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453B1 -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453B1
KR102408453B1 KR1020190096457A KR20190096457A KR102408453B1 KR 102408453 B1 KR102408453 B1 KR 102408453B1 KR 1020190096457 A KR1020190096457 A KR 1020190096457A KR 20190096457 A KR20190096457 A KR 20190096457A KR 102408453 B1 KR102408453 B1 KR 10240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terminal
subbands
lbt
unlicens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310A (ko
Inventor
박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7/051,61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45542B2/en
Priority to EP19847867.9A priority patent/EP3836708A4/en
Priority to CN201980029295.6A priority patent/CN112088561A/zh
Priority to PCT/KR2019/010061 priority patent/WO2020032675A1/ko
Publication of KR2020001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310A/ko
Priority to KR1020220069656A priority patent/KR2022008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일 실시예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UNLICENSED BAND}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 무선 액세스 망(이하, "NR[New Radio]"라 함)에서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제안한다.
3GPP는 최근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기술(다시 말하면, 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채널 코딩 및 변조(channel coding & modulation),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설계가 진행 중이다. NR은 LTE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QoS 요구(QoS 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정의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은 데이터 속도(data rates), 지연속도(latency), 신뢰도(reliabilit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별 요구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y)(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서브프레임(subframe),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의 일환으로, NR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해 상기 기지국의 서브밴드 별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해 기지국의 서브밴드 별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송신부는,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복수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SCS 에서 심볼 레벨 얼라인먼트(symbol level alignment among different SCS)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에 대한 개념적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를 수행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구성된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에 대한 서브밴드(sub-band)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하며, 단말과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기술은 특정 접속 기술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3GPP, 3GPP2, WiFi, Bluetooth, IEEE, ITU 등 다양한 통신 협의기구에서 제정하는 각 세대별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현재 개시되거나 상용화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고,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NR,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말은 사용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휴대 기기가 될 수도 있고, V2X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차량 내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형태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스템의 경우에 기계 형태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모듈을 탑재한 MTC 단말, M2M 단말, URLLC 단말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지국 또는 셀은 네트워크 측면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종단을 지칭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셀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은 단말의 Activation BWP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하나 이상의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 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3GPP LTE/LTE-A/NR(New RAT) 통신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기술적 특징이 해당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GPP에서는 4G(4th-Generation)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 이후에 ITU-R의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한 5G(5th-Generation)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3GPP는 5G 통신 기술로 LTE-Advanced 기술을 ITU-R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향상시킨 LTE-A pro와 4G 통신 기술과는 별개의 새로운 NR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LTE-A pro와 NR은 모두 5G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특정 통신 기술을 특정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NR을 중심으로 5G 통신 기술을 설명한다.
NR에서의 운영 시나리오는 기존 4G LTE의 시나리오에서 위성, 자동차, 그리고 새로운 버티컬 등에 대한 고려를 추가하여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를 정의하였으며, 서비스 측면에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높은 단말 밀도를 가지되 넓은 범위에 전개되어 낮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비동기식 접속이 요구되는 mMTC(Massive Machine Communication) 시나리오, 높은 응답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고속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URLLC(Ultra Reliability and Low Latency)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만족하기 위해서 NR은 새로운 waveform 및 프레임 구조 기술, 낮은 지연속도(Low latency) 기술, 초고주파 대역(mmWave) 지원 기술,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le) 제공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NR 시스템에서는 순방향(Forard)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연성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NR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R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R 시스템은 5GC(5G Core Network)와 NR-RAN파트로 구분되며, NG-RAN은 사용자 평면(SDAP/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와 ng-eNB들로 구성된다. gNB 상호 또는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와 ng-eNB는 각각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 연결된다. 5GC는 단말 접속 및 이동성 제어 기능 등의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사용자 데이터에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UPF (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R에서는 6GHz 이하 주파수 대역(FR1, Frequency Range 1)과 6GHz 이상 주파수 대역(FR2, Frequency Range 2)에 대한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gNB는 단말로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하고, ng-eNB는 단말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기지국은 gNB 및 ng-eNB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gNB 또는 ng-eNB를 구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NR 웨이브 폼, 뉴머롤러지 및 프레임 구조>
NR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CP-OFDM 웨이브 폼을 사용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한다. OFDM 기술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결합이 용이하며, 높은 주파수 효율과 함께 저 복잡도의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NR에서는 전술한 3가지 시나리오별로 데이터 속도, 지연속도, 커버리지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별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NR 전송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아래 표 1과 같이 15 kHz를 기준으로 μ 값이 2의 지수 값으로 사용되어 지수적으로 변경된다.
μ 서브캐리어 간격 Cyclic prefix Supported for data Supported for synch
0 15 Normal Yes Yes
1 30 Normal Yes Yes
2 60 Normal, Extended Yes No
3 120 Normal Yes Yes
4 240 Normal No Yes
위 표 1과 같이 NR의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4G 통신 기술 중 하나인 LTE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 kHz로 고정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60, 120 kHz 이고,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12, 240 kHz 이다. 또한, 확장 CP는 60 kHz 서브캐리어 간격에만 적용된다. 한편, NR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는 1ms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는 10ms의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frame)이 정의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5ms의 하프 프레임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symbol)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노멀 CP의 경우에 고정적으로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슬롯의 시간 도메인에서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ms 길이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30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0.5ms의 길이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두 개의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과 프레임은 고정된 시간 길이를 가지고 정의되며, 슬롯은 심볼의 개수로 정의되어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NR은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를 슬롯으로 정의하고, 무선 구간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 또는 non-slot based schedule)도 도입하였다. 넓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면 하나의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은 URLLC 시나리오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것으로 2, 4, 7개 심볼 단위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또한, NR은 LTE와 달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하나의 슬롯 내에서 심볼 레벨로 정의하였다. HARQ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전송 슬롯 내에서 바로 HARQ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는 슬롯 구조가 정의되었으며, 이러한 슬롯 구조를 자기 포함(self-contained) 구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총 256개의 슬롯 포맷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중 62개의 슬롯 포맷이 3GPP Rel-15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슬롯의 조합을 통해서 FDD 또는 TDD 프레임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슬롯의 심볼이 모두 하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와 심볼이 모두 상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 및 하향링크 심볼과 상향링크 심볼이 결합된 슬롯 구조를 지원한다. 또한, NR은 데이터 전송이 하나 이상의 슬롯에 분산되어 스케줄링됨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SFI, Slot Format Indicator)를 이용하여 단말에 슬롯이 하향링크 슬롯인지, 상향링크 슬롯인지 또는 플렉시블 슬롯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구성된 테이블의 인덱스를 SFI를 이용하여 지시함으로써 슬롯 포맷을 지시할 수 있으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동적으로 지시하거나 RRC를 통해서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NR 물리 자원 >
NR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등이 고려된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또는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및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는 NR이 동일 캐리어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를 지원하기 때문에 각 뉴머롤러지에 따라 자원 그리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원 그리드는 안테나 포트, 서브캐리어 간격, 전송 방향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만 정의된다. 또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1개의 OFDM 심볼과 1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자원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NR에서는 자원 블록 그리드를 위한 공통 참조점 역할을 수행하는 "Point A"와 공통 자원 블록, 가상 자원 블록 등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는 캐리어 대역폭이 20Mhz로 고정된 LTE와 달리 서브캐리어 간격별로 최대 캐리어 대역폭이 50Mhz에서 400Mhz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단말이 이러한 캐리어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NR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대역폭 파트(BWP)를 지정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파트는 하나의 뉴머롤러지와 연계되며 연속적인 공통 자원 블록의 서브 셋으로 구성되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에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고, 주어진 시간에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의 경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가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의 경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동작 간에 불필요한 주파수 리튜닝(re-tunn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파트가 중심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어 설정된다.
