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496B1 -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496B1
KR102390496B1 KR1020190173801A KR20190173801A KR102390496B1 KR 102390496 B1 KR102390496 B1 KR 102390496B1 KR 1020190173801 A KR1020190173801 A KR 1020190173801A KR 20190173801 A KR20190173801 A KR 20190173801A KR 102390496 B1 KR102390496 B1 KR 102390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st chamber
atmospheric environment
atmospheric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640A (ko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국성호
이준희
이현지
최은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4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2Air-pressure chambers; Air-locks therefor
    • B01L1/025Environmental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은 시험 챔버부,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부,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하는 대기환경 조절부 및 시험 챔버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공기 공급부 및 대기환경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시험 챔버 내부의 시험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SIMULATION TEST SYSTEM FOR ATMOSPHERIC POLLUTION MATTER COMPRIS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시험 챔버 내부의 미세먼지 및 대기유해가스로 이루어진 대기유해물질의 유입과 배출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시험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실시간으로 조절 가능한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대기오염이란 옥외의 대기 중에 인공적으로 반입된 물질의 농도나 지속 시간이 어떤 지역의 주민 중 상당히 많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넓은 지역에 걸쳐서 공중보건상의 위해나 동식물의 생활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 로 정의하고 있다.
대기오염은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첫째로, 자연적인 대기오염은 화산폭발로 인한 대기오염, 대형 산불에 의한 대기오염, 황사나 모래 바람에 의한 대기오염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황사나 모래바람에 의한 대기오염이 과거와 달리 봄이외에도 사계절 내내 발생하여 국민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번째로 인위적인 대기오염은 인구증가 및 난방 증가,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오염물질의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 산업발달에 따른 철강이나 금속제련, 석유정제 등의 규모가 확장되면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에 의한 대기오염이 있다.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대기오염 물질은 다양한 질병의 발생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쥐와 같은 시험용 동물을 이용하여 대기오염 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대기오염 물질 관련 연구는 시험용 동물을 이용한 미세먼지의 흡입 독성 방식 시험으로 이루어져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로 이루어진 대기 오염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미세먼지 흡입 독성 방식 시험은 시험용 동물을 이용한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시험용 동물의 호흡 또는 미세먼지의 불안정한 공급 등에 의해 시험 챔버 내부의 대기환경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1770호(2019.07.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로 이루어진 대기오염 물질을 인공적으로 발생시켜 실제 대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용 동물을 이용한 장시간의 시험이 진행되더라도 시험 챔버 내부의 대기환경을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으로 조절할 수 있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은, 시험 챔버부,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부,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하는 대기환경 조절부 및 시험 챔버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공기 공급부 및 대기환경 조절부를 제어하여 시험 챔버 내부의 시험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유해물질 공급부는,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는 미세먼지 공급부 및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는 대기유해가스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환경 조절부는, 시험 챔버부의 대기환경을 측정하는 대기환경 측정부 및 대기환경 측정부에서 측정된 대기환경에 따라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유해 물질을 배출시키는 대기유해물질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험 챔버부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와 연결되는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와 연결되는 시험 챔버 본체,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시험 동물용 케이지,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와 시험 동물용 케이지 사이의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와류 생성 메쉬 및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대기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기환경 조절부에서 측정된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 과 시험 챔부부 내부의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비교하는 대기환경 비교부,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과 적정 대기환경의 비교 결과에 따라 미세먼지 공급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및 대기환경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대기환경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대기유해가스를 시험용 챔버(1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실제 