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206B1 -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 Google Patents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206B1
KR102386206B1 KR1020200053919A KR20200053919A KR102386206B1 KR 102386206 B1 KR102386206 B1 KR 102386206B1 KR 1020200053919 A KR1020200053919 A KR 1020200053919A KR 20200053919 A KR20200053919 A KR 20200053919A KR 102386206 B1 KR102386206 B1 KR 102386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late
composite beam
web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810A (ko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5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2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T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1 형강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형강부 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ㅗ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2 형강부; 및, 상기 제1 형강부에서 상기 제2 형강부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는 합성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층고를 절감시킨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건축구조물에서 일반적으로 합성보는 H형강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보의 춤이 커지면서 강재량이 증가하고, 비효율적인 사용공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층고를 낮추고자 H형강 중간부위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경우는 H형강이 개단면으로 시공시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데, 비틀림이 약하여 H형강에 보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10-1994-0021835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층고를 절감시키고,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킨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T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1 형강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형강부 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ㅗ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2 형강부; 및, 상기 제1 형강부에서 상기 제2 형강부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형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되고, 제1 유공홀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되고, 제2 유공홀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의 하부에 고정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치앵글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앵글부의 사이를 덮도록 길이방향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덧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앵글부는, 상기 제1 형강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데크판; 상기 데크판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웨브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데크판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덧판부가 설치되는 설치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설치판은 상기 데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설치되는 합성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거치앵글부는 상기 제2 웨브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웨브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의 사이에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걸침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형강부의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걸침판부와 접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합철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형강부가 상기 제1 형강부에 비해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형강부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하부철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형강부는 바닥구조체 하측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유공홀에는 설비배관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형강부와 상기 제2 형강부는 각각 길이방향 단부가 기둥과 접합되고, 상기 제2 형강부는, 상기 기둥과의 접합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제2 형강부의 높이만큼 이격된 부분까지는 상기 제2 유공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합성보; 상기 합성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합성보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합성보를 일체화시키는 타설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층고를 절감시키고,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Ⅱ-Ⅱ'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Ⅲ-Ⅲ'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합성보가 기둥과 접합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4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40)는 제1 형강부(100), 제2 형강부(200) 및, 차단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합성보(40)는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D2)으로 'T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1 형강부(100)와,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형강부(100) 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폭방향(D2)으로 'ㅗ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2 형강부(200) 및, 상기 제1 형강부(100)에서 상기 제2 형강부(200)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P)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형강부(100)를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단면 상에서 합성보(40)의 상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형강부(100)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기 때문에 별도의 내화피복이 불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형강부(200)를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단면 상에서 합성보(40)의 하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형강부(200)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고,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하측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는바, 제2 형강부(200)의 외면에는 내화피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판부는 제1 형강부(100)와 제2 형강부(20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차단판부는 제1 형강부(100)에서 제2 형강부(200)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차단판부에는 용접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데크플레이트(P)가 설치될 수 있고, 콘크리트는 제1 형강부(100), 차단판부, 데크플레이트(P)에 의해 막힌 상측의 공간에 타설되고 경화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차단판부 및 데크플레이트(P)는 함께, 제1 형강부(100)와 제2 형강부(200)는 높이방향(D3)으로 구획하여 차단판부 및 데크플레이트(P)의 상부영역에만 콘크리트가 타설되게 할 수 있다.
제1 형강부(100), 제2 형강부(200), 차단판부는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형강부(100), 차단판부 등이 콘크리트와 강합성되면서 구조적 강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제1 형강부(100), 차단판부, 데크플레이트(P)는 함께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시공 중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중의 하중의 지지를 위한 동바리 등의 설치개소를 감소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제1 형강부(100), 차단판부, 데크플레이트(P)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이후, 콘크리트와 강합성되어 영구적인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합성보(40)의 제작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제1 형강재(10)와, 제2 형강재(20) 준비한다.
제1 형강재(10)의 웨브를 절개하여 2개의 'T'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제1-1 형강재(11)와, 제1-2 형강재(12)를 준비한다.
제2 형강재(20)의 웨브를 절개하여 2개의 'T'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제2-1 형강재(21)와, 제2-2 형강재(22)를 준비한다.
제1-1 형강재(11)와, 제1-2 형강재(12) 중 어느 하나를 상측에 배치하고, 제2-1 형강재(21)와, 제2-2 형강재(22) 중 어느 하나를 하측에 배치한다.
