발포 또는 크랙이 보인다.x: Foaming or cracking is seen in the fluororesin layer.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단위 (1) 을 형성하는 단량체로서 NAH (무수 하이믹산, 히타치 화성사 제조) 를, PAVE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로서 PPVE (CF2=CFO(CF2)3F, 아사히 유리사 제조) 를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2016/017801호의 [0123] 에 기재된 순서로 중합체 A1 을 제조하였다.Using NAH (hymic anhydride, manufactured by Hitachi Chemical Co., Ltd.) as a monomer forming the unit (1) and PPVE (CF 2 =CFO(CF 2 ) 3 F,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mpany) as a monomer forming the PAVE unit , Polymer A 1 was prepared in the order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17801 [0123].

제조한 중합체 A1 의 공중합 조성은, NAH 단위/TFE 단위/PPVE 단위 = 0.1/97.9/2.0 (몰%) 였다. 제조한 중합체 A1 의 융점은 300 ℃ 이고, MFR 은 17.6 g/10 분이며, 평균 입경은 1554 ㎛ 였다.The copolymer composition of the prepared polymer A 1 was NAH unit/TFE unit/PPVE unit = 0.1/97.9/2.0 (mol%). The prepared polymer A 1 had a melting point of 300°C, an MFR of 17.6 g/10 min,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54 µm.

이어서, 제조한 중합체 A1 을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2016/017801호의 [0123] 에 기재된 순서로 수지 파우더 (제조한 수지 파우더를 이하, 「파우더 a」라고 한다) 를 얻었다. 파우더 a 의 평균 입경은 22.08 ㎛ 이고, 소충전 부피 밀도는 0.513 g/㎖ 이며, 밀충전 부피 밀도는 0.686 g/㎖ 였다.Next, using the prepared polymer A1, a resin powder (the produced resin powder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wder a") was obtained in the procedure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1780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wder a was 22.08 m, the small packing bulk density was 0.513 g/ml, and the tightly packing bulk density was 0.686 g/ml.

단위 (1) 을 함유하지 않는 함불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파우더로서, 관능기 (i) 를 갖지 않는 PFA 로 이루어지는 수지 파우더 (듀퐁사 제조, 상품명 「MP-102」) 를 준비하였다. 이하, 이 수지 파우더를 「파우더 b」라고 한다. 파우더 b 의 평균 입경은 14.03 ㎛ 이고, 소충전 부피 밀도는 0.8109 g/㎖ 이며, 밀충전 부피 밀도는 1.1351 g/㎖ 였다.As a resin powder made of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no unit (1), a resin powder made of PFA having no functional group (i) (manufactured by DuPont, trade name “MP-102”) was prepared. Hereinafter, this resin powder is called "powder b".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wder b was 14.03 m, the small packed bulk density was 0.8109 g/ml, and the tightly packed bulk density was 1.1351 g/ml.

[예 1][Example 1]

세로 40 ㎜, 가로 150 ㎜, 두께 1.2 ㎜ 의 SUS304 스테인리스 강판의 표면을, 60 메시의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하여, 표면 조도 Ra 가 5 ∼ 10 ㎛ 가 되도록 샌드 블라스트 처리한 후, 에탄올로 표면을 청정화하여, 기재를 제조하였다.The surface of a SUS304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a length of 40 mm, a width of 150 mm, and a thickness of 1.2 mm is sandblasted using 60 mesh alumina particles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is 5 to 10 µm, and then the surface is cleaned with ethanol , the substrate was prepared.

제조예 1 에서 얻은 파우더 a 로 이루어지는 분체 도료를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50 ℃, 소성 시간 4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5 회 반복하고, 추가로 상기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50 ℃, 소성 시간 6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1 회 실시하여, 기재 상에 두께 314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mposed of the powder a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50° C. and a firing time of 4 minutes is repeated 5 times, and further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to a firing temperature The operation of baking at 350 degreeC and 6 minutes of baking time was performed once, and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314-micrometer-thick fluororesin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was obtained.

[예 2][Example 2]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70 ℃, 소성 시간 3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두께 282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peated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was changed to an operation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nd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70° C. and a firing time of 3 minutes 6 times, A laminate with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82 µm was obtained.

