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676B1 - 원격조정 유닛 - Google Patents

원격조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676B1
KR102385676B1 KR1020200131601A KR20200131601A KR102385676B1 KR 102385676 B1 KR102385676 B1 KR 102385676B1 KR 1020200131601 A KR1020200131601 A KR 1020200131601A KR 20200131601 A KR20200131601 A KR 20200131601A KR 102385676 B1 KR102385676 B1 KR 102385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perating device
remote control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찬
Original Assignee
정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찬 filed Critical 정명찬
Priority to KR102020013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조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삽입부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얇은 수지 또는 비닐재질로서 양단에 절곡부를 가진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간에 매입 설치되어 송신기로서 제어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에서 절곡부까지 양측으로 분기되는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이루어진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선의 양극선은 절연체로서 분리되어 배터리의 양극과 접속되는 제1도선과 작동기기의 양극단자와 접속되는 제2도선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전극선의 음극선은 작동기기의 음극단자와 직접 연결되는 단선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조정 유닛{the remote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원격조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블루투스 스피커, 장난감, 휴대용 선풍기와 같은 다양한 작동기기의 배터리 단자에 연결 설치하여 송신기의 작동으로 무선통신 제어모듈에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기기를 매우 편리하게 작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조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스피커, 장난감, 휴대용 선풍기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작동기기는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기기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윗치가 설치되어 스윗치의 온오프 조작으로 작동기기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동기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때 반드시 온오프 스윗치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일이 작동기기의 온오프 스윗치를 조작해야 되는 불편이 있으므로 작동기기가 멀리 있을 때는 온오프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 있는 것으로 작동기기의 배터리 단자에 설치하여 송신기의 신호로서 배터리 전원을 접속하고 차단하는 원격조정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삽입부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얇은 수지 또는 비닐재질로서 양단에 절곡부를 가진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간에 매입 설치되어 송신기로서 제어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에서 절곡부까지 양측으로 분기되는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이루어진 전극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선의 양극선은 절연체로서 분리되어 배터리의 양극과 접속되는 제1도선과 작동기기의 양극단자와 접속되는 제2도선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전극선의 음극선은 작동기기의 음극단자와 직접 연결되는 단선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유닛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조정 유닛은 배터리 단자에 간단히 연결 설치하여 송신기의 신호로서 원격조정 유닛에 설치된 무선통신 제어모듈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하게 되므로 작동기기에 설치된 온오프 스윗치를 일일이 온오프 시키지 않고 멀리서도 송신기로서 편리하게 작동기기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기기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송신기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블루투스 스피커에 적용한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완구자동차에 적용한 사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조정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터리 삽입부(10)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얇은 수지 또는 비닐재질로서 양단에 절곡부(11)를 가진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의 중간에 매입 설치되어 송신기(30)로서 제어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40)과,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40)에서 절곡부(11)까지 양측으로 분기되는 양극선(51)과 음극선(52)으로 이루어진 전극선(5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선(50)의 양극선(51)은 절연체(53)로서 분리되어 배터리(B)의 양극과 접속되는 제1도선(54)과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와 접속되는 제2도선(55)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전극선(50)의 음극선(52)은 작동기기(100)의 음극단자(61)와 직접 연결되는 단선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한 개 이상의 배터리(B)가 설치되는 구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나란히 설치하여 양극과 음극을 연결한 한 개 이상의 배터리(B)를 수용하는 크기의 베이스판(20)에 양극선(51)과 음극선(52)의 전극선(50)을 나란히 설치하고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와 접속되는 양극선(51)은 절연체(53)로 분리한 제1도선(54)과 제2도선(55)의 이중구조로, 그리고 음극단자(61)와 접속되는 음극선(52)은 단선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원격조정 유닛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기(100)의 배터리 삽입부(10)에 전극선(50)의 양극선(51)은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에 그리고 음극선(52)은 음극단자(61)에 접속되도록 끼워 설치하게 되는 데, 이같이 원격조정 유닛을 배터리 삽입부(10)에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배터리(B)를 양극은 전극선(50)의 양극선(51)과 그리고 음극은 전극선(50)의 음극선(52)과 접속되도록 끼워 넣게 되면, 배터리(B)의 음극은 단선으로 된 전극선(50)의 음극선(52)과 바로 접속되는 반면에. 배터리(B)의 양극은 전극선(50)의 양극선(51)을 구성하는 이중구조의 제1도선(54)과는 접속하지만,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와는 절연체(53)로 분리된 제2도선(55)에 의해 접속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기가 통전되지 않고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스위치를 온상태에 두고 송신기(30)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제어모듈(40)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배터리(B)의 전류가 양극선(51)의 이중구조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무선통신 제어모듈(40)이 작동하여 양극과 접속되어 있는 제1도선(54)을 통해 제2도선(55)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작동기기(100)는 전류의 통전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무선통신 제어모듈(40)은 송신기(30)의 무선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일반적인 칩으로서 송신기(30)에 의한 전파로서 작동되므로 작동기기(100)를 송신기(30)로서 작동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작동기기(100)의 배터기 삽입부(10)에 간단히 설치하여 배터리(B)를 끼우게 되는 데 전원스윗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도 원격조정 유닛의 양극선(51)의 이중 구조에 의해 전류가 차단된 상태가 되어 작동기기(100)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송신기(30)에 의해 무선통신 제어모듈(40)에 전파를 송신하게 되면 무선통신 제어모듈(40)에 의해 양극선(51)이 통전하게 됨으로써 작동기기(100)가 비로소 작동하게 됨에 따라 작동기기(100)를 원격조정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배터리(B)가 한 개 이상 사용되는 작동기기(100)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한 개의 배터리(B)와는 달리 두 개의 배터리(B)를 나란히 설치할 수 있는 베이스판(20)에 전극선(50)의 양극선(51)과 음극선(52)을 나란히 설치하고 전기한 바와 같이 연결하게 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조정 유닛은 배터리(B)로서 작동되는 각종 작동기기(100)에 간단히 설치하여 송신기(30)로서 작동기기(100)를 온오프 시킬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매우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10 : 삽입부 11 : 절곡부 20 : 베이스판 30 : 송신기 40 : 제어모듈 50 : 전극선 51 : 양극선 52 : 음극선 53 : 절연체 54 : 제1도선 55 : 제2도선 60 : 양극단자 61 : 음극단자 100 : 작동기기 B : 배터리

