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926B1 -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926B1
KR102389926B1 KR1020190169270A KR20190169270A KR102389926B1 KR 102389926 B1 KR102389926 B1 KR 102389926B1 KR 1020190169270 A KR1020190169270 A KR 1020190169270A KR 20190169270 A KR20190169270 A KR 20190169270A KR 102389926 B1 KR102389926 B1 KR 10238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acid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535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맘씨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맘씨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맘씨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6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9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송육고 추출물을 최적의 함량으로 혼합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세포의 독소를 제거하는 셀레늄, 테르펜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여 습진, 백선과 같은 피부트러블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 예를 들어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 등의 형태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대중에게 제공 가능하다.

Description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mposition of cosmetic having shiitake mushroom}
본 발명은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육고 추출물과, 에센셜 오일, 유화제 등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여 미백, 보습,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산화 및 항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한 가지는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로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두번째는 광노화 (photoaging)로서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광 노화 현상은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예방할 수 있는 피부노화 현상이다. 내인성 노화는 햇빛에 노출되지 않은 피부에서 주로 관찰된다.
임상적 특징은 비교적 경미하며, 잔주름, 피부건조증, 탄력감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광 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심하고, 일찍부터 관찰된다.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굵고 깊은 주름이 발생하며, 잔주름도 많이 발생한다.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하며 일광 흑자(solar lentigo) 등의 색소질환이 증가한다.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심한 경우 피부가 처지게 된다.
주름은 얼굴에 존재하는 근육의 분포와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항상 얼굴에 짜증이 섞여 있는 표정을 짓는 경우에는 이마에 내천(川)자의 굵은 주름이 생기며, 항상 웃고 있는 얼굴에는 눈 주위에 잔주름이 많은 경향이 있다.
또한, 유전적 소인이 얼굴의 주름살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인종에 따라 주름살 양상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 서양인에서의 주름살과 한국인에서의 주름살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다. 한국인에는 서양인에 비하여 굵은 주름살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이마, 눈 주위, 입 주위에 굵은 주름살이 두드러진다. 반면에 백인에서는 굵은 주름살보다는 이마와 뺨에 잔주름이 많이 발생한다. 한국인에서도 같은 나이 또래에 비하여 주름살이 많아 더 늙게 보이는 사람이 있다. 또한 노인이 되어도 주름살이 별로 없는 사람이 있다. 아직까지 피부주름살과 연관된 유전자가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하다.
나아가, 태양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이 피부의 주름살을 유발시킨다. 얼굴과 같이 자외선에 오랫동안 노출된 피부에는 주름살이 더 굵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 주름살 등의 피부노화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레티노익 산(retinoic acid, vitamin A), 알파-하이드록산(alpha-hydroxy acids), 항산화제, 색소조절제 등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이용하고 있다. 수술적으로는 레이저를 이용한 박피술, 트리클로로아세트 산(trichloroacetic acid), 페놀(phenol) 등을 이용한 화학박피술, 보트리움 독소 주사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화장품법에서 지정하고 있는 기능성 주름 개선 원료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테이드레틴아마이드가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합성된 화합물로,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최근 화장품 분야에는 천연물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보습력과 노화 개선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결과가 두드러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38399호 (2018년 12월 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연 물질인 송육고 추출물과 에센셜 오일, 유화제 등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여 미백, 보습,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산화 및 항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송육고 추출물, 편백워터, 정제수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수상층 조성물; 및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유화제 및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존제는 1,2-헥산디올, 자몽 추출물, 히알루론산,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펜탄디올, 센시바(Sensiva) SC 50,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식물성 글리세린,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층 조성물은 송육고 추출물 1 내지 5 중량%, 편백워터 20 내지 50 중량%, 보존제 5 내지 15 중량% 및 정제수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화제는 올리브유화왁스, 몬타왁스, 레시틴, 모노미리스트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디글리세릴, 디올레산디글리세릴, 모노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디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및 디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센셜 오일은 유칼립투스(Eucalypus), 페퍼민트(Peppermint), 그레이프프루츠(Grapefruit), 