<NR 초기 접속>
NR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셀 검색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셀 검색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셀에 동기를 맞추고, 물리계층 셀 ID를 획득하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SB는 각각 1개 심볼 및 127개 서브 캐리어를 점유하는 PSS(primary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3개의 OFDM 심볼 및 240 개의 서브캐리어에 걸쳐있는 PBCH로 구성된다.
단말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SB를 모니터링하여 SSB를 수신한다.
SSB는 5ms 동안 최대 64번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SSB는 5ms 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전송 빔으로 전송되며, 단말은 전송에 사용되는 특정 하나의 빔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20ms의 주기마다 SSB가 전송된다고 가정하고 검출을 수행한다. 5ms 시간 내에서 SSB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빔의 개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Hz 이하에서는 최대 4개의 SSB 빔 전송이 가능하며, 3~6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8개,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64개의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하여 SSB를 전송할 수 있다.
SSB는 하나의 슬롯에 두 개가 포함되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슬롯 내에서의 시작 심볼과 반복 횟수가 결정된다.
한편, SSB는 종래 LTE의 SS와 달리 캐리어 대역폭의 센터 주파수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즉, SSB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이 아닌 곳에서도 전송될 수 있고, 광대역 운영을 지원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복수의 SSB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SSB를 모니터링하는 후보 주파수 위치인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를 이용하여 SSB를 모니터링한다. 초기 접속을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 정보인 캐리어래스터(carrier raster)와 동기 래스터는 NR에서 새롭게 정의되었으며, 동기 래스터는 캐리어래스터에 비해서, 주파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어서, 단말의 빠른 SSB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은 SSB의 PBCH를 통해서 MIB를 획득할 수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이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나머지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PBCH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첫 번째 DM-RS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정보, SIB1을 단말이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SIB1 뉴머롤러지 정보, SIB1 CORESET에 관련된 정보, 검색 공간 정보, PDCCH 관련 파라미터 정보 등), 공통 자원 블록과 SSB 사이의 오프셋 정보(캐리어 내에서의 절대 SSB의 위치는 SIB1을 통해서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IB1 뉴머롤러지 정보는 단말이 셀 검색 절차를 완료한 이후에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일부 메시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메시지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에 SIB1의 뉴머롤러지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RMSI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의미할 수 있으며, SIB1은 셀에서 주기적으로(ex, 160ms) 브로드캐스팅 된다. SIB1은 단말이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PDSCH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단말이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PBCH를 통해서 SIB1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 정보, SIB1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CORESET 내에서 SI-RNTI를 이용하여 SIB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SIB1을 PDSCH 상에서 획득한다. SIB1을 제외한 나머지 SIB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검색이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PRACH를 통해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정 슬롯에서 연속된 무선 자원으로 구성되는 PRACH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셀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에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되며, 빔 실패 복구(BFR, Beam Failure Recovery)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된다.
단말은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임시 C-RNTI(Temporary Cell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TAC(Time Alignment Command) 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포함된 UL Grant, 임시 C-RNTI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기지국이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식별자일 수 있다. TAC는 단말이 상향링크 동기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PDCCH상의 랜덤 액세스 식별자, 즉 RA-RNTI(Random Access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지시될 수 있다.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으로 스케줄링된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경쟁 해소를 위한 하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NR CORESET>
NR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1~3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에서 전송되며, 상/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SFI(Slot format Index),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시스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CORESET 개념을 도입하였다.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은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단말은 CORESET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을 사용하여 제어 채널 후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CORESET 별 QCL(Quasi CoLocation)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종래 QCL에 의해서 가정되는 특성인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쉬프트, 평균 지연 외에 아날로그 빔 방향에 대한 특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ORESET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상에서 CORESET은 최대 3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ORESET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캐리어 대역폭까지 6개의 자원 블록의 배수로 정의된다.
첫 번째 CORESET은 네트워크로부터 추가 구성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초기 대역폭 파트 구성의 일부로 MIB를 통해서 지시된다. 기지국과의 연결 설정 후에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CORESET 정보를 수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록,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또는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일정 주파수 구간으로 구성되는 대역폭을 대역폭 파트 또는 밴드위스 파트 또는 BWP로 기재하여 설명하며, 그 용어에 제한은 없다. 또한, 대역폭 파트 내에서 일정 주파수 구간으로 구성되는 대역폭을 서브밴드로 기재하여 설명하나, 해당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에서의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서브밴드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의미하는 임의의 용어로 해당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의미를 지시할 수 있는 다양한 용어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LBT 구성정보도 단말이 LBT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일한 의미를 지시하는 용어라면 그 제한이 없으며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비면허 대역에서의 각 무선통신 기술 간의 공존을 위한 기술로 LBT(Listen Before Talk)를 예로 설명하나, 다양한 공존 기술의 경우에도 본 개시는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인 5G 또는 NR 기술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4G, Wifi 등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NR(New Radio)
최근 3GPP에서 진행된 NR은 LTE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QoS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졌다. 특히 NR의 대표적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으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정의되었으며,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대비 플렉서블(flexible)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은 데이터 속도(data rates), 지연속도(latency), 신뢰도(reliabilit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서비스 요건(usage scenario) 별 요구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러지(numerology)(예를 들어,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등)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NR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s))를 통해 TDM, FDM 또는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레퍼런스 뉴머롤러지(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지속기간(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지속기간(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레퍼런스 지속기간(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time unit)으로서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normal CP의 경우, SCS값에 관계 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되며, 또한 해당 슬롯의 전송 지시(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링크 전송(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모든 심볼이 상향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하향링크 부분(DL portion) + 갭(gap) + 상향링크 부분(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또는 SCS)에서 상기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또는 슬롯 병합(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간격(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지연속도에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프레임(frame) 구조에서 정의된 1ms(14 symbol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지연속도 요구(latency 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지연속도에 크리티컬(latency critical)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Carrier)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TDM 및/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별로 정의된 슬롯(또는 미니 슬롯) 길이(length)를 기반으로 지연속도 요구(latency requirement)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도 8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14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slot length)는 1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약 0.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또는 서로 다른 TTI 길이(length)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requirement)를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PDCCH
NR 및 LTE/LTE-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할당(DL assignment)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및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DCI 등 L1 제어 정보는 PDCCH를 통해 송수신된다. PDCCH의 전송을 위한 자원 단위로서 CCE(Control Channel Element)가 정의되며, NR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한 주파수/시간(frequency/time) 자원인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이 각각의 단말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CORESET은 단말이 PD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PDCCH 후보들(candidates)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search spac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s)
기존 LTE 시스템(system)의 경우, 임의의 LTE CC(Component Carrier)에 대한 확장성 있는(scalable) 대역폭 동작(bandwidth operation)을 지원하였다. 즉, 주파수 배포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따라 임의의 LTE 사업자는 하나의 LTE CC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소 1.4 MHz부터 최대 20 MHz의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었고, 노멀(normal) LTE 단말은 하나의 LTE CC에 대해 20 MHz 대역폭(bandwidth)의 송수신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지원하였다.
