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71B1 -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71B1
KR102388171B1 KR1020210113835A KR20210113835A KR102388171B1 KR 102388171 B1 KR102388171 B1 KR 102388171B1 KR 1020210113835 A KR1020210113835 A KR 1020210113835A KR 20210113835 A KR20210113835 A KR 20210113835A KR 102388171 B1 KR102388171 B1 KR 10238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vertical
block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감
Original Assignee
박진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감 filed Critical 박진감
Priority to KR102021011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71B1/en
Priority to CN202210358232.9A priority patent/CN115726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of a precast segment, a vertical hole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applied thereto, a method for forming a drainage structure of a precast segment and a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vertical hole comprising: a horizontal drainage groove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extending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a block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on an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a vertical drainage groove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in the heightwise direction of the segment at a central part of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lock; and a central drainage hol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b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hole at a position separated by an identical interval from an end at one side and an end at the other side of each block. Therefore, a drainag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segment or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when the segment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block.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팅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에 세그먼트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 측방향 양끝단으로 연장되는 오목홈 형태의 수평 배수홈, 블록의 측방향 양 끝단 중앙부에 세그먼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의 상하면 양끝단으로 연장되어 수평 배수홈과 이어지는 오목홈 형태의 수직 배수홈, 각 블록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수직구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수평 배수홈과 이어지는 중앙 배수구로 구성되어, 블록을 연결하여 세그먼트 또는 수직구 벽면 형성시 세그먼트나 수직구 벽면 내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와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수직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applied to a vertical sphere of a top-down precast segment, and more particularly, a horizontal drainage groove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extending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lock along the segment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lock , a vertical drainage groove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extending to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lock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gment at the center of both lateral ends of the block and connecting to a horizontal drainage groove, spaced at equal intervals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block It consists of a horizontal drainage groove and a central drainage hole that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along the vertical sphere height direction at the point, and is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side the segment or vertical sphere wall when connecting blocks to form a segment or vertical sphere wall It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of a precast segment in which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a vertical spher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applied,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vertical sphere of a precast segmen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지하철·지하 터널·지하 입체주차장·지중관로·환기구·비상통로·전력구·통신구 등의 지하 시설물 시공시, 지표면으로부터 수직 하방을 따라 지반을 원형으로 굴착하고, 굴착면 내부에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벽면으로 이루어진 수직구를 형성하게 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s, underground tunnels, underground multi-story parking lots, underground pipelines, ventilation ducts, emergency passages, electric power outlets, and communication ports, the ground is excavat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formwork installed inside the excavation surface By pouring concrete on the wall, a vertical sphere made of concrete walls is formed.

또한, 최근에는 거푸집 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시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치 형상을 이루는 프리캐스트(precast) 블록을 다수개 연결하여 링 형상의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수직구를 시공 위치에 세그먼트를 적층 및 최하단 세그먼트 하부의 굴착을 반복하여, 세그먼트 적층체의 자중이나 상부에 설치된 압입기에 의해 세그먼트 적층체가 굴착 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수직구를 시공하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In addition, recently,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oncrete pouring and curing in the formwork an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speed, a plurality of arch-shaped precast blocks are connected to form a ring-shaped segment, and a vertical sphere is constructed.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segment laminate is moved downward along the excavation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segment laminate or the indent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gment laminate by repeating the stacking of segments at the location and excavation of the lowermost segment This was developed.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시 세그먼트 적층체의 하향 이동이 발생하는 동안 지반을 이루는 토질의 불균일한 구성에 의해, 연약 지반이나 점토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지반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향 이동하는 세그먼트 적층체의 부위별 하향 이동 속도 또는 세그먼트 적층체 외벽과 지반 굴착면과의 마찰력의 크기가 다르게 작용하면서 세그먼트 적층체의 불균등한 하강이 이루어져, 시공된 수직구의 경사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gment stack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due to the uneven composition of the soil forming the ground, the ground with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soft ground or clay may be partially formed, As the downward movement speed for each part of the segment laminate or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segment laminate an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works differently, uneven descent of the segment laminate may occur, resulting in inclined settlement of the constructed vertical sphere.

수직구의 경사 침하 발생시, 수직구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나 블록간 연결면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고중량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경우, 적층 완료 후에는 세그먼트나 블록간 이격 발생 구간의 누수 차단 처리를 실시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누수 발생 원인을 차단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When the vertical sphere is inclined to subside, a gap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surface between each segment or block constituting the vertical sphere and leakage may occur.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block the leakage in the spaced area between block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use of the leakage had to be block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위와 같은 세그먼트나 블록간 연결부 누수 발생은 수직구 시공 완료 후 누수 차단 보강 공사를 추가로 수행하면서 수직구의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수직구의 기능이나 안전상 문제가 없는 수준의 미세한 누수 발생이라도, 신규 공법으로써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공법 자체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The occurrence of leaks in the connection between segments or blocks as described above causes an increase in maintenance cost of the vertical sphere as additional leak blocking reinforcement work is perform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sphere is completed, and even if a small leak occurs at a level where there is no problem in the function or safety of the vertical sphere , as a new construction method, the reliability of the construction method itself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can be greatly reduc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이웃하여 연접하는 각 블록의 결합면에 수팽창성 개스킷 및 지수재 등의 방수재를 설치하거나, 세그먼트 외주면에 방수 그라우트를 시공함으로써, 결합면 틈새로부터의 누수 발생을 차단하는 방수 시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installing waterproofing materials such as water-expandable gaskets and water-repellent materials on the bonding surfaces of adjacently connected blocks of the vertical sphere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or by installing waterproof grou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gment, water leakage from the bonding surface gap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that blocks the occurrence is widely applied.

