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143B1 -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 Google Patents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143B1
KR102389143B1 KR1020200148149A KR20200148149A KR102389143B1 KR 102389143 B1 KR102389143 B1 KR 102389143B1 KR 1020200148149 A KR1020200148149 A KR 1020200148149A KR 20200148149 A KR20200148149 A KR 20200148149A KR 102389143 B1 KR102389143 B1 KR 10238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ne conduction
headset
ear
modu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숙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Priority to KR102020014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143B1/ko
Priority to PCT/KR2021/013916 priority patent/WO20220979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호흡기 주변을 덮는 마스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모듈 본체; 사용자의 귀 뒷쪽 유양돌기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를 구비한 한 쌍의 골전도 프레임; 상기 모듈 본체와 골전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프레임을 유양돌기 쪽으로 텐션 가압하는 귀걸이 안착부; 및 상기 모듈 본체 또는 골전도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진동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과 아울러 바이러스 또는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과 마스크를 사용자의 귀에 각각 걸치는 구조로 착용해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bone conduction headse with mask removable means}
본 발명은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진동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과 아울러 바이러스 또는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의 착탈결합이 가능한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 전도용 헤드셋은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것으로, 두개골을 진동시킨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면 이에 청각 신경이 뇌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즉, 귀 주변의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 하므로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골 전도용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의 양단부에 진동자가 구비된 스피커가 형성되며, 그 중 한쪽의 스피커에서 연장된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의 스피커를 두개골 일부분에 밀착시키면, 스피커에 구비된 진동자가 귓속의 고막이 아닌 두개골을 직접 진동시켜 이 진동을 통해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골 전도용 헤드셋은 단순한 소리 전달의 기능만 수행하므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가 격한 운동을 할 때나 불규칙한 움직임이 있을 때 흘러내림이 현상이 발생하여 골전도 헤드셋의 위치를 자주 보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마스크는 동절기에 추위를 막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거나, 공기 중의 세균이나 먼지 등이 호흡을 통하여 인체 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용품이다.
근래에 들어 높은 미세먼지 농도와 더불어, 코로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호흡기 관련 질병이 창궐하면서 기능성 마스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마스크는 통상 사용자의 귀를 통해 착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골 전도용 헤드셋 및 마스크는 모두 사용자의 귀에 걸치는 구조로 착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 전도용 헤드셋과 마스크 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착용하거나 탈의하는데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49041호(2018.04.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21524호(2009.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활동적인 신체적 움직임으로부터 골전도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아울러 바이러스 또는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의 착탈결합이 가능한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은, 호흡기 주변을 덮는 마스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모듈 본체; 사용자의 귀 뒷쪽 유양돌기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를 구비한 한 쌍의 골전도 프레임; 상기 모듈 본체와 골전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프레임을 유양돌기 쪽으로 텐션 가압하는 귀걸이 안착부; 및 상기 모듈 본체 또는 골전도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전도 프레임에는 상기 골전도부의 외주 둘레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골전도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파동을 귓바퀴 연골과 귓바퀴와 마주하는 측두부로 전달하는 이어(ear) 골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전도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부에는 상기 마스크 또는 모듈 본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걸이 안착부의 폭방향 상부 일측에는 비탈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걸이 안착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상사점을 기준으로 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지지대와 귀 뒷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2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지지대는 제1 지지대보다 안쪽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밴드가 모듈 본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는 마스크를 경유하는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밴드가 골전도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는 사용자의 뒷 목을 감싸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마이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는 내부에는 마스크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접이식 상부날개와 하부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에는 상부날개의 틈새에 얹혀져 경유하는 연결밴드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크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 내부에는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마스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골 전도용 헤드셋과 마스크 모두를 사용자의 귀에 걸치는 구조로 착용해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전도 프레임에는 이어 골전도부를 구성함으로써, 귀 연골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음향의 감도를 풍성하고 선명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골전도 프레임에는 탄성밴드를 구성함으로써, 마스크 또는 모듈 본체와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전도부가 유양돌기에 밀착되는 압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탈 경사면을 형성한 하향 경사진 구조의 귀걸이 안착부를 구성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안경다리와 접촉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는 