하지만, NR의 경우, 하나의 광대역(wideband) NR CC를 통해 서로 다른 송수신 대역폭 캐퍼빌리티(bandwidth capability)를 갖는 NR 단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의 도 9와 같이 임의의 NR CC에 대해 세분화된 대역폭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s))를 구성하여, 단말 별로 서로 다른 대역폭 파트 구성(bandwidth part configuration) 및 활성화(activation)를 통해 플렉시블(flexible)한 보다 넓은 대역폭 동작(wider bandwidth operation)을 지원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는 단말 관점에서 구성된 하나의 서빙 셀(serving cell)을 통해 하나 이상의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해당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DL bandwidth part)와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UL bandwidth part)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또한 해당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serving cell)이 설정된 경우, 즉 CA이 적용된 단말에 대해서도 각각의 서빙 셀(serving cell) 별로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 및/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해당 서빙 셀(serving cell)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단말의 최초 액세스 절차(initial access procedure)를 위한 최초 대역폭 파트(initial bandwidth part)가 정의되며, 각각의 단말 별로 dedicated RRC signalling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특정(UE-specific)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s))가 구성되고, 또한 각각의 단말 별로 폴백 동작(fallback operation)을 위한 디폴트 대역폭 파트(default bandwidth part)가 정의될 수 있다.
단, 임의의 서빙 셀(serving cell)에서 단말의 캐퍼빌리티(capability) 및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s)) 구성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activation)하여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으나, NR rel-15에서는 임의의 단말에서 임의의 시간에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DL bandwidth part) 및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UL bandwidth part)만을 활성화(activation)하여 사용하도록 정의되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전송 프로시저(procedure)
NR에서 정의된 단말의 HARQ ACK/NACK 피드백을 위한 PUCCH 자원 할당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PDSCH 자원 할당 시, 하향링크 할당 DCI 포맷(DL assignment DCI format)의 ARI(ACK Resource Indicator) 정보 영역을 통해 해당 PDSCH에 대한 HARQ ACK 피드백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자원 할당 정보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설정된 상향링크 대역폭 파트(UL BWP) 별로 하나 이상의 PUCCH 자원(resource)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PUCCH 자원 셋(resource set)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각각의 단말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ARI는 임의의 PDSCH에 대한 HARQ ACK 피드백을 위한 PUCCH 자원 인덱스(resource index)를 지시하도록 정의되었으며, PUCCH 리소스 셋은 해당 슬롯(slot)의 PUCCH를 통해 전송할 UCI의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HARQ ACK/NACK 외의 SR(Scheduling Request)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와 같은 UCI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 역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할당되거나,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단, 임의의 슬롯에서 UCI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자원이 시구간에서 중첩(overlap)되는 경우, 해당 UCI를 PUSCH에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CI를 PUSCH에 멀티플렉싱하여 보고(reporting)하는 방법에 따르면, UCI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 자원이 시구간에서 중첩되고, 해당 단말의 상/하향링크 송수신 프로세싱 시간(processing time)을 고려한 시간 조건(time condition)을 만족할 경우, 해당 UCI를 PUSCH 전송 자원을 통해 멀티플렉싱하여 전송하도록 정의되었다. 또한 이 경우, 해당 UCI 멀티플렉싱을 위한 구체적인 자원, 즉, 할당된 PUSCH 전송 자원 중 UCI 전송을 위해 사용할 자원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오프셋값(βoffset)을 기지국이 설정하여 DCI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LTE LAA(Licensed Assisted Access)의 PUSCH 전송 방법
LTE LAA에서 정의된 PUSCH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의 PUSCH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LBT 수행에 따른 PUSCH 성능 저하(performance degradation)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중 서브프레임 스케줄링(multi-subframe scheduling) 방법 및 UL grant DCI와 별도의 PUSCH 트리거링(triggering) DCI 전송을 통한 PUSCH 전송(transmission) 방법이 정의되었다.
이 중 PUSCH 트리거링(triggering)에 따른 PUSCH 전송은, 기지국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USCH 전송 지시의 한 방법으로서, 단말 특정(UE-specific) UL grant DCI 전송을 통해 해당 단말을 위한 PUSCH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이에 따른 단말의 PUSCH 전송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PUSCH triggering DCI를 추후에 별도로 전송하는, LAA를 위해 정의된 새로운 PUSCH 스케줄링 방법이다.
한편, 비면허 대역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UL channel access) 방법으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ype-1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은 단말이 전송하는 PUSCH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QoS에 따라서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가 정해지며, 해당 우선순위에 따라 주어진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여 LBT를 수행하고 채널 액세스/점유 절차가 수행된다. Type-2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시 Tshort_ul 구간 동안 한 번의 채널 센싱만으로 채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을 점유하여 PUSCH를 전송한다. 여기서 LBT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Tshort_ul=25us이며 채널이 Tshort_ul 구간 동안 “사용가능”으로 센싱되면, 그 채널은 사용 가능으로 간주되어 단말은 해당 채널을 점유하여 PUSCH를 전송한다.
PUSCH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정보로 단말에게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타입 (UL channel access type-1 또는 type-2)과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를 지시한다. 단말은 PUSCH를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해당 지시를 받은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타입에 따라 채널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면허 대역을 사용하여 단말이 PUSCH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과 달리, 비면허 대역에서는 PUSCH 전송의 기회(opportunity)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단일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PUSCH를 전송하는 방식과,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PUSCH를 전송하는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면허 대역에서와 같이 PUSCH 전송을 위한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로 TM1 및 TM2를 모두 지원한다. TM1에 단일 서브프레임/복수 개의 서브프레임 전송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DCI는 DCI 포맷 0A/DCI 포맷 0B가 각각 사용된다. TM2에 단일 서브프레임/복수 개의 서브프레임 전송을 스케줄링 하기 위한 DCI는 DCI 포맷 4A/DCI 포맷 4B가 각각 사용된다.
그리고,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으로 PUSCH의 스케줄링시 최소 지연시간(ex, 4ms)를 기준으로 단말에게 PUSCH의 전송 타이밍을 4ms 이후부터 20ms까지 탄력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각각의 상향링크 승인 정보에 타이밍 오프셋 (timing offset)이라는 필드를 추가하여 탄력적 전송 타이밍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두 가지 triggering type(type-A, type-B)을 통해 PUSCH를 단말에 스케줄링할 수 있다. Triggering type A는 상향링크 승인 정보에 PUSCH 전송에 관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하고, 절대적인 PUSCH 전송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PUSCH 전송을 단말에게 지시하는 방식이며, 이는 기존 면허 대역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다. Triggering type B는 상향링크 승인 정보에 PUSCH 전송에 관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하되, 상대적인 PUSCH 전송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실제 전송하는 타이밍 정보는 Triggering type B가 C-PDCCH 수신 시 전송되는 PUSCH trigger B의 지시자와 'UL duration and offset'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NR-U(NR-Unlicensed spectrum)
비면허 대역의 경우, 면허 대역과 달리 임의의 사업자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이 아니라 각 국가의 규제(regulation) 내에서 어떠한 사업자들 또는 개개인도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면허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 시 해당 비면허 대역을 통해 이미 제공되고 있는 WiFi, Bluetooth, NFC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의 공존(co-existence) 문제와 또한 각각의 NR 사업자 또는 LTE 사업자 간의 공존(co-existence)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비면허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 시, 각각의 무선 통신 서비스 간의 간섭 또는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사용할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의 파워 레벨(power level)을 센싱(sensing)하여 해당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LBT(Listen Before Talk) 기반의 무선 채널 액세스(access) 방식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해당 비면허 대역의 특정 무선 채널 또는 캐리어가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나 다른 사업자에 의해 사용 중일 경우 해당 대역을 통한 NR 서비스 제공에 제약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면허 대역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는 면허 대역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임의의 광대역 NR-U 셀이 비면허 대역을 통해 구성될 경우, 해당 NR-U 셀에 대한 액세스 확률(access probability)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RAT와의 공존(coexistence)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임의의 NR-U 셀의 시스템 대역폭 또는 해당 NR-U 셀 내의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DL 또는 UL BWP를 서브밴드(sub-band)로 분할하고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LBT를 수행하여, 해당 서브밴드 단위의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NR에서는,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무선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 송수신을 위해 각각의 단말 별로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구성된 대역폭 파트 중에서 하나의 대역폭 파트를 활성화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NR 셀을 구성하는 시스템 대역폭은 100MHz 이상의 광대역 구성이 가능하므로, 임의의 단말을 위한 하나의 BWP의 대역폭도 100MHz 이상의 광대역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비면허 대역에서 임의의 노드에서 무선 신호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드에 의해 해당 무선 채널이 점거(occupy)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BT가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NR-U 셀에서 단말에 대한 PDSCH 전송을 위하여, 해당 NR-U 셀이 구성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LBT를 수행한 후, 해당 주파수 대역이 비어있는 경우 PDCCH 및 그에 따른 PD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해당 상향링크 무선 채널에 대한 LBT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비면허 대역에 대해서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경우,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DL BWP 또는 UL BWP의 대역폭도 20MHz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BWP 단위로 LBT를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면, 20MHz 단위로 LBT를 수행하는 WiFi와 