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52B1 -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 Google Patents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52B1
KR102385952B1 KR1020200109491A KR20200109491A KR102385952B1 KR 102385952 B1 KR102385952 B1 KR 102385952B1 KR 1020200109491 A KR1020200109491 A KR 1020200109491A KR 20200109491 A KR20200109491 A KR 20200109491A KR 102385952 B1 KR102385952 B1 KR 10238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terial
mold
block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454A (en
Inventor
차두환
김혜정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to KR102020010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52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소재를 렌즈 성형용 금형블록에 투입하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소재를 렌즈 성형용 금형블록에 투입하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렌즈소재를 수용하는 렌즈소재 마운트부;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에 수용된 렌즈소재를 흡착할 수 있는 렌즈소재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는, 상부면에 렌즈소재를 각각 하나씩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마운트 블록 및 상기 마운트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X-Y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aterial input automation robot device for putting a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for lens molding,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lens material input automation robot device for putting a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for lens molding, one A lens material mount unit for accommodating the above lens material; a transport frame disposed o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and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ens material adsorbing unit that is installed movably in the transfer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sorbing the lens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Disclosed is an automated lens material input robot device including a mount block having one or more receiving units accommodating one by one, and an X-Y stage moving the mount block in a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본 발명은 렌즈소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을 위한 렌즈소재를 금형에 투입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ateria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material input autom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automating the operation of putting a lens material for molding into a mold.

일반적으로 렌즈 등의 광학 소자에는 플라스틱이나 유리가 사용되는데 플라스틱은 굴절률, 색수차, 투과율, 해상도 등에서 유리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광학 소자와 같은 제품에는 유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plastic or glass is used for optical elements such as lenses, but plastics have lower performance than glass in refractive index, chromatic aberration, transmittance, and resolution. .

이러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유리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프레스 성형 장치가 많이 사용되는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틀 사이에 렌즈의 원소재를 투입한 후 가열 가압하여 렌즈를 성형하는 장치이다. In order to produce glass products requiring such a high degree of precision, a press molding device is often used. It is a device that molds a lens by putting the raw material of the lens between a mold made of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nd then heating and pressing.

이러한 프레스 성형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원소재를 금형틀 내에 투입하기 전에 원소재에 부착된 이물질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세정작업을 거치고 원소재를 포함한 금형틀이 가열 가압되는 성형 챔버의 내부도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로 퍼징해야 한다. In order to use such a press molding device, before putting the raw material of the lens into the mold, a cleaning opera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dust attached to the raw material is performed, and the mold including the raw material is heated and pressurized. It should be purged with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gas.

그러나 현재의 성형 장치에서도 렌즈의 원소재를 금형틀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 문제가 발생하며, 따라서 원소재를 금형틀에 투입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However, even in the current molding equipment, there is still a problem of contamination by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raw material of the lens into the mold. do.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1739760호 (2017년 6월 8일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9760 (Announced on June 8, 201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품질의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렌즈소재를 금형블록에 투입할 때 이물질을 제거하고 렌즈소재 투입 작업을 자동화한 렌즈소재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material input devic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when inputting a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to mold a high-quality lens and automates the lens material input opera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소재를 렌즈 성형용 금형블록에 투입하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렌즈소재를 수용하는 렌즈소재 마운트부;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에 수용된 렌즈소재를 흡착할 수 있는 렌즈소재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는, 상부면에 렌즈소재를 각각 하나씩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마운트 블록 및 상기 마운트 블록을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X-Y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ed lens material input robot device for putting a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for lens molding, comprising: a lens material mount unit for accommodating one or more lens materials; a transport frame disposed o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and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ens material adsorbing unit that is installed movably in the transfer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sorbing the lens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Disclosed is an automated lens material input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 block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portions accommodating one by one, and an X-Y stage that moves the mount block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소재의 이물질 제거, 금형블록으로부터 성형 렌즈 취출, 금형블록의 이물질 제거, 및 금형블록으로 렌즈소재의 투입까지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렌즈소재를 금형블록에 투입하기까지의 전체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렌즈소재나 금형블록의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어 성형 렌즈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process can be automated, from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ens material, taking out the molded lens from the mold block,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old block, and putting the lens material into the mold block, so that the lens material is converted into a mold block It has the technical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molded lens as it can quick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ens material or mold block while quickly performing the entire operation until it is put into the len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블록의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블록의 단면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소재 마운트부의 사시도,
도5 내지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소재를 금형블록에 투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ns materi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material mou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utting a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된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 체결, 부착 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Similarly, whe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component to be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o the other component or between them. It means that it can be in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fastened, attached, etc.) through a third component.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The expressions 'comprising',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of'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which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 자동화 로봇장치(이하 간단히 "렌즈소재 투입장치"라고도 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1 schematically shows an automated lens material inputting robot devi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lens material inp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장치는 렌즈소재를 금형블록(30)에 자동으로 투입하기 장치로서, 장치 프레임(10), 이송프레임(20), 렌즈소재 마운트부(100), 렌즈소재 흡착부(200), 클리닝부(300), 상부금형 흡착부(400), 및 렌즈 취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putting the lens material into the mold block 30 , and includes a device frame 10 , a transfer frame 20 , and a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 , a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 a cleaning unit 300 , an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 and a lens extraction unit 500 may be included, and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장치 프레임(10)은 렌즈소재 투입장치의 장치의 본체부로서 렌즈소재 마운트부(100)와 금형블록 지지부(15)가 배치된다. 금형블록 지지부(15)는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금형블록(30)을 탈착 가능하게 안착하고 지지할 수 있다. 금형블록(30)은 상부금형(41)과 하부금형(42)으로 구성된 금형을 하나 이상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금형은 렌즈소재(L1)를 하나씩 수용할 수 있다. The device frame 10 is a body part of the device of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and the lens material mount part 100 and the mold block support part 15 are disposed. The mold block support part 15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ns material mount part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old block 30 can be detachably seated and supported. The mold block 3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one or more molds composed of an upper mold 41 and a lower mold 42, and each mold can accommodate one lens material L1.