Claims (1)

  1. 배터리 삽입부(10)에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얇은 수지 또는 비닐재질로서 양단에 절곡부(11)를 가진 베이스판(20)과, 상기 베이스판(20)의 중간에 매입 설치되어 송신기(30)로서 제어되는 무선통신 제어모듈(40)과, 상기 무선통신 제어모듈(40)에서 절곡부(11)까지 양측으로 분기되는 양극선(51)과 음극선(52)으로 이루어진 전극선(5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선(50)의 양극선(51)은 절연체(53)로서 분리되어 배터리(B)의 양극과 접속되는 제1도선(54)과 작동기기(100)의 양극단자(60)와 접속되는 제2도선(55)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전극선(50)의 음극선(52)은 작동기기(100)의 음극단자(61)와 직접 연결되는 단선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 유닛.
KR1020200131601A 2020-10-13 2020-10-13 원격조정 유닛 KR102385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01A KR102385676B1 (ko) 2020-10-13 2020-10-13 원격조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01A KR102385676B1 (ko) 2020-10-13 2020-10-13 원격조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676B1 true KR102385676B1 (ko) 2022-04-11

Family

ID=8121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01A KR102385676B1 (ko) 2020-10-13 2020-10-13 원격조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81B1 (ko) * 2001-09-17 2004-01-03 성신웅 건전지 케이스
KR100571858B1 (ko) * 2003-11-24 2006-04-19 주식회사 서비전자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알에프 배터리
KR20180130053A (ko) *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381B1 (ko) * 2001-09-17 2004-01-03 성신웅 건전지 케이스
KR100571858B1 (ko) * 2003-11-24 2006-04-19 주식회사 서비전자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알에프 배터리
KR20180130053A (ko) *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47752T1 (de) Kommunikationsanordnung einer mobilen einheit
ATE365988T1 (de)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EP2421115A3 (en) Wireless headset comprising a housing and an earbu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lexible circuit board
CN110602599B (zh) 无线耳机及其充电盒
CN202495134U (zh) 电子产品
CN102013467A (zh) 一种多极电池供电装置及应用多极电池供电装置的手电筒
KR102385676B1 (ko) 원격조정 유닛
KR101896856B1 (ko)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CA2636962A1 (en) Insula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proximity remote
CN112019965A (zh) 一种转接系统及方法
EP2415658A1 (en) Multifunction power supplying device for a bicycle
CN203840507U (zh) 蓝牙音响
CN111275954A (zh) 无线开关控制装置及方法
CN201260238Y (zh) 一种播放装置的感应耳机
CN219106675U (zh) 具有语音功能的智能插座
CN104038107A (zh) 一种压缩机ptc起动器
CN217770069U (zh) 一种新型迷你对讲机
DE602004008094D1 (de)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en flexiblen flachleiter und schalteinrichtung
CN211656134U (zh) 一种带有闹钟功能的收音机
CN203951391U (zh) 一种压缩机ptc起动器
CN215221801U (zh) 发光寻迹跳纤用交流供电装置
CN210692931U (zh) 一种一键联网的智能插座
CN217881214U (zh) 一种联排结构及其面板开关
CN202094667U (zh) 便携式手机充电器
CN110113903B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智能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