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29B1 -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29B1
KR102385929B1 KR1020190108134A KR20190108134A KR102385929B1 KR 102385929 B1 KR102385929 B1 KR 102385929B1 KR 1020190108134 A KR1020190108134 A KR 1020190108134A KR 20190108134 A KR20190108134 A KR 20190108134A KR 102385929 B1 KR102385929 B1 KR 10238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bt
transmission
information
subban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356A (ko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980058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655263A/zh
Priority to EP19857234.9A priority patent/EP3849261B1/en
Priority to US17/274,321 priority patent/US20210352724A1/en
Priority to PCT/KR2019/011417 priority patent/WO2020050630A1/ko
Publication of KR2020002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일 실시예는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가용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 무선 액세스 망(이하, "NR[New Radio]"라 함)에서 비면허 대역에 대한 LBT(Listen Before Talk) 수행 결과를 고려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제안한다.
3GPP는 최근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기술(다시 말하면, 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채널 코딩 및 변조(channel coding & modulation),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설계가 진행 중이다. NR은 LTE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QoS 요구(QoS 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정의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은 데이터 속도(data rates), 지연속도(latency), 신뢰도(reliabilit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별 요구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y)(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서브프레임(subframe),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의 일환으로, NR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가용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가용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는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SCS 에서 심볼 레벨 얼라인먼트(symbol level alignment among different SCS)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에 대한 개념적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를 수행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서브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하며, 단말과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기술은 특정 접속 기술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3GPP, 3GPP2, WiFi, Bluetooth, IEEE, ITU 등 다양한 통신 협의기구에서 제정하는 각 세대별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현재 개시되거나 상용화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고,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NR,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말은 사용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휴대 기기가 될 수도 있고, V2X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차량 내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형태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스템의 경우에 기계 형태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모듈을 탑재한 MTC 단말, M2M 단말, URLLC 단말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지국 또는 셀은 네트워크 측면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종단을 지칭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셀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은 단말의 Activation BWP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하나 이상의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 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상향링크)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하향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3GPP LTE/LTE-A/NR(New RAT) 통신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기술적 특징이 해당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GPP에서는 4G(4th-Generation)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 이후에 ITU-R의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한 5G(5th-Generation)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3GPP는 5G 통신 기술로 LTE-Advanced 기술을 ITU-R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향상시킨 LTE-A pro와 4G 통신 기술과는 별개의 새로운 NR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LTE-A pro와 NR은 모두 5G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특정 통신 기술을 특정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NR을 중심으로 5G 통신 기술을 설명한다.
NR에서의 운영 시나리오는 기존 4G LTE의 시나리오에서 위성, 자동차, 그리고 새로운 버티컬 등에 대한 고려를 추가하여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를 정의하였으며, 서비스 측면에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높은 단말 밀도를 가지되 넓은 범위에 전개되어 낮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비동기식 접속이 요구되는 mMTC(Massive Machine Communication) 시나리오, 높은 응답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고속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URLLC(Ultra Reliability and Low Latency)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만족하기 위해서 NR은 새로운 waveform 및 프레임 구조 기술, 낮은 지연속도(Low latency) 기술, 초고주파 대역(mmWave) 지원 기술,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le) 제공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NR 시스템에서는 순방향(Forard)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연성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NR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R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R 시스템은 5GC(5G Core Network)와 NR-RAN파트로 구분되며, NG-RAN은 사용자 평면(SDAP/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와 ng-eNB들로 구성된다. gNB 상호 또는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와 ng-eNB는 각각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 연결된다. 5GC는 단말 접속 및 이동성 제어 기능 등의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사용자 데이터에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UPF (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R에서는 6GHz 이하 주파수 대역(FR1, Frequency Range 1)과 6GHz 이상 주파수 대역(FR2, Frequency Range 2)에 대한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gNB는 단말로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하고, ng-eNB는 단말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기지국은 gNB 및 ng-eNB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gNB 또는 ng-eNB를 구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NR 웨이브 폼, 뉴머롤러지 및 프레임 구조>
NR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CP-OFDM 웨이브 폼을 사용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한다. OFDM 기술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결합이 용이하며, 높은 주파수 효율과 함께 저 복잡도의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NR에서는 전술한 3가지 시나리오별로 데이터 속도, 지연속도, 커버리지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별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NR 전송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아래 표 1과 같이 15 kHz를 기준으로 μ 값이 2의 지수 값으로 사용되어 지수적으로 변경된다.
μ 서브캐리어 간격 Cyclic prefix Supported for data Supported for synch
0 15 Normal Yes Yes
1 30 Normal Yes Yes
2 60 Normal, Extended Yes No
3 120 Normal Yes Yes
4 240 Normal No Yes
위 표 1과 같이 NR의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4G 통신 기술 중 하나인 LTE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 kHz로 고정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60, 120 kHz 이고,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12, 240 kHz 이다. 또한, 확장 CP는 60 kHz 서브캐리어 간격에만 적용된다. 한편, NR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는 1ms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는 10ms의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frame)이 정의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5ms의 하프 프레임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symbol)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노멀 CP의 경우에 고정적으로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슬롯의 시간 도메인에서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ms 길이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30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0.5ms의 길이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두 개의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과 프레임은 고정된 시간 길이를 가지고 정의되며, 슬롯은 심볼의 개수로 정의되어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NR은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를 슬롯으로 정의하고, 무선 구간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 또는 non-slot based schedule)도 도입하였다. 넓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면 하나의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은 URLLC 시나리오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것으로 2, 4, 7개 심볼 단위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또한, NR은 LTE와 달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하나의 슬롯 내에서 심볼 레벨로 정의하였다. HARQ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전송 슬롯 내에서 바로 HARQ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는 슬롯 구조가 정의되었으며, 이러한 슬롯 구조를 자기 포함(self-contained) 구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총 256개의 슬롯 포맷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중 62개의 슬롯 포맷이 3GPP Rel-15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슬롯의 조합을 통해서 FDD 또는 TDD 프레임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슬롯의 심볼이 모두 하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와 심볼이 모두 상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 및 하향링크 심볼과 상향링크 심볼이 결합된 슬롯 구조를 지원한다. 또한, NR은 데이터 전송이 하나 이상의 슬롯에 분산되어 스케줄링됨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SFI, Slot Format Indicator)를 이용하여 단말에 슬롯이 하향링크 슬롯인지, 상향링크 슬롯인지 또는 플렉시블 슬롯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구성된 테이블의 인덱스를 SFI를 이용하여 지시함으로써 슬롯 포맷을 지시할 수 있으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동적으로 지시하거나 RRC를 통해서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NR 물리 자원 >
NR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등이 고려된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또는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및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는 NR이 동일 캐리어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를 지원하기 때문에 각 뉴머롤러지에 따라 자원 그리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원 그리드는 안테나 포트, 서브캐리어 간격, 전송 방향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만 정의된다. 또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1개의 OFDM 심볼과 1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자원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NR에서는 자원 블록 그리드를 위한 공통 참조점 역할을 수행하는 "Point A"와 공통 자원 블록, 가상 자원 블록 등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는 캐리어 대역폭이 20Mhz로 고정된 LTE와 달리 서브캐리어 간격별로 최대 캐리어 대역폭이 50Mhz에서 400Mhz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단말이 이러한 캐리어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NR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대역폭 파트(BWP)를 지정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파트는 하나의 뉴머롤러지와 연계되며 연속적인 공통 자원 블록의 서브 셋으로 구성되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에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고, 주어진 시간에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의 경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가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의 경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동작 간에 불필요한 주파수 리튜닝(re-tunn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파트가 중심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어 설정된다.