이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블록(30)을 도2와 도3에 도시하였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렌즈소재 투입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금형블록(30)의 예시적인 구성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블록(30)은 단면이 대략 원이나 타원인 기둥 형상을 가지며 금형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금형 수용홀(31)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금형블록(30)이 6개의 금형 수용홀(31)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금형 수용홀(31)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regard, the mold block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S. 2 and 3 . 2 and 3 schematically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mold block 30 that can be used in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ld block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columnar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pproximately a circle or an ellipse, and one or more mold accommodating holes 31 for accommodating the mold are form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the mold block 30 is illustrated as having six mold accommodating holes 31, the number of mold accommodating holes 31 may var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각각의 금형 수용홀(31)에는 상부금형(41)과 하부금형(42)으로 구성되는 금형이 탈착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형 수용홀(31)의 내측 하단부에는 하부금형(42)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단턱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A mold including the upper mold 41 and the lower mold 42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each mold accommodating hole 31 . In an embodiment, a stepped portion 32 for supporting the lower mold 42 so as not to fall downward may be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mold accommodating hole 31 .

상부금형(41)의 하단면은 상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면으로 형성되고 하부금형(42)의 상부면은 하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금형(41)과 하부금형(42)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금형(41)과 하부금형(42) 사이에 빈 공간(캐비티)이 형성되며, 이 캐비티 영역에 렌즈소재(L1)가 안착된다. 금형블록(30)이 각각의 금형의 캐비티 영역에 렌즈소재(L1)를 수용한 상태로 렌즈 성형장치에 투입되면 가열, 냉각 등의 공정을 거쳐 렌즈소재(L1)가 렌즈(L2)로 성형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41 may be formed as an upwardly concave concav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42 may be formed as a downwardly concave concave surface. Therefore, an empty space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old 41 and the lower mold 42 in a state where the upper mold 41 and the lower mold 42 are engaged, and the lens material L1 is seated in this cavity area . When the mold block 30 is put into the lens mold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lens material L1 is accommodated in the cavity region of each mold, the lens material L1 is molded into the lens L2 through processes such as heating and cooling. .

한편 금형블록(3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에어홀(35)이 형성될 수 있고 에어홀(35)은 각각의 금형 수용홀(31)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에어홀(35)은 렌즈 성형 공정시 캐비티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air holes 35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block 30 , and the air holes 35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each mold receiving hole 31 with the outside. The air hole 35 may function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gas in the cavity during the lens forming process.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는 장치 프레임(10)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소재(L1)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는 X-Y 스테이지 및 그 위에 부착된 마운트 블록(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4는 이러한 구조의 예시적인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는 X-Y 스테이지 및 그 위에 배치된 마운트 블록(130)으로 구성되며 X-Y 스테이지는 고정 스테이지(110), 슬라이딩 스테이지(120), 마운트 블록(130), X축 조절부(140), 및 Y축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device frame 10 and is a member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one or more lens materials L1 . In one embodiment,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may be composed of an X-Y stage and a mount block 130 attached thereon. 4 schematically shows an exemplary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having such a structure. 1 and 4,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X-Y stage and a mount block 130 disposed thereon, and the X-Y stage is a fixed stage 110 and a sliding stage 120 ), a mount block 130 , an X-axis control unit 140 , and a Y-axis control unit 150 .

고정 스테이지(110)는 장치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딩 스테이지(120)는 고정 스테이지 위에 배치되되 고정 스테이지(110)에 대해 X-Y 방향으로(즉,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마운트 블록(130)은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결합되어 일체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마운트 블록(130)과 슬라이딩 스테이지(120)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The fixed stage 1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device frame 10 and the sliding stage 120 is disposed on the fixed stage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X-Y direction (i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stage 110 . The mount block 130 is coupled to the sliding stage 120 to be integrally slidable. The mount block 130 and the sliding stage 12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integrally combined.

