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615B1 - 발광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발광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615B1
KR102385615B1 KR1020177014047A KR20177014047A KR102385615B1 KR 102385615 B1 KR102385615 B1 KR 102385615B1 KR 1020177014047 A KR1020177014047 A KR 1020177014047A KR 20177014047 A KR20177014047 A KR 20177014047A KR 102385615 B1 KR102385615 B1 KR 10238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tact structure
electrode
ligh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603A (ko
Inventor
토르스텐 베호프
에르빈 랑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9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65Intermediate layers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of the adjoining a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01L2251/5323
    • H01L2251/536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7Hole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발광 구성요소는 광 발생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10),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20), 광 방출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면(3, 31, 32), 제1 전극(10)에 전기 전도적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접촉 구조물(1), 제2 전극(20)에 전기 전도적 방식으로 연결된 제2 접촉 구조물(2)을 포함하고, 제1 접촉 구조물(1)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표면(3, 31, 32)의 대부분 및 제2 접촉 구조물(2)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제2 접촉 구조물(2)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3, 31, 32)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Description

발광 구성요소{LIGHT-EMITTING COMPONENT}
발광 장치가 제공된다.
달성하고자 하는 하나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발광 면을 통해서 광이 특히 균질한 휘도 프로파일로 방출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광 발생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광은 발광 장치의 동작 중에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 내에서 발생된다. 여기에서, 색채를 가지는 또는 백색 광이 활성 층 적층체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활성 층 적층체는 예를 들어 유기 층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는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일 수 있다.
발광 장치는 정확히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 또는 둘 이상의 활성 층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둘 이상의 활성 층 적층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러한 활성 층 적층체는 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활성 층 적층체가 예를 들어 공통 운반체에 도포된다.
측방향은, 여기에서 그리고 이하에서, 발광 장치의 주 연장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다. 발광 장치는 주 연장 평면 내에서 2-차원적으로 연장되고, 주 연장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방향으로, 주 연장 평면 내의 즉, 측방향을 따른 발광 장치의 최대 연장에 비해서, 얇은 두께를 갖는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예를 들어 활성 층 적층체의 유기 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발광 장치의 동작 중에, 전류가 제1 전극을 통해서 활성 층 적층체 내로 주입된다. 제1 전극은 예를 들어 발광 장치의 캐소드이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전극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활성 층 적층체의 유기 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제2 전극은 예를 들어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활성 층 적층체와 접촉되고 특히 이러한 측면 상에서 활성 층 적층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그렇게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측면은 제1 전극이 상부에 배열되는 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전극은,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발광 장치의 주 연장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광 발생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은,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발광 장치의 주 연장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 내에서 발생된 광이 발광 면으로부터 방출된다. 여기에서, 특히 2개의 대향하는 공간적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이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의 상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의, 상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단부로부터 방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광 장치는, 발광 장치의 주 연장 평면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할된 2개의 절반 공간 내에서 2개의 측면 상에서 광을 방출한다. 만약 발광 장치가 하나 초과의 발광 면, 예를 들어 2개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면, 그러한 발광 면은 특히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그에 따라, 발광 장치는, 전체적으로, 전방부 및 후방부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제1 전극에 도전성 연결된 제1 접촉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 접촉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제1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전도체 트랙의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제1 접촉 구조물은 도포된 제1 전극 상으로 도포되는 메탈라이제이션(metallization)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제1 전극을 완전히 덮지 않고, 그 대신에, 소정 장소에서만, 예를 들어 제1 전극의 둘레 영역 내에서만 덮는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제2 전극에 도전성 연결된 제2 접촉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2 접촉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제2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제2 접촉 구조물은 특히 제2 전극을 완전히 덮지 않고, 그 대신에 소정 장소만을 덮는다. 