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906B1 -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906B1
KR102390906B1 KR1020197028469A KR20197028469A KR102390906B1 KR 102390906 B1 KR102390906 B1 KR 102390906B1 KR 1020197028469 A KR1020197028469 A KR 1020197028469A KR 20197028469 A KR20197028469 A KR 20197028469A KR 102390906 B1 KR102390906 B1 KR 10239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wireless charging
module
power receiving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891A (ko
Inventor
야쥔 판
수쥔 웨이
지엔 빠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제1 기능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수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 제2 기능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하고, 제1 기능 모듈과 제2 기능 모듈 사이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한다.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하고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원거리 무선 충전을 실현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수전 장치의 제1 기능 모듈을 설치하여 무선 수전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910325192.6이고, 출원일이 2019년 04월 22일 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受電)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은 휴대 전화,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다양한 이동 단말의 충전 과정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이 제공된다.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코일을 포함하고, 무선 수전 장치에는 수전 코일 및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무선 충전을 진행할 경우, 무선 충전 과정이 전자 유도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거리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무선 충전 장치의 유연성이 낮을 경우, 무선 수전 장치의 유연성도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의 유연성이 낮을 경우 무선 수전 장치의 유연성도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RF)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제1 기능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 제2 기능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급전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기능 세트에서의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능 모듈과 상기 제2 기능 모듈 사이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및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연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표시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기능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시킨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센서 유닛, 이미지 수집 유닛유닛, 스피커 유닛, 오디오 수집 유닛유닛, 네트워크 통신 유닛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이미지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재생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수집 유닛은유닛은 상기 오디오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 유닛은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센서 유닛을 포함할 경우, 중력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거리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을 포함할 경우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사이는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상기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더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무선 충전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가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손목을 감싸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제1 기능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연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한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센서 유닛, 이미지 수집 유닛, 스피커 유닛, 오디오 수집 유닛, 네트워크 통신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이미지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재생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수집 유닛은 상기 오디오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을 포함할 경우,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표시 신호는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손목을 감싸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에 의하면, 무선 수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 제2 기능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급전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더 받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기능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무선 충전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더 급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장착 방법은, 상기 무선 수전 장치가 상기 착용 장치로서 실현될 경우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모듈을 설치하고 무선 수전 장치에 무선 수전 모듈을 설치하며,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원거리 무선 충전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수전 장치의 제1 기능 모듈을 설치하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기능 모듈과 제2 기능 모듈 사이의 상호 작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무선 수전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면서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수전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제1 기능 모듈의 제어를 나타내는 상호 작용의 과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수전 장치의 물리적 버튼에 의한 제1 기능 모듈의 제어를 나타내는 상호 작용의 과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기능 모듈에 따라 무선 수전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확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호 작용의 과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기능 모듈의 기능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미지 수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관련 기술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기능 모듈을 나타내는 분포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형태로 장착되었을 때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중의 일 예는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을 설명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 혹은 유사한 요소를 의미한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법은,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 방법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몇가지 양태와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일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시스템(100)의 구조 블록도이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10) 및 무선 수전 장치(120)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10)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111), 제1 기능 모듈(112), 제1 통신 모듈(113)을 포함한다. 무선 수전 장치(120)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121), 제2 기능 모듈(122), 제2 통신 모듈(12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0)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능 모듈(112)은 제1 통신 모듈(113)에 연결되어 있다. 무선 수전 장치(120)에 있어서, 제2 통신 모듈(123)가 제2 기능 모듈(122)에 연결되어 있다.