하지만 방수재 설치 또는 방수 그라우트 시공을 이용한 방수 시공법은 고중량의 블록을 적층하는 시공법의 특성상 세그먼트 적층시 세그먼트를 정렬하는 과정이나, 세그먼트 적층 후 지반 굴착에 따른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하로 연접하는 세그먼트간 횡방향 상대 이동 또는 횡방향 마찰력 작용에 의해 삽입 또는 도포된 방수재의 파손이 일어나기 쉬우며, 방수 그라우트 시공법의 경우 누수 차단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완벽한 그라우트 시공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waterproofing material installation or waterproof grout construction is a process of aligning segments when stacking segments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acking heavy blocks, or in the process of moving down due to ground excavation after segment stacking, between segments connecting up and down It is easy to breakage of the inserted or applied waterproofing material due to lateral relative movement or lateral frictional force action.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6930호(2020.11.04.등록)의 하향식 세그먼트 수직구 구조물 정밀 시공방법에서는 수직구의 외측 벽면을 이루는 블록의 외측면에 수직 방향을 따라 유도 배수구를 형성하여, 굴착된 지반으로부터 수직구로 유입되는 우수나 지하수 등이 유도 배수구를 따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투수가 수직구 내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top-down segment vertical sphere structure precision construction method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76930 (registered on November 4, 2020), an induction drain hole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constitut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A construction method is proposed to prevent infiltration of water from entering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hole by allowing rainwater or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hole from the ground to be discharged along the induction drain.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구(1)과 지반(ground)의 일체화를 통해 수직구(1)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키고, 굴착된 지반의 고결화에 따른 지반 지지력을 증가시키며, 우수나 지하수의 수직구(1)내 투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공된 수직구(1) 외벽과 지반 굴착면 사이에는 시멘트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트(2) 층을 형성해야 하는데, 상기 시공방식에 따른 수직구(1)의 경우 지반 굴착면에서 분리된 토양이나 그라우트(2) 층 형성시 주입되는 충전재가 수직구(1) 외벽에 노출된 유도 배수구를 막으면서 수직구(1)의 배수 기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vertical sphere 1 is increas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ground, and the ground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solidification of the excavated ground is increased. In order to reduce the permeability of rainwater or groundwater in the vertical hole (1), the grout (2) layer should be formed by injecting fillers such as cement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constructed vertical hole (1) and the excavated surface of the groun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hole (1)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the filler material inject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oil or grout (2) layer separated from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blocks the induction drain hole ex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vertical hole (1) while blocking the vertical hole (1)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function did not function normall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6930호 (2020.11.04.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76930 (Registered on Nov. 4, 20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시공시 세그먼트나 블록간 연결부로 침투하는 침투수를 세그먼트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를 따라 유도배수하여, 수직구 시공 완료 후 누수 차단 보강 공사의 추가 수행에 따른 수직구의 유지 관리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신규 공법으로써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공법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배수 구조 및 배수 구조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the seepage water penetrating into the segment or inter-block connection part is induced and drained alo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inside the segment, and after the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leakage blocking reinforcement construction is additionally performed. Provides a drainage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that can prevent an increase in maintenance cost of a vertical spher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whose application range is gradually expanding as a new construction method aim to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구 굴착면에 프리캐스트된 아치 형상의 블록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를 삽입하고, 상부에 적층되는 세그먼트의 블록 측면 끝단이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의 블록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세그먼트의 적층 및 지반의 굴착을 반복함으로써, 세그먼트를 하향 이동시켜 수직구의 벽면을 형성하되, 세그먼트를 이루는 각 블록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 중앙부에 블록의 높이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세그먼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 측방향 양끝단으로 연장되는 수평 배수홈, 세그먼트를 이루는 각 블록의 측방향 양 끝단 중앙부에 블록의 폭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세그먼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의 상하면 양끝단으로 연장되어 수평 배수홈과 이어지는 수직 배수홈, 세그먼트를 이루는 각 블록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아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수직구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수평 배수홈과 이어지는 중앙 배수구로 구성되어, 블록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세그먼트 형성시 각 블록의 수평 배수홈 및 수직 배수홈이 서로 연결되어 세그먼트 내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 배수로를 형성하고, 세그먼트를 적층하여 수직구 형성시 상하로 연접하는 세그먼트간 중앙 배수구가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segmen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laterally to a vertical sphere excavation surface is inserted, and the side ends of the blocks stacked on top ar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By repeating the stacking of segments and excavation of the ground so as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locks of the segments to be arranged, the segments are moved downward to form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but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each block constituting the segment, or the central part of both sides Horizontal drainage grooves that are formed to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ock and extend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lock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Vertical drainage grooves extending to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lock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gment to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by It is formed at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nd is composed of a horizontal drain groove and a central drain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and connects the blocks laterally to form a horizontal drain groove of each block when forming a segment. and vertical drainage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channels inside the segments,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s between segments connected vertically when forming vertical spheres by stacking seg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세그먼트를 적층하여 수직구 벽면을 형성하되, 특정 세그먼트의 블록 일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가 상부 또는 하부로 적층된 세그먼트의 블록 타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세그먼트의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접하여 적층된 다른 세그먼트의 수평 배수홈 및 수직 배수홈과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써, 최하단 세그먼트의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는 수직구의 배수 시설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wall wall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egments, but a central drain ho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block of a specific segment is in line with the central drain ho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block of the segment stacked up or down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 of each seg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s and vertical drainage grooves of other segments stacked by connecting upwards or downwards, 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cross the inside of the vertical wall wall. By forming a connecting drain, the vertical drain groove and the central drain hole of the lowermost segment are connected to the drain facility of the vertical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층 이상의 동일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중앙 배수구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 중앙 배수구와 하부 중앙 배수구로 이루어지고, 각 블록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점검구를 통해 상부 중앙 배수구와 하부 중앙 배수구간 연결부가 수직구 내측 벽면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부 중앙 배수구와 하부 중앙 배수구간 연결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가 장착되어,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고 수직구 벽면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drain hole of each block constituting the same segment of one or more layers is divided up and down to include an upper central drain hole and a lower central drain hole, and a concave groove-shaped inspection hol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each block is installed.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and the lower central drain section connection part are expos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port through the Reduce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중앙 배수구와 하부 중앙 배수구는 각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중앙 배수관 및 하부 중앙 배수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중앙 배수관과 하부 중앙 배수관은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조시 블록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and the lower central drain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inside the upper central drain pipe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ipe having a pipe shape. buried and 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 시설은 최하단 세그먼트의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에 장착되어,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침투수를 모으는 집수 박스, 침투수를 저장하여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하는 바닥 배수관, 집수 박스에 모인 침투수를 바닥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집수관, 집수 박스 내부에 장착되어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고 집수관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키며 집수 박스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집수 필터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age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central drainage port of the lowermost segment, a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the infiltr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 and storing the infiltrated water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A floor drain pipe that discharges, a water collection pipe that discharges the infiltrated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on box to the floor drain pip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collection box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seepage water, reduce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water collection pipe, and use a water collecting filt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llection box. is do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최상단의 세그먼트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 상부에는 배수구 캡이 장착되어, 중앙 배수구 상단을 폐쇄하며, 각 블록간 연결부 접촉면에는 적어도 수평 배수홈 및 수직 배수홈을 기준으로 수직구 내측 벽면 방향을 포함하도록 수평 배수홈이나 수직 배수홈으로부터 세그먼트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띠 형상의 지수재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cap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drain hole formed in the uppermost segment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drain hole, and at least the horizontal drain groove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are the basis of at least the horizontal drain groove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on the contact surface of each block. A strip-shaped water stop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or vertical drainage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egment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clude the direction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시공시 세그먼트나 블록간 연결부 누수 발생을 방지하여, 수직구 시공 완료 후 누수 차단 보강 공사의 추가 수행에 따른 수직구의 유지 관리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신규 공법으로써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공법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leakage i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segments or block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thereby preventing the increase in the maintenance cost of the vertical sphere due to the additional performance of the leak blocking reinforcement construc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As a new meth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 of the vertical sphere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각 블록 및 세그먼트간 결합면에 형성된 수평 배수홈과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가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수직구 벽면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를 배수 시설로 곧바로 배출함으로써 수직구 내벽으로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grooves, the vertical drainage grooves,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s formed in each block and the inter-segment coupling surface of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vertical sphere wall surface It has the effect of blocking water leakage into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hole by discharging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into the wall of the vertical hole directly to the drainage facility by forming a drainage channe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배수홈과 수직 배수홈 및 중앙 배수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배수로가 수직구 벽면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지반 굴착면에서 분리된 토양이나 그라우트 층 형성시 주입되는 충전재가 배수로로 유입되면서 배수로의 차단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in channel formed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drain groove, the vertical drain groove and the central drain hole to each other is locat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the filler injected when the soil or grout layer separated from the ground excavation surface is formed into the drain channe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lockage of the drainage channel as it flows i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구를 구성하는 각 블록 일측 측면 끝단 및 타측 측면 끝단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각각 중앙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수직구 시공시 상하로 연접하여 적층되는 블록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과정에서 연접하는 상하 블록간 중앙 배수구가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면서, 침투수의 보다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entral drain hole at a point spac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end of one side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each block constituting the vertical sphere, the blocks that are connected and stacked vertically during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sphere are zigza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iltration water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while the central drain ho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connected in the process of arrangement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중앙 배수구에 탈부착 가능한 필터를 장착함으로써,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 침전에 따른 배수로 막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detachable filter in the central drain port of each block constituting some segments, there is an effect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along the drainage channel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logging of the drain due to the sedimentation of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배수구에 장착된 필터를 통해, 침투수내 이물질 여과 과정에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침투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하여, 수직구 벽면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킴으로써, 수직구 내벽으로의 침투수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along the drain channel during the filtering process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infiltrated water through a filter mounted on the central drain hole,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 channel form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is reduced. , it has the effect of more effectively blocking the inflow of infiltration water into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he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배수구에 장착된 필터 탈착 및 필터 커버 개폐 구조를 통해, 필터 분리시 점검구를 통해 중앙 배수구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로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ilter removal and filter cover opening/closing structure mounted on the central drain por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side the central drain hole can be removed through the inspection hole when the filter is removed, making it easier to maintain the drain.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수 시설의 집수 박스 내에 장착되는 집수 필터를 통해 배수 시설 또는 하수 처리 시설을 따라 배출되는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 침전에 따른 배수 시설 또는 하수 처리 시설 막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in infiltrated water discharged along a drainage facility or a sewage treatment facility are filtered through a water collection filter mounted in a water collection box of a drainage facility to prevent clogging of a drainage facility or sewage treatment facility due to sedimentation of foreign matter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집수 박스 내에 장착된 집수 필터를 통해, 침투수내 이물질 여과 과정에서 배수 시설 또는 하수 처리 시설을 따라 흐르는 침투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하여, 배수 시설 또는 하수 처리 시설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킴으로써, 배수 시설 또는 하수 처리 시설에서의 침투수 역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infiltrated water flowing through a drainage facility or sewage treatment facility in the process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filtrated water through a water collecting filter mount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it acts on a drainage facility or a sewage treatment facility By reducing the water press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backflow of seepage water in drainage facilities or sewage treatment faciliti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블록간 연결면에 형성된 지수재를 통해 수직구 벽면내 형성된 배수로를 따라 배출되는 침투수가 수직구 내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blocking the infiltration of water discharged alo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through the water stop material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blocks from flowing into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he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최상단 세그먼트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 또는 상부 중앙 배수구에 장착되는 배수구 캡을 통해 최상단 세그먼트의 중앙 배수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구의 배수로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entral drain hole of the uppermost segment through the central drain hole formed in the uppermost segment or the drain cap mounted on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logging of the vertical drain. there is.