여기에서, 제2 접촉 구조물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전도체 트랙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2 접촉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제2 전극 상으로 메탈라이제이션으로서 도포되고 예를 들어 둘레 영역 내에서 제2 전극을 덮는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 및 제2 접촉 구조물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다시 말해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및 제2 접촉 구조물을 프레임 방식으로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측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측방향으로 발광 면의 경계를 결정하는 둘레 라인의 길이의 50% 초과를 둘러싼다. 또한, 제1 접촉 구조물은 제2 접촉 구조물의 50% 초과를 둘러싸고, 다시 말해서, 제2 접촉 구조물의 길이의 50% 초과가 제1 접촉 구조물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여기에서, 제1 접촉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및/또는 제2 접촉 구조물의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를 측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 구조물이 발광 면 및/또는 제2 접촉 구조물을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다시 말해서, 측방향으로, 제2 접촉 구조물은 발광 면 주위에서 프레임의 방식으로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둘레 라인의 50% 초과를 둘러싼다. 여기에서, 제2 접촉 구조물은 발광 면의 60% 초과, 70% 초과, 80% 초과, 90% 초과 또는 95% 초과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을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광 발생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 광 방출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제1 전극에 도전성 연결된 제1 접촉 구조물, 제2 전극에 도전성 연결된 제2 접촉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 및 제2 접촉 구조물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제2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내의 적어도 소정 장소 내에서 광-투과적이다. 특히, 발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각각의 지점에서 광-투과적일 수 있다. 만약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면, 그러한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영역 내에서 광-투과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영역 내에서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는 모든 발광 면의 영역 내에서 광-투과적일 수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이하에서, 광-투과적은, 광-투과 위치 상에 충돌하는 가시광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5%가, 광-투과 요소에 의한 흡수 및/또는 반사가 없이, 광-투과 요소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발광 장치는 특히 깨끗하고(clear) 투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발광 장치는 양방향적으로 방출하는 투명 OLED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는 특히, 광-투과적 발광 장치, 특히 투명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그들의 발광 면에 걸쳐 특히 불균질한 휘도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인식을 기초로 한다. 그러한 휘도 프로파일은, 특히 예를 들어 반사적인 제1 또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단일 측방향으로 방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서, 불균질하다.
이는 특히, 단일 측방향 방출의 경우에, 반사적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반사 전극이 투명 전극의 전기 전도도 보다 100배 초과일 수 있는 전기 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일 수 있다. 광-투과적 발광 장치의 경우에, 예를 들어 각각 광-투과적인 제1 및 제2 전극의 전기 전도도는 동일한 자릿수(same order of magnitude)이며, 전극 중 하나는 다른 전극 보다 기껏해야 1배 내지 4배 더 전도적이다. 이는 발광 면을 따른 발광 장치의 불균일한 가열과 함께, 특히 불균질한 휘도 분포를 초래한다.
놀랍게도,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접촉 구조물의 배열,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 및/또는 제2 접촉 구조물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제1 접촉 구조물의 배열이 광-투과적 발광 장치 내에서 휘도를 균질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서, 애노드 접촉부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캐소드 접촉부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둘레 캐소드 접촉부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둘레 애노드 접촉부가, 예를 들어, 휘도 균질성의 큰 개선을 유도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은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반사적이다. 여기에서 그리고 이하에서, "반사적"은 예를 들어 반사적 위치 상에 충돌하는 가시광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75%, 및 바람직하게 적어도 85%가 반사 요소에 의해서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발광 면의 적어도 하나 또는 모든 발광 면이 반사적일 수 있다. 장치가 "상단부 방출기" 또는 "하단부 방출기"일 수 있다. 특히, 장치가 광-투과적 및 반사적 발광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놀랍게도,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접촉 구조물의 배열,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대부분 및/또는 제2 접촉 구조물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제1 접촉 구조물의 배열이 또한, 실질적으로 양호한 횡방향 전도도에 의해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적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의 경우에 휘도를 균질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특히, 큰 발광 면을 가지는 장치 또는 복수의 발광 면을 가지는 장치에서, 둘레 접촉 구조물의 배열이 휘도 균질화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발광 장치는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열되는 3개 이상의 발광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광 면들이 측방향으로 서로 격리되고, 발광 장치는 하나 초과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 발광 면의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이,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대향되는 공간적 방향들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발광 장치의 모든 발광 면의 전체가 양측면으로 방출할 수 있다.