네롤리(Nenolri), 니아룰리(Niaouli), 라벤더(Lavender), 라임(Lime), 레몬(Lemon), 레몬그래스(Lemongrass),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로즈우드(Rosewood), 마조람(Majoram), 만다린(Citrus madurensis), 머틀(Myrtle), 미르(Myrrh), 바질(Basil), 버베나(Verbena), 버취(Birch), 베르가못(Bergamot), 베이(Bay), 안식향(Benzoinum), 사이프러스(Cypress), 샌달우드(Sandaiwood), 시나몬(Cinnamon),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렌지스윗(Orange sweet),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Jasmine), 제라늄(Geranium), 쥬니퍼베리(Juniper berry), 진저(Ginger), 카모마일(Chamomile), 캠퍼(Camphor),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타임(Thyme), 탠저린(Tangerine), 티트리(Tea tree), 팔마로사(Paimarosa), 패?Z리(Patchouli), 페티그레인(Petitgrain), 프랭킨센스(Frankincense), 펜넬(Fennel) 및 히솝(Hyssop)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식물로부터 추출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상층 조성물은 호호바 오일 10 내지 15 중량%, 아르간 오일 5 내지 10 중량%, 시어버터 5 내지 15 중량%, 유화제 10 내지 20 중량% 및 에센셜오일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유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즈왁스, 가티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구아검, 레시틴, 카라기난, 키틴, 팩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증점제를 더 포함하며,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송육고 추출물을 최적의 함량으로 혼합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세포의 독소를 제거하는 셀레늄, 테르펜과 같은 성분이 풍부하여 습진, 백선과 같은 피부트러블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 예를 들어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 등의 형태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대중에게 제공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해당 식물의 뿌리, 잎, 줄기, 꽃, 열매 등을 분쇄, 열수, 용매 추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하는 유효성분이 포함된 물질을 통칭한다.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설명하면,
a) 송육고 추출물, 편백워터, 정제수 및 보존제를 혼합하여 수상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상층 조성물 제조 단계;
b)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유화제 및 에센셜오일을 혼합하여 유상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유상층 조성물 제조 단계;
c) 상기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을 일정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에 첨가제를 더 혼합하는 첨가제 혼합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 단계로 송육고 추출물, 편백워터, 정제수 및 보존제를 혼합하여 수상층 조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송육고는 송고, 송화라고도 하며, 송이와 표고의 종균재배를 통해 탄생한 버섯이다. 송육고의 갓은 표고버섯을 닮았고, 향은 송이버섯을 닮았으며, 일반 표고버섯보다 낮은 온도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육질이 단단하고, 대공 부분이 커져 쫄깃한 식감이 뛰어나다.
특히 표고에는 렌티난(lentinan)이라는 베타글루칸(β-gluca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이 렌티난은 면역 활성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피부의 유수분을 잡아주는 보습력이 히알루론산보다 약 20% 이상 높아 화장품의 보습 원료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표고는 콜레스테롤 저하, 항바이러스 효과 항종양 효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비타민 D 등 많은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송육고는 상기와 같이 일반 표고버섯보다 낮은 온도에서 성장하는 바, 베타글루칸의 양이 다른 표고버섯에 비해 50%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베타글루칸이 낮은 온도에서 발생한 표고버섯일수록 더 높은 함량을 보이기 때문이며, 표고와 송이의 종균재배를 통해 다른 표고나 송이에 비해 베타글루칸의 양이 더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상기 송육고는 갓, 기둥 등 모든 성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수확한 송육고는 세척하여 표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분쇄하거나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송육고를 온도 10±2℃, 습도 50 내지 60 %RH에서 45 내지 75시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시간 동안 상온에서 1 내지 7일간 발효 숙성하여 베타글루칸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육고는 먼저 송육고 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 여액과 균사체를 분리하고, 배양 여액을 농축한 후, 알콜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다당체를 추출하고 이를 물에 용해시켜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유효성분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육고 종균을 한천 배지에 접종한 후, 5 내지 7℃의 온도를 유지한 후, 서서히 온도를 올려 10 내지 12℃에서 재배한다. 배양 뒤에는 동일 배지에서 교반 속도 및 용존산소량을 균사체의 증식속도에 따라 증가시킨 후, 여액에 알콜 등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회수한 후, 물에 용해하여 불용분을 여과하는 방식으로 불순물이 제거된 송육고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송육고 추출물은 전체 수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베타글루칸의 함량 저하에 따른 보습, 주름개선, 피부미백 효과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특히 천포창, 물집, 루프스 등 피부에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 악화되어 가려움 또는 발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편백 워터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측백 나무과로 잎은 알모양 마름모 모양이며 둔두로서 질이 두껍고 녹색 표면에 1개의 선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점이 있고 옆에 달린 잎은 알모양 타원형으로서 끝만 떨어진다. 열매로 솔방울은 구형으로 지름 1 내지 1.2cm 이고 갈색이며 8 내지 10개의 실편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의 제(臍)는 작고 뾰족하다. 실편은 정사각형이며, 씨앗은 각 실편에 2개씩 들어 있으며 긴 삼각형이거나 양면이 돌출하고 2개의 지양이 있으며 길이 3㎝ 로서 날개가 좁다. 솔방울은 9 ~ 10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편백의 잎은 위장출혈로 인한 토혈과 복통을 그치게 하고, 미약하지만 임질에 이뇨작용을 보이며,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기침에 활용된다.
