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10B1 -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910B1
KR102385910B1 KR1020210029682A KR20210029682A KR102385910B1 KR 102385910 B1 KR102385910 B1 KR 102385910B1 KR 1020210029682 A KR1020210029682 A KR 1020210029682A KR 20210029682 A KR20210029682 A KR 20210029682A KR 102385910 B1 KR102385910 B1 KR 10238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sychotherapy
contents
eye mov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약마인드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약마인드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약마인드핏
Priority to KR102021002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10B1/ko
Priority to KR1020210096562A priority patent/KR102385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컨텐츠 선택부(3110), 컨텐츠 배치부(3120), 점크기선택부(3130), 점속도 선택부(3140), 및 컨텐츠 재생시간 선택부(3150)로 구성된 컨텐츠 생성부(3100), 및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로 구성된 컨텐츠 저장부(32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 상기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 상기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 상기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 및 상기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4000);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전송하는 통신수단(2000); 및 상기 통신수단(20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닌,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전면에 구현방식으로 재생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눈에 피로감이나 자극을 주지 않는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PSYCHOTHERAPY SYSTEM USING SMART GLASS DEVICE}
본 발명은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구운동에 의한 정신치료에서 부작용과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정신치료를 효과적이고도 간편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 폭행, 산업재해, 전쟁, 자연재해 등 다양한 형태의 과거의 충격적인 사건이나 경험이 사람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 및 해를 끼쳐서, 피해자들이 고통에 대한 기억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한 경우에는 공포증, 공황발작 등의 정신병의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의 뇌에 부정적인 기억으로 남아 있는 현상으로 인한 정신병의 문제가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킬 때, 눈을 좌우로 움직임을 반복함으로써 각인된 기억을 둔감화시키고 부정적인 기억을 재처리하여 현재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정신 치료법중의 하나가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1987년 미국의 프랜신샤피로(Francine Shapiro)박사는 여러가지 고민을 하면서 공원을 산책하다가 우연히 눈을 빨리 움직이니까 고민하던 부정적이고 기분 나뿐 생각들이 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개발된 치료방법으로서,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행된 트라우마로 인한 후유증 진료지침에서 가장 효과적인 PTSD의 심리치료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정신적으로 심각한 상처로 매우 고통스러울 때 대뇌는 정상적으로 정보를 처리하지 못하고 고통을 유발한 사건은 정보처리계에 갇혀 버리고 당사자가 이 사건을 기억할 때 장면, 소리, 냄새, 생각, 감정이 일어나면 실제 그 사건이 있었을 때와 같은 강렬한 느낌이 생기므로 이런 고통스러운 기억은 당사자에게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EMDR 치료법은 대뇌가 고통스러운 기억을 처리하는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점에 착안하여 대뇌와 연결된 시신경에 양측성 자극을 주어 정보처리계를 활성화시켜 기억을 재처리하는 것이다.
고통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서 안구운동을 계속하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같이 떠올리면 불안하고 고통스럽게 느껴지던 기억들이 일상적인 하나의 일처럼 느껴지면서 자신이 처한 불안을 충분히 조절하고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잠재의식 속으로 스며들어가면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EMDR 치료법은 치료기간이 짧고 치료자와 환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치료방법의 하나로 일반적인 약물치료나 정신치료가 최소 6개월이상 많게는 몇 년간 치료가 계속되는 방면 EMDR은 평균 6회(3회 ~8회)로 짧으며,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치료 회수는 달라 질 수 있다.
EMDR 치료법에 따른 안구운동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만이 아니라 안구운동을 하면 눈동자를 둘러싸고 있는 시신경이 전두엽을 활성화시켜 소뇌를 자극함으로써 시력개선과 학습능력도 향상시켜 암기력과 창의력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눈동자를 굴리거나 상하좌우로 스트레칭을 반복하면 각종 안질환을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EMDR 치료법에 따라, 불빛을 따라 눈을 좌우로 움직이는 안구운동에 의한 이러한 정신병의 의학적 치료를 받기 위해서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종래의 치료장치에는 여러 종류의 제품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병원에서 활용하는 장비로서, 수평바를 따라 움직이는 EMDR 장비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예시한 EMDR 장비의 사용방법은 환자가 수평바의 1m 전방에 앉아서 좌우로 움직이는 LED 수평 바 불빛에 따라 눈동자를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안구운동을 하게 하는 방식이며, 이 장비의 구성과 사용방법 및 비용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 구동방식 - 수평 Bar type 22 LED 좌우 Scan 구동 방식,
좌우 끝에서만 번갈아 반짝이는 방식.