발광 면의 전체는, 이러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발광 장치의 모든 발광 면의 합이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발광 면 전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제2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발광 면 전체의 대부분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접촉 구조물은 발광 장치의 개별적인 발광 면을 개별적으로 둘러싸지 않고, 그 대신에 발광 면의 합, 즉 그 전체가 각각의 경우에 접촉 구조물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둘러싸인다. 만약 발광 장치의 발광 면의 전체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지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접촉 구조물은 이러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 지역을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발광 장치의 개별적인 발광 면이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발광 면의 활성 층 적층체로부터 분리되어 동작될 수 있는 활성 층 적층체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각각으로 할당된다. 발광 면은 예를 들어, 할당된 활성 층 적층체의 주요 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나의 층 적층체가 발광 면의 각각으로 분명하게 할당될 수 있다. 이어서, 층 적층체들 자체가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되어 배열되고, 예를 들어, 유리 시트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공통 운반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발광 면의 개별적인 활성 층 적층체들은 이러한 경우에 서로 별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2 전극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하위-영역들을 포함하도록, 2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로부터 격리된다는 점에서 달성되고, 그러한 각각의 하위-영역은 일-대-일 기반으로 활성 층 적층체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발광 장치의 개별적인 활성 층 적층체는 예를 들어 적어도 5 ㎛ 및 기껏해야 1 mm, 특히 적어도 20 ㎛ 및 기껏해야 110 ㎛의 거리 만큼 서로 이격된다. 다시 말해서, 발광 장치의 개별적인 활성 층 적층체 및 그에 따라 개별적인 발광 면이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발광 장치의 발광 면을 복수의 발광 면으로 세분한 것은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었을 때, 인간 관찰자가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활성 층 적층체들이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구성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활성 층 적층체들이 동일한 색채 위치의 광 또는 상이한 색채 위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광 면들이 서로 별개로 동작되거나 상이한 광 특성 곡선의 광이 상이한 발광 면들로부터 방출된다는 점에서, 발광 장치의 발광 면을 적어도 2개의 발광 면으로 단편화한 것이 동작 중에 구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발광 장치가 단편화된 투명 OLED일 수 있고, 그러한 OLED는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광-투과적이고 예를 들어 평면도에서 측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발광 면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제1 접촉부에서 제1 접촉 구조물이 접촉될 수 있으며, 전류를 제1 접촉 구조물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로 주입하는 제1 공급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급 영역은 접촉 구조물의 인접한 영역 보다 더 많은 전류가 할당 전극 및 그에 따라 활성 층 적층체로 진입하게 하는, 및/또는 접촉 구조물의 인접한 영역 보다 더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접촉 구조물의 영역이다. 다시 말해서, 접촉 구조물로부터 인접 전극으로 주입되는 전류의 전류 세기 및/또는 공급 영역 내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적어도 하나의 국소적인 최대치를 갖는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 중 하나로부터 제1 공급 영역까지 연장되는 격리 구조물을 포함한다. 격리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제1 접촉 구조물 내의 함몰부일 수 있고, 그러한 영역 내에서 제1 접촉 구조물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그러한 함몰부는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리소그래픽 방법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제1 접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메탈라이제이션이, 격리 구조물의 영역 내에서 예를 들어 완전히 제거되거나, 얇아지거나 부분적으로 관통 절단된다. 격리 구조물은 공급 지점까지 제1 접촉 구조물의 할당된 전극 내로의 전류의 직접적인 주입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제2 접촉부에서 제2 접촉 구조물이 접촉될 수 있으며, 전류를 제2 접촉 구조물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로 주입하는 제2 공급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구조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접촉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 중 하나로부터 제2 공급 영역까지 연장되는 격리 구조물을 포함한다. 