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216B1 -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216B1
KR102386216B1 KR1020210132824A KR20210132824A KR102386216B1 KR 102386216 B1 KR102386216 B1 KR 102386216B1 KR 1020210132824 A KR1020210132824 A KR 1020210132824A KR 20210132824 A KR20210132824 A KR 20210132824A KR 102386216 B1 KR102386216 B1 KR 102386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haped flange
flange bar
open e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봉철
선현
Original Assignee
선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봉철 filed Critical 선봉철
Priority to KR102021013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2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duct including a connection unit, capable of preventing air in the duct from being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on part between ducts and enhancing an insulation effect, increasing efficiency in a connection process to reduce the fatigue of workers, and enabling the process even in a narrow space regardless of conditions of the pl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rocess. Moreov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100) is formed into a shape in which a pair of both sides opposed to each other are open, and connection units (200, 300) are combined with open end parts; the connection units (200, 300) include a U-shaped flange bar (200) and an h-shaped flange bar (300), which are placed in pairs at the open end parts, respectively; and a pair of the U-shaped flange bar (200) and the h-shaped flange bar (300) are placed in an orthogonal structure at the open end parts of the duct (100), respectively.

Description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유닛인 'U형 플랜지 바'와 'h형 플랜지 바'를 덕트에 부착시켜 덕트 내부 유체에 대한 누기 방지 및 단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덕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duct for insulation for air conditioning, and more particularly, by attaching a 'U-shaped flange bar' and an 'h-shaped flange bar', which are connection units, to the duct to prevent leakage of the fluid inside the duct and provide insulation.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duct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덕트는 공기를 옮기거나 순환시키기 위해 다양한 재질을 이용해 만든 '공기의 통로'를 뜻하며, 덕트의 재질은 보통 금속판 재질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덕트의 모양은 사각 덕트부터 원형 덕트까지 다양하다.A duct means an 'air passage' made of various materials to move or circulate air, and the material of the duct is usually a metal plate material. Duct shapes vary from square ducts to round ducts.

한편, 덕트는 단순히 공기를 옮기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냉난방을 공급하거나 송풍용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주택이나 음식점, 공공시설 등에서는 환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duct is not only for the purpose of simply moving air, but is often installed for efficiently supplying cooling and heating or for blowing. In particular, it is generally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ventilation efficiency in houses, restaurants, and public facilities.

HVAC(공기조화시스템)는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의 약자로 Heating(난방), Ventilation(환기), Air Cinditioning(공기조화)를 뜻한다.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는 공기조화의 4대요소 온도, 습도, 기류, 청정도를 목적에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주목적이다.HVAC (air conditioning system) is an abbreviation of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and means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inditioning. The main purpose of the thermal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is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four major elements of air conditioning,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and cleanliness, to a state suitable for the purpose.

일반적으로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는 플랜지 바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플랜지 바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다. 또한, 플랜지 바는 주로 일자 쫄대 타입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러한 일자 쫄대 플랜지 바는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의 크기와 플랜지 바의 크기 차이가 클 경우, 작업자들로 하여금 작업이 어려워지고 작업자의 피로도 및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flange bar is used for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ducts, and since these flange bars are mainly made of plastic, they are vulnerable to fire. In addition, the flange bar is mainly composed of a straight jjolldae type, such a straight jjolldae flange bar has a problem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Specific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ze of the duct and the size of the flange bar is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workers to work, and the worker's fatigue and working time increase.

즉, 기존의 연결유닛은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서 작업자들이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단열과 누기방지에도 취약점이 있다.That is, the existing connection unit has difficulty in connecting the duct and the duct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and also has weaknesses in insulation and leakage prevention.

또한, 기존의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는 덕트 판넬의 두께 차이와 덕트 제작 시 재단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덕트 간의 치수 차이로 인한 덕트 간 공차로 인해, 덕트 간의 연결 시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정교한 조립이 어려운 상황이 생겨 작업자들로 하여금 피로를 유발하며, 또한 덕트의 누기방지 및 단열성능에 있어서도 취약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has difficulties in connecting the duct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duct panel and the tolerance between the ducts due to the dimensional difference between the ducts caused by the cutting process during duct manufacturing, and workers need to assemble it precisely on site. This difficult situation causes fatigue to the workers, and also there is a weakness in leak prevention a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duct.

더불어, 덕트를 설치하려는 장소가 협소할 경우에 조립이 힘든 경우가 생겨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유발한다.In addition, when the place where the duct is to be installed is narrow, it may be difficult to assemble, which causes fatigue of the work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유닛을 포함한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시하며 덕트 내부의 공기가 덕트와 덕트 사이의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열의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pos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duct including a connection unit, prevents the air inside the duc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duct and the duct, and increases the effect of insulation is aimed at

또한, 본 발명은 덕트와 덕트를 연결시키는 연결공정에 있어서 정교하면서도 빠르고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의 효율성을 높여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fatigue of workers by increasing the overall efficiency by enabling the duct and the duct to be connected precisely, quickly and easily in the connection process for connecting the duct.

