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939B1 -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939B1
KR102389939B1 KR1020210149010A KR20210149010A KR102389939B1 KR 102389939 B1 KR102389939 B1 KR 102389939B1 KR 1020210149010 A KR1020210149010 A KR 1020210149010A KR 20210149010 A KR20210149010 A KR 20210149010A KR 102389939 B1 KR102389939 B1 KR 10238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ervoir
illuminance
control modu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시현
이정원
권오복
Original Assignee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4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저수지 주변의 감시대상 지역을 촬영하여 미리 설정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포함하는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기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대상 지역 내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와, 태양에너지를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패널과, 상기 솔라셀 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 중 상기 영상 카메라에만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만 상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모듈과, 중앙 관제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고, 상기 불법 침입자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경고음을 송출한다.

Description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SMART SOLAR UNMANNED CONTROL SYSTEM FOR OFFGRID DISASTER SAFETY}
본 발명은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기반의 솔라시스템 구성으로 전원공급 불가한 오지에서도 위험상황 관제가 가능한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많은 저수지가 있다. 대구경북쪽에만 667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팬데믹 상황이 길게 이어짐에 따라 사람들간 거리 두기가 가능한 외부 활동이 최근 각광받고 있고 그에 따라 이러한 저수지에서의 레저 활동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만큼 저수지에서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한다. 저수지 화재, 불법낚시, 입산로 폭우 등이 그러하다.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규정에 따르면 저수지에서 가축 방목, 퇴비 적치, 토석 채취, 나무 식재, 허가받지 않은 어로 및 낚시 등 행위는 금지되어 있으며, 이는 하천 수질 보호 및 주변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한 것으로 관내 저수지를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저수지가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된 것이 아니라 전국 저수지들 중 일부 저수지만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수많은 지역에서 불법 낚시가 성행하고 있다.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규정에 따라 저수지에서 낚시하는 것은 금지되지만, 이러한 행위에 대한 별도의 처벌 규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되고 있지 않다.
저수지에서는 불법 낚시를 하는 낚시객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와 각종 오물로 하천 수질이나 주변 환경 오염되고 있고, 불법주차 등으로 인해 인근 주민과의 마찰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 저수지에 불법 침입자를 감시하는 CCTV를 설치하는 방안도 제안되고 있지만, 도서산간 지역의 특성상 전력이 공급되기 어려운 지역이 다수 존재하여 실효적인 해결책을 내는 것도 어렵다.
또한, 저수지가 범람하면 하류 수량이 급격히 불어나 수로가 붕괴되고, 주변 농경지에 토사가 밀려 쌓이고, 건물 주위가 유실되는 등 대형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저수지 범람은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저수지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공공기관은 수많은 저수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일부 저수지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힘겨운 현실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도서산간 지역에서도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지의 수위를 계측하여 중앙 관제센터에 제공하고, 불범 침입자에 경고를 안내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에너지를 기초로 운영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은, 저수지 주변의 감시대상 지역을 촬영하여 미리 설정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포함하는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기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대상 지역 내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와, 태양에너지를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패널과, 상기 솔라셀 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 중 상기 영상 카메라에만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만 상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모듈과, 중앙 관제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고, 상기 불법 침입자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경고음을 송출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수지의 수면 상에 초음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수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저수지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저수지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CBS(Cell Broadcasting system) 기능을 통한 재난경보를 알리기 위해 상기 중앙 관제서버에 상기 저수지 수위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 내 모션벡터를 제1 기준 시간 동안 합산하고, 합산한 값이 기준 모션벡터값을 초과하는 블록을 객체 블록으로 선별하며, 서로 인접한 객체 블록의 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객체 블록에서의 상기 객체를 감지한 제1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고, 연속하여 측정된 제1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불법 침입자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열화상 이미지 내 기준 온도 이상을 갖는 이미지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패턴이 기저장된 휴먼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부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열화상 이미지 내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한 제2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고, 연속하여 측정된 제2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불법 침입자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 조명빔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불법 침입자가 위치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조명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전력을 공급받기 공급받기 어려운 도서산간지역에서도 저수지의 수위를 계측하여 중앙 관제센터에 제공하고, 불범 침입자에 경고를 안내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방지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감시장치가 감시 현장에 설치된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저수지에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범람에 따른 재난을 방지하고,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불법 침입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켜 저수지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저수지에 배치되는 무인감시장치(100)와, 무인감시장치(100)로부터 저수지 수위 및 불법 침입자 존재 정보에 관한 재난안전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관제서버(2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저수지라는 용어는 반드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수 등 불법 낚시가 이루어질만한 곳이면 된다.