마스크를 경유하는 앞쪽에 위치함으로써, 연결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를 경유하는 연결밴드에 마이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스크 고정수단과 마스크 지지부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스크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듈 본체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센서 및 탄성밴드 위치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탄성밴드의 위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배면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은, 호흡기 주변을 덮는 마스크(1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210)을 구비한 한 쌍의 모듈 본체(200), 사용자의 귀 뒷쪽 유양돌기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310)를 구비한 한 쌍의 골전도 프레임(300), 상기 모듈 본체(200)와 골전도 프레임(30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을 유양돌기 쪽으로 텐션 가압하는 귀걸이 안착부(400), 상기 모듈 본체(200) 또는 골전도 프레임(3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모듈 본체(200)는 사용자의 귀를 기준으로 귀 앞쪽의 관자놀이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할 골전도부(310) 및 마이크(510)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01) 제어기판(202)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모듈 본체(200)는 사용자의 머리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모듈 본체(200) 중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201)가 설치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201) 중량에 대응하는 제어기판(202)이 설치된다. 이는 2개의 모듈 본체(200)가 중량 편차 없이 안정적으로 무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듈 본체(200)는 동절기에 추위를 막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거나, 공기 중의 세균, 바이러스, 먼지 등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호흡기 주변을 덮는 마스크(100)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고정수단(210)은 마스크(100)를 착탈결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듈 본체(200)의 폭방향 내측으로 마스크가 진입하는 마스크 진입공간부(211)를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진입공간부(211)를 기준으로 상기 모듈 본체(200)의 일측면이 일방향으로 힌지 회전하는 개폐용 덮개(2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모듈 본체(200)의 마스크 진입공간부(211)에 진입한 마스크(100)는 상기 개폐용 덮개(212)가 마스크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박으로부터 상기 마스크(100)를 상기 모듈 본체(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용 덮개(212)는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마스크(100)가 마스크 진입공간부(211)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후 마스크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용 덮개(212)가 다시 모듈 본체(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마스크(100)를 가압하는 압박으로부터 마스크를 고정시킨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진입공간부(211)를 형성하는 모듈 본체(200)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11a)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100) 및 개폐용 커버(212)에는 상기 걸림돌기(211a)에 대응하는 각각의 마스크 걸림홈(100a) 및 덮개 걸림홈(2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11a)와 각각의 걸림홈(100a,212a)에 의해 상기 마스크(100)와 모듈 본체(200)의 상호 결속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용 덮개(212)는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닌 자석(M)의 인력(引力)을 이용한 착탈식 결합구조로 모듈 본체(20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본체(200)의 일측면과 그 일측면에 대향하는 개폐용 덮개(212)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M)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에 대응하는 금속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고정수단(210)은 상기 개폐용 커버(212)가 상하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용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체결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듈 본체(200)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제어기판(202)으로 전달하는 온도 감지센서(230)가 설치된다(도 6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스크(100)는 상기 모듈 본체(200)의 마스크 고정수단(210)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합성섬유, 구리섬유, 가죽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00) 내부에는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마스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지지부(1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마스크 지지부(110)는 마스크의 유동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호흡 작용에 불편함을 주거나, 여성 착용자의 경우 마스크(100) 내면이 립스틱 등의 화장품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채
상기 마스크(100) 내부의 상,하부에는 끼움 틈새를 마련한 걸림편(120)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지지부(110)에는 상기 걸림편(120)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편(111)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마스크 지지부(110)에는 추가적으로 착탈용 중간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착탈용 중간필터는 마스크(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를 다시 한번 필터링하여 바이러스 등이 착용자의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는 것과, 착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비산되는 비말에 의해 마스크(10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스크를 장시간동안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100) 내부에는 사용자의 콧등 곡면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되어 면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 마감부(13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하게 되면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사용자 안면과 콧등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통해 윗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로 인해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여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상기 공기통로를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통로 마감부(1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탄성변형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는 내부에는 마스크(100)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접이식 상부날개(140)와 하부날개(15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은 사용자의 귀 뒷쪽 유양돌기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310)가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이다.