격리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제2 접촉 구조물 내의 함몰부일 수 있고, 그러한 영역 내에서 제2 접촉 구조물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그러한 함몰부는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리소그래픽 방법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격리 구조물이 세장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격리 구조물이 제2 접촉 구조물의 재료 전체를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메탈라이제이션이 격리 구조물의 영역 내에서 완전히 제거된다. 다시 말해서, 격리 구조물은 제2 접촉 구조물의 재료 내의, 특히 세장형 형태의 홀일 수 있다. 격리 구조물은 공급 지점까지 제2 접촉 구조물의 할당된 전극 내로의 전류의 직접적인 주입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에서, 전류 주입은 접촉부의 영역 내에서 주로 또는 단지 주로 발생되지 않고, 그 대신에, 접촉 구조물에 할당된 전극으로의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로의 최대로 균일한 전류 공급을 달성하기 위해서 접촉 구조물의 다른 위치로 변위되거나 이동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의 균질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접촉 구조물 내의 전하 운반체 경로가 격리 구조물에 의해서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층 적층체를 따른 공급 영역의 확장 또는 확대의 결과로서, 전압 강하가 층 적층체를 따라서 균질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가 특히, 유기 반도체 재료로 형성되는 발광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반도체 재료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도도가 커진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가장 고온인 지점에서 증가된 휘도를 초래한다. 특히, 용이하게 열적으로 전도적인 반사 전극을 가지지 않는 광-투과적 발광 장치의 경우에, 그에 따라, 휘도 분포가 발광 면에 걸친 열의 분포에 의해서 지배된다. 이러한 경우에, 발광 면의 가장 고온의 지점이 예를 들어 발광 면의 중간부 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는 특히, 공급 영역을 적은 열이 예상되는 발광 장치의 영역 내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휘도 프로파일의 균질화가 달성될 수 있다는 생각을 기초로 한다.
만약 캐소드가 0 볼트의 전위이고 애노드 및 캐소드의 전도도가 대략적으로 동일하다면, 전압이 애노드에 대한 공급 지점으로부터, 즉 공급 영역으로부터 선형 방식으로 감소되는 것 그리고 캐소드에 대해서 선형적 방식으로 증가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예상되며, 그에 의해서 제1 공급 영역 및 제2 공급 영역이 최대로 이격되는 것이 휘도 균질화에 최적인 것을 알 수 있고, 하나 초과의 제1 공급 영역의 경우에, 제1 공급 영역들이 또한 최대로 이격되고 그리고, 하나 초과의 제2 공급 영역의 경우에, 제2 공급 영역들이 또한 최대로 이격된다. 만약 발광 장치가 예를 들어 2개의 제1 공급 영역 및 2개의 제2 공급 영역을 갖는다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엔벨로프 곡선(envelope curve)을 따라서 첫 번째의 제1 공급 영역, 첫 번째의 제2 공급 영역, 두 번째의 제1 공급 영역 및 두 번째의 제2 공급 영역의 순서로 서로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공급 영역들이 배열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제1 접촉 구조물을 따라 최대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제1 공급 영역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 장치는, 제2 접촉 구조물을 따라 최대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제2 공급 영역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2-차원적이고 광-투과적이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버스바(busbar)를 가지지 않는다. 발광 면의 대부분을 둘러싸는 접촉 구조물의 이용, 및/또는 접촉 구조물의 접촉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공급 영역의 이용으로 인해서 휘도 프로파일의 양호한 균질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예를 들어 전극의 횡방향 전도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전극 상의 금속 전류 분배 트랙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에 따라, 발광 면의 투명 상태가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이는 버스바에 의한 흡수가 없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및 연관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를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a, 도 4b, 및 도 5a는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제1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동일한, 유사한,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요소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면 및 도면 내에 도시된 요소의 서로에 대한 크기 비율은 실제 축척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더 용이한 설명 및/또는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서, 개별적인 요소가 과장되어 큰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정확하게 하나의 발광 면(3)을 포함한다. 발광 장치가 동작 중일 때, 광(6)이 발광 면(3)으로부터 방출된다. 특히, 광(6)은 도면의 평면 외부로 그리고 도면의 평면 내로, 측방향으로 방출된다. 발광 장치는 예를 들어, 발광 면(3)의 영역 내에서, 광을 투과하는, 특히 깨끗하고 투명한, 광-투과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전극(10, 2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반사적일 수 있다.
