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546B1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5546B1 KR102385546B1 KR1020197029512A KR20197029512A KR102385546B1 KR 102385546 B1 KR102385546 B1 KR 102385546B1 KR 1020197029512 A KR1020197029512 A KR 1020197029512A KR 20197029512 A KR20197029512 A KR 20197029512A KR 102385546 B1 KR102385546 B1 KR 102385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pl
- signal
- base station
- csi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5
- 235000019731 tr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01100113998 Mus musculus Cnbd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111651 Serratia marcescens sme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49 magnet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7—Detection of non-compliance or faulty performance, e.g. response devi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의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 본 발명의 유저단말은,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빔 장애의 감시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DL 제어 채널의 감시용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 상태 정보(CSI)의 측정 및/또는 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하향 링크(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용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LTE Rel. 8 또는 9라고도 한다)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A(LTE 어드밴스드, LTE Rel.10, 11 또는 12라고도 한다)가 사양화되고,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FRA(Future Radio Access),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LTE Rel.13, 14 또는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LTE Rel. 10/11에서는, 광대역화를 도모하기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통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이 도입되고 있다. 각 CC는, LTE Rel. 8의 시스템 대역을 한 단위로 구성된다. 또, CA에서는, 동일한 무선기지국(eNB: eNodeB)의 복수의 CC가 유저단말(UE: User Equipment)에 설정된다.
한편으로, LTE Rel. 12에서는, 다른 무선기지국의 복수의 셀 그룹(CG: Cell Group)이 UE에 설정되는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도 도입되고 있다. 각 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셀(CC)로 구성된다. DC에서는, 다른 무선기지국의 복수의 CC가 통합되기 때문에, DC는, 기지국 간 CA(Inter-eNB CA) 등이라 불린다.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서는, 유저단말은,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PDCCH: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을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한다. 유저단말은, 해당 DCI에 기초하여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수신 및/또는 U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을 수행한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8.12.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8)", 2010년 4월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5G, NR 등)에서는, 고속 및 대용량화(예를 들면,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를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주파수대보다도 높은 주파수대(예를 들면, 3∼40GHz 등)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대가 높아질수록, 거리 감쇠가 증가되기 때문에,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assive MIMO 등이라고도 한다)가 검토되고 있다.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MIMO에서는, 각 안테나 소자로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진폭 및/또는 위상을 제어하여, 빔(안테나 지향성)을 형성할 수 있다(빔포밍(BF: Beam Forming)).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가 2차원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소정 면적에서 배치 가능한 안테나 소자의 수(안테나 소자수)가 증가한다. 소정 면적당 안테나 소자수가 많을수록, 빔 폭이 좁아(narrower)지기 때문에, 빔포밍 게인을 증가된다. 따라서, 빔포밍을 적용하는 경우, 전파 손실(패스로스)을 저감할 수 있고, 높은 주파수대에서도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으로, 빔포밍을 적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높은 주파수대에 있어서 좁은 빔(narrower beam)을 이용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장애물로 인한 방해(blockage) 등에 의해, 빔(빔 페어 링크(BPL: Beam Pair Link) 등이라고도 한다)의 품질이 악화되는 결과, 무선 링크 장애(RLF: Radio Link Failure)가 빈번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RLF가 발생하면 셀의 재접속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빈번한 RLF의 발생은,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RLF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한 빔의 품질이 악화되는 빔 장애(BF: Beam Failure)의 검출, 및/또는, 품질이 좋은 다른 빔으로의 전환(L1/L2 빔 리커버리 등이라고도 한다)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의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빔 장애의 감시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DL 제어 채널의 감시용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채널 상태 정보(CSI)의 측정 및/또는 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하향 링크(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의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a∼도 1c는, 빔 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유저단말 주도의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빔 장애의 검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1 형태에 따른 제2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1 형태에 따른 제3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제4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형태에 따른 제5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1 형태에 따른 제6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1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2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3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유저단말 주도의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빔 장애의 검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1 형태에 따른 제2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1 형태에 따른 제3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제4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형태에 따른 제5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1 형태에 따른 제6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1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2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3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5G, NR)에서는, 고속 및 대용량(예를 들면, eMBB), 초다량 단말(예를 들면, massiv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초고 신뢰 및 저지연(예를 들면,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유스케이스가 상정된다. 이들의 유스케이스를 상정하여, 예를 들면,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빔포밍(BF)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빔포밍(BF)은, 디지털 BF 및 아날로그 빔 BF을 포함한다. 디지털 BF는, 베이스밴드 상에서(디지털 신호에 대해) 프리코딩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RF(Radio Frequency)의 병렬 처리가, 안테나 포트(RF chain)의 개수만큼 필요해진다. 한편으로, 임의의 타이밍에서, RF chain 수에 따른 수만큼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 BF는, RF 상에서 위상 시프트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RF 신호의 위상을 회전시키는 것뿐이기 때문에, 구성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지만, 같은 타이밍에서 복수의 빔을 형성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BF에서는, 위상 시프트기마다, 한 번에 1 빔밖에 설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무선기지국(예를 들면, gNB(gNode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 eNB(eNodeB), 기지국(Base Station(BS)) 등이라 불린다)이 위상 시프트기를 하나만 갖는 경우에는, 어느 시간에 있어서 형성할 수 있는 빔은, 하나가 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BF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빔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같은 리소스로 동시에 송신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빔을 시간적으로 전환하거나, 회전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BF와 아날로그 BF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BF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5G, NR)에서는,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한 MIMO(예를 들면, Massive MIMO)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지만, 방대한 수의 빔 형성을 디지털 BF만으로 수행하게 되면, 회전 구성이 고가가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하이브리드 BF가 이용되는 것도 상정된다.
이상과 같은 BF(디지털 BF, 아날로그 BF, 하이브리드 BF를 포함한다)를 적용하는 경우, 장애물에 따른 방해 등으로 인해, 빔(빔 페어 링크(BPL) 등이라고도 한다)의 품질이 악화되는 결과, 무선 링크 장애(RLF)가 빈번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RLF가 발생하면 셀의 재접속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빈번한 RLF의 발생은,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BPL의 로버스트성(robustness)을 확보하기 위해,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1은, 빔 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에서는, 모빌리티 측정(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L3 측정(Layer 3 Measurement), L3-RSRP(Layer 3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 L3 모빌리티 측정 등이라고도 한다)용 신호(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에 이용되는 빔의 관리가 나타내어진다.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에 이용되는 빔은, 상대적으로 넓은 빔 폭을 갖는 러프 빔(rough beam)이어도 좋다. 또, 러프 빔 내에는 상대적으로 좁은 빔 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빔(파이너 빔(finer beam)), 좁은 빔 등이라고도 한다)을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러프 빔은 빔 그룹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는, 동기 신호(SS: Synchronizations Signal) 블록, 모빌리티 참조 신호(MRS: Mobility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빔 고유 신호 또는 셀 고유 신호 등이고도 불린다. SS 블록은,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s Signal),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군이다. 이와 같이,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는, PSS, SSS, PBCH, MRS, CSI-RS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으며, PSS, SSS, PBCH, MRS, CSI-RS의 적어도 하나를 확장 및/또는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예를 들면, 밀도 및/또는 동기를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여도 좋다.
