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832B1 -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32B1
KR102385832B1 KR1020200046227A KR20200046227A KR102385832B1 KR 102385832 B1 KR102385832 B1 KR 102385832B1 KR 1020200046227 A KR1020200046227 A KR 1020200046227A KR 20200046227 A KR20200046227 A KR 20200046227A KR 102385832 B1 KR102385832 B1 KR 10238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cycling
value
polymer sample
pred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256A (ko
Inventor
지호석
김상모
노현서
호종표
Original Assignee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66Grinding or homogene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고분자 시료의 초기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METHOD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POLYMER RECYCLING CYCLES}
본 발명은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의 재활용은 현재 고분자 시장의 주요 이슈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재생용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추세이다.
고분자는 사용이 완료된 제품을 분쇄한 후 다시 사출 또는 압출하여 재활용되는데, 재활용이 반복됨에 따라 가해지는 열과 전단응력의 영향에 의해 열화가 발생하므로, 재활용이 과도하게 반복된 고분자 제품은 성형성이나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고분자의 실질적인 재활용 공정을 거치지 않고, 재활용 가능성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고분자의 재활용 가능성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분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법은 GPC로 고분자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시료와 비교하여 재활용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비교에 의한 상대적인 판단에 불과하고, 절대적인 값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재활용에 따른 고분자의 열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Richard S. Stein, Polymer recycling: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Proc. Natl. Acad. Sci. USA 89 (1992).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의 실질적인 재활용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고분자 재활용 가능성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고분자 시료의 초기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은 소량의 시료를 이용하여 유변물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고분자의 재활용 가능 횟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분자량 분포, 기계적 물성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예측만이 가능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재활용에 따른 고분자의 열화를 반영한 직접적인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높은 예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시료의 재사출 횟수 및 특성화 시간 변화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고분자 시료의 초기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고분자는 사용이 완료된 제품을 분쇄한 후 다시 사출 또는 압출하여 재활용되는데, 재활용이 반복됨에 따라 가해지는 열과 전단응력의 영향을 받아 열화가 발생하므로, 재활용된 고분자 제품의 성형성이나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의 실질적인 재활용 공정을 거치지 않고, 재활용 가능성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분자의 재활용 가능성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GPC를 이용한 분석을 통한 예측 방법이 있다. 하지만, GPC를 활용한 예측 방법은 측정한 기준 시료와의 상대적인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측정이 번거롭고 절대적인 값으로 활용되기 어려우며, 재활용에 따른 고분자의 열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예측 방법은 시료의 준비와 측정이 간단하며 유변 물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활용에 따른 고분자의 열화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상기 (B) 단계 및 (C) 단계의 재활용은 상기 (A) 단계의 고분자 시료 및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분쇄한 후 사출 또는 압출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수차례 재활용한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재활용 횟수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측정된 동적 점탄성 값은 상기 (D) 단계의 연산에 전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재활용이 5회 수행된 경우, 재활용 횟수가 1회, 3회, 5회인 고분자 시료에 대해 측정된 동적 점탄성 값만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점탄성 값은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및 손실탄성률(loss modulus)이 동일한 값을 갖는 진동수(1/s)의 역수에 해당하는 특성화 시간(characteristic time, s)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초기 동적 점탄성 값과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횟수에 대한 상기 차이 값을 선형 근사하여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펠렛을 사출하여 준비한 고분자 시료의 초기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한 후, 측정한 고분자 시료를 분쇄하고 사출하여 고분자 시료를 다시 제조한다. 다시 제조한 고분자 시료의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고, 재분쇄 및 재사출하여 시료를 제조한 후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한다. 고분자 시료의 사출 횟수가 5회가 될 때까지 시료의 제조 및 동적 점탄성 값 측정을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반복한다. 