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8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84B1
KR102389884B1 KR1020150140713A KR20150140713A KR102389884B1 KR 102389884 B1 KR102389884 B1 KR 102389884B1 KR 1020150140713 A KR1020150140713 A KR 1020150140713A KR 20150140713 A KR20150140713 A KR 20150140713A KR 102389884 B1 KR102389884 B1 KR 10238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plat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360A (ko
Inventor
김대환
박승룡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84B1/ko
Priority to US15/579,059 priority patent/US10609262B2/en
Priority to CN201680032634.2A priority patent/CN107690594B/zh
Priority to PCT/KR2016/005879 priority patent/WO2016195403A1/ko
Publication of KR2017004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360A/ko
Priority to US16/808,998 priority patent/US111721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
    • H04N5/2253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1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공간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히터를 장착하여 렌즈에 성에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용 CCTV,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의 주차 등에 사용되는 후방카메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방범용, 차량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실외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의 부품이 렌즈는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므로, 주위환경에 민감할 수 있다.
특히, 주위의 기온이 빙점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렌즈의 노출부위에는 성에가 부착될 수 있고, 이러한 성에는 렌즈로 광의 입사를 방해하여 카메라 모듈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거나, 촬영되는 이미지를 흐리거나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공간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히터를 장착하여 렌즈에 성에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1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는,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단자부; 상기 제1가열부와 상기 제1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1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렌즈의 상부가 장착되는 통공;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이 연결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1가열판;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1가열판에 부착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1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층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층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재질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단자부와 제1연결부에 분리된 2개의 제1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1도선은 상기 제1가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부에 형성되는 상기 2개의 제1도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홀더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 및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2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는, 상기 배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럴 및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2단자부; 상기 제2가열부와 상기 제2단자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단자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2전극이 연결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2가열판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단자부와 제2연결부에 분리된 2개의 제2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2도선은 상기 제2가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3히터; 상기 배럴과 상기 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럴과 상기 홀더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전기절연층;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히터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간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히터를 카메라 모듈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성에 제거를 위한 히터가 장착되면서도 부피가 작은 카메라 모듈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히터를 사용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에 부착되는 성에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작동불량, 촬영되는 이미지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1히터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제3히터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도시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배럴(100), 홀더(200), 케이싱(300), 인쇄회로기판(400) 및 제1히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100)은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럴(100)에 결합되는 렌즈(1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렌즈(10)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배럴(100)에 복수의 렌즈(10)들이 광축방향으로 정렬하여 광학계를 형성하는 구조가 도시되었다.
홀더(200)는 상기 배럴(1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홀더(200)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100)의 일부를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배럴(100)은 홀더(200)와 나사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결합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 나사산을 형성하고, 배럴(100)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하는 암 나산을 형성하여 배럴(100)과 홀더(200)를 서로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한편, 배럴(100)과 마찬가지로, 홀더(200)에도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배럴(100)과 홀더(200)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 배럴(100)의 중공과 홀더(200)의 중공은 서로 광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럴(100)의 중공과 홀더(200)의 중공에 걸쳐 장착되는 렌즈(10)를 통해 광은 광축방향으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00)는 상기 배럴(100)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와 맞닿을 수 있으며, 후술할 제1가열부(510)와 맞닿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200)와 상기 배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사이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홀더(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위해 오링(O-ring)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30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400)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2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300)과 홀더(200)는 나사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결합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00)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홀더(200)의 외주면에 이에 대응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케이싱(300)과 홀더(200)를 서로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면에 상기 렌즈(10)와 대향되는 부위에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은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히터(500)에 