무인감시장치(100)는 별도로 상시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태양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장치로서, 영상 카메라(102), 열화상 카메라(104), 조도 센서(106), 솔라셀 패널(108), 배터리(110), 스피커 모듈(112), 통신 모듈(114), 수위측정센서(116), 조명 모듈(118), 및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카메라(102)는 저수지 주변의 감시대상 지역을 촬영하여 주변 환경, 통행자 등에 대한 제1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대상 지역은 불법 침입자들의 출입을 감시해야 하는 지역으로서, 불법 낚시가 가능한 수면과 가까운 육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지 중심부도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감시대상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저수지 중심부에서는 불법 낚시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물가와 가까운 육지를 감시대상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상은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과 비관심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관심영역은 미리 설정한 감시대상 지역 내 제1 영역을 촬영한 영상 영역이며, 비관심영역은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영상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관심영역은 불법 침입자에 의해 불법 낚시가 가능한 위치인 제1 영역을 촬영한 영상이며, 비관심 영역은 저수지 중심부, 저수지와 인접한 도로변 등 불법 낚시를 수행하기 어려운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저수지에 저장된 물의 파동에 의한 움직임, 어류의 움직임 등은 감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면 영역과 수면 영역에서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육지 영역은 비관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수면 영역과 인접한 일정한 영역만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 영역은 인공지능 기계 학습을 통해 설정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04)는 대상의 열을 추적하여 온도의 분포에 따른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열화상 카메라(104)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자외선-적외선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04)는 영상 카메라(102)가 촬영하는 감시대상 지역 내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카메라(102)가 부착된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심영역만을 촬영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열화상 카메라(104)는 각 픽셀의 온도 데이터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열화상 해상도를 일반영상 해상도만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의 비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객체 존재여부는 중요한 사항이 아니므로, 열화상 카메라(104)는 열화상 이미지 생성에 따른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만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오프그리드 환경에서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은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기준 조도 이상에서는 영상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104)는 별도의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야간에서 감시대상 지역을 출입하는 불법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즉, 열화상 카메라(104)는 기준 조도 이상에서는 전력을 제공받지 않아 동작하지 않으며, 기준 조도 미만에서만 전력을 공급받아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조도 센서(106)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저수지 주변의 조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된 정보는 영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의 온오프 동작에 활용될 수 있다.
솔라셀 패널(108)은 구비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변환된 전력을 배터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 납축전지, 리튬이온배터리 등일 수 있다.
스피커 모듈(112)은 불법 침입자에게 경각심을 제공하기 위해 기설정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피커 모듈(112)이 출력하는 경고음은 비상신호음, 경고음성 등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중앙 관제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수위측정센서(116)는 수면으로 초음파 펄스를 송신한 후 에코가 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위를 계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위측정센서(116)는 레이저 수위센서, 압력 수위 센서, 플로트 레벨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조명 모듈(118)은 제어 모듈(120)로부터 조명신호를 수신받아 불법 침입자가 위치한 지역에 조명빔을 조사할 수 있는데, 제어모듈은 기준 조도 미만의 야간 시간대에만 조명 모듈(118)에 조명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무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조도 센서(106)에서 생성된 조도 정보에 따라 영상 카메라(102) 및 열화상 카메라(104) 중 어느 하나만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무인감시장치(100)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태양에너지를 변환한 전력을 이용하는 오프그리드로 운영되는바, 제어 모듈(120)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만을 구현하기 위해 각 구성에 선별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영상 카메라(102)와 열화상 카메라(104) 중 영상 카메라(102)에만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제어 모듈(120)은 열화상 카메라(104)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120)은 낮 시간에는 열화상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간 시간에는 제1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제1 영상과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1 영역에 위치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고, 불법 침입자가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피커 모듈(112)을 제어하여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영상 카메라(102)에 의해 제1 영상만 생성되기 때문에, 제어 모듈(120)은 제1 영상만을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제어 모듈(120)은 제1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 내 모션벡터를 제1 기준 시간 동안 합산하고, 합산한 값이 기준 모션벡터값을 초과하는 블록을 객체 블록으로 선별할 수 있다. 만약, 합산한 값이 기준 모션벡터값 이하인 경우, 제어 모듈(120)은 해당 블록에 노이즈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객체 블록으로 선별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서로 인접한 객체 블록의 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객체 블록의 수가 기준 개수보다 작다면, 제어 모듈(120)은 사람이 아닌 동물 또는 사물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추가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
만약, 객체가 사람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 모듈(120)은 객체 블록에서 객체가 감지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객체 블록에서의 객체가 감지되는 시간인 제1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여 객체의 불법 침입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120)은 연속하여 측정된 제1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불법 침입자가 제1 영역에서 머물면서 불법 낚시 또는 허가받지 않는 행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열화상 카메라(104)에 의해 열화상 이미지만 생성되기 때문에, 제어 모듈(120)은 열화상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열화상 이미지 내 기준 온도 이상을 갖는 이미지 패턴을 검출하고, 이미지 패턴이 기저장된 휴먼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부합되는 경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먼 패턴들은 두다리를 모으고 서 있는 자세,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 등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자세들을 패턴화 한 것이다.