마운트 블록(130)은 렌즈소재(L1)를 수용할 수 있는 렌즈소재 수용부(131)를 복수개 포함한다. 렌즈소재 수용부(131)에 수용된 렌즈소재(L1)가 금형블록(30)의 각 금형으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마운트 블록(130)의 렌즈소재 수용부(131)의 개수 및 배치 구조가 금형블록(30)의 금형의 개수 및 배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금형블록(30)이 6개의 금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마운트 블록(130)에 6개의 렌즈소재 수용부(131)가 형성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The mount block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s 131 that can accommodate the lens material L1. Since the lens material L1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must be transferred to each mold of the mold block 30, preferably, the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of the mount block 130 are The number of molds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old block 30 are the sam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nce the mold block 30 is provided with six molds, it will be understood that six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s 131 are formed in the mount block 130 .

렌즈소재 수용부(131)는 마운트 블록(130)의 상부 표면에서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렌즈소재 수용부(131)의 깊이나 직경 등의 수치는 수용할 렌즈소재(L1)의 치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렌즈소재(L1)가 원기둥이나 디스크 형상의 부재이면 렌즈소재 수용부(131)도 이러한 형상의 렌즈소재(L1)를 수용하도록 마운트 블록(130)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lens material receiving part 131 is concavely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block 130 . Numerical values such as the depth or diameter of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lens material L1 to be accommodated. For example, if the lens material (L1) is a cylindrical or disk-shaped member, the lens material receiving portion 131 is also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block 130 to accommodate the lens material (L1) of this shape.

일 실시예에서 마운트 블록(130)은 각각의 렌즈소재 수용부(131) 내에 탄성부재(1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것처럼 렌즈소재 수용부(131)의 내부 바닥면에 탄성부재(132)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2)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력을 갖는 임의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unt block 130 includes an elastic member 132 in each lens material receiving part 13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elastic member 132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 In an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132 may be a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may be used.

이와 같이 탄성부재(132)를 구비하면 렌즈소재 수용부(131)가 렌즈소재(L1)를 탄성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공차에 의해 각각의 렌즈소재(L1)의 높이가 약간씩 상이한 경우에도 렌즈소재 흡착부(200)의 노즐(210)이 아래로 하강하여 렌즈소재(L1)를 흡착할 때 마운트 블록(130)에 수용된 모든 렌즈소재(L1)들을 노즐(210)에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다. When the elastic member 132 is provided in this way,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can accommodate the lens material L1 elastically,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each lens material L1 is slightly different due to tolerance. When the nozzle 210 of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descends down to adsorb the lens material L1, all the lens materials L1 accommodated in the mount block 130 are adsorbed to the nozzle 210 and transported. can

도4를 참조하면, X축 조절부(140)와 Y축 조절부(150)는 마운트 블록(130)을 X방향과 Y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X축 조절부(140)는 핸들 지지대(141), 핸들(142), 로드(143), 및 로드 지지대(144)를 포함한다. 핸들 지지대(141)는 고정 스테이지(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핸들(142)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핸들(142)은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재이며, 로드(143)는 핸들(142)의 중심축과 정렬되어 핸들(142)에 결합되어 있다. 즉 로드(143)의 일단부는 핸들(142)에 연결되고 로드(143)의 타단은 로드 지지대(144)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 지지대(144)는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X-axis adjusting unit 140 and the Y-axis adjusting unit 150 are members for sliding and moving the mount block 130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X-axis adjustment unit 140 includes a handle support 141 , a handle 142 , a rod 143 , and a rod support 144 . The handle support 14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ed stage 110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142 . The handle 142 is a member that the user can rotate by hand, and the rod 143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handle 142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142 . That is, one end of the rod 143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142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143 may be coupled to the rod support 144 . The rod support 144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liding stage 120 .

이러한 구성에서, 핸들(142)을 회전시키면 로드(143)의 길이가 가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핸들 지지대(142)에 대해 로드 지지대(144)가 상대적으로 X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이게 되어 슬라이딩 스테이지(1200과 마운트 블록(130)이 X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andle 142 is rotated, the length of the rod 143 may be varied, and accordingly, the rod support 144 relative to the handle support 142 slides and moves in the X direction to move the sliding stage 1200 . And the mount block 130 can move in the X direction.