- 색: 4 종류의 색(청(Blue), 녹(Green), 청록(Teal), 자주(Purple))
- LED 밝기 조절이 가능함
- 의사가 LED 바를 조작함
- 환자는 EMDR 장비의 1m 전방에 앉아서 의사의 지시를 받아서 안구운동 진행.
- 외상 후 스트레스성 장애(트라우마), 중독, 스트레스, 공포, 우울증, 공황장애, 불안등 치료 목적으로 활용.
- 치료 비용 1회당 15~20만원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채용하는 제품의 LED 불빛은 청색 빛을 포함하는데, 청색 빛은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방해하여 취침 전에 이러한 제품을 장시간 사용하면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어 인체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EMDR 치료를 받기 위해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아야 하므로 간편하게 자가치료를 받으려는 사람들에게 매우 불편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EMDR 치료법에 따른 안구운동에 의한 이러한 정신병의 의학적 치료를 받기 위해서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기술의 일 예(도 2)로서, '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등록번호 10-1904505, 등록일자 2018년09월27일)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일반인이 혼자서 간단하게 양쪽 뇌를 자극하는 방식에 따라 정신치료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치료장치 및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단말기를 통해 정신치료시스템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가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정신치료장치 및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유도 및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치료에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며, 몸체를 얼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완충재를 구비하고, 몸체는 기기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과 음성신호의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바가 구비되며, LED바는 사용자의 좌측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LED열이 배치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우측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LED열이 배치되며, LED바의 사용자 눈에 대응하는 측면에는 보호필름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예시한 EMDR 장비의 구성과 사용방법 및 비용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 제품을 착용하고 제품에 2개의 파란 LED 불빛이 나오고 LED 불빛이 움직이면 불빛을 따라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인다.
- 구동 방식 - 110 LED로 좌측LED와 우측 LED를 구분되어 있으며 착용전에는 두개의 불빛이 착용하면 하나의 불빛으로 보이게 하는 특허 받은 좌우 수평 안구운동 방식.
- 색: 1 종류의 색 (청 LED)
- 사용자에 따라 초점 설정, 밝기, 속도 조절
- 사용자가 스스로 제품을 착용한후 제품의 음성에 따라 안구운동 진행함.
- 안구운동 동작은 기기 자체 플레이 제어 또는 블루투스 연결을 통한 스마트폰 제어 방식
- 스트레스 관리, 우울감 개선, 수면 개선, 집중력, 기억력 향상 등 개인의 심리안정용으로 활용.