<NR 초기 접속>
NR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셀 검색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셀 검색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셀에 동기를 맞추고, 물리계층 셀 ID를 획득하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SB는 각각 1개 심볼 및 127개 서브 캐리어를 점유하는 PSS(primary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3개의 OFDM 심볼 및 240 개의 서브캐리어에 걸쳐있는 PBCH로 구성된다.
단말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SB를 모니터링하여 SSB를 수신한다.
SSB는 5ms 동안 최대 64번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SSB는 5ms 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전송 빔으로 전송되며, 단말은 전송에 사용되는 특정 하나의 빔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20ms의 주기마다 SSB가 전송된다고 가정하고 검출을 수행한다. 5ms 시간 내에서 SSB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빔의 개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Hz 이하에서는 최대 4개의 SSB 빔 전송이 가능하며, 3~6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8개,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64개의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하여 SSB를 전송할 수 있다.
SSB는 하나의 슬롯에 두 개가 포함되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슬롯 내에서의 시작 심볼과 반복 횟수가 결정된다.
한편, SSB는 종래 LTE의 SS와 달리 캐리어 대역폭의 센터 주파수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즉, SSB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이 아닌 곳에서도 전송될 수 있고, 광대역 운영을 지원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복수의 SSB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SSB를 모니터링하는 후보 주파수 위치인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를 이용하여 SSB를 모니터링한다. 초기 접속을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 정보인 캐리어래스터(carrier raster)와 동기 래스터는 NR에서 새롭게 정의되었으며, 동기 래스터는 캐리어래스터에 비해서, 주파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어서, 단말의 빠른 SSB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은 SSB의 PBCH를 통해서 MIB를 획득할 수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이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나머지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PBCH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첫 번째 DM-RS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정보, SIB1을 단말이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SIB1 뉴머롤러지 정보, SIB1 CORESET에 관련된 정보, 검색 공간 정보, PDCCH 관련 파라미터 정보 등), 공통 자원 블록과 SSB 사이의 오프셋 정보(캐리어 내에서의 절대 SSB의 위치는 SIB1을 통해서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IB1 뉴머롤러지 정보는 단말이 셀 검색 절차를 완료한 이후에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일부 메시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메시지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에 SIB1의 뉴머롤러지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RMSI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의미할 수 있으며, SIB1은 셀에서 주기적으로(ex, 160ms) 브로드캐스팅 된다. SIB1은 단말이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PDSCH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단말이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PBCH를 통해서 SIB1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 정보, SIB1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CORESET 내에서 SI-RNTI를 이용하여 SIB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SIB1을 PDSCH 상에서 획득한다. SIB1을 제외한 나머지 SIB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검색이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PRACH를 통해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정 슬롯에서 연속된 무선 자원으로 구성되는 PRACH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셀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에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되며, 빔 실패 복구(BFR, Beam Failure Recovery)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된다.
단말은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임시 C-RNTI(Temporary Cell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TAC(Time Alignment Command) 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포함된 UL Grant, 임시 C-RNTI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기지국이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식별자일 수 있다. TAC는 단말이 상향 링크 동기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PDCCH상의 랜덤 액세스 식별자, 즉 RA-RNTI(Random Access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지시될 수 있다.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으로 스케줄링된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경쟁 해소를 위한 하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NR CORESET>
NR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1~3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에서 전송되며, 상/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SFI(Slot format Index),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시스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CORESET 개념을 도입하였다.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은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단말은 CORESET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을 사용하여 제어 채널 후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CORESET 별 QCL(Quasi CoLocation)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종래 QCL에 의해서 가정되는 특성인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쉬프트, 평균 지연 외에 아날로그 빔 방향에 대한 특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ORESET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상에서 CORESET은 최대 3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ORESET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캐리어 대역폭까지 6개의 자원 블록의 배수로 정의된다.
첫 번째 CORESET은 네트워크로부터 추가 구성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초기 대역폭 파트 구성의 일부로 MIB를 통해서 지시된다. 기지국과의 연결 설정 후에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CORESET 정보를 수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록,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또는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NR(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기술(i.e. 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study item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채널 코딩 및 변조(channel coding & modulation),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설계가 진행 중이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QoS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으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정의되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은 데이터 속도(data rates), 지연속도(latency), 신뢰도(reliabilit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 요구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예를 들어,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등)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NR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s))를 통해 TDM, FDM 또는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레퍼런스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지속기간(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레퍼런스 지속기간(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time unit)으로서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normal CP의 경우, SCS값에 관계 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되며, 또한 해당 슬롯의 전송 지시(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링크 전송(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모든 심볼이 상향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하향링크 부분(DL portion) + 갭(gap) + 상향링크 부분(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또는 SCS)에서 상기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또는 슬롯 병합(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지연속도에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프레임(frame) 구조에서 정의된 1ms(14 symbol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지연속도 요구(latency 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지연속도에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Carrier)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TDM 및/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별로 정의된 슬롯(또는 미니 슬롯) 길이(length)를 기반으로 지연속도 요구(latency requirement)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도 8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14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slot length)는 1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약 0.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또는 서로 다른 TTI 길이(length)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requirement)를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보다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s)
기존 LTE 시스템(system)의 경우, 임의의 LTC CC(Component Carrier)에 대한 확장성 있는(scalable) 대역폭 동작(bandwidth operation)을 지원하였다. 즉, 주파수 배포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따라 임의의 LTE 사업자는 하나의 LTE CC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소 1.4 MHz부터 최대 20 MHz의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었고, 노멀(normal) LTE 단말은 하나의 LTE CC에 대해 20 MHz 대역폭(bandwidth)의 송수신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원하였다.
