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354B1 - Non-Powered Pallet Stove - Google Patents

Non-Powered Pallet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354B1
KR102385354B1 KR1020210096107A KR20210096107A KR102385354B1 KR 102385354 B1 KR102385354 B1 KR 102385354B1 KR 1020210096107 A KR1020210096107 A KR 1020210096107A KR 20210096107 A KR20210096107 A KR 20210096107A KR 102385354 B1 KR102385354 B1 KR 10238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stove
supply line
stove body
pe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원 filed Critical 김동원
Priority to KR102021009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2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functional pellet stove. The non-powered functional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of the stove for forming a space for combustion using pellets as a fuel; a smokestac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stove and discharging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 pellet-inputting hopper for inputting pellets into the main body of the stove; a pellet supply line part having one end part communicating with the pellet-inputting hopper, having the other end part arrang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stove, and supplying pellets in the pellet-inputting hopper; an air supply line part arranged at an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part and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main body of the stove; and a pellet dispersing unit arrang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par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stove and dispers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line part. Therefore, provided is a non-powered functional pellet stove, wherein the efficiency of combustion can be increased by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Description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Non-Powered Pallet Stove}Functional Non-Powered Pallet Stove {Non-Powered Pallet Stove}

본 발명은,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than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목재 펠릿(wood pellet)은, 폐목이나 잡목 등으로 만들어지는 친환경 재생 연료로서, 화석을 원료로 하는 타 에너지에 비해 열량이 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역시 저렴하고 관리가 용이하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Wood pellet is an eco-friendly and renewable fuel made from waste wood or miscellaneous wood, and not only does not lag behind other energy sources using fossils as a raw material, but is also inexpensive and easy to manage, so the demand is increasing. there is.

목재 펠릿은, 특히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12 수준으로 미약하여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에서 이산화탄소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연료이고, 균일한 형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정확한 에너지 양의 조절이 가능하며, 에너지의 밀도와 저장능력이 크고, 에너지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선진국형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Wood pellets, in particular, are a fuel exempted from carbon dioxide regulation in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ecause the carbon emission, the main culprit of global warming, is also weak at 1/12 of that of ordinary diesel. It is widely known as an advanced eco-friendly energy source that can accurately control the amount of energy, has a large energy density and storage capacity, and is helpful in reducing energy costs. .

특히, 동계 레저 활동과 캠핑 등의 야외활동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펠릿을 연료로 하는 휴대용 무동력 펠릿 난로(pellet stove)도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In particular, as the population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winter leisure activities and camping increases, the demand for portable non-powered pellet stoves using pellets as fuel is also on the rise.

그러나, 종래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펠릿 난로는 펠릿의 연소율을 높이기 위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을 회전시켜 외기가 강제적으로 펠릿 난로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어서, 예를 들어 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나 지역에서는 팬을 회전시킬 수 없어 펠릿의 연소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ellet stove using pellets as fuel rotates a fan rotated by a motor to increase the combustion rate of the pellets so that outdoor air is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pellet stove, for example, a space where electricity is not installed In the Ina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bustion performance of the pellets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fan cannot be rotated, and appropriate measures were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도 1은 종래의 펠릿 난로의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ellet stove.

도 1을 참조하면, 펠릿 난로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4), 그리고 상기 케이싱(2)의 내부와 연통하는 배기관(8)을 포함하고 있다.1, the pellet stove, the casing (2) having a certain space therein, the hopper (4)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2) It includes an exhaust pipe (8).

상기 호퍼(4)는 펠릿을 적재하여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호퍼(4)의 하부에는 연소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소부(6)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공(6a)이 설치되어 있으며, 펠릿의 연소 정도에 따라서 공기조절공(6a)의 열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said hopper 4 can be said to be loaded with pellets, and the combustion part 6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is hopper 4. The combustion unit 6 is provided with an air control hole 6a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erein,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air conditioning hole 6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bustion of the pellets. It is common.