상기 편백워터는 전체 수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가려움 개선 효과, 보습 효과, 미백 효과가 큰 폭으로 저하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보존제는 제조되는 조성물의 유효성분 변질을 막기 위한 것으로,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보존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예를 들면, 1,2-헥산디올, 자몽 추출물, 히알루론산,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펜탄디올, 센시바(Sensiva) SC 50,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식물성 글리세린,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존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헥산디올, 자몽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식물성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2-헥산디올은 물과 알코일에 잘 섞일 수 있게 하는 용매로 적용되며, 보습력과 항균성이 좋으며, 자극이 거의 없어 천연추출물의 보존제로 사용된다.
상기 자몽 추출물은 45%에 상당하는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금속 이온들의 환원제로서 산소계, 특히 수소 라디칼을 생성시켜 이것이 세포막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활성을 저해하여 세포막 기능을 약화시켜 미생물의 세포 호흡 작용을 저해하고 미생물의 정상 생육을 억제한다. 즉, 세포막의 약화와 세포 호흡작용을 억제함으로서 미생물의 살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자몽종자 추출물의 주요 항균물질은 나린진(naringin)과 시트랄(citral)로서, 나린진은 비타민 P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으로 주로 잘 익은 자몽의 종자, 껍질에 많이 존재하며, 쓴맛이 있고, 항염 작용, 미백 작용 등에 상승작용을 갖는다. 시트랄은 감귤류에 많이 존재하며 자연적으로 게라니알(geranial, citral-alpha)과 네랄(neral, citral-beta)의 두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글루코사민글라이칸(glycosaminoglycan)의 하나이다. 히알루론산은 N-아세틸 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과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으로 이루어지는데, 세포외 기질에 존재 하며 조직의 수분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에 관여하며,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피부탄력감소 및 주름증가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 내 히알루론산 함량 유지는 보습 및 피부탄력 유지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 등의 항노화 피부 미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천연 재료로서 주로 식물의 열매와 씨로부터 추출한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이다. 대체로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온에서는 액체로 존재한다.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은 다른 고체 성분을 녹이는 용매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자체로 보습성을 가져 조성물의 수분 손실을 억제하며, 장기간 보관 시에도 조성물의 변질을 억제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전체 수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미비하며, 1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른 피부 자극 또는 알러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제수는 수상층 조성물을 용해 및 혼합하기 위한 용매이며, 첨가량은 전체 수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4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상층 조성물은 송육고 추출물, 편백워터, 정제수 및 보존제를 용기에 투입하고 40℃ 내외의 온도로 10분가량 가열하여 겔 형태의 수상층 재료를 녹인 후, 이를 교반하여 점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b) 단계와 같이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유화제 및 에센셜오일을 혼합하여 유상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호호바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유로서 안정성, 감촉 면에서 우수하고,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유상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다른 식물유에 비해 유성감이 적은 유지로서, 피지의 한 성분인 왁스에스테르(wax ester)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친화성이 높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호바 오일은 전체 유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10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호호바 오일의 첨가 효과가 미비하며, 1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다른 유효성분의 첨가 함량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조성물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다.