도 1은 일반적인 수직구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도에 따른 수직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아치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블록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태의 세그먼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에 형성된 수평 및 수직 배수홈과 중앙 배수구의 위치 및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에 형성된 수평 및 수직 배수홈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에 형성된 수직 배수홈의 위치에 따른 상하로 연접하여 적층되는 블록간 수직 배수홈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하단 세그먼트와 슈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검구가 형성된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간 연결부에 필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점검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관이 매립 설치된 블록의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간 연결부에 필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점검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캡을 통한 점검구 최상단 세그먼트의 중앙 상부 중앙 배수구의 폐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수재가 설치된 블록간 연결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시설의 집수 박스와 집수 필터 및 바닥 배수관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및 수직 배수홈과 중앙 배수구간 연결에 의해 수직구의 벽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의 배수 구조를 이용한 배수 시공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lanar structure of a general vertical sphere.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vertical sphere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ing-shaped segment shap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locks forming an arcuate shape in a lateral direction.
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and shap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 grooves and a central drain hole formed in 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grooves formed in 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vertical drainage grooves between blocks stacked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vertical drainage grooves formed i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lowermost segment and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pec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age sections of the block in which the inspection port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pec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section of the block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pipes are embed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closing structure of the central upper central drain hole of the uppermost segment of the inspection hole through the drai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nection surface between blocks in which a water stop material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ter collection box, a water collection filter, and a floor drain pipe of a drain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drainage channel integrally formed inside a wall surface of a vertical sphere by connecting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grooves and a central drainage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construction sequence using a drainage structure of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to components of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drawings.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such a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have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at they have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depends on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excessively inclu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herei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굴착된 지반 굴착면에 배수 구조가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10)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수직구(1) 시공시, 시공된 수직구(1)의 벽면 내부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굴착된 지반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나 지하수 등이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가 형성하는 배수로를 따라 배출시킴으로써, 수직구(1)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sphere (1) by stacking a plurality of segments 10 having a drainage structure formed on the ground excavation surface excav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grou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construction,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constructed vertical hole 1, and rainwater or groundwater flowing in from the excavated ground is discharged alo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by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segment 10, ) It is a structure to prevent seepage water from leaking inside.

각 세그먼트(1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precast)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링 형상의 세그먼트(10)를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세그먼트(10)를 시공하고자 하는 수직구(1)의 높이만큼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수직구(1)의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Each segment 10 is to form a ring-shaped segment 10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and the formed segment 10 ) is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vertical sphere (1)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수직구(1)를 시공하기 위하여 세그먼트(10)를 복수의 층으로 적층할 때, 상부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이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연접하여 상하로 적층된 세그먼트(10)의 각 블록(100) 측면 끝단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When the segment 10 is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to construct the vertical sphere 1,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o be stacked on top is a block of the segment 10 in which the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100) Located in the central part, the side ends of each block 100 of the segments 10 that are connected and stacked up and down are arranged to form a zigzag shape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세그먼트(10)에 형성된 배수 구조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의 일측 끝단(one end)과 타측 끝단(the other end)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관계를 기재하며, 각 블록(10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은 각각 블록(100)이 형성하는 아치의 반시계 방향 끝단 및 블록(100)이 형성하는 아치의 시계 방향 끝단으로 정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drainage structure formed in the segment 10, one end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one segment 10 and the other end direction are the basi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block 100 are defined as the counterclockwise end of the arch formed by the block 100 and the clockwise end of the arch formed by the block 100 , respectively.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어느 일측,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 양측 중앙부에 블록(100)의 높이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 배수홈(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배수홈(110)은 세그먼트(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100) 측방향 양끝단으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4 , a concave rec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ock 100 in either one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 or in the center of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00 . A horizontal drain groove 110 may be formed to form a groove, and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extends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lock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

그리고 각 블록(100)의 측방향 양 끝단 중앙부에는 블록(100)의 폭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 배수홈(120)이 형성되며, 수직 배수홈(120)은 세그먼트(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100)의 상하면 양끝단으로 연장되면서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면서, 다수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세그먼트(10) 형성시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이 서로 연결된다.And in the central portion of both lateral ends of each block 100 , vertical drainage grooves 120 are formed to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100 ,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s 120 are the segments of the segment 10 . While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connecting to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a plurality of blocks 100 ar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form the segment 10, the horizontal level of each block 100 The drain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나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s 110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s 120 of each block 100 may be formed in any one shape selected from among polygonal, semi-circular, and semi-elliptical shapes.

또한, 각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아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중앙 배수구(131)가 하나씩 형성되어, 하나의 블록(100)에는 총 2개의 중앙 배수구(131)가 형성되며, 각 중앙 배수구(131)는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각 블록(10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블록(100)의 상하부면 중 어느 일측, 또는 블록(100)의 상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면서 각 블록(100) 내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one central drain hole 131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arch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block 100 , and one block 100 has a total of two central drain holes 131 . ) is formed, and each central drain hole 131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either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00, or of the block 100 . While connecting to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s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inside each block 100 .

따라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는 수직구(1) 시공시 형성된 배수로가 수직구(1) 벽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굴착된 지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토양 등의 이물질이 배수로를 차단함에 따라 시공된 수직구(1)의 배수 성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면서 수직구(1)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prevents the drainage channel form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hole 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1,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separated from the excavated ground surface block the drainage passage. As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vertical sphere (1)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is reduced or lost, the seepage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vertical sphere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1)는 상기 배수 구조가 형성된 세그먼트(10)를 상하로 복수개 적층하여 시공하게 되며,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수직구(1)의 벽면 형성시, 측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접하여 연결된 블록(100)간 연결면에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배수로를 형성한다. The vertical sphere 1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egments 10 having the drainage structure formed in the top and bottom, and by stacking the segments 10 When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is formed, a drainage channel communicat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에 의해 형성된 수평 및 수직방향 배수로는 수직구(1)의 벽면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배수로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s formed by the horizontal drain grooves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s 120 of each block 100 are locat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1, so that foreign substances penetrate into the drain from the outside. to prevent

수직구(1) 시공시 상부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을 상부 또는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중앙부에 위치시켜, 연접하여 상하로 적층된 세그먼트(10)의 각 블록(100) 측면 끝단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시키게 된다.When the vertical sphere (1) is constructed, the side end of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o be stacked on the top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hat is arranged by connecting the upper or lower part, and is connected and stacked up and down The side ends of each block 100 of the segment 10 are arranged to form a zigzag shape with each other.

이때,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측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가 하부측 블록(100)의 타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와 서로 연결되고, 상부측 블록(100)의 타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가 하부측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one end direction of the upper block 1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lower block 100, and the upper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ide block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lower block 100 .

이를 통해 상하로 연접하여 적층되는 블록(100)의 각 중앙 배수구(131)가 상하방향 일직선 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중앙 배수구(131)를 따라 배출되는 침투수의 배출 방향 전환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침투수의 보다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as each central drain hole 131 of the block 100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and stacked is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raight direction, the chang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epage water discharged along the central drain hole 131 does not occur, so that the infiltration water to allow for smoother discharge of

또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구(1)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10) 중, 하나 이상의 일부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에는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으로 오목홈 형상의 점검구(1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블록(100)의 일측 측면 끝단 및 타측 측면 끝단 방향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점검구(160)가 하나씩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10 constituting the vertical sphere 1 , the block 100 constituting one or more partial segments 10 has a concave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 A shape of the inspection hole 160 may be formed, and the inspection hole 160 is formed one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from the end of one side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each block 100 .