대기환경과 유사한 대기환경에서 생체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짧은 시간이나 장시간 시험이 진행되더라도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시험의 각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적정 대기환경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의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의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은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제어부(40) 및 공기 공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에서 생성된 미세먼지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가스는 관으로 연결된 시험 챔버부(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부(50)에서 정화된 공기는 관으로 연결된 시험 챔버부(10) 및/또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대기환경 조절부는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 측정 결과에 따라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오염 물질을 시험 챔버부(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시험 챔버부(10) 내부 대기환경은 시험용 동물에 미치는 대기오염 물질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10)에 의하여 적정 대기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적정 대기환경은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가스 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이나 장시간의 시험이 실시되는 동안 시험용 동물의 호흡과 미세먼지 및/또는 유해가스의 불안정한 공급에 의해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와 유해가스 농도가 변해 적정 대기환경이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이렇게 적정 대기환경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의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해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와 유해가스 농도가 조절되어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적정 대기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시간 시험의 경우 제어부(40)의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해 시험 챔버부(10) 내부에 연속적인 복수의 적정 대기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 동물용 시험을 아침, 점심 및 저녁의 대기환경에 따른 세번의 연속적인 사이클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40)의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와 유해가스 농도가 조절되어 각각의 사이클에 적절한 적정 대기환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짧은 시간이나 장시간 시험이 진행되더라도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시험의 각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적정 대기환경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이고, 도 3은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의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의 이미지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는 미세먼지 공급부(21) 및 대기유해가스 공급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공급부(31) 및 대기유해가스 공급부(32)는 시험 챔버부(10)와 관으로 연결되어 시험 챔버부(10)에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미세먼지 공급부(21)는 미세먼지 공급장치(21a) 및 미세먼지 필터(21b)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 공급장치(21a)에서는 미세먼지 성분비로 조성된 용핵액 또는 미세먼지 분산액을 분무기로 미립화 시킨 후 미세먼지 필터(21b)를 통과시켜 특정 크기 입자를 제거한 후 미세먼지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대기유해가스 공급부(22)는 유해가스 공급장치(22a) 및 유량 제어기(2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압축가스 또는 액상의 용액으로 주입되어 주입 직후 금속 메쉬 히터를 통해 완전히 휘발된 기상의 혼합물로 되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대기유해가스를 시험용 챔버(1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실제 대기환경과 유사한 대기환경에서 생체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경 조절부(30)는 대기환경 측정부(31), 대기유해물질 배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환경 측정부(31)는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가스 농도, 온도 및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유해물질 배출부(31)는 분진 필터(32a), 진공 펌프(32b) 및 가스 정화기(32c)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유해물질 배출부(31)는 시험 챔버부(10)와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기유해물질 배출부(31)는 시험 챔버부(10)와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를 연결하는 관에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환경 조절부(20)는 대기환경 측정부(21)에서 측정된 대기환경에 따라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유해 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대기환경 조절부(20)는 대기환경 측정부(21)에서 측정된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이 적정 대기환경과 다른 경우 진공 펌프(32b)가 작동되어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유해 물질을 분진 필터(32a)를 통과한 후 가스 정화기(32c)에서 정화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 챔버부(10)는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11), 시험 챔버 본체(12), 시험 동물용 케이지(13), 와류 생성 매쉬(14), 대기 순환 장치(15) 및 온도 습도 조절 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11)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의 미세먼지 공급부(21)에서 공급되는 미세먼지와 대기유해가스 공급부(22)에서 공급되는 대기유해가스가 혼합된 후 시험 챔버부(1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유해 물질 혼합 확산 장치(11)는 관으로 시험 챔버 본체(12)에 연결될 수 있다.
