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314B1 - 카드 지갑 - Google Patents

카드 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314B1
KR102389314B1 KR1020210089859A KR20210089859A KR102389314B1 KR 102389314 B1 KR102389314 B1 KR 102389314B1 KR 1020210089859 A KR1020210089859 A KR 1020210089859A KR 20210089859 A KR20210089859 A KR 20210089859A KR 102389314 B1 KR102389314 B1 KR 10238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holder
strap
walle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일
Original Assignee
윤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일 filed Critical 윤재일
Priority to KR102021008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45C2007/0013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with fastener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가 홀더부에 삽입된 상태로 카드 결제를 가능케 하여 카드 결제 후 카드의 분실을 방지하는 카드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카드 지갑은, 카드의 제1 부분을 수용하는 홀더부, 및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상기 홀더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상기 카드의 제2 부분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 지갑 {Card Holder}
본 발명은 카드 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결제시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카드 분실 및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카드 지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불 수단으로써 하나의 지갑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신분증, 출입증 등의 카드류와 현금을 같이 휴대한다. 따라서 지갑을 분실할 경우 치명적인 개인손실이 발생된다. 최근에는 현금과 카드를 분리 휴대함으로써 개인손실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목걸이형 카드 지갑이 제안되어 있다.
기존에 사용하는 목걸이형 카드 지갑은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emperature polyurethane)의 투명창을 구비함으로써, 카드 전체가 지갑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 지갑에 삽입되어 있는 카드로 결제하기 위하여, 카드 지갑으로부터 카드를 인출하여 상대방에서 직접 전달하거나 무인 결제 단말기에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카드를 무인 결제 단말기에 삽입한 후 결제가 끝난 시점에서 카드의 삽입 사실을 잊어버리고 그 자리를 뜨게 되는데, 이로써 카드를 분실하게 된다. 이러한 카드 분실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드를 카드 지갑에서 인출하지 않고 카드 지갑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결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결제하기 위하여 카드 지갑으로부터 카드를 인출하는 단계에서 카드가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의 투명창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카드의 인출이 어렵고, 카드의 전체 부분 중 일 부분이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의 투명창에 마찰된다. 또한, 카드의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카드 지갑의 입구에 무리하게 삽입함으로써 카드 지갑의 입구가 파손되기도 한다. 또한, 열가소성폴리우레탄의 투명창은 카드에 기입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가 홀더부에 삽입된 상태로 카드 결제를 가능케 하여 카드 결제 후 카드의 분실을 방지하는 카드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가 홀더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카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카드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가 삽입되는 홀더부를 몸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카드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은, 카드의 제1 부분을 수용하는 홀더부, 및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상기 홀더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상기 카드의 제2 부분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띠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일면에 접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박음질 또는 접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제단되거나, 분리 제단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띠부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제2 부분을 경유하면서 지지하고 단부에 구비된 암 또는 수 체결부로 상기 제1 부재에 구비된 수 또는 암 체결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암, 수 체결부는 똑딱 버튼(snap fit buttons), 자석 똑딱 버튼(magnetic snap buttons),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형성하는 IC칩 또는 마그네틱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은,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걸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띠부의 반대측에 박음질된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연결 고리에 설치되는 링부재에 후크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후크 부재 일측의 링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는 양측을 감싸서 2단으로 잡아주는 제1 조절 가압부재와 제2 조절 가압부재, 및 양단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3 조절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후크 부재 일측의 링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는 양측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1 조절 가압부재, 양단 중 일단과 상기 스트랩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2 조절 가압부재, 및 양단 중 다른 일단과 상기 스트랩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3 조절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더부와 띠부(또는 스트랩을 포함)를 구비하여 홀더부에 가드가 삽입된 상태로 카드 결제를 가능케 하여 카드 결제 후 카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홀더부 및 띠부에 의하여 카드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막아 주므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카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홀더부에 결합되는 스트랩이 사용자의 신체, 목이나 손목에 걸려있으므로 카드 및 홀더부가 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를 분해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 스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 스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의 사용 상태들의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더를 분해한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카드 지갑(100)은 홀더부(10) 및 띠부(20)를 포함한다. 