- 비용은 제품 구입시만 비용이 들어감.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불편을 해소하고 간단히 눈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안구운동만을 간편하게 수행하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고, 개인단말기의 착용도 불편하였으며, 그 기능도 제한적이어서 치료자의 불편함과 만족도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정신병의 의학적 치료를 받기 위해서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기술의 다른 예(도 3)로서, '뇌파신호를 센싱 하는 정신치료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신호를 표시 및 저장하는 정신치료시스템 및 중간관리자를 통한 뇌파신호 관리시스템' (등록번호 10-2074794. 등록일자 2020년02월03일)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정신치료장치 및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단말기를 통해 정신치료 시스템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받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정신적 안정 및 심리치료가 가능하도록 된 뇌파를 표시할 수 있는 정신치료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신호를 표시 및 저장하는 정신치료 시스템으로서, 개인에게 뇌파 신호 뿐만 아니라 심박수, 산소포화도 등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개인에게 신체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뇌파측정신호를 표시 및 저장하는 뇌파측정신호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불편을 해소하고 간단히 눈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안구운동만을 간편하게 수행하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복잡한 기능들의 부가로 치료자의 불편함과 비용을 증가시키고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또는 이외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 위치에 바로 영상이 투사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 또는 스마트글래스를 위해 개발된 종래기술의 일 예(도 4, 5, 6)로서, '스마트글래스 장치'(등록번호 10-1822870, 등록일자 2018년01월23일)가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스마트글래스 장치(300)는 영상 처리부(200), 카메라부(310), 마이크부(320), 스피커부(330), 무선통신부(340), 메모리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도 4). 도 5는 이 기술의 스마트글래스 장치(도4)를 통한 스마트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6는 이 기술의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스마트폰(510) 및 스마트 워치(52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기술에서 스마트글래스 장치(300)는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병원을 방문하고 정신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받는 불편없이 간단히 정신치료를 수행하려는 정신치료 대상자들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지 않아서는 정신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시킨 것으로,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하는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구운동 컨텐츠에 의한 정신치료에서 부작용과 피로감을 감소시키면서, 정신치료를 효과적이고도 간편하게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구운동 컨텐츠에 의한 정신치료에서 안구운동 컨텐츠에 정신치료에 도움을 주는 색채, 배경 컨텐츠를 도입하여 정신치료 효과를 높이는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구운동 컨텐츠에 의한 정신치료에서 안구운동 컨텐츠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영상 컨텐츠와 음악, 자연의 소리, 음성 메시지와 같은 청각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구운동 컨텐츠에 의한 정신치료에서 사용자의 심신상태에 따른 맞춤형 조절 기능을 포함하여 정신치료 효과를 높이는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컨텐츠 선택부(3110), 컨텐츠 배치부(3120), 점크기선택부(3130), 점속도 선택부(3140), 및 컨텐츠 재생시간 선택부(3150)로 구성된 컨텐츠 생성부(3100), 및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로 구성된 컨텐츠 저장부(32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 상기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 상기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 상기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 및 상기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4000);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전송하는 통신수단(2000); 및 상기 통신수단(20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닌,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전면에 구현방식으로 재생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눈에 피로감이나 자극을 주지 않는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3100)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32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들을 정신치료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컨텐츠선택부(3110),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들을 정신치료 목적에 맞게 배치하는 컨텐츠배치부(312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에 포함된 움직이는 점의 크기를 단계별로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가 움직이는 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점크기선택부(313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에 포함된 움직이는 점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치료단계에 맞춤형으로 안구운동 컨텐츠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점속도선택부(3140), 및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불면증으로 잠을 잘 못 자는 사용자에게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재생시간선택부(3150)를 더 포함하고,상기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는 스마트글래스(1100), 슬리모드 설정부(1200), 및 전원자동 OFF설정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중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는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뫼비우스 띠를 따라 하는 안구운동 영상, 및 하나의 점으로 좌우 상하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색채 컨텐츠(4500)는 마음의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색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채는 청색, 녹색, 적색, 또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다른 색채 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각컨텐츠(4100)는,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 음성 메시지, 또는 클래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한 신체가 좋아하는 다양한 소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4200)는 상기 청각 컨텐츠(4100)를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영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에서는 S/W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전면에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태이며,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니 때문에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감이나 눈의 자극을 주지 않는다.
2.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와 함께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성메시지 등 우리 몸이 좋아하는 다양한 청각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청각 컨텐츠로부터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 사진과 동영상과 같은 영상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준다.