상기 아르간 오일은 아르가니아 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아르가니아 나무의 학명은 아르가니아 스피노사(Argania spinosa)이고, 아르가니아 나무는 뜨거운 열사와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열악한 환경을 이겨낸 나무로서, 모로코의 서쪽 해안가인 에사우이라(Essaouira)와 아가디르(Agadir)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아르가니아의 열매는 녹색이며 겉으로 보이기에는 올리브와 흡사하나 더 길고 둥글며 그 안의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은 매우 단단하다. 아르가니아의 열매에서 추출한 아르간 오일은 화장품 기타 의약외품 등 원료로 이용하는 것은 볶지 않고 냉각 압축으로 오일을 얻는다. 아르간 오일의 색은 엷은 노란색을 띤다.
아르간 오일은 30 내지 40%의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45 내지 50%의 올레산(oleic acid) 등의 천연 불포화 지방산, 토코페롤(tocopherols), 폴리-페놀(poly-phenols), 카로텐(carotenes), 스테롤(sterols) 및 터페닉(terpeni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몸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강력한 산화 방지제로 근본적으로 피부 및 인체의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비타민 E성분을 올리브 오일보다 2배 정도 함유해 산화 방지에 도움을 주며, 피부에 주는 보습력은 올리브 오일의 4배 정도이고, 피부 미용과 항산화 작용이 크며 상처 치료, 피부 재생, 주름 방지, 여드름과 아토피에도 좋은 효과가 있고 피부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과도 있다.
또한 기미, 주근깨 감소, 피부 탄력 강화, 각질화 방지, 피부 염증, 모발 건강에 효능이 좋으며 다양한 신체 부위에 사용이 가능하다. 아르간 오일은 원액 자체로 사용 및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효과도 향상된다.
상기 아르간 오일은 전체 유상층 조성물 100 중량% 중 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 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5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아르긴 오일의 첨가에 따른 제반 효과가 미비하게 나타나며, 1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사람에 따라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시어버터는 비타민 A, D, E, F, 다른 천연식물보다 많은 천연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아몬드와 같이 작은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지방성분으로, 피부를 연화시키고, 보습, 유연, 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시어버터는 전체 유상층 조성물 100 중량% 중 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 첨가할 수 있다. 5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미비하며, 1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다른 유효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아토피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는 두껍고 안정한 겔을 형성시켜 주며, 전체 조성물의 보습력을 유지하고 제형 내에서 뛰어난 사용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유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천연 유화제의 예를 들면 레시틴, 몬타왁스, 올리브유화왁스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모노미리스트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디글리세릴, 디올레산디글리세릴, 모노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디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및 디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등과 같은 글리세릴류를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들 중 몬타왁스나 올리브유화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올리브유화왁스(Cerearyl Olivate)는 액정구조를 형성하여 매우 안정적인 에멸전 형태를 유지하며, 올리브유화왁스로 유화시킨 로션은 매우 실키한 질감과 우수한 퍼짐성을 가지며 피부의 프로틴과 지방질을 용해시키지 않으면서 흡수되고 피부의 삼투수분손실을 줄여준다.
또한 상기 몬타왁스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추출한 유화제로 로션, 크림 등을 만들 경우에 발림성을 좋게 하며, 상기 레시틴은 다른 어떤 유화제보다 피부 친화적이며 사용감과 유화력이 우수해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광범위한 제형에 사용되는 천연유화제이고, 피부와 유사한 액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보습 기능성 물질의 효과적인 피부 전달, 썬 제품의 SPF 증대, 노화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화제는 전체 유상층 조성물 100 중량% 중 10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 중량% 첨가하는 것이 좋다. 10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상기 수상층 조성물과 상기 유상층 조성물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아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상기 유화제 이외에 유효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피부 미백, 보습력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향기를 갖는 식물에서 추출한 고농축 정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누의 향기와 함께 아로마 효과를 비롯한 향균과 각종 피부 기능성 효과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의 예로는 유칼립투스(Eucalypus), 페퍼민트(Peppermint), 그레이프프루츠(Grapefruit), 네롤리(Nenolri), 니아룰리(Niaouli), 라벤더(Lavender), 라임(Lime), 레몬(Lemon), 레몬그래스(Lemongrass),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로즈우드(Rosewood), 마조람(Majoram), 만다린(Citrus madurensis), 머틀(Myrtle), 미르(Myrrh), 바질(Basil), 버베나(Verbena), 버취(Birch), 베르가못(Bergamot), 베이(Bay), 안식향(Benzoinum), 사이프러스(Cypress), 샌달우드(Sandaiwood), 시나몬(Cinnamon),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렌지스윗(Orange sweet),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Jasmine), 제라늄(Geranium), 쥬니퍼베리(Juniper berry), 진저(Ginger), 카모마일(Chamomile), 