카드 지갑(100)은 스트랩(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0)는 카드(40)의 제1 부분(P1)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카드(40)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및 맴버십카드 등을 포함한다. 카드(40)는 대체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으로 구획될 수 있다. 홀더부(10)는 카드(4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일부 막아 주므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부분(P2)은 데이터 저장부(43)를 구비하므로 제1 부분(P1)이 홀더부(10)에 삽입 수용된다. 즉 제2 부분(P2)은 홀더부(10) 밖으로 노출된다. 홀더부(10)에 의한 제2 부분(P2)의 노출은 카드(40)를 카드 지갑(100)으로부터 꺼내지 않고 카드 단말기에서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띠부(20)는 일단으로 홀더부(1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으로 홀더부(10)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띠부(20)는 홀더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카드(40)의 제2 부분(P2)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띠부(20)는 카드(4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일부 막아 주므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띠부(20)에 의한 제2 부분(P2)의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것은 카드 지갑(100)에서 카드(40)가 무의식 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랩(230)은 홀더부(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걸도록 폐곡선을 형성한다. 스트랩(230)이 폐곡선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목이나 손목에 걸리게 되므로 카드(40) 및 홀더부(10)가 사용자의 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부(10)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1)는 카드(40)에서 제1 부분(P1)의 일면에 접하고, 제2 부재(12)는 제1 부분(P1)의 다른 일면에 접하도록 제1 부재(11)에 박음질 또는 접착(미도시)되어 제1, 제2 부재(11, 12) 사이에 카드(40)의 제1 부분(P1)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띠부(20)는 제2 부재(12)와 일체로 제단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제단되어 결합된다. 일체 구조는 홀더부(10)에 카드(4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안정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홀더부 및 제2 부재가 고급 소재, 일례로써 가죽으로 형성될 경우, 제단 후 버려지는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띠부는 홀더에 박음질로 연결될 수도 있다(미도시). 홀더부(10) 및 띠부(20)는 섬유,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SUS)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부(20)는 홀더부(10)에 삽입된 카드(40)의 제2 부분(P2)을 경유하면서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띠부(20)의 단부에 암 또는 수 체결부(21)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부재(11)에 에 구비된 수 또는 암 체결부(22)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된다. 일례를 들면, 암, 수 체결부(21, 22)는 똑딱 버튼(snap fit buttons), 자석 똑딱 버튼(magnetic snap buttons),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는 데이터 저장부(43)를 형성하는 IC칩을 노출시켜, 실질적으로 카드 단말기에서 결제 시 사용되는 부분을 노출시킴으로써 홀더부(10)에서 카드(40)의 인출을 불필요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카드 지갑(200)에서 홀더부(210)는 데이터 저장부(243)를 형성하는 마그네틱부를 노출시켜, 실질적으로 카드 단말기에서 결제 시 사용되는 부분을 노출시킴으로써 홀더부(210)에서 카드(240)의 인출을 불필요하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홀더부(10)는 띠부(20)의 반대측에 박음질된 연결 고리(13)를 더 포함한다. 연결 고리(13)는 링부재(14)를 개재하여 스트랩(230)의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즉 스트랩(230)은 링부재(14)에 후크 부재(31)로 결합된다. 후크 부재(31)의조작을 통하여 스트랩(230)은 링부재(14)에 연결되거나 링부재(14)로부터 분리 교체될 수 있다. 홀더부(10)와 스트랩(230)의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구조는 복수의 홀더부(10)와 복수의 스트랩(230)을 구비한 소비자에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 스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랩(230)은 양단에 캡(32, 33)을 구비하여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고정 및 길이 조절을 위하여 제1 조절 가압부재(34), 제2 조절 가압부재(35) 및 제3 조절 가압부재(36)를 포함한다.
스트랩(230)은 후크 부재(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링(37)을 관통하여 링(37) 결합된다. 제1 조절 가압부재(34)와 제2 조절 가압부재(35)는 링(37)을 관통하는 스트랩(230)의 양측을 감싸서 2단으로 잡아주므로 스트랩(230)에 대한 링(37)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조절 가압부재(34)와 제2 조절 가압부재(35)의 간격을 넓히므로 그 사이에 손목을 삽입하여 스트랩(230)을 손목에 걸고 있는 상황에서 제3 조절 가압부재(36)를 조작하여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였다.
제3 조절 가압부재(36)는 스트랩(230)의 양단을 감싸서 잡아주므로 스트랩(230)이 폐곡선을 형성하게 한다. 이로써, 스트랩(230)은 제3 조절 가압부재(36)의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효과적으로 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랩(230)은 목에 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 스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랩(30)에서, 제1 조절 가압부재(34)는 후크 부재(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링(37)에 관통 결합되고, 링(37)을 관통하는 양측을 감싸서 잡아준다.