이때, 제1-1 형강재(11)와, 제1-2 형강재(12) 중 어느 하나에 거치앵글부(300), 덧판부(400)를 포함하는 차단판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2-1 형강재(21)와, 제2-2 형강재(22) 중 어느 하나를 용접 접합 등에 의해 하측에 접합시킨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형강부(100)는,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110) 및, 상기 제1 플랜지(110)의 하측에 접합되고, 제1 유공홀(150)이 길이방향(D1)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웨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형강부(200)는,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210) 및, 상기 제2 플랜지(210)의 상측에 접합되고, 제2 유공홀(250)이 길이방향(D1)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웨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브(130)는 제1 플랜지(110)의 하측에 접합되고, 제1 유공홀(150)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제1 웨브(130)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제1 유공홀(150)은 제1 웨브(130)의 하단에서부터 형성되고, 제1 유공홀(150)은 높이방향(D3)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공홀(150)은 하측에 단변이 배치되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공홀(150)은 높이방향(D3)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호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형강부(100)는 제1 플랜지(110), 제1 웨브(130)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공홀(250)은 제2 웨브(230)의 상단에서부터 형성되고, 제2 유공홀(250)을 높이방향(D3)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2 형강부(200)는 높이방향(D3) 하부영역에서 큰 인장하중이 작용하는바, 높이방향(D3) 하부영역에서 충분한 단면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2 형강부(200)는 제2 플랜지(210), 제2 웨브(230)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130)의 하부에 고정되고, 데크플레이트(P)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 및, 상기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의 사이를 덮도록 길이방향(D1)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덧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에는 복수 개의 덧판부(400)가 길이방향(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공홀(150)과 제2 유공홀(25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는 제1 웨브(130)를 사이에 두고 폭방향(D2)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가 제1 웨브(130)의 양측면에 접하게 배치되어 제1 웨브(130)를 보강함으로써, 제1 웨브(130)에 발생할 수 있는 횡좌굴을 저감시킬 수 있다.
거치앵글부(300)의 폭은 제1 형강부(100)의 제1 플랜지(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앵글부(300)에 데크플레이트(P)를 걸치는 작업시, 데크플레이트(P)가 제1 플랜지(110)와 간섭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덧판부(400)는 한 쌍의 거치앵글판과 함께 콘크리트가 상기 제1 형강부(100)에서 상기 제2 형강부(200)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덧판부(400)는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의 사이를 덮도록 길이방향(D1)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덧판부(400)는 양단부가 제1 웨브(130)에 형성된 제1 유공홀(15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 덧판부(400), 제1 형강부(100)는 함께, 콘크리트가 제1 형강부(100)에서 제2 형강부(200)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거치앵글부(300)는, 상기 제1 형강부(100)를 따라 길이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데크플레이트(P)가 설치되는 데크판(310)과, 상기 데크판(310)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웨브(130)에 고정되는 고정판(330) 및, 상기 데크판(310)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덧판부(400)가 설치되는 설치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330)과 상기 설치판(350)은 상기 데크판(31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데크판(310)은 고정판(330)에서 폭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P)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데크판(310)의 폭은 제1 형강부(100)의 제1 플랜지(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P)를 데크판(310)에 걸치는 작업시, 데크플레이트(P)가 제1 플랜지(110)와 간섭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판(330)은 제1 웨브(130)에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판(330)은 제1 웨브(130)에 용접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330)은 데크판(310)과 함께 'ㄴ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설치판(350)은 제1 유공홀(150)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설치판(350)에 덧판부(4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덧판부(400)는 길이방향(D1) 단부의 상면이 제1 유공홀(150)에 접하도록 설치되면서 제1 형강부(100) 방향에서 제2 형강부(200)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치판(350)은 데크판(310)과 함께 'ㄴ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덧판부(400)는 설치판(350)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덧판부(400)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설치판(350)에 설치될 수 있고, 2개의 설치판(350)의 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판(330)과 설치판(350)은 데크판(31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판(330)은 설치판(350)에 비해 데크판(310)에서 높이방향(D3)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고정판(330)과 설치판(350)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면서 돌출된 고정판(330)과,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설치판(350)이 요철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거치앵글부(300)는 