그리고 상기 케이싱(2)와 연통하는 배기관(8)에는, 상기 배기관(8)을 통하여 외부로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팬(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배기관(8)의 상부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8)을 통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강제송풍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소부(6)에서 펠릿은 하향연소식으로 연소되면서 열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에는 투시창(5)이 설치되어 연소부(6)에서 연소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각적 효과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A fan (not shown)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8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 communicating with the casing 2 . That is, as indicated by an arrow on the upper part of the exhaust pipe 8, since it has a forced air structure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8, the pellets in the combustion unit 6 are burned in a downward combustion manner. as it generates hea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asing (2) has a viewing window (5)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unit (6), and it can be said that it also has a visual effect.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칸막이(9)는 케이싱(2) 내부에서 지그재그 경로를 만들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싱(2) 내부에서 경로를 길게 만드는 것은, 열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더욱 길게 함으로써 열을 발생하는 난로로서의 기능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partitions 9 ar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2 . Such a partition (9) can be said to be installed so as to make a zigzag path inside the casing (2). In this way, the lengthening of the path inside the casing 2 is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as a stove for generating heat by mak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heat passes longer.

도 1과 같은 구조의 펠릿 난로가 극히 일반적이긴 하지만, 이러한 펠릿 난로는 구조가 너무 단순해서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Although the pellet stove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is extremely common, considering that the pellet stove has a structure that is too simple and does not provide a special func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supplement it.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06155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5-0006155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58940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5-0158940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39503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7-003950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8494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14-0008494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상기 목적은, 펠릿(pellet)을 원료로 연소하는 공간을 이루는 난로 본체; 상기 난로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연소 작용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 상기 난로 본체로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 투입용 호퍼; 일단부는 상기 펠릿 투입용 호퍼와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펠릿 투입용 호퍼 내의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 라인부;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난로 본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라인부; 및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의 하단부 영역에 이웃한 위치에서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에서 공급되는 펠릿을 분산시키는 펠릿 분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the stove body forming a space for burning pellets as a raw material; a flu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ve body and discharging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 pellet input hopper for inputting the pellets into the stove body;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hopper for the pellet input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tove body, a pellet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pellets in the hopper for the pellet input; an air supply line part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ellet supply line part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hearth body; and a pellet dispersing unit disposed in the stove bod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and dispers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line. It is achieved by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

상기 펠릿 분산유닛은,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 및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되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 쪽으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원추형 펠릿 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llet dispersion unit, the unit body disposed in the stove body; And it may include a conical pellet dispersion part connected to the unit body is formed sharply toward the pellet supply line.

상기 공기 공급 라인부의 상단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홀의 주변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판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line portion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 from the upper side, and an opening degree adjusting plat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hole may be movably disposed around the air inlet hole. .

상기 연통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펠릿 연소 시 상기 난로 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연통으로 가이드되게 유도하는 토치 예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mmunic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torch preheating unit for guiding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stove body during pellet combustion to be guided into the communication.

상기 난로 본체의 측부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마련되되 판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접이식 테이블;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과 상기 접이식 테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테이블 힌지;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접힘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접힘 나비볼트; 및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펼침 나비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olding table provid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on the side of the stov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ate surface; a table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stove body; a table hinge connected to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the folding table and forming a rotation axis of the folding table; a table folding butterfly bol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supporting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table; and a table unfolding butterfly bol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supporting an unfolded state of the foldable table.

상기 난로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부를 지지하는 라인 지지판이 마련되며, 상기 난로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난로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브릿지가 마련되며, 상기 난로 본체의 일측에는 윈도가 결합한 도어가 마련되되 상기 도어의 일측에 로킹 손잡이가 결합하며, 상기 브릿지의 하부에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A lin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air supply lin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rth body, a plurality of bridges for supporting the hearth body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rth body, and a door coupled to a window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rth body However, a locking handle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and a tray may be disposed under the bridge.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than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펠릿 난로의 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펠릿 공급 라인부와 공기 공급 라인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접이식 테이블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접이식 테이블을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트레이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동작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적용된 펠릿 연소장치 영역의 구조도이다.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ellet stov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FIG. 2 from another angle.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2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2 ;
6 is a plan view of FIG. 2 .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ellet supply line portion and an air supply line portion region.
8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able is folded.
9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able is unfolded.
10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n which the tray is separated from FIG. 10 .
12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12 .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rea applied to FIG. 14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in some case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은 펠릿 공급 라인부와 공기 공급 라인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접이식 테이블을 접은 상태의 도면, 도 9는 접이식 테이블을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Figure 2 from another angl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 2 , FIG.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ellet supply line and an air supply line region, FIG. 8 is a view of the folding table in a folded state, and FIG. 9 is a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table is unfold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100)는 종래와 달리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so that the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100)는 난로 본체(110)를 구비하며, 난로 본체(110)에 아래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has a hearth body 110 , and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stove body 110 by position.