같은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하여, 채널 액세스 확률(channel access probability) 측면에서 경쟁력이 심각하게 열하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을 위해 구성되는 DL BWP 또는 UL BWP에 대하여 각각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서브밴드는, 비면허 대역을 통해 구성된 임의의 NR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DL BWP 또는 UL BWP의 대역폭과 상관 없이, 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상/하향 링크 전송을 위한 CCA(Clear Channel Assessment)가 이루어지는 주파수 축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서브밴드는 주파수 축에서 LBT가 이루어지는 단위에 해당하는 LBT bandwidth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DL BWP에 대한 자원 할당 및 PDCCH 또는 PDSCH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UL BWP에 대한 자원 할당 및 PUCCH 또는 PUSCH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자원 할당은 기존과 동일하게 DL BWP 혹은 UL BWP 단위로 이루어지되, 할당된 자원을 통한 실제의 PDSCH/PUSCH 송수신 여부는 상기 서브밴드 단위의 LBT 수행 결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 또는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는 각각의 상/하향 링크 대역폭 파트를 복수 개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에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는 경우, 각 대역폭 파트 별로 서브밴드의 개수, 위치,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는 임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와 독립적으로 해당 비면허 대역의 NR 셀을 구성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기초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동작 수행을 위한 서브밴드 별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 단말이 LBT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정보(ex, 임계값 등)를 포함하는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BT 구성정보는 각 서브밴드 별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브밴드 구분없이 동일한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파수 축에서 LBT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는, NR-U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 파트를 단위로, 암묵적으로, 즉, 별도의 서브밴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없이 일정한 룰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일 예에 따라,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을 위해 서브밴드 할당 정보 및 서브밴드 기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밴드 할당 정보는 서브밴드 별 비트맵(bitmap) 기반의 지시 정보이거나, 또는 서브밴드 ID나 서브밴드 인덱스(index) 지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을 위해 기존과 동일하게 대역폭 파트 기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만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서브밴드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된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S1020)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030).
또는,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에 의해 해당 대역폭 파트에서 할당된 PRBs(또는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S1020)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030).
일 예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단위의 LBT 결과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서브밴드 전부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서브밴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시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별도의 서브밴드 지시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PRBs(혹은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대하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 4개의 서브밴드가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4개의 서브밴드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3개의 서브밴드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서브밴드 지시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지시되거나, 또는 주파수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암묵적으로 지시된 경우, 단말은 해당 3개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3개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전부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3개의 서브밴드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이 성공한 일부 서브밴드에 대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PRBs(혹은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 중 일부 서브밴드에서만 LBT를 성공하고, 나머지 서브밴드에서는 LBT를 실패한 경우, 해당 LBT 성공 서브밴드의 할당된 PRBs(혹은 VRBs)를 통해서만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PUSCH)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전송 블록에 대한 자원 매핑에 있어서, LBT에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한 매핑은 펑처링(puncturing)을 하거나,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 둘 이상의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전술한 서브밴드 선택 룰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LBT 동작 수행 결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서 서브밴드 인덱스가 가장 낮은 또는 가장 높은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레퍼런스 신호가 수신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기지국에 의해서 지시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등 서브밴드 선택 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기지국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0).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구성되는 DL BWP 또는 UL BWP에 대하여 각각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은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를 복수 개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동작 수행을 위한 서브밴드 별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 단말이 LBT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정보(ex, 임계값 등)를 포함하는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BT 구성정보는 각 서브밴드 별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브밴드 구분없이 동일한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파수 축에서 LBT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는 비면허 대역 NR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 파트를 단위로 암묵적으로, 즉, 별도의 서브밴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없이 정의된 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10).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을 위해 서브밴드 할당 정보 및 서브밴드 기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밴드 할당 정보는 서브밴드 별 비트맵(bitmap) 기반의 지시 정보이거나, 또는 서브밴드 ID나 서브밴드 인덱스(index) 지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는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단말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을 위해 기존과 동일하게 대역폭 파트 기반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만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서브밴드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된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20).
또는,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별도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에 의해 해당 대역폭 파트에서 할당된 PRBs(혹은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20).
전술한 단말 동작에 의해서 선택된 서브밴드의 무선자원을 통해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지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단위의 LBT 결과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서브밴드 전부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서브밴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시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별도의 서브밴드 지시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PRBs(혹은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대하여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 4개의 서브밴드가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4개의 서브밴드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3개의 서브밴드가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서브밴드 지시정보에 의해 명시적으로 지시되거나, 혹은 주파수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암묵적으로 지시된 경우, 단말은 해당 3개의 서브밴드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3개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동작이 전부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해당 3개의 서브밴드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이 성공한 일부 서브밴드에 대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PRBs(혹은 VRBs)가 속한 모든 서브밴드 중 일부 서브밴드에서만 LBT를 성공하고, 나머지 서브밴드에서는 LBT를 실패한 경우, 해당 LBT 성공 서브밴드의 할당된 PRBs(혹은 VRBs)를 통해서만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PUSCH)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전송 블록에 대한 자원 매핑에 있어서, LBT에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한 매핑은 puncturing을 하거나, 혹은 rate matching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은 본 개시에 따른 일부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해당 동작 및 단계에서 보다 다양한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본 기술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각 절차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서의 정보들은 전술한 서브밴드 구성정보, LBT 구성정보, 하향링크 제어정보, 서브밴드 선택 룰 등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NR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임의의 상향링크 무선 채널 또는 무선 신호 전송 시, 주파수 축에서 복수의 전송 기회(opportunity)를 할당하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면허 대역에서 임의의 노드에서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드에 의해 해당 무선 채널이 점거(occupy)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NR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비면허 대역의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DSCH 전송을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해당 NR-U 셀이 구성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LBT를 수행해야 한다. LBT를 수행한 결과, 해당 비면허 대역의 무선 채널이 비어있는 경우, 기지국은 PDCCH 및 그에 따른 PDSCH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해당 상향링크 무선 채널에 대한 LBT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 시, LBT 수행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단말은 해당 LBT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즉, UL grant DCI format에 의해 지시된 시점에 해당 PUSCH 전송이 불가할 수 있다. 즉, LBT 실패 시 해당 UL grant에 의한 PUSCH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NR에서는 단말의 PDSCH 수신에 대한 HARQ ACK/NACK 피드백 타이밍(timing)에 대해,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해주거나 또는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해당 단말에 지시해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비면허 대역에 대한 NR-U 셀의 경우, 단말의 LBT 결과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시점에서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PUCCH 전송이 불가능할 수 있다. 