캠퍼(Camphor),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타임(Thyme), 탠저린(Tangerine), 티트리(Tea tree), 팔마로사(Paimarosa), 패?Z리(Patchouli), 페티그레인(Petitgrain), 프랭킨센스(Frankincense), 펜넬(Fennel) 및 히솝(Hyssop)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에센셜 오일로 바람직하게는 카모마일, 유칼립투스 및 레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모마일은 독일 카모마일(Matricaria recutita)의 꽃이나 줄기 또는 잎에서 추출한 성분으로서 아피제닌(apigenin)과 그 유도체, 루틴(rutin) 등의 플라보노이드류와 움벨리페론(Umbelliferone)등의 쿠마린류 화합물, 카마줄렌(chamazulene) 등의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항염, 통증 완화, 상처 치유 작용이 있어 피부나 점막의 염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알러지나 홍반, 자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는 호주의 고무나무 또는 코알라 나무라 불리우는 상록의 교목으로서, 잎에 있는 여러 유선에 향이 좋은 정유가 들어있다. 유칼립투스의 나뭇잎과 잔가지로부터 추출물을 얻는데, 추출방법으로는 통상 수증기 증류법이 사용되고 시네올(cineol) 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낮은 온도의 진공상태에서 정류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칼립투스는 항박테리아성, 항염증성을 나타내고, 순환기계통을 강화시키고, 알러지를 억제하며, 머리를 맑게 하여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레몬은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수축과 이완을 돕고 콜라겐의 형성을 도와 피부 탄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성이 강해 수렴 작용이 있으며 모세 혈관을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레몬에 함유된 레몬정유는, 레몬오일, 디-레몬엔(d--lemonene),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오렌지 오일, 만다린 오일(mandarin oil), 오렌지 터핀(orenge terpene), 시트러스 터핀(citrus terpene), 레몬 터핀(lemon terpene), 라임 터핀(lime terpene)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향성이 우수하고 향긋한 냄새를 내며, 상기 카모마일과 유칼립투스와 혼합하였을 때 이들 성분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첨가하는 경우 각 에센셜 오일의 함량은 유칼립투스 15 내지 25 중량%, 카모마일 20 내지 30 중량% 및 레몬 오일 55 내지 7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에센셜 오일과는 별개로 캐리어오일로 블랙 세서미, 로즈 및 포도씨의 오일들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블랙세서미유(Black sesame Oil)는 비타민 E와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부 보습과 피부 손상예방에 효과적이며, 포도(Vitis vinifera Linne)에는 유기산, 비타민, 미네랄은 물론 anthocyanins, benzoic acid, flavonol procyanidin, prophylgallate 등의 페놀성 화합물과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resveratrol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동맥경화, 뇌졸증, 심장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으며 항암, 항산화, 항진균 작용을 한다. 특히 포도씨에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E가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E 중 tocotrienol은 항산화 활성 및 항암 노화지연 등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로즈힙 오일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자라는 로즈힙(rosa canina)의 빨간 열매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으로, 성상은 미황색 액상이다. 프로비타민 A(provitamin A; 대부분 베타-카로틴)와, 레티놀산(retinoic acid)을 함유하고 있고 필수 지방산(essential fatty acids; 오메가-6와 오메가-3)이 풍부하다. 로즈힙 오일은 피부에 빠른 흡수를 통해 수분을 보충하고, 막을 형성하여 건조화를 막아주며 피부결을 부드럽게 하여 다양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피부염, 여드름, 습진 등의 피부질환 및 태양에 입은 화상 피부의 개선, 피부 갈라짐 현상 완화 등에 사용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첨가량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전체 유상층 조성물 100 중량% 대비 4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8 중량% 첨가하는 것이 제형 유지, 유효 성분의 효과 강화 및 적용성 등이 개선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유상층 조성물은 용기에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유화제 및 에센셜오일을 투입한 후, 70℃ 내외의 온도로 가열하여 겔화한다. 이때 상기 수상층 조성물의 온도가 유상층 조성물의 온도보다 높았을 때 혼합이 용이하므로, 온도를 조절하거나 가열 시점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c) 단계와 같이 제조된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을 일정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수상층 조성물의 온도가 유상층 조성물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더 잘 혼합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조성물의 가열 시점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상층 조성물에 유상층 조성물을 수회 나누어서 붓는 것이 좋다. 이는 한번에 유상층 조성물을 투입하는 경우 상분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피부와 조성물의 밀착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물은 수상층 조성물과 수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유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을 1 : 0.8 내지 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피부와의 밀착성을 강화하는 것 이외에 유상층 조성물의 첨가량이 늘어나는 경우 뭉침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발림성 등이 하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을 혼합한 후에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화하는 것이 좋다. 유화 시 교반 속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rpm의 교반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혼합물의 과도한 고화를 방지할 수 있어 좋다.