하지만, NR의 경우, 하나의 광대역(wideband) NR CC를 통해 서로 다른 송수신 대역폭 캐퍼빌리티(bandwidth capability)를 갖는 NR 단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의 도 9와 같이 임의의 NR CC에 대해 세분화된 대역폭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s))를 구성하여, 단말 별로 서로 다른 대역폭 파트 구성(bandwidth part configuration) 및 활성화(activation)를 통해 플렉시블(flexible)한 보다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을 지원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는 단말 관점에서 구성된 하나의 서빙 셀(serving cell)을 통해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해당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DL bandwidth part)와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UL bandwidth part)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또한 해당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serving cell)이 설정된 경우, 즉 CA이 적용된 단말에 대해서도 각각의 서빙 셀(serving cell) 별로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 및/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해당 서빙 셀(serving cell)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단말의 최초 액세스 절차(initial access procedure)를 위한 최초 대역폭 파트(initial bandwidth part)가 정의되며, 각각의 단말 별로 dedicated RRC signalling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특정(UE-specific)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s))가 구성되고, 또한 각각의 단말 별로 폴백 동작(fallback operation)을 위한 디폴트 대역폭 파트(default bandwidth part)가 정의될 수 있다.
단, 임의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단말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및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s)) 구성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으나, NR rel-15에서는 임의의 단말에서 임의의 시간에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DL bandwidth part) 및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UL bandwidth part)만을 활성화(activation)하여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NR-U
비면허 대역의 경우, 면허 대역과 달리 임의의 사업자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이 아니라 각 국가의 규제(regulation) 내에서 어떠한 사업자들 또는 개개인도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면허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 시 해당 비면허 대역을 통해 이미 제공되고 있는 WiFi, Bluetooth, NFC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의 공존(co-existence) 문제와 또한 각각의 NR 사업자 또는 LTE 사업자 간의 공존(co-existence)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비면허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 시, 각각의 무선 통신 서비스 간의 간섭 또는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사용할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의 파워 레벨(power level)을 센싱(sensing)하여 해당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LBT(Listen Before Talk) 기반의 무선 채널 액세스(access) 방식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해당 비면허 대역의 특정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가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나 다른 사업자에 의해 사용 중일 경우 해당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에 제약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면허 대역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는 면허 대역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보장할 수 없다.
특히 NR-U의 경우 반드시 면허 스펙트럼(licensed spectrum)과의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를 통해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을 지원했던 기존의 LTE와 달리,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 NR의 배포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로서 독립형의(stand-alone) NR-U 셀이나, 면허 대역(licensed band)의 NR 셀 또는 LTE 셀과의 DC(Dual Connectivity) 기반의 NR-U 셀이 고려되고 있기 때문에 비면허 대역 자체적으로 최소한의 QoS를 만족시키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에서 시스템 대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일 예에 따라, 비면허 대역에서 시스템 대역이 LBT 수행 단위인 20MHz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환경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5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100MHz의 대역이 가정될 수 있다. 다수의 서브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가 단말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무선 자원을 단말의 대역폭 파트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RB)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서브밴드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시간 영역에서 전송 시작 심볼 및 지속시간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0).
일 예에 따라, 단말은 할당된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용 환경 정보는 서브밴드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해당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가용 환경 정보는 대역 가용 환경 정보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서브밴드에 대한 LBT 1회 성공 대비 실패 횟수, LBT 1회 실패 대비 성공 횟수 또는 인덱스 형태 등으로 표시된 LBT 성공 비율 등의 값을 가용 환경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가용 환경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20).
단말은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가용 상황이 가장 양호한 서브밴드들에 대한 인덱스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서브밴드 그룹의 평균값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명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환경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CSI feedback)을 위한 UCI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LBT 수행 단위에 해당하는 서브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정보 피드백을 수행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인 PUCCH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존의 CSI와 마찬가지로 요청된 경우에 피드백할 수도 있고, 일정 주기에 따라 피드백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단말은 가용 환경 정보를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SRS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할당하면, 단말은 SRS를 보낼 때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할당된 자원에 대한 LBT 실패 시, 다음 SRS를 보낼 때 이전에 수행된 SRS 전송 시도 시 수행된 LBT의 실패 횟수가 반영된 형태로 변형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RS의 변형 방식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SRS의 변형 방식은 SRS 생성 파라미터의 변경, 심볼 페이즈 시프트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와 같은 상호 약속된 형태의 인터리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전송 시도 시 연속적으로 k번의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SRS를 k만큼 cyclic shift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RRC 메시지를 통해 명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에 기초하여 CBR(channel Busy Ratio)을 계산하고, 이를 CBR 리포팅 RRC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CBR 리포팅 RRC 메시지를 통해 해당 유저의 상향링크 서브밴드 별 채널 가용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빈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LBT 실패에 따른 전송 실패 이외에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이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다중 리소스 형태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무선 자원들은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대역에 나뉘어 할당되거나, 서로 다른 베이스 시퀀스, 다른 포맷이 사용된 메시지, 다른 스프레딩/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단말은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중 다른 자원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 중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대역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시간축에서 n개의 자원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실제 k번째 자원 영역에서 전송이 이루어졌다면, 기지국은 k-1회의 LBT 실패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LBT 성공률이 대략 1/k 가 됨을 알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필수 전송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송신과 관련하여 할당된 시점에 전송하지 못할 경우 대신 이용할 복수의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쁠 경우에 더 많은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검출에 실패할 경우 추가 검출을 시도할 후보 전송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동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기회를 시간 영역에서 부여받아, LBT 실패 발생시에도 추가 제어 피드백 없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하는 영역의 후보 개수가 많을수록 전송 성공률은 증가하지만 각 후보 전송 영역에 다른 용도의 자원 할당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수신된 서브밴드 별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서브밴드 별로 후보 전송 영역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특정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feedback 제어 메시지와 같이 상향링크 환경에서 할당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메시지들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대역 가용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중 대역에 의존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제어 메시지들의 경우, 가용 환경이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전송에 유리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제어 메시지들에 대한 복수의 전송 영역을 서브밴드 별로 미리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시점에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인덱스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점에 사용하여야 할 서브밴드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밴드의 변경을 위하여, 단말은 현재 사용중인 서브밴드의 상황이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되는 경우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된 채널 상황이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지시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는, 단말은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항상 시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CI에 해당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0).