또한, 도 1a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RRC 커넥티드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 중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구성(configuration)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면 된다. 또, 유저단말은, Rx 빔(수신 빔)을 형성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a에 있어서, 무선기지국(TRP)은, 빔 B1∼B3에 관련지어지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예를 들면, SS 블록 및/또는 CSI-RS)를 송신한다. 도 1a에서는, 아날로그 BF가 적용되기 때문에, 빔 B1∼B3에 관련지어지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는 각각 다른 시간(예를 들면, 심볼 및/또는 슬롯 등)에 송신된다(빔 스윕(beam sweep)). 또한, 디지털 BF가 적용되는 경우, 빔 B1∼B3에 관련지어지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는 동일 시간에 송신되어도 좋다.
유저단말(UE)은, 빔 B1∼B3에 관련지어지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를 이용하여, L3 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L3 측정에서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및 RSSI: Reference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NR: Signal-Noise Ratio 및 SINR: 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의 적어도 하나)이 측정되면 된다.
유저단말은, 하나 이상의 빔의 식별자(빔 ID, 빔 인덱스(BI) 등이고도 한다), 및/또는, 해당 하나 이상의 빔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MR: Measurement Report)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또한, 빔 ID 대신에,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리소스나 안테나 포트가 보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유저단말은, RSRP가 가장 좋은 빔 B2의 BI 및/또는 RSRP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측정 보고(MR)에 기초하여 유저단말에 대한 빔(빔 그룹)을 선택(그룹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유저단말 및 무선기지국은, 빔 B2를 액티브 빔, 빔 B1 및 B3을 비 액티브 빔(백업 빔)으로 분류해도 좋다. 여기서, 액티브 빔이란, DL 제어 채널(이하, NR-PDCCH, PDCCH 등이라고도 한다) 및/또는 DL 데이터 채널(이하, PDSCH라고도 한다)에 이용 가능한 빔이며, 비 액티브 빔은, 액티브 빔 이외의 빔(후보 빔)이어도 좋다. 하나 이상의 액티브 빔의 세트(집합)는, 액티브 빔 세트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하나 이상의 비 액티브 빔의 세트는, 비 액티브 빔 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유저단말이, L3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그룹화)하여, 선택 결과를 무선기지국에 보고해도 좋다.
도 1b에서는, L1(물리 레이어)의 빔 관리(빔 측정(Beam measurement), L1 측정(Layer 1 Measurement), 채널 상태 정보(CSI) 측정 또는 L1-RSRP 측정 등이라고도 한다)가 나타내어진다. 빔 측정용 신호(빔 측정용 신호)는, CSI-RS, SS 블록, PSS, SSS, PBCH, MRS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으며, 이들의 적어도 하나를 확장 및/또는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예를 들면, 밀도 및/또는 주기를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여도 좋다.
예를 들면, L1의 빔 관리에서는, NR-PDCCH 및/또는 PDSCH(이하, NR-PDCCH/PDSCH라고도 한다)에 이용되는 빔(Tx 빔, 송신 빔 등이라고도 한다), 및/또는, 해당 NR-PDCCH/PDSCH의 수신에 이용되는 빔(Rx 빔, 수신 빔 등이라고도 한다)이 관리된다.
도 1b에 있어서, 무선기지국(TRP)은, 유저단말에 있어서, K(여기서는, K=4)개의 Tx 빔 B21∼B24에 관련지어지는 K 개의 CSI-RS 리소스#1∼#4의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송신한다.
CSI-RS 리소스란, 예를 들면, 넌제로 파워(NZP-) CSI-RS용 리소스, 간섭 측정(IM)용 제로 파워(ZP-) CSI-RS용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이다. 유저단말은, 하나 이상의 CSI-RS 리소스가 설정되는 CSI 프로세스마다 CSI 측정을 수행한다. CSI-RS 리소스는, 해당 CSI-RS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CSI-RS(NZP-CSI-RS, ZP-CSI-RS를 포함한다)로 바꿔 말할 수도 있다.
유저단말(UE)은, 설정된 CSI-RS 리소스#0∼#3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은, K(여기서는, K=4)개의 Tx 빔 B21∼B24에 각각 관련지어지는 K개의 CSI-RS 리소스에 대해 L1 측정(예를 들면, CSI 측정 및/또는 L1-RSRP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CSI 및/또는 L1-RSRP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CSI는, 채널 품질 식별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식별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랭크 식별자(RI: Rank Indicator), CSI-RS 리소스 식별자(CRI: CSI-RS resource Indicator)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CSI-RS 리소스에는 Tx 빔이 관련지기 때문에, CSI는, Tx 빔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유저단말은, K개의 Tx 빔(에 대응되는 K개의 CSI-RS 리소스)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N(N≤K)개의 Tx 빔을 선택한다. 여기서, Tx 빔의 수 N은, 미리 규정되어도 좋으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유저단말은, 선택된 각 Tx 빔에 적합한 Rx 빔을 결정하고, 빔 페어링(BPL)을 결정해도 좋다. 여기서, BPL이란, Tx 빔과 Rx 빔과의 적절한 조합이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가장 좋은 BPL로서, Tx 빔 B23 및 Rx 빔 b3의 조합이 결정되고, 두 번째로 좋은 BPL로서, Tx 빔 B22 및 Rx 빔 b2의 조합이 결정된다.
유저단말은, 선택된 N개의 Tx 빔에 대응되는 N개의 CRI와, 해당 N개의 CRI가 나타내는 N개의 Tx 빔에 있어서의 CQI, RI, PMI의 적어도 하나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 유저단말은, N개(또는 K개)의 Tx 빔의 RSRP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은, N개의 Tx 빔에 대응되는 Rx 빔의 ID(Rx 빔 ID, BI, 빔 ID 등이라고도 한다)를 송신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은, NR-PDCCH 및/또는 PDSCH(NR-PDCCH/PDSCH)에 이용하는 Tx 빔(또는 BPL)을 결정하고, 해당 Tx 빔(또는 BPL)을 유저단말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N개의 CSI(예를 들면, N개의 CRI, 해당 N개의 CRI가 나타내는 Tx 빔에 있어서의 CQI, RI, PMI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L1-RSRP에 기초하여, NR-PDCCH 및/또는 PDSCH(NR-PDCCH/PDSCH)에 이용하는 Tx 빔을 결정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해당 Tx 빔에 대응되는 Rx 빔의 Rx 빔 ID에 기초하여, BPL을 결정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에 대한 빔의 지시는, NR-PDCCH/PDSCH의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안테나 포트(DMRS 포트)와 CSI-RS 리소스와의 관련성(QCL: Quasi-Co-Location)에 기초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또한, DMRS 포트와 CSI-RS 리소스와의 사이의 QCL은, NR-PDCCH 및 PDSCH에서 개별적으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c에서는, 도 1b에서 가장 좋은 BPL(Tx 빔 B23 및 Rx 빔 b3)의 CSI-RS 리소스#2와 DMRS 포트#0과의 관련성, 두 번째로 좋은 BPL(Tx 빔 B23 및 Rx 빔 b3)의 CSI-RS 리소스#1과 DMRS 포트#1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에 의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에 통지된다.