발광 장치는 활성 층 적층체(30)를 포함하고, 그러한 활성 층 적층체(30)는 예를 들어 유기 반도체 재료의 층을 포함하고 발광 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활성 층 적층체(30)는 예를 들어, 도 5b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 하단부에서, 활성 층 적층체(30)는 제2 전극(20)과 인접하고, 그 상단부에서, 활성 층 적층체(30)은 제1 전극(10)와 인접한다. 발광 면(3)의 영역 내에서,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은 광-투과적이다. 제1 전극(10)은 예를 들어 얇은, 광-투과 금속 층에 의해서 형성된 캐소드이다. 제1 전극(10)은 이러한 경우에 은 및/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0)은 예를 들어 ITO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의 애노드를 포함한다.
또한, 전극(10, 2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반사적일 수 있다.
활성 층 적층체(30)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그리고 전하 운반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기 층을 포함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광 면(3)은 제2 접촉 구조물(2)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인다. 발광 면(3)은 또한 제1 접촉 구조물(1)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고, 그러한 제1 접촉 구조물은 또한 제2 접촉 구조물(2)을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접촉 구조물(1, 2)은 여기에서 메탈라이제이션으로 형성되고, 그러한 메탈라이제이션은 예를 들어 CrAlCr 또는 MAM과 같은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또한, 이와 관련하여 도 5b의 단면도 참조). 제2 전극(20)은 여기에서,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의 단락을 억제하는 격리부(5), 예를 들어 절단부를 포함한다. 제1 전극(10)이 제1 접촉 구조물(1)을 통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여기에서, 제1 전극(10)은 제2 전극(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상단부에서 발광 구성요소를 완전히 케이스화하고(encase), 이는 도 5b의 단면도에서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0) 내의 격리부(5)는 여기에서 예를 들어 레이저 빔 또는 리소그래픽 방법에 의해서 생성된다.
제2 접촉 구조물(2)을 제1 전극(10)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절연 재료의 형태인 절연체(4)가 제2 접촉 구조물(2)과 제1 전극(10) 사이에 배열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류 주입이 접촉부(C1, A1)에서 직접적으로 진행될 수 있고, 제1 접촉부(C1)는 제1 접촉 구조물(1)과 접촉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접촉부(A1)는 제2 접촉 구조물(2)과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발광 구성요소는 제2 접촉 구조물(2)로부터의 전류를 위한 2개의 제2 공급 지점(21)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제2 접촉 구조물(2)은 예를 들어 제2 접촉부(A1)로부터 제2 공급 영역(21)까지 발광 면(3)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함몰부 형태의, 격리 구조물(22)을 포함한다.
격리 구조물(22)은 예를 들어 제2 접촉 구조물(2)의 재료 내의 함몰부 형태를 취한다. 도 2의 확대도는 제2 접촉부(A1)로부터의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23)를 도시하며, 그로부터 제2 공급 영역(21)으로부터만 해당 전류가 제2 전극(20) 내로 그에 따라 활성 층 적층체(30) 내로 주입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는,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제1 접촉 구조물(1)이 또한, 예를 들어 제1 접촉 구조물(1) 내의 상응하는 격리 구조물(12)(도 3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생성되는 2개의 제1 공급 영역(11)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1 공급 영역(11) 및 제2 공급 영역(21)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최대로 멀리 배열되며,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공급 영역(11, 21)의 배열을 초래한다.
도 4a는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른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실시예에서, 전체가 합쳐져 발광 면(3)이 되는 2개의 발광 면(31, 32)을 가지는,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2개의 발광 면 각각은 예를 들어 별개로 동작될 수 있는 활성 층 적층체(30)를 포함한다. 활성 층 적층체들은 단편화부(33)에 의해서 서로 격리된다. 예를 들어, 단편화부(33)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에 의해서 또는 리소그래픽적으로 분할되는 분리된 제2 전극(20)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고, 그러한 단편화부(33)는 제2 전극 및 제2 접촉 구조물(2)을 통해서 연장된다. 제1 전극(10)은 예를 들어 모든 발광 면(31, 32)에 대해서 공통적일 수 있다. 이어서, 상이한 발광 면들(31, 32)이 제2 전극(20)을 통해서 별개로 구동된다. 여기에서, 발광 면(31, 32)이 별개로 구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단편화부(33)가 또한 제2 접촉 구조물(2)을 통해서 연장된다. 발광 장치는 제1 접촉 구조물(1)과의 접촉을 위한 2개의 제1 접촉부(C1, C2) 및 제2 접촉 구조물(2)과의 접촉을 위한 2개의 제2 접촉부(A1, A2)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제1 전극(10) 및/또는 제2 전극(20)이 2개 이상의 발광 면을 가지는 그러한 발광 장치를 통해서 절단될 수 있다.