상기 골전도부(310)는 통상의 공기전도방식 스피커와 달리 입력되는 전기적 음향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는 진동 스피커가 두개골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귀를 통하지 않고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공지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골전도부(310)는 관자놀이의 위치보다 달팽이관에 가까운 유양돌기에 위치하여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음향의 청취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 전도용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골전도부(310)가 보이지 않아 미관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에는 상기 골전도부(310)의 외주 둘레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골전도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파동을 귓바퀴 연골과 귓바퀴와 마주하는 측두부로 전달하는 이어(ear) 골전도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어 골전도부(350)는 상기 골전도부(310)의 둘레방향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골전도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파동을 귓바퀴 연골에 전달하여 음향의 청취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기 이어 골전도부(350)는 상기 골전도부(310)의 둘레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골전도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귓바퀴 연골과 측두부로 각각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어 골전도부(350)는 상기 골전도부(310)에 대응하는 결합관통부를 형성한 몸체부(351), 상기 몸체부(351)로부터 연장되며 귓바퀴에 걸쳐지도록 곡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어 걸이부(352), 상기 몸체부(351)와 이어 걸이부(352) 내부에 매립되는 진동 플레이트(35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어 걸이부(352)는 상기 몸체부(351)로부터 단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것과 아울러 귓바퀴와 측두부 사이에 용이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예각을 유지하는 상태로 꺽여지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사용자 마다 다른 귀의 형태 및 굴곡면에 대응하여 착용감과 밀착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353)는 상기 이어 걸이부(352)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구성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360)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부(360)에는 상기 마스크 또는 모듈 본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밴드(37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밴드(370)에 의해 상기 마스크(100) 또는 모듈 본체(200)와 골전도 프레임(300) 사이의 간격을 항상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마스크(100) 또는 모듈 본체(200) 및 골전도 프레임(30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370)의 일단은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의 걸림돌부(360)에 걸림되는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100) 또는 상기 모듈 본체(200)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370)를 마스크(100)게 연결할 경우 상기 마스크(100)에는 탄성밴드(370)가 끼워지는 밴드구멍(101)을 형성하며, 상기 모듈 본체(200)에 연결할 경우 모듈 본체(200)에는 별도의 걸림고리(205) 또는 고무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형성한다(도 3 및 도 9참조).
한편, 상기 귀걸이 안착부(400)는 상기 모듈 본체(200)와 골전도 프레임(3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골전도 프레임(300)을 유양돌기 쪽으로 텐션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귀걸이 안착부(4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상사점을 기준으로 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지지대(410)와 귀 뒷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2 지지대(420)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지지대(420)는 제1 지지대(410)보다 안쪽으로 휘어진 구조이다(도 10 및 도 11참조).
즉,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다리(B)의 길이방향과 귀걸이 안착부(400)의 길이방향 동선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에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지지대(420)가 제1 지지대(410)보다 사용자 머리쪽으로 휘어진 구조는 상기 골전도부(310)가 유양돌기에 밀착되는 탄성압력을 한층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귀걸이 안착부(400)의 폭방향 상부 일측에는 비탈 경사면(401)이 형성된다.
상기 비탈 경사면(401)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다리가 사용자의 측면 두피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귀걸이 안착부(400)에 얹혀지는 상태로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안경다리(B)가 사용자 두피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착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안경다리(B)는 상기 비탈 경사면(401)에 의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측면 두피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경다리(B)가 사용자의 측면 두피를 가압하는 압력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밴드(500)는 상기 모듈 본체(200) 또는 골전도 프레임(30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결밴드(500)가 골전도 프레임(300)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500)는 사용자의 뒷 목을 감싸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밴드(500)가 사용자의 목 뒷쪽에 위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임의 시간동안 골 전도용 헤드셋을 목에 걸에서 거치시키는 목걸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500)가 모듈 본체(200)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는 마스크(100)를 경유하는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밴드(5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깔끔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참조).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100)에는 상부날개(140)의 틈새 얹혀져 경유하는 연결밴드(5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크로 고정부(141)가 형성된다.