우선,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의 무선 충전 모듈(111)과 무선 수전 장치(120)의 무선 수전 모듈(121)을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모듈(111)은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120)에 급전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수전 모듈(121)은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로부터의 급전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와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 사이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기술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의 전송을 진행한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는 공간에 방사되는 전자기 주파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 주파수는 고주파 교류 변화의 전자파, 즉 무선 주파수 전류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수전 모듈(121)은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로부터의 급전을 수신한 후, 무선 수전 장치(120)의 작동에 급전한다. 예를 들어, 무선 수전 모듈(121)은 무선 수전 장치(120)의 제2 기능 모듈(122) 및 제2 통신 모듈(123)의 작동에 급전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0)는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에 급전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를 통하여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무선 수전 장치(120)에 공급한다. 또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배터리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에 급전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를 통하여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무선 수전 장치(120)에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무선 수전 장치(120)에 급전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와 무선 수전 장치(120)는 전원과 분리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 및 무선 수전 장치(120)는 1 세트의 이동 단말 장치로서 실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0)와 무선 수전 장치(120)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의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에 의해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110)와 무선 충전 장치(120) 사이가 접착되어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8 미터와 같은 중거리장에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 미터와 같은 먼거리장에서 무선 충전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먼거리장에서의 무선 주파수 전력은 높고, 중거리장에서의 무선 주파수 전력이 낮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112) 및 제2 기능 모듈(122)을 설명한다.
제1 기능 모듈(112)은 기능 세트의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기능 모듈(122)은 기능 세트의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능 서브 세트 및 상기 제2 기능 서브 세트에는 교집되어 있는 기능 항목들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기능 항목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 기능 모듈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과 제1 기능 모듈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완전히 부동할 수 있거나, 상기 제2 기능 모듈이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기능 항목의 일부분을 실현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능 세트에는 센서 기능,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 기능은 센서 유닛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센서 유닛은 중력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거리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유닛의 센서는 모두 제1 기능 모듈(112) 또는 제2 기능 모듈(122)에서 실현될 수 있고, 이의 일부분이 제1 기능 모듈(112)에서 실현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분이 제2 기능 모듈(122)에서 실현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기능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표시 기능은 제1 기능 모듈(112)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제2 기능 모듈(122)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제1 기능 모듈(112) 및 제2 기능 모듈(122)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기능의 실현 형태를 결합하여 설명하면, 상기 표시 기능이 디스플레이에 의해 실현될 경우,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는 제1 디스플레이가 포함되고, 및/또는 제2 기능 모듈(122)에는 제2 디스플레이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지 수집 기능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 수집 기능은, 이미지 수집 유닛(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카메라는 무선 충전 장치(110)에 배치될 수 있고, 즉, 상기 카메라가 제1 기능 모듈(112)에 포함된다. 상기 카메라는 무선 수전 장치(120)에 배치 될 수 있고, 즉, 상기 카메라가 제2 기능 모듈(122)에 포함된다. 제1 기능 모듈(112)에는 제1 카메라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제2 기능 모듈(122)에는 제2 카메라가 더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메라가 하나의 카메라 소자로서 실현될 수 있고, 1 세트의 카메라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모식적으로, 전화 통신 기능이 제 기능 모듈(112)에서의 전화 통신 유닛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제2 기능 모듈(122)에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100)에 의해 착신 이벤트가 수신되었을 경우, 무선 수전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화 알림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알림을 확인하고 착신한 후, 착신 신호가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제1 통신 모듈(113)에 송신된다. 전화 통신 유닛은, 착신 신호에 근거하여 전화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수집 유닛의 음성 수집 기능을 온(ON)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능 모듈(112)rhk 제2 기능 모듈(122) 사이는, 제1 통신 모듈(113) 및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하여 통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100)은 연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충전 장치(110)에서 실현될 수 있지만, 무선 수전 장치(120)에서 실현 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10)에는 제1 프로세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무선 수전 장치(120)에는 제2 프로세서가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가 무선 충전 장치(110)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의 기능은 상기 프로세서의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고; 제2 기능 모듈(122)의 기능은 프로세서에 의해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고, 제1 통신 모듈(113)에 의하여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된 후,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해 수신된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가 무선 수전 장치(120)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의 기능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고,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하여 제1 통신 모듈(113)에 송신된 후,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고; 제2 기능 모듈(122)의 기능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트리거 신호가 생성된 후 실현될 수 있다. 혹은, 무선 충전 장치(110)에 제1 프로세서가 설치되고 무선 수전 장치(120)에 제2 프로세서가 설치되었을 경우, 제1 기능 모듈(112)의 기능은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 또는 수신된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고; 제2 기능 모듈(122)의 기능은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 또는 수신된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능 모듈(112)과 제2 기능 모듈(122) 사이에 기능의 상호 작용이 존재할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인터랙티브 신호가 생성된 후, 제1 통신 모듈(113)과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하여 상호 통신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10)는 상기 프로세서(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122)은 상기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5)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은 프로세서(114)에 의해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4)는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5)는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해 수신되는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수전 장치(120)는 상기 무선 수전 모듈(121), 디스플레이(125), 제2 통신 모듈(123)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 의해 수신된 프로세서(114)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는, 프로세서(114)가 무선 수전 장치(120)에 의해 수신된 트리거 동작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트리거 신호일 수 있고, 프로세서(114)가 무선 충전 장치(110)에 의해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트리거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의 상황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제1 상황으로서, 무선 수전 장치(120)의 디스플레이(125)는 터치 기능이 가지고 있고 터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125)는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터치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13)에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110)의 프로세서(114)는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제1 기능 모듈(112)에 송신한다.