장치의 모든 발광 면(31, 32)이 광-투과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이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모든 발광 면(31, 32)이 반사 전극(10, 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발광 면들이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들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 면의 적어도 하나가 광-투과적일 수 있고, 발광 면의 적어도 하나가 단일 측방향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반사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4a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달리, 제2 접촉 구조물(2)의 접촉부(A1, A2)가 장치의 둘레로 안내되지 않고, 그 대신에, 제2 접촉 구조물(2)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된다. 그러한 배열에서, 양 접촉 구조물(1, 2)이 연속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취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접촉 구조물이 발광 면(31, 32)을 완전히 둘러싸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단순하다. 접촉 구조물 및 연관된 접촉부의 그러한 배열은 여기에서 설명된 모든 예시적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여기에서 설명된 발광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가 도 5a와 함께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접촉 구조물(1) 및 제2 접촉 구조물(2)은 제1 발광 면(31) 및 제2 발광 면(32)을 포함하는 단편화된 발광 면(3)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그 대신에, 직사각형 발광 면(3)의 긴 측면 상에 단순히 배열된다. 그에 따라, 제1 접촉 구조물(1) 및 제2 접촉 구조물은 발광 면(3)의 대부분을, 즉 그 길이의 50% 초과에 걸쳐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제1 접촉 구조물(1)은 또한 제2 접촉 구조물을 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도 5b는, 제1 발광 면(31) 및 접촉 구조물(1, 2)을 가지는, 도 5a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우측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우측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5b와 비교하여 발광 장치와 측방향으로 접촉하기 위한 대안적인 및/또는 상보적인 선택사항이 여기에서 도시된다.
도 6a의 발광 장치는, 도 5b의 발광 장치의 구조와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조이다. 제1 접촉 구조물(1), 제2 접촉 구조물(2), 절연부(4), 활성 층 적층체(30) 및 제1 전극(10)이 제2 전극(20) 상에 도포된다. 기재(본 도면에서 미도시됨), 예를 들어 유리 시트 또는 필름이, 활성 층 적층체(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전극(20)의 측면 상에 부가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1 접촉 구조물(1) 및 제2 접촉 구조물(2)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 구조물(1) 및 제2 접촉 구조물(2)은 측방향으로 서로 공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제2 전극(20) 및 제2 접촉 구조물(2)은 제2 전극(20) 및 제2 접촉 구조물(2) 전체를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격리부(5)를 포함한다. 격리부(5)에 의해서, 제2 전극(20) 및/또는 제2 접촉 구조물(2)의, 이하에서 또한 내부 측부 및 외부 측부로 지칭되는, 좌측부와 우측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활성 층 적층체(30) 및 제1 전극(10)은 인접하는 구성을 갖는다. 활성 층 적층체(30)는 제1 발광 면(31)으로부터 시작하여, 절연부(4)까지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어서, 제2 접촉 구조물(2) 및 절연부(4)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활성 층 적층체(30)에 의해서 소정 위치에서 케이스화될 수 있다. 제1 전극(10)은 제1 발광 면(31)으로부터 시작하여, 활성 층 적층체(30) 및 격리부(5) 위에서 제1 접촉 구조물(1)까지 더 연장된다. 제1 전극(10)이 제1 접촉 구조물(1)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2 접촉 구조물(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접촉 구조물(1)의 측면이 소정 장소에서 제1 전극(10)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장소에서, 제1 접촉 구조물(1)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외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6b에서, 제2 전극(20)은 복수의 격리부(5)를 포함한다. 격리부(5)는 제2 접촉 구조물(2) 및 제1 접촉 구조물(1)을 통해서 연장된다. 제2 전극(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격리부(4)의 측면이 활성 층 적층체(30)에 의해서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치수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격리부(5)의 폭이 적어도 55 ㎛ 및 최대 65 ㎛, 특히 60 ㎛일 수 있다. 