[예 3][Example 3]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3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두께 252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peated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was changed to an operation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nd fir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t a firing temperature of 330 ° C. and a firing time of 10 minutes 6 times. A laminate with a 252 µm-thick fluororesin layer was obtained.

[예 4][Example 4]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4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두께 321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peated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was changed to an operation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nd fir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t a firing temperature of 340° C. and a firing time of 10 minutes 6 times, and A laminate with a 321 µm-thick fluororesin layer was obtained.

[예 5][Example 5]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8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에는 발포가 보이고, 막 두께 및 박리 강도는 측정 불가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peated operation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was changed to an operation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nd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80 ° C. and a firing time of 10 minutes 6 times, A laminate with a fluororesin layer was obtained. Foaming was observed in the fluororesin layer of the obtained laminated body, and the film thickness and peeling strength were impossible to measure.

[예 6][Example 6]

분체 도료로서 파우더 b 로 이루어지는 분체 도료를 사용하고,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4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두께 177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Us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made of powder b as a powder coating material, repeated operations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electrostatic coating of powder coating materials,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40 ° C. and firing time of 10 minutes was changed to an operation repeated 6 times. Except that,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177-micrometer-thick fluororesin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예 7][Example 7]

분체 도료로서 파우더 b 로 이루어지는 분체 도료를 사용하고, 정전 도장 및 소성의 반복 조작을, 분체 도료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6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6 회 반복하는 조작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 상에 두께 139 ㎛ 의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Us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made of powder b as a powder coating material, repeated operations of electrostatic coating and firing, electrostatic coating of powder coating material,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60 ° C. and firing time of 10 minutes was changed to an operation repeated 6 times. Except that,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139-micrometer-thick fluororesin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각 예의 제조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evaluation results of each example.

Figure 112019010438673-pct00001
Figure 112019010438673-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예 1, 2 의 적층체는, 발포나 크랙에 의한 외관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고, 또 박리 강도가 높고,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우수하였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laminates of Examples 1 and 2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ioration in appearance due to foaming or cracking is suppressed, and peel strength is high,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is high. This was excellent.

한편, 소성 온도가 350 ℃ 미만인 예 3, 4 의 적층체는, 예 1, 2 의 적층체에 비해 박리 강도가 낮고,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뒤떨어졌다. 소성 온도가 380 ℃ 이상인 예 5 에서는, 불소 수지층에 발포가 보여, 외관이 뒤떨어졌다. 단위 (1) 을 함유하지 않는 함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파우더를 사용한 예 6, 7 의 적층체는, 예 1, 2 의 적층체에 비해 박리 강도가 낮고, 불소 수지층과 기재의 밀착성이 뒤떨어졌다.On the other hand, the laminates of Examples 3 and 4 in which the firing temperature was less than 350°C had lower peel strength than the laminates of Examples 1 and 2,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was inferior. In Example 5 where the firing temperature was 380°C or higher, foaming was seen i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appearance was inferior. The laminates of Examples 6 and 7 using the resin powder made of a fluorinated polymer containing no unit (1) had lower peel strength than the laminates of Examples 1 and 2,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substrate was inferior. .

[예 8][Example 8]

예 1 과 동일하게 기재를 제조하였다.A substr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제조예 1 에서 얻은 파우더 a 로 이루어지는 분체 도료를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3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반복하였다. 또한 P-62X (아사히 유리사 제조 관능기 (i) 를 갖지 않는 PFA. 평균 입경 233 ㎛) 를 정전 도장하여 소성 온도 330 ℃, 소성 시간 10 분으로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실시하여, 기재 상에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232 ㎛ 가 되는 적층체를 얻었다.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mposed of the powder a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iring at a firing temperature of 330° C. and a firing time of 10 minutes was repeated twice. Further, P-62X (PFA having no functional group (i),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 Ltd., PF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33 µm) was electrostatically coated and calcined at a calcination temperature of 330°C and a calcination time of 10 minutes, twice, and fluorine on the substrate A laminate was obtained in which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was 232 µm.