점검구(160)는 동일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에 형성되어, 점검구(160)가 형성된 세그먼트(10)는 시공된 수직구(1)의 복수의 세그먼트(10) 층 중, 한 층 이상의 층을 이룰 수 있으며, 점검구(160)가 형성된 세그먼트(10)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경우, 점검구(160)가 형성된 각 세그먼트(10)는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pection opening 160 is formed in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same segment 10, and the segment 10 in which the inspection opening 160 is formed is a plurality of segment 10 layers of the constructed vertical sphere 1, One or more layers may be formed, and when the segment 10 in which the inspection hole 160 is forme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each segment 10 in which the inspection hole 160 is formed is constan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점검구(160)가 형성된 각 블록(100)의 중앙 배수구(131)는 상하로 분할되어 각각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를 이루고,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가 점검구(160)를 통해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에는 필터(161)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central drain 131 of each block 100 in which the inspection port 160 is formed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151, respectively, and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 151) is expos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port 1 through the inspection hole 160, and the filter 161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there is.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검구(160)에는 탈부착 또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필터 커버(162)가 장착되어, 수직구(1) 내부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점검구(160)를 통해 유입되면서 필터(161)가 오염되는 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161)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를 늘림으로써 수직구(1)의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As shown in FIG. 10 , a filter cover 162 having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or openable is mounted on the inspection port 160 , and a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side the vertical opening 1 are introduced through the inspection port 160 , the filter 161 . It is possible to lower the rate of contamination, and thus, by increasing the cleaning or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161, the maintenance of the vertical sphere 1 is easier.

필터(161)는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이루는 배수로를 따라 침투수 이동시 침투수 내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수평 배수홈(110)이나 수직 배수홈(120) 또는 중앙 배수구(13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서 침투수의 역류가 발생하거나, 수직구(1) 내벽으로 유입되면서 블록(100)간 결합면 누수 발생을 방지한다.The filter 161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permeated water when the permeated water moves along the drain formed by the horizontal drain 110, the vertical drain 120, and the central drain 131, When the drain groove 120 or the central drain hole 131 is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a reverse flow of the seepage water occurs, or as it flows into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hole 1, it prevents leakage of the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또한, 배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침투수의 유속을 낮추는 저항체로 작용하여 침투수의 배출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직구(1) 하부의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낮춰 수직구(1) 하부에 배치된 블록(100)간 결합면 누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가진다.In addition, the block disposed under the vertical port (1) by lowering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age channel under the vertical port (1) by acting as a resistor that lowers the flow rate of the infiltrated water moving along the drainage channel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infiltrated water. (100) has a function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between the coupling surface.

그리고 필터(161)의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필터(161) 분리시, 점검구(160)를 통해 중앙 배수구(131)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하로 적층된 각 블록(100)의 중앙 배수구(131)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구조적 특성상, 점검구(160)가 형성된 세그먼트(10) 뿐만 아니라 상하로 연결되는 다른 세그먼트(10)의 중앙 배수구(131)에 누적된 이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의 유지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 161 is separated for cleaning or replacement of the filter 161,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side the central drain hole 131 through the inspection hole 160, and in particular, each block stacked up and down (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drain 131 of 100) being connected to form a straight lin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central drain 131 of the segment 10 in which the inspection hole 160 is formed as well as the other segments 10 connected up and down are collected together. By allowing it to be removed, maintenance of the drain can be made easier.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중앙 배수구(14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중앙 배수관(140)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이고, 하부 중앙 배수구(15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중앙 배수관(150)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중앙 배수관(140)과 하부 중앙 배수관(150)은 프리캐스트를 통한 블록(100)의 생산 제조 과정에서 블록(100)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upper central drain 141 is a drain formed inside the upper central drain 140 having a pipe shape,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is formed in the lower central drain 150 having a pipe shape. It may be configured as a drainage channel, and the upper central drain pipe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ipe 150 may be form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block 100 during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lock 100 through precast.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수직구(1) 시공시, 연접하는 각 블록(100) 및 세그먼트(10)간 결합면에 형성된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1)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수직구(1) 벽면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를 배수 시설(200)로 배출함으로써 수직구(1)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egments 10 are stacked to construct the vertical hole 1,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on the connecting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and the segments 1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drainage channel that is conn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ver the entire inside of the wall of the vertical port (1), and discharge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into the wall of the vertical port (1) to the drainage facility (200). (1) It can prevent leakage.

수직구(1)과 지반의 일체화를 통해 수직구(1)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굴착된 지반의 고결화에 따른 지반 지지력을 증가시키며, 우수나 지하수의 수직구(1)내 투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공된 수직구(1) 외벽과 지반 굴착면 사이에는 시멘트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트(2) 층을 형성하게 된다.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grou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vertical sphere (1) is increased, the ground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consolidation of the excavated ground is increased, and the permeability of rainwater or groundwater in the vertical sphere (1) is improved. In order to reduce it, a grout (2) layer is formed by injecting a filler such as cement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constructed vertical sphere (1) an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이에 따라 지반 굴착면에서 분리된 토양이나 그라우트(2) 층 형성시 주입되는 충전재가 수직구(1)의 배수로를 막으면서 수직구(1)의 배수 기능이 저하되거나, 배수로가 완전히 막히면서 배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age function of the vertical hole (1) decreases as the soil separated from the excavation surface or the filler material injected when the grout (2) layer is formed blocks the drainage channel of the vertical hole (1), or the drainage function is completely blocked can los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 및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에서는,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형성하는 수직구(1)의 배수로가 수직구(1) 벽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며, 지반 굴착면에서 분리된 토양이나 그라우트(2) 층 형성시 주입되는 충전재가 수직구(1)의 배수로를 막으면서 수직구(1)의 배수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vertical spher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and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e vertical sphere 1 formed by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 131 . of the vertical hole (1) is formed inside the wall, and the filler material injected when the soil or grout (2) layer separated from the ground excavation surface is formed blocks the drain of the vertical hole (1). To prevent deterioration or loss of drainage function.

그리고 수직구(1)의 최하단에 적층된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와 연결되도록 배수 시설(200)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ainage facility 20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the segment 10 stack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hole 1 .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시설(200)은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에 장착되는 집수 박스(210)와, 집수관(230)을 통해 집수 박스(210)에 연결되는 바닥 배수관(220) 및 집수 박스(210) 내부에 장착되는 집수 필터(21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2 , the drainage system 200 includes a collection box 210 mounted in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 131 of the lowermost segment 10 , and a collection box through the collection pipe 230 . It consists of a floor drain pipe 220 connected to the 210 and a water collecting filter 211 mount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

수직구(1)의 블록(100)간 결합면을 통해 유입된 침투수가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를 통해 하향 이동하여, 최하단 세그먼트(100)의 수직 배수홈(120) 또는 중앙 배수구(131)로부터 배출되면, 집수 박스(210)에 의해 모아진 후, 집수 필터(211)를 통해 침투수 내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며, 여과가 완료된 침투수는 집수관(230)을 통해 바닥 배수관(220)으로 배출되어 저장된 다음, 바닥 배수관(220)에 설치된 펌프의 작동에 의해 바닥 배수관(220)과 연결된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된다.The perme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of the vertical port 1 moves downward through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When discharged from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or the central drain hole 131,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water collection box 210,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iltrated water are filtered through 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and the filtered infiltrated water is collected It is discharged and stored in the floor drain pipe 220 through the water pipe 230 , and then is discharged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or drain pipe 220 by the operation of a pump installed in the floor drain pipe 220 .

집수 필터(211)는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되는 침투수의 유속을 낮추는 저항체로 작용하면서 침투수의 배출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수 시설(200)에 작용하는 수압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여, 배수 시설(200)이나 수직구(1)의 배수로와 배수 시설(200)간 연결부 누수 발생이나, 배수 시설(200) 또는 하수 처리 시설에서의 침투수 역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킨다.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acts as a resistor to lower the flow rate of the infiltrated water discharged to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and controls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infiltrated water, thereby preventing a rapid increase in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age facility 200, 200) or the vertical port 1,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inage system 200 and the drainage system 200, reduce the possibility of leakage or seepage water backflow in the drainage system 200 or sewage treatment facility.

또한, 집수 필터(211)는 침투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수로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적된 이물질에 의해 배수로의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배수 속도가 저하되거나, 배수로가 완전히 막히면서 배수로내 압력 증가가 발생하여, 침투수가 수직구(1)의 벽면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한다.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prevent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permeated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drainage channel,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rainage passage decreases due to the accumulated foreign matt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drainage speed, or an increase in the pressure in the drainage passage as the drainage passage is completely blocked. Thus, the permeated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port (1).