마찬가지로 Y축 조절부(150)도 X축 조절부(1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Y축 조절부(150)의 핸들을 회전시켜 마운트 블록(130)을 Y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이 때 마운트 블록(130)은 Y축 조절부(15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Y축 조절부(150)에서 핸들 지지대가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일체로 결합되고 로드 지지대가 마운트 블록(13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Y축 조절부(150)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마운트 블록(130)이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Similarly, the Y-axis control unit 150 has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X-axis control unit 140 and may rotate the handle of the Y-axis control unit 150 to move the mount block 130 in the Y direction. However, at this time, the mount block 1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Y-axis control unit 150 , and the handle suppor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liding stage 120 in the Y-axis control unit 150 , The rod suppor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mount block 130, and therefore, when the handle of the Y-axis adjustment unit 150 is rotated, the mount block 130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relative to the sliding stage 120. will understand

이상과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마운트 블록(130)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X-Y 스테이지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LM 가이드나 볼스크류 등의 임의의 가이드 구조를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마운트 블록(1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LM 가이드 및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마운트 블록(130)을 움직이도록 구성할 경우, 고정 스테이지(110)에 X방향의 LM 가이드를 설치하고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이 LM 가이드에 맞물리는 LM 블록을 부착하여 구동모터 등에 의해 슬라이딩 스테이지(120)를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슬라이딩 스테이지(120)에 Y방향의 LM 가이드를 설치하고 마운트 블록(130)에 이 LM 가이드에 맞물리는 LM 블록을 부착하여 구동모터 등에 의해 마운트 블록(130)을 Y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마운트 블록(130)을 X-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X-Y stag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manually moves the mount block 130 by rotating the handle i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any guide structure such as an LM guide or a ball screw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move the mount block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configuring the mount block 130 to move using an LM guide and a linear motor, an LM guide in the X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fixed stage 110 and an LM that engages with the LM guide on the sliding stage 120 . By attaching a block, the sliding stage 120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by a drive motor, etc. Similarly, an LM guide in the Y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sliding stage 120 and the LM guide is mounted on the mount block 130. By attaching an interlocking LM block to move the mount block 130 in the Y-axis direction by a driving motor or the like, the mount block 130 may be moved in the X-Y direction.

한편 일 실시예에서 X-Y 스테이지는 마운트 블록(130)을 X방향과 Y방향으로 각각 대략 수 mm 내지 수cm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미터의 해상도로 마운트 블록(130)의 위치를 미세조정 할 수 있다. 즉 마운트 블록(130)이 목표 위치에서 X방향이나 Y방향으로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X-Y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마운트 블록(130)을 목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the X-Y stage can move the mount block 130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several mm to several cm, respectively. You can fine-tune the position. That is, when the mount block 130 is spaced apart several to several hundred micrometers in the X-direction or Y-direction from the target position, the mount block 130 may be moved to the target position by using the X-Y stage.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이송 프레임(20)이 장치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송 프레임(20)은 장치 프레임(10)에 대해 상대적으로 X방향(즉 도1에서 좌우 방향으로)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장치는 이송 프레임(20)을 구동하는 구동부(예컨대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현가능) 및 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transport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device frame 10 . The transport frame 20 is movable in the X-direction (i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1 ) relative to the device frame 1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transport frame 20 (eg,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driving motor or an actu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이송 프레임(20)에는 렌즈소재 흡착부(200), 클리닝부(300), 및 상부금형 흡착부(400)가 설치되어 있되, 렌즈소재 흡착부(200), 클리닝부(300), 및 상부금형 흡착부(400)의 각각은 이송 프레임(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즉, Z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소재 흡착부(200), 클리닝부(300), 및 상부금형 흡착부(400)의 각각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예컨대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현가능)가 이송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 a cleaning unit 300 , and an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are installed in the transport frame 20 , and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 the cleaning unit 300 , and the upper mold are installed. Each of the adsorption units 4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e, in the Z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frame 20 . 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ne or more driving units (eg, a driving motor or an actuator) that move each of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 the cleaning unit 300 , and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mplemented )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port frame 2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렌즈소재 흡착부(200)는 공기를 분사하거나 흡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210)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렌즈소재 흡착부(200)는 6개의 노즐(210)을 구비하며 각각의 노즐(210)은 마운트 블록(130)의 각각의 렌즈소재 수용부(13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노즐(210)은 렌즈소재 수용부(131)에 각각 수용된 렌즈소재(L1)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거나 렌즈소재(L1)를 흡착할 수 있다.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ncludes one or more nozzles 210 for spraying or sucking ai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ncludes six nozzles 210 , and each nozzle 210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each lens material receiving unit 131 of the mount block 130 . is composed Accordingly, each nozzle 210 may spray air or adsorb the lens material L1 to the surface of the lens material L1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

일 실시예에서 노즐(210)의 분사 및/또는 흡착 동작을 위해 진공펌프(51)와 고압펌프(52)를 구비할 수 있다. 진공펌프(51)와 고압펌프(52)는 예컨대 삼방밸브 등의 유로전환 밸브(53) 및 개폐밸브(54)를 통해 노즐(210)과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가 밸브(53,54)를 제어하여 노즐(210)의 렌즈소재 흡착 또는 공기분사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마운트 블록(130)의 각 렌즈소재 수용부(131)에 렌즈소재(L1)가 수용되면 각 노즐(210)이 각 렌즈소재(L1)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고 그 후 각 노즐(210)이 하강하여 각 렌즈소재를 흡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vacuum pump 51 and a high-pressure pump 52 may be provided for injection and/or adsorption of the nozzle 210 . The vacuum pump 51 and the high pressure pump 52 are connected to the nozzle 210 through a flow path switching valve 53 and an on/off valve 54 such as a three-way valve, for example,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es the valves 53 and 54 . ) to control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or air injection operation of the nozzle 210 . For example, when the lens material L1 is accommodated in each lens material receiving unit 131 of the mount block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each nozzle 210 sprays air toward each lens material L1 and After that, each nozzle 210 may descend and operate to adsorb each lens material.