난로 본체(110)는 펠릿(pellet)을 원료로 연소하는 공간을 이룬다. 도면에는 난로 본체(1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stove body 110 forms a space for burning pellets as raw materials. In the drawing, the stove body 110 is show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난로 본체(110)의 하부에는 난로 본체(1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브릿지(113)가 마련된다. 브릿지(113)의 하부에 트레이(118)가 배치된다. 트레이(118)는 연소 시 발생하는 부산물 등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A plurality of bridges 113 supporting the hearth body 110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ve body 110 . A tray 118 is disposed under the bridge 113 . The tray 118 prevents by-product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from falling to the floor.

난로 본체(110)의 일측에는 도어(114)가 마련된다. 도어(114)의 개폐를 위해 도어(114)의 일측에 로킹 손잡이(116)가 결합한다. 로킹 손잡이(116)를 회전시켜 도어(114)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14)에는 내부 투시가 가능한 윈도(115)가 결합한다.A door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ve body 110 . A locking handle 116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114 to open and close the door 114 . The door 11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locking handle 116 . The door 114 is coupled to a window 115 through which the interior can be seen.

난로 본체(110)의 일측에는 연통(120)이 마련된다. 연통(120)은 펠릿 연소 작용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통로를 이룬다. 연통(120)은 직선 형태일 수도 있고, 일측이 절곡된 ㄴ자 형태일 수도 있다.A communication tube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ve body 110 . The communication tube 120 form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pellet combustion action. The communication 120 may be in a straight shape, or may have an L-shape in which one side is bent.

연통(120)의 하부 영역에는 토치 예열부(125)가 마련된다. 토치 예열부(125)는 펠릿 연소 시 난로 본체(110)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연통(120)으로 가이드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토치 예열부(125)를 통해 예열을 함으로써 연기를 연통(120)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A torch preheating unit 125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mmunication tube 120 . The torch preheating unit 125 serves to guide the smoke generated in the stove body 110 to the communication pipe 120 during pellet combustion. That is, by preheating through the torch preheating unit 125 , smoke may be induced toward the chimney 120 .

난로 본체(110) 내에서 펠릿에 대한 연소가 진행될 수 있게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100)에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 투입용 호퍼(130)가 마련된다.A hopper 130 for pellet input is provided to put the pellets in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o that combustion of the pellets can proceed in the stove body 110 .

그리고, 펠릿 투입용 호퍼(130)는 펠릿 공급 라인부(131)에 의해 난로 본체(110)와 연결된다. 펠릿 공급 라인부(131)는 그 일단부가 펠릿 투입용 호퍼(130)와 연통(120)하고 타단부는 난로 본체(110) 내에 배치되며, 펠릿 투입용 호퍼(130) 내의 펠릿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pellet input hopper 130 is connected to the hearth body 110 by the pellet supply line (131). The pellet supply line part 131 has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pper 130 for pellet input 12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tove body 110, and serves to supply the pellets in the hopper 130 for pellet input. do.

펠릿 공급 라인부(13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 공급 라인부(140)가 연결된다. 공기 공급 라인부(140)는 펠릿 공급 라인부(13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난로 본체(11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난로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공기 공급 라인부(140)를 지지하는 라인 지지판(112)이 마련된다.The air supply lin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ellet supply line unit 131 . The air supply line unit 140 serves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hearth body 110 is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ellet supply line unit 131 . A line support plate 112 for supporting the air supply line 1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ve body 110 .

공기 공급 라인부(140)의 상단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홀(141)이 형성된다. 외부 공기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입되는 구조라서 무동력에 의한 펠릿 연소가 가능해진다.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141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line 140 ,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ince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pellet combustion by non-powered is possible.