제2 접촉 구조물(2)의 내부 영역 즉, 유기 층 적층체(30)에 인접하는 제2 접촉 구조물(2)의 영역이 예를 들어 적어도 350 ㎛ 및 최대 450 ㎛, 특히 400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절연부(4)가 또한 적어도 1.1 mm 및 최대 1.5 mm, 특히 1.3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접촉 구조물(1, 2)의 설명된 실시예 그리고 제1 공급 영역(11) 및 제2 공급 영역(21)의 설명된 선택으로 인해서, 예를 들어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투명하고 그 발광 면(31, 32, 3) 상의 특히 균질한 휘도 프로파일에 의해서 구분되는 단편화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 인해서, 예를 들어, 발광 면 상의 최대 온도와 발광 면 상의 최소 온도 사이의 차이를 15℃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로 인가되는 가장 높은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로 인가되는 가장 낮은 전압 사이의 전위차가 1 볼트 미만, 특히 0.1 볼트 미만으로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을 위한 공급 영역들을 최대로 멀리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면(3)이 그 중간에서 가장 고온이 된다는 사실을 보상할 수 있는데, 이는 전압 및 그에 따른 전류가, 각각의 경우에 발광 면의 중간으로부터 최대로 먼 공급 영역들에서 특히 높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기의 특징 및 하기의 조합 자체가 청구항이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고, 본 발명은, 신규한 특징, 및 특히 청구항의 특징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특허출원은 독일 특허출원 10 2014 117 499.2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독일 특허출원의 개시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1 제1 접촉 구조물
10 제1 전극
11 제1 공급 영역
12 격리 구조물
2 제2 접촉 구조물
20 제2 전극
21 제2 공급 영역
22 격리 구조물
23 전류 경로
3 발광 면
30 활성 층 적층체
31 제1 발광 면
32 제2 발광 면
33 단편화부
4 절연부
5 격리부
6 광
C1, C2 제1 접촉부
A1, A2 제2 접촉부

Claims (14)

  1. 발광 장치로서,
    - 광 발생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20),
    - 광 방출을 위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3, 31, 32),
    - 상기 제1 전극(10)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1 접촉 구조물(1), 및
    - 상기 제2 전극(20)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2 접촉 구조물(2)
    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3, 31, 32) 및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을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3, 31, 32)을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 상기 제1 전극(10) 및 상기 제2 전극(20)이 2-차원적이고 광-투과적이며, 상기 제1 전극(10) 및 상기 제2 전극(20)이 상기 전극들 상의 금속 전류 분배 트랙의 형태인 버스바를 가지지 않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영역 내에서 광-투과적인, 발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0) 및/또는 상기 제2 전극(20)이 적어도 소정 장소에서 반사적인, 발광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발광 면(3, 31, 32)을 갖고,
    -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면(3, 31, 32)의 전체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발광 면(3, 31, 32)의 전체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발광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2개의 발광 면(3, 31, 32)을 갖고,
    다른 발광 면(3, 31, 32)의 활성 층 적층체(30)와는 별개로 동작될 수 있는 활성 층 적층체(3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3, 31, 32)의 각각에 할당되는, 발광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C1, C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이 접촉될 수 있으며, 전류를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로 주입하는 제1 공급 영역(1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C1, C2)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발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C1, C2)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공급 영역(11)으로 연장되는 격리 구조물(12)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A1, A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이 접촉될 수 있으며, 전류를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30)로 주입하는 제2 공급 영역(2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A1, A2)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발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부(A1, A2)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2 공급 영역(21)으로 연장되는 격리 구조물(22)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물(1)을 따라 최대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공급 영역(11)을 가지는, 발광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구조물(2)을 따라 최대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공급 영역(21)을 가지는, 발광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0) 및 상기 제2 전극(20)이 2-차원적이고 광-투과적이며, 상기 제1 전극(10) 및 상기 제2 전극(20)이 버스바를 가지지 않는, 발광 장치.