도 1c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DMRS 포트#0에서는, CSI-RS 리소스#2의 측정 결과가 가장 좋았던 Tx 빔 B23을 이용하여 해당 NR-PDCCH이 송신된다고 상정하여, 해당 NR-PDCCH/PDSCH을 복조한다. 또, 유저단말은, 해당 Tx 빔 B23에 대응되는 Rx 빔 b3을 이용하여, NR-PDCCH/PDSCH을 복조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유저단말은, DMRS 포트#1에서는, CSI-RS 리소스#1의 측정 결과가 가장 좋았던 Tx 빔 B22를 이용해서 해당 NR-PDCCH이 송신된다고 상정하여, 해당 NR-PDCCH/PDSCH을 복조한다. 또, 유저단말은, 해당 Tx 빔 B22에 대응되는 Rx 빔 b2를 이용하여, NR-PDCCH/PDSCH을 복조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빔 관리에서는, 특정한 빔(또는 BPL)의 품질이 악화되는 경우, 해당 빔의 빔 장애를 적절하게 검출하고, 및/또는, 다른 빔으로의 전환 처리(빔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무선 링크 장애(RLF)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런데,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는, 무선기지국 주도로 수행하는 것과, 혹은, 유저단말 주도로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유저단말은, DL 신호의 모니터링(예를 들면, CSI 측정, L1-RSRP 측정, NR-PDCCH의 감시(PDCCH 모니터링 또는 블라인드 복호 등이라고도 한다), PDSCH의 수신의 적어도 하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유저단말 주도의 경우, 신속한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에 유효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유저단말 주도로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빔포밍은, 디지털 BF를 상정하지만, 아날로그 BF, 하이브리드 BF에도 적절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이하에서는, BPL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빔'이란, Tx 빔 및 Rx 빔을 포함하는 빔 페어링(BPL)이 아니어도 좋으며, Tx 빔 또는 Rx 빔이어도 좋다.
도 2는, 유저단말 주도의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TRP)은, 빔 측정용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송신한다. 해당 구성 정보는, 예를 들면, CSI 측정, L1-RSRP 측정, PDCCH 모니터링, PDSCH의 수신, 빔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BPL 모니터링)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유저단말(UE)은, 빔 측정(예를 들면, 도 1b의 CSI 측정 및/또는 L1-RSRP 측정)을 수행한다. 또, 유저단말은, PDCCH 모니터링 및/또는 PDSCH의 수신(예를 들면, 도 1c)을 수행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유저단말(UE)은, 빔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BPL 모니터링)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 장애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은, 소정수의 액티브 빔의 BPL의 품질과 소정의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빔 장애를 검출한다.
도 3은, 빔 장애의 검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BPL 모니터링용으로 Y개의 BPL(여기서는, Y=3)이 유저단말에 설정되고,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소정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또한, Y개의 BPL의 적어도 하나는, N-PDCCH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좋다.
또, 빔 장애(및/또는 전환 후보의 BPL)의 검출용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 CSI-RS, 시간 및/또는 주파수 트래킹용 참조 신호, SS 블록, PDCCH용 DMRS, PDSCH용 DMRS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한, PDCCH용 DMRS는, 하나 이상의 유저단말의 그룹(UE 그룹)에 공통된 PDCCH용 DMRS여도 좋으며, 및/또는, 유저단말 고유의 PDCCH용 DMRS여도 좋다.
도 2의 단계 S104에 있어서, 유저단말(UE)은, 빔 장애의 검출을 보고 및/또는 빔 리커버리를 요구하는 UL 신호(빔 리커버리 신호 등이라고도 한다)를 송신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은,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에 기초하여, 빔 리커버리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은, 빔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은 유저단말 주도의 빔 장애의 검출 및/또는 빔 리커버리에서는, BPL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BPL을 포함하는 세트(BPL 세트, 빔 세트 등이라고도 한다)를 어떻게 설정할지가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1 형태에서는, BPL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BPL 세트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2의 단계 S10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단말이 액티브 빔의 BPL의 품질과 소정의 임계값과의 비교 결과에 대해 빔 장애를 검출하는 경우, 빔 리커버리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 형태에서는, 적절한 빔 리커버리를 가능하게 하는 빔 장애의 검출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2의 단계 S104의 빔 리커버리 신호에 어떠한 UL 신호를 이용할지, 및/또는, 어떻게 송신할지도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3 형태에서는, 빔 리커버리 신호에 이용되는 UL 신호 및/또는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2의 단계 S1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이 어떠한 빔 리커버리 처리를 수행할지, 및/또는, 단계 S1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이 어떠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지도 문제가 된다. 그래서, 제4 형태에서는,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에 따른 무선기지국에 있어서의 빔 리커버리 처리 및 응답 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
유저단말은, BPL 모니터링 외에도, 예를 들면,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 및/또는 보고(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 및/또는 보고(L1-RSRP 측정/보고)의 적어도 하나 등, 소정수의 BPL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PDCCH 모니터링에서는, 유저단말은, 소정의 BPL을 모니터링(블라인트 복호)하여, DL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을 검출한다. 또, PDSCH 수신에서는, 유저단말은, 하나 이상의 BPL을 이용하여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을 수신한다. 또, CSI 측정/보고에서는, 유저단말은, 하나 이상의 BPL에 대해, CSI의 측정 및/또는 보고를 수행한다.
또, L1-RSRP 측정/보고에서는, 유저단말은, 소정의 측정용 신호(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SS 블록)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BPL(또는 Tx 빔)의 RSRP를 측정하고, 측정된 RSP를 L1 시그널링(예를 들면, PUSCH 또는 PUCCH)을 이용하여 보고한다.
이와 같은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BPL 세트를 설정하는 경우, BPL 세트의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1 형태에서는, BPL 모니터링 및 PDCCH 모니터링의 BPL 세트를 적어도 공통화함으로써, BPL 세트의 설정을 효율화한다. 이하에서는,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 각각의 BPL 세트의 관계를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PDCCH에 관련지어지는 BPL을 이용하여 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함되면 양자는 동등하지 않아도 좋다.
또,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에 포함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무선기지국은, PDSCH의 송신에 이용하는 BPL의 CSI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함되면 양자는 동등하지 않아도 좋다.
또, 해당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빔 세트에 포함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에 의해 RSRP가 보고된 BPL 중에서, CSI 측정/보고용 BPL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의 서브 세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함되면 양자는 동등하지 않아도 좋다.
또,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에 포함되어도 좋으며,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이하에서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한 케이스(제1∼제6 케이스)에 대해 상술한다. 제1∼제3 케이스에서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가, L1-RSRP 측정/보고용 빔 세트와 동등하다. 제4∼제6 케이스에서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 및 L1-RSRP 측정/보고용 빔 세트가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제1 케이스〉
제1 케이스에서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PDSCH 수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configure)된다.
제1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하나 이상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도 4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단일의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도 4에서는, 해당 공통된 BPL 세트가, Y(여기서는, Y=4)개의 BPL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기지국은, Y개의 BPL의 적어도 하나로 NR-PDCCH을 송신해도 좋으며, 동적으로 PDCCH 송신용 BPL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예를 들면, RSRP 및/또는 RSRQ)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유저단말은, 빔 장애의 발생을 나타내는 빔 리커버리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에 통지한다.
도 4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새로운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유저단말에 설정해도 좋다. 해당 BPL 세트는,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러프 빔(도 1a 참조)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제1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저단말로부터의 러프 빔의 측정 보고(도 1a 참조)에 기초하여, 러프 빔을 이용한 PDCCH 송신에 폴백해도 좋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은, 러프 빔을 이용한 PDCCH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PDCCH용 시간 및/또는 주파수리소스, CSI 측정/보고용 CSI-RS(CSI-RS 리소스)의 구성 등)를 유저단말에 설정해도 좋다.