스트랩(30)을 목에 거는 경우, 제1 조절 가압부재(34)가 카드 지갑의 위치를 항상 같은 위치에 고정시켜서 결제할 때 마다 스트랩(30)을 따라 몸의 뒤로 이동한 카드 지갑을 찾는 수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조절 가압부재(35)는 스트랩(30)의 양단 중 일단과 이에 대응하는 스트랩(30)을 감싸서 잡아주고, 제3 조절 가압부재(36)는 스트랩(30)의 양단 중 다른 일단과 스트랩(30)을 감싸서 잡아주므로 스트랩(30)이 폐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제3 조절 가압부재(35, 36)는 스트랩(30)의 양단을 연결하여 목에 스트랩(30)을 걸고 있는 상황에서도 스트랩(30)의 길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제2, 제3 조절 가압부재(35, 36)의 위치에 따라 스트랩(30)의 길이가 설정, 즉 폐곡선의 둘레가 설정됨으로써, 스트랩(30)은 사용자의 목에 효과적으로 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랩(30)은 손목에 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230, 30)의 길이를 조절하므로 카드 지갑(100, 200)을 사용자의 몸에서 떨어지지 않은 상태로 카드 결제를 가능하게 하고, 결제를 통한 카드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카드 지갑의 사용 상태들의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2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1 타입의 카드 단말기(300)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2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2 타입의 카드 단말기(302)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2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3 타입의 카드 단말기(303)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2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4 타입의 카드 단말기(304)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손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5 타입의 카드 단말기(305)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부(10)에 스트랩(30)을 연결한 카드 지갑(100)을 손목에 걸고, 띠부(20)로 카드(40) 제2 부분(P2)의 지지를 해제하여, 홀더부(10)에서 노출된 제1 부분(P1)을 제6 타입의 카드 단말기(306)에 삽입하여 결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드 단말기는 다양하게 형성되고 카드(40)의 삽입 공간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무인 결제기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하여,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의 사용 가능한 범위를 확인하였다.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는 홀더부(10)의 길이가 아니고 카드(40)를 삽입했을 때 카드(40)가 홀더부(10)에 실제로 들어가는 길이를 의미하며, 카드(40)의 제1 부분(P1)을 의미하게 된다. 카드 여유 공간은 홀더부(10)에 삽입되고 노출되어 띠부(20)에 지지되는 길이를 의미하며, 카드(40)의 제2 부분(P2)을 의미하게 된다.
카드 삽입 가능 유무는 무인 결제기에서 카드(40) 삽입 시, 결제 인식을 위해 끝까지 삽입했을 때를 의미하며, 결제 가능한 삽입을 위해서는 삽입되는 길이가 카드(40)의 제2 부분(P2)보다 짧아야 한다.
카드 제거 가능 유무는 무인 결제기에서 결제 후 카드(40) 제거 시, 카드 지갑(100)과 함께 카드(40)의 제거가 가능한지를 의미한다. 카드(40)의 제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카드(40)와 홀더부(10)의 결합력이 카드(40)와 무인 결제기의 결합력 보다 더 강해야 한다.
카드 지갑
하단 길이(㎝)
카드 삽입
가능 유/무(OX)
카드 여유 공간(cm) 카드 제거
가능 유/무(OX)
비교예 1 4.0 O 4.5 X
비교예 2 4.1 O 4.4 X
실험예 1 4.2 O 4.3 O
실험예 2 4.3 O 4.2 O
실험예 3 4.4 O 4.1 O
비교예 3 4.5 X 4.0 X
비교예 4 4.6 X 3.9 X
비교예 1 내지 4는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가 4.0~4.1㎝인 경우, 카드를 무인 결제기에 삽입했을 때 결제 후, 카드 제거가 불가능하고,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가 4.5~4.6㎝인 경우, 무인 결제기에 카드 삽입이 불가능했다.