이때, 집수 필터(211)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물질 누적량 증가에 의한 배수 속도 저하 발생시 집수 박스(2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집수 필터(211)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In this case, 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when the drainage speed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accumulated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is separated from the water collection box 210 to be cleaned or replac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age the water collection filter 211 .

수직구(1)의 최상단 세그먼트(10) 상부면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나 상부 중앙 배수구(141)에는 배수구 캡(142)이 장착될 수 있다.A drain cap 142 may be mounted to the central drain hole 131 or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segment 10 of the vertical hole 1 .

배수구 캡(142)은 수직구(1)의 최상단 세그먼트(10) 상부면의 중앙 배수구(131)나 상부 중앙 배수구(141)를 폐쇄하여, 지층의 토사와 같은 이물질이 수직구(1)의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FRP(Fiber Reinforced Plastic)와 같이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cap 142 closes the central drain hole 131 or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segment 10 of the vertical hole 1,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in the stratum can enter the drain of the vertical hole 1 It is desirable to prevent inflow into the interior and to be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구(1)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간 연결부 접촉면에는 지수재(170)가 삽입 또는 도포될 수 있으며, 지수재(170)는 수팽창성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침투수와 접촉시 팽창되면서 블록(100)간 연결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수평 배수홈(110)이나 수직 배수홈(120)을 통한 침투수의 수직구(1) 배수로내 하향 이동 중 수직구(1) 내측 벽면으로 유출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water stop material 170 may be inserted or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water stop material 170 is made of a water-expandable elastic material, By sealing the connection between blocks 100 while expanding when in contact with permeated water, the vertical port (1) of permeated water through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or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while moving downward in the drain (1) It prevents leakage as it flows out to the inner wall.

지수재(170)는 세그먼트(10) 원주 방향을 따라 수평 배수홈(110)이나 수직 배수홈(1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을 기준으로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이나 외측 벽면 방향 중 어느 일측, 또는 수직구(1) 내외측 벽면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지수재(170)가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의 일측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수직구(1) 내측 벽면에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The water stop material 170 is formed in a band shape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or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and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 may be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vertical sphere (1) in the inner wall direction or the outer wall direction, or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phere (1) on the inside and outside wall surfaces, and the water stop material 17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vertical When it is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drain groove 120, it should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 형성 방법 및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를 이용한 수직구(1) 배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form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and the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of the vertical sphere 1 us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 형성 방법은 블록(100) 제조 과정과, 제조된 블록(100)을 연결하여 세그먼트(10)를 형성하는 세그먼트(10) 형성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세그먼트(10)의 배수 구조를 이용한 수직구(1) 배수 시공 방법은 최하단 세그먼트 결합 단계(S10),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 슈 분리 단계(S30), 배수 시설 시공 단계(S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4 , the method for form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egment 10 forming the segment 10 by connecting the manufactured block 100 . ) forming process, and the vertical sphere (1)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segment 10 is the lowest segment combining step (S10), segment stacking step (S20), shoe separation step (S30), drainage facility construction Step S40 is performed.

블록(100) 제조 과정에서는 블록(100) 제조용 몰드 내부에 주물 재료를 주입 후, 주물 재료를 양생하여 아치 형상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한다. In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after injecting the casting material into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block 100, curing the casting material to manufacture the arch-shaped precast block 100 .

블록(100) 제조용 몰드 내부에는 블록(10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으로, 블록(100)의 아치면 중앙부에서 아치의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100) 높이 방향으로 돌기가 일정 높이 돌출되고, 블록(100) 제조용 몰드 내부의 횡방향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 중앙부에는 몰드 내측 방향으로 돌기가 일정 높이 돌출된다.In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block 100, there is a protrus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ock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rch from the center of the arch surface of the block 100 on either or both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100. It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t one end of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other end inside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block 100, protrusions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old.

또한, 블록(100) 제조용 몰드 내부에는 몰드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아치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각 지점으로 봉 또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몰드 높이 방향으로 고정된다.In addition, in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block 100 , a rod or pipe-shaped member is fixed to each point spaced at equal intervals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ol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rch in the mold height direction.

블록(100) 제조용 몰드 내부에 주입된 주물 재료가 양생되면서 블록(100)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몰드 내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보적인 형상의 수직 및 수평방향 오목홈이 수평 배수홈(110)과 수직 배수홈(120)이 형성되고, 봉 또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중앙 배수구(131)가 형성되며,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은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의 끝단과 연결된다.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lock 100 while the cast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block 100 is cured, vertical and horizontal concave groove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protrusion formed inside the mold are horizontally drained from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and vertical drainage. A groove 120 is formed, and a central drain hole 13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xternal shape of a rod or pipe-shaped member is formed, and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of each block 100 includes a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a center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ain hole (131).

세그먼트(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블록(100) 제조 과정에 의해 제조된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한 층의 세그먼트(10)를 형성하게 되며, 각 블록(100)에 형성된 수평 배수홈(110)이 서로 연결되면서, 세그먼트(10) 상부면이나 하부면 한 쪽 또는 양쪽으로 원주 형태의 배수로를 형성하고, 원주 형태의 배수로에는 각 블록(100)간 측방향 연결면에 중앙부에 형성된 수직 방향 배수로 및 각 블록(100)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로가 연결됨으로써,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간 연결면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배수로를 형성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gment 10 , the blocks 100 manufactured by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are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segment 10 of one layer, and horizontal drainage formed in each block 100 . As the groove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ircumferential drainage channel is formed on one or both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gment 10. By connecting the vertical drainage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penetrating the inside of each block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ainage channel communicat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is formed.

이때, 블록(100) 제조 과정에서 형성되는 중앙 배수구(131)는 블록(100)을 관통하는 기둥 형상의 구멍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블록(100) 내부에 매립된 삽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 배수구(131)를 블록(100) 내부에 매립된 삽관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블록(100) 몰드 내부에 봉 또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고정시키는 대신, 중앙 배수구(131)가 형성된 중앙 배수관(130)을 몰드 내부에 삽입한 후 주물 재료를 주입하여 양생함으로써, 삽관 형태의 중앙 배수구(131)를 형성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lock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shaped hole penetrating the block 10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ntubation embedded in the block 100 , the central drain hole When the block 131 is configured as an intubation type buried inside the block 100, instead of fixing a rod or pipe-shaped member inside the block 100 mold, a central drain pipe 130 having a central drain hole 131 is form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mold, the process of forming the central drain hole 131 in the form of an intubation can be added by injecting and curing the casting material.

최하단 세그먼트 결합 단계(S10)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구(1) 시공 위치 지표면에 링 형상의 슈(shoe)를 배치하고, 슈 상부에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최하단 세그먼트(10)를 결합 및 고정시킨다.In the lowermost segment combining step (S10), as shown in FIG. 7, a ring-shaped shoe is plac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a plurality of blocks 100 are late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oe. The formed ring-shaped lowermost segment 10 is coupled and fixed.

슈는 수직구(1) 시공 과정에서 높은 하중의 세그먼트(10) 적층체의 하향 이동시,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면이 굴착면과의 충돌 또는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그먼트(10) 보호 장치로, 세그먼트(10) 적층체의 하중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steel)과 같은 고강도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oe is a segment (10) for preventing the lowermost segment (10) from being damaged by collision or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during downward movement of the high load segment (10) stack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vertical sphere (1). As a protection devic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caused by a load of the segment 10 stack, it is preferable to make it of a high-strength material such as steel.