도 5는, 제1 형태에 따른 제1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복수의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제어 요소(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해당 복수의 BPL 세트 중에서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BPL 세트(액티브 BPL 세트 등이라고도 한다)를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3개의 BPL 세트 1∼3이 설정된다. BPL 세트 1, 2, 3은, 각각, Y,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MAC CE 또는 DCI에 의해, 액티브 BPL 세트로서 BPL 세트 1이 유저단말에 통지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또한,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는, L3 측정의 결과(예를 들면, L3-RSRP)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로부터 BPL세트 2로 변경된다.
혹은, 무선기지국은, 다른 BPL 세트(여기서는, BPL 세트 2 및 3)에 대한 L1-RSRP 측정/보고, 및/또는, CSI 측정/보고의 트리거 정보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해도 좋다.
액티브 BPL 세트 내의 BPL 수 Y가 빔 장애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상기 임계값 X보다도 큰 경우, 해당 MAC CE 또는 DCI는, 해당 액티브 BPL 세트 내의 다른 Y-X개의 BPL로 송신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BPL 수가 상기 임계값 X와 동등한 경우, 해당 MAC CE 또는 DCI는, 소정의 룰에 따라 결정된 러프 빔으로 송신되어도 좋다. 또한, DCI는, 유저단말 고유의 서치 스페이스(USS: UE-specific Search Space 등이라고도 한다)로 송신되어도 좋으며, 하나 이상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그룹 공통의 서치 스페이스(CSS: Common Search Space, 또는, 그룹 서치 스페이스 등이라고도 한다)로 송신되어도 좋다.
제1 케이스에서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BPL 세트가 설정되기 때문에, BPL 세트의 설정을 효율화하면서, 빔 장애 발생 시에 BPL 세트의 전환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케이스〉
제2 케이스에서는, 제1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된다. 한편, 제2 케이스에서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가, PDSCH 수신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1 케이스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 케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하나 이상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해당 복수의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와, 다른 BPL 세트를 포함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의 적어도 2개에 공통된 액티브 BPL 세트, 또는, 개별의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도 6은, 제1 형태에 따른 제2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으로 BPL 세트 1을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으로 BPL 세트 1∼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BPL 세트 1, 2, 3은, 각각, Y,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해당 빔 장애의 발생을 나타내는 UL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빔 장애의 발생을 나타내는 UL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도 6에서는,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3이 설정되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은, BPL 세트 1∼3의 각 BPL의 CSI 및/또는 L1-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부터 BPL 세트 2로 변경된다. 또,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CSI 측정/보고 및/또는 L1-RSRP 측정/보고용 액티브 BPL 세트를 갱신해도 좋다.
제2 케이스에서는,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BPL 세트보다도 많게 설정되기 때문에, 빔 장애 발생 시에 BPL 세트의 전환을 적절하고 그리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3 케이스〉
제3 케이스에서는, 제1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된다. 한편, 제3 케이스에서는, PDSCH 수신용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1 케이스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 케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해당 복수의 BPL 세트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서브 세트,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이용하는 서브 세트(액티브 서브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도 7은, 제1 형태에 따른 제3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으로 BPL 세트 1, 2, 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으로 BPL 세트 1∼3의 각각의 서브 세트 1∼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BPL 세트 1, 2, 3은, 각각, Y,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BPL 세트 1의 서브 세트 1은, Y개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 1 및 2)을 포함하고, BPL 세트 2의 서브 세트 2는, Z개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 3 및 4)을 포함하고, BPL 세트 3의 서브 세트 3은, Z'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5)을 포함한다.
도 7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인 것으로 한다. 또,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용 액티브 서브 세트가 서브 세트 1∼3인 것으로 한다.
도 7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도 7에서는,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서브 세트 1, 2, 3이 설정되고, 해당 서브 세트 1, 2, 3이 액티브 세트이다. 이 때문에, 서브 세트 1∼3의 각 BPL의 CSI 및/또는 L1-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혹은, L3-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가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부터 BPL 세트 2로 변경된다. 또,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CSI 측정/보고, 및/또는, L1-RSRP 측정/보고용 액티브 서브 세트를 갱신해도 좋다.
제3 케이스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BPL 세트의 적어도 하나로,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공통된 서브 세트가 설정되기 때문에, L1-RSRP에 기초하여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CSI 측정/보고, 및/또는, L1-RSRP 측정/보고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제4 케이스〉
제4 케이스에서는, 제1∼제3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는,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된다. 한편, 제4 케이스에서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1∼제3 케이스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 케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에 공통된 하나 이상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의 적어도 2개에 공통된 액티브 BPL 세트, 또는, 개별의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용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해당 복수의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에 더해, 다른 BPL 세트를 포함해도 좋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제4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에 공통된 BPL 세트 1∼3을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에 BPL 세트 1∼4를 설정한다.
BPL 세트 1, 2, 3, 4는, 각각, Y, Z,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8에서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인 것으로 한다.
도 8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도 8에서는,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4가 설정된다. 무선기지국은, BPL 세트 1∼4의 각 BPL의 L1-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부터 BPL 세트 2로 변경된다.
제4 케이스에서는, L1-RSRP용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으로 공통된 BPL 세트보다도 많게 설정되기 때문에, 빔 장애 발생 시에 BPL 세트의 전환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5 케이스〉
제5 케이스에서는, 제4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되고, 그리고,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에 포함된다. 한편으로, 제5 케이스에서는,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가, PDSCH 수신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4 케이스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4 케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하나 이상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에 공통된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해당 복수의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에 더해, 다른 BPL 세트를 포함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에 공통된 액티브 BPL 세트, 또는, 개별의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용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해당 복수의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 및/또는,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에 더해, 다른 BPL 세트를 포함해도 좋다.
도 9는, 제1 형태에 따른 제5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9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BPL 세트 1을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으로 공통된 BPL 세트 1∼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4를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BPL 세트 1, 2, 3, 4는, 각각, Y, Z,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9에서는, PDCCH 모니터링, BPL 모니터링,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인 것으로 한다.
도 9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도 9에서는,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4가 설정된다. 무선기지국은, BPL 세트 1∼4의 각 BPL의 L1-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9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부터 BPL 세트 2로 변경된다.
제5 케이스에서는,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용으로 공통된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BPL 세트보다도 많게 설정되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은, 빔 장애 발생 시에 CSI에 기초하여 BPL 세트의 전환을 적절 및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6 케이스〉
제6 케이스에서는, 제4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와 동등하고, 그리고, PDSCH 수신용 BPL 세트는,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와 동등하게 설정되고, 그리고, CSI 측정/보고용 BPL 세트는, L1-RSRP 측정/보고용 BPL 세트에 포함된다. 한편으로, 제6 케이스에서는, PDSCH 수신용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4 케이스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4 케이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6 케이스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에 대해,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해당 복수의 BPL 세트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PDSCH 수신 및 CSI 측정/보고에 공통된 서브 세트,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무선기지국은,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및 L1-RSRP 측정/보고에 이용하는 서브 세트(액티브 서브 세트)를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용 복수의 BPL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해당 복수의 BPL 세트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으로 설정된 BPL 세트에 더해, 다른 BPL 세트를 포함해도 좋다.