시험 동물용 케이지(13)는 시험 챔버 본체(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동물용 케이지(13)를 시험 챔버 본체(12)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시험용 동물을 이용하여 장시간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와류 생성 메쉬(14)는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11)와 시험 동물용 케이지(13) 사이의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11)에서 공급된 미세먼지 및/또는 대기유해 가스가 시험 챔버 본체(12) 내부에 유입된 후 와류 생성 메쉬(14)에 의해 형성된 와류에 의해 시험 챔버 본체(12) 내부에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대기 순환 장치(15)는 시험 챔버 본체(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순환 장치(15)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대기환경 비교부(41) 및 대기환경 제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환경 비교부(41)는 대기환경 조절부(30)에서 측정된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과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비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대기환경 조절부(30)의 대기환경 측정부(31)에 의해 측정된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가스 농도, 온도 및 습도 등의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대기환경 제어부(42)는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과 적정 대기환경의 비교결과에 따라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공기 공급부(50) 및 대기환경 조절부(3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환경 제어부(42)의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공기 공급부(50) 및 대기환경 조절부(30) 중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해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이 적정 대기환경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적정 대기환경은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시험용 동물에 미치는 대기오염 물질의 영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것으로, 미세먼지 농도 및/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가스 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적정 대기환경은 시험용 동물의 호흡 및/또는 미세먼지 및/또는 유해가스의 불안정한 공급에 의해 시험용 동물을 이용한 짧은 시간 및/또는 장시간의 시험이 실시되는 동안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렇게 적정 대기환경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 제어부(40)는 미세먼지 공급부(21)의 미세먼지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대기유해가스 공급부(22)의 유해가스 공급량을 조절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미세먼지 공급부(21)와 대기유해가스 공급부(22)의 제어와 동시 또는 다른 시간에 대기유해물질 배출부(31)를 제어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유해 물질을 배출시켜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시험 챔버부(10)의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11)를 제어하여 미세먼지 및/또는 대기유해가수 농도를 제어하거나, 대기 순환 장치(15)를 제어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공기 공급부(50)를 제어하여 시험 챔버부(10) 및/또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에 의하여 제1 밸브 내지 제8 밸브(V1~V8)가 제어되어 미세먼지, 대기유해가스 및 공기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의 시험용 챔버(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의 조절에 의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대기환경을 적정 대기환경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용 동물 이용 시험이 복수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경우에 복수의 시험 사이클의 시험 조건에 맞는 연속적인 복수의 적정 대기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 동물용 시험을 아침, 점심 및 저녁의 대기환경에 따른 세번의 연속적인 사이클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40)의 시험 챔버부(1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20), 대기환경 조절부(30) 및 공기 공급부(50) 중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하여 시험 챔버부(10)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와 유해가스 농도가 조절되어 각각의 사이클에 적절한 적정 대기환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짧은 시간이나 장시간 시험이 진행되더라도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시험의 각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적정 대기환경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 시험 챔버부 11: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
12: 시험 챔버 본체 13: 시험 동물용 케이지
14: 와류 생성 메쉬 15: 대기 순환 장치
16: 온도 습도 조절 장치 20: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21: 미세먼지 공급부 22: 대기유해가스 공급부
30: 대기환경 조절부 31: 대기환경 측정부
32: 대기유해물질 배출부 40: 제어부
41: 대기환경 비교부 42: 대기환경 제어부
50: 공기 공급부 51: 에어펌프
52: 공기 유량 제어기 53: 공기 필터
54: 가스 정화기 55: 건조장치

Claims (5)

  1. 시험 챔버부;
    상기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고 미세먼지 성분비로 조성된 용핵액 또는 미세먼지 분산액을 분무기로 미립화시키는 미세먼지 공급장치와 상기 미립화된 미세먼지를 통과시켜 특정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필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공급부 및 상기 시험 챔버부에 연결되는 대기유해가스 공급부를 포함하는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상기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시험 챔버부의 대기환경을 측정하는 대기환경 측정부 및 분진 필터, 진공 펌프 및 가스 정화기를 포함하여 상기 대기환경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대기환경에 따라 상기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유해 물질을 배출시키는 대기유해물질 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을 조절하는 대기환경 조절부; 및