다시 공급되어 제1히터(500)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신호를 다른 장치 또는 부품으로 전송하거나,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형성 또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410)는 상기 제1히터(500)에 구비되는 제1단자부(52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4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500)의 제1단자부(520)에 형성되는 2개의 제1도선(541)에 상기 한 쌍의 커넥터(410)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410)와 제1도선(541) 사이에 단선(disconnec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커넥터(410)는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커넥터(410)는 상기 제1단자부(5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어느 한 쌍의 커넥터(410)가 상기 제1도선(541)과 단선되더라도 나머지 커넥터(410)들이 상기 제1도선(541)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410)은 탄성재질 또는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의 커넥터(410)을 참조하면, 커넥터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히터(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렌즈(10) 특히, 상기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렌즈(10)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주위의 기온이 빙점 이하일 경우,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에는 성에(frost)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성에는 렌즈(10)를 불투명하게 하거나 투명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상기 렌즈(10)로 광의 입사를 방해하여 카메라 모듈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거나, 촬영되는 이미지를 흐리거나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에 성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히터(500)를 사용하여 렌즈(10) 특히, 그 외부 노출부위 즉, 도 1에서 보아 렌즈(10)의 상부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1히터(500)는 구조가 간단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도록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고, 가열방식도 이에 부응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500)는,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500)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50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1히터(500)에 구비되는 제1코팅층(513)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히터(500)는 제1가열부(510), 제1단자부(520), 제1연결부(530) 및 제1전극(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열부(510)는 상기 렌즈(1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통공(511), 제1가열판(512) 및 제1코팅층(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열판(512)은 제1전극(5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전극(54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열판(5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공(511)은 상기 제1가열판(51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가열부(510)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통공(511)에는 상기 렌즈(10)의 상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1가열판(512)은 렌즈(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10)의 상부와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열부(510)에는 상기 제1가열판(512)과 함께 렌즈(10)의 상부와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할 수 있는 제1코팅층(51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코팅층(513)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단자부(5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자부(520)와 인쇄회로기판(4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부(530)는 상기 제1가열부(510)와 상기 제1단자부(5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530)가 제1가열판(512)과 제1단자부(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530)에는 제1전극(54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극(540)은 상기 제1단자부(5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540)은 상기 제1단자부(520) 및 상기 제1연결부(530)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제1가열판(5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제1도선(5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극(540)은, 상기 제1단자부(520)와 제1연결부(530)에 분리된 2개의 제1도선(541)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1도선(541)은 상기 제1가열판(5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2개의 제1도선(541)은 제1단자부(520)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커넥터(4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400)은 커넥터(410)와 제1도선(541)을 통해 상기 제1가열판(5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가열판(512)은 인쇄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열판(512)과 상기 제1전극(540)은, 예를 들어, 상기 제1히터(500)에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히터(500)에서 제1가열판(512), 제1전극(540) 및 제1코팅층(513)을 제외한 부분은 전기절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특히 제1전극(540)의 한 쌍의 제1도선(541)이 서로 합선(short)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히터(500)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510)는 제1코팅층(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팅층(51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팅층(513)은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1가열판(512)에 부착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10)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코팅층(513)은 제1가열판(512)과 마찬가지로 렌즈(10)의 상부와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코팅층(513)은 전력을 공급받아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코팅층(513)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팅층(513)은 상기 제1가열판(512)에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제1가열판(512)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팅층(513)의 중앙부는 렌즈(10)의 표면에 부착되므로,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제1코팅층(513)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제1코팅층(513)은 렌즈(10)의 상부 표면에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렌즈(10) 하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10)의 하부 표면의 가장자리까지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층(513)은 예를 들어,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인듐-주석 산화물 재질은 투명하고 도전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히터(500)는 적어도 일부, 즉 제1가열부(510)와 제1연결부(530)가 배럴(100)과 홀더(200) 사이에 개재되고, 제1단자부(520)가 상기 배럴(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500)가 상기한 구조로 배치되기 위해, 도 2에 전개도로 도시된 제1히터(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가공될 필요가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600)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히터(600)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 배럴(100), 홀더(200), 케이싱(300) 및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600)가 렌즈(10), 배럴(100), 홀더(200), 케이싱(300) 및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모습은 도 1로부터 자명하게 도출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의 기재와 설명은 생략한다.