도 10은, 제1 형태에 따른 제6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으로 BPL 세트 1, 2, 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에 공통으로 BPL 세트 1∼3의 각각의 서브 세트 1∼3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4를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BPL 세트 1, 2, 3, 4는, 각각, Y, Z, Z', Z"개의 BPL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Y=Z=Z'=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BPL 세트 1의 서브 세트 1은, Y개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 1 및 2)을 포함하고, BPL 세트 2의 서브 세트 2는, Z개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 3 및 4)을 포함하고, BPL 세트 3의 서브 세트 3은, Z' 이하의 BPL(여기서는, BPL 5)을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인 것으로 한다. 또,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용 액티브 서브 세트가 서브 세트 1∼3인 것으로 한다.
도 10에서는, BPL 세트 1의 Y개의 BPL 중 X(X≤Y, 여기서는, X=2)개의 BPL의 빔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기간 T1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유저단말은, 해당 빔 장애의 발생을 나타내는 UL 신호(예를 들면, 1 비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은, 빔 장애의 발생을 나타내는 UL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BPL 세트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변경 지시를 포함하는 MAC CE 또는 DCI를 송신한다. 도 10에서는, L1-RSRP 측정/보고용으로 BPL 세트 1∼4가 설정된다. 무선기지국은, BPL 세트 1∼4의 각 BPL의 L1-RSRP에 기초하여, 어느 BPL 세트에 액티브 BPL 세트를 전환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용 액티브 BPL 세트가, BPL 세트 1로부터 BPL 세트 2로 변경된다.
제6 케이스에서는, L1-RSRP용 BPL 세트가, PDCCH 모니터링 및 BPL 모니터링에 공통된 BPL 세트보다도 많게 설정되기 때문에, L1-RSRP에 기초하여 빔 장애 발생 시에 BPL 세트의 전환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형태에 따르면,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 각각의 빔 세트의 관계가 규정되기 때문에, BPL 세트의 설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에서는, 빔 장애를 검출하는 조건(빔 장애 이벤트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티브 BPL 세트 내의 Y개의 BPL 중, X(X≤Y)개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낮은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 빔 장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조건을 이용하여 빔 장애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Y개의 BPL 이외에 사용 가능한 BPL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도, 빔 리커버리가 트리거되는 결과, 빔 리커버리가 실패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 형태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 내의 BPL의 품질뿐 아니라, 액티브 BPL 세트의 전환 후보가 되는 BPL 세트(백업 BPL 세트, 후보 BPL 세트, 비액티브 BPL 세트 등이라고도 한다) 내의 BPL의 품질에 기초하여, 빔 장애 이벤트의 조건이 설정된다.
이하,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1∼제3 조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제1∼제3 조건은,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가,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 제2 형태에서는, 무선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용 BPL 세트 및 BPL 모니터링용 BPL 세트를, 각각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또, 이하의 제1∼제3 조건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유저단말에 설정되어도 좋다.
〈제1 조건〉
제1 조건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의 Y개의 BPL 중 X개(X≤Y)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이 경과되어 있지 않아도, 백업 BPL 세트의 Z개의 BPL 중 P개(P≤Z)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되고 나서 기간 T2가 경과되는 경우,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도 11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1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는, PDCCH 모니터링용으로 BPL 세트 1이 설정되고, BPL 모니터링용으로 BPL 세트 1 및 2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BPL 세트 1, 2는, 각각, Y, Z개의 BPL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Y=Z=2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1에서는, 상기 임계값 X, P도 각각 2인 것으로 하지만, X≤Y, P≤Z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BPL 세트 1)의 BPL 2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 이상 경과되어 있지만, BPL 1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 이상 경과되어 있지 않다. 한편, 백업 BPL 세트(BPL 세트 2)의 P개의 BPL 3 및 4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좋아지고 나서 기간 T2 이상 경과된다. 이 때문에, 유저단말은, 액티브 BPL 세트의 상태에 관계없이, 빔 장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빔 리커버리 신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2 조건〉
제2 조건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의 Y개의 BPL 중 X개(X≤Y)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이 경과되고, 그리고, 백업 BPL 세트의 Z개의 BPL 중 P개(P≤Z)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되고 나서 기간 T2가 경과되는 경우,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도 12는,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2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BPL 1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 이상 경과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과 동일하다.
도 12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BPL 세트 1)의 X개의 BPL 1 및 2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 이상 경과되고, 그리고, 백업 BPL 세트(BPL 세트 2)의 P개의 BPL 3 및 4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좋아지고 나서 기간 T2 이상 경과된다. 이 때문에, 유저단말은, 빔 장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빔 리커버리 신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3 조건〉
제3 조건에서는, 액티브 BPL 세트의 Y개의 BPL 중에서 최량의 BPL의 품질과 비교하여, 백업 BPL 세트 내의 P개의 BPL의 품질이 소정의 오프셋 이상 좋은 경우,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한다.
도 13은, 제2 형태에 따른 빔 장애 이벤트의 제3 조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액티브 BPL 세트(BPL 세트 1) 내에서 BPL 2의 품질이 최량인 것으로 한다. 그 외의 조건은, 도 11과 동일하다.
도 13에서는, 백업 세트 BPL 세트의 P개의 BPL 3 및 4의 품질이, BPL 2의 품질과 비교하여, 소정의 오프셋 이상이다. 이 때문에, 유저단말은, 빔 장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빔 리커버리 신호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2 형태에 따르면, 액티브 BPL 세트 내의 BPL의 품질뿐 아니라, 액티브 BPL 세트의 전환 후보가 되는 BPL 세트(백업 BPL 세트, 후보 BPL 세트 등이라고도 한다) 내의 BPL의 품질에 기초하여, 빔 장애 이벤트의 조건이 설정된다. 이 때문에, 액티브 BPL 세트의 Y개의 BPL 이외에 사용 가능한 BPL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빔 리커버리가 트리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형태)
제3 형태에서는, 빔 리커버리 신호에 이용되는 UL 신호 및/또는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빔 리커버리 신호의 내용〉
빔 리커버리 신호는,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빔 장애의 검출(빔 장애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는, 예를 들면, 1 비트의 명시적인 정보여도 좋으며, 빔 장애의 검출을 묵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다.
또,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는,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빔 장애의 검출과 함께, 전환 후보의 하나 이상의 빔의 빔 ID(또는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하는 빔 그룹의 ID)를 나타내도 좋다. 해당 빔 ID(또는 빔 그룹의 ID)는, 빔(또는 빔 그룹)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떤 정보(예를 들면, 빔에 관련지어지는 CSI-RS 리소스를 나타내는 CRI 등)여도 좋다.
또, 전환 후보의 하나 이상의 빔은, 러프 빔(예를 들면, 도 1a의 빔 B1∼B3)이어도 좋으며, 파이너 빔(예를 들면, 도 1b의 Tx 빔 B21∼B24)이어도 좋다.
또한,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DL의 빔 장애(L1/L2 빔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UL의 빔 장애(L1/L2 빔 장애)가 발생되고 있다고 추정되어도 좋으며, 혹은, DL와 UL와의 빔 장애를 따로 검출되어도 좋다.
〈빔 리커버리 신호의 송신〉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1)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RACH 프리앰블이라고도 한다), (2)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3) UL의 스케줄링 요구(SR: Scheduling Request), (4) SR에 따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DCI(UL 그랜트)로 스케줄링되는 PUSCH, (5) PUCCH의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1) RACH 프리앰블이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이용되는 경우, 유저단말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해당 RACH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해당 리소스는, 초기 액세스 수순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된다.