제어 모듈(120)은 열화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를 감지한 제2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고, 연속하여 측정된 제2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객체를 불법 침입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120)은 저수지의 모든 영역에서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불법 침입자가 주로 출몰하는 타겟 영역을 선정하여 해당 영역에서만 객체를 감지하며, 이로써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수위측정센서(116)에 의해 측정된 저수지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저수지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CBS(Cell Broadcasting system) 기능을 통한 재난경보를 알리기 위해 통신 모듈(114)을 통해 중앙 관제서버(200)에 저수지 수위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안전정보에는 불법 침입자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저수지 수위 정보, 제1 영상, 열화상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재난경보의 대상이 되는 단말기들은 무인감시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인감시장치 주변을 관할하는 이동통신망(LTE, 5G 등)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범위 내의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2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CBS 방식의 재난경보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무인감시장치단에서 생성된 재난안전정보를 CBS 문자 전송 양식(내지는 표준)에 맞게 수정하여 행정안전부와 같은 관계부처로 전송 및 이동통신회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들에 재난경보를 CBS 방식으로 하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앙관제서버가 CBS 문자 전송 방식에 맞게 수정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바람직하게는, 관계부처로 전송만 하면 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감시장치는 CBS 문자 전송 양식에 맞는 재난안전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YYMMDD OO시 OO분 OO저수지(호) OO지점 수위 범람 위험 수준 도달이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재난안전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인감시장치는 위치, 시간, 저수지 수위를 CBS 문자 전송 양식으로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문자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보다 즉각적인 재난안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모듈(120)은 재난안전정보를 중앙 관제서버(200)에 실시간으로 또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법 침입자의 존재가 발견되거나 저수지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일 때만 전송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중앙 관제서버(200)는 전국의 각 저수지에서의 재난안전정보를 수신하여 저수지의 안전상황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서,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하며, 무인감시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관제서버를 운용하는 곳에서 관리자가 각 저수지의 무인감시장치로부터 수집되는 재난안전정보를 관제실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 장치 등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감시장치가 감시 현장에 설치된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감시장치(100)의 각 구성은 구조물(CO)에 부착된 상태로 저수지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조물(CO)은 저수지 수면(WA)에 인접한 지면(GN)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수지 수면(WA)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영상 카메라(102)와 열화상 카메라(104)는 제1 영역(AR1)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조물(CO)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영역(AR1)이 서로 떨어진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경우, 영상 카메라(102)와 열화상 카메라(104) 각각은 기설정 주기마다 회전하여 서로 떨어진 제1 영역(AR1)을 촬영할 수 있다.
솔라셀 패널(108)은 구조물(CO)의 상단측에 배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배터리(110)는 함체(CA) 내부에 배치되어 솔라셀 패널(108)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수위측정센서(11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물(CO)의 단부에 설치되어 저수지 수면(WA)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저수지 수면(WA)을 향해 초음파를 송출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12)은 구조물(CO)의 일측에 배치되어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구조물에 부착되어 제어 모듈(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 송출할 수도 있다.
조명 모듈(118)은 조명빔은 제1 영역(AR1)에 조사될 수 있도록 제1 영역(AR1)을 바라보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조명빔을 제1 영역(AR1)에 조사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AR1)이 서로 떨어진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 모듈(118)도 영상 카메라(102) 또는 열화상 카메라(104)가 바라보는 방향을 따라 조명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조도 센서(106), 제어모듈, 및 통신모듈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구성은 함체(CA) 내부에 위치하거나 구조물(CO)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저수지의 주변환경을 감시하기 위해 저수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0).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조도정보를 기준 조도와 비교하여 영상 카메라(102) 및 열화상 카메라(104)에 대한 전력 공급을 결정할 수 있다(S110).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영상 카메라(102) 및 열화상 카메라(104) 중 영상 카메라(102)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20).