제2히터(6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배럴(100) 및 상기 렌즈(10)를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에 성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히터(600)를 사용하여 배럴(100) 및 이에 결합되는 렌즈(1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2히터(600)는 구조가 간단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도록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고, 가열방식도 이에 부응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제2히터(600)는,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600)는 제2가열부(610), 제2단자부(620), 제2연결부(630) 및 제2전극(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열부(610)는 상기 배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럴(100) 및 상기 렌즈(10)를 가열할 수 있고, 제2가열판(6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열판(611)은 제2전극(6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64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열판(6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단자부(6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단자부(620)와 인쇄회로기판(40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연결부(630)는 상기 제2가열부(610)와 상기 제2단자부(6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630)가 제2가열판(611)과 제2단자부(6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630)에는 제2전극(64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640)은 상기 제2단자부(6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640)은 상기 제2단자부(620) 및 상기 제2연결부(630)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제2가열판(6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제2도선(6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극(640)은, 상기 제2단자부(620)와 제2연결부(630)에 분리된 2개의 제2도선(641)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2도선(641)은 상기 제2가열판(6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2개의 제2도선(641)은 제2단자부(620)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커넥터(4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400)은 커넥터(410)와 제2도선(641)을 통해 상기 제2가열판(6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가열판(611)은 인쇄회로기판(4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열판(611)과 상기 제2전극(640)은, 예를 들어, 상기 제2히터(600)에 프린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히터(600)에서 제2가열판(611), 제2전극(640)을 제외한 부분은 전기절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특히 제2전극(640)의 한 쌍의 제2도선(641)이 서로 합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히터(600)가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히터(600)의 일부, 즉 제2가열부(610)와 제2연결부(630)가 배럴(100)과 홀더(200) 사이에 개재되고, 제2단자부(620)가 상기 배럴(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가열부(610)는 상기 배럴(100)의 외주면과 상기 홀더(20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배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열부(610)에 구비되는 제2가열판(611)은 가열되고,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열은 상기 배럴(100)과 이에 결합하는 렌즈(10)로 전달되어, 상기 제2가열판(611)은 상기 배럴(100) 및 상기 렌즈(10)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에 성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히터(600)를 사용하여 렌즈(10)를 전체적으로 가열한다.
한편, 상기 제2히터(600)가 상기의 구조로 카메라 모듈에 배치되기 위해, 도 6에 전개도로 도시된 제2히터(6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가공될 필요가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제3히터(700)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도시되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배럴(100), 홀더(200), 케이싱(300), 인쇄회로기판(400), 제3히터(700), 제2코팅층(710), 전기절연층(800) 및 커넥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럴(100), 홀더(200) 및 케이싱(300) 이미 전술한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배럴(100)과 홀더(200)의 경우 그 사이에 전기절연층(800)이 개재될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는 전술한 것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전기절연층(800)은, 상기 배럴(100)과 상기 홀더(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럴(100)과 상기 홀더(2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배럴(100)과 홀더(200)가 인쇄회로기판(400)과 제3히터(700)를 서로 통전시키는 도선의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배럴(100)과 홀더(200)가 서로 합선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상기 전기절연층(800)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히터(700)는 상기 배럴(100) 및 상기 홀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1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3히터(700)는 상기 제1가열부(510) 및/또는 상기 제1가열판(512)과 마찬가지로 렌즈(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10)의 상부와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3히터(7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코팅층(7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코팅층(710)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제2코팅층(710)은 렌즈(10) 하부 표면에 배치되어 제1가열판(512) 또는 제3히터(700)와 맞닿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제2코팅층(710)은 상기 제3히터(700)에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코팅층(513)과 그 구조, 재질 및 기능 등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기 제2코팅층(71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케이싱(30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럴(100) 및 상기 홀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히터(7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400)은 배럴(100)과 홀더(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는 전술한 도 1의 인쇄회로기판(400)과 그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배럴(100)과 홀더(200)를 통해 제3히터(700)와 제2코팅층(7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10)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410)와 그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나, 그 기능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배럴(100) 및 홀더(200)를 연결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커넥터(410)는 각각 상기 배럴(100)과 상기 홀더(200)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히터(700)는 상기 렌즈(10)의 상부와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를 가열하여, 렌즈(10)의 외부 노출부위에 성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간면적을 작게 차지하는 히터를 카메라 모듈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성에 제거를 위한 히터가 장착되면서도 부피가 작은 카메라 모듈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 히터를 사용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에 부착되는 성에로 인한 카메라 모듈의 작동불량, 촬영되는 이미지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배럴
200: 홀더
300: 케이싱
400: 인쇄회로기판
410: 커넥터
500: 제1히터
510: 제1가열부
520: 제1단자부
530: 제1연결부
540: 제1전극
600: 제2히터
610: 제2가열부
620: 제2단자부
630: 제2연결부
640: 제2전극
700: 제3히터
710: 제2코팅층
800: 전기절연층

Claims (17)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고 탑면, 바닥면 및 상기 탑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절곡된 부분을 갖는 측면을 포함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1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히터는,