즉, LBT 결과 해당 무선 채널이 다른 노드에 의해 점거된 상태인 경우인 LBT 실패(failure)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PDSCH 수신에 따른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시점에 전송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NR-U 셀에서의 HARQ 퍼포먼스(performance)에 심각한 저하(degradation)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를 수행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에 따라, 임의의 단말을 위한 PUCCH 전송 자원 할당 시, 또는 PUSCH 전송 자원 할당 시, 해당 PUCCH 또는 PUSCH 전송 시점에서, 해당 단말에서의 LBT 수행 여부를 기지국에서 지시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PUCCH를 통해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 또는 CQI/CSI 리포팅(reporting) 정보와 같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HARQ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인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은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HARQ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시간 자원의 경우, PDSCH 수신 슬롯과 그에 상응하는 HARQ 피드백 정보 전송 슬롯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이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CQI/CSI 리포팅(reporting)을 위한 PUCCH 자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RRC 시그널링 및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할당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LBT(DL LBT)가 성공되어, 이후의 시점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이 비면허 대역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 예에 따라, 하향링크 전송은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채널 또는 신호의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전송 및 그에 따른 HARQ 피드백을 위한 PUCCH, CQI/CSI 리포팅을 요구하는 DCI 및 그에 따른 리포팅을 위한PUCCH, 또는 PU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DCI 및 그에 따른 PUSCH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사이에는 타이밍 갭(timing gap)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송에 따른 하향링크 신호 또는 채널이 비면허 대역인 NR-U 셀에서 PUCCH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기본적으로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의 규제(regulation)에 따라 해당 PUCCH 전송을 위한 LBT(UL LBT)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해당 LBT 결과에 따라 지시된 시점에서의 PUCCH 전송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LBT 결과 해당 무선 채널이 다른 노드에 의해 점거된 상태인 경우, 즉 LBT failure가 발생한 경우 해당 단말은 지시된 시점에서 PUCCH 전송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PUCCH 자원 할당 정보 및 PUCCH 전송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 전송 슬롯 또는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에 따른 PDSCH 전송 슬롯과 그에 따른 PUCCH 전송 슬롯이 해당 기지국의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 내에 속할 경우, 해당 단말에서는 LBT 수행 없이 PUCCH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해당 비면허 대역에서 해당 단말에 대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기지국이 이미 점유하고 있어, 다른 노드에 의해 점유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기지국의 COT와 PDSCH 수신 슬롯과 그에 상응하는 HARQ 피드백 정보 전송 슬롯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 값인 K1값의 설정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PUCCH를 통한 HARQ 피드백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를 통해 PUCCH를 통한 CSI/CQI 리포팅(reporting)이 지시될 경우,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DL assignment DCI)가 전송된 슬롯과 그에 따른 CQI/CSI 리포팅(reporting) 정보를 포함하는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슬롯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을 M이라 하면, 해당 타이밍 갭 값인 M과 기지국의 COT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PUCCH를 통한 CSI/CQI 리포팅(reporting)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PUSCH 전송에 대해서도 PUCCH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와 그에 따른 PU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슬롯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 정보인 K2값 역시,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를 통해 동적(dynam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PU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DCI(UL grant DCI) 전송 슬롯과 그에 따른 PUSCH 전송 슬롯이 해당 기지국의 COT(Channel Occupancy Time) 내에 속할 경우, 해당 단말에서는 LBT 수행 없이 PUSCH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에서 PUCCH 또는 PUSHC 전송 시 LBT를 수행하는 LBT 방식을 설정하여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LBT 방식은 LBT 수행 여부, 랜덤 백 오프(random back off) 수행 여부 및 랜덤 백 오프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복수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LBT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하여 'LBT 방식'이라고 지칭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BT를 수행하는 방식은 LBT 카테고리 등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LBT 방식은 LBT를 수행하지 않는 제1 LBT 방식, LBT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는 수행하지 않는 제2 LBT 방식, LBT와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 시간 간격은 고정되는 제3 LBT 방식 및 LBT와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하되 랜덤 백 오프 시간 간격은 가변되는 제4 LBT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이 L1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을 통해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LBT 수행 여부를 직접적으로 지시해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SCH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해당 LBT 지시 정보(LBT indication information) 영역을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LBT 지시 정보는 1 비트(bit)의 지시(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 1)에 따라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LBT 방식과 나머지 LBT 방식들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해당 LBT 지시 정보는 2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0, 01, 10, 11)에 따라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하기 위한 LBT 방식을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LBT 방식 내지 제4 LBT 방식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은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기반한 단말의 PDSCH 수신에 따른 단말의 HARQ 피드백 정보 전송을 위한 PUCCH 전송일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CCH 전송의 또 다른 경우는 해당 하향링크 할당 DCI format(DL assignment DCI format)에 의해 CQI/CSI 리포팅(reporting)이 트리거링(triggering)될 경우, 그에 따른 CQI/CSI 리포팅(reporting)을 위한 PUCCH 전송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PUSCH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해당 LBT 지시 정보(LBT indication information) 영역을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LBT 지시 정보는 1 비트(bit)의 지시(indication)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 1)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방식과 나머지 방식들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해당 LBT 지시 정보는 2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00, 01, 10, 11)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 시, 해당 단말에서 LBT를 수행하기 위한 LBT 방식을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해당 비트의 값은 전술한 LBT 방식 중에서 제1 방식 내지 제4 방식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DCI format(UL grant DCI format)에 상응하는 단말의 PUSCH 전송은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이거나, 단말의 UCI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일 수 있다.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LBT 수행 여부 또는 LBT 방식을 정의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LBT 수행 여부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된 하향링크 전송과 그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간의 타이밍 갭(timing gap)값에 의해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타이밍 갭(timing gap) 값이 각각 임의의 임계값(threshold)보다 작을 경우, 해당 단말에서 LBT 없이, 지시된 PUCCH 또는 PUSCH 전송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갭(timing gap) 값이 해당 임계값(threshold)보다 클 경우, 단말에서 LBT 수행 후, 그에 따라 해당 PUCCH 또는 PUSCH 전송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해당 임계값(threshold)은 해당 NR-U에서의 COT값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그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되거나, 또는 COT과 관계없이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임계값(threshold)은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 케이스(case)별로 단일한 임계값(threshold)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임계값(threshold)으로 정의되어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RRC 시그널링(cell-specific RRC signalling) 또는 단말 특정 RRC 시그널링(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수행될 LBT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LBT 방식에 따라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NR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상향링크에 대한 전송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임의의 상향링크 무선 채널 또는 무선 신호 전송 시, 주파수 축에서 복수의 전송 기회(opportunity)를 할당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면허 대역에서 임의의 노드에서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드에 의해 해당 무선 채널이 점거(occupy)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NR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비면허 대역의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DSCH 전송을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해당 NR-U 셀이 구성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LBT를 수행해야 한다. LBT를 수행한 결과, 해당 비면허 대역의 무선 채널이 비어있는 경우, 기지국은 PDCCH 및 그에 따른 PDSCH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해당 상향링크 무선 채널에 대한 LBT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PUSCH 전송 시, LBT 수행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단말은 해당 LBT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즉, UL grant DCI format에 의해 지시된 시점에 해당 PUSCH 전송이 불가할 수 있다. 즉, LBT 실패 시 해당 UL grant에 의한 PUSCH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NR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무선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 송수신을 위해 각각의 단말 별로 BWP(Bandwidth Part)를 구성하고, 하나의 BWP를 활성화하여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또한, LTE와 달리 NR 셀을 구성하는 시스템 대역폭은 해당 NR 셀이 구성된 FR(Frequency Range)에 따라 100MHz 이상의 광대역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임의의 단말을 위한 하나의 BWP의 대역폭도 100MHz 이상의 광대역 구성이 가능하다. 