이와는 다르게 실험예 1 내지 3은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가 4.2~4.4㎝ 인 경우, 카드를 무인 결제기에 삽입했을 때 결제 가능하고, 카드 제거 시, 카드가 카드 지갑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제거 가능한 길이로 나타났다. 따라서 카드 지갑(100)을 생산할 때, 편차를 감안하여 카드 지갑(100)의 하단 길이 4.3㎝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10: 홀더부 11: 제1 부재
12: 제2 부재 13: 연결 고리
14: 링부재 20: 띠부
21: 암 또는 수 체결부 22: 수 또는 암 체결부
30, 230: 스트랩 31: 후크 부재
32, 33: 캡 34: 제1 조절 가압부재
35: 제2 조절 가압부재 36: 제3 조절 가압부재
37: 링 40, 240: 카드
43, 243: 데이터 저장부 100, 200: 카드 지갑
300, 302, 303, 304, 305, 306: 카드 단말기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Claims (10)

  1. 카드의 제1 부분을 수용하는 홀더부; 및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으로 상기 홀더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상기 홀더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상기 카드의 제2 부분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는
    상기 홀더부에 들어 가는 제1 부분의 하단 길이 및
    상기 홀더부에 삽입되고 노출되어 상기 띠부에 지지되는 제2 부분의 여유 공간 길이를 포함하며,
    상기 여유 공간 길이는
    무인 결제기에서 결제 가능한 삽입 길이보다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카드와 상기 홀더부의 결합력은
    상기 카드와 상기 무인 결제기의 결합력 보다 강하게 설정되는, 카드 지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일면에 접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분의 다른 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박음질 또는 접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지갑.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제단되거나, 분리 제단되어 결합되는, 카드 지갑.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는 상기 카드의 상기 제2 부분을 경유하면서 지지하고 단부에 구비된 암 또는 수 체결부로 상기 제1 부재에 구비된 수 또는 암 체결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카드 지갑.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수 체결부는 똑딱 버튼(snap fit buttons), 자석 똑딱 버튼(magnetic snap buttons),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되는, 카드 지갑.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형성하는 IC칩 또는 마그네틱부를 노출시키는, 카드 지갑.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걸도록 폐곡선을 형성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카드 지갑.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띠부의 반대측에 박음질된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연결 고리에 설치되는 링부재에 후크 부재로 결합되는, 카드 지갑.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후크 부재 일측의 링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는 양측을 감싸서 2단으로 잡아주는 제1 조절 가압부재와 제2 조절 가압부재, 및
    양단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3 조절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지갑.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후크 부재 일측의 링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는 양측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1 조절 가압부재,
    양단 중 일단과 상기 스트랩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2 조절 가압부재, 및
    양단 중 다른 일단과 상기 스트랩을 감싸서 잡아주는 제3 조절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카드 지갑.
KR1020210089859A 2021-07-08 2021-07-08 카드 지갑 KR10238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59A KR102389314B1 (ko) 2021-07-08 2021-07-08 카드 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59A KR102389314B1 (ko) 2021-07-08 2021-07-08 카드 지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14B1 true KR102389314B1 (ko) 2022-04-20

Family

ID=8139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59A KR102389314B1 (ko) 2021-07-08 2021-07-08 카드 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374A (ja) * 2004-06-17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磁気カードの保護ケース
JP2012247713A (ja) * 2011-05-30 2012-12-13 Akimi Sato 楽器用ホルダー
KR200472522Y1 (ko) * 2013-10-10 2014-05-07 홍덕선 내용물 인출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지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374A (ja) * 2004-06-17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磁気カードの保護ケース
JP2012247713A (ja) * 2011-05-30 2012-12-13 Akimi Sato 楽器用ホルダー
KR200472522Y1 (ko) * 2013-10-10 2014-05-07 홍덕선 내용물 인출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0046C (en) A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US20130001105A1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US957893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ing a hair retention device hidden from view using a bracelet
US791252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rrying and using a hand-held telephone
US8469511B2 (en) Eyeglasses holder
JP5399579B1 (ja) タブレット端末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389314B1 (ko) 카드 지갑
US20130340901A1 (en) Id card holder
US20200052733A1 (en) Mobile phone case
US11950667B2 (en) Purse with integrated removable phone case
US6305540B1 (en) Holster with variable depth pocket
WO2014039516A2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JP2003534067A (ja) 水中眼鏡のバンド調節用バックル組立体
US11805874B1 (en) Carabiner integrated wallet and identification holder
KR102363442B1 (ko) 안경 케이스
KR200465236Y1 (ko) 카드 수납 파우치를 구비한 휴대폰 스킨
KR102196435B1 (ko)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여행용 지갑
KR200459922Y1 (ko) 전자태그안경테
KR20230115712A (ko) 태그 교체가 가능한 시계의 스트랩
KR102359318B1 (ko) 인출이 용이한 카드
CN214179418U (zh) 电子设备
KR200305902Y1 (ko) 신분증 케이스
KR20240053168A (ko) 결제를 지원하는 스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US20230237304A1 (en) Rfid-enabled watch band
CN210666848U (zh) 一种防护型校园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