공기 유입홀(141)의 주변에는 공기 유입홀(141)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판(142)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공기 유입홀(141)의 개도 조절을 통해 화력 조절이 가능해진다.An opening degree control plate 142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hole 141 is movably disposed around the air inlet hole 141 . Heating power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air inlet hole 141 .

펠릿 공급 라인부(131)의 하단부 영역에는 펠릿 분산유닛(150)이 배치된다. 펠릿 분산유닛(150)은 펠릿 공급 라인부(131)의 하단부 영역의 이웃한 위치에서 난로 본체(110) 내에 배치되며, 펠릿 공급 라인부(131)에서 공급되는 펠릿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A pellet dispersing unit 150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131 . The pellet dispersing unit 150 is disposed in the stove body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131, and serves to disperse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line 131.

이러한 펠릿 분산유닛(150)은 난로 본체(110) 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151)와, 유닛 바디(151)에 연결되되 펠릿 공급 라인부(131) 쪽으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원추형 펠릿 분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This pellet dispersing unit 150 is a conical pellet dispersing unit 152 connected to the unit body 151 and the unit body 151 disposed in the stove body 110 and formed sharply toward the pellet supply line 131 . ) may be included.

펠릿 분산유닛(150)의 구조로 인해 공급되는 펠릿이 한 쪽으로 뭉쳐 공급되지 않게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른 연소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pellet dispersing unit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lied pellets from being bundled together to one side, thereby promoting an even combustion ac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100)에는 도 8 및 도 9처럼 접철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160)이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a foldable folding table 160 is applied.

접이식 테이블(160)은 난로 본체(110)의 측부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마련되는 구조물로서, 간단한 물품을 올려둘 때, 사용할 수 있다. 접이식 테이블(160)은 난로 본체(110)의 양측면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때에 따라 난로 본체(110)의 한 쪽에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The folding table 160 is a structure provided to be folded or unfolded on the side of the stove body 110 , and can be used when placing simple items. The folding table 16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ove body 110 . However, in some cases, it may be applied only to one side of the stove body 110, and it should be said that all of these matter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접이식 테이블(160)이 테이블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접이식 테이블(160)에는 복수 개의 통공(161)이 형성된다.Although the folding table 160 serves as a tabl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1 are formed in the folding table 160 to reduce weight.

그리고, 도 8 및 도 9처럼 접이식 테이블(160)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난로 본체(110)에 연결되는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162)과,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162)과 접이식 테이블(160)에 연결되고 접이식 테이블(160)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테이블 힌지(163)와,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162)의 일측에 마련되고 접이식 테이블(160)의 접힘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접힘 나비볼트(164)와,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162)의 타측에 마련되고 접이식 테이블(160)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펼침 나비볼트(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로써 접이식 테이블(160)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서 사용상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And, in order to fold or unfold the folding table 160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table support bracket 162 connected to the stove body 110, the table support bracket 162 and the folding table 160 are connected and A table hinge 163 form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olding table 160, a table folding butterfly bolt 16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 support bracket 162 to support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table 160, and a table support It may further include a table unfolding butterfly bolt 16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162 and support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folding table 160 . With such a simple structure, the folding table 160 can be folded or unfold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이에, 접이식 테이블(160)을 접을 때는 도 8처럼 테이블 힌지(163)를 축으로 접이식 테이블(160)을 접은 다음 테이블 접힘 나비볼트(164)를 접이식 테이블(160)의 사이드에 형성되는 제1 볼트홀(H1)에 체결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folding the folding table 160, fold the folding table 160 with the table hinge 163 as an axis as shown in FIG. 8, and then attach the table folding butterfly bolt 164 to the first bolt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table 160 It can be fastened to the hole (H1).