클리닝부(300)는 이송프레임(20)에서 상부금형 흡착부(400)와 렌즈소재 흡착부(100)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프레임(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리닝부(300)는 금형블록(30)의 상부면을 덮어서 밀폐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and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100 in the transfer frame 20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frame 20 . The cleaning unit 300 may include a cover member 310 to cover and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block 30 .

유로전환밸브(63)와 개폐밸브(64)를 통해 진공펌프(61)와 고압펌프(6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클리닝부(3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금형블록(30)의 상부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동작 및 커버부재(310)를 하강하여 금형블록(30)의 상부를 덮어서 밀폐공간을 만들고 이 영역을 음압 상태로 만들어서 금형블록(3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t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61 and the high pressure pump 62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63 and the on/off valve 64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leaning unit 300 lowers the cover member 310 and the operation of spraying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block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lower the upper part of the mold block 30 .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erform an opera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mold block 30 by making a closed space by covering and making this area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상부금형 흡착부(400)는 이송프레임(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금형블록(30)의 상부금형(41)을 흡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금형 흡착부(400)는 복수개의 노즐(410)을 구비하며 노즐(410)은 개폐밸브(74)를 통해 진공펌프(71)에 연결된다. 노즐(410)의 개수는 금형블록(30)의 상부금형(41)의 개수와 동일하고 각 노즐(410)이 상부금형(41)을 하나씩 흡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frame 20 and is configured to adsorb the upper mold 41 of the mold block 30 . In an embodiment,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410 , and the nozzles 410 ar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71 through an on/off valve 74 . The number of nozzles 410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upper molds 41 of the mold block 30, and each nozzle 410 is arranged to adsorb the upper molds 41 one by one.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진공펌프(51,61,71)와 복수개의 고압펌프(52,62)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진공펌프(51,61,71)가 하나의 진공펌프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고압펌프(52,62)가 하나의 고압펌프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이송 프레임(20), 렌즈소재 흡착부(200), 클리닝부(300), 및 상부금형 흡착부(400)의 움직임과 흡착/분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각기 별개로 설명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어부(미도시)로 통합하여 이 통합된 제어부가 본 발명의 렌즈소재 투입장치의 모든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as having a plurality of vacuum pumps 51, 61 and 71 and a plurality of high-pressure pumps 52 and 62, but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vacuum pumps 51, 61 and 71 are one vacuum. I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tegrated as a pump or the high-pressure pumps 52 and 62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a single high-pressure pump.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and the adsorption/spray operation of the transfer frame 20,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the cleaning unit 300, and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has been separately described, but the alternative By integrating into one control unit (not show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tegrated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렌즈소재 투입장치는 렌즈 취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렌즈 취출부(500)는 금형블록 지지부(15)에 인접한 위치에서 장치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 취출부(500)는 핀 구동부(510) 및 핀 구동부(510)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취출핀(530)을 포함할 수 있다. 핀 구동부(510)는 모터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취출핀(530)은 금형블록(30)의 하부금형(42)을 하나씩 밀어 올릴 수 있도록 각 하부금형(42)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In an embodiment,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ens extraction unit 500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ns extraction unit 500 may be installed in the device frame 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ld block support unit 15 . The lens extraction unit 500 may include a pin driving unit 510 and a plurality of extraction pins 530 moving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pin driving unit 510 . The pin driving unit 510 may be implemented as a motor or an actuator, and each extraction pin 53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each lower mold 42 so that the lower mold 42 of the mold block 30 can be pushed up one by one. are placed

이제 상술한 예시적 구성의 렌즈소재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투입하는 동작을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 내지 도8은 렌즈소재 투입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의 이송 프레임(20), 진공펌프(51,61,71), 고압펌프(52,62) 등을 생략하였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Now, an operation of putting the lens material L1 into the mold block 30 using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5 to 8 schematically show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ransfer frame 20, vacuum pumps 51, 61, 71, and high-pressure pumps ( 52,62), etc. have been omitted,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장치가 도5(a)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렌즈소재 흡착부(200)가 렌즈소재 마운트부(100)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부금형 흡착부(400)는 금형블록(30)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금형블록 지지부(15)에는 금형블록(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금형블록(30)은 성형이 완료된 렌즈(L2)를 장착한 상태일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렌즈(L2)가 금형블록(30)에서 취출된 상태일 수도 있다.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s shown in Fig. 5 (a).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s located above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 and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s located above the mold block 30 . The mold block 30 is attached to the mold block support 15 .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mold block 3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ens L2 is molded, and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ens L2 may be in a state taken out of the mold block 30 .