    상기 시험 챔버부, 상기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대기환경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시험 챔버 내부의 시험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유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챔버부는;
    상기 대기유해물질 공급부와 연결되는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 장치;
    상기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와 연결되는 시험 챔버 본체;
    상기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시험 동물용 케이지;
    상기 대기유해물질 혼합 확산장치와 상기 시험 동물용 케이지 사이의 상기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와류 생성 메쉬; 및
    상기 시험 챔버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대기 순환 장치;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환경 조절부에서 측정된 상기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 과 상기 시험 챔버부 내부의 시험 조건으로 설정된 적정 대기환경을 비교하는 대기환경 비교부;
    상기 시험 챔버부 내부의 대기환경과 상기 적정 대기환경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시험 챔버부, 상기 대기유해물질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대기환경 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대기환경 제어부;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KR1020190173801A 2019-12-24 2019-12-24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KR102390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01A KR102390496B1 (ko) 2019-12-24 2019-12-24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01A KR102390496B1 (ko) 2019-12-24 2019-12-24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640A KR20210081640A (ko) 2021-07-02
KR102390496B1 true KR102390496B1 (ko) 2022-04-25

Family

ID=7689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801A KR102390496B1 (ko) 2019-12-24 2019-12-24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123B1 (ko) * 2021-11-19 2023-05-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밀폐 챔버를 이용한 미세먼지 재비산 측정 실험장치 및 그 실험방법
KR102631124B1 (ko) * 2021-12-28 2024-01-30 (주)휴엔릭스 면 오염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813B1 (ko) * 2016-02-24 2017-07-26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다중 믹싱챔버를 구비한 환경위해성 평가용 독성물질 혼합장치
KR101946301B1 (ko) * 2017-08-28 2019-02-11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미세먼지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70A (ko) 2000-10-18 2001-01-05 김병두 플랜지관용 가스켓
KR20190061546A (ko) * 2017-11-28 2019-06-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동물노출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813B1 (ko) * 2016-02-24 2017-07-26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다중 믹싱챔버를 구비한 환경위해성 평가용 독성물질 혼합장치
KR101946301B1 (ko) * 2017-08-28 2019-02-11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미세먼지 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640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496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모사 시험 시스템
KR102001770B1 (ko) 미세먼지 생성을 통한 대기질 환경 모사 시험장치
Ouyang et al. Effect of nitrogen dioxide and sulfur dioxide on viability and morphology of oak pollen
Chen et al. Investigation of a potted plant (Hedera helix) with photo-regulation to remove volatile formaldehyde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Faulkner et al. Effects of air exchange rate, particle size and injection place on particle concentrations within a reduced-scale room
CN101509826A (zh) 大型环境风洞中线状有色污染物对流扩散模拟系统
Gardner et al. Toxicology of the Lung
CN105973623A (zh) 人员作业环境职业安全健康指标体系仿真测试实验台
Friedlander et al. Revising the particulate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Zhao et al. Field investigation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and targeted ventilation control strategies in high-ceiling aircraft spraying workshop
CN207133092U (zh) 天然雾霾气体收集浓缩实验装置
KR101946301B1 (ko) 복합 미세먼지 발생 시스템
EP1334749B1 (de) Vorrichtung zur Brandsimulation
CN102798564B (zh) 多通道气体混流装置
CN204924683U (zh) Dmmp防护时间测试装置
CN107389514A (zh) 一种大气雾霾采集分析释放装置
DE5900093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rennen von in einem medienstrom enthaltenen stoerstoffen.
CN209264507U (zh) 一种模拟燃煤电厂烟气污染物脱除的实验平台
Singh et al. Application of air purifier drone to control air pollutants in domestic and industrial areas
CN205683458U (zh) 一种超细水雾临界灭火浓度实验装置
Smith et al. Portable botanical biofilters to address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exposure
Gord et al. Classroom scale measurements of the efficacy of ventilation, filtration, and electronic air cleaners for the removal of aerosol particles
Velzeboer et al. Effects of plant systems on air quality
CN211697725U (zh) 一种用于测试uv光解设备废气降解率的模拟检测系统
JPS6363938A (ja) 浮遊標準粒子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