더불어, 본 발명은 덕트간의 연결공정에 있어서 장소의 여건에 상관없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공정이 가능하게 하여 공정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rocess by enabling the process in a narrow place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place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덕트(1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양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 말단부에 연결유닛(200, 300)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유닛(200, 300)은 U형 플랜지 바(200) 및 h형 플랜지 바(300)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 말단부에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상기 U형 플랜지 바(200) 및 h형 플랜지 바(300)는 상기 덕트(100)의 개방 말단부에 각각 직각구조로 배치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duct 100 is made of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open form, the connection unit (200, 300) is coupled to the open end; The connection units 200 and 300 include a U-shaped flange bar 200 and an h-shaped flange bar 300, and are arranged in pairs at the open end of each of two; The pair of the U-shaped flange bar 200 and the h-shaped flange bar 30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open end of the duct 100; Provide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덕트(100)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200, 300)의 배치구조가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s (200, 300) coupled on the open end of the duct (100) is equally disposed on the opposite open end of the duct (100) A method of constructing a duct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덕트(100)의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200, 300)의 배치구조가 180°회전된 형태로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s 200 and 300 coupled on the open end of one side of the duct 100 is rotated by 180° and is disposed on the opposite open end of the duct 100. It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sulating duct f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덕트(100)의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200, 300)의 배치구조가 90°회전된 형태로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coupled on the open end of one side of the duct 100 is rotated by 90°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open end of the duct 100. It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sulating duct for air conditioning,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U형 플랜지 바 연결부의 바깥쪽 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덕트 간의 연결공정 시에 실리콘이나 가스켓으로 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art to seal with silicone or a gasket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construction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결유닛 중 h형 플랜지 바(300)에 피스(piece) 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ir conditioning insulation duct, characterized in that a piece is processed on the h-shaped flange bar 300 of the conn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시공방법은, 연결유닛인 U형 플랜지 바와 h형 플랜지 바'를 덕트에 결합시켜 연결 공정 전체의 효율성을 보다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duc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connection process by coupling a U-shaped flange bar and an h-shaped flange bar', which is a connection unit, to the duct.

이러한, 본 발명은 연결공정에 있어서 덕트의 크기 차이로 인한 덕트 간의 연결의 어려움과 덕트 설치장소의 여건에 대한 영향을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덜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ceive much less influenc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connection process on the difficult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duct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ducts and the conditions of the duct installation plac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체 공정에 있어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고용주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in the entire process and reduce the fatigue of the worker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there is an economic effect that can reduce the labor cost for the employer.

또한, 본 발명은 덕트 자체의 누기 방지와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eakage prevention a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duct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연결유닛인 U형 플랜지 바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연결유닛인 h형 플랜지 바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피스(piece) 처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existing ducts.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U-shaped flange bar, which is a conn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unit h-type flang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iece proces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활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1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양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insulation duct 100 for air cond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open shape in which both surfaces of a pair of facing each other are open.

상기 개방된 형태 상에 연결유닛(200, 3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유닛을 통해 여러 개의 덕트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may be disposed on the open form, and a plurality of duc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unit.

한편, 본 발명의 덕트(100)의 소재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I.R), 페놀폼 단열재, 아연도 금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강판, 흑피강판, 중질콘크리트, 알루미늄, 철판, PVC, FRP, 및 하이바크로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duc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lyisocyanurate (P.I.R), phenol foam insulation, galvanized steel sheet, stainless steel, steel sheet, mill scale steel sheet, heavy concrete, aluminum, iron sheet, PVC, FRP, and high b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cross.

이러한 소재적 특성으로 인해 덕트(100)는 공기조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택이나 공장, 음식점, 및 공공시설 등에서 설치되어 공기를 옮기거나, 효율적으로 냉난방 공급 및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Due to thes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duct 100 can be used for air conditioning purposes, and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in houses, factories, restaurants, and public facilities to move air, or to efficiently supply heating and cooling and blow air. can do.

또한, 상기 덕트(100)는 각 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덕트(100)의 전체 형상은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덕트(100)의 크기는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side of the duct 100 is made of a quadrangle,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duct 100 is made in the form of a tub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uct 100 may be modified.

상기 덕트(100)에 결합된 연결유닛은 U형 플랜지 바(200) 및 h형 플랜지 바(30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duct 100 includes a U-shaped flange bar 200 and an h-shaped flange bar 300 .

상기 플랜지 바(200, 300)의 경우, 플랜지의 소재는 알루미늄, 난연 AB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flange bars 200 and 300, the material of the flange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and flame-retardant ABS.