기지국은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무선 자원을 단말의 대역폭 파트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RB)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서브밴드에 대한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시간 영역에서 전송 시작 심볼 및 지속시간에 대한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일 예에 따라, 단말은 할당된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용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서브밴드에 대한 LBT 1회 성공 대비 실패 횟수, LBT 1회 실패 대비 성공 횟수 또는 인덱스 형태 등으로 표시된 LBT 성공 비율 등의 값을 가용 환경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가용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환경 정보는 CSI feedback을 위한 UCI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LBT 수행 단위에 해당하는 서브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정보 피드백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인 PUCCH 채널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가용 환경 정보를 SRS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SRS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할당하면, 단말은 SRS를 보낼 때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할당된 자원에 대한 LBT 실패 시, 다음 SRS를 보낼 때 이전에 수행된 SRS 전송 시도 시 수행된 LBT의 실패 횟수가 반영된 형태로 변형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RS의 변형 방식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SRS의 변형 방식은 SRS 생성 파라미터의 변경, 심볼 페이즈 시프트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와 같은 상호 약속된 형태의 인터리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전송 시도 시 연속적으로 k번의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k만큼 cyclic shift된 SRS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빈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LBT 실패에 따른 전송 실패 이외에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이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다중 리소스 형태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무선 자원들은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대역에 나뉘어 할당되거나, 서로 다른 베이스 시퀀스, 다른 포맷이 사용된 메시지, 다른 스프레딩/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단말은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중 다른 자원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 중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대역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시간축에서 n개의 자원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실제 k번째 자원 영역에서 전송이 이루어졌다면, 기지국은 k-1회의 LBT 실패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LBT 성공률이 대략 1/k 가 됨을 알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필수 전송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송신과 관련하여 할당된 시점에 전송하지 못할 경우 대신 이용할 복수의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쁠 경우에 더 많은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메시지 검출에 실패할 경우 추가 검출을 시도할 후보 전송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동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기회를 시간 영역에서 부여받아, LBT 실패 발생시에도 추가 제어 피드백 없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하는 영역의 후보 개수가 많을수록 전송 성공률은 증가하지만 각 후보 전송 영역에 다른 용도의 자원 할당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수신된 서브밴드 별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서브밴드 별로 후보 전송 영역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특정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feedback 제어 메시지와 같이 상향링크 환경에서 할당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메시지들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대역 가용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중 대역에 의존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제어 메시지들의 경우, 가용 환경이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전송에 유리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제어 메시지들에 대한 복수의 전송 영역을 서브밴드 별로 미리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시점에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인덱스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점에 사용하여야 할 서브밴드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밴드의 변경을 위하여, 단말은 현재 사용중인 서브밴드의 상황이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되는 경우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된 채널 상황이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지시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는, 단말은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항상 시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CI에 해당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NR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비면허 대역에서 임의의 노드에서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드에 의해 해당 무선 채널이 점거(occupy)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NR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비면허 대역의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DSCH 전송을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해당 비면허 대역에 대한 LBT를 수행해야 한다. LBT를 수행한 결과, 해당 비면허 대역의 무선 채널이 비어있는 경우, 기지국은 PDCCH 및 그에 따른 PDSCH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에 비면허 대역에 대한 LBT 수행이 요구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를 수행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임의의 단말을 위한 PUCCH 전송 자원 할당 시, 또는 PUSCH 전송 자원 할당 시, 해당 PUCCH 또는 PUSCH 전송 시점에서, 해당 단말에서의 LBT 수행 여부를 기지국에서 지시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PUCCH를 통해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 또는 CQI/CSI 리포팅(reporting) 정보와 같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HARQ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인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은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HARQ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시간 자원의 경우, PDSCH 수신 슬롯과 그에 상응하는 HARQ 피드백 정보 전송 슬롯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이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CQI/CSI 리포팅(reporting)을 위한 PUCCH 자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RRC 시그널링 및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할당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LBT(DL LBT)가 성공되어, 이후의 시점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이 비면허 대역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 예에 따라, 하향링크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의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전송 및 그에 따른 HARQ 피드백을 위한 PUCCH, CQI/CSI 리포팅을 요구하는 DCI 및 그에 따른 리포팅을 위한PUCCH, 또는 PU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DCI 및 그에 따른 PUSCH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사이에는 타이밍 갭(timing gap)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송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또는 채널이 비면허 대역인 NR-U 셀에서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기본적으로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의 규제(regulation)에 따라 해당 PUCCH 전송을 위한 LBT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해당 LBT 결과에 따라 지시된 시점에서의 PUCCH 전송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LBT 결과 해당 무선 채널이 다른 노드에 의해 점거된 상태인 경우, 즉 LBT failure가 발생한 경우 해당 단말은 지시된 시점에서 PUCCH 전송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PUCCH 자원 할당 정보 및 PUCCH 전송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 전송 슬롯 또는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에 따른 PDSCH 전송 슬롯과 그에 따른 PUCCH 전송 슬롯이 해당 기지국의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내에 속할 경우, 해당 단말에서는 LBT 수행 없이 PUCCH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해당 비면허 대역에서 해당 단말에 대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이미 점유하고 있어, 다른 노드에 의해 점유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기지국의 COT와 상기 타이밍 갭 값의 설정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PUCCH를 통한 HARQ 피드백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PUCCH를 통한 CSI/CQI 리포팅(reporting)이 지시될 경우,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가 전송된 슬롯과 그에 따른 CQI/CSI 리포팅(reporting) 정보를 포함하는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슬롯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과 기지국의 COT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PUCCH를 통한 CSI/CQI 리포팅(reporting)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PUSCH 전송에 대해서도 PUCCH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와 그에 따른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슬롯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 값 역시,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를 통해 동적(dynam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PU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 전송 슬롯과 그에 따른 PUSCH 전송 슬롯이 해당 기지국의 COT(Channel Occupancy Time) 내에 속할 경우, 해당 단말에서는 LBT 수행 없이 PUSCH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에서 PUCCH 또는 PUSHC 전송 시 LBT를 수행하는 LBT 방식을 설정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LBT 방식은 LBT 수행 여부, 랜덤 백 오프(random back off) 수행 여부 및 랜덤 백 오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복수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LBT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하여 'LBT 방식'이라고 지칭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BT를 수행하는 방식은 LBT 카테고리 등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LBT 방식은 LBT를 수행하지 않는 제1 LBT 방식, LBT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는 수행하지 않는 제2 LBT 방식, LBT와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 시간 간격은 고정되는 제3 LBT 방식 및 LBT와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 시간 간격은 가변되는 제4 LBT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이 L1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을 통해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LBT 수행 여부를 직접적으로 지시해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SCH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해당 LBT 지시 정보(LBT indication information) 영역을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LBT 지시 정보는 1 비트(bit)의 지시(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 1)에 따라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LBT 방식과 나머지 LBT 방식들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해당 LBT 지시 정보는 2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0, 01, 10, 11)에 따라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하기 위한 LBT 방식을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LBT 방식 내지 제4 LBT 방식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은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기반한 단말의 PDSCH 수신에 따른 단말의 HARQ 피드백 정보 전송을 위한 PUCCH 전송일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의 또 다른 경우는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의해 CQI/CSI 리포팅(reporting)이 트리거링(triggering)될 경우, 그에 따른 CQI/CSI 리포팅(reporting)을 위한 PUCCH 전송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PUSCH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해당 LBT 지시 정보(LBT indication information) 영역을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LBT 지시 정보는 1 비트(bit)의 지시(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 1)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방식과 나머지 방식들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해당 LBT 지시 정보는 2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0, 01, 10, 11)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하기 위한 LBT 방식을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방식 내지 제4 방식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은 단말의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이거나, 단말의 UCI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일 수 있다.