상기 혼합물은 40℃ 이하로 냉각하는 것이 좋다. 이는 추후 첨가되는 에센셜 오일과 같은 첨가물의 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유화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의 혼합 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증점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증점제는 전체 조성물의 제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예를 들면 비즈왁스, 가티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구아검, 레시틴, 카라기난, 키틴, 팩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복수의 증점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증점제는 전체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의 혼합물 100 중량부 중 10 내지 2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성물의 제형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의 층분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에 첨가제를 더 혼합하여 조성물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예를 들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방향제(향료),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점증제, 무기 염류, 보존제, 보습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시험예는 다음과 같다.
(항균성)
피부 상재균인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를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3일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1 ㎖를 도포한 후 24시간 경과 후 균의 집락수를 측정한 후, 초기 균수 대비 24시간 경과 후 균수를 바탕으로 항균율을 계산하였다.
(미백성)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크림 제형의 시료를 건성, 정상, 복합성 피부를 가진 20 내지 5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세안 후, 1일 1회 20일 동안 한쪽 면에는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크림을 도포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도포하지 않았다. 그리고 20일이 지난 후에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개개인 별로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주름개선)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adult)를 10% LSGS가 첨가된 Medium 106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MMP-1의 발현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MMP-1 발현 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수학식 2]
MMP-1 발현 억제율(%)=100-[(시료 MMP-1 발현량/ 양성 대조군 MMP-1 발현량) ×100]
산출된 MMP-1 발현 억제율을 기재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아데노신(Adenosine, 발현 억제율: 60.5%)을 사용하였다.
(관능검사)
중지성 피부를 가진 성인 남성 및 여성 피험자 20명(A 그룹), 건성 피부를 가진 성인 남성 및 여성 피험자 20명(B 그룹), 아토피 피부를 가진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피험자 20명(C 그룹)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편을 1개월 동안 하루 2회 적용하도록 한 후 하기 평가항목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로 실시하였다. 이때, 자극감 평가의 경우 자극감을 느끼는 피험자의 수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먼저 편백워터 37 중량%, 정제수 48 중량%, 1,2-헥산디올, 자몽 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한 보존제 11 중량% 및 송육고 추출물 4 중량%를 용기에 투입하고 4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수상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가 끝난 수상층 조성물은 상온에서 식혔다.
다음으로 호호바오일 13 중량%, 아르간오일 6 중량%, 유칼립투스, 카모마일 및 레몬 오일을 각각 18 : 24 : 58 중량비로 혼합한 에센셜 오일 55 중량%, 올리브왁스와 몬타왁스68을 7 : 3 중량비로 혼합한 유화제 15 중량% 용기에 투입하고 70℃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용기 내용물이 완전히 녹으면 시어버터 11 중량%를 투입하고 서서히 녹여 유상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가 끝난 유상층 조성물은 상온에서 식혔다.
그리고 상기 수상층 조성물과 유상층 조성물을 53 : 47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고화하여 크림 형태의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수상층 조성물의 조성비와 수상층 조성물 : 유상층 조성물의 조성비를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비교예 2는 송육고 추출물을 대신하여 표고 추출물(비교예 2), 송이 추출물(비교예 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9130667232-pat00001
[표 2]
Figure 112019130667232-pat00002
[표 3]
Figure 112019130667232-pat00003
[표 4]
Figure 112019130667232-pat00004
(상기 표 3 내지 4에서 주관적 자극감은 가려움, 당김, 화끈거림을, 객관적 자극감은 수포, 홍반, 갈라짐을 뜻한다.)