반대로, 접이식 테이블(160)을 펼쳐 사용할 때는 도 9처럼 테이블 힌지(163)를 축으로 접이식 테이블(160)을 가로로 펼친 다음 테이블 펼침 나비볼트(165)를 접이식 테이블(160)의 사이드에 형성되는 제2 볼트홀(H2)에 체결하면 된다.Conversely, when unfolding the folding table 160 and using it, as shown in FIG. 9 , the folding table 160 is horizontally spread around the table hinge 163 , and then the table unfolding butterfly bolt 16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table 160 . It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bolt hole H2.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100)에 따르면 공기 공급 라인부(140)의 상단부에 공기 유입홀(141)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동력 없이 연기가 연통(120)을 통해 배출되는 자연스러운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00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air inlet hole 14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line 140,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as a natural structure in which smoke is discharged through the chimney 120 without the power of the

또한, 펠릿 분산유닛(150)으로 인해 펠릿이 뭉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고른 열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uniform thermal efficiency by dispersing the pellets without agglomeration due to the pellet dispersing unit 150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트레이를 분리한 도면이다.10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in which the tray is separated from FIG. 10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200) 역시, 복수 개의 브릿지(113)를 구비하는 난로 본체(110)를 구비하며, 브릿지(113)의 하부에 트레이(218)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stove body 110 having a plurality of bridges 113 , and a tray 218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113 . It has an arranged structure.

이때, 트레이(218)에는 브릿지(113)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리 배치홈부(218a)가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tray 21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18a in which the ends of the bridge 113 are disposed.

트레이(218)에 자리 배치홈부(218a)가 마련되면 브릿지(113)에 대하여 트레이(218)가 흔들리지 않아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고, 브릿지(113)의 흔들림에 따른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seat arrangement groove 218a is provided in the tray 218, the tray 218 does not shake with respect to the bridge 113, 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risk due to the shaking of the bridge 113. there is.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제3 실시예)(Example 3)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동작도이다.12 is a partial sectional side view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12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200) 역시, 난로 본체(110)로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 투입용 호퍼(330)가 적용되며, 이의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lso applied to the pellet input hopper 330 for injecting the pellets into the stove body 110, and its role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펠릿 투입용 호퍼(330)에 펠릿 정량 공급수단이 더 갖춰진다. 이러한 펠릿 정량 공급수단은 복수 개의 개폐판(331)과, 펠릿 투입용 호퍼(330)의 내벽에 마련되되 개폐판(331)을 전동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동식 회전모듈(332)과, 펠릿 투입용 호퍼(330)의 외벽에 마련되고 전동식 회전모듈(332)를 동작시키는 전동 버튼(333)을 포함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opper 330 for pellet input is further provided with a quantitative supply means for pellets. This pellet quantity supply means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lates 331 and the hopper 330 for pellet input, and the electric rotation module 332 for electrically rotatably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31, and pellet input It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pper 330 for and includes an electric button 333 for operating the electric rotation module 332.

이에, 도 12에서 도 13처럼 전동 버튼(333)을 가압하면 전동식 회전모듈(332)의 작용으로 개폐판(331)이 열리게 되는데, 이때, 개폐판(331) 위의 공간에 채워진 만큼만 난로 본체(110) 내로 투입될 수 있어서 늘 정량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button 333 is pressed as shown in FIG. 12 in FIG. 13,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31 is opened by the action of the electric rotation module 332. At this time, only as much as the space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31 is filled in the stove body ( 110), so it has the advantage of always supplying a fixed amoun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제4 실시예)(Example 4)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의 구조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적용된 펠릿 연소장치 영역의 구조도이다.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rea applied to FIG. 14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40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serve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rol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400)의 난로 본체(410)에는 공기 조절부(420)가 더 구비된다. 공기 조절부(420)는 레버(421)의 회전을 통해 공기 조절판(422)을 회전시킴으로써 개도(423) 조절을 통해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However, the stove body 410 of the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420 . The air control unit 420 is applied in a manner that adjusts the amount of air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423 by rotating the air control plate 422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ver 421 .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펠릿 투입용 호퍼(430)와 연결된 펠릿 연소장치(44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적용된다. 즉 펠릿 연소장치(440)는 펠릿이 뭉치지 않고 잘 분산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게 한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pellet combustion device 440 connected to the hopper 430 for pellet input is appli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pellet combustion device 440 allows the pellets to be introduced to be well dispersed without agglomeration, while allowing the air to circulate well.