기존의 플랜지 바의 경우,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화재 발생의 위험이 커서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고온에서 쉽게 변형되어 안정적인 연결유닛으로 적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았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flange bar, it was mostly composed of plastic. In the case of such a plastic material, there was a problem in stability due to a high risk of fire, and it was easily deformed at high temperature, so it was not preferable to apply it as a stable connection unit.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 바(200, 300)의 소재를 알루미늄과 난연 AB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변경하여, 고온 조건에서도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게 하여,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 연결유닛을 확보할 수 있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flange bars 200 and 300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and flame-retardant ABS, deformation does not occur easily even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and a connection unit with improved stability against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was able to obtain

한편, 상기 U형 플랜지 바(200) 및 h형 플랜지 바(300)는 상기 덕트(100)의 개방 말단부에 각각 직각 구조로 배치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haped flange bar 200 and the h-shaped flange bar 300 are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duct 100 so as to be dispos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respectively.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h형 플랜지 바(300)가 상기 덕트(100)의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개방 말단부에서, 임의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 및 상기 임의의 하나의 모서리 부분과 가장 인접한 모서리 상에 각각 결합되어 직각 구조로 배치되고 나머지 모서리 부분에 U형 플랜지 바(200) 또한 결합되어 직각 구조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open end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facing both sides of the duct 100, any one corner portion and the corner closest to the one corn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haped flange bar 200 is also coupled to the other corners and arrang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rang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위와 같이, 서로 가장 인접한 두 모서리 상에 h형 플랜지 바(300)가 직각구조로 배치되고, 나머지 모서리 상에 U형 플랜지 바(200) 또한 직각구조로 배치되도록 구성 될 경우,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bove, when the h-shaped flange bar 300 is arrang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on the two most adjacent corners, and the U-shaped flange bar 200 is also arrang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on the other corners,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is perform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ceed much more easily.

구체적으로, 상기 덕트 간의 연결공정이 수월해지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Specifically, the reason that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becomes easier is as follows.

먼저, 덕트 간의 연결공정은 도 5 내지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U형 플랜지 바(200) 상에 h형 플랜지 바(300)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First, the connecting process between the ducts proceeds in such a way that the h-shaped flange bar 300 is coupled to the U-shaped flange bar 200 as described in FIGS. 5 to 7 .

이 때, 기존의 덕트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말단부의 각 모서리 전체에 h형 플랜지 바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되는 다른 덕트의 개방 말단부의 각 모서리 전체에 U형 플랜지 바가 형성되어 있었는 바, 4면이 h형 플랜지 바로 이루어진 면 상으로 U형 플랜지 바로 이루어진 면이 끼워지는 형태로 덕트와 덕트를 연결할 수 있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uct, as shown in FIG. 2 , an h-shaped flange bar is formed on each corner of the open end, and a U-shaped flange bar is formed on all corners of the open end of the other duct to be connec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nect the duct to the duct in such a way that the 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was fitted onto the face of the h-shaped flange bar on four sides.

한편, 위와 같은 방식으로 덕트와 덕트를 연결할 경우, 덕트의 연결공정이 단 방향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어서, 협소한 장소에서 연결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으며, 덕트를 이루는 판넬 크기의 공차가 발생할 경우, U형 플랜지 바로 이루어진 면이 h형 플랜지 바로 이루어진 면 상으로 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연결공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duct and duct are connected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duct connection process can only proceed in one direction, so it is very difficult to carry out the connection process in a narrow place. ,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rocess was impossible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the surface made of the U-shaped flange bar to enter onto the surface made of the h-shaped flange bar.

아울러, 덕트 간의 연결면이 완전히 포개어진 상태로 진입되도록 세밀하게 연결공정을 조정해야 하는 바, 연결공정에 오랜시간이 소모되어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connection process so that the connection surfaces between the ducts enter a completely overlapped state, and the connection process takes a long time, which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workers.

반면, 본 발명의 덕트에 의하면, 상기 h형 플랜지 바(300)가 덕트 개방 말단부 상 서로 인접한 두 모서리에 직각 구조로 배치되고, 또한 나머지 2개의 모서리에도 U형 플랜지 바(200) 직각 구조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치구조를 통해 작업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덕트를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덕트와 덕트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flange bar 300 is dispos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at two edge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pen end of the duct, and also the U-shaped flange bar 200 is dispos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at the other two corners. do.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is shown in Figs. 5 to 7, and through this arrangement structure, the duct and the duct can be easily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operator slides the duct to be connected.

