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48A - Pellet burner - Google Patents

Pellet b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48A
KR20190030448A KR1020170117906A KR20170117906A KR20190030448A KR 20190030448 A KR20190030448 A KR 20190030448A KR 1020170117906 A KR1020170117906 A KR 1020170117906A KR 20170117906 A KR20170117906 A KR 20170117906A KR 20190030448 A KR20190030448 A KR 2019003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housing
stove
lev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17011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448A/en
Publication of KR2019003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upply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by comprising: a housing provided with a supplying route guiding a pellet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 heater; an enclosure unit arrang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in a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ter; a pellet loading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enclosure unit, in which the pellet supplied to the housing is loaded;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pellet loading unit so as to rotate the pellet loading unit. Therefore, the pellet loading unit is accommodated within the enclosure unit through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ever, while expanding or shrinking a loading space provided so as to allow the pellet to be loaded.

Description

펠릿공급장치{PELLET BURNER}[0001] PELLET BURNER [0002]

본 발명은 펠릿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나무 장작을 연료로 하는 화목난로에 별도의 연료원인 펠릿을 공급할 수 있는 펠릿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let feeder capable of supplying pellets as a fuel source to a firewood furnace using wood firewood as fuel.

난로는 난방 장치의 하나로, 목재, 연탄, 기름, 가스 따위의 연료를 때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어 방 안의 온도를 올리는 기구이다.A stove is one of the heating devices that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room by heating fuel by using fuel such as wood, briquettes, oil, gas or electricity.

일반적으로, 난로는 대부분 연료의 수급과 보관이 용이한 전기, 가스, 연탄, 기름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연소시 연료의 소모량이 상당하여 난방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fireplaces use electricity, gas, briquette, oil, etc., which are easy to supply and store fuel, but the fuel itself is expensive, and the consumption of fuel is large when burning, .

또한, 연탄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다량의 화학적 유해물질이 포함되기 때문에 화학적 유해물질로 인한 인체손상과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briquettes and oil are used as fuel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process contains a large amount of chemical harmful substances, thereby causing human injur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chemical harmful substances.

최근에는 자연친화적인 연료로 목재와 펠릿(pellet)연료가 각광받고 있으며, 이를 연료로 하는 화목난로 및 펠릿 연소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ood and pellet fue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atural-friendly fuels, and fire wood burning furnaces and pellet burning systems are widely used.

이러한, 난로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740호(2016.10.31)의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난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보관하는 제1집열수단, 제1집열수단 내부로 삽입되어 제2연로가 연소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제2연소수단, 제2연소수단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연소수단을 포함하고, 제1집열수단은 제2연소수단이 삽입되는 제1열기보관부, 제2연소수단을 지지하는 제2연소수단 지지부, 제1열기보관부 하부에 위치한 재 거름판부, 재를 배출하는 재 배출부로 구성된다. 선행기술에 따른 난로는 제1연소수단을 통해 연소되는 제1연료(펠릿)와 제2연소수단을 통해 연소되는 제2연료(화목 또는 석탄, 종이, 숲, 목탄 등의 고체 연료)를 동시 또는 이시에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료를 보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This prior art related to the hearth discloses a " firewood and pellet combined hearth " of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81740 (Oct. 31, 2016). As shown in FIG. 1, the hear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collection means for storing heat, a second combustion means inserted into the first collection mean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second furnace is burnt, The first heat collecting means includes a first heat storing portion into which the second burning means is inserted, a second burning means supporting portion that supports the second burning means, And a re-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sh. The sto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uel (pellet) burned through a first combustion means and a second fuel (a solid fuel such as a harmony or coal, a paper, a forest, and a charcoal) And the fuel can be supplemented conveniently by the user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injected at this time.

그러나, 종래의 난로는 제1연료 및 제2연료(이하, '연료'라 함)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연소실에 보충할 수는 있으나, 연소실에 적재되는 연료의 적재범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량 이상으로 적재할 수 없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적정량 이상의 화력을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없고, 실내의 온도를 급속히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ove can supplement the combustion chamber with the first fuel and the second fu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uel ")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However, since the loading range of the fuel loa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can not be adjusted separately, It is impossibl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room beyon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oom can not be raised rapidly.

그리고, 종래의 난로는 제1집열수단 내부로 제1연소수단이 마련되고, 제1연소수단 내부로 제2연소수단이 마련되는 복잡한 구조를 나타내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stov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mbustion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ollecting means and the second combustion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ombustion mean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furnace,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not easy.