상기 표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성을 가지며, 주름 개선 및 보습효과가 탁월하고, 알러지의 주요 증상인 홍반과 가려움증, 수포 등이 발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주요 성분인 송육고 추출물의 함량이 본원 발명의 조성비를 벗어나는 경우 주름 개선효과가 떨어지거나 피부에 자극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본원발명의 조성비가 안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송육고를 온도 10±2℃, 습도 50 내지 60 %RH에서 45 내지 75시간 상온에서 1 내지 7일간 발효 숙성하여 추출한 추출물 1 내지 5 중량%, 편백워터 20 내지 50 중량%, 보존제 5 내지 15 중량% 및 정제수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수상층 조성물; 및
    호호바 오일 10 내지 15 중량%, 아르간 오일 5 내지 10 중량%, 시어버터 5 내지 15 중량%, 유화제 10 내지 20 중량% 및 에센셜오일 4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층 조성물;
    을 포함하는 것으로 수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 및 유상층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를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1,2-헥산디올, 자몽 추출물, 히알루론산,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펜탄디올, 센시바(Sensiva) SC 50,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올리브유화왁스, 몬타왁스, 레시틴, 모노미리스트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모노글리세릴, 모노올레산디글리세릴, 디올레산디글리세릴, 모노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디올레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 및 디스테아르산테트라글리세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유칼립투스(Eucalypus), 페퍼민트(Peppermint), 그레이프프루츠(Grapefruit), 네롤리(Nenolri), 니아룰리(Niaouli), 라벤더(Lavender), 라임(Lime), 레몬(Lemon), 레몬그래스(Lemongrass),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로즈마리(Rosemary), 로즈우드(Rosewood), 마조람(Majoram), 만다린(Citrus madurensis), 머틀(Myrtle), 미르(Myrrh), 바질(Basil), 버베나(Verbena), 버취(Birch), 베르가못(Bergamot), 베이(Bay), 안식향(Benzoinum), 사이프러스(Cypress), 샌달우드(Sandaiwood), 시나몬(Cinnamon),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렌지스윗(Orange sweet),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Jasmine), 제라늄(Geranium), 쥬니퍼베리(Juniper berry), 진저(Ginger), 카모마일(Chamomile), 캠퍼(Camphor),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타임(Thyme), 탠저린(Tangerine), 티트리(Tea tree), 팔마로사(Paimarosa), 패?Z리(Patchouli), 페티그레인(Petitgrain), 프랭킨센스(Frankincense), 펜넬(Fennel) 및 히솝(Hyssop)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식물로부터 추출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즈왁스, 가티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구아검, 레시틴, 카라기난, 키틴, 팩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및 콘실 스틱(conceal stick)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69270A 2019-12-17 2019-12-17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0A KR102389926B1 (ko) 2019-12-17 2019-12-17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0A KR102389926B1 (ko) 2019-12-17 2019-12-17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35A KR20210077535A (ko) 2021-06-25
KR102389926B1 true KR102389926B1 (ko) 2022-04-25

Family

ID=7662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270A KR102389926B1 (ko) 2019-12-17 2019-12-17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9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27B1 (ko) * 2012-07-23 2014-09-15 주식회사 두래 백화고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14239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에이치티티엔 미백 화장품 조성물
KR20170138822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코스앤코 미백화장품 조성물
KR101964809B1 (ko) 2017-06-21 2019-04-02 주식회사 제이피에스코스메틱 No 활성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제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um 블로그] "제주 송화고"(2015.03.02.) 1부.*
[네이버 블로그] "천연 화장품 :: 편백수 바디로션 만들기"(2014.11.1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35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798B (zh) 一种全效眼霜及制备方法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860307B1 (ko)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2293733A (zh) 全方位美白祛斑护肤产品
CN107929206A (zh) 一种具有抗皱活化多糖蛋白密集抗氧化护肤品
CN109771337A (zh) 一种鸸鹋油护唇膏及其制备方法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486A (zh) 一种神经酰胺滋润保湿霜及其制备方法
CN109700675A (zh) 一种细胞复活草霜及其制备方法
KR20200075495A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501A (zh) 一种神经酰胺赋活乳及其制备方法
KR102389926B1 (ko) 송육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4754834B2 (ja) 化粧料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04248523A (zh) 一种植物美白祛斑乳液
CN103720632A (zh) 海洋生物抗皱修复霜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