위와 같은 방식으로 덕트가 연결될 경우, 단방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덕트의 조립이 가능한 바,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연결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덕트를 이루는 판넬 크기에 약간의 공차가 있다 하여도, 연결공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ducts are connected in the above manner, the duct can be assembled in various directions as well as in one direction, so the connection process can be easily carried out even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and even if there is a slight tolerance in the size of the panel constituting the duct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process becomes possible.

더불어, 연결공정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금속자재인 알루미늄, 난연ABS가 하나 이상 포함된 연결유닛(200, 300)을 덕트에 결합시켜 덕트 내부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열성을 높이며, 연결유닛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덕트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기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nection process, and by combining the connection units 200 and 300 containing one or more metal materials such as aluminum and flame-retardant ABS to the duc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inside the duct is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insula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connection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ir inside the duct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leak prevention property.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0)의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유닛(200, 300)의 구조를 180°회전시킨 연결유닛(200, 300)의 구조가 나머지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이루어지는 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disposed on the open end of one side of the duct 100 is rotated by 180° is the remaining Structures on one side of the open end can also be used.

상부 및 하부에 연결유닛(200, 300)이 180°회전된 형태로 배치된 덕트 구조를 활용하면, 작업자들이 덕트를 2개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빠르게 덕트를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duct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s 200 and 300 are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otated 180° is used, when workers want to connect two or more ducts in a row, they can quickly connect the ducts by sliding in one direction. because there i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덕트는 단방향으로만 덕트를 연결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덕트 연결구조는 작업자의 편이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하므로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existing duct can connect the duct only in one direction, but the duc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process time because it can be combined in various directions. .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식의 공정을 통해 연결공정을 진행할 경우, 덕트 간의 연결면이 완전히 포개어진 상태로 진입되도록 세밀하게 연결공정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바, 연결공정에 소모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는 물론 공정 전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rocess is carried out through the slide-typ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connection process so that the connection surfaces between the ducts enter a completely overlapped state, so the time consumed in the connectio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t can reduce operator fatigue as well as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rocess.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U형 플랜지 바(200) 및 h형 플랜지 바(300)의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s of the U-shaped flange bar 200 and the h-shaped flange bar 3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S. 3 and 4 .

한편, U형 플랜지 바 연결부의 안쪽면에는 U형 플랜지 바 연결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U형 플랜지 바 단측부의 안쪽면에는 U형 플랜지 바 단측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U형 플랜지 바 장측부의 안쪽면에는 U형 플랜지 바 장측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rotrusion 2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art, and the U-shaped flange bar short side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end part. And, the U-shaped flange bar long side projection 2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U-shaped flange bar.

상기 U형 플랜지 바의 단측돌기(211) 및 장측돌기(221)는 경사진 형태로 솟아있는 부분이 연결부쪽으로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U형 플랜지 바의 연결돌기(231)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종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ort side projections 211 and the long side projections 221 of the U-shaped flange bar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protrudes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U-shaped flange bar The connecting protrusion 23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n end is sharply terminated.

이러한 상기 돌기는 연결유닛을 덕트에 결합시키는 것에 있어서, 연결유닛과 덕트와의 체결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임의적으로 연결유닛이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덕트와 연결유닛 간의 결합력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These projections, in coupling the connection unit to the duct, by 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duct firm, the connection unit can be arbitrari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uct,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duct and the connection unit. .

또한, 상기 돌기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덕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air inside the duc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blocking the flow of air.

한편, 상기 단측돌기(211) 및 장측돌기(221)의 길이는 5 내지 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projection 211 and the long side projection 2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5 to 10 mm.

만약, 돌기의 길이가 5mm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덕트와의 마찰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서, 덕트와 연결유닛 간의 고정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는다.If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5 mm, frictional force with the duct is not sufficiently generated, so that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duct and the connecting unit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반면, 돌기의 길이가 10mm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덕트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해져서, 덕트에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바, 바람직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10 mm,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ct becomes stro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uct may be damaged, which is not preferable.

더불어, 상기 U형 플랜지 바 연결부의 바깥쪽 면상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ortion.

특히, 상기 홈부의 경우 높이 0.5 내지 1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groov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ight of 0.5 to 1 mm.

위와 같이 홈이 파여져 있을 경우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 있어서, 실리콘이나 가스켓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여 틈새가 없는 정확한 조립을 할 수 있다.When the groove is cut as above,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silicone or gaskets can be inserted so that accurate assembly without gaps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U형 플랜지 바(200)의 경우, U형 플랜지 바 단측부와 U형 플랜지 바 장측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shaped flange bar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U-shaped flange bar short side portion and the U-shaped flange bar long side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만약, 단측부와 장측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경우, 덕트 개방 말단부에 연결유닛을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덕트 내부의 열 손실과 덕트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누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연결유닛 양 면의 높이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height of the short side and the long side is the same as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couple the connection unit to the open end of the duct, and heat loss inside the duct and air leakage inside the duct may occur.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both surfaces of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to be different.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유닛인 h형 플랜지 바(300)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which is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1 .