상기 측정한 초기 동적 점탄성 값과 사출 횟수 1회 내지 5회 고분자 시료의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한다. 사출 횟수에 대한 상기 차이 값을 선형 근사하여 일차함수를 도출한 후 그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여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를 결정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기울기가 0.0002 내지 0.0003의 기울기를 갖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5회 재활용 가능, 기울기가 0.0003 초과 0.0006 미만의 경우 3회 재활용 가능, 기울기가 0.0006 이상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호모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선형 고분자로 타 고분자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져 열과 전단응력에 대한 반응성이 큰 특성을 바탕으로 전술한 선형 근사에 의해 도출한 일차함수 기울기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 재활용 횟수에 대한 정확한 예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상이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내열성이 낮아 열과 전단응력에 대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보다 바람직한 예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A) 내지 (C) 단계의 동적 점탄성 값의 측정은 170 내지 23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측정하는 것이 동적 점탄성 값의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측정 대상 고분자가 용융되어 낮은 토크만으로도 변형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온도 미만에서는 고분자가 용융상태가 아니거나 분석기기 가동 시 부하가 발생하여 분석기기에 부적절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고분자 재활용의 방법, 측정하는 동적 점탄성 값의 종류, 측정된 동적 점탄성 값을 이용한 연산 방법, 동적 점탄성 값의 측정 온도 등의 조건을 변화시켜,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였고, 재활용 횟수에 따른 고분자 시료의 충격강도 변화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이 모두 만족하였을 때 재활용 횟수에 대한 동적 점탄성 값의 선형 근사에서 도출한 일차함수의 결정계수(R2)가 0.9 이상의 값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 횟수의 한계가 5회 이상으로 매우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ⅰ) 고분자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ⅱ) 상기 (B) 단계 및 (C) 단계의 재활용은 상기 (A) 단계의 고분자 시료 및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분쇄한 후 사출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 (ⅲ) 동적 점탄성 값은 저장탄성률 및 손실탄성률이 동일한 값을 갖는 진동수(1/s)의 역수인 특성화 시간(characteristic time, s), (ⅳ)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초기 동적 점탄성 값과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횟수에 대한 상기 차이 값을 선형 근사하여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 (ⅴ) 상기 (A) 내지 (C) 단계의 동적 점탄성 값의 측정은 17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
다만,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활용 횟수에 대한 동적 점탄성 값의 선형 근사에서 도출한 일차함수의 결정계수(R2)가 0.8 미만의 값을 가졌으며, 예측 가능한 재활용 가능 횟수가 3회 이하로 하락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1.
콘 앤 플레이트(Cone & Plate) 사이에 용융지수(melt index, MI)가 9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제품 펠렛을 이용하여 원형의 시편(직경: 25mm)을 190 ℃ 및 5 MPa 조건 하에서 제작하였다. ARES-G2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180 ℃의 온도 조건에서 저장탄성률과 손실탄성률이 동일한 값을 갖는 진동수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진동수 및 상기 진동수의 역수에 해당하는 특성화 시간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사출기를 이용하여 평평한 형상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반복적인 열과 전단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사출된 시편을 분쇄한 후 재사출하였으며, 재사출을 5 회 반복하며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용융지수가 24.5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제품 펠렛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용융지수가 28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제품 펠렛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용융지수가 39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제품 펠렛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류 진동수(1/s) 특성화 시간(s)
재사출 횟수 0 1 3 5 0 1 3 5
실시예 1 41.0575 42.3657 46.8434 50.7187 0.02436 0.02360 0.02135 0.01972
실시예 2 131.136 143.874 178.983 226.89 0.00763 0.00695 0.00559 0.00441
실시예 3 130.302 132.84 147.915 154.452 0.00767 0.00753 0.00676 0.00647
실시예 4 219.579 223.728 233.032 274.057 0.00455 0.00447 0.00429 0.00365
다음으로 상기 측정한 고분자 시편의 특성화 시간과 초기 고분자 시편의 특성화 시간의 차이 값(Δ특성화 시간)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분류 Δ특성화 시간(s)
재사출 횟수 0 1 3 5
실시예 1 0 0.00076 0.00301 0.00464
실시예 2 0 0.00068 0.00204 0.00322
실시예 3 0 0.00014 0.00091 0.0012
실시예 4 0 8E-05 0.00026 0.0009
상기 표 2에서 계산한 Δ특성화 시간과 재사출 횟수를 선형 근사하여 일차함수를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일차함수 및 그 결정계수(R2)의 값은 아래와 같다. 또한 도 1에 재사출 횟수에 대한 Δ특성화 시간의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아래 각 일차함수에서 X는 재사출 횟수이고, Y는 Δ특성화 시간이다.