얻어진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강도는 17.1 [N/㎝] 로 밀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에 발포 및 크랙이 보이지 않아 외관도 우수하였다.The peel strength betwee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of the obtained laminate was 17.1 [N/cm], which was excellent in adhesiveness, and foaming and cracking were not observed in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and thus the appearance was also excellent.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적층체의 형상이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체의 형상으로는, 파이프, 튜브, 필름, 판, 탱크, 롤, 베슬, 밸브, 엘보 등을 들 수 있다.The shape and use of the laminat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 shape of a laminated body, a pipe, a tube, a film, a board, a tank, a roll, a vessel, a valve, an elbow, etc. are mentioned.

적층체의 용도로는, 각종의 용기, 파이프, 튜브, 탱크, 배관, 조인트, 롤, 오토클레이브, 열 교환기, 증류탑, 지그류, 밸브, 교반 날개, 탱크로리, 펌프, 블로어의 케이싱, 원심 분리기, 조리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는, 공간 절약이면서 우수한 절연성을 갖는 점에서, 절연 증폭기, 절연 트랜스, 자동차의 얼터네이터, 하이브리드차의 전동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use of the laminate includes various containers, pipes, tubes, tanks, piping, joints, rolls, autoclaves, heat exchangers, distillation columns, jigs, valves, stirring blades, tank lorries, pumps, blower casings, centrifugal separators, A cooking appliance etc. are mentioned. Moreover, since the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has the space-saving and excellent insulation, it can be used suitably for an insulation amplifier, an insulation transformer, an alternator of an automobile, the electric motor of a hybrid vehicle, etc.

또한, 2016년 10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201101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l the content of the specification of JP Patent application 2016-201101 for which it applied on October 12, 2016, a claim, and an abstract is referred here, and it takes in as an indica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is invention.

Claims (15)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기재 표면에 두께가 50 ㎛ 이상인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
소성 온도를 35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을 60 분 이하로 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
중합체 A :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융점이 260 ∼ 320 ℃ 인, 함불소 공중합체.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comprising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wherein the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the base material and firing the powder coating material is repeated two or more times to form a fluoro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s,
The powder coating material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containing the following polymer A,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laminated body which sets a calcination temperature to 350 degreeC or more and less than 380 degreeC, and sets the total time to set to the said calcination temperature into 60 minutes or less.
Polymer A: a fluorine-containing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containing a unit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melting point of 260 to 320°C co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the polymer A is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a unit having the functional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the polymer A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층의 두께를 100 ㎛ 이상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which makes the thickness of the said fluororesin layer 100 micrometers or mo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스테인리스제 기재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whose said base material is a stainless steel base materi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적층체의 불소 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A laminate is produced by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d a top coat layer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mer 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uororesin layer of the obtained lamin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to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트층을,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파우더를 사용한 분체 도장에 의해 형성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the top coat layer is formed by powder coating using a resin powder containing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가,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aminate, wherein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manufacturing method.
분체 도료를 기재에 정전 도장하여 소성하는 조작을 2 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기재 표면에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불소 수지층 위에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와 불소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불소 수지층과 탑코트층의 두께의 합계가 50 ㎛ 이상이고,
상기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
상기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분체 도료는, 하기 중합체 A 와는 상이한 제 2 함불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평균 입경 10 ∼ 500 ㎛ 의 수지 파우더를 함유하고,
불소 수지층 및 탑코트층을 형성할 때의 소성 온도를, 각각 330 ℃ 이상 38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소성 온도에 두는 합계 시간을 각각 60 분 이하로 하는,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
중합체 A : 카르보닐기 함유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관능기를 갖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단위를 함유하는, 융점이 260 ∼ 320 ℃ 인, 함불소 공중합체.
A base material and a fluororesi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by repeating an operation of electrostatically coating a powder coating material on a base material and firing it twice or more, a fluoro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a top coat layer is formed on the fluororesin layer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provided with,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is 50 μm or more,
The powder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containing the following polymer A,
The powder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he top coat layer contains a resin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500 µm and containing a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different from the following polymer A;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minate, wherein the firing temperatures for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top coat layer are respectively 330°C or higher and less than 380°C, and the total time at the firing temperature is 60 minutes or less, respectively.
Polymer A: a fluorine-containing group having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nyl group-containing group, a hydroxyl group, an epoxy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and containing a unit based on tetrafluoroethylene, melting point of 260 to 320°C copolym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단위를 함유하는 함불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the polymer A is a fluorinated copolymer containing a unit having the functional group.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가,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erein the polymer A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함불소 공중합체가,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상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laminate, wherein the second fluorinated copolymer is a 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 vinyl ether)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or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02944A 2016-10-12 2017-10-11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910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1101 2016-10-12
JPJP-P-2016-201101 2016-10-12
PCT/JP2017/036859 WO2018070437A1 (en) 2016-10-12 2017-10-11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515A KR20190068515A (en) 2019-06-18
KR102391046B1 true KR102391046B1 (en) 2022-04-26