반면, 비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을 통해 구성된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DL 또는 UL BWP가 20MHz 보다 클 경우, 해당 BWP 단위로 LBT를 수행하여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할 경우, 20MHz 단위로 LBT를 수행하는 WiFi와 같은 여타 RAT 대비 채널 액세스 확률(channel access probability) 측면에서 경쟁력이 심각하게 열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임의의 DL 또는 UL BWP를 각각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서브밴드로 분할(partitioning)하여 해당 서브밴드 단위로 LBT를 수행하고 상/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단말에 구성된 BWP는 N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예로서, 단말에 구성된 40MHz의 BWP가 2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DL BWP의 대역폭이 80MHz일 경우, 해당 DL BWP를 20MHz의 대역폭을 갖는 4개의 서브밴드로 나누어 해당 서브밴드 단위의 자원 할당 및 그에 따른 PDCCH 또는 PDSCH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상향링크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UL BWP 대역폭이 60MHz일 경우, 해당 UL BWP를 20MHz의 대역폭을 갖는 3개의 서브밴드로 나누어 해당 서브밴드 단위의 자원 할당 및 그에 따른 PUCCH 또는 PUSCH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단말에서의 LBT 실패에 의해 UL grant DCI format에 의해 지시된 시점에서 단말의 할당된 PUSCH에 대한 전송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LAA의 경우,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을 위한 단말 특정(UE-specific) UL grant와 별도로 셀 특정(cell-specific)한 PUSCH 트리거링(triggering) DCI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PUSCH 전송 시점을 기지국에서 동적(dynamic)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즉, 기지국에서 UL grant를 통해 각각의 단말을 위한 PUSCH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추가적으로 PUSCH triggering DCI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PU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단말에서 PUSCH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LTE의 PUSCH triggering은 LAA 셀의 대역폭이 LBT의 단위가 되는 대역폭인, 예를 들어, 20MHz를 초과하여 구성되지 않고, 모든 단말에 대해 해당 셀의 시스템 대역폭을 기반으로 하여 동일한 자원 그리드 기반의 자원 할당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해당 cell-specific PUSCH triggering에 따른 모호함(ambiguity)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NR의 경우의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말 별로 서로 다른 UL BWP가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BWP가 LBT의 단위가 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sub-band)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cell-specific PUSCH triggering에 의한 PUSCH 전송(transmission)이 적용될 경우, 서로 다른 UL BWP가 구성된 단말이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통해 PUSCH 자원이 할당된 단말의 경우, 해당 단말의 UL BWP에 대한 PUSCH triggering이 이루어진 것인지, 더 나아가 PUSCH 자원이 할당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해 해당 PUSCH triggering이 유효한 것인지에 대한 모호함(ambiguity)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와 같이 NR-U 셀에서 단말 별로 구성되는 UL BWP 및 서브밴드 기반의 LBT를 고려한 PUSCH triggering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NR-U 셀에서 PUSCH transmission은 LTE 및 면허 대역(licensed spectrum)에서 구성된 NR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라 하나의 UL grant DCI format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PUSCH transmission은 전술한 LTE LAA의 PUSCH triggering 방법과 같이 2-stage DCI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2-stage DCI를 통해 PUSCH transmission이 이루어지는 경우, 첫 번째 UL grant DCI를 통해 PUSCH를 위한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MCS(Modulcation Coding Scheme), HARQ 횟수 등의 할당이 이루어지고, 두번째 DCI를 통해 해당 첫번째 DCI의 할당에 따른 PUSCH 전송이 지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NR을 위한 2-stage DCI 기반의 PUSCH transmission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1-stage DCI는 UE-specific하게 전송하고, 2-stage DCI는 cell-specific 또는 UE-group common DCI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4는 1-stage DCI와 2-stage DCI를 모두 UE-specific하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선택적 결합/조합을 통해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서브밴드 기반 자원 할당 및 PUSCH 트리거링(resource allocation and PUSCH triggering)
임의의 단말을 위한 PUSCH 자원 할당 방법으로서, 1-stage UL grant DCI format을 통해 활성화된(active) UL BWP를 구성하는 서브밴드 별로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하고, 2-stage PUSCH triggering DCI를 통해 서브밴드 별로 PUSCH transmission triggering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1-stage DCI를 통한 서브밴드 기반의 자원 할당은 해당 단말을 위해 구성된 모든 서브밴드에 대해 공통(common)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2-stage PUSCH triggering DCI를 통해 해당 1-stage DCI를 통해 전송된 자원 할당 정보를 적용하여 PUSCH transmission이 이루어지는 서브밴드를 지시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1-stage DCI를 통한 서브밴드 기반의 자원 할당은 특정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의 PUSCH transmission은 1-stage DCI를 통해 할당된 서브밴드에 대한 PUSCH triggering이 2-stage DCI를 통해 지시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해당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2-stage DCI에 의한 PUSCH triggering을 서브밴드 단위로 할 경우, 해당 2-stage DCI를 통해 PUSCH triggering이 이루어지는 서브밴드를 지시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해당 2-stage DCI는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해당 지시 정보는 서브밴드 별 비트맵(bitmap) 지시 정보이거나, 또는 서브밴드 ID나 서브밴드 인덱스(index) 지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해당 서브밴드 별 지시 정보는 해당 2-stage DCI 전송을 위한 CRC 스크램블링(scrambling) RNTI값에 의해 지시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해당 2-stage DCI에 대한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한 CRC scrambling RNTI값을 각각의 서브밴드 별로 별도로 할당하도록 정의하고, 해당 값을 기지국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명시적으로(explicitly) 전송하도록 정의하거나, 또는 UL BWP index 및 서브밴드 ID(또는 서브밴드 index) 등을 parameter로 한 함수의 형태로서 해당 scrambling RNTI값이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서브밴드 별로 2-stage DCI를 전송하기 위한 코어셋(CORESET)이나 SS(Search Space)를 별도로 구성하도록 정의함으로써, 해당 2-stage DCI가 전송된 CORESET 또는 SS에 따라 해당 PUSCH triggering이 이루어지는 서브밴드가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예로써, 해당 CORESET 또는 SS는 동일한 서브밴드의 주파수 자원을 통해 구성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상기 1-stage DCI를 통한 자원 할당이 특정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경우, 해당 1-stage DCI를 통해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도 상기에서 서술한 2-stage DCI의 서브밴드를 지시하기 위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BWP 기반의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및 서브밴드 기반의 PUSCH 트리거링(triggering)
실시예 1과 달리, 1-stage UL grant DCI format을 통한 PUSCH 전송 자원 할당은 해당 NR 단말의 active UL BWP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2-stage DCI를 통한 PUSCH triggering은 해당 UL BWP를 구성하는 서브밴드 별로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1-stage UL grant DCI format을 통한 PUSCH 자원 할당은 기존의 DCI format 0_0 또는 0_1과 유사하게 해당 active UL BWP를 구성하는 PRB를 기초로 한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하거나, 또는 NR-U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할당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반면 2-stage PUSCH triggering DCI는 전술한 실시예 1과 같이 해당 UL BWP를 구성하는 서브밴드를 단위로 하여 PUSCH triggering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에 따른 2-stage DCI를 통한 PUSCH triggering 서브밴드 지시 정보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내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1-stage DCI를 통한 PUSCH 자원 할당이 UL BWP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2-stage DCI에 따른 PUSCH triggering이 이루어지는 서브밴드에 따라 해당 단말에서의 PUSCH transmission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1-stage DCI를 통해 할당된 PUSCH resource와 2-stage DCI를 통해 triggering이 이루어지는 서브밴드 사이의 관계는, 주파수 축에서 전체 중첩 케이스(fully-overlapping case), 부분 중첩 케이스(partially-overlapping case) 및 비 중첩 케이스(non-overlapping case)로 구분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케이스별 2-stage DCI의 PUSCH triggering에 의한 단말의 PUSCH transmission 동작이 달라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ully-overlapping case에 대해서만 해당 단말에서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fully-overlapping case 및 partially-overlapping case에 대해서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partially-overlapping case에 대해서 PUSCH transmission은 해당 overlapping frequency resource를 통해서만 PUSCH transmission을 하도록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첩(overlap)되지 않은 자원(resource)에 대한 PUSCH transmission 부분을 펑처링(puncturing)하거나,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통해 해당 중첩된 주파수 자원(overlapping frequency resource)에서의 PUSCH transmission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 3. BWP 기반의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및 BWP 기반의 PUSCH트리거링(triggering)
1-stage UL grant DCI와 2-stage PUSCH triggering DCI 모두 해당 단말을 위한 UL BWP를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1-stage DCI를 통한 자원 할당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2를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이 2-stage PUSCH triggering DCI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1-stage DCI를 통해 임의의 단말의 PUSCH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하는 모든 서브밴드에 대해서 해당 단말의 PUSCH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만 기지국은 해당 2-stage PUSCH triggering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2-stage PUSCH triggering DCI는 별도의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해당 단말은 2-stage PUSCH triggering DCI를 수신한 경우, 해당 1-stage DCI를 통해 전송된 PU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PUSCH 전송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 4. UE-specific PUSCH trigger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1-stage DCI 뿐 아니라, 2-stage DCI 역시 UE-specific하게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2-stage DCI에 의한 PUSCH triggering 역시 UE-specific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1-stage DCI와 2-stage DCI가 포함하는 정보 영역 및 각각의 DCI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의 PUSCH 전송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시된 내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의 형태를 따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는 NR-U 셀의 PUSCH 자원 할당을 기준으로 기술했으나, 전술한 기술적 사상은 PDSCH의 경우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사상은 NR-U 셀이 아닌 면허 대역(licensed spectrum)을 통해 구성된 일반적인 NR 셀을 통한 PUSCH/PDSCH 스케줄링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전술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기술적 사상이 모순되지 않는 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00).