단말에서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한 LBT 수행 여부 또는 LBT 방식을 정의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LBT 수행 여부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상향 링크 전송이 지시된 하향 링크 전송과 그에 따른 상향 링크 전송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에 의해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타이밍 갭(timing gap) 값이 각각 임의의 임계값(threshold)보다 작을 경우,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지시된 PUCCH 또는 PUSCH 전송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갭(timing gap) 값이 해당 임계값(threshold)보다 클 경우, 단말에서 LBT 수행 후, 그에 따라 해당 PUCCH 또는 PUSCH 전송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해당 임계값(threshold)은 해당 NR-U에서의 COT값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그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되거나, 또는 COT과 관계없이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임계값(threshold)은 각각의 상향 링크 전송 케이스(case)별로 단일한 임계값(threshold)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임계값(threshold)으로 정의되어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수행될 LBT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LBT 방식에 따라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3GPP NR 시스템에서 채널 가용 상황이 송수신자의 의사와 독립적인 경우의 전송 메커니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전송공간으로 공용 채널을 사용하는 비면허 대역(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환경에서 채널 가용 상황에 따른 전송 메커니즘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3GPP LTE에서는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제어 채널을 통신 관리자가 독점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대역인 면허 대역을 통해 운용하고, 데이터 채널은 임의의 사용자가 점유/사용할 수 있는 대역인 비면허 대역을 통해 운용할 수 있는 LAA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NR에서도 비면허 대역에서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NR-U 시스템을 새로운 특징(feature)으로 도입하기 위한 스터디가 진행되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비면허 대역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LBT(Listen-Before-Talk)라는 과정을 통해 송신을 수행할 채널 대역을 점유하고 있는 다른 장치가 있는지를 조사한 후, 해당 대역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즉, 해당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가 없는 경우에만 통신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모든 주파수 성분에 대해 LBT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0MHz의 단위로 해당 대역에서의 점유 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대역에서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NR에서는 기본적으로 LBT 단위인 20MHz보다 더 큰 대역을 사용/전송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NR-U에서도 20MHz 이상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 경우 20MHz단위로 구분되는 복수의 LBT구간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LBT구간 각각을 하나의 대역 내의 부대역 또는 서브밴드(subband)로 구분하고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해당 대역의 점유 현황은 무선 신호가 도달하는 범위에 있는 다른 통신 장비의 유무 및 해당 장비들의 활성화 여부에 의해 달라진다. 많은 장비가 활성화된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경우 필연적으로 해당 대역에서의 통신 자원 확보가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서브밴드를 가용 통신 영역으로 확보하는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많은 장비가 활성화된 대역을 피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서브밴드를 가용 통신 영역으로 확보하는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대역의 LBT 실패 확률을 추산하여 가장 실패 확률이 낮은 서브밴드에 우선적으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향링크 환경에서는 스스로 자원 영역을 할당하기 때문에 직접 판단하여 LBT 실패가 빈번한 대역을 스케쥴링에서 후순위로 둘 수 있다. 그러나 상향링크 환경에서는 송신단 측에서 LBT 실패가 빈번한 대역을 수신단이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신단인 기지국 측에서 할당해 준 자원이 LBT 실패가 빈번한 대역일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半)-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이나 페이징과 같이 자원 할당 시점과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는 NR-U 환경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걸쳐서 전송이 이루어지고, 각각의 서브밴드의 LBT 성공/실패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위한 채널 점유 현황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과 해당 정보를 토대로 주기적 자원 할당과 페이징 운용 등에서의 대역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대역 가용 환경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제공된 대역 가용 환경별로 제어 메시지를 운용하는 방법, 그리고 제공된 대역 가용 환경별로 자원을 재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추후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사용된 용어에 의하여 기술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서브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스템 대역이 LBT 수행 단위인 다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환경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5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100MHz의 대역이 가정될 수 있다. 해당 대역은 1에서 c까지의 번호로 표현된 c개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으로 구성되고, a에서 b까지의 대역이 단말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각각의 서브밴드를 나누는 구획이 존재하는 RB의 번호를 아래에서부터 각각 s, t, u, v로 가정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1 < s ≤ a < t < u < b ≤ v < c의 관계가 성립된다고 가정한다. 도 13에서는 s와 a, b와 v 각각의 값이 모두 다른 케이스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와 a, b와 v 각각의 값은 등호 관계일 수도 있다.
도 13에서는 OFDM 심볼 단위 개수가 7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각 서브밴드를 구성하는 RB 수나 슬롯 길이 등의 값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시된 시스템 대역, 서브밴드의 구성이나 단말의 BWP의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대역의 RB 수나 서브밴드의 수와 구성 RB의 수 또는 단말의 BWP 등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각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대역 가용 환경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UE)은 자신에게 할당된, 또는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밴드의 LBT 수행을 통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역 가용 환경 정보의 전달 방법을 크게 물리 계층과 상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를 명시적 및 암시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해당 방법들은 상호 독립적이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대역 가용 환경 정보 값으로써 전달되는 정보는 특정 서브밴드의 LBT 1회 성공 대비 실패 개수, LBT 1회 실패 대비 성공 개수 또는 인덱스 형태 등으로 표시된 LBT 성공 비율 등의 값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태 정보가 독립적으로 전송되거나,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상태 정보가 조합된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시도에 따른 채널 가용 상황이 가장 양호한 서브밴드들의 인덱스를 전달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현재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서브밴드 그룹의 평균값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물리 계층을 통하여 명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리 계층을 통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CSI feedback)을 위한 UCI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LBT 수행 단위 서브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CSI feedback과 유사한 형태의 채널 정보 피드백을 수행하여 이를 독립적인 PUCCH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CSI와 마찬가지로 요청 시에 피드백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피드백할 수도 있다.