- 실시예 1: Y = 0.001 X - 5*10-5 (R2 = 0.9948)
- 실시예 2: Y = 0.0006 X + 3*10-5 (R2 = 0.9988)
- 실시예 3: Y = 0.0003 X - 1*10-5 (R2 = 0.9616)
- 실시예 4: Y = 0.0002 X - 8*10-5 (R2 = 0.8971)
다음으로 고분자의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재활용에 따른 물성 저하가 큰 고분자의 경우, 재활용(재사출, 재압출 등)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과 전단응력에 의해 사슬 절단 등의 요인에 따른 열화가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재활용에 적합하지 못하다. 반면 물성 저하가 비교적 적을 경우, 열과 전단 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 재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고분자 시편의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시편에 대하여 초기 고분자 시편의 충격강도 대비 충격강도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충격강도 및 충격강도 변화율의 결과 값은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분류 Izod 충격강도(J/m) 충격강도 변화율(%)
재사출 횟수 0 1 3 5 0 1 3 5
실시예 1 76 67 66 62 0 11.8 13.2 18.4
실시예 2 68 60 59 57 0 11.8 13.2 16.2
실시예 3 94 91 89 87 0 3.2 5.3 7.4
실시예 4 70.5 70 69 66 0 0.7 2.1 6.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폴리프로필렌 시편은 재사출에 따른 충격강도 변화율이 10%를 초과하여 재활용에 부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3 및 4의 경우, 초기 고분자 시편의 충격강도 대비 충격강도 변화율이 5회 재사출을 진행할 때까지 10% 미만의 값을 가져 5회 내외의 재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는 각각 0.001 및 0.0006인 반면, 실시예 3 및 4에서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는 각각 0.0003 및 0.0002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졌으며, 상기 충격강도 변화율과 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관관계를 통하여 상기 일차함수의 기울기를 연산함으로써 재활용 가능 여부 또는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기울기가 0.0002 내지 0.0003의 기울기를 갖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5회 재활용 가능, 기울기가 0.0003 초과 0.0006 미만의 경우 3회 재활용 가능, 기울기가 0.0006 이상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이용한 재활용 횟수 예측 방법과의 비교를 위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분석을 이용하여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4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재사출 횟수에 따른 GP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분류 GPC
Mn Mw MWD Mn Mw MWD Mn Mw MWD Mn Mw MWD
재사출
횟수
0 1 3 5
실시예 1 73699 383794 5.21 75206 405834 5.40 72926 368013 5.05 69410 358822 5.17
실시예 2 59459 298086 5.01 56799 285677 5.03 58135 259756 4.47 54543 267732 4.91
실시예 3 55144 287944 5.22 51609 278094 5.39 51288 270732 5.28 52401 250083 4.77
실시예 4 54499 265599 4.87 52997 258404 4.88 52148 252983 4.85 50716 239857 4.73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GPC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각 실시예의 고분자의 재사출 횟수 증가에 따른 경향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즉, GPC 분석을 통해 측정한 고분자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활용하는 방법은 기준시료와의 비교를 이용해야하므로, 상대적인 비교만이 가능할 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으며, 정확한 분석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은 소량의 시료를 이용하여 유변물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고분자의 재활용 가능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분자량 분포, 기계적 물성 등을 이용한 간접적인 예측만이 가능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재활용에 따른 고분자의 열화를 반영한 직접적인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높은 예측이 가능하다.