슈와 하단 세그먼트(10)간 결합이 완료되면, 슈 하단의 바닥면을 굴착하여 슈와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자중에 의해 슈와 최하단 세그먼트(10)를 굴착 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시키게 되며,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상부면에 새로운 세그먼트(10) 층을 적층시킬 수 있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바닥면 굴착에 따른 하향 이동 과정이 수행된다.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shoe and the lower segment 10 is comple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hoe is excavated to move the shoe and the lowermost segment 10 downward along the excavation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shoe and the lowermost segment 10. Downward movement following excava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performed until it reaches a height at which a new layer of segment 10 can be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gment 10 .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에서는 슈 또는 세그먼트(10) 상부에 적층된 최상단 세그먼트(10) 상부면에 세그먼트(10)를 추가로 적층하고, 슈 하단 바닥면을 굴착하여 세그먼트(10) 적층 구조물의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이 세그먼트(10) 적층체가 수직구(1)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된다.In the segment stacking step (S20), the segment 10 is addition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segment 10 stacked on the shoe or segment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bottom is excavated to lower the segment 10 stacked structure. The moving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stack of segments 10 reaches the height of the vertical sphere 1 .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10) 적층에 의해 각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접하여 적층된 다른 세그먼트(1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과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1)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3 ,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each segment 10 are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by the segment 10 stacking, and the horizontal drain groove of the other segments 10 stacked.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sphere (1) over the entire inside of the wall surface is formed a drainage channel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이때, 수직구(1)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에 연접하여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이 하부에 연접하여 적층된 세그먼트의 블록(100) 중앙에 위치하도록 적층하게 되며, 각 블록(100)의 중앙 배수구(131)가 블록(100) 일측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므로, 세그먼트(10) 적층체 내부에 형성된 각 중앙 배수구(131)가 상하방향 일직선 방향으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vertical sphere 1, the side end of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and is stacked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lock 100 of the laminated segment. , since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each block 100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block 100 at the same distance, each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side the segment 10 stack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이를 통해 특정 중앙 배수구(131)를 따라 배출되는 침투수가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 또는 다른 라인의 중앙 배수구(131)로 이동하면서 침투수 배출 방향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전환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특정 중앙 배수구(131) 및 당해 중앙 배수구(131)가 이어져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 라인을 따라 수직 하부 방향을 따라 일직선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중앙 배수구(131)를 통한 침투수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filtrated water discharged along a specific central drain hole 131 moves to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or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another line, and the infiltration water discharge direction is converted into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is does not occur, and the specific central drain 131 and the central drain 131 are connected and discharged in a straight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formed central drain 131 line, thereby penetrating through the central drain 131 The discharge of water can be made more smoothly.

또한, 블록(100) 제조 과정에서 제조되는 블록(100) 중 일부 블록(100)에는 블록(100)이 이루는 아치의 내측면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동일 간격 이격된 지점에 오목홈 형상의 점검구(160)가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 배수구(131)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의 2개의 유로로 이루어지면서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가 점검구(160)를 통해 블록(100) 내측 아치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blocks 100 of the blocks 100 manufactured in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a concave groove-shaped inspection tool i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formed by the block 100 . 160 is formed, and each central drain 131 is divided up and down to form two flow paths,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151, and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 151)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block 100 through the inspection hole 160.

블록(100) 제조 과정에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141,151)의 연결부가 점검구(160)를 통해 노출된 블록(100A)을 제조하는 과정이 부가되는 경우,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에서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 및 점검구(160)가 형성된 블록(100A)만으로 한 층 이상의 세그먼트(10A)를 구성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 Whe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lock 100A in which the connection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holes 141 and 151 are exposed through the inspection hole 160 is added to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segment stacking step (S20),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 141),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segment 10A of one or more layers only with the block 100A in which the lower central drain hole 151 and the inspection hole 160 are formed may be added.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161)가 장착되며, 필터(161)는 수직구(1) 벽면 내부 배수로에 유입된 침투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켜, 누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기능을 가진다.A detachable filter 161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upper central drain port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ort 151, and the filter 161 filters foreign substances of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into the internal drain of the vertical port (1) wall, It has a function of reducing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age channel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141,151)와 점검구(160)가 형성된 블록(100A)으로 구성된 세그먼트(10A)가 2층 이상 형성되는 경우, 각 세그먼트(10A) 사이에 일반 세그먼트(10)를 한 층 이상 적층하여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141,151)와 점검구(160)가 형성된 블록(100A)으로 구성된 세그먼트(10A)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필터(161)가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절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wo or more layers of the segment 10A composed of the block 100A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holes 141 and 151 and the inspection hole 160 are formed are formed, one or more layers of the general segment 10 are formed between each segment 10A. By stacking the segments 10A consisting of the blocks 100A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holes 141 and 151 and the inspection ports 160 are forme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lter 161 is position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hole 1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and arranged accordingly.

또한, 블록(100) 제조 과정에서 상부 및 하부 중앙 배수구(141,151)를 삽관 형태로 구성하여 블록(100)을 제조하는 경우, 블록(100) 몰드 내부에 주물 재료 주입시 상부 중앙 배수구(141)가 형성된 상부 중앙 배수관(140)과 하부 중앙 배수구(151)가 형성된 하부 중앙 배수관(150)을 몰드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제조된 블록(100) 내부에 상부 중앙 배수관(140) 및 하부 중앙 배수관(150)을 매립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block 100 by configuring the upper and lower central drain holes 141 and 151 in an intubation form during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is formed when the cast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block 100 mold. By inserting the formed upper central drain pipe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ipe 150 formed with the lower central drain hole 151 into the mold, the upper central drain pipe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ipe 150 are inside the manufactured block 100. A process of embedding may be added.

세그먼트(10) 적층 및 하향 이동이 완료되어 수직구(1) 벽면 형성이 완료되면, 최하단 세그먼트(10)로부터 슈를 분리 및 회수하는 슈 분리 단계(S30)가 수행되며, 수직구(1) 시공 방식에 따라 슈 분리 단계(S30)를 생략하여 슈의 분리 및 회수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segment 10 stacking and downward movement are completed and the vertical sphere 1 wall surface formation is completed, a shoe separation step (S30) of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shoe from the lowest segment 10 is performed, and the vertical sphere 1 construc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method, the shoe separation step ( S30 ) may be omitted so that the shoe separation and recovery may not be performed.

배수 시설 시공 단계(S40)에서는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에 수직구(1)의 배수 시설(200)을 설치하여,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를 배수 시설(200)로 연결하며, 슈 분리 단계(S30) 실시가 생략된 경우, 슈 내부에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과 연결되는 배수로를 형성하고, 슈에 형성된 배수로를 배수 시설(200)로 연결하는 과정으로 치환되어 실시될 수 있다.In the drainage facility construction step (S40), the drainage facility 200 of the vertical port 1 is installed under the lowest segment 10,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age port 131 of the lowest segment 10 are drained. When connecting to the facility 200, and when the shoe separation step (S30) is omitted, a drainage channel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the lowest segment 10 is formed inside the shoe, and the shoe It may be substituted for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rainage channel formed in the dam to the drainage facility 200 .

배수 시설(200)이 최하단 세그먼트(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직 배수홈(120)과 중앙 배수구(131)에 장착되는 집수 박스(210), 침투수를 저장하여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하는 바닥 배수관(220), 및 집수 박스(210)와 바닥 배수관(220)을 서로 연결하는 집수관(230)으로 구성되는 경우, 슈 분리 단계(S30)에서 슈를 분리 및 회수한 다음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에 집수 박스(210) 및 바닥 배수관(220)을 설치하고, 집수 박스(210)와 바닥 배수관(220)을 집수관(230)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The drainage system 200 is a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most segment 10, a water collecting box 210 mounted on the central drain 131, and a floor drain pipe for storing infiltrated water and discharging it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220) and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230 connecting the floor drain pipe 220 to each other, after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shoe in the shoe separation step (S30), the lowermost segment 10 lower A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and the floor drain pipe 220 in the sump and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and the floor drain pipe 220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230 may be added.

또한, 수직구(1)의 각 블록(100)간 연결면에 지수재(170)가 삽입 또는 도포되는 경우, 블록(100) 제조 과정에서 각 블록(100)의 양생 완료 후, 세그먼트(10) 형성 과정 또는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 수행 중 블록(100)간 연결면에 지수재(170)를 삽입 또는 도포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으며,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 수행 중 상하 또는 좌우로 연접하여 연결된 블록(100)을 고정구로 고정하는 과정이 추가로 부가됨으로써, 블록(100)간 연결부 누수 방지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직구(1)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stop material 170 is inserted or applied to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each block 100 of the vertical sphere 1, after curing of each block 100 is completed in the block 100 manufacturing process, the segment 10 During the forming process or the segment lamination step (S20), the process of inserting or applying the water stop material 170 to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blocks 100 may be added, and during the segment lamination step (S20), it is connec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By additionally add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connected block 100 with a fasten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leak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locks 100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vertical sphere 1 .