또한, 종래의 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집열수단 내부로 제1연소수단과 제2연소수단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해제 불가능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1연소수단이나 제2연소수단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다른 난로에 접목시킬 수 없어 각 구성을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작시간이나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urnac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combustion means and the second combustion means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within the first heat collecting means and can not be released, only one of the first combustion means and the second combustion means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different stove which is used in the prior art, so that it is required to newly manufacture each structure.

(실용신안문헌 1) 실용신안공보 제20-0481740호(2016.10.31)의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Utility Model Document 1) Utility Model No. 20-0481740 (Oct. 31, 2016) entitled " Combustible Furnace & Pellet Combustion Furnac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펠릿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펠릿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llet feed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ange of a loading space in which pellets can be loaded.

또, 펠릿의 연소를 위해 필요한 외부의 공기가 펠릿의 연소실 내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는 펠릿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llet feeding apparatus in which external air required for combustion of pellets can be easily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pellets.

또한, 펠릿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의 진로를 방해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펠릿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et feed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path of smoke generated due to combustion of pelle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을 난로에 안내하는 공급로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난로의 연소실 내에 구비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된 상기 펠릿이 적재되는 펠릿 적재부; 및 상기 펠릿 적재부에 연결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pellet feed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feed path for guiding pellets supplied from outside to a stove; A hous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A pellet moun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nd loaded with the pellets supplied to the housing;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pellet mounting part to pivot the pellet mounting part.

전술한, 상기 펠릿 적재부는 상기 레버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펠릿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함체부에 마련되는 적재공간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공급장치. Wherein the pellet loading unit is capable of expanding or reducing the loading space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so that the pellet loading unit can be loaded as the pellet loading unit is interlocked and rotated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

자세하게는, 상기 펠릿 적재부는,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펠릿이 안착되는 그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함체부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pellet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rame forming an outer frame; A grill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on which the pellet is seated; A hinge pin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ection; And a connection ba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lever.

그리고,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상기 펠릿 적재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한다.The lever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and restricting a pivot angle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자세하게는, 상기 제한부는, 상기 연결바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를 상기 함체부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스토퍼; 상기 연결바의 타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를 상기 함체부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스토퍼; 및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를 상기 제1스토퍼나 상기 제2스토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estri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topper contacting the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portion; A second stopper contacting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ortion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portion; And a guide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to guide the connection bar to the first stopper or the second stopper.

이에 더하여, 상기 제한부는, 상기 연결바를 상기 제2스토퍼로 안내하는 안내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ric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connecting bar to the second stopper.

전술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로를 마련하는 관형부재;를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housing includes a tubular member for providing the supply path.

자세하게는, 상기 관형부재는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로를 마련한다.In detail, the tubular member is provided with the supply path along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로가 외부와 연통되는 펠릿투입구;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로가 상기 난로의 연소실과 연통되는 펠릿배출구;를 포함한다.The tubular member may include a pellet inlet through which the supply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And a pellet outlet through which the supply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그리고,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펠릿 적재부까지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펠릿을 상기 펠릿 적재부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bula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late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and guiding the pellet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형부재의 상기 펠릿배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펠릿 적재부로 안내하는 통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ventilation means for guiding external air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pellet outlet of the tubular member.

자세하게는, 상기 통풍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관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상기 펠릿배출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구;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ventilation means includes an air inlet through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tubular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pellet outlet at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상기 공기유입구로 역류되는 연기의 진로를 차단하는 베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for blocking a path of smoke flowing back from the air outlet to the air inlet.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에 의하면, 펠릿공급장치가 난로에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기존 연료뿐만 아니라, 펠릿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 즉 펠릿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연료에 의해 발생되는 화력을 지원할 수 있고, 적어도 한 개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난방을 할 수 있으며, 연료들 간에 공급되는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료공급에 따른 지출비용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ellet f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llet feed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stov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not only the existing fuel but also the pellets supplied through the pellet fee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thermal power generated by the fuel, to selectively heat at least one fuel to be heated, and to reduce the expenditure cost due to the fuel suppl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atio of the supply between the fuels.

그리고, 펠릿공급장치는 한 개의 연료만을 사용하던 기존 난로와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것은 물론, 이에 적합한 난로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지출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llet feeder ha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be combined with an existing stove that uses only one fuel,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newly preparing a stove, Thereby reducing the expenditure cost.