도5(a)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개의 렌즈소재(L1)를 마운트 블록(130)의 렌즈소재 수용부(131)에 각각 올려놓는다. 이 작업은 예컨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 5 (a), a plurality of lens material (L1) is placed on each of the lens material receiving portion 131 of the mount block (130). This operation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an operator, for example,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using a separate mounting device.

렌즈소재(L1)를 렌즈소재 수용부(131)에 장착하면 그 후 렌즈소재 흡착부(200)의 노즐(210)을 통해 고압의 공기 또는 질소 등 소정의 가스를 렌즈소재(L1)에 분사하여 렌즈소재(L1)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후 도5(b)에서와 같이 노즐(210)을 하강하여 렌즈소재(L1)를 흡착한다. 이 때 렌즈소재 수용부(131) 내의 탄성부재(132)가 렌즈소재(L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다수의 렌즈소재(L1)들의 두께가 약간씩 상이하더라도 모든 노즐(210)이 각각의 렌즈소재(L1)를 흡착할 수 있다. When the lens material L1 is mounted on the lens material receiving unit 131, thereafter, a predetermined gas such as high-pressure air or nitrogen is sprayed onto the lens material L1 through the nozzle 210 of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ens material (L1). Thereafter, the nozzle 210 is lowered as shown in FIG. 5(b) to adsorb the lens material L1.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member 132 in the lens material accommodating part 131 elastically supports the lens material L1,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lens materials L1 is slightly different, all the nozzles 210 are each lens. The material (L1) can be adsorbed.

한편 이 단계에서 상부금형 흡착부(400)가 금형블록(30)으로 하강하여 상부금형(41)을 흡착할 수 있고, 그 후 도6(a)에 도시한 것처럼 렌즈소재(L1)을 흡착한 노즐(210)과 상부금형(41)을 흡착한 노즐(410)을 각각 상승시킨다. Meanwhile, in this step,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descends to the mold block 30 to adsorb the upper mold 41, and thereafter, the lens material L1 is adsorbed as shown in FIG. 6(a). The nozzles 210 and the nozzles 410 adsorbing the upper mold 41 are raised respectively.

두 노즐(210,410)이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이송프레임(20)을 (도면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클리닝부(300)가 금형블록(3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또한 이송 프레임(20)을 위와 같이 움직이는 동안, 렌즈 취출부(50)의 핀 구동부(510)가 동작하여 취출핀(530)으로 하부금형(42)을 밀어 올려서 렌즈(L2)들이 금형블록(30)의 상부면 위로 상승시키며 그 후 렌즈(L2)를 취출한다. 렌즈 취출은 예컨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과 같이 렌즈 취출부(500)에 의해 하부금형(42)을 소정 높이로 상승시켜서 렌즈를 취출하므로 렌즈 취출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two nozzles 210 and 410 rise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cleaning unit 300 is positioned on the mold block 30 by moving the transfer frame 20 to the left (o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6(b). . Also, while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as above, the pin driving unit 510 of the lens extraction unit 50 operates to push up the lower mold 42 with the extraction pin 530 so that the lenses L2 are inserted into the mold block 30 . ) and then take out the lens L2. The lens extraction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an operator or automatically using a separate device, for example. At this tim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mold 42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lens take-out unit 500 to take out the lens, the lens take-o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asily.

다음으로, 도7(a)와 같이 렌즈 취출을 완료하면 클리닝부(300)의 커버부재(310)를 하강시켜 금형블록(30)의 상부 영역을 밀폐공간으로 만들고 이 영역을 진공 흡착하며 이에 의해 하부금형(42)의 표면에 묻어 있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7(b)에 도시한 것처럼 커버부재(310)를 금형블록(30)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공기나 질소 등 가스를 분사하여 하부금형(42)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도7(a)의 진공흡착에 의한 이물질 제거 공정과 도7(b)의 가스 분사에 의한 이물질 제거 공정의 실행 순서를 바꿀 수도 있고 두 공정 중 하나만 수행할 수도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lens extraction is completed, the cover member 310 of the cleaning unit 300 is lowered to make the upper area of the mold block 30 a closed space, and the area is vacuum-adsorbed, thereby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ludg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ower mold 42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the cover member 310 is separated from the mold block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gas such as air or nitrogen is spray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lower mold 42. may b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execution order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rocess by vacuum adsorption of FIG. 7(a)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rocess by gas injection of FIG. 7(b) may be changed, or only one of the two processes may be performed.