3.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에서 움직이는 점을 단계별로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움직이는 점 감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불면증으로 잠을 잘 못 자는 사용자를 위해 정신치료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10분,20분,30분,40분,50분 60분등 10분 단위로 설정을 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의 재생에 1~10 단계 속도를 설정하여 움직이는 점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치료단계에 맞춤형으로 안구운동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선택한 정신치료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하여 배터리소모를 줄일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대기시간에도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모드(Slee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수평바를 따라 움직이는 EMDR 장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정신치료장치용 개인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뇌파신호를 센싱 하는 정신치료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뇌파신호를 표시 및 저장하는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및 중간관리자를 통한 뇌파신호 관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5 및 6은 종래기술의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또는 이외의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 위치에 바로 영상이 투사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글래스 장치, 영상 시청 프로세스 및 영상시청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도 7(a)에서, 정신치료 컨텐츠의 구성과 정신치료 컨텐츠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컨텐츠(도 8(a)),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영상 건텐츠(도 8(b)), 하나의 점으로 뫼비우스 띠를 따라 하는 안구운동 영상 컨텐츠(도 8(c))를 정신치료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전송 받는 스마트클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 의해 정신치료를 받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용 색채 컨텐츠에 사용되는 각 색채의 정신치료 효과를 도시하고, 도 9(e)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용 색채 컨텐츠에 사용되는 각 색채의 정신치료 효과를 요약한 도표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상 컨텐츠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1(e)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안구운동 컨텐츠와 색채 컨텐츠, 및 배경 컨텐츠가 결합 예들을 도시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 컨텐츠에 결합되는 청각 컨텐츠 일 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10000)을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에서,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구성과 정신치료 컨텐츠 생성부(3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10000)은, 예를 들어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와,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전송하는 통신수단(2000)과,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는,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저장하는 제1저장소(3210),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저장하는 제2저장소(3220),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저장하는 제3저장소(3230),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저장하는 제4저장소(3240),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저장하는 제5저장소(3250)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장부(3200)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3200)로부터 정신치료 목적에 맞는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3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전송하는 통신수단(2000)은, 일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유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유무선 통신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20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재생하는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는,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닌,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전면에 구현방식으로 재생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눈에 피로감이나 자극을 주지 않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는 스마트글래스(1100), 대기시간에도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립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슬립모드 설정부(1200), 및 선택한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재생이 끝나면 스마트글래스 장치는 자동 전원 OFF 시간에 따라 배터리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OFF하는 전원자동 OFF설정부(130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생성부(3100)는,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저장부(32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들을 정신치료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컨텐츠선택부(3110),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텐츠들을 정신치료 목적에 맞게 배치하는 컨텐츠배치부(312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에 포함된 움직이는 점의 크기를 단계별로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가 움직이는 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점크기선택부(313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에 포함된 움직이는 점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치료단계에 맞춤형으로 안구운동 컨텐츠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점속도선택부(3140), 및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불면증으로 잠을 잘 못 자는 사용자에게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재생시간선택부(3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중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7(d)를 참조하면,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초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말기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7(e)를 참조하면,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는,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를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를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의 재생 기간 동안에 재생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의 전체 재생 기간 동안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컨텐츠(도 8(a)),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영상 건텐츠(도 8(b)), 하나의 점으로 뫼비우스 띠를 따라 하는 안구운동 영상 컨텐츠(도 8(c))를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스마트클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 의해 정신치료를 받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용 색채 컨텐츠에 사용되는 각 색채의 정신치료 효과를 도시하고, 도 9(e)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용 색채 컨텐츠에 사용되는 각 색채의 정신치료 효과를 요약한 도표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상 컨텐츠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1(e)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안구운동 컨텐츠와 색채 컨텐츠, 및 배경 컨텐츠가 결합 예들을 도시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신치료 컨텐츠에 결합되는 청각 컨텐츠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8(a)-도 8(c), 및 도 11(a)-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뫼비우스 띠를 따라 하는 안구운동 영상 및 하나의 점으로 좌우 상하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도 9(e), 및 도 11(a)-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색채 컨텐츠(4500)는, 예를 들어, 마음의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색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채는 청색, 녹색, 적색, 또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다른 색채 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청각 컨텐츠(4100)는, 예를 들어,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 음성 메시지, 또는 클래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한 신체가 좋아하는 다양한 소리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a)-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4200)는, 예를 들어, 상기 청각 컨텐츠(4100)를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영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글래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의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효과와 편의성의 우수한 정신치료 목적의 안구운동 방식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글래스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정신치료 컨텐츠를 렌즈의 가상 화면을 띄워 이미지로 구현하는 안구운동을 포함하는 다양한 컨텐츠 재생방식이다
1) 다양한 모양의 안구운동을 실시한다(종래 기술에서는 수평으로만 움직이는 좌우 안구운동 방식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S/W으로 안구운동 방식을 구현하기 때문에 원하는 모양, 패턴에 대하여 모두 구현이 가능하다).