초기 액세스 수순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되는 리소스에서 RACH 프리앰블을 송심함으로써, 무선기지국은, 해당 RACH 프리앰블을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은, 초기 액세스 수순용 RAR(메시지 2) 대신에, RAR을 이용하여,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빔 리커버리 신호의 프리앰블 ID 또는 리소스에 의해, 전환 후보가 되는 하나 이상의 빔이 묵시적으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이 경우, 해당 프리앰블 ID 또는 리소스와, 해당 하나 이상의 빔의 모빌리티 참조 신호(예를 들면, SS 블록 및/또는 CSI-RS 리소스)가 관련지어져도 좋다.
(2) SRS가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이용되는 경우, 유저단말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해당 SRS을 송신한다. 해당 리소스는, 사운딩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된다. 사운딩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되는 리소스에서 SRS를 송신함으로써, 무선기지국은, 해당 SRS를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3) SR이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이용되는 경우, 유저단말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해당 SR를 송신한다. 해당 리소스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된다.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와는 따로 설정되는 리소스로 SR을 송신함으로써, 무선기지국은, 해당 SR을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4) UL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USCH에서 이용하여 빔 리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CI)에 포함되어도 좋으며, 혹은, MAC 제어 요소(MAC CE)에 포함되어도 좋다.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의 UCI용 리소스가 새롭게 설정되어도 좋다.
(5) PUCCH을 이용하여 빔 리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는, 새롭게 규정되는 PUCCH 영역을 이용하여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를 송신한다. 새롭게 규정되는 PUCCH 영역 내의 리소스에서 PUCCH을 송신함으로써, 무선기지국은, 해당 PUCCH을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해당 PUCCH의 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PUCCH 포맷 1a, 1b 또는 3이 재이용되어도 좋다. 해당 새롭게 규정되는 PUCCH 영역 내의 리소스의 인덱스가, 유저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빔 리커버리 신호용으로 지정되어도 좋다.
또한,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와 동시에, 기존의 UCI(예를 들면, PDSCH의 송달 확인 정보(HARQ-ACK, ACK/NACK, A/N 등이라고도 한다) 및/CSI)가 PUCCH을 이용하여 송신되어도 좋다. 이 경우, 빔 리커버리 신호는, 새로운 PUCCH 영역 내의 리소스로 송신되고, 기존의 UCI는, 기존의 PUCCH 영역에서 송신되어도 좋다. 혹은, 기존의 UCI가 새로운 PUCCH 영역 내의 리소스로 송신되는 경우, 빔 리커버리 신호인 것이 묵시적으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제4 형태)
제4 형태에서는,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에 따른 무선기지국에 있어서의 빔 리커버리 처리 및 응답 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서는, 유저단말은, 소정수의 파이너 빔(예를 들면, 도 1b의 Tx 빔 B21∼B24)(BPL이라고도 한다)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이 경과되기 때문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하지만, 빔 장애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단말은, 러프 빔의 품질(예를 들면, L1-RSRP 또는 L3-RSRP)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해당 러프빔의 측정에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SS 블록)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에,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러프 빔의 빔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러프 빔의 보고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파이너 빔을 재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유저단말로부터의 러프 빔 B2가 보고되는 경우, 무선기지국은, 파이너 빔 B21∼B24를 재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파이너 빔의 재설정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각 파이너 빔과 CSI-RS 리소스와의 관련성 등)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혹은,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러프 빔의 보고에 기초하여, 러브 빔을 이용한 PDCCH 송신에 폴백해도 좋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은, 러프 빔을 이용한 PDCCH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PDCCH용 신호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 CSI 측정/보고용 CSI-RS(CSI-RS 리소스)의 구성 등)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도 15는, 제4 형태에 따른 빔 리커버리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서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BPL 세트 1 내의 소정수의 빔의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저하되고 나서 기간 T1이 경과되기 때문에,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하지만, 빔 장애 이벤트의 트리거 조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는, 빔 장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유저단말은, 빔 리커버리 신호에, 품질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BPL 세트 2 내의 빔의 빔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 내의 빔 ID, MAC CE 또는 DCI를 이용하여, BPL 세트 1로부터 BPL 세트 2로의 액티브 BPL 세트의 전환 지시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또, 해당 응답 신호에는, BPL 세트 2의 각 빔의 CSI 측정/보고의 트리거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혹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에 의해 빔 장애의 발생만이 나타내어지는 경우, 무선기지국은, L1-RSRP 측정/보고, 및/또는, CSI 측정/보고에 기초하여, 전환처의 BPL 세트 2를 결정하고, 해당 BPL 세트 2로의 전환 지시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그 외의 형태)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 유저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BPL 세트 수가 2개로 제한되어도 좋다. 유저단말에 대해 2 BPL 세트만이 설정되는 경우,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면, DCI 또는 MAC 제어 요소를 이용하여, 타방의 BPL 세트로의 전환 지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3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5개 이하의 CC, 6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40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 접속(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링크(DL)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DL 데이터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알림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나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볼 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PDCCH 및/또는 EPDCCH은, DL 제어 채널, NR-PDCCH 등이라고도 불린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링크(UL)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UL 데이터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L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나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DL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모빌리티 참조 신호(MRS)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UL 참조 신호로서,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0)에서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 동기 신호(PSS 및/또는 SSS),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등이 전송된다.
〈무선기지국〉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DL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UL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U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UL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나,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분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 안테나(101)는, 예를 들면,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103)는, 싱글 BF, 멀티 BF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부(103)는, DL 신호(예를 들면, NR-PDCCH/PDSCH,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 CSI-RS, DMRS, DCI, DL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UL 신호(예를 들면, PUCCH, PUSCH, 빔 리커버리 신호, 측정 보고, 빔 보고, CSI 보고, L1-RSRP 보고, UCI, UL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빔 측정용 구성 정보(예를 들면,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 각각의 BPL 세트의 관계 등)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CSI-RS 리소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DMRS 포트와 CSI-RS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또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리소스 혹은 안테나 포트) 및 리커버리 신호용 UL 리소스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PRACH 프리앰블을 수신하고,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RAR을 송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SR, SRS, UL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USCH 또는 PUCCH를 수신해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무선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303)에 의한 신호의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나, 측정부(305)에 의한 신호의 측정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DL 데이터 채널, UL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을 제어하고, DL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DCI(DL 어사인먼트), UL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DCI(UL 그랜트)의 생성 및 송신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의한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103)에 의한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전)를 이용하여, Tx 빔 및/또는 Rx 빔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DL 신호(예를 들면, NR-PDCCH/PDSCH)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빔(Tx 빔 및/또는 Rx 빔)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로부터의 CSI(CRI, CQI, PMI, RI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빔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SS 블록)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빔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빔 측정용 신호(예를 들면, CSI-RS 및/또는 SS 블록)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빔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로부터의 빔 리커버리 신호에 기초하여, 빔(BPL)의 리커버리(전환)를 제어해도 좋다(제4 형태).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빔 리커버리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단말(20)의 베스트 빔을 인식하고, CSI-RS 리소스의 재설정, DMRS 포트와 CSI-RS 리소스의 QCL의 재설정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재설정된 CSI-RS 리소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DMRS 포트와 CSI-RS 리소스의 QCL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또는, 빔 측정용 신호) 및 리커버리 신호용 UL 리소스와의 관련성을 제어하고, 해당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송신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BPL 모니터링(빔 장애의 감시)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PDCCH 모니터링(DL 제어 채널의 감시)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301)는,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PDSCH 수신(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301)는,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을,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및/또는 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에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3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을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 및 제4 케이스). 