상술한 클리닝부(300)의 동작이 완료되면 도8(a)와 같이 렌즈소재 흡착부(200)가 금형블록(30) 위에 위치하도록 이송프레임(20)을 이동시킨 후 렌즈소재 흡착부(200)의 노즐(210)을 하강시켜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투입한다. 즉 각각의 노즐(210)에 흡착되어 있던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의 각각의 하부금형(42)의 표면에 올려놓는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leaning unit 300 is completed,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so that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s positioned on the mold block 30 as shown in FIG. 8(a), and then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 of the nozzle 210 is lowered to put the lens material L1 into the mold block 30 . That is, the lens material L1 adsorbed to each nozzle 210 is placed on the surface of each lower mold 42 of the mold block 30 .

이 때 각각의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부딪히지 않고 각각의 금형 수용홀(31) 내부로 정확히 하강시켜 투입하기 위해서는 노즐(210)에 흡착된 렌즈소재(L1)와 금형블록(30)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시킬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5 내지 도8에 따른 렌즈소재 투입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렌즈소재 마운트부(100)의 X-Y 스테이지의 X축 조절부(140)와 Y축 조절부(150)를 이용하여 마운트 블록(13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단계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에서, 테스트용의 렌즈소재(L1)를 렌즈소재 마운트부(100)의 마운트 블록(130)에 장착한 뒤 렌즈소재 흡착부(200)로 흡착하고 이송프레임(20)을 기설정된 이동거리에 따라 이동시켜 렌즈소재 흡착부(200)를 금형블록(30) 상부에 위치시킨 후 렌즈소재 흡착부(200)와 금형블록(30)의 정렬 상태에 따라 X-Y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마운트 블록(130)을 X방향과 Y방향으로 각각 미세조정하며 렌즈소재 흡착부(200)의 노즐(210)에 흡착된 렌즈소재(L1)와 금형블록(30)을 정확히 정렬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s material L1 adsorbed to the nozzle 210 and the mold block (L1) and the mold block ( 30),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align the posi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axis adjustment unit ( 140) and the Y-axis adjusting unit 150 may be used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unt block 130 in advance. In one embodiment for this, the lens material (L1) for testing is mounted on the mount block 130 of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and then adsorbed to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and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After moving according to the set movement distance to position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on the mold block 30, the mount block using the X-Y stage according to the alignment state of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and the mold block 30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lign the lens material L1 and the mold block 30 adsorbed to the nozzle 210 of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by fine-tuning 130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respectively.

위와 같이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투입하면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금형 흡착부(400)가 금형블록(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송프레임(20)을 이동시키고 노즐(410)을 하강시켜 노즐(410)에 흡착되어 있던 상부금형(41)을 금형블록(30)의 각각의 금형 수용홀(31)에 삽입하며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투입하는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소재 투입장치에 의하면, 렌즈소재(L1)의 이물질 제거, 금형블록(30)으로부터 성형 렌즈(L2) 취출, 금형블록(30)의 이물질 제거, 및 금형블록(30)으로 렌즈소재(L1)의 투입까지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렌즈소재(L1)를 금형블록(30)에 투입하기까지의 전체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렌즈소재(L1)나 금형블록(30)의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성형된 렌즈(L2)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When the lens material L1 is put into the mold block 30 as above,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so that the upper mold adsorption part 4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block 30 as shown in FIG. Move and lower the nozzle 410 to insert the upper mold 41 adsorbed to the nozzle 410 into each mold receiving hole 31 of the mold block 30, and insert the lens material L1 into the mold block 30 ) can complete the input proces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removal of the lens material (L1), the molded lens (L2) taken out from the mold block 30,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of the mold block 30, and the mold block (30) Since the entire process can be automated up to the input of the lens material (L1), the entire operation up to the input of the lens material (L1) into the mold block (30) can be performed quickly, while the lens material (L1) or the mold block (30) Since foreign substances can be reliably removed,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molded lens L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장치 프레임 15: 금형블록 지지부
20: 이송프레임 100: 렌즈소재 마운트부
130: 마운트 블록 200: 렌즈소재 흡착부
300: 클리닝부 400: 상부금형 흡착부
500: 렌즈 취출부
10: device frame 15: mold block support
20: transfer frame 100: lens material mount unit
130: mount block 200: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300: cleaning unit 400: upper mold adsorption unit
500: lens outlet

Claims (5)