a.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b.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c. 뫼비우스 띠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d. 좌우 상하 다양한 형태의 안구운동
2) 여러가지 색채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의 기분이나 감정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상황에 맞는 색채를 선택하여 안구운동을 하면 각 색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와 성질을 이용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눈을 통해 전달된 빛의 자극은 기분이나 감정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심리적 안정감 효과를 주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컬러테라피를 추구할 수 있다.
● 파랑색: 긴장하거나 신경이 예민해졌을 때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 불안감과 불면을 해소, 스트레스를 줄여 줌.
● 녹색: 심신이 불안정하고 과도한 스트레스와 긴장상태일때, 마음의 안정, 감정의 균형이 필요할 때, 눈의 피로를 덜어줄 때.
● 빨강색: 우울한 기분이 들 때, 지칠 때, 자신감을 높여주고자 할 때.
● 보라색: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슬플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부정적인 상황을 긍정적으로 치유하고 싶을 때.
● 기타 색상
3) 종래 기술의 제품은 LED 불빛은 가시광선대역(400~760nm)의 빛의 파장을 사용하지만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S/W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전면에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태로 실시된다.
4) 빛의 파장의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제품들은 빛을 따라 눈동자를 움직이는 보니 청색 빛은 수면 호로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방해하여 취침전에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활용하면 충분한 수면을 방해경우 있으므로 불빛이 인체에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니 때문에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감/눈의 자극을 주지 않는다.
5)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정신치료 컨텐츠제공 장치를,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와이파이, 블루투스)을 이용하여 스마트글래스 장치와 연결하여 스정신치료 컨텐츠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안구운동 영상을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를 스마트글래스 장치에 전송하여 EMDR 안구운동을 실시하게 한다.
6) 종래 기술의 제품은 LED 불빛은 가시광선대역(400~760nm)의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빛을 따라 눈동자를 움직이다 보니 청색 빛은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방해하여 취침 전에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 불빛이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S/W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전면에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이어서 수면장애와 같은 악영향을 인체에 주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은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니 때문에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감과 눈의 자극을 주지 않는다.
7)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는 물론, 클래식, 음성 메시지 등 우리 몸이 좋아하는 다양한 소리를 활용하여 음악에서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을 사진과 동영상과 같은 영상 컨텐츠를 함께 안구운동 컨텐츠 사이사이에 보여주면 몰입도를 높여서 마음을 정화하며 심신 안정에 도움을 준다
8)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의 움직이는 점을 단계별로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하여 시력이 안 좋은 사용자도 움직이는 점 감지가 가능하다.
9)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는 불면증으로 잠을 잘 못자는 사용자에게 정신치료 컨텐츠의 재생시간을 10분,20분,30분,40분,50분 60분등 10분 단위로 시간을 사용자 상황에 맞게 설정을 할 수 있다.
10)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1~10 단계 속도를 설정하여 움직이는 점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11)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는 선택한 정신치료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면 스마트글래스 장치는 자동 전원 OFF 시간에 따라 배터리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OFF한다.
12)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는 대기시간에도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슬립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설정한 슬립 모드 시간이 되면 통신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메인칩은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13)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스마트글래스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스마트글래스 장치와 연결하여 정신치료 컨텐츠를 스마트글래스 장치로 전송하여 스마트클래스 장치에서 정신치료 컨텐츠를 재생하여 EMDR 안구운동 정신치료를 수행한다.
14)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에서 스마트글래스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를 무선 Wifi Direct 방식을 활용하여 별도 AP 없이도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Wifi 모듈과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를 Wifi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안구운동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를 스마트글래스 장치로 전송하여 EMDR 안구운동을 포함하는 정신치료를 수행한다.