전술한 것과 같이, 비면허 대역에 대해서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경우,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DL BWP 또는 UL BWP의 대역폭도 20MHz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대역폭 파트 단위로 LBT를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면, 20MHz 단위로 LBT를 수행하는 WiFi와 같은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하여, 채널 액세스 확률(channel access probability) 측면에서 경쟁력이 심각하게 열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 따라,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를 복수 개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에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는 경우, 각 대역폭 파트 별로 서브밴드의 개수, 위치,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서브밴드는 임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와 독립적으로 해당 비면허 대역의 NR 셀을 구성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기초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파수 축에서 LBT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는, NR-U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 파트를 단위로, 암묵적으로, 즉, 별도의 서브밴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없이 일정한 룰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기지국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S1410)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420).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중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서브밴드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밴드 지시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실시예 2와 같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DL assignment DCI format과 별도로 기지국에서 서브밴드 단위의 LBT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구성하여 cell-specific 혹은 UE-group common PDCCH를 통해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서브밴드 단위의 LBT 성공/실패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cell-specific 혹은 UE-group common한 DCI format을 정의하고, 이를 기지국이 단말로 cell-specific 또는 UE-group common PDCCH를 통해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해당 서브밴드 단위의 LBT 성공/실패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cell-specific 혹은 UE-group common DCI format을 위해 새로운 DCI format을 정의하거나, 혹은 기존의 DCI format을 재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지시된 서브밴드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00).
전술한 것과 같이, 비면허 대역에 대해서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경우, NR-U 셀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DL BWP 또는 UL BWP의 대역폭도 20MHz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대역폭 파트 단위로 LBT를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면, 20MHz 단위로 LBT를 수행하는 WiFi와 같은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하여, 채널 액세스 확률(channel access probability) 측면에서 경쟁력이 심각하게 열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 따라,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를 복수 개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에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는 경우, 각 대역폭 파트 별로 서브밴드의 개수, 위치,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서브밴드는 임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와 독립적으로 해당 비면허 대역의 NR 셀을 구성하는 시스템 대역폭을 기초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파수 축에서 LBT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는, NR-U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 파트를 단위로, 암묵적으로, 즉, 별도의 서브밴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없이 일정한 룰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S1510).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중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서브밴드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S1520)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530).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대역폭 파트 지시정보 및 서브밴드 지시정보와 같은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정보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라,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될 수 있는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서브밴드 지시정보는 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cell-specific PDCCH) 또는 그룹 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group-common PDCCH)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송한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지시된 서브밴드를 통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과 기지국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6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600)은 제어부(1610), 송신부(1620) 및 수신부(1630)를 포함한다.
제어부(161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6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 등을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수신부(16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 등을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수신부(1630)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를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각 대역폭 파트 별로 서브밴드의 개수, 위치,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수신부(1630)는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동작 수행을 위한 서브밴드 별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 단말이 LBT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정보(ex, 임계값 등)를 포함하는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BT 구성정보는 각 서브밴드 별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브밴드 구분없이 동일한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파수 축에서 LBT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는 NR-U 셀의 시스템 대역폭 혹은 임의의 단말을 위해 구성된 대역폭 파트를 단위로 암묵적으로, 즉, 별도의 서브밴드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없이 일정한 룰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활성화 된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LBT 동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서브밴드 지시정보, LBT 동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가 포함되는 대역폭 파트를 지시하는 대역폭 파트 지시정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지시 정보는 서브밴드 별 비트맵(bitmap) 지시 정보이거나, 또는 서브밴드 ID나 서브밴드 인덱스(index)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61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10)는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61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610)는 대역폭 파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10)는 LBT 동작 수행 결과 측정되는 각 서브밴드 별 에너지 레벨 값 및 서브밴드 선택 룰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선택 룰은 기지국에 의해서 지시되거나, 단말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선택 룰은 서브밴드 인덱스 정보, 각 서브밴드 별 레퍼런스 신호 수신 여부 정보, 기지국 지시정보 및 디폴트 서브밴드 존재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61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610)는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서브밴드 전부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10)는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송신부(16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예에 따라, 송신부(1620)는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 둘 이상의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경우, 전술한 서브밴드 선택 룰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10)는 LBT 동작 수행 결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서 서브밴드 인덱스가 가장 낮은 또는 가장 높은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레퍼런스 신호가 수신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기지국에 의해서 지시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등 서브밴드 선택 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수신부(1630)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기지국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중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서브밴드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대역폭 파트 지시정보 및 서브밴드 지시정보와 같은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정보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라, 수신부(1630)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될 수 있는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서브밴드 지시정보를 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cell-specific PDCCH) 또는 그룹 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group-common PDCCH)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630)는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지시된 서브밴드를 통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7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700)은 제어부(1710), 송신부(1720) 및 수신부(1730)를 포함한다.
제어부(171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720)와 수신부(173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송신부(1720)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LBT의 주파수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제어부(1710)는 단말에 설정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대역폭 파트 별로 설정될 수 있다. 각 대역폭 파트 별로 서브밴드의 개수, 위치,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구성정보는 각 대역폭 파트에서의 서브밴드의 수, 서브밴드의 대역폭, 서브밴드의 크기 및 서브밴드의 PRB 수 및 각 서브밴드에 매핑되는 대역폭 파트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송신부(1720)는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브밴드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의 LBT 동작 수행을 위한 서브밴드 별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각 서브밴드에서 단말이 LBT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로하는 정보(ex, 임계값 등)를 포함하는 LBT 구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BT 구성정보는 각 서브밴드 별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브밴드 구분없이 동일한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송신부(1720)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720)는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LBT 동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서브밴드 지시정보, LBT 동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가 포함되는 대역폭 파트를 지시하는 대역폭 파트 지시정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 할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지시 정보는 서브밴드 별 비트맵(bitmap) 기반의 지시 정보이거나, 또는 서브밴드 ID나 서브밴드 인덱스(index) 지시 정보일 수 있다.