렌즈소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구비한 렌즈 성형용 금형블록에 투입하는 렌즈소재 투입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렌즈소재(L1)를 수용하는 렌즈소재 마운트부(100);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프레임(20);
상기 이송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에 수용된 렌즈소재(L1)를 흡착할 수 있는 렌즈소재 흡착부(200);
이송프레임(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금형블록의 상부금형을 흡착할 수 있는 상부금형 흡착부(400); 및
이송프레임(20)에 상부금형 흡착부(400)와 렌즈소재 흡착부(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소재 투입장치가,
(i) 이송프레임(2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렌즈소재 흡착부(200)가 렌즈소재 마운트부(100)에 수용된 렌즈소재(L1)를 흡착하고 상부금형 흡착부(400)가 상기 상부금형을 흡착하는 동작,
(ii) 이송프레임(2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금형블록에 수용된 성형 렌즈(L2)가 취출되면, 클리닝부(300)가 상기 금형블록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
(iii) 이송프레임(20)이 제3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렌즈소재 흡착부(200)가 하강하여 상기 금형블록에 렌즈소재(L1)를 투입하는 동작, 그리고
(iv) 이송프레임(20)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여, 상부금형 흡착부(400)가 상부금형을 상기 금형블록에 삽입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소재 투입장치.
A lens material input device for putting the lens material into a mold block for lens molding having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for accommodating one or more lens materials (L1);
a transport frame 20 disposed o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and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ransfer frame 20 and capable of adsorbing the lens material L1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an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nstalled on the transfer frame 20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sorbing the upper mold of the mold block; and
A cleaning unit 300 disposed between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and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in the transfer frame 20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i) when the transport frame 2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adsorbs the lens material L1 accommodated in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and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s The operation of adsorbing the upper mold,
(ii) when the molded lens (L2) accommodated in the mold block is taken out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cleaning unit 300 removes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mold block;
(iii)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frame 20 is moved to the third position,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200 descends and the operation of putting the lens material L1 into the mold block, and
(iv) the transfer frame 20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upper mold adsorption unit 400 inserts the upper mold into the mold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소재 마운트부(100)는, 상부면에 렌즈소재를 각각 하나씩 수용하는 수용부(131)가 하나 이상 형성된 마운트 블록(130) 및 상기 마운트 블록(130)을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X-Y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블록이 각각의 상기 수용부 내에 렌즈소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소재 투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s material mount unit 100 further includes a mount block 130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ng units 131 for accommodating one lens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and an XY stage that moves the mount block 130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lens materi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 block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3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ns material in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소재 흡착부가, 상기 마운트 블록의 각 수용부에 수용된 렌즈소재를 각각 흡착하거나 렌즈소재에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노즐(210)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블록의 각 수용부에 렌즈소재가 수용되면 각 노즐이 각 렌즈소재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고 그 후 각 노즐이 하강하여 각 렌즈소재를 흡착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소재 투입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s material adsorption unit includes one or more nozzles 210 configured to respectively adsorb the lens material accommodated in each receiving unit of the mount block or spray gas to the lens material,
Lens materi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ens material is accommodated in each receiving part of the mount block, each nozzle sprays air toward each lens material, and then each nozzle descends to adsorb each lens materi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300)는 상기 금형블록의 상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거나 또는 금형블록의 상부 영역을 음압 상태로 만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소재 투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300 is a lens materia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pray air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block 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making the upper region of the mold block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KR1020200109491A 2020-08-28 2020-08-28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KR102385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91A KR102385952B1 (en) 2020-08-28 2020-08-28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91A KR102385952B1 (en) 2020-08-28 2020-08-28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54A KR20220028454A (en) 2022-03-08
KR102385952B1 true KR102385952B1 (en) 2022-04-14

Family

ID=8081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491A KR102385952B1 (en) 2020-08-28 2020-08-28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9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24A (en) * 1995-06-19 1997-01-07 Asahi Optical Co Ltd Device for taking in and out work from apparatus for forming optical element
KR20080100629A (en) * 2007-05-14 2008-11-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die for forming lens
KR101739760B1 (en) 2016-01-19 2017-06-08 아이오솔루션(주) Automati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spherical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54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2300B2 (en) Optical glass material transfer equipment
KR101809483B1 (en) Contact Lens Separation Mechanism
KR101366248B1 (en) Apparatus of loading raw material and unloading molded lens automatically and Method of loading raw material and unloading molded lens
KR102011911B1 (en) Manufacturing system of lens
US20170239774A1 (en) Device for blocking workpieces, particularly spectacle lenses, for the processing and/or coating thereof
KR101785572B1 (en) Auto Dual Layer Mold Printing System for Contact Lens Production
KR102385952B1 (en) Automatic robot apparatus for inserting lens material
KR100900487B1 (en) Automatic multi-magazine apparatus for raw material and molded lens and Apparatus for loading raw material and unloading molded lens automatically
KR20170091566A (en) Gate cutt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lens
EP3953693B1 (en) Optical inspection machine for the quality control of parts
KR2008010062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die for forming lens
KR20170024421A (en) Gate cutt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lens
CN214956802U (en) Pre-positioning bearing device
KR100726909B1 (en) Method for producing hybrid lens
JP4443758B2 (en) Compound len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mpound lens manufacturing method
CN112351956B (en) Lens molding device and filter device
KR2022007104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rtificial marble
KR0185783B1 (en) Wafer inspection equipment
KR20090039373A (en) Multi-focussing glass lense making device
KR102410119B1 (en) Mold seperation device
CN111847848A (en) Mold processing device for glass molding
KR102011915B1 (en) Manufacturing system of lens
JP4377711B2 (en) Optical element transport device
KR102169007B1 (en) Contact lens manufacturing apparatus
JP3713945B2 (en)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