반면,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영상 카메라(102) 및 열화상 카메라(104) 중 열화상 카메라(104)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30).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제1 영상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객체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제1 영상 또는 열화상 이미지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객체를 분석하여 연속적으로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된 시간에 따라 불법침입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50, S160).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10)은 불법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피커 모듈(112)을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에는 조명 모듈(118)을 이용하여 불법 침입자의 위치에 조명빔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100: 무인감시장치
102: 영상 카메라
104: 열화상 카메라
106: 조도 센서
108: 솔라셀 패널
110: 배터리
112: 스피커 모듈
114: 통신 모듈
116: 수위측정센서
118: 조명 모듈
120: 제어 모듈
200: 중앙 관제서버
AR1: 제1 영역
CA: 함체
CO: 구조물
WA: 저수지 수면
GN: 저수지 수면에 인접한 지면

Claims (8)

  1. 태양에너지를 기초로 운영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저수지 주변의 감시대상 지역을 촬영하여 미리 설정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포함하는 제1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카메라;
    상기 관심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감시대상 지역 내 제1 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
    태양에너지를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패널;
    상기 솔라셀 패널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 중 상기 영상 카메라에만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만 상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 모듈; 및
    중앙 관제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고, 상기 불법 침입자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경고음을 송출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상임에 따라 상기 영상 카메라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 중 상기 영상 카메라에만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영상이 생성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황에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 단계들 a) 내지 c)를 수행하고,
    a)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 내 모션벡터를 제1 기준 시간 동안 합산하고, 합산한 값이 기준 모션벡터값을 초과하는 블록을 객체 블록으로 선별함
    b) 서로 인접한 객체 블록의 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객체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함
    c) 상기 객체 블록에서의 상기 객체를 감지한 제1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고, 연속하여 측정된 제1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불법 침입자로 결정함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저수지 주변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임에 따라 상기 영상 카메라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 중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만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열화상 이미지가 생성 및 상기 제1 영상이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황에서 불법 침입자를 판단하기 위해 다음 단계들 1) 내지 2)를 수행하는,
    1) 상기 열화상 이미지 내 기준 온도 이상을 갖는 이미지 패턴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패턴이 기저장된 휴먼 패턴들 중 어느 하나와 부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함
    2) 상기 열화상 이미지 내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한 제2 객체감지시간을 계산하고, 연속하여 측정된 제2 객체감지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객체를 불법 침입자로 결정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의 수면 상에 초음파를 송출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수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저수지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저수지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CBS(Cell Broadcasting system) 기능을 통한 재난경보를 알리기 위해 상기 중앙 관제서버에 상기 저수지 수위를 포함하는 재난안전정보를 전송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 조명빔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불법 침입자가 위치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조명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제어하는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KR1020210149010A 2021-11-02 2021-11-02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KR10238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10A KR102389939B1 (ko) 2021-11-02 2021-11-02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10A KR102389939B1 (ko) 2021-11-02 2021-11-02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939B1 true KR102389939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10A KR102389939B1 (ko) 2021-11-02 2021-11-02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9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284B2 (ja) * 2003-11-27 2009-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冠水検知システム
KR101378071B1 (ko) * 2013-08-20 2014-03-28 (주)금성보안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9676B1 (ko) * 2017-12-20 2019-02-19 이노뎁 주식회사 압축영상에 대한 신택스 기반의 객체 침입 감지 방법
KR102244038B1 (ko) * 2020-12-09 2021-04-23 (주)진명아이앤씨 무단투기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284B2 (ja) * 2003-11-27 2009-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冠水検知システム
KR101378071B1 (ko) * 2013-08-20 2014-03-28 (주)금성보안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9676B1 (ko) * 2017-12-20 2019-02-19 이노뎁 주식회사 압축영상에 대한 신택스 기반의 객체 침입 감지 방법
KR102244038B1 (ko) * 2020-12-09 2021-04-23 (주)진명아이앤씨 무단투기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5321B (zh) 基于雷达侦测及视频图像行为分析的安防预警系统及方法
KR101378071B1 (ko) 양식장 및 인공어초 도난 방지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2360082B (zh) 输电线路用监测系统
CN105389936A (zh) 森林灾害智能防护系统
CN106652323A (zh) 一种分布式输电线路防外力破坏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8320425A (zh) 输电线路激光防外力破坏监控预警装置
KR102398010B1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침입 예측 방법과 그 컴퓨터 프로그램
CN107729807A (zh) 一体化防外破目标识别与智能预警系统
CN116743970B (zh) 一种具有视频ai预警分析的智能管理平台
US20220046210A1 (en) Data acquisition and dissemination platform
CN107689130A (zh) 一种森林火灾检测报警方法
GB2533396A (en)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 embankment
CN106205000B (zh) 一种基于小型雷达的移动式输配电线路防外破监测方法
CN111599127A (zh) 用于森林防火的监控塔及控制方法
KR102389939B1 (ko) 오프그리드 재난안전을 위한 스마트 솔라 무인관제시스템
KR10258054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안전안내방송시스템
CN104484969A (zh) 输电线路的监控方法及其监控装置
CN104751612A (zh) 一种高压线路智能监测预警管控系统
Czyżewski et al. Development of intelligent road signs with V2X interface for adaptive traffic controlling
Liria et al. KOSTASystem, a coastal videometry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JP6815645B2 (ja) ドローンの離着陸装置及び災害発生予測システム
KR102632312B1 (ko) 해상풍력 발전단지 내 해상활동 관리 및 감시 시스템
CN108711261A (zh) 公共水域智能监控预警系统
KR20160141191A (ko) 다목적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가드레일 시스템
CN106910310A (zh) 森林防火应急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