상기 h형 플랜지 바(300)는 상기 U형 플랜지 바(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h형 플랜지 바 연결부의 안쪽면에는 h형 플랜지 바 연결돌기(3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h형 플랜지 바 단측부의 안쪽면에는 h형 플랜지 바 단측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h형 플랜지 바 장측부의 안쪽면에는 h형 플랜지 바 장측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Like the U-shaped flange bar 200, the h-shaped flange bar 300 may have an h-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rotrusion 33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art, and the h-shaped flange bar end An h-type flange bar short protrusion 3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and an h-type flange bar long side protrusion 3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side h-type flange bar.

상기 h형 플랜지 바의 단측돌기(311) 및 장측돌기(321)는 경사진 형태로 솟아있는 부분이 연결부쪽으로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h형 플랜지 바의 연결돌기(331)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종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ort side projections 311 and the long side projections 321 of the h-shaped flange bar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protrudes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art, and the h-shaped flange bar The connecting protrusion 33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n end is sharply terminated.

앞에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상기 돌기는 덕트와 연결유닛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위와 같은 돌기로 인하여 본 발명의 경우, 덕트와 연결유닛 간의 결합력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rusion serves to firmly fix the coupling between the duct and the connec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above protrus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uct and the connecting uni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돌기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덕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air inside the duc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blocking the flow of air.

한편, 상기 단측돌기(311) 및 장측돌기(321)의 길이는 5 내지 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projection 311 and the long side projection 321 is preferably formed to be 5 to 10 mm.

만약, 돌기의 길이가 5mm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덕트와의 마찰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서, 덕트와 연결유닛 간의 고정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는다.If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5 mm, frictional force with the duct is not sufficiently generated, so that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duct and the connecting unit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반면, 돌기의 길이가 10mm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덕트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해져서, 덕트에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바, 바람직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10 mm,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uct becomes stro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uct may be damaged,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상기 h형 플랜지 바(300)의 경우 U형 플랜지 바(200)와 마찬가지로 h형 플랜지 바 단측부와 h형 플랜지 바 장측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hort side of the h-shaped flange bar and the long side of the h-shaped flange ba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imilar to the U-shaped flange bar 200 .

단측부의 경우 장측부보다 기장을 짧게 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줄어 열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장측부의 경우 단측부보다 기장을 길게 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며 덕트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case of the short side, by making the length shorter than the long side, the contact area with air is reduced to prevent heat loss. .

더불어, 상기 h형 플랜지 바(300)의 경우 h형 플랜지 바 돌출부는 윗부분 변에 밑의 부분과 일직선인 기존의 플랜지 바와 달리 h형 플랜지 바 장측부와 공차를 더 두어서 상기 U형 플랜지 바와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하는 것에 있어서 주요한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the h-shaped flange bar protrusion is assembled with the U-shaped flange bar by adding a tolerance to the long side of the h-shaped flange bar unlike the conventional flange bar that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ower part on the upper side. can be made easier. This is a major configuration in facilitat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간의 연결공정 시, U형 플랜지 바의 홈부 및 상기 홈부와 맞닿는 부분인 h형 플랜지 바의 연결부 면에 가스켓 및 실리콘과 같은 밀봉재로 실링함으로써 이음새 부위를 밀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the joint portion is sealed by sealing the groove portion of the U-type flange b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h-type flange bar, which is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with a sealing material such as gasket and silicone. can

한편, U형 플랜지 바의 홈부 또는 h형 플랜지바의 연결부 면 중 하나의 부위에만 밀봉재로 실링 할 수도 있지만, U형 플랜지 바 홈부 및 h형 플랜지 바의 연결부 면 모두 실링하는 것이 덕트 간의 체결력을 더욱 높여주기 때문에 유체의 누기 및 열의 손실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두 부분 모두 실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8 참조)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seal only one part of the groove of the U-shaped flange bar or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h-shaped flange bar with a sealing material, but sealing both the U-shaped flange bar groove and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h-shaped flange bar will further increase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ducts. It is most desirable to seal both parts in order to prevent fluid leakage and heat loss. (See Fig. 8)

더불어, 가스켓 및 실리콘의 실링 처리 후, 상기 h형 플랜지 바(300)의 돌출부에 피스(piece) 처리를 하여 덕트와 덕트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덕트 간의 체결력을 높이는 것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after sealing the gasket and silicone, a piec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so that the duct and the duct can be more firmly fixed.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plays a major role in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ducts.