RS를 통한 전송은 일반적으로 주기적, 또는 필요 시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SRS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은 단말(UE)이 SRS를 전송할 물리 자원 위치를 할당하면, 단말은 SRS를 보낼 때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LBT 실패 시에는 해당 자원에 SRS를 전송하지 않아야 하며, 이 경우 단말이 다음 SRS를 보낼 때 이전에 SRS 전송 시도 시 LBT 실패한 횟수가 반영된 형태로 변형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RS의 변형은 기지국이 과거 SRS 검출 이력 등을 통해 충분히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SRS 생성 파라미터의 변경, 심볼 페이즈 시프트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와 같은 상호 약속된 형태의 인터리빙일 수 있다. 일 예로, 이전 SRS 전송 시도시에 k번 만큼 연속적으로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SRS를 k만큼 cyclic shift 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물리 계층을 통하여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는 기지국이 요청한 시점에 해당 자원에서 실제 전송이 어느 정도 빈도로 이루어지는지로 사실상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확률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실제 특정 위치에서의 전송 신호 수신 실패가 LBT 실패로 인해 전송을 하지 않은 경우에 의해 발생한 것임을 별도의 방법으로 알 필요가 있다. 특히, SRS나 PUCCH, PRACH 등에서 LBT 실패를 고려하여 미리 멀티플 리소스 형태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을 복수 개로 할당하고 LBT 실패 정도에 따라 다른 자원을 선택하여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후 실제로 기지국이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 신호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별함으로써 해당 대역 상향링크 채널의 LBT 실패율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자원들은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대역에 나뉘어 할당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베이스 시퀀스, 다른 포맷이 사용된 메시지, 다른 스프레딩/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전송을 위해 미리 시간축에서 n개의 자원 영역을 확보한 뒤 실제 k번째 자원에서 전송이 이루어졌다면, 기지국은 1회 전송 이전에 k-1회의 LBT 실패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LBT 성공률이 대략 1/k 가 됨을 알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상위 계층을 통하여 명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대역 가용 환경이 시간에 따라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상위 계층을 통한 정보 전달로도 성능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에 대하여 설정된 BWP 내에 있는 각 서브밴드들의 가용 환경 정보가 RRC로 기지국에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설정 가능한 모든 서브밴드들의 가용 환경 정보가 RRC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달은 그 범위와 함께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기지국의 요청으로, 또는 단말이 스스로 필요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X 등에서 사용되던 CR (Channel Occupancy Ratio) 및 CBR(Channel Busy Ratio) 등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 때 각각의 메트릭은 기지국이 사전에 지시한 현재 가용 서브밴드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서브밴드 개수가 5개라면 단말은 5개의 CR 또는 CBR 값을 각각의 서브밴드의 상황에 따라 결정하고, 해당 값을 CR/CBR 리포팅 형태로 RRC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대역 가용 환경 정보는 상위 계층을 통하여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전송 영역 중 특정 서브밴드의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쁘다고 판단될 경우, 할당된 BWP에 대한 변경, 또는 할당된 복수의 BWP 중 특정 다른 BWP로 Active BWP 스위칭을 요구할 수 있다. 변경 요구 메시지에는 기피하는 서브밴드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현재 BWP 자체가 최대한 포함되지 않는 BWP 할당을 요구할 수도 있다. 해당 요청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이 기피하는, 즉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쁜 서브밴드를 암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공된 대역 가용 환경별로 제어 메시지를 운용하는 방법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은 대역 가용 환경에 기초하여,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운용할 수 있다. 특히 필수 전송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이 선택할 수 있는 자원 할당 방법을 대역 가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정의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하향링크에서 제어 메시지 운용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는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각각의 대역 가용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하향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송신 시에 관련 정보를 조합하여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이, 사전 약속된 위치의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해당 시점에 전송하지 못할 경우 대신 전송하여야 할 후보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쁠 경우 더 많은 후보 영역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는 단말에게 해당 영역에서 제어 메시지 검출에 실패할 경우, 시도하여야 할 추가 영역의 수 등의 정보를 해당 정보를 토대로 결정하고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탐색 복잡도를 높이는 대신 필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상향링크에서의 제어 메시지 운용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LBT 실패를 고려하여 동일 정보를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영역의 후보를 시간 관점에서 복수 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시간 영역에서 여러 번 부여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LBT 실패 발생시에도 추가 제어 피드백 없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하는 영역의 후보 개수가 많을수록 전송 성공률은 증가하지만 각 후보 영역에 다른 용도의 자원 할당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기지국은 단말이 사전 제공한 서브밴드 별 대역 가용 환경 정보를 토대로 각 서브밴드 별로 후보 개수를 조절하여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평균적으로 두 번 중 한 번만 LBT가 성공하는 서브밴드에서는 두 번, 네 번 중 한 번만 LBT가 성공하는 서브밴드에서는 네 번 반복하여 전송 영역을 할당하여 다중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기회 부여 횟수는 기지국이 자원 할당 시에 지시해줄 수도 있으나, 상향링크에서 전송한 값에 의존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특정 서브밴드에서 평균 1회 LBT 성공 대비 LBT 전송 실패 횟수가 k번이고, 해당 값 k가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공유되었을 경우, 기지국에서는 k에 의존적으로 결정되는 f(k) 개 만큼의 후보 영역을 자동적으로 추가 지시 없이 확보하여 할당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공된 대역 가용 환경별로 자원을 재설정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환경에서 할당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메시지들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대역 가용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CSI feedback 제어 메시지나 SRS, 그리고 Semi-persistent 스케쥴링에 의해 정의된 자원 영역, 그리고 Configured grant 영역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중 SRS와 같이 측정 대역의 채널 환경을 위한 RS를 제외한 나머지는 대역에 의존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역 가용 환경이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 예에 따라, 복수 개 서브밴드 중복 자원 할당 후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만을 지시하는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CSI feedback, Semi-persistent scheduling 및 Configured grant용으로 할당된 전송 영역을 서브밴드 별로 복수 개 사전 할당한 후, 특정 시점에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를 인덱스 등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점에 사용하여야 할 서브밴드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사용중인 서브밴드의 상황이 임계값 이상으로 안 좋아질 때 변경 제어 메시지를 검출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임계값 이상의 채널 상황이 수신된 경우에만 지시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는, 변경 제어 메시지를 검출은 항상 시도되거나,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CI에 해당 메시지가 포함되게 설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기본적으로 NR-U 전송을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외부 요인에 의해 채널 사용 가능 여부가 적용되는 모든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각 실시예의 하위 방법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임의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NR-U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일부 채널을 간헐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채널 환경에서 대역 가용 환경에 따른 유연한 할당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라 자원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보조 정보를 기지국이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제어 메시지 및 전송 블록 자원 할당을 채널 환경에 맞추어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과 기지국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5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500)은 제어부(1510), 송신부(1520) 및 수신부(1530)를 포함한다.