그리고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 수행에 따른 수직구(1) 벽면 형성 완료 후, 최상단 세그먼트(10)의 상부면으로 개방된 중앙 배수구(131) 또는 상부 중앙 배수구(141)에 배수구 캡(142)을 장착하여, 최상단 세그먼트(10) 상부면으로 연결된 중앙 배수구(131) 또는 상부 중앙 배수구(141)를 폐쇄시키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다.And after completing the forma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port 1 according to the segment lamination step (S20), the drain cap 142 is placed in the central drain hole 131 or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that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segment 10. By mounting, a process of closing the central drain hole 131 or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segment 10 may be added.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meaning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its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직구 2: 그라우트
10: 세그먼트 100: 블록
110: 수평 배수홈 120: 수직 배수홈
130: 중앙 배수관 131: 중앙 배수구
140: 상부 중앙 배수관 141: 상부 중앙 배수구
142: 배수구 캡 150: 하부 중앙 배수관
151: 하부 중앙 배수구 160: 점검구
161: 필터 162: 필터 커버
170: 지수재 200: 배수시설
210: 집수 박스 211: 집수 필터
220: 바닥 배수관 230: 집수관
1: vertical hole 2: grout
10: segment 100: block
110: horizontal drain groove 120: vertical drain groove
130: central drain pipe 131: central drain
140: upper central drain pipe 141: upper central drain port
142: drain cap 150: lower central drain pipe
151: lower central drain port 160: access port
161: filter 162: filter cover
170: index material 200: drainage facility
210: water collecting box 211: water collecting filter
220: floor drain pipe 230: water collection pipe

Claims (12)

수직구(1) 굴착면에 프리캐스트(precast)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10)를 삽입하고, 상부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이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세그먼트(10)의 적층 및 지반의 굴착을 반복함으로써, 세그먼트(10)를 하향 이동시켜 수직구(1)의 벽면을 형성하되,
세그먼트(10)를 이루는 각 블록(10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 중앙부에 블록(100)의 높이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세그먼트(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100) 측방향 양끝단으로 연장되는 수평 배수홈(110);
세그먼트(10)를 이루는 각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아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100) 내부에 블록(10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고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는 중앙 배수구(131);
로 구성되어,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세그먼트(10) 형성시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과 중앙 배수구(131)가 서로 연결되어 세그먼트(10) 내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 배수로를 형성하고,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수직구(1) 형성시 상하로 연접하는 세그먼트(10)간 중앙 배수구(131)가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Inserting a ring-shaped segmen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segment 10 stacked on top of the By repeating the lamination of the segment 10 and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so that the block 100 side end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the segment 10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vertical sphere (1) to form the wall surface,
The segment 10 is formed to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ock 100 on either one or both central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 Horizontal drainage grooves 110 extending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block 100;
It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arc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and blocks inside the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as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100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consists of,
When the block 100 is laterally connected to form the segment 10,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each block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channel inside the segment 10. The number of precast segments with drainage structure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drainage holes 131 between the segments 10 that are connected up and down when the vertical sphere 1 is formed by stacking the segments 10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direct ball.
제1항에 있어서,
세그먼트(10)를 이루는 각 블록(100)의 측방향 양 끝단 중앙부에 블록(100)의 폭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세그먼트(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100)의 상하면 양끝단으로 연장되어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는 수직배수홈(120)이 부가되고,
복수의 세그먼트(10)을 적층하여 수직구 벽면을 형성하되, 특정 세그먼트(10)의 블록 일측 끝단에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적층된 세그먼트(10)의 블록(10)의 타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접하여 적층된 다른 세그먼트(1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과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1)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됨으로써,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는 수직구(131)의 배수시설(20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to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100 in the central portion of both ends of the block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and the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gment 10 A vertical drain groove 120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extending to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is added,
A plurality of segments 10 are stacked to form a vertical sphere wall surface, but a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block of a specific segment 10 is stacked i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block 10 of the segment 10 It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As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drainage passag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formed over the entire in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so that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of the lowermost segment 10 (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is a vertical hol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facility 200 of the vertical hole 131.
제2항에 있어서,
한 층 이상의 동일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의 중앙 배수구(131)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로 이루어지고, 각 블록(1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점검구(160)를 통해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가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161)가 장착되어,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고 수직구(1) 벽면 내부에 형성된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drain 131 of each block 100 constituting one or more layers of the same segment 10 is divided up and down into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151, and the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hole 151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1 through the concave groove-shaped inspection hole 160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central drain hole 141 and A detachable filter 161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lower central drain holes 15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seepage water and to reduce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drain channel form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1) Precast segment,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sphere with a drainage structure 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는 각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중앙 배수관(140) 및 하부 중앙 배수관(150)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중앙 배수관(140)과 하부 중앙 배수관(150)은 프리캐스트 블록(100)의 제조시 블록(10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central drain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0 in the shape of a pipe, and the upper central drain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0 ) is a vertical spher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being buried inside the block 100 when the precast block 100 is manufactu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시설(200)은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에 장착되어,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침투수를 모으는 집수 박스(210);
침투수를 저장하여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하는 바닥 배수관(220);
집수 박스(210)에 모인 침투수를 바닥 배수관(220)으로 배출하는 집수관(230);
집수 박스(210) 내부에 장착되어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고 집수관(230)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키며 집수 박스(2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집수 필터(21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ainage facility 200 is
a water collecting box 210 mounted on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the lowermost segment 10 to collect seepag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a floor drain pipe 220 for storing seepage water and discharging it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a water collecting pipe 230 for discharging the perme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to the floor draining pipe 220 ;
a water collecting filter 211 mount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permeated water, to reduce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water collecting pipe 230 , and to be detachable from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
A vertical spher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2항에 있어서,
최상단의 세그먼트(10)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 상부에는 배수구 캡(142)이 장착되어, 중앙 배수구(131) 상단을 폐쇄하며, 각 블록(100)간 연결부 접촉면에는 적어도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을 기준으로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을 포함하도록 수평 배수홈(110)이나 수직 배수홈(120)으로부터 세그먼트(10)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띠 형상의 지수재(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의 배수 구조가 적용된 수직구.
3. The method of claim 2,
A drain cap 14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drain 131 formed in the uppermost segment 10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drain 131, and at least a horizontal drain groove 110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nection between each block 100. and a band-shaped index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or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so as to include the inner wall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based on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 A vertical sphere to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precast segment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sh 170 is formed.
수직구(1) 굴착면에 프리캐스트(precast)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10)를 삽입하고, 상부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이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세그먼트(10)의 적층 및 지반의 굴착을 반복함으로써, 세그먼트(10)를 하향 이동시켜 수직구(1)의 벽면을 형성하되,
블록(100) 제조용 몰드에 주물 재료를 주입 후 양생하여 아치 형상의 프리캐스트 블록(100)을 제조하며, 제조된 각 블록(100)에는 블록(10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중앙부에 블록(100)의 높이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며 세그먼트(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블록(100) 측방향 양끝단으로 연장되는 수평 배수홈(110), 블록(100)의 측방향 양 끝단 중앙부에 블록(100)의 폭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홈 형태를 이루며, 세그먼트(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100)의 상하면 양끝단으로 연장되어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는 수직 배수홈(120), 각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으로부터 아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고,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블록(10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수평 배수홈(110)과 이어지는 중앙 배수구(131)를 형성하는 블록(100)을 제조하는 과정과, 제조된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각 블록(10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이 서로 연결되면서 수평 및 수직방향 배수로가 형성된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형성된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수직구(1) 시공시 상하로 연접하는 세그먼트(10)간 중앙 배수구(131)가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중앙 배수구(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Inserting a ring-shaped segmen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segment 10 stacked on top of the By repeating the lamination of the segment 10 and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so that the block 100 side end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the segment 10 is moved downward to move the vertical sphere (1) to form the wall surface,
An arch-shaped precast block 100 is manufactured by injecting a casting material into the block 100 manufacturing mold and then curing, and each manufactured block 100 has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100 or Horizontal drainage grooves 110, which form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ock 100 in both central portions and extend to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of the block 100 It forms a concave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100 at the center of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extends to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gment 10 to connect with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formed at the same distance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block 100 along the arch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lock 100 to form a central drain hole 131 that penetrates through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continuous central drain hole 131, and a plurality of the manufactured blocks 100 are late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egment 10 in which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channels are formed.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drain hole 131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drain hole 131 between the segments 10 connecting up and down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제7항에 있어서,
배수 구조가 형성된 세그먼트(10)를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수직구(1) 벽면을 시공하되,
수직구(1) 시공 위치 지표면에 최하단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하부면 보호를 위한 링 형상의 슈(shoe)를 배치하고, 슈 상부에 최하단 세그먼트(10)를 결합하는 최하단 세그먼트 결합 단계(S10);
슈 하단 바닥면 굴착에 따른 세그먼트(10) 적층 구조물의 하향 이동 및 세그먼트(10) 추가 적층을 반복 수행하여,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측면 끝단이 상부 또는 하부에 연접하여 배치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 중앙부에 위치하고, 블록(100)의 일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적층된 블록(100)의 타측 끝단 방향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며, 각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접하여 적층된 다른 세그먼트(10)의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과 서로 연결되면서, 수직구(1) 벽면 내부 전체에 걸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배수로가 형성되는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
세그먼트(10) 적층에 의한 수직구(1) 벽면 형성 완료 후 최하단 세그먼트(10)로부터 슈를 분리하며, 생략 실시 가능한 슈 분리 단계(S30);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에 수직구(1)의 배수 시설(200)을 설치하되,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가 수직구(1)의 배수 시설(200)로 연결되는 배수 시설 시공 단계(S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rtical sphere (1) wall surface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segment 10 on which the drainage structur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lowest segment combining step ( S10);
A segment ( 10)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block 100,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block 100 is in line with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block 100 stacked up or down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 hole 131 of each segment 10 a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drain groove 110 and the vertical drain groove 120 of the other segments 10 that are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and are stacked. ) an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sphere (1) segment stacking step (S20) in which drainage channels connect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formed over the entire inside wall surface;
Separating the shoe from the lowermost segment 10 after completing the forma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by the segment 10 stacking, and a shoe separation step (S30) that can be omitted;
Install the drainage facility 200 of the vertical port (1)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st segment (10), but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age port (131) of the lowest segment (10) are the drainage facilities ( 200), the drainage facility construction step (S40);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8항에 있어서,
일부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은 중앙 배수구(131)가 상하로 분할되어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로 이루어지고, 블록(1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점검구(160)를 통해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를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되,
세그먼트 적층 단계(S20)에서는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 및 점검구(160)가 형성된 블록(100)만으로 한 층 이상의 세그먼트(10)를 적층하는 과정이 부가되며,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간 연결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161)가 장착되어, 시공 완료된 수직구(1) 벽면 내부 배수로에 유입된 침투수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배수로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lock 100 constituting the partial segment 10 is composed of an upper central drain 141 and a lower central drain 151 by dividing the central drain 131 up and down, and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100 .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through the concave groove-shaped inspection hole 16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hole (1),
In the segment stacking step (S20), the process of stacking one or more layers of segments 10 is added only with the block 100 having the upper central drain 141, the lower central drain 151, and the inspection hole 160 formed therein,
A detachable filter 161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filtrated water flowing into the wall internal drain of the completed vertical hole 1 and act on the drai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water pressure.
제9항에 있어서,
일부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에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 형성시, 각각 내부에 상부 중앙 배수구(141)와 하부 중앙 배수구(151)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상부 중앙 배수관(140) 및 하부 중앙 배수관(150)이 블록(100) 내부에 매립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are formed in the block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the upper central drain 141 and the lower central drain 151 are formed inside, respectively.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entral drain pipe 140 and the lower central drain pipe 150 are buried in the block 100 and form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시설 시공 단계(S40)에서 설치되는 배수 시설(200)은, 최하단 세그먼트(10)의 수직 배수홈(120) 및 중앙 배수구(131)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침투수를 모으는 집수 박스(210), 침투수를 저장하여 하수 처리 시설로 배출하는 바닥 배수관(220), 집수 박스(210)에 모인 침투수를 바닥 배수관(220)으로 배출하는 집수관(230), 집수 박스(210) 내부에 장착되어 침투수 내 이물질을 여과하고 집수관(230)에 작용하는 수압을 저감시키며 집수 박스(2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집수 필터(2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ainage facility 200 installed in the drainage facility construction step (S4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nd the central drainage hole 131 of the lowermost segment 10, and a collection box 210 to collect the discharged water. , a floor drain pipe 220 for storing and discharging permeated water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a water collecting pipe 230 for discharging permeated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on box 210 to a floor drain pipe 220, mount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permeated water, reduces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water collecting pipe (230), and consists of a water collecting filter (211) detachable from the water collecting box (210).
제7항 또는 제8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직구(1) 최상단에 적층되는 세그먼트(10)의 블록(100)에 형성된 중앙 배수구(131) 상부에는 배수구 캡(142)이 장착되고, 각 블록(100)간 연결부 접촉면에는 적어도 수평 배수홈(110) 및 수직 배수홈(120)을 기준으로 수직구(1) 내측 벽면 방향을 포함하도록 수평 배수홈(110)이나 수직 배수홈(120)으로부터 세그먼트(10)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띠 형상의 지수재(170)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or 8 selected from,
A drain cap 14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drain hole 131 formed in the block 100 of the segment 10 stacked on top of the vertical hole 1, and at least a horizontal drain groove ( 110) and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as a basis for the vertical sphere (1) to include the inner wal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drainage groove 110 or the vertical drainage groove 120 to the segment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certain interval to include a band shape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p material 170 is added.
KR1020210113835A 2021-08-27 2021-08-27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KR102388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35A KR102388171B1 (en) 2021-08-27 2021-08-27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CN202210358232.9A CN115726449A (en) 2021-08-27 2022-04-06 Vertical hole suitable for prefabricated segment drainage structure and vertical hole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35A KR102388171B1 (en) 2021-08-27 2021-08-27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171B1 true KR102388171B1 (en) 2022-04-18