상기 제2 웨브(230)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웨브(13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웨브(130)는 제2 웨브(230)에 비해 두께가 얇은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웨브(130)는 제2 웨브(230)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 웨브(130)의 하단과 제2 웨브(230)의 상단은 용접 접합될 수 있고, 거치앵글부(300)는 제2 웨브(230)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매개로 제1 웨브(13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130)와 상기 제2 웨브(230)의 사이에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P)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걸침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합성보(40)는 제1 형강부(100)의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걸침판부(500)와 접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합철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합철근부(600)는 제1 형강부(100)의 길이방향(D1)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폐합철근부(600)가 설치된 부분에서, 폐합철근부(600)는 걸침판부(500)와 함께 상측에 단변이 배치된 등변사다리꼴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폐합철근부(600)는 걸침판부(500)와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1 플랜지(110)와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걸침판부(500)는 제1 플랜지(110) 보다 큰 폭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걸침판부(500)의 폭방향(D2) 양단부에 데크플레이트(P)가 거치될 경우, 걸침판부(500)에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폐합철근부(600)가 제1 형강부(100)의 제1 플랜지(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걸침판부(500)와 용접 접합 등에 의해 접합되고, 걸침판부(500)와 폐합철근부(600)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걸침판부(500)의 처짐을 방지하여 시공 중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형강부(200)가 상기 제1 형강부(100)에 비해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합성보(40)는 높이방향(D3) 하부영역에서 큰 인장하중이 작용하는바,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가지는 제2 형강부(200)를 높이방향(D3) 하측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합성보(40)의 하부영역에 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형강부(200)의 높이(h2)는 제1 형강부(100)의 높이(h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웨브(230)의 높이는 제1 웨브(130)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플랜지(210)의 폭은 제1 플랜지(1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합성보(40)는 제1 유공홀(15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형강부(100)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하부철근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철근부(700)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제1 형강부(100)의 제1 유공홀(15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높이방향(D3) 하부영역에 매립될 수 있다.
하부철근부(700)가 제1 유공홀(150)을 관통하고 제1 형강부(100)와 교차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에서 강합성되면서 전단보강을 할 수 있고, 합성보(40)와 일체로 시공되는 슬라브를 연속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철근부(700)는 본 발명의 합성보(40)와 데크플레이트(P)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서 높이방향(D3)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인장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형강부(200)는 바닥구조체 하측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유공홀(250)에는 설비배관(V)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공홀(150)에는 하부철근부(700)가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유공홀(250)에는 덕트 등의 설비배관(V)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공홀(250)을 통해 설비배관(V)이 관통할 경우, 제2 유공홀(250)의 주변에는 보강플레이트를 부착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형강부(100)와 상기 제2 형강부(200)는 각각 길이방향(D1) 단부가 기둥(30)과 접합되고, 상기 제2 형강부(200)는, 상기 기둥(30)과의 접합부분에서 적어도 길이방향(D1)으로 상기 제2 형강부(200)의 높이만큼 이격된 부분까지는 상기 제2 유공홀(25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합성보(40)의 단부에서는 전단내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단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 형강보는 기둥(30)에서 가장 가까운 제2 유공홀(250)까지의 이격거리(E)는 제2 형강부(200)의 높이(h2) 이상으로 이격시킨다.
다만, 제1 형강부(100)는 기둥(30)에서 적어도 상기 제2 형강부(200)의 높이(h2)만큼 이격된 부분 이내에도 제1 유공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바닥구조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합성보(40), 데크플레이트(P), 타설콘크리트(S)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구조체는 합성보(40)와, 상기 합성보(40)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P) 및, 상기 합성보(4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P)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P)와 상기 합성보(40)를 일체화시키는 타설콘크리트(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구조체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합성보(4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바닥구조체에서 활용되는 합성보(40)의 제1 형강부(100), 제2 형강부(200), 차단판부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보(4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데크플레이트(P)는 강재 등으로 구성되고, 합성보(40)에 설치되어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다.