제어부(151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5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 등을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수신부(15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 등을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수신부(1530)는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무선 자원을 단말의 대역폭 파트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다. 수신부(1530)는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RB)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서브밴드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530)는 시간 영역에서 전송 시작 심볼 및 지속시간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
제어부(1510)는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510)는 할당된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10)는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서브밴드에 대한 LBT 1회 성공 대비 실패 횟수, LBT 1회 실패 대비 성공 횟수 또는 인덱스 형태 등으로 표시된 LBT 성공 비율 등의 값을 가용 환경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송신부(1520)는 획득된 가용 환경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520)는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신부(1520)는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가용 상황이 가장 양호한 서브밴드들에 대한 인덱스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내의 모든 서브밴드 또는 서브밴드 그룹의 평균값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송신부(1520)는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명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환경 정보는 CSI feedback을 위한 UCI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송신부(1520)는 LBT 수행 단위에 해당하는 서브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정보 피드백을 수행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인 PUCCH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존의 CSI와 마찬가지로 요청된 경우에 피드백할 수도 있고, 일정 주기에 따라 피드백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송신부(1520)는 가용 환경 정보를 SRS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SRS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할당하면, 제어부(1510)는 SRS를 보낼 때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송신부(1520)는 할당된 자원에 대한 LBT 실패 시, 다음 SRS를 보낼 때 이전에 수행된 SRS 전송 시도 시 수행된 LBT의 실패 횟수가 반영된 형태로 변형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RS의 변형 방식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SRS의 변형 방식은 SRS 생성 파라미터의 변경, 심볼 페이즈 시프트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와 같은 상호 약속된 형태의 인터리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전송 시도 시 연속적으로 k번의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송신부(1520)는 SRS를 k만큼 cyclic shift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빈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LBT 실패에 따른 전송 실패 이외에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이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다중 리소스 형태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무선 자원들은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대역에 나뉘어 할당되거나, 서로 다른 베이스 시퀀스, 다른 포맷이 사용된 메시지, 다른 스프레딩/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송신부(1520)는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중 다른 자원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 중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대역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시간축에서 n개의 자원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실제 k번째 자원 영역에서 전송이 이루어졌다면, 기지국은 k-1회의 LBT 실패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LBT 성공률이 대략 1/k 가 됨을 알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수신부(1530)는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필수 전송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송신과 관련하여 할당된 시점에 전송하지 못할 경우 대신 이용할 복수의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쁠 경우에 더 많은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1530)는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검출에 실패할 경우 추가 검출을 시도할 후보 전송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동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기회를 시간 영역에서 부여받아, LBT 실패 발생시에도 추가 제어 피드백 없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하는 영역의 후보 개수가 많을수록 전송 성공률은 증가하지만 각 후보 전송 영역에 다른 용도의 자원 할당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수신된 서브밴드 별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서브밴드 별로 후보 전송 영역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특정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수신부(1530)는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feedback 제어 메시지와 같이 상향링크 환경에서 할당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메시지들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대역 가용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중 대역에 의존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제어 메시지들의 경우, 가용 환경이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전송에 유리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제어 메시지들에 대한 복수의 전송 영역을 서브밴드 별로 미리 할당할 수 있다. 수신부(1530)는 특정 시점에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인덱스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점에 사용하여야 할 서브밴드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밴드의 변경을 위하여, 제어부(1510)는 현재 사용중인 서브밴드의 상황이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되는 경우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된 채널 상황이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지시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는, 제어부(1510)는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항상 시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CI에 해당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6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600)은 제어부(1610), 송신부(1620) 및 수신부(1630)를 포함한다.
제어부(161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620)와 수신부(163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송신부(1620)는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10)는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무선 자원을 단말의 대역폭 파트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블록(RB)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서브밴드에 대한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신부(1620)는 시간 영역에서 전송 시작 심볼 및 지속시간에 대한 할당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할당된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용 환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특정 서브밴드에 대한 LBT 1회 성공 대비 실패 횟수, LBT 1회 실패 대비 성공 횟수 또는 인덱스 형태 등으로 표시된 LBT 성공 비율 등의 값을 가용 환경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수신부(1630)는 가용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환경 정보는 CSI feedback을 위한 UCI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630)는 LBT 수행 단위에 해당하는 서브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채널 정보 피드백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를 독립적인 PUCCH 채널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수신부(1630)는 가용 환경 정보를 SRS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SRS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할당하면, 단말은 SRS를 보낼 때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할당된 자원에 대한 LBT 실패 시, 다음 SRS를 보낼 때 이전에 수행된 SRS 전송 시도 시 수행된 LBT의 실패 횟수가 반영된 형태로 변형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SRS의 변형 방식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SRS의 변형 방식은 SRS 생성 파라미터의 변경, 심볼 페이즈 시프트 또는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와 같은 상호 약속된 형태의 인터리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전송 시도 시 연속적으로 k번의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수신부(1630)는 k만큼 cyclic shift된 SRS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RRC 메시지를 통해 명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에 기초하여 CBR(channel Busy Ratio)을 계산하고, 이를 CBR 리포팅 RRC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10)는 CBR 리포팅 RRC 메시지를 통해 해당 유저의 상향링크 서브밴드 별 채널 가용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라, 가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암시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향링크 BWP내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실패 빈도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빈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10)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전송을 카운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LBT 실패에 따른 전송 실패 이외에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이 반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채널 오류로 인한 전송 실패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다중 리소스 형태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무선 자원들은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대역에 나뉘어 할당되거나, 서로 다른 베이스 시퀀스, 다른 포맷이 사용된 메시지, 다른 스프레딩/스크램블링 코드가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단말은 LBT 실패가 발생한 경우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중 다른 자원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10)는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 영역 중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10)는 해당 대역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가용 환경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시간축에서 n개의 자원 영역이 할당된 상태에서, 실제 k번째 자원 영역에서 전송이 이루어졌다면, 제어부(1610)는 k-1회의 LBT 실패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LBT 성공률이 대략 1/k 가 됨을 알 수 있다.