  13. 발광 장치로서,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
    상기 제1 전극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1 접촉 구조물; 및
    상기 제2 전극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2 접촉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둘레의 50% 초과 및 상기 제2 접촉 구조물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접촉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면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은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이 접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 및 전류가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 층 적층체로 주입될 수 있는 제1 공급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부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공급 영역으로 연장되는 격리 구조물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14. 발광 장치로서,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활성 층 적층체들;
    상기 활성 층 적층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전극;
    상기 활성 층 적층체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전극;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 면들;
    상기 제1 전극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1 접촉 구조물; 및
    상기 제2 전극에 도전성 연결되는 제2 접촉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구조물은 모든 발광 면들의 둘레의 50% 초과 및 상기 제2 접촉 구조물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접촉 구조물은 모든 발광 면들의 둘레의 50% 초과를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각각의 활성 층 적층체는 발광 면들 중 하나에 할당되고, 다른 발광 면들에 할당된 활성 층 적층체들은 서로 별개로 동작할 수 있는, 발광 장치.
KR1020177014047A 2014-11-28 2015-11-24 발광 구성요소 KR102385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7499.2 2014-11-28
DE102014117499.2A DE102014117499A1 (de) 2014-11-28 2014-11-28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PCT/EP2015/077544 WO2016083400A1 (de) 2014-11-28 2015-11-24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603A KR20170091603A (ko) 2017-08-09
KR102385615B1 true KR102385615B1 (ko) 2022-04-12

Family

ID=5469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047A KR102385615B1 (ko) 2014-11-28 2015-11-24 발광 구성요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97731B2 (ko)
KR (1) KR102385615B1 (ko)
DE (2) DE102014117499A1 (ko)
WO (1) WO2016083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0099B4 (de) * 2015-01-07 2017-10-19 Osram Ole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rganischen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CN106206669B (zh) * 2016-08-31 2018-12-07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用于异形oled产品的布线方法以及异形oled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7899A1 (en) * 2007-07-11 2009-0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rganic function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9211A1 (en) * 2005-07-14 2009-07-16 Tae-Kyung Yoo Light emitting device
WO2007036850A2 (en) 2005-09-28 2007-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large area organic diode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DE102008013031B4 (de) 2008-03-07 2019-07-25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R20120024725A (ko) * 2009-05-08 2012-03-14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유닛
DE102010003121A1 (de) * 2010-03-22 2011-09-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mit homogener Leuchtdichteverteilung
US8969860B2 (en) * 2010-12-28 2015-03-03 Nec Lighting,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7899A1 (en) * 2007-07-11 2009-0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rganic function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3400A1 (de) 2016-06-02
DE112015005367A5 (de) 2017-08-10
DE112015005367B4 (de) 2021-09-16
US20170309851A1 (en) 2017-10-26
US9997731B2 (en) 2018-06-12
DE102014117499A1 (de) 2016-06-02
KR20170091603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4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1419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668855B (zh) 微型led顯示面板
TW201926300A (zh) 微型led顯示面板
CN101965654A (zh) 有机发光二极管、接触装置和制造有机发光二极管的方法
US10333094B2 (en) Optoelectronic device with an organic active layer
KR20160100947A (ko) 광전자 반도체 컴포넌트 및 자동차용 어댑티브 헤드라이트
KR20210044789A (ko)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KR2011013924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세그먼트
EP2448014A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85615B1 (ko) 발광 구성요소
JP6570312B2 (ja)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US20170015435A1 (en) Aircraft LED Light Unit
JP6143763B2 (ja) 発光デバイスパターンのための改良されたマスキング
JP6163334B2 (ja) 有機el装置
EP3509091B1 (en) Illumination assembly and illumination device
KR20160055142A (ko) 복사선 방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90595A (ko) 유기 발광 소자
US10418419B2 (en) Radiation-emitting apparatus having an outer optoelectronic device surrounding an inner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110520A1 (en) Organic Radiation-Emitting Component
US9349973B2 (en) Lighting module with optimized contacting
KR101407223B1 (ko) 착탈 구조의 유기 발광부를 구비한 조명 패널
US10651342B2 (e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chip
KR102341281B1 (ko) 다수의 발광 세그먼트를 구비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KR101407225B1 (ko) 인출선을 구비한 유기발광 조명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