또, 난로와 펠릿공급장치가 결합된 경우, 난로의 내부에는 펠릿의 연소가 가능한 별도의 연소실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급된 연료들이 제각기 지정된 연소실로부터 서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각기 한데 모인 연료들에 의해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urnace and the pellet feeder are combined, the furna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capable of burning the pellets, so that the supplied fuels ar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from the designated combustion chambers, Efficient combustion can be achieved.

또한, 펠릿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의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켜 펠릿의 적재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펠릿을 통해 발생되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pellets to be loaded can be adjusted by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range of the loading space in which the pellets can be loaded, the thermal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ellets can be easily controlled.

자세하게는, 적재공간은 펠릿 적재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그 범위가 정해지는데, 이때 펠릿 적재부의 연결바와 연결된 레버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펠릿 적재부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를 정해진 각도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적재공간의 범위가 용이하게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detail, the loading space defines the range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pellet loading s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rotation of the pellet loading section is limited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of the pellet loading section to maintain the pellet loading s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range of the space can be easily expanded or reduced.

그리고, 난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는 별도로 통풍수단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펠릿의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펠릿의 착화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펠릿의 완전연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Since external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pellet through the ventilation means separately from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stove, the pellet can easily be ignited and can contribute to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pellet.

또, 베플을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려는 연기의 진로를 방해하기 때문에 연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펠릿의 연소실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연기의 진로가 펠릿 연소실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연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더더욱 방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smoke because it interferes with the course of the smoke to be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baffle. Further, the course of the smoke can be changed into the pellet combustion chamber along with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pellet Leakage of the smok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ay be further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가 난로에 구비되는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펠릿공급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펠릿공급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적재공간의 확장상태를 나타낸 실시도면이다.
도 5는 적재공간의 축소상태를 나타낸 실시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state in which a pelle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hearth.
2 is a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pellet feeder.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llet feeder.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space.
5 is an embodiment showing a reduced state of the loading spa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펠릿공급장치(100)가 구비되는 난로(1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fore describing the pellet suppl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ace 10 having the pellet supplying apparatus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난로(10)는 연료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나무나 목재 등을 태워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건축물 내부의 난방을 유도하는 통상적인 화목난로(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난로(10)에는 내부로 공급받은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이 마련되고,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조를 갖추며,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화력 및 연기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량 조절구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로(10)는 실내를 용이하게 난방할 수 있고, 이때 발생되는 연기를 실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The furnace 10 is a component for heating a room using fu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nace 10 may include a conventional furnace furnace 10 for inducing heating inside the building through heat generated by burning wood or wood . The furnace 10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fuel supplied to the inside is burnt and has an exhaust structure in which the smok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u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djustable air volume regulato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urnace 10 can easily heat the room, and the smoke generated at this tim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난로(10)는 후술하는 펠릿공급장치(100)의 함체부(130)가 난로(1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구성요소인 출입구(10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구(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로(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출입구(10a)는 난로(1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난로(10)의 내부공간, 즉 연소실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후술하는 함체부(130)는 출입구(10a)를 통해 난로(10)의 연소실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The furnace 10 may be provided with an entrance 10a which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housing part 130 of the pellet supply device 100 described later can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hearth 10. Such an entrance 10a is in the form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th 10 as shown in Fig. Thus, the entrance 10a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th 10 to communicate the inner space of the hearth 10, that is, the combustion chamber with the outside. That is, the hermetic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through the entrance 10a.

예컨대, 출입구(10a)는 새로 제작되는 난로(10)나 기존에 사용하던 난로(1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펠릿공급장치(100)는 새로 제작되는 난로(10)뿐만 아니라 기존 사용하던 난로(10)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 및 호환성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난로(10)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경제적으로 탁월한 효과도 있다.For example, the entrance 10a may be provided in a newly manufactured stove 10 or a stove 10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That is, since the pellet feeding device 100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newly manufactured stove 10 but also in the stove 10 that has been used previously, the pellet feeding device 100 can be easily used because of its general versatility and compatibility, Since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there is no additional cost,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난로(10)에 구비되어 난로(10)에 사용하던 연료 이외의 다른 연료, 즉 펠릿을 난로(10)의 연소실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급된 펠릿을 통해 기존의 화력을 보조하여 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펠릿공급장치(100)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ellet f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tove 10 as described above to supply the fuel other than the fuel used in the stove 10, that is, the pellets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It is a device that can help the existing firepower through heating the pellets. Each of the constