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94B1 -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 Google Patents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6694B1 KR100926694B1 KR1020070094850A KR20070094850A KR100926694B1 KR 100926694 B1 KR100926694 B1 KR 100926694B1 KR 1020070094850 A KR1020070094850 A KR 1020070094850A KR 20070094850 A KR20070094850 A KR 20070094850A KR 100926694 B1 KR100926694 B1 KR 100926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pipe
- address
- side support
- drain
- ground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덮개부와, 상기 상부덮개부의 양단에 형성된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 보강부로 이루어진 드레인관; 주소켓상부덮개부와 상기 주소켓상부덮개부의 양단의 주소켓측면지지부와, 상기 주소켓측면지지부에 형성되고 드레인보드가 결합되는 주소켓결합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드레인관의 대응 양단에 결합되는 주소켓; 보조소켓상부덮개부와, 상기 보조소켓상부덮개부의 양단에 구비된 보조소켓측면지지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드레인관의 대응 양단부에 결합되는 보조소켓;이 더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an upper cover portion, a side suppor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portion, and a drain pipe including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s; An address jacket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oth ends of the drain pipe, consisting of an address cover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address cover side support portion at both ends of the address cover upper cover portion, and an address socke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address support side support portion and to which the drain board is coupled. ; The auxiliary socket upper cover portion and the auxiliary socket side support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socket upper cover portion, the auxiliary socket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both ends of the drain pipe;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드레인관 내의 집수가 최소의 표면적에 접촉되어 흐르므로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집수가 드레인관을 따라 원활히 배수되고, 드레인관이 한 번의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도록 구비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되며, 드레인관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되므로 드레인관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두 개의 측면지지부들 및 복수의 보강부들에 의해 상부덮개부에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water collection in the drain pipe flows in contact with the minimum surface area,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is reduced, so that the water collection is smoothly drained along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ipe is provided to be manufactured by one extrusion molding, there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ince the height of the drain pipe is low and sufficient water supply space is secured,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pipe can be reduced than before, and the upper cover part is applied by two side support parts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It can fully support high vertical pressure.
드레인관, 주소켓, 보조소켓, 집수통로 Drain pipe, address socket, auxiliary socket, water collecting pass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드레인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지하수와 드레인관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통수의 한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ground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drain pipe and to maintain a constant casting thickness of the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can maximize the limit.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지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소정의 깊이로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굴착이 종료된 지면(바닥면)이 기초 시공기준면이 되며, 이 기초 시공기준면을 기준으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In general,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to a predetermined depth for the construction of civil and architectural underground structures, and the ground (floor surface) after the excavation is completed is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and based on this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It will be constructed.
기초 시공기준면에 지하수가 침투, 유입되는 경우, 지하수는 지하구조물에 양압력으로 작용된다. 여기서, 지하구조물이란, 지하에 시공되는 구조물을 말하며, 이러한 지하구조물을 갖는 건축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은 지하구조물의 바닥부와 그 주변 지하수위에 의한 수두차이로 발생되어서 지하구조물을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은 지하구조물에 다음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지하수에 의해 발생되는 양압력이 지하 구조물의 정하중(사하중)보다 크면 지하구조물은 부상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양압력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매트(Mat)기초 또는 기초바닥슬래브 구역에 크랙이 발생되어 결국 지하구조물은 파괴된다.When groundwater penetrates and flows into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urface, groundwater acts as a positive pressure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Here, the underground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underground, and includes a building having such an underground structure. The positive pressure acting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generated by the head difference due to the bottom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surrounding groundwater level, and acts as a force to lift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positive pressure caused by the groundwater has the following adverse effects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is, if the posi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groundwater is greater than the static load (dead loa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injured or inclined to one side, or cracks may be generated in the mat base or foundation floor slab area where the positive pressure is concentrated. Eventually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destroyed.
또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이 지하구조물의 정하중보다 작더라도,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약화를 촉진하고, 시공접합부(조인트) 등을 통하여 지하수가 지하구조물 내측으로 침투 유입되어 균열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ositive pressure due to the groundwater is less than the static loa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promotes the weakening of the concret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groundwater can penetrate into the underground structure through the construction joints (joints) to act as a cause of cracking. .
따라서, 지하층이 있는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에 대한 대책으로 지하구조물의 기초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락 앵커 등을 설치하여 양압력에 저항시키거나, 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드레인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수 및 배수시켜서 양압력을 감소시키는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positive pressure caused by groundwater in the construction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structures with underground floors, the foundation thicknes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increased, or a rock anchor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to resist the positive pressure, or the foundation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A drain pipe is installed in the water pipe to collect and drain the groundwater to reduce the positive pressure.
최근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에 드레인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의 공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460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Recently, a method of draining groundwater to a sump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drain pipe on a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and one of the methods is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Application No. 20-0336460.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지하층 지반을 굴착한 후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에 별도의 트렌치를 소정 깊이로 더 굴착한 다음, 이 트렌치 내에 집수정과 연결되는 다발관과 자갈(쇄석) 등을 채우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after digging the basement ground, an additional trench is further excavat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final excavation surface), and the bundle pipe and gravel (crushed stone) connected to the sump well are filled in the trench. The system is adopted.
따라서, 기초 시공기준면에 미리 배치된 토목섬유 및 드레인보드를 통하여 지하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트렌치 내의 다발관으로 지하수가 모여서 집수정으로 배수된 다음, 집수정에 집수된 지하수를 펌프로 강제 배수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ground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geotextiles and drainboards pre-arranged o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plane. At the same time, the groundwater is collected into the bundle pipe in the trench and drained to the sump, and the groundwater collected in the sump is forcedly pumped. .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은 트렌치가 기초 시공기준면에 시공 될 뿐 아니라 지하구조물과 간섭되므로,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이 감소되어 설계접지압에 미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가적인 트렌치 굴착은 시공성과 안정성 및 경제성 등을 저하시키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의 과다 굴착에 따라 부분적으로 기초지반의 허용지내력이 크게 감소될 수 있고, 트렌치와 트렌치 사이에 드레인보드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부분적으로 양압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rainage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trench is not only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but also interferes with the underground structure, so that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ground is reduced, and thus it is less than the design ground pressure. In particular, additional trench excav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and stability and economical deterioration and the air is long. In addition, due to the excessive excavation of the trench,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ground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ve pressure is partially increased when a drain board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trench and the trench.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등록실용 제20-0396485호)를 개발하였다. 이는, 기초 시공기준면(최종 굴착면)을 재차 굴착하지 않고도 조립과 설치가 간단한 드레인보드 및 이중관 형태의 드레인관을 구비하여서 이들을 기초 시공기준면에 간편하게 시공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집배수장치는 기초 시공기준면을 재차 굴착하지 않고도 굴착면 지반을 통해 침투,유입되는 지하수를 드레인보드를 통해 집수하는 동시에 집수 및 배수 역할을 하는 드레인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결국 지하수를 용이하게 영구적으로 집수 및 배수시켜서 매트(mat)기초 또는 기초바닥 슬래브에 양압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Registration Room No. 20-0396485) of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is is provided with a drain board and a double pipe type drain pipe, which are simple to assemble and install, without having to excavate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final digging surface) again so that they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Such a drainage system collects groundwater that penetrates and inflows through the excavation ground through a drain board without digging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again, and quickly drains it to the sump through a drain pipe serving as a collection and drainage. It was. Therefore,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groundwater can be easily and permanently collected and drained so that no posi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at-based or foundation floor slab.
여기서, 드레인관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멍(2a)이 형성된 내부관(2)과, 집수로(3a)가 형성된 외부관(3)과, 내부관(2)의 외경면과 외부관(3)의 내경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4)으로 구성된다. Here, the drain pipe includes an
그런데 이러한 드레인관은, 비교적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드레인관(1) 측으로 모인 집수가 이를 따라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드레인관(1)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내부관(2)이 연결판(4)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관(1)으로 모인 집수는 이를 따라 흐르면서 외부관의 내주면 및 연결판(4)들에 접촉될 뿐 아니라 드레인관(1)에서 가장 넓은 표면적을 갖는 내부관(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흐른다. 이와 같이 집수가 넓은 표면적에 접촉되면서 흐르므로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집수가 드레인관(1)을 따라 원활히 흐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By the way, such a drain pipe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contact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lection of water collected on the drain pipe 1 side does not flow smoothly along this. That is, since the
또한 종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는, 연결판(4)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2a)들을 일일히 수작업으로 뚫어서 형성시켰다. 따라서 다수의 배수구멍(2a)을 뚫는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was formed by manually drill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2a)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4). Therefore, the work of drill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2a) was very complicated and workability was deteriorated accordingly.
그리고 종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는, 통수량을 증가시키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즉, 드레인관(1)을 기초 시공기준면 상에 설치한 후 드레인관(1)을 충분히 덮기 위해서 보통 그 위에 60mm 정도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통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지름이 더 큰 드레인관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큰 지름의 드레인관을 덮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량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결국 시공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has a lot of restrictions in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That is, after installing the drain pipe 1 on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in order to cover the drain pipe 1 sufficiently, usually about 60 mm of concrete is poured on it.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flow rate, a larger diameter drain pipe should be used. In this case, the amount of concrete pouring to cover the large diameter drain pipe increases rapidl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의 집수 역할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지하수를 배수시킬 때 드레인관의 접촉면과의 마찰저항을 극소화시켜 배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용 드레인관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hile the same role as the groundwater catchment, while underground structure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drain pipe when draining the groundwater to increase the drainage capacity To provide a drain pipe for a groundwater drainag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단축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sub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통수의 한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sub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maximize the limit of water flow while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pour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연결설치되어서 기초 시공기준면에 침투된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 시공기준면에 설계된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토목섬유;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긴 길이의 상부덮개부와, 상기 상부덮개부의 양단 하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상부덮개부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덮개부 및 측면지지부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상기 상부덮개부의 내면 하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된 보강부로 이루어진 드레인관;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주소켓상부덮개부와, 상기 주소켓상부덮개부의 양단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주소켓측면지지부와, 상기 주소켓측면지지부에 형성되고 드레인보드가 결합되며 상기 드레인보드에서 집수된 지하수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주소켓결합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드레인관의 대응 양단에 결합되는 주소켓;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보조소켓상부덮개부와, 상기 보조소켓상부덮개부의 양단 하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보조소켓측면지지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드레인관의 대응 양단부에 결합되는 보조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drain the groundwater infiltrated into the foundation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to the water collecting well. In the groundwater drainage device of the, Geosynthetic fibers laminated along the direction designed on the base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long length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passage, the side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integrally in the lower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portion to form both side walls of the drain passag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A drain pipe formed of a reinforcing part integrally extending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part so as to partition an inner space formed of the upper cover part and the side support par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 upper cover part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in passage, an address cover side support part which extends integrally under both ends of the upper cover part part and forming both side walls of the drain passage, and a drain board formed at the address side support part An address collar coupled to the address socket coupling part for guiding the groundwater collected in the drain board to the inner space, the address socket being coupled to corresponding both ends of the drain pipe; The auxiliary socket upper cover portion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 passage, and the auxiliary socket side support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socket upper cover portion to form both side walls of the drain passa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rain pipe An auxiliary socket coupled to both end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드레인관의 측면지지부 및 보강부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상기 드레인관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집수통로가 형성된다.Another feature of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ground structure lower 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of the drain pipe, the catchment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groundwater penetrated into the base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drain pipe.
본 발명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주소켓의 결합부는, 상기 주소켓측면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주소켓측면지지부의 일측에만 형성된다.Another feature of the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ddress socket,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ddress side support, or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address support side support.
본 발명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소켓은, 그 평면 형태가 "-자형", "+자형", "T자형", "L자형", "Y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Another feature of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ocket, the planar form of "-shaped", "+ -shaped", "T-shaped", "L-shaped", "Y-shaped" It is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mong.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드레인관, 주소켓, 보조소켓이 최소의 표면적을 갖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드레인관 내의 집수가 최소의 표면적에 접촉되어 흐르므로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집수가 드레인관을 따라 원활히 배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pipe, the address socket, the auxiliary socket is manufactured to have a minimum surface area. Therefore, since the water collection in the drain pipe flows in contact with the minimum surface area,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is reduced, so that the water collection is smoothly drained along the drain pipe.
또한, 본 발명의 드레인관은 수작업 없이 한 번의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도록 구비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manufactured by one extrusion molding without manual work,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hortened and thus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의 드레인관은 그 높이에 비해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드레인관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되므로 드레인관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관은 높낮이의 변화없이 그 좌우 폭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폭만큼 보강부의 갯수를 증가시키면, 드레인관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더 두껍게 하지 않아도 드레인관의 통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nd the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nnel shape wider tha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height of the drain pipe is low, but sufficient water supply space is secur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placed on the drain pipe can be reduced than before. If the drain pipe is increas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without changing the height and the number of reinforcement by the increased widt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low rate of the drain pipe without thickening the casting thickness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over the drain pipe .
본 발명의 드레인관은 양측에 구비된 측면지지부와 이 측면지지부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들에 의해 상부덮개부가 지지된다. 이러한 두개의 측면지지부들 및 복수의 보강부들은 모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덮개부의 여러 부분을 등간격으로 지지하므로 상부덮개부에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The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upper cover portion by a side suppor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 Both of the two side support parts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 various portions of the upper cover part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high vertical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cover par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이 사용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드레인관(20), 주소켓(30), 보조소켓(40)의 단면도들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groundwater collector drainag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used
이러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굴착작업을 시행한다. 이 굴착작업을 통해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지하 부분을 시공하게 된다. 굴착작업이 종료되면 그 지표면 즉, 기초 시공기준면을 고르게 정리하는 단계를 갖는다.In order to install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excavation work is performed first. Through this excavation work, the underground part of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structure is constructed. When the excavation work is completed, the ground surface, that is, the foundation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is arranged to be evenly arranged.
기초 시공기준면이 고르게 정리되면 설계 배치 기준에 따라 토목섬유(11)가 포설된다. 이 토목섬유(11)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된 지하수를 실질적으로 흡수하여 초기 집수의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is evenly arranged,
이어서, 토목섬유(11) 상에 설계 배치 기준대로 드레인보드(12)가 배치된다. 이 드레인보드(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토목섬유로 감싼 후 시공되며 따라서 토목섬유에 의해 석분이나 토립자가 걸러지면서 드레인보드(12) 내에는 지하수만 침투된다. Subsequently, the
드레인보드(12)의 상부는 평평한 판체로 되어 있고, 이 판체의 저면에 볼록한 다수의 돌기(1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돌기(13)들은 상부 하중을 굴착면 바닥에 전달시키고, 돌기(13) 사이로 지하수의 흐름이 유도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토목섬유(11)상에는 설계 배치 기준대로 드레인관(20)이 배치되며, 드레인관(20)의 각 연결부위에는 주소켓(30) 및 보조소켓(40)이 연결된다.Then, the
드레인관(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 는 긴 길이의 상부덮개부(21)와, 상부덮개부(21)의 양단 하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측면지지부(22)와, 상부덮개부(21)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상부덮개부(21) 및 측면지지부(22)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상부덮개부(21)의 내면 하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된 보강부(2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이러한 드레인관(20)은, 터널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덮개부(21) 및 측면지지부(22)와 이들 사이에 구비된 판 형태의 복수의 보강부(23)로 이루어지므로, 원통형 내부관(2), 원통형 외부관(3) 및 연결판(4)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드레인관에 비해 그 표면적이 대폭 감소된다. 따라서 드레인관(20) 내의 집수가 최소의 표면적에 접촉되어 흐르므로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집수가 드레인관(20)을 따라 원활히 배수된다.The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에는 종래의 배수구멍(2a)이 없으며, 상부덮개부(21). 측면지지부(22), 보강부(23)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작업 없이 한 번의 압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관(20)의 제조공정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된다.The
이러한 드레인관(20)은 그 높이에 비해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드레인관(20)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되므로 드레인관(2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Th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드레인관(20)과 종래의 드레인관(1)이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경 우,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의 높이가 종래의 드레인관(1)의 지름, 즉 높이보다 더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을 콘크리트로 타설할 경우, 종래의 드레인관(1)을 타설할 때보다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가 더 얇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설치비를 경감시킬 수 있다.When the
이러한 드레인관(20)은 높낮이의 변화없이 그 좌우 폭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폭만큼 보강부(23)의 갯수를 증가시키면, 드레인관(2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더 두껍게 하지 않아도 드레인관(20)의 통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When the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양측에 구비된 측면지지부(22)와 이 측면지지부(22)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23)들에 의해 상부덮개부(21)가 지지된다. 이러한 두 개의 측면지지부(22)들 및 복수의 보강부(23)들은 모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덮개부(21)의 여러 부분을 등간격으로 지지하므로 상부덮개부(21)에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The
주소켓(30)은, 드레인관(20)과 같이 높이보다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드레인관(20)의 대응 단부에 결합되며, 드레인보드(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주소켓(30)은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주소켓상부덮개부(31)와, 주소켓상부덮개부(31)의 양단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주소켓측면지지부(32)와, 주소켓측면지지부(32)에 형성되고 드레인보드(12) 가 결합되며 드레인보드(12)에서 집수된 지하수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주소켓결합부(33)로 이루어진다.The
상술한 주소켓(30)도 드레인관(20)과 마찬가지로 그 높이에 비해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주소켓(30)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된다. 그러므로 주소켓(3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Similar to the
이러한 주소켓(30)은 드레인보드(12)로 유입된 물이 주소켓결합부(33)를 통해 그 내부로 유도되도록 하며 주소켓(30)에 유입된 지하수는 드레인관(20)을 통해 집수정(10)으로 배수된다.The
시공기준면 상에 토목섬유(11), 드레인보드(12), 드레인관(20), 주소켓(30)과 후술할 보조소켓(40)들이 설치되면 그 위에 2겹의 폴리에틸렌 필름(미도시)을 깔아주어서 지하수가 기초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마감한다.
보조소켓(40)은 집수정(10)까지 연결되는 드레인관(20)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어서 드레인관(20)이 직선 배열, 교차 배열, 또는 직각 배열, 또는 다양한 각도의 곡선 배열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보조소켓(40)도 드레인관(20)과 마찬가지로 그 높이에 비해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보조소켓(40)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된다. 그러므로 보조소켓(4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Like the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집수 및 배수 경로는 다음과 같다. The collection and drainage paths of the groundwater collection / drainage system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기초 시공기준면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는 토목섬유(11)에서 흡수되고 흡수된 지하수는 드레인보드(12)를 통해 주소켓(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지하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기초 지반으로 침투 유입되는 지하수가 드레인보드(12) 및 드레인관(20)을 통하여 용이하게 집수되어 집수정(10)으로 배수된다.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surface is absorbed by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지하수가 드레인관(20)을 따라 흐르는 동안 상부덮개부(21) 및 측면지지부(22)의 내주면과 보강부(23)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흐르게 된다. 이러한 드레인관(20)은 내부 표면적이 최소의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드레인관(20) 내부를 따라 흐르는 지하수와 드레인관(20)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저항이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드레인관(20) 내부로 집수된 지하수가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을 따라 원활히 배수된다.First, while the groundwater flows along the
둘째,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종래와 같은 배수구멍(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으로 배수구멍(2a)을 뚫었던 종래의 공정이 생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수작업 없이 한 번의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된다.Second, the
셋째,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그 높이에 비해 좌우 폭이 넓은 터널형태의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드레인관(20)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충분한 통수공간이 확보되므로 드레인관(2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Third, the
이러한 드레인관(20)은 높낮이의 변화없이 그 좌우 폭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폭만큼 보강부(23)의 갯수를 증가시키면, 드레인관(20)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더 두껍게 하지 않아도 드레인관(20)의 통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When the
넷째, 본 발명의 드레인관(20)은 양측에 구비된 측면지지부(22)와 이 측면지지부(22)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보강부(23)들에 의해 상부덮개부(21)가 지지된다. 이러한 두개의 측면지지부(22)들 및 복수의 보강부(23)들은 모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덮개부(21)의 여러 부분을 등간격으로 지지한다. 그러므로 상부덮개부(21)에 가해지는 높은 수직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Fourth, the
도 8은 드레인관(5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드레인관(50)은,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긴 길이의 상부덮개부(51)와, 상부덮개부(51)의 양단 하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측면지지부(52)와, 상부덮개부(51)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상부덮개부(51) 및 측면지지부(52)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상부덮개부(51)의 내면 하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된 보강부(53)로 이루어진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드레인관(50)의 측면지지부(52) 및 보강부(53)에는,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가 드레인관(5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집수통로(52a)(53a)들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따라서 기초 시공기준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는, 드레인보드(12), 주소켓(30)을 통해 드레인관(50) 내부로 유입되지만 집수통로(52a)(53a)들을 통해 드레인관(50) 내부로 직접 유입되기도 한다.Therefore, the groundwater penetrating into the basic construction reference plane is introduced into the
도 9는, 드레인관(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드레인관(60)은, 도 4 및 도 8과 같이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긴 길이의 상부덮개부(61)와, 상부덮개부(61)의 양단 하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측면지지부(62)와, 상부덮개부(61)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상부덮개부(61) 및 측면지지부(62)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도록 상부덮개부(61)의 내면 하측에 이와 일체로 연장된 보강부(63)로 이루어진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드레인관(60)은 도 4 및 도 8에 비해 평면 전체에 동일한 수직하중이 작용하도록 그 단면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점만 다르며 나머지 주요 기능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도 10은, 주소켓(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주소켓(70)은, 배수통로의 상부를 이루는 주소켓상부덮개부(71)와, 주소켓상부덮개부(71)의 양단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어서 배수통로의 양측벽을 이루는 주소켓측면지지부(72)와, 주소켓측면지지부(72)에 형성되고 드레인보드(12)가 결합되며 드레인보드(12)에서 집수된 지하수를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주소켓결합부(73)로 이루어진다. 이 주소켓결합부(73)는 주소켓측면지지부(72)의 일측에만 형성된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주소켓(70)은, 주소켓결합부(73)가 주소켓측면지지부(72)의 일측에만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나머지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도 11은 보조소켓(81)(82)(83)(84)(85)(86)(87)(88)(89)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로써, 이는, 드레인관(20)(50)(60)들이 직선 배열, 교차 배열, 또는 직각 배열, 또는 다양한 각도의 곡선 배열되도록 인접한 두 드레인관(20)(50)(60)들의 대응 단부에 연결된다.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이와 같은 보조소켓(81)(82)(83)(84)(85)(86)(87)(88)(89)은 "ㅡ"자형, "T"자형, "+"자형, "L"자형, "Y"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드레인관(20)(50)(60)의 각 조인트 부위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연결하면 된다. 이 보조소켓(81)(82)(83)(84)(85)(86)(87)(88)(89)은 강성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제작되기도 하지만, 기초시공면의 단차 발생 구간에 드레인관(20)(50)(60)의 밀착 설치가 원활하게 되도록 연성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제작될 수 있다.The
도 1 및 도 2는 종래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용 드레인관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단면도1 and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pipe for groundwater drainage device of the lower ground in the conventional underground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의 드레인관이 사용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groundwater collecting and drainage device of the lower ground structure used the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드레인관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 pipe;
도 6은 주소켓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dress jacket
도 7은 보조소켓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socket
도 8 및 도 9는 드레인관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사시도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drain pipe
도 10은 주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dress jacket
도 11은 보조소켓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들1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n auxiliary socke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집수정 11 : 토목섬유10: sump crystal 11: geotextile
12 : 드레인보드 13 : 돌기12: drain board 13: protrusion
20,50,60 : 드레인관 21,51,61 : 상부덮개부20,50,60:
22,52,62 : 측면지지부 23,53,63 : 보강부22,52,62:
30,70 : 주소켓 31,71 : 주소켓상부덮개부30,70:
32,72 : 주소켓측면지지부 33,73 : 주소켓결합부32,72: Address-cket
40,81,82,83,84,85,86,87,88,89 : 보조소켓40,81,82,83,84,85,86,87,88,89: auxiliary socket
41 : 보조소켓상부덮개부 42 : 보조소켓측면지지부 41: auxiliary socket top cover 42: auxiliary socket side support
52a,53a : 집수통로52a, 53a: catchment passag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4850A KR100926694B1 (en) | 2007-09-18 | 2007-09-18 |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4850A KR100926694B1 (en) | 2007-09-18 | 2007-09-18 |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9531A KR20090029531A (en) | 2009-03-23 |
KR100926694B1 true KR100926694B1 (en) | 2009-11-17 |
Family
ID=4069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4850A KR100926694B1 (en) | 2007-09-18 | 2007-09-18 |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66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168B1 (en) * | 2013-04-17 | 2013-09-11 | 지에스이앤씨(주) | Permanent drainage device for building |
KR101976087B1 (en) * | 2019-01-21 | 2019-05-07 | 건진건설 주식회사 | Earth-pressure resistance type horizontal drain boar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rizontal drain boar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78989B (en) * | 2019-01-23 | 2024-02-23 | 杭州置顶星萃新材料有限公司 | Siphon seepage pipe |
CN110397022B (en) * | 2019-07-22 | 2024-05-31 | 黄逸飞 | Drainage structure with anti-floating, anti-seepage and filtering functions |
KR102693177B1 (en) * | 2023-06-15 | 2024-08-08 | 준이엔씨(주) | Permanent drainage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092Y1 (en) * | 2000-03-18 | 2000-08-16 | 김혜숙 | A horizotal water supply members for stabilizing weak ground |
KR200314875Y1 (en) | 2003-03-04 | 2003-06-02 | 엄기형 | Connector for apparatus draining |
KR200396485Y1 (en) * | 2005-06-24 | 2005-09-23 |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 Device for drain underground water for construction the same |
KR100699726B1 (en) | 2005-07-18 | 2007-03-27 |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 Core of drain board |
-
2007
- 2007-09-18 KR KR1020070094850A patent/KR10092669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092Y1 (en) * | 2000-03-18 | 2000-08-16 | 김혜숙 | A horizotal water supply members for stabilizing weak ground |
KR200314875Y1 (en) | 2003-03-04 | 2003-06-02 | 엄기형 | Connector for apparatus draining |
KR200396485Y1 (en) * | 2005-06-24 | 2005-09-23 |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 Device for drain underground water for construction the same |
KR100699726B1 (en) | 2005-07-18 | 2007-03-27 |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 Core of drain boar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168B1 (en) * | 2013-04-17 | 2013-09-11 | 지에스이앤씨(주) | Permanent drainage device for building |
KR101976087B1 (en) * | 2019-01-21 | 2019-05-07 | 건진건설 주식회사 | Earth-pressure resistance type horizontal drain boar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rizontal drain 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9531A (en) | 2009-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9021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 |
KR101615614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with modular retaining wall and double wall | |
KR100926694B1 (en) | Ground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system of the substructure under the underground structure | |
KR100616123B1 (en) | Device for drain underground 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 same | |
KR101066198B1 (en) |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of top-down with slurry walls | |
KR200433220Y1 (en) | Sump system | |
KR100734047B1 (en) |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 |
JP3645773B2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for underground wall and underground wall constructed by this method | |
KR100655384B1 (en) | Method of drain construction for basement | |
CN111005761B (en) | 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structure of mine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32040Y1 (en) | Sump system | |
KR200396485Y1 (en) | Device for drain underground water for construction the same | |
KR100456610B1 (en) | Structure method for drainageway of weak stratum and the conduct pipe thereof | |
KR101808833B1 (en) | Floor structure of underground floor with reduced floor height using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55383B1 (en) | Method of drain construction for basement | |
KR100748607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drainage having double drainage canals and the system | |
KR200431569Y1 (en) | Hole Drain Board | |
KR101774865B1 (en) | A double wall | |
JP3536270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 |
CN212272299U (en) | Water collecting and draining structure of mine method tunnel | |
KR20090029530A (en) | Drainpipe for underground water catchment and drainage of lower part basement | |
KR200434601Y1 (en) | Drain Board System Of Basement Floor Construction | |
KR200314875Y1 (en) | Connector for apparatus draining | |
KR20020013168A (en) | A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of ground floor | |
KR20130001219U (en) | Drainage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0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