2. 본 발명의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사용방법
a.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케이블을 스마트폰과 연결한다(유선).
b.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전원을 켠다 (전원 LED가 켜졌으면 파란색으로 점등).
c.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화면이 켜졌나 확인한다.
d. 스마트폰에서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 앱(App)을 가동한다.
e.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다.
3. 본 발명의 정신치료 컨텐츠 사용방법
a.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 앱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클릭(터치)한다.
b.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 앱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통해 정신치료를 수행한다.
4. 본 발명의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의 기기 설정 사용방법
a. EMDR 기기 설정을 클릭(터치)한다.
① EMDR 형태 선택 - 수평, 타원, 동그라미, 뫼비우스띠 모양
② EMDR 색상 - 파랑색, 빨강색, 녹색, 보라색
③ 구동시간 -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④ EMDR 점 크기 -5단계(단계가 높을수록 점이 커진다)
⑤ EMDR 점 반복 속도 - 10단계(단계가 높을수록 속도가 빨라진다)
⑥ 자동 전원 OFF 시간: 없음, 3분,5분,10분
⑦ Sleep 모드 시간: 없음, 3분, 5분, 10분
b. 정신치료 컨텐츠 앱에서 제공하는 EMDR을 스마트 글래스장치를 통해 정신치료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에서는 S/W로 이미지를 구현하여 전면에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태이며,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니 때문에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감이나 눈의 자극을 주지 않는다.
2.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와 함께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성메시지 등 우리 몸이 좋아하는 다양한 청각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청각 컨텐츠로부터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 사진과 동영상과 같은 영상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준다.
3.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에서 움직이는 점을 단계별로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하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움직이는 점 감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불면증으로 잠을 잘 못 자는 사용자를 위해 정신치료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10분,20분,30분,40분,50분 60분등 10분 단위로 설정을 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안구운동 컨텐츠의 재생에 1~10 단계 속도를 설정하여 움직이는 점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치료단계에 맞춤형으로 안구운동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선택한 정신치료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하여 배터리소모를 줄일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대기시간에도 스마트글래스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모드(Sleep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스마트 글래스 장치, 1100 스마트글래스, 1200 슬립모드 설정부, 1300 전원자동 OFF설정부, 2000 통신수단, 3000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 3100 컨텐츠 생성부, 3110 컨탠츠 선택부, 3120 컨텐츠 배치부, 3130 점크기선택부, 3140 점속도 선택부, 3150 컨텐츠 재생시간 선택부, 3200 컨텐츠 저장부, 3210 영상컨텐츠 저장소, 3220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 3230 색채 컨텐츠 저장소, 3240 배경 컨텐츠 저장소, 3250 청각 컨텐츠 저장소, 4000 정신치료 컨텐츠, 4100 청각 컨텐츠, 4200 영상 컨텐츠, 4300 배경 컨텐츠, 4400 안구운동 컨텐츠, 4500 색채 컨텐츠, 10000 본 발명의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Claims (10)

  1.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으로서,
    컨텐츠 선택부(3110), 컨텐츠 배치부(3120), 점크기선택부(3130), 점속도 선택부(3140), 및 컨텐츠 재생시간 선택부(3150)로 구성된 컨텐츠 생성부(3100), 및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로 구성된 컨텐츠 저장부(32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
    상기 영상컨텐츠 저장소(32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컨텐츠(4200),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 저장소(3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구운동 컨텐츠(4400), 상기 색채 컨텐츠 저장소(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색채 컨텐츠(4500), 상기 배경 컨텐츠 저장소(3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경 컨텐츠(4300), 및 상기 청각 컨텐츠 저장소(32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청각 컨텐츠(4100)를 포함하는 정신치료 컨텐츠(4000);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 제공장치(30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전송하는 통신수단(2000); 및
    상기 통신수단(20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신치료 컨텐츠(4000)를, 빛의 파장을 이용한 구현방식이 아닌, 가상 화면 객체 이미지를 전면에 구현방식으로 재생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눈에 피로감이나 자극을 주지 않는 스마트글래스 장치(1000)로 구성되고,