이러한 효과를 의해서, 원 파이프(4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단부 개도판(441)과 하단부 개도판(442)이 형성된다.By this effect, the upper end opening plate 441 and the lower part opening plate 442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one pipe 431 .

상단부 개도판(441)과 하단부 개도판(442)의 개도 형식은 비슷하지만, 볼트 결합을 위한 플랜지(442a)가 하단부 개도판(442)에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Although the opening forms of the upper opening plate 441 and the lower opening plate 442 are similar, the difference is that a flange 442a for bolting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opening plate 442 .

또한, 원 파이프(431)에는 상단부 개도판(441)의 하부 영역에 도넛 형태의 중간판(443)이 결합한다. 중간판(443)은 원 파이프(431)의 내외를 가로지르게 형성된다.Also, a donut-shaped intermediate plate 443 is coupled to the one pipe 431 in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end opening plate 441 . The intermediate plate 443 is formed to cros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ne pipe 431 .

또한, 하단부 개도판(442)의 하부에는 베이스(444)가 마련되는데, 하단부 개도판(442)과 베이스(444)가 상호 이격되게 볼트(445)로 결합한다. 이때, 볼트(445)들 사이에는 펠릿 투입용 호퍼(430)에서 투입되는 펠릿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펠릿 분산유닛(450)이 적용된다. 펠릿 분산유닛(450)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In addition, a base 444 is provided under the lower opening plate 442, and the lower opening plate 442 and the base 444 are coupled with bolts 445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a pellet dispersion unit 450 for effectively dispersing the pellets input from the hopper 430 for pellet input is applied between the bolts 445 .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pellet dispersion unit 45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써 연소효율을 종래보다 월등히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 a compact but efficient structure.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 110 : 난로 본체
112 : 라인 지지판 113 : 브릿지
114 : 도어 115 : 윈도
116 : 로킹 손잡이 118 : 트레이
120 : 연통 125 : 토치 예열부
130 : 펠릿 투입용 호퍼 131 : 펠릿 공급 라인부
140 : 공기 공급 라인부 141 : 공기 유입홀
142 : 개도 조절판 150 : 펠릿 분산유닛
151 : 유닛 바디 152 : 원추형 펠릿 분산부
160 : 접이식 테이블 161 : 통공
162 :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 163 : 테이블 힌지
164 : 테이블 접힘 나비볼트 165 : 테이블 펼침 나비볼트
100: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110: stove body
112: line support plate 113: bridge
114: door 115: window
116: locking handle 118: tray
120: flue 125: torch preheating part
130: hopper for pellet input 131: pellet supply line part
140: air supply line 141: air inlet hole
142: opening degree control plate 150: pellet dispersion unit
151: unit body 152: conical pellet dispersion part
160: folding table 161: through hole
162: table support bracket 163: table hinge
164: table folding butterfly bolt 165: table unfolding butterfly bolt

Claims (6)