모식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은 스피커 유닛(31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5)에는 음악 재생 인터페이스(320)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25)는 터치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터치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제1 통신 모듈(113)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신호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125) 상의 터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다. 프로세서(114)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터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이 재생 컨트롤(321)임을 확정한다. 프로세서(114)는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재생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음악 재생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기 재생 트리거 신호를 스피커 유닛에 송신한다.
제2 상황으로 무선 수전 장치(120)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물리적 버튼에 위치되는 조작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해 상기 조작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13)로 전송한다. 무선 충전 장치(110)의 프로세서(114)는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해 수신된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제1 기능 모듈(112)에 전송한다.
모식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은 이미지 수집 유닛(411)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수전 장치(120)는 잠금 화면 버튼(410)을 포함한다. 무선 수전 장치(120)는, 잠금 화면 상태로 되고 상기 잠금 화면 버튼(410)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하여 상기 조작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13)에 송신한다. 프로세서(114)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13) 을 통해 수신된 조작 신호에 근거하여 이미지 수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수집 신호를 이미지 수집 유닛(411)에 송신하여 이미지의 수집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411)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는,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120)의 애플리케이션을 해제한다. 즉,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모듈을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물리적 버튼이 무선 수전 장치(120)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설명했지만,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버튼은 무선 충전 장치(110)에 위치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에서 직접 작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기능 모듈(112)의 작동을 제어 할 수 있다.
제3 상황으로서, 무선 충전 장치(110)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4)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의해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에 근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제1 기능 모듈(112)에 송신한다.
모식적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는 스피커 유닛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에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알림 메시지가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었을 경우, 프로세서(114)는 상기 통지 메시지에 근거하여 오디오 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오디오 제시 신호를 스피커 유닛에 전송하므로써, 제시 음을 재생한다.
제4 상황으로서, 무선 충전 장치(110)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에 의해 타이밍되고, 타이밍된 시간에 도달하였을 경우, 타이머가 자동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프로세서(114)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제1 기능 모듈(112)에 송신한다.
모식적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 스피커 유닛이 포함되어 있고, 무선 충전 장치(110)에 타이머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머에 제1 시간이 설정되고 무선 충전 장치(110)의 시계의 시간이 상기 제1 시간에 도달하였을 경우, 타이머에 의해 자동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프로세서(114)에 송신한 후, 프로세서(114)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스피커 유닛에 송신함으로써 스피커 유닛에 의해 제시 음의 재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5)는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신호는 무선 충전 장치(110)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무선 충전 장치(110)에서 제1 기능 모듈(112)의 동작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110)의 네트워크 통신 모듈이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상황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제1 상황으로서, 무선 충전 장치(110)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에 의해 타이밍되고, 타이밍된 시간에 도달하였을 경우, 타이머가자동적으로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신호를 프로세서(114)에 송신한 후, 프로세서(114)가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한다.
모식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10)에 타이머(510)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타이머(510)에 제1 시간이 설정되고 무선 충전 장치(110)의 시계의 시간이 상기 제1 시간에 도달하였을 경우, 타이머(510)에 의해 자동적으로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신호를 프로세서(114)에 송신한 후, 프로세서(114)가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상기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하며, 그 후 무선 수전 장치(120)의 디스플레이(125)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23)에 의해 수신된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알람 시계의 인터페이스(520)를 표시한다.