Claims (6)

  1. (A) 고분자 시료의 초기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재활용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고 동적 점탄성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을 이용하여 연산한 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여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가능 횟수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초기 동적 점탄성 값과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횟수에 대한 상기 차이 값을 선형 근사하여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은 상기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0.0002 내지 0.0003이면 5회 재활용이 가능하고, 기울기가 0.0003 초과 내지 0.0006 미만이면 3회 재활용이 가능하며, 기울기가 0.0006 이상이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점탄성 값은 저장탄성률 및 손실탄성률이 동일한 값을 갖는 진동수(1/s)의 역수에 해당하는 특성화 시간(characteristic time, s)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호모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C) 단계의 동적 점탄성 값의 측정은 170 내지 23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B) 단계 및 (C) 단계의 재활용은 상기 (A) 단계의 고분자 시료 및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고분자 시료를 분쇄한 후 사출하여 고분자 시료를 제조하는 것이고,
    상기 동적 점탄성 값은 저장탄성률 및 손실탄성률이 동일한 값을 갖는 진동수(1/s)의 역수인 특성화 시간(characteristic time, s)이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초기 동적 점탄성 값과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동적 점탄성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고분자 시료의 재활용 횟수에 대한 상기 차이 값을 선형 근사하여 도출한 일차함수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값인지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A) 내지 (C) 단계의 동적 점탄성 값의 측정은 17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KR1020200046227A 2020-04-16 2020-04-16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KR10238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27A KR102385832B1 (ko) 2020-04-16 2020-04-16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27A KR102385832B1 (ko) 2020-04-16 2020-04-16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56A KR20210128256A (ko) 2021-10-26
KR102385832B1 true KR102385832B1 (ko) 2022-04-12

Family

ID=7826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27A KR102385832B1 (ko) 2020-04-16 2020-04-16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004B1 (ko) * 2015-04-30 2019-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가공의 예측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 Incarnato et 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olypropylene, Polym. Eng. Sci. Vol.39, pp749-755(1999)*
M. Kozderka et al., Recycled high impact polypropylene in the automotive industry-mechanical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t. J. Interact. Des. Manuf. Vol.11, pp737-750(2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56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tlett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containing HDPE and PP
US7317054B2 (en) Melt blend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enhanced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1676883A2 (en) Melt blend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enhanced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rchodoulaki et al. Property changes in polyoxymethylene (POM) resulting from processing, ageing and recycling
Frick et 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lt processable PTFE: influence of molecular weight and comonomer content
Chen et al.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extruded nylon–wood composites
Karaağaç et al. Identification of temperature scanning stress relaxation behaviors of new grade ethylene propylene diene elastomers
KR102246835B1 (ko)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
KR102385832B1 (ko) 고분자 재활용 가능 횟수의 예측 방법
KR102013915B1 (ko) 플라스틱 수지 성형품의 물성 평가 방법
Demirci et al. Gelation of poly (vinyl chloride) inside a single screw extruder and its effect on product properties
US3281390A (en) Polypropylene plasticized with petrolatum
Hitt et al. Fracture mechanics approach to compare laser sintered parts and injection mouldings of nylon-12
Miller Pressure Coefficients for Newtonian Viscosity of Polymeric Liquids
Sepe The use of thermal analysis in polymer characterization
KR20230144233A (ko) 고분자 가공안정성 예측 방법 및 예측 장치
Abis et al. Investigation of the miscibility of polycarbonate–poly (ethyleneterephthalate) blends: Solid‐state 1H‐NMR T1 relaxation time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structure–properties relationship
Mendelson Flow properties of polyethylene melts
KR102344864B1 (ko)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평가 방법
KR100655973B1 (ko) 활석 함유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의 스크랩 함유량의유변물성을 이용한 측정방법
Shao et al. Linear viscoelastic behaviors of polybutene-1 melts with various structure parameters
Bair The solution of plastics prediction problems by thermoanlytical techniques
Morye Comparison of the thermoformability of a PPE/PP blend with thermoformable ABS. Part II: large deformation methods
KR102165790B1 (ko)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 물성 평가 방법
KR102332785B1 (ko) 공중합체의 모노머 함량 분석 방법 및 분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