상기 연결유닛(200, 300)의 단측부는 덕트(100)의 안쪽면과 맞닿으며 연결유닛의 장측부는 바깥쪽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side portions of the connection units (200, 30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100), and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위와 같이 연결유닛(200, 300)을 덕트(100)에 조립할 경우, 작업자들이 연결유닛(200, 300)을 덕트(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덕트(100)와 연결유닛(200, 300)의 결합력을 높여주고 덕트(100) 자체의 강도와 단열성 및 누기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When assembling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to the duct 100 as described above, workers can easily couple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to the duct 100, and the duct 100 and the connecting units 200 and 300 ) and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uct 100 itself, heat insulation, and leak prevention properties.

기존의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경우 덕트의 표면에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는 엠보와 돌기가 없어 엠보와 플랫한 형태의 연결유닛의 내부가 서로 맞닿는 곳 사이로 열손실과 누기가 발생한다는 취약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there are no emboss or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uct, so there is a weakness in that heat loss and leakage occur between the places where the inside of the embossed and flat connecting uni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반면, 기존의 덕트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결유닛(200, 300) 안에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덕트(100)의 공기가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방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덕트(100)의 열손실과 누기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existing duct, by forming a protrusion in the connection units 200 and 300, the air in the duct 100 plays a role in interfering when going out from the inside to the heat loss and leakage of the duct 100. can prevent

또한,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서 상기 덕트(100)의 U형 플랜지 바(200)의 돌기가 h형 플랜지 바(300)의 돌기와 서로 상하반전된 형태를 지니기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덕트 간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since the projections of the U-shaped flange bar 200 of the duct 100 and the projections of the h-shaped flange bar 300 have a vertically inverted shape,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Desorption between duct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덕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덕트(100)의 각 모서리 상에 연결유닛(200, 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랜지 변형을 하지 않고도 h형 플랜지 바(300)와 U형 플랜지 바(200)를 연결시켜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 간의 연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공정 수행 시에는 플랜지 바에 실리콘 등과 같은 통상의 밀봉재로 마감처리를 한 후, 추가적으로 피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Using the duct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type flange bar 300 and the U-shaped flange bar 200 ) to perform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 and the duct that connects the duct. When performing the connection process, it is preferable to finish the flange bar with a common sealing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then perform additional piece processing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시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test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덕트의 소재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I.R), 페놀폼 단열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덕트의 개방 말단부에 플랜지 바의 소재로는 알루미늄, 난연 ABS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유닛(U형 플랜지 바, h형 플랜지 바)을 결합하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개방 말단부에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배치되어 각각 직각 구조로 배치되도록 하였다.The material of th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isocyanurate (P.I.R) and phenolic foam insulation, and the material of the flange bar at the open end of the duc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and flame-retardant ABS The connecting units (U-shaped flange bar, h-shaped flange bar) are coupled to each other, but the connecting units are arranged in pairs at each of the open end portions in pairs so that they are arranged in a right angle structure.

또한, 상기 덕트의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In addi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disposed on the open end of the duct is made to have the same structure on the opposite open end,

상기 덕트와 상기 덕트와 동일하게 구성된 덕트를 h형 플랜지 바와 U형 플랜지 바가 서로 맞닿게끔 연결하여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작업하였다.The duct and the duct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duct were connected so that the h-shaped flange bar and the U-shaped flange bar w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process between the ducts was performed.

이후, 상기와 같은 덕트 간의 연결공정을 통해 10개의 덕트를 연결한 후, 덕트 연결을 위해 소요된 시간과, 연결된 덕트의 누기율, 열손실률을 측정하였다.Thereafter, after connecting 10 ducts through the duct-to-duct conne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time required for duct connection, leakage rate and heat loss rate of the connected ducts were measured.

<실시예 2><Example 2>

덕트의 개방 말단부에 결합된 연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는 180°회전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the connecting unit coupled to the open end of the duc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disposed on the open end of the duct is rotated by 180° on the opposite open end.

이 외의 것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Other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덕트의 개방 말단부에 결합된 연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는 90°회전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the connecting unit coupled to the open end of the duc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disposed on the open end of the duct is rotated by 90° on the opposite open end.

이 외의 것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Other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기존의 덕트와 같은 방식으로, 덕트의 개방 말단부 상 모든 모서리에 h형 플랜지 바가 결합되고,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 모든 모서리에는 U형 플랜지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du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h-shaped flange bars were joined to all corners on the open end of the duct, and U-shaped flanges were joined to all corners on the opposite open end. proceeded.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조건으로 수행된 시험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The test result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2, 3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공정 소요시간Process required time 28분28 minutes 25분25 minutes 32분32 minutes 1시간 42분1 hour 42 minutes 누기율(%)Leakage rate (%) 1.95%1.95% 1.99%1.99% 1.898%1.898% 5.12%5.12% 열손실률(%)Heat loss rate (%) 5.89%5.89% 5.85%5.85% 5.89%5.89% 6.2%6.2%

상기 결과에서는 각 실시예와 비교예 1에서 공정 소요시간, 누기율 및 열손실률의 결과값을 확인 할 수 있다. 각 결과값의 측정방법 및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공정 소요시간의 경우, 10개의 덕트를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의 연결공정을 각각 50번 수행한 후, 산출된 소요시간의 평균값을 기재하였다.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result values of the process required time, leakage rate, and heat loss rate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measurement method and calculation method of each result value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process required time, it is the time required to connect 10 ducts, and in this embodiment, the required time calculated after performing the connecting process of the ducts 50 times,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time is reported.