제2 상황으로서, 제1 기능 모듈(112)이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한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14)에 송신고, 그 후 프로세서(114)는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한다.
제3 상황으로서, 무선 충전 장치(110)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4)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에 의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 신호를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표시 인터페이스는, 제1 통신 모듈(113)과 제2 통신 모듈(123) 사이의 통신에 의해 디스플레이(125)에 표시된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111)과 무선 수전 모듈(121) 사이의 급전 과정 또는 무선 충전 과정은, 상기 제1 통신 모듈(113)과 제2 통신 모듈(123) 사이의 통신 과정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면,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모듈을 설치하고 무선 수전 장치에 무선 수전 모듈을 설치하며,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원거리 무선 충전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수전 장치의 제1 기능 모듈을 설치하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기능 모듈과 제2 기능 모듈 사이의 상호 작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무선 수전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듈(113)과 제2 통신 모듈(123) 사이는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Ultra Wideband, UWB)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듈(113)과 제2 통신 모듈(123) 사이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은 센서 유닛(610), 이미지 수집 유닛(620), 스피커 유닛(630) 및 오디오 수집 유닛(640)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유닛은, 제1 기능 모듈(112)이 상기 센서 유닛(610)을 포함할 경우, 중력 센서(611), 온도 센서(612), 광 센서(613), 거리 센서(614) 및 가속도 센서(615)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 포함되는 기능 유닛은 단순히 모식적인 일 예에 불과하다.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은 다른 기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의 모든 기능 유닛이 상기 제1 기능 모듈(112)에 의해 실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620)은, 제1 기능 모듈(112)에 이미지 수집 유닛(620)가 포함될 경우,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프로세서(114)에 송신한다. 프로세서(114)는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123)에 송신한다. 디스플레이(125)는 제2 통신 모듈(123)을 통해 수신된 상기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목표 이미지를 표시한다.
모식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미지 수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이미지 수집 방법은 도 1과 같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되며, 제1 기능 모듈(112)이 이미지 수집 유닛(620)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 수집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01에 있어서, 무선 수전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기능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능 선택 인터페이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제공하는 표시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일 수도 좋다. 선택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실시간 통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금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식적으로, 상기 기능 선택 인터페이스는 실시간 통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기능 선택 인터페이스는 촬영 기능에 대응되는 촬영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다.
단계 70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신호는 상기 촬영 컨트롤 상에 작용되는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 신호는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 좌표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70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터치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통신 모듈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UWB 통신 방식으로 터치 신호를 제1 통신 모듈에 송신한다.
단계 704에 있어서, 제1 통신 모듈은 터치 신호를 프로세서에 송신한다.
단계 705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이 촬영 컨트롤인 것을 확정하고, 촬영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터치 좌표 및 디스플레이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인터페이스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이 촬영 컨트롤인 것을 확정한다.
단계 706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촬영 트리거 신호를 이미지 수집 유닛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이 촬영 컨트롤인 것을 확정한 후, 상기 촬영 컨트롤에 해당하는 제1 기능 모듈이 이미지 수집 유닛인 것을 확인하고, 촬영 트리거 신호를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에 송신한다.
단계 707에 있어서, 이미지 수집 유닛은 촬영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이미지 수집하고, 목표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이미지는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고, 여러 장의 사진으로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일 수도 좋다.
단계 708에 있어서, 이미지 수집 유닛은 목표 이미지 프로세서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목표 이미지 및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자 하는 다른 내용에 근거하여 조합하고, 디스플레이에서의 상기 목표 이미지의 표시 방식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를 포함한다. 여기서, CPU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에 대하여 연산하고, GPU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에 대하여 렌더링한다.
단계 709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 신호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변환된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710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표시 신호를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한다.
단계 711에 있어서, 제2 통신 모듈은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송신한다.
단계 71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이미지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에는 상기 목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은 예를 들어, 촬영 파라미터, 촬영 셋팅 등의 다른 내용이 더 포함된다.