삭제delete 펠릿(pellet)을 원료로 연소하는 공간을 이루는 난로 본체;
상기 난로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연소 작용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
상기 난로 본체로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 투입용 호퍼;
일단부는 상기 펠릿 투입용 호퍼와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펠릿 투입용 호퍼 내의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 라인부;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난로 본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라인부; 및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의 하단부 영역에 이웃한 위치에서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에서 공급되는 펠릿을 분산시키는 펠릿 분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펠릿 분산유닛은,
상기 난로 본체 내에 배치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에 연결되되 상기 펠릿 공급 라인부 쪽으로 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원추형 펠릿 분산부;
상기 연통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펠릿 연소 시 상기 난로 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기 연통으로 가이드되게 유도하는 토치 예열부;
상기 난로 본체의 측부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마련되되 판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접이식 테이블;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과 상기 접이식 테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테이블 힌지;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접힘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접힘 나비볼트;
상기 테이블 서포트 브래킷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는 테이블 펼침 나비볼트
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공급 라인부의 상단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홀의 주변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판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난로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부를 지지하는 라인 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난로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난로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브릿지가 마련되고,
상기 난로 본체의 일측에는 윈도가 결합한 도어가 마련되되 상기 도어의 일측에 로킹 손잡이가 결합하며,
상기 브릿지의 하부에 트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무동력 펠릿 난로.
a stove body forming a space for burning pellets as raw materials;
a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ove body and discharging smok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 pellet input hopper for inputting the pellets into the stove body;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hopper for the pellet input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tove body, a pellet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pellets in the hopper for pellet input;
an air supply line part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ellet supply line part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hearth body; and
It is disposed in the hearth bod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pellet supply line, including a pellet dispersing unit for dispers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line,
The pellet dispersion unit,
a unit body disposed in the stove body;
a conical pellet dispersion part connected to the unit body and formed sharply toward the pellet supply line part;
a torch preheating unit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himney and guiding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stove body to be guided into the chimney during pellet combustion;
a folding table provid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on the side of the stov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late surface;
a table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the stove body;
a table hinge connected to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the folding table and forming a rotation axis of the folding table;
a table folding butterfly bol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supporting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table;
A table unfolding butterfly bol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 support bracket and support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folding tabl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line portion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 opening degree adjusting plat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inlet hole is movably disposed around the air inlet hole,
A lin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air supply lin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ve body,
A plurality of bridges for supporting the hearth body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ve body,
A door coupled to a window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ve body, and a locking handl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Functional non-powered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y is disposed under the brid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96107A 2021-07-22 2021-07-22 Non-Powered Pallet Stove KR102385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07A KR102385354B1 (en) 2021-07-22 2021-07-22 Non-Powered Pallet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07A KR102385354B1 (en) 2021-07-22 2021-07-22 Non-Powered Pallet St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54B1 true KR102385354B1 (en) 2022-04-11

Family

ID=8121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107A KR102385354B1 (en) 2021-07-22 2021-07-22 Non-Powered Pallet St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35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155A (en) 2013-07-08 2015-01-16 한국기계연구원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cylinder
KR101537051B1 (en) * 2014-03-19 2015-07-15 정신조 A downward type stove
KR101554842B1 (en) * 2015-03-18 2015-09-22 신기원 Non-Powerd Pallet Stove
KR20170039503A (en)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Cover lay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70002517U (en) * 2015-12-30 2017-07-11 김종근 Brazier For Solid Fuel
KR20180001506U (en) * 2016-11-11 2018-05-21 김현희 Non-Powered Pallet Sto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155A (en) 2013-07-08 2015-01-16 한국기계연구원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cylinder
KR101537051B1 (en) * 2014-03-19 2015-07-15 정신조 A downward type stove
KR101554842B1 (en) * 2015-03-18 2015-09-22 신기원 Non-Powerd Pallet Stove
KR20170039503A (en)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Cover lay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70002517U (en) * 2015-12-30 2017-07-11 김종근 Brazier For Solid Fuel
KR20180001506U (en) * 2016-11-11 2018-05-21 김현희 Non-Powered Pallet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969B1 (en) stove assembly
KR102165526B1 (en) Camping stove
KR101486050B1 (en) Pellet stove
KR100988836B1 (en) The gas burner
US20190234610A1 (en) Biomass pellet combustion system
KR101703393B1 (en) Wood A Stove
WO2000008390A1 (en) Combustion system
US4150658A (en) Circulating-air heating stove
KR102385354B1 (en) Non-Powered Pallet Stove
KR20180001506U (en) Non-Powered Pallet Stove
KR20120006929A (en) Heater with pellet of fule
US6213116B1 (en) Wood and multi-fuel burning stove
JP3218622U (en) Wood pellet primary combustion device and wood pellet combustion device combining it with a heater body
US6216684B1 (en) Wood heater
KR101474763B1 (en) Heater for camping
KR101431139B1 (en) Non-powered pellet stove
KR20130030423A (en) Heater
KR20120139053A (en) Boiler
US5593298A (en) Pollutant reducing modification of a tangentially fired furnace
KR20190030448A (en) Pellet burner
US4367725A (en) Wood and coal burning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US4248205A (en) Variable draft provider for fireplace
US10168053B2 (en) Combustion apparatus for both firewood and pellet fuel
US3274989A (en) Air heater
KR101508505B1 (en)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