타설콘크리트(S)는 합성보(40), 데크플레이트(P)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타설콘크리트(S)가 경화되면서 강재 등으로 구성된 합성보(40) 및, 데크플레이트(P)와 강합성되면서 일체화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제1 형강재 11: 제1-1 형강재
12: 제1-2 형강재 20: 제2 형강재
21: 제2-1 형강재 22: 제2-2 형강재
30: 기둥 40: 합성보
100: 제1 형강부 110: 제1 플랜지
130: 제1 웨브 150: 제1 유공홀
200: 제2 형강부 210: 제2 플랜지
230: 제2 웨브 250: 제2 유공홀
300: 거치앵글부 310: 데크판
330: 고정판 350: 설치판
400: 덧판부 500: 걸침판부
600: 폐합철근부 700: 하부철근부
D1: 길이방향 D2: 폭방향
D3: 높이방향 h1: 제1 형강부의 높이
h2: 제2 형강부의 높이
E: 기둥에서 가장 가까운 제2 유공홀까지의 이격거리
P: 데크플레이트 S: 타설콘크리트
V: 설비배관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T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1 형강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형강부 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ㅗ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제2 형강부; 및,
    상기 제1 형강부에서 상기 제2 형강부 방향으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형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의 하측에 접합되고, 제1 유공홀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상측에 접합되고, 제2 유공홀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의 하부에 고정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거치앵글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앵글부의 사이를 덮도록 길이방향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덧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앵글부는,
    상기 제1 형강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데크판;
    상기 데크판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웨브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데크판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덧판부가 설치되는 설치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설치판은 상기 데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설치되는 합성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앵글부는 상기 제2 웨브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웨브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합성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제1 웨브와 상기 제2 웨브의 사이에 설치되고,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걸침판부;를 포함하는 합성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강부의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걸침판부와 접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폐합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강부가 상기 제1 형강부에 비해 큰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형강부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하부철근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강부는 바닥구조체 하측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유공홀에는 설비배관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강부와 상기 제2 형강부는 각각 길이방향 단부가 기둥과 접합되고,
    상기 제2 형강부는,
    상기 기둥과의 접합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제2 형강부의 높이만큼 이격된 부분까지는 상기 제2 유공홀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보.
  12.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성보;
    상기 합성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합성보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합성보를 일체화시키는 타설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KR1020200053919A 2020-05-06 2020-05-06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KR102386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19A KR102386206B1 (ko) 2020-05-06 2020-05-06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19A KR102386206B1 (ko) 2020-05-06 2020-05-06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10A KR20210135810A (ko) 2021-11-16
KR102386206B1 true KR102386206B1 (ko) 2022-04-13

Family

ID=7871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19A KR102386206B1 (ko) 2020-05-06 2020-05-06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170B1 (ko) * 2021-11-29 2024-04-08 이정미 H빔을 이용한 유공웨브가 있는 t형유닛과 데크지지용 하부플랜지 강판이 결합된 슬림플로어 빌트업 합성보 시스템
KR102656176B1 (ko) * 2021-11-29 2024-04-08 이정미 H빔을 이용한 t형유닛과 강판의 빌트업 합성기둥과 합성보와 결합된 층고 절감형 합성구조 시스템
CN117386013B (zh) * 2023-12-12 2024-03-26 北京工业大学 装配式外包混凝土型钢异形柱-t形拼接组合蜂窝梁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722B2 (ja) * 1995-08-04 2001-02-13 日本鋼管株式会社 耐火鉄骨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材
KR100693005B1 (ko) * 2005-01-21 2007-03-12 현대제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빔
KR20120075190A (ko) * 2010-12-28 2012-07-06 계동철강 주식회사 하니컴 빔 및 이를 갖는 슬라브 구조체
KR101752285B1 (ko) * 2015-10-02 2017-06-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10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206B1 (ko)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US6807789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symmetric section steel beam
US20110225927A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030048849A (ko) 웨브 개구부를 가지는 비대칭 단면 철골 합성보
KR100941726B1 (ko) 파형웨브가 구비된 비대칭 합성보
JP2001081729A (ja) 合成床版
KR102374295B1 (ko)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KR20200065966A (ko) 장스팬 합성보
JP2008088634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4492422B2 (ja) 連続i桁橋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2759580B2 (ja) 合成床板施工方法および合成床板用デッキプレート
JP2008231688A (ja) 合成床版を用いた橋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合成床版用型枠
JP2002275833A (ja) 既設橋梁の単純桁の連続化方法及び連続桁構造
JP5943135B1 (ja) 合成床版用鋼材パネルおよび合成床版
JP4411654B2 (ja) 補強部材付き合成床版
KR101967037B1 (ko) 층고저감형 개량형 철골보 구조
JP2000008325A (ja) 床版合成桁構造
US11959278B2 (en) Supporting beam for slab systems, slab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83688B1 (ko) 강판을 활용한 증축 내진 코어
KR102068307B1 (ko) T형 삼각수직보강재를 이용한 이중합성 강박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529053B1 (ko) 화재 이후 재사용이 가능한 합성보
KR101188367B1 (ko) 무량판 슬래브 펀칭 전단보강체
KR100640250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