수신부(1730)는 대역폭 파트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730)는 전술한 단말 동작에 의해서 선택된 서브밴드의 무선자원을 통해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대역폭 파트 또는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LBT 동작 수행 결과 측정되는 각 서브밴드 별 에너지 레벨 값 및 서브밴드 선택 룰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서브밴드 선택 룰은 기지국에 의해서 지시되거나, 단말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선택 룰은 서브밴드 인덱스 정보, 각 서브밴드 별 레퍼런스 신호 수신 여부 정보, 기지국 지시정보 및 디폴트 서브밴드 존재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서브밴드 전부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전부에 대하여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수신부(1730)는 단말이 수행한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서브밴드 전부를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710)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710)는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에 대한 LBT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710)는 단말에 구성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동작은 해당 무선자원의 에너지 레벨을 센싱하고, 센싱된 에너지 레벨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에너지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부(17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10)는 LBT 동작을 수행한 서브밴드 중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서브밴드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결정할 수 있다.
송신부(1720)는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720)는 단말에 대해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해당 단말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대역폭 파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대역폭 파트 지시정보 및 서브밴드 지시정보와 같은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정보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영역 자원 할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라,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에 이용될 수 있는 서브밴드를 지시하는 서브밴드 지시정보는 셀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cell-specific PDCCH) 또는 그룹 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group-common PDCCH)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송신부(1720)는 전송한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지시된 서브밴드를 통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면허 대역에서 대역폭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LBT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넓은 주파수 영역에 대한 LBT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확률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들 중 본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 구성, 부분들은 전술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위에서 개시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장치(예: 시스템,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위치하거나 둘 이상의 장치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LBT 동작이 성공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LBT 동작이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하여 펑처링(puncturing)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상기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BT 동작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수행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LBT 동작이 성공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LBT 동작이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하여 펑처링(puncturing)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되는 방법.
  5. 삭제
  6.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LBT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LBT 동작이 성공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LBT 동작이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하여 펑처링(puncturing)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단말.
  7. 삭제
  8. 삭제
  9.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해서 상기 단말이 LBT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LBT 동작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수행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속한 각각의 서브밴드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LBT 동작이 성공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LBT 동작이 성공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LBT 동작이 실패한 서브밴드에 속한 무선 자원에 대하여 펑처링(puncturing) 또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되는 기지국.
  10. 삭제
  11.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해 상기 기지국의 서브밴드 별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특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별개로,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에 공통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법.
  12. 삭제
  13. 기지국이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특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별개로,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에 공통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법.
  14. 삭제
  15.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해 상기 기지국의 서브밴드 별 LBT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서브밴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에 공통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특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별개로, 수신되는 단말.
  16. 삭제
  17. 비면허 대역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대역폭 파트 또는 비면허 대역에 구성되는 셀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의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 각각에 대하여 LBT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LBT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 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에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속한 그룹에 공통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특정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별개로, 전송되는 기지국.
  18. 삭제
KR1020190096457A 2018-08-10 2019-08-08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0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51,611 US11445542B2 (en) 2018-08-10 2019-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unlicensed band
EP19847867.9A EP3836708A4 (en) 2018-08-10 2019-08-09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AN UNLICENSED TAPE
CN201980029295.6A CN112088561A (zh) 2018-08-10 2019-08-09 在非许可频段中发送或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PCT/KR2019/010061 WO2020032675A1 (ko) 2018-08-10 2019-08-09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69656A KR20220084248A (ko) 2018-08-10 2022-06-08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928 2018-08-10
KR20180093928 2018-08-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656A Division KR20220084248A (ko) 2018-08-10 2022-06-08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310A KR20200018310A (ko) 2020-02-19
KR102408453B1 true KR102408453B1 (ko) 2022-06-15

Family

ID=6966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57A KR102408453B1 (ko) 2018-08-10 2019-08-08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5542B2 (ko)
EP (1) EP3836708A4 (ko)
KR (1) KR102408453B1 (ko)
CN (1) CN1120885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5859A1 (en) * 2018-10-29 2021-1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lbt option selection for wideband operation
JP7207951B2 (ja) * 2018-11-01 2023-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863508B1 (en) * 2019-06-12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bband based resource allocation for NR-U
US11737135B2 (en) * 2019-09-13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s in frame-based equipment NR unlicensed
EP4066555A4 (en) * 2020-05-21 2023-05-31 ZTE Corporation CONFIGURATIONS FOR RESOURCE-SAVING DATA TRANSMISSIONS IN SHARED SPECTRUM CHANNEL ACCESS
WO2022077342A1 (en) * 2020-10-15 2022-04-21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Method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4305900A1 (en) * 2021-03-10 2024-01-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ndwidth part switch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s
WO2023042128A1 (en) * 2021-09-17 2023-03-23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a bandwidth part for uplink and downlink
WO2023193233A1 (en) * 2022-04-08 2023-10-12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bband utilization in full duplex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283B2 (en) * 2013-08-23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CSI and ACK reporting enhancements in LTE/LTE-A with unlicensed spectrum
EP3217701B1 (en) * 2014-11-06 2020-12-30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PT3208965T (pt) * 2014-11-20 2019-02-06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unicação de informação de estado de canal melhorada para portadoras licenciadas e não licenciadas
CN112492613A (zh) * 2015-04-09 2021-03-12 Lg 电子株式会社 在支持未授权带的无线接入系统中执行cca的方法及其装置
CN104812032B (zh) * 2015-04-10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非授权频段应用drx的方法及装置
EP3751893B1 (en) * 2015-05-14 2022-09-21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listen before talk systems
CN105578573B (zh) * 2015-05-28 2019-02-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非授权频段信道占用时间的配置方法及装置
CN105101446B (zh) * 2015-06-30 2017-12-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非授权频段的冲突避免方法及装置
CN105338568B (zh) * 2015-09-25 2019-01-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非授权频谱上的lte的传输方法及装置
WO2018026182A1 (ko) * 2016-08-05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4285537A (zh) * 2016-08-10 2022-04-05 Idac控股公司 用于灵活资源使用的方法
US10555316B2 (en) * 2016-09-26 2020-02-0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to communication devices
US10477457B2 (en) 2016-11-03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ultra-wide bandwidth in fifth generation (5G) new radio
KR20180049782A (ko)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5G New Radio 초광대역 지원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6250*
3GPP R1-18067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88561A (zh) 2020-12-15
EP3836708A1 (en) 2021-06-16
KR20200018310A (ko) 2020-02-19
EP3836708A4 (en) 2022-08-10
US11445542B2 (en) 2022-09-13
US20210235487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unlicensed band
KR102408453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6031B1 (ko) 비면허 대역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82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in unlicensed band
KR102332313B1 (ko)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98009B1 (ko)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235496A1 (en) Frequency hopping method and device in unlicensed band
KR102385929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84248A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0185B1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3457A (ko)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87084A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56485A (ko) 대역폭 파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4660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5456A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3030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2454B1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3609A (ko) 비면허 대역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30913A (ko) 측위 참조신호 전송의 오버헤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14813A (ko)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1073A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27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4443A (ko) 반 이중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65859A (ko) 주파수 자원 영역 기반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147548A (ko) 무선 망에서 전이중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