또, 제어부(3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빔을,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2 및 제5 케이스). 제어부(3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의 일부를,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3 및 제6 케이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DL 신호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DCI(DL 어사인먼트,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또, DL 데이터 채널(PDSCH)에는,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CSI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 빔포밍 처리(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DL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UL 신호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예를 들면, CSI, HARQ-ACK 등)를 수신한 경우, 해당 피드백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신호나,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305)는, 예를 들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및/또는 RSSI),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의 적어도 하나 등)이나 채널 상태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D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욱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분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 안테나(201)는, 예를 들면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203)는, 싱글 BF, 멀티 BF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부(203)는, DL 신호(예를 들면, NR-PDCCH/PDSCH,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 빔 측정용 신호, CSI-RS, DMRS, DCI, DL 데이터, SS 블록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UL 신호(예를 들면, PUCCH, PUSCH, 빔 리커버리 신호, 측정 보고, 빔 보고, CSI 보고, L1-RSRP 보고, UCI, UL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빔 측정용 구성 정보(예를 들면,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 각각의 BPL 세트의 관계 등)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CSI-RS 리소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DMRS 포트와 CSI-RS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또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의 리소스 혹은 안테나 포트) 및 리커버리 신호용 UL 리소스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PRACH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해당 빔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RAR을 수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빔 리커버리 신호로서, SR, SRS, UL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USCH 또는 PUCCH를 송신해도 좋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의한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403)에 의한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나, 측정부(405)에 의한 신호의 측정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DL 제어 신호(DL 제어 채널) 및 DL 데이터 신호(DL 데이터 채널)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DL 제어 신호나, D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UL 제어 신호(예를 들면, 송달 확인 정보 등)나 UL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의한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203)에 의한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전)를 이용하여,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DL 신호(예를 들면, NR-PDCCH/PDSCH)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빔(Tx 빔 및/또는 Rx 빔)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BPL 모니터링, PDCCH 모니터링, PDSCH 수신, CSI 측정/보고, L1-RSRP 측정/보고 적어도 하나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빔(빔 세트, BPL 세트)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BPL 모니터링(빔 장애의 감시)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PDCCH 모니터링(DL 제어 채널의 감시)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401)는,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를, PDSCH 수신(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401)는, CSI 측정/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을,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의 측정 및/또는 보고용으로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빔의 적어도 일부에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제6 케이스).
또, 제어부(4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을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1 및 제4 케이스). 또, 제어부(4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하는 복수의 빔을,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2 및 제5 케이스). 제어부(301)는, PDCCH 모니터링용의 하나 이상의 빔의 일부를, PDSCH 수신용으로 설정해도 좋다(제1 형태, 제3 및 제6 케이스).
또, 제어부(401)는, BPL 모니터링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 리커버리 신호의 송신을 제어해도 좋다(제2 형태 및 제3 형태). 빔 리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트리거 조건은, 제2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제어부(401)는,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를 이용한 RRM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의 송신을 제어한다. 해당 측정 보고에는, RSRP/RSRQ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빔의 빔 ID, RSRP/RSRQ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CSI-RS 리소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부(405)에 의한 CSI-RS 리소스의 측정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CSI-RS 리소스를 이용한 빔 측정(CSI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CSI의 생성 및/또는 보고를 제어해도 좋다. CSI에는, CRI, CQI, PMI, RI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된다.
또,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DMRS 포트와 CSI-RS 리소스와의 QCL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DL 신호의 수신 처리(복조 및/또는 복호)를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DMRS 포트에 관련지어진 CSI-RS 리소스와 동일한 빔이 DL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빔 리커버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수신 처리(복조 및/또는 복호)를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해당 응답 신호(및/또는 해당 응답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NR-PDCCH 또는 서치 스페이스)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빔은, RSRP/RSRQ가 가장 좋은 모빌리티 측정용 참조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UL 신호(UL 제어 신호, UL 데이터 신호, UL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예를 들면, HARQ-ACK, CSI, 스케줄링 요구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DL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UL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DL 신호(DL 제어 신호, DL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모빌리티 측정용 신호 및/또는 CSI-RS 리소스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5)는, 예를 들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수신 SINR)이나 채널 상태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으로,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볼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ms)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ms)이어도 좋으며, 1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볼)이어도 좋으며, 1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나 송신전력 등)을,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볼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수(미니 슬롯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통상 TTI(LTE Rel.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러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어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볼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의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볼 수, 심볼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달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이나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 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 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on),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 그리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빛(가시 및 불가시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의 전자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Claims (6)
-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용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검출용 신호의 리소스의 세트에 포함되는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빔 장애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빔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빔 장애 검출을 나타내는 MAC CE를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MAC CE는, 후보 빔에 관련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CSI-RS 리소스 ID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링 요구에 따라 하향제어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이용하여 상기 MAC CE를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빔의 품질은 임계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용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구성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검출용 신호의 리소스의 세트에 포함되는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빔 장애를 검출하는 공정;
상기 빔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빔 장애 검출을 나타내는 MAC CE를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공정;를 갖고,
상기 MAC CE는, 후보 빔에 관련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CSI-RS 리소스 ID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단말에 대해,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용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빔 장애의 검출을 나타내는 MAC CE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장애는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검출용 신호의 리소스의 세트에 포함되는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 검출되고,
상기 MAC CE는, 후보 빔에 관련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CSI-RS 리소스 ID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단말과 기지국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하향 링크(DL)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용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검출용 신호의 리소스의 세트에 포함되는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빔 장애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빔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빔 장애 검출을 나타내는 MAC CE를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MAC CE는, 후보 빔에 관련된 CSI-RS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CSI-RS 리소스 ID를 나타내고,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MAC CE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7/011898 WO2018173239A1 (ja) | 2017-03-23 | 2017-03-23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9918A KR20190129918A (ko) | 2019-11-20 |