    상기 탑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단자부; 및
    상기 측면의 일부인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부와 상기 제1 단자부를 연결하는 판상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판상 제1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렌즈의 상부가 장착되는 통공;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이 연결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1가열판;
    가장자리부가 상기 제1가열판에 부착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1코팅층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재질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단자부와 제1연결부에 분리된 2개의 제1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1도선은 상기 제1가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부에 형성되는 상기 2개의 제1도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9.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고 탑면, 바닥면 및 상기 탑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절곡된 부분을 갖는 측면을 포함하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며,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가 상기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홀더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 및 상기 렌즈를 가열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판상 제2가열부 및 판상 제2 연결부; 및
    상기 판상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부 및 상기 판상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제2가열부는,
    상기 제2전극이 연결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2가열판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단자부와 판상 제2연결부에 분리된 2개의 제2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제2도선은 상기 제2가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3.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광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며,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배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배럴의 일부를 수용하며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케이싱;
    상기 배럴과 상기 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럴과 상기 홀더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전기절연층;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가열하며, 상기 배럴의 탑면과 상기 전기절연층의 상면에 배치된 제3히터;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제3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히터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앙부가 상기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럴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제1 연결부에는,
    상기 판상 제1 연결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돌출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상기 판상 제1 연결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 상면에 절곡되어 상기 돌출 상면과 상기 배럴 바닥면을 연결되는 돌출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절곡되어 배치되고,
    상기 판상 제1 연결부, 제1절곡부,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연결부는 판상의 라인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판상의 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제2 연결부에는,
    상기 판상 제2 연결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돌출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상기 판상 제2 연결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 상면에 절곡되어 상기 돌출 상면과 상기 배럴 바닥면을 연결되는 돌출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절곡되어 배치되고,
    상기 판상 제2 연결부, 제1절곡부,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연결부는 판상의 라인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판상의 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40713A 2015-06-03 2015-10-07 카메라 모듈 KR10238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13A KR102389884B1 (ko) 2015-10-07 2015-10-07 카메라 모듈
US15/579,059 US10609262B2 (en) 2015-06-03 2016-06-03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201680032634.2A CN107690594B (zh) 2015-06-03 2016-06-03 透镜镜筒和包括该透镜镜筒的相机模块
PCT/KR2016/005879 WO2016195403A1 (ko) 2015-06-03 2016-06-03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6/808,998 US11172105B2 (en) 2015-06-03 2020-03-04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13A KR102389884B1 (ko) 2015-10-07 2015-10-0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360A KR20170041360A (ko) 2017-04-17
KR102389884B1 true KR102389884B1 (ko) 2022-04-25

Family

ID=5870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13A KR102389884B1 (ko) 2015-06-03 2015-10-0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21B1 (ko) 2017-11-07 2020-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61940B1 (ko) * 2018-02-09 2023-08-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942330B2 (en) 2018-02-09 2021-03-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O2019225745A1 (ja) * 2018-05-24 2019-11-28 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153347B1 (ko) * 2018-12-19 2020-09-08 주식회사 세코닉스 빙결 및 결로 방지용 카메라 모듈
JP2022527753A (ja) * 2019-03-26 2022-06-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ヒーティング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147917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카메라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0482A (ja) * 1995-06-09 1996-12-24 Nikon Corp 赤外線撮像装置
KR20100019676A (ko) * 2008-08-11 2010-0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KR20110068442A (ko) * 2009-12-16 2011-06-22 주식회사 오카스 카메라 윈도우 성에방지용 히터와 그 구동시스템
KR102059169B1 (ko) * 2012-07-30 2019-1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360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884B1 (ko) 카메라 모듈
CN107690594B (zh) 透镜镜筒和包括该透镜镜筒的相机模块
US11435574B2 (en) Camera module
CN113260104B (zh) 用于相机模块的加热装置和具有该加热装置的相机模块
CN110326282B (zh) 相机模块及车辆
KR102097321B1 (ko) 카메라 모듈
KR102433450B1 (ko) 카메라 모듈
US20180314032A1 (en) Camera Module and Camera for Vehicle
KR20170023664A (ko) 카메라 모듈
KR102344461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06045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14151342U (zh) 镜筒、成像组件和镜头
KR102447477B1 (ko) 카메라 모듈
KR102549036B1 (ko) 카메라 모듈
CN113906342B (zh) 相机模块
CN214623270U (zh) 成像组件和镜头
KR20180093486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112711162A (zh) 成像组件和镜头
KR102371585B1 (ko) 카메라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93487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113534576B (zh) 带加热装置的摄像模组
CN112711161A (zh) 镜筒、成像组件和镜头
US20200212625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20147917A (ko) 카메라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