즉, 밸크로 고정부(141)는 상기 연결밴드(50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밴드(50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마이크(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마이크(510)는 마스크(100) 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마스크
200... 모듈 본체
210... 마스크 고정수단
300... 골전도 프레임
310... 골전도부
350... 이어 골전도부
370... 탄성밴드
400... 귀걸이 안착부
500... 연결밴드

Claims (12)

  1. 호흡기 주변을 덮는 마스크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수단을 구비한 한 쌍의 모듈 본체;
    사용자의 귀 뒷쪽 유양돌기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를 구비한 한 쌍의 골전도 프레임;
    상기 모듈 본체와 골전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골전도 프레임을 유양돌기 쪽으로 텐션 가압하는 귀걸이 안착부; 및,
    상기 모듈 본체 또는 골전도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고정수단은 마스크의 양 측면을 물리적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듈 본체의 폭방향 내측으로 마스크가 진입하는 마스크 진입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스크 진입공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듈 본체의 일측면이 일방향으로 힌지 회전하는 개폐용 덮개를 구성하며,
    상기 마스크 진입공간부를 형성하는 모듈 본체의 일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덮개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덮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프레임에는 상기 골전도부의 외주 둘레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골전도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파동을 귓바퀴 연골과 귓바퀴와 마주하는 측두부로 전달하는 이어(ear) 골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프레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부에는 상기 마스크 또는 모듈 본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안착부의 폭방향 상부 일측에는 비탈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안착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상사점을 기준으로 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지지대와 귀 뒷쪽으로 하향 경사진 제2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지지대는 제1 지지대보다 안쪽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가 모듈 본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는 마스크를 경유하는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가 골전도 프레임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밴드는 사용자의 뒷 목을 감싸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마이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내부에는 마스크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접이식 상부날개와 하부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는 상부날개의 틈새에 얹혀져 경유하는 연결밴드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크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내부에는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마스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스크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모듈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가 설치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배터리 중량에 대응하는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0200148149A 2020-11-06 2020-11-06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38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49A KR102389143B1 (ko) 2020-11-06 2020-11-06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PCT/KR2021/013916 WO2022097938A1 (ko) 2020-11-06 2021-10-08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49A KR102389143B1 (ko) 2020-11-06 2020-11-06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143B1 true KR102389143B1 (ko) 2022-04-25

Family

ID=8145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49A KR102389143B1 (ko) 2020-11-06 2020-11-06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9143B1 (ko)
WO (1) WO20220979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5032A1 (en) * 2020-09-19 2022-03-24 Shenzhen Mengda Network Technology Co., Ltd. Split bone conduction earph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24B1 (ko) 2008-07-03 2009-10-12 팜쉬주식회사 골전도 헤드폰
US20150020815A1 (en) * 2013-07-17 2015-01-22 Pamela Gabriel Protective Mask with Imbedded Functionality
KR101723663B1 (ko) * 2016-11-14 2017-04-05 김동진 기능성 마스크
KR101849041B1 (ko) 2017-01-10 2018-04-1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115270B1 (ko) * 2019-03-28 2020-05-2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KR20200001910U (ko) * 2019-02-21 2020-08-31 임채엽 다수의 지지클립이 구비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88U (ko) * 2018-07-26 2020-02-05 양동우 무선 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24B1 (ko) 2008-07-03 2009-10-12 팜쉬주식회사 골전도 헤드폰
US20150020815A1 (en) * 2013-07-17 2015-01-22 Pamela Gabriel Protective Mask with Imbedded Functionality
KR101723663B1 (ko) * 2016-11-14 2017-04-05 김동진 기능성 마스크
KR101849041B1 (ko) 2017-01-10 2018-04-1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KR20200001910U (ko) * 2019-02-21 2020-08-31 임채엽 다수의 지지클립이 구비된 마스크
KR102115270B1 (ko) * 2019-03-28 2020-05-2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5032A1 (en) * 2020-09-19 2022-03-24 Shenzhen Mengda Network Technology Co., Ltd. Split bone conduction earphone
US11516573B2 (en) * 2020-09-19 2022-11-29 Shenzhen Mengda Network Technology Co., Ltd. Split bone conduction ea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938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35473U (zh) 耳戴式电极结构以及穿戴式生理感测装置
US10212525B2 (en) Universal earpiece
RU2489998C2 (ru) Средство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не имеющее оголовья,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органов слуха
US9906853B2 (en) Bone conduction device support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US7841446B2 (en) Bandless hearing protector and method
KR102030473B1 (ko) 스마트 마스크
US20170208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yewear media device
WO2021101124A1 (ko)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이명치료 전용 골전도 헤드셋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KR102389143B1 (ko) 마스크 착탈수단을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JPH0262199A (ja) 骨伝導型音声聴取装置および方法
KR101827535B1 (ko) 스마트폰으로 제어되는 안경 탈부착식 골도 보청기 및 안경다리 모듈형 골도 및 기도 보청기
KR20100100558A (ko) 얼굴 부착물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용 입가리개
WO2020197003A1 (ko)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115271B1 (ko) 듀얼 마이크를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033767B1 (ko) 안경 착탈형 골전도 이어폰
JP2004320605A (ja) 骨伝導スピーカー
KR102089729B1 (ko) 골전도 이어폰 및 골전도 이어폰 패키지
KR102664819B1 (ko) 골전도 헤드셋
KR102667202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RU207154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защитная маска
KR102177999B1 (ko) 헬멧용 골전도 헤드폰
RU2809946C1 (ru) Носимые устройства
KR101945769B1 (ko) 골전도 블루투스 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