KR102385546B1 true KR102385546B1 (ko) | 2022-04-13 |
Family
ID=6358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9512A KR102385546B1 (ko) | 2017-03-23 | 2017-03-23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139881B2 (ko) |
EP (1) | EP3605861A4 (ko) |
JP (1) | JP7010928B2 (ko) |
KR (1) | KR102385546B1 (ko) |
CN (1) | CN110622432B (ko) |
BR (1) | BR112019019620A2 (ko) |
WO (1) | WO20181732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20052B (zh) * | 2015-11-10 | 2021-03-01 | 美商Idac控股公司 | 無線傳輸/接收單元和無線通訊方法 |
CN113395779A (zh) * | 2017-03-24 | 2021-09-1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波束恢复的处理方法及装置 |
EP3602827A1 (en) * | 2017-03-24 | 2020-02-05 | Intel IP Corporation | Beam recovery frame structure and recovery request for communication systems |
EP3603319B1 (en) * | 2017-03-24 | 2024-10-16 | Nokia Technologies Oy | Beam-based radio link monitoring |
WO2018172987A1 (en) * | 2017-03-24 | 2018-09-2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Quasi-colocation of system access and control signals |
CN108633045A (zh) * | 2017-03-24 | 2018-10-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链路重建方法及设备 |
US10820355B2 (en) * | 2017-03-24 | 2020-10-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10602520B2 (en) * | 2017-03-24 | 2020-03-24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link control beam switching |
US11134492B2 (en) * | 2017-04-12 | 2021-09-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covery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
CN108923896B (zh) | 2017-04-19 | 2021-03-26 |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被用于寻呼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
CN109246732B (zh) * | 2017-04-28 | 2020-05-1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波束失败恢复方法和终端 |
US11082864B2 (en) * | 2017-05-04 | 2021-08-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means of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id method |
EP3619950A1 (en) | 2017-05-04 | 2020-03-11 | Ofinno, LLC | Beam-based measurement configuration |
CN108112074B (zh) * | 2017-05-05 | 2023-07-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信息的上报、接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EP3626016A4 (en) * | 2017-05-15 | 2020-12-30 | Apple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CONNECTION MONITORING |
EP3636030A4 (en) * | 2017-06-09 | 2020-05-13 | Nec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HYSICAL DIRECT ACCESS CHANNEL |
CN109150445B (zh) * | 2017-06-16 | 2021-08-24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下行控制信息发送与接收方法及设备 |
JP2020528699A (ja) * | 2017-07-24 | 2020-09-24 |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多重ビームシステムのビーム失敗復旧手続きをトリガーする方法および端末 |
CN116390245A (zh) * | 2017-08-08 | 2023-07-04 | 苹果公司 | 用于复用跟踪参考信号和同步信号块的系统和方法 |
EP3665792A1 (en) * | 2017-08-09 | 2020-06-17 | IDAC Holding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beam recovery and management |
CN109391984B (zh) * | 2017-08-10 | 2020-10-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波束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08988921B (zh) | 2017-08-11 | 2019-08-02 |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波束信息的指示、确定方法及装置、通信系统 |
CN110710311B (zh) * | 2017-08-11 | 2023-05-23 | 富士通株式会社 | 波束失败事件的触发条件的配置方法、装置和通信系统 |
US10567064B2 (en) * | 2017-09-08 | 2020-02-18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Beam recovery for partial control channel failure |
US10123322B1 (en) | 2017-09-18 | 2018-11-06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mission of beam switch commands through control channel signaling |
US10873866B2 (en) * | 2017-09-27 | 2020-12-2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
US10743204B2 (en) * | 2017-11-10 | 2020-08-11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beam information |
CN109788576B (zh) * | 2017-11-15 | 2020-10-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随机接入方法、装置及设备 |
CN115987355A (zh) * | 2017-11-15 | 2023-04-18 |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
SG11202003186PA (en) * | 2017-11-17 | 2020-05-2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arrying out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CN113747585B (zh) * | 2017-11-27 | 2024-08-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链路恢复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
CN108093481B (zh) * | 2017-11-28 | 2023-04-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发送波束恢复信息的方法和装置、波束检测方法和装置 |
US20210092001A1 (en) * | 2017-12-21 | 2021-03-25 | Ntt Docomo, Inc. |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
CN111466128B (zh) | 2018-01-04 | 2023-08-08 | 富士通株式会社 | 波束失败恢复的配置方法、装置及通信系统 |
WO2019138081A1 (en) * | 2018-01-12 | 2019-07-18 | Nokia Technologies Oy | Utiliz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in beam recovery procedure |
CN111226454A (zh) * | 2018-02-07 | 2020-06-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通信方法和设备 |
US11115892B2 (en) * | 2018-02-15 | 2021-09-07 | Ofinno, Llc | Beam failure information for radio configuration |
US11856432B2 (en) * | 2018-06-08 | 2023-12-26 | Qualcomm Incorporated | Acknowledgement design for mult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transmission |
US11197210B2 (en) * | 2018-07-19 | 2021-12-07 | Qualcomm Incorporated |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paging in a non-anchor carrier |
US12069611B2 (en) * | 2018-08-08 | 2024-08-2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apparatus therefor |
CN114900839A (zh) | 2018-09-28 | 2022-08-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
US10476577B1 (en) * | 2018-11-05 | 2019-11-12 | Google Llc | User equipment-initiated beam search for fifth generation new radio |
US11206074B2 (en) | 2018-12-06 | 2021-12-21 | Qualcomm Incorporated | Determining sub-dominant clusters in a millimeter wave channel |
US20220224394A1 (en) * | 2019-06-13 | 2022-07-14 | Sony Group Corporation | Methods for controlling beam failure detection, wireless devices and network nodes |
CN112584443A (zh) * | 2019-09-27 | 2021-03-30 | 苹果公司 | 辅助小区链路恢复请求传输 |
US11206073B2 (en) * | 2019-11-08 | 2021-12-21 | Qualcomm Incorporated | Synchronization of base station beam switching with channel feedback |
US11552691B2 (en) * | 2019-12-16 | 2023-01-10 | Qualcomm Incorporated | Beam recovery grouping |
US11956184B2 (en) * | 2020-06-05 | 2024-04-09 | Qualcomm Incorporated | Autonomous fallback for full-duplex beam pair |
US11929803B2 (en) * | 2020-07-29 | 2024-03-12 | Qualcomm Incorporated | Connected mode beam management for narrowband systems |
US20220353131A1 (en) * | 2021-04-29 | 2022-11-03 | Qualcomm Incorporated | Uplink beam continuation for downlink beam failure recovery |
JP2023125788A (ja) * | 2022-02-28 | 2023-09-07 | Kddi株式会社 | 制御装置、ユーザ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27936B2 (ja) * | 2009-11-02 | 2013-07-03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
KR101839386B1 (ko) * | 2011-08-12 | 2018-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빔포밍 장치 및 방법 |
US20130286960A1 (en) * | 2012-04-30 | 2013-10-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
US9468022B2 (en) * | 2012-12-26 | 2016-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
US10484983B2 (en) * | 2017-02-06 | 2019-11-19 | Nokia Technologies Oy | Robust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scheme |
US10454755B2 (en) * | 2017-03-22 | 2019-10-22 | Qualcomm Incorporated | Beam failure identification and recovery techniques |
-
2017
- 2017-03-23 KR KR1020197029512A patent/KR1023855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3-23 WO PCT/JP2017/011898 patent/WO2018173239A1/ja unknown
- 2017-03-23 CN CN201780090779.2A patent/CN110622432B/zh active Active
- 2017-03-23 EP EP17901400.6A patent/EP360586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3-23 US US16/494,929 patent/US11139881B2/en active Active
- 2017-03-23 BR BR112019019620A patent/BR112019019620A2/pt unknown
- 2017-03-23 JP JP2019506872A patent/JP7010928B2/ja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3GPP R1-1700765 |
3GPP R1-1702674* |
3GPP R1-1703988* |
3GPP R2-170135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9918A (ko) | 2019-11-20 |
JP7010928B2 (ja) | 2022-01-26 |
JPWO2018173239A1 (ja) | 2020-01-23 |
US20200099437A1 (en) | 2020-03-26 |
CN110622432A (zh) | 2019-12-27 |
CN110622432B (zh) | 2022-08-02 |
EP3605861A4 (en) | 2020-09-16 |
BR112019019620A2 (pt) | 2020-04-22 |
WO2018173239A1 (ja) | 2018-09-27 |
US11139881B2 (en) | 2021-10-05 |
EP3605861A1 (en) | 2020-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5546B1 (ko)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
JP7197371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 |
JP6813662B2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KR102456057B1 (ko)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
WO2018143390A1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WO2018167958A1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JP7398278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 |
JPWO2019087360A1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JP7010927B2 (ja) |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JPWO2019138531A1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KR102680154B1 (ko)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
WO2018128180A1 (ja) |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
KR102660443B1 (ko) | 유저단말 | |
EP3681053A1 (en) |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JP7210673B2 (ja) |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 |
JP7269386B2 (ja) |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