Family

ID=6190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944A KR102391046B1 (en) 2016-10-12 2017-10-11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19661B2 (en)
KR (1) KR102391046B1 (en)
CN (1) CN109789443B (en)
TW (1) TWI739921B (en)
WO (1) WO201807043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4847A1 (en) * 2018-06-21 2019-12-26 Agc株式会社 Liquid composition, layered body, heat exchanger and production method for corrosion-resistant cover film
JP6785517B2 (en) * 2018-06-26 2020-11-18 日本フッソ工業株式会社 A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a liquid coating composition for baking containing a fluororesin, a coating film and a coating body containing the powder coating composition or a liquid coating composition for baking.
KR20210022533A (en) * 2018-06-27 2021-03-03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Metal foil with resin
KR20220032567A (en) * 2019-07-10 2022-03-15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Long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long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long laminate, and long laminate
WO2021125049A1 (en) * 2019-12-18 2021-06-24 Agc株式会社 Coated substrate, heat exchanger, coated substrate production method, and liquid composition
JPWO2021132479A1 (en) * 2019-12-27 2021-07-01
CN115088126A (en) * 2020-02-28 2022-09-20 Agc株式会社 Coat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5702221A (en) * 2020-06-22 2023-02-14 Agc株式会社 Powder coating composition and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6662B2 (en) * 1988-06-04 1997-08-2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Coating method of cement base material
AU629256B2 (en) * 1988-11-09 1992-10-01 Sharp Kabushiki Kaisha Film for high temperature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JPH09157578A (en) * 1995-12-08 1997-06-17 Daikin Ind Ltd Fluorine-containing material for co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coating object therewith
JP2000062105A (en) * 1998-08-24 2000-02-29 Daikin Ind Ltd Structure having transparent layer composed of fluorinecontaining polymer and reflecting sheet using it
WO2004018201A1 (en) * 2002-08-21 2004-03-04 Daikin Industries, Ltd. Fluororesin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5176375B2 (en) * 2007-04-12 2013-04-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queous dispersion and aqueous dispersion
WO2011048965A1 (en) 2009-10-22 2011-04-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coated article, and coated article
EP2551308B1 (en) * 2010-03-25 2016-08-03 Nippon Fusso CO., LTD.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using the same, and coated body using the same
US9944817B2 (en) * 2012-03-26 2018-04-17 Daikin Industries, Ltd. Composite particles, coating powder, coating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particles
TWI690582B (en) * 2013-11-29 2020-04-11 日商Agc股份有限公司 Then the film and flexible metal laminate
WO2016017801A1 (en) * 2014-08-01 2016-02-04 旭硝子株式会社 Resin powder, method for producing same, complex, molded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molded article, metal laminated plate, print substrate, and prepr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70437A1 (en) 2019-08-08
CN109789443B (en) 2022-05-03
KR20190068515A (en) 2019-06-18
TW201821558A (en) 2018-06-16
CN109789443A (en) 2019-05-21
WO2018070437A1 (en) 2018-04-19
TWI739921B (en) 2021-09-21
JP6919661B2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046B1 (en) Lamin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69624B1 (en) Method for producing coated article, and coated article
US20070281166A1 (en) Fluoropolymer mold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JP6819717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article
JP6330447B2 (en)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CN110352218B (en)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JP6206492B2 (en) Heat-resistant wire cover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wire
US20230104482A1 (en) Powder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laminate
JP4254536B2 (en) Fluorine-containing paint composition, coating film and painted product
CN111372976B (en) Powder, powder co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JP6838636B2 (en) Compositions and coatings
EP2069444B1 (en)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release life of the same
WO2021118919A1 (en) Fluorinated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