누기율의 경우, 덕트를 밀봉한 상태에서 누기 시험기의 송풍기로 덕트내의 공기를 넣어 시험압력을 유지하면서 이때 압입되는 송풍기의 풍량(누기량)을 측정하였으며, 주입된 유량의 값 대비 누기된 유량의 값을 산출하였다.In the case of the leak rate, the air volume (leakage) of the press-in blower was measured at this time while maintaining the test pressure by putting air in the duct with the blower of the leak tester in a sealed state. The value was calculated.

열손실률의 경우, 덕트의 일측에 60내지 65℃의 열풍을 5분간 주입하면서 상기 덕트의 출구 온도 및 상기 덕트의 중간 부분에서의 표면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측정하였고, 상기 덕트의 중간 부분에서의 온도 대비 출구의 온도의 값을 산출하였다.In the case of heat loss rate,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duct and the surface temperature in the middle part of the duct were measured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while hot air of 60 to 65 ° C was injected to one side of the duct for 5 minutes, and in the middle part of the duct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of the outlet compared to the temperature of was calculated.

아래에서 표 1을 기반으로 결과값을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도록 하겠다.Below, we will compare the results in detail based on Table 1.

공정 소요시간의 경우, 기존 덕트와 같은 방식의 비교예 1에서는 1시간 42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각각 28분, 25분, 32분으로 비교예 1 대비 대략 1시간 10분정도 공정 시간이 현저히 적게 소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ocess required time,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same manner as the existing duct took 1 hour and 42 minutes, but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28 minutes, 25 minutes, and 32 minutes, respectively, approximately 1 hour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ss time of about 10 minutes was significantly reduced.

마찬가지로 누기율의 경우, 비교예 1에서는 5.12%의 결과값이 나왔으나,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각각 1.95%, 1.99% 1.898%로 비교예 1 대비 3.17%p, 3.13%p, 3.222%p 유체의 누기 또한 적게 일어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imilarly, in the case of leakage rate, Comparative Example 1 gave a result value of 5.12%, but in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1.95%, 1.99%, 1.898%, 3.17%p, 3.13%p, 3.222%p flui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eakage also occurred less.

또한, 열손실률의 경우, 비교예 1에서는 6.2%의 열이 손실되었으나, 본원의 덕트는 열손실률이 각각 5.89%, 5.85%, 5.89%로 기존 덕트에 따른 비교예 1 대비 공정 소요시간을 확연하게 단축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열손실을 미약하지만 유지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열손실이 비교적 적게 일어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at loss rate, 6.2% of heat was lost in Comparative Example 1, but the heat loss rate of the du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as 5.89%, 5.85%, and 5.89%, respectively, which significantly improved the process tim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existing duct. Although it was shorten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eat loss was maintained although it was weak,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loss occurred relatively little.

더불어, 모든 결과값에 있어서 특히 실시예 2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particular, Example 2 is the most effective in all the results.

기존의 덕트는 공정시간이 특히나 길었으며, 연결유닛과 덕트 사이를 통해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이 비교적 많이 일어났고, 유체의 누기 또한 많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tional duct takes a particularly long process time, and heat los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the duct occurs relatively often, and fluid leakage also occurs a lot.

한편, 본 발명의 덕트의 시공방법을 사용할 경우,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누기방지성 및 단열성 또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can be greatly reduc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leak prevention property and the heat insulation property are also excellent.


100 : 덕트
200 : U형 플랜지 바
211 : U형 플랜지 바 단측돌기
221 : U형 플랜지 바 장측돌기
231 : U형 플랜지 바 연결돌기
300 : h형 플랜지 바
311 : h형 플랜지 바 단측돌기
321 : h형 플랜지 바 장측돌기
331 : h형 플랜지 바 연결돌기

100: duct
200: U-shaped flange bar
211: U-shaped flange bar one side projection
221: U-shaped flange bar long side projection
231: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rotrusion
300: h-shaped flange bar
311: h-shaped flange bar one side projection
321: h-shaped flange bar long side projection
331: h-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rotrusion