도 7에 도시한 이미지 수집 방법은, 단순히 제1 기능 모듈(112)에 이미지 수집 유닛(62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620)은 제1 기능 모듈(112)에 다른 기능 유닛이 포함되 어 있을 경우, 다른 기능 유닛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62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제 기능 모듈(112)의 실제의 기능 유닛에 따라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620)은 하나의 카메라로서 실현될 수 있고,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로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11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루투스 유닛(811), 생체 식별 유닛(812), 충전 관리 유닛(813), 빔 형성 관리 유닛(814) 및 파워 앰프(8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 수전 모듈(121)은 제2 블루투스 유닛(821)과 수전 관리 유닛(82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생체 식별 유닛(812)은 무선 충전 장치(110)와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생체 식별 유닛(812)은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와 생물체(예를 들어, 인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거나, 맥박을 감지하는 것을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와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거나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생체 식별 유닛(812)은 식별 결과를 제1 블루투스 유닛(811)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블루투스 유닛(811)과 제2 블루투스 유닛(821) 사이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에 의하여 통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블루투스 유닛(811) 및 제2 블루투스 유닛(82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와 무선 수전 장치(120)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고, 또한 무선 수전 장치(120)와 생물체 사이 거리를 확정하므로써, 상기 무선 충전 모듈(111)이 무선 수전 모듈(121)에 급전하는 급전 전력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급전 전력은, 무선 충전 모듈(111)으로부터 무선 수전 모듈(121)에의 전원 효율이 높고, 급전 전력에 의한 생체에 미치는 영향(예를 들어, 방사선)이 가장 낮은 상태 하에서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 관리 유닛(813)은 제1 블루투스 유닛(811)에 의한 거리의 식별 결과에 근거하여, 급전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빔 형성 관리 유닛(814)은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대역폭의 조절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파워 앰프(815)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전력의 증폭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전 관리 유닛(822)은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수전 모듈(121)은 충전기 관리 유닛(823) 및 배터리(82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기 관리 유닛(823)은 배터리(824)의 충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충전 모듈(111)은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115)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120)의 배터리(824)에 무선 충전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수전 모듈(121)은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124)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110)로부터의 배터리(824)에 대한 무선 충전을 수신하고, 배터리(824)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120)의 작동에 급전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휴대 전화,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에는 디스플레이(910), 오디오 입력 유닛(920), 오디오 출력 유닛(930), 전원 관리 유닛(940), 이미지 수집 유닛(950) 등의 다양한 기능 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프로세서(96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기능 유닛은 모두 이동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부하를 증가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 (9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체적인 모바일 장치이며, 상기 기능 유닛이 모두 상기 이동 단말 (900)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는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수 있고, 무선 수전 장치(120)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수 있다.
모식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0)가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무선 수전 장치(120)가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110)의 장착 방식은 손목에 감싸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모식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목에는 무선 충전 장치(10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10)는 스마트 워치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는 무선 수전 장치(10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무선 수전 장치(1020)는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사용자의 안경의 정면에 장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10)와 무선 수전 장치(1020) 사이는, RF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급전 또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10)와 무선 수전 장치(1020) 사이는 UWB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된다. 이로 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1020)는 무선 충전 장치(1010)의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된 표시 내용에 근거하여, 렌즈를 경유하여 표시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충전 모듈을 설치하고 무선 수전 장치에 무선 수전 모듈을 설치하며,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원거리 무선 충전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무선 수전 장치의 제1 기능 모듈을 설치하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기능 모듈과 제2 기능 모듈 사이의 상호 작용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무선 수전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설계가 유연하고 인공 지능(AI) 분야의 발전에 대응하여 단말과 인공 지능 분야 사이의 연결을 만족시키고, 또한 특정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궁극적인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게임 폰 및 단말기의 항속 시간이 더 길어 지고, 단말기의 충전 속도가 더 빨라지는 등의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를 휴대하기 쉽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표시와 터치의 상호 작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110) 및 무선 수전 장치(120)가 하나의 무선 충전 시스템으로서 실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실제 동작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110) 및 무선 수전 장치(120)가 두 개의 독립된 이동 단말로서 실현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복수"가 2개 이상을 의미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및/또는"은 관련되는 대상의 연관 관계를 표현하고,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이 존재하고,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고, B만이 존재하는 3 가지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문자"/"는 일반적으로 전후에 관련되는 대상이 "또는"의 관계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퀀스 번호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예의 우열(優劣)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상기의 실시예를 실시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관련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이상에서 언급한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전용 장치(ROM), 디스크, 또는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 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까지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칙을 이탈하지 않는 한, 임의의 수정, 균등 등의 전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수전(受電)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제1 기능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 제2 기능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給電)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급전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기능 세트에서의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 가능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 가능하며,