Family

ID=8139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35A KR102388171B1 (en) 2021-08-27 2021-08-27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8171B1 (en)
CN (1) CN115726449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083A (en) * 2003-03-27 2003-04-18 김광호 Holed drainpipe for revetment, slope and underground water level
KR102006970B1 (en) * 2018-03-08 2019-08-02 함승완 Waterway side tank for storage and drainage of rainfall
KR102176930B1 (en) 2020-06-24 2020-11-10 주식회사 태명실업 Top-down segment vertical shaft structure precise construction method
KR20210059485A (en)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vertical sh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083A (en) * 2003-03-27 2003-04-18 김광호 Holed drainpipe for revetment, slope and underground water level
KR102006970B1 (en) * 2018-03-08 2019-08-02 함승완 Waterway side tank for storage and drainage of rainfall
KR20210059485A (en)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vertical shaft
KR102176930B1 (en) 2020-06-24 2020-11-10 주식회사 태명실업 Top-down segment vertical shaft structure precise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26449A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563B1 (en) Drainage structure in tunnel and method constructing thereof
CN206844171U (en) A kind of water proof structure of basement bottom board
KR102388171B1 (en) Vertical Hole applied with Drainage Structure of Precast Segment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for Vertical Hole Using the Same
KR101321992B1 (en) Block type rain retaining facility
CN211772814U (en) Steel concrete side ditch type bridge floor drainage system combined with pavement layer
KR100926694B1 (en)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KR200432040Y1 (en) Sump system
KR100806259B1 (en) The facility for rainwater storage
CN212803334U (en) Tunnel inverted arch lower one-way drain pipe convenient for drainage and pressure relief
CN212865994U (en) Drainage structure for point machine foundation pit platform and point machine foundation pit platform
CN114775699A (en) Post-cast strip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0140780U (en) Anti-clogging ecological permeable box culvert
JP7073163B2 (en) Embankment structure
CN108589796B (en) Substrate water-dispersing treatment method
KR20170143279A (en) Water permeable block assembly, water permeable system having thi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2458932A (en) Non-cutoff connection method for single-hole water diversion box culvert
CN113202557A (en) Tunnel inverted arch lower one-way drain pipe convenient for drainage and pressure relief
CN111779011A (en) Drainage structure for point machine foundation pit platform and point machine foundation pit platform
KR200419448Y1 (en) Over pressure durable basement drainage system
JP6839438B2 (en) How to build a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tank
JP6106643B2 (en) Underpass structure of road
KR101061186B1 (en) Relief point system and its installation method for treatment of uplifting water pressure affecting underground structure
CN219260896U (en) Full storehouse basin surface prevention of seepage storehouse bottom corridor structure
KR20190055562A (en) Masonry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device and reinforcement method
CN214401733U (en) Novel eccentric catchment out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