제어부(1610)는 수신된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필수 전송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제어부(1610)는 하향링크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제어 메시지의 송신과 관련하여 할당된 시점에 전송하지 못할 경우 대신 이용할 복수의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10)는 대역 가용 환경이 나쁠 경우에 더 많은 후보 전송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메시지 검출에 실패할 경우 추가 검출을 시도할 후보 전송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수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10)는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향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동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복수의 기회를 시간 영역에서 부여받아, LBT 실패 발생시에도 추가 제어 피드백 없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하는 영역의 후보 개수가 많을수록 전송 성공률은 증가하지만 각 후보 전송 영역에 다른 용도의 자원 할당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자원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610)는 수신된 서브밴드 별 대역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서브밴드 별로 후보 전송 영역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610)는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특정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feedback 제어 메시지와 같이 상향링크 환경에서 할당 시점과 실제 사용 시점의 차이가 큰 메시지들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인 대역 가용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중 대역에 의존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제어 메시지들의 경우, 가용 환경이 좋은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전송에 유리하다.
따라서, 제어부(1610)는 해당 제어 메시지들에 대한 복수의 전송 영역을 서브밴드 별로 미리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시점에 실제 사용해야 할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인덱스 등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해당 시점에 사용하여야 할 서브밴드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밴드의 변경을 위하여, 단말은 현재 사용중인 서브밴드의 상황이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되는 경우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부(1620)는 임계값 이상으로 악화된 채널 상황이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지시를 전송하여야 한다. 또는, 단말은 변경 제어 메시지의 검출을 항상 시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CI에 해당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성공 확률이 독립적이고 가변적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대역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들 중 본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 구성, 부분들은 전술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위에서 개시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장치(예: 시스템,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위치하거나 둘 이상의 장치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BT의 방식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과 상기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갭(timing gap)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상기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BT의 방식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과 상기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갭(timing gap)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상기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LBT의 방식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과 상기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갭(timing gap)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상기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16.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시스템 대역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수행에 기초한 가용 환경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LBT의 방식은,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의 전송과 상기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에 의해 지시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갭(timing gap)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환경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한 상기 LBT의 성공 횟수 및 실패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에 할당된, 복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가용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자원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중 선택된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KR1020190108134A 2018-09-07 2019-09-02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58628.8A CN112655263A (zh) 2018-09-07 2019-09-04 在非许可频带中进行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EP19857234.9A EP3849261B1 (en) 2018-09-07 2019-09-04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US17/274,321 US20210352724A1 (en) 2018-09-07 2019-09-04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PCT/KR2019/011417 WO2020050630A1 (ko) 2018-09-07 2019-09-04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7105 2018-09-07
KR1020180107105 2018-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56A KR20200029356A (ko) 2020-03-18
KR102385929B1 true KR102385929B1 (ko) 2022-04-14

Family

ID=6999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34A KR102385929B1 (ko) 2018-09-07 2019-09-02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52724A1 (ko)
EP (1) EP3849261B1 (ko)
KR (1) KR102385929B1 (ko)
CN (1) CN1126552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6460A1 (en) * 2019-03-22 2022-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on unlicensed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53386B2 (en) * 2019-09-10 2023-05-16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listen-before-talk configur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s
WO2022020172A1 (en) * 2020-07-20 2022-01-27 Qualcomm Incorporated Subchannel-based listen before talk for unlicensed channel acc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27936A1 (en) 2017-02-06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1375A1 (en) * 2014-11-17 2016-05-26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lbt) design for uplink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US11323998B2 (en) * 2014-12-03 2022-05-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idden node detection in LTE licensed assisted access
KR101882279B1 (ko) * 2014-12-23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향상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3438742A (zh) * 2014-12-25 2021-09-24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终端、无线电站和由其执行的方法
US9930654B2 (en) * 2015-03-17 2018-03-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 equipment uplink transmissions on an unlicensed carrier
EP3282803A4 (en) * 2015-04-09 2018-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cca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16163709A1 (ko) * 2015-04-09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US10383103B2 (en) * 2015-04-09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cellular network us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therefor
JP6608051B2 (ja) * 2015-07-10 2019-11-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非免許帯域及びキャリア結合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バースト送信方法及び装置
CN106470502B (zh) * 2015-08-20 2019-09-1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lte非授权频段的资源调度、使用方法及装置
US10624112B2 (en) * 2015-09-23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and listen-before-schedule based resource allocation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KR20180022221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비면허대역에서 다중 캐리어 채널엑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49782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5G New Radio 초광대역 지원 방법 및 장치
US10863543B2 (en) * 2017-12-01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Subband based uplink access for NR-SS
US11140708B2 (en) * 2018-07-30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based equipment operation of NR unlicensed
US11848718B2 (en) * 2018-08-07 2023-12-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27936A1 (en) 2017-02-06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3682*
3GPP TSG-RAN WG1 Meeting #92bis, R1-1803678, 2018.04.06.
3GPP TSG-RAN WG1 Meeting #92bis, R1-1803682, 2018.04.06.
3GPP TSG-RAN WG1 Meeting #94, R1-1808320, 2018.08.11.
3GPP TSG-RAN WG1 Meeting #94, R1-1808798, 2018.08.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9261B1 (en) 2024-01-24
CN112655263A (zh) 2021-04-13
US20210352724A1 (en) 2021-11-11
KR20200029356A (ko) 2020-03-18
EP3849261A1 (en) 2021-07-14
EP3849261C0 (en) 2024-01-24
EP3849261A4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KR102326031B1 (ko) 비면허 대역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08453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82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in unlicensed band
KR102332313B1 (ko)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98009B1 (ko)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235496A1 (en) Frequency hopping method and device in unlicensed band
KR102385929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674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unlicensed band
KR20220084248A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0185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3457A (ko)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87084A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4660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5456A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3030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4813A (ko)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30913A (ko) 측위 참조신호 전송의 오버헤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13609A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65859A (ko) 주파수 자원 영역 기반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27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60482A (ko) 상향링크 송수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