    상기 제1 기능 모듈과 상기 제2 기능 모듈 사이는,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통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기 위한 생체 식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상기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와 상기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하는 급전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고, 상기 동작을 완성한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 신호와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상기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및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더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기능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동작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7.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센서 유닛, 이미지 수집 유닛, 스피커 유닛, 오디오 수집 유닛, 네트워크 통신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이미지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재생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수집 유닛은 상기 오디오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센서 유닛을 포함할 경우 중력 센서, 온도 센서, 광 센서, 거리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을 포함할 경우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송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표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사이는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1.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상기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더 수행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무선 충전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2.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가 상기 제2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손목을 감싸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4.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모듈, 제1 기능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수전 장치에 급전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제공하며,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무선 수전 장치가 상기 제1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기 위한 생체 식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상기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와 상기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하는 급전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고, 상기 동작을 완성한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 신호와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상기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및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상기 동작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센서 유닛, 이미지 수집 유닛, 스피커 유닛, 오디오 수집 유닛 및 네트워크 통신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이미지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오디오 재생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오디오 수집 유닛은 상기 오디오 수집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은,
    상기 제1 기능 모듈이 상기 이미지 수집 유닛을 포함할 경우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목표 이미지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표 이미지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표시 신호를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표시 신호는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20. 제 14 항, 제 15 항, 제 1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21. 제 14 항, 제 15 항, 제 1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장착 방식은 손목을 감싸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22. 무선 수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수전 모듈, 제2 기능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급전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기능 세트에서의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하며,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2 기능 서브 세트를 실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통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기 위한 생체 식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상기 무선 수전 장치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와 상기 생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수전 모듈에 급전하는 급전 전력을 조절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완성하고, 상기 동작을 완성한 후 동작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작 결과에 근거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기능 모듈은 표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 신호와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세트는,
    센서 기능, 상기 표시 기능, 이미지 수집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오디오 수집 기능, 전화 통신 기능 및 네트워크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가지는 터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더 송신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제1 기능 모듈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반송파 초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7. 제 22 항 내지 제 2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전 모듈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무선 충전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통하여 상기 무선 수전 장치에 더 급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28. 제 22 항 내지 제 2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전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무선 수전 장치의 장착 방법은 상기 무선 수전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서 실현될 경우, 스마트 안경의 형태로 장착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전 장치.
KR1020197028469A 2019-04-22 2019-07-31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KR102390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25192.6 2019-04-22
CN201910325192.6A CN111835097B (zh) 2019-04-22 2019-04-22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设备及无线受电设备
PCT/CN2019/098664 WO2020215520A1 (zh) 2019-04-22 2019-07-31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设备及无线受电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91A KR20200125891A (ko) 2020-11-05
KR102390906B1 true KR102390906B1 (ko) 2022-04-26

Family

ID=6894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69A KR102390906B1 (ko) 2019-04-22 2019-07-31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44480B2 (ko)
EP (1) EP3731425A1 (ko)
JP (1) JP7377108B2 (ko)
KR (1) KR102390906B1 (ko)
CN (1) CN111835097B (ko)
RU (1) RU2741064C1 (ko)
WO (1) WO2020215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29A (ko) * 2020-08-13 202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93077A (zh) * 2021-06-29 2021-11-02 深圳市路卓科技有限公司 行车记录仪及其控制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98A1 (ko) * 2017-08-24 2019-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06653C1 (ru) * 2006-04-20 2007-09-20 Олег Валерьевич Белянин Беспроводная зарядная система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JP2008167373A (ja) * 2007-01-05 2008-07-17 Brother Ind Ltd 情報呈示装置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KR101367342B1 (ko) * 2011-09-14 2014-02-28 김범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충전 시스템
RU2510558C1 (ru) * 2012-07-19 2014-03-27 Александр Викторович Атаманов Беспроводная заряд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маломощных потребителе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JP2015204708A (ja) 2014-04-15 2015-11-1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及び送電制御方法
US20160141908A1 (en) * 2014-11-14 2016-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cy compliance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EP3241224A4 (en) * 2014-12-29 2018-05-3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X2017016250A (es) * 2015-06-15 2018-04-20 Pogotec Inc Metodos y sistemas de alimentacion inalambrica adecuados para cargar dispositivos electronicos portatiles.