    상기 안구운동 컨텐츠(4400)는 하나의 점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타원모양을 따라하는 안구운동 영상, 하나의 점으로 뫼비우스 띠를 따라 하는 안구운동 영상 및 하나의 점으로 좌우 상하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는 안구운동 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색채 컨텐츠(4500)는 마음의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색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색채는 청색, 녹색, 적색, 또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위안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다른 색채 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컨텐츠(4100)는, 아름다운 음악, 풀벌레 소리, 잔잔한 파도소리, 빗방울 소리 등 자연의 소리, 음성 메시지, 또는 클래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한 신체가 좋아하는 다양한 소리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4200)는 상기 청각 컨텐츠(4100)를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나 그림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마음을 정화하여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영상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29682A 2021-03-05 2021-03-05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KR10238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82A KR102385910B1 (ko) 2021-03-05 2021-03-05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KR1020210096562A KR102385911B1 (ko) 2021-03-05 2021-07-22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82A KR102385910B1 (ko) 2021-03-05 2021-03-05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62A Division KR102385911B1 (ko) 2021-03-05 2021-07-22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10B1 true KR102385910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82A KR102385910B1 (ko) 2021-03-05 2021-03-05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KR1020210096562A KR102385911B1 (ko) 2021-03-05 2021-07-22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62A KR102385911B1 (ko) 2021-03-05 2021-07-22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5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153B1 (ko) * 2016-09-29 2017-10-23 길승종 가상현실 기반의 emdr 안구 운동의 몰입형 제공 방법
US20190374741A1 (en) * 2016-08-10 2019-12-12 Louis DERUNGS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KR102072788B1 (ko) * 2015-04-30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콘텐트 화면 변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88B1 (ko) * 2015-04-30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콘텐트 화면 변경방법
US20190374741A1 (en) * 2016-08-10 2019-12-12 Louis DERUNGS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KR101789153B1 (ko) * 2016-09-29 2017-10-23 길승종 가상현실 기반의 emdr 안구 운동의 몰입형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11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654B1 (en) Digital eyewear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igraines and photophobia
KR100902610B1 (ko) 정신치료장치
US11000669B2 (en)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US20200289321A1 (en) Circadian Rhythm Adjustment System
KR101904505B1 (ko) 정신치료장치 및 개인단말기와 블루투스통신을 통해 연결된 정신치료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시스템
US20210151166A1 (en) Stres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CN202051965U (zh) 养目品
WO2020051511A1 (en) Autonomous multisensory apparatus for screening and therapy of visual, auditory and cognitive impairment with diagnostic capability and method thereof
WO2020153584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CN206453898U (zh) 一种智能光电治疗近视、弱视视力调节装置
KR102385910B1 (ko) 스마트글래스 장치를 이용한 정신치료 보조 시스템
CN101001588A (zh) 一种使用仿生学方法治疗眼睛的装置
US20230296895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to enhance brain function via presentation of visual effects in far and/or ultra-far peripheral field
Inoue et al. Effective Medical Creation (EMC)—A New Approach to Improvement of Patient Management in the Standpoint of Hospital Room Environment
US20220212030A1 (en) Enhancement of Focus and Concentration by Combination of Flashing Light, Sound, and/or Binaural Beats to Stimulate Neural Oscillations in the Neocortex and Facilitate Training and Learning
Spira et al. Hypnosis and related techniques in pain management
CN105227871B (zh) 催眠电视
CN211149112U (zh) 一种治疗失眠的音光催眠眼镜
CN110780464A (zh) 一种治疗失眠的音光催眠眼镜
CN107296746A (zh) 一种三维空间训练仪
Ayan Laughing matters
RU187532U1 (ru) Оптические зеркала для релаксации и аутотренинга
WO2023162359A1 (ja) 誘導装置
CN213641955U (zh) 一种裸眼视力提升辅助系统
KR20090120402A (ko) 정신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