Claims (6)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말단부에 U형 플랜지 바 및 h형 플랜지 바를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배치하되,
상기 한 쌍의 상기 U형 플랜지 바 및 h형 플랜지 바를 직각구조로 덕트의 말단부에 배치시킨 후,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다른 단위 덕트의 말단부를 연결시킬 때, 상기 h형 플랜지 바 장측 돌출부의 공차를 이용하여 U형 플랜지 바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덕트 연결공정 시 단방향이 아닌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공차가 있어도 다시 세밀하게 덕트 연결 부위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단위 덕트 연결시 접촉되는 U형 플랜지 바 및 h형 플랜지 바의 연결부면을 밀봉재로 밀봉하는 단계를 거쳐 덕트의 단열성 및 누기방지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At the distal end of the duct, a pair of U-shaped flange bars and two h-shaped flange bars are arranged in pairs,
After disposing the pair of the U-shaped flange bar and the h-shaped flange bar at the distal end of the duct in a right angle structure,
When connecting the distal ends of different unit ducts in a sliding manner, the tolerance of the long side protrusion of the h-shaped flange bar is used to facilitate fastening with the U-shaped flange bar,
During the duct connection process, it can be combined in various directions rather than in one direction, and even if there is a tolerance, it is not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duct connection part again,
When the unit duct is connected,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U-type flange bar and the h-type flange ba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to improve the insulation and leakage prevention of the duct.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coupled on the open end of th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rrangement is formed on the opposite open end.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180°회전된 형태로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coupled on the open end of one side of the duct is rotated by 18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pposite open end of the duct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한 면의 개방 말단부 상에 결합된 연결유닛의 배치구조가 90°회전된 형태로 반대편 개방 말단부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unit coupled on the open end of one side of the duct is rotated by 9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pposite open end of the duct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형 플랜지 바 연결부의 바깥쪽 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덕트 간의 연결공정 시에 실리콘이나 가스켓으로 실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haped flange bar connection part so that it can be sealed with silicone or a gasket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간의 연결공정에서 상기 h형 플랜지 바에 피스(piece)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보온재 덕트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ducts, characterized in that a piece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h-shaped flange bar.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ion duct for air conditioning.
KR1020210132824A 2021-10-07 2021-10-07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KR102386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24A KR102386216B1 (en) 2021-10-07 2021-10-07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824A KR102386216B1 (en) 2021-10-07 2021-10-07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216B1 true KR102386216B1 (en) 2022-04-12

Family

ID=8118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24A KR102386216B1 (en) 2021-10-07 2021-10-07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2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919A1 (en) * 2002-03-04 2003-09-12 Alp S.R.L. Joint system for conveyor ducts for aeriform means, particularly conditioned air
KR20130020149A (en) * 2011-08-19 2013-02-27 (주)현창네오텍 Device of connecting duct
KR20170120457A (en) * 2016-04-21 2017-10-31 주식회사 경동원 Hvac duct using vacuum insulation panel and its joi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919A1 (en) * 2002-03-04 2003-09-12 Alp S.R.L. Joint system for conveyor ducts for aeriform means, particularly conditioned air
KR20130020149A (en) * 2011-08-19 2013-02-27 (주)현창네오텍 Device of connecting duct
KR20170120457A (en) * 2016-04-21 2017-10-31 주식회사 경동원 Hvac duct using vacuum insulation panel and its join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738B1 (en) Frame for forming a housing of a group of air-handling units
KR101935196B1 (en) Prefabricated frame for cooling tower
EA004023B1 (en) Casing for cold bridge-free air handling unit
KR102386216B1 (en) Construction method of duct for hvac insulation
KR101865154B1 (en) wall insulation system assembly having embossing panels
KR200495395Y1 (en) Duct for hvac insulation
KR20110056109A (en) Frame for the dew condensation prevention of air condition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6777884B2 (en) Ceiling embedded duct type air conditioner
US20140048167A1 (en) Rectangular Sheet Metal Sealed Duct
KR101842398B1 (en) Duct connector with packing
US3376679A (en) Sheet panel wall assembly
JP6908876B2 (en) Ceiling embedded duct type air conditioner
US20230304285A1 (en) A curtain wal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JP6777885B2 (en) Ceiling embedded duct type air conditioner
KR102473328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ire door
KR102498385B1 (en) Fire door and fire door system including same
KR100513250B1 (en) Pip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KR102643297B1 (en) Curtain wall with double insulation structure
KR102388844B1 (en) finishing block filling a gap between the outdoor bar of the vertical bar and the outdoor bar of the horizontal bar of the curtain wall
JPS6320897Y2 (en)
CN217030342U (en) Internal thermal insulation common plate flange connection air-conditioning ventilation pipeline
WO2011013743A1 (en) Underfloor air-conditioning duct structure
CN217736570U (en) Air-tight heating and ventilation pipeline
JP2023037532A (en) window
JPH0129360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