KR102360334B1 (ko) * 2015-07-10 202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675980B2 (en) * 2015-09-04 2020-06-0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power level adjustment
JP6817308B2 (ja) * 2015-12-24 2021-01-20 エナージャ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無線充電システムにおける物体検出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38332B1 (en) * 2015-12-24 2018-07-31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power charging through multiple receiving devices
JP6642027B2 (ja) 2016-01-20 2020-02-05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装置
US20170237292A1 (en) * 2016-02-12 2017-08-17 Qualcomm Incorporated Reconfigurable multi-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205407343U (zh) * 2016-03-07 2016-07-27 深圳市七彩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无线充电和nfc通信的系统
US10651686B2 (en) * 2016-08-03 2020-05-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lux-enhanced energy harvesting from current-carrying conductors
CN108270298B (zh) * 2017-01-04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充电方法及装置
WO2018159579A1 (ja) 2017-02-28 2018-09-07 株式会社teamS 表示操作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る表示操作分離システム
CN107070478A (zh) * 2017-03-31 2017-08-18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分离式通信设备和移动主机
CN108599397A (zh) * 2018-05-04 2018-09-28 苏州威斯东山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远程无线充电的射频接收端模组
CN208581078U (zh) * 2018-07-20 2019-03-05 联想(北京)有限公司 充电设备及受电设备
CN109378908B (zh) * 2018-10-10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能量发射设备、电子设备、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98A1 (ko) * 2017-08-24 2019-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35097B (zh) 2022-02-11
RU2741064C1 (ru) 2021-01-22
EP3731425A1 (en) 2020-10-28
JP7377108B2 (ja) 2023-11-09
KR20200125891A (ko) 2020-11-05
US11444480B2 (en) 2022-09-13
JP2021525052A (ja) 2021-09-16
CN111835097A (zh) 2020-10-27
WO2020215520A1 (zh) 2020-10-29
US20200335999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4556A1 (zh) 无线耳机盒及系统
CN108966008B (zh) 直播视频回放方法及装置
CN112289313A (zh) 一种语音控制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2040461A (zh) 一种靠近发现的方法及设备
KR102102643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12312366B (zh) 一种通过nfc标签实现功能的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102390906B1 (ko)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수전 장치
CN113573122B (zh) 音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10401242B (zh) 多电池并行充电电路、方法及具有该电路的可穿戴设备
CN111148271A (zh) 一种控制助听器的方法及终端
CN114827581A (zh) 同步时延测量方法、内容同步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931946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069236A (zh) 一种头戴电子设备及其音频输出控制方法
CN114257920B (zh) 一种音频播放方法、系统和电子设备
WO2022206825A1 (zh) 一种调节音量的方法、系统及电子设备
WO2022100219A1 (zh) 数据转移方法及相关装置
WO2021129128A1 (zh) 一种移动终端的无线充电方法及移动终端
CN109089137A (zh) 卡顿检测方法及装置
CN106208271B (zh) 移动电源的管理方法及装置
CN109688064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543403A (zh) 一种功耗评估的方法及装置
EP4187535A1 (en) Audi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CN115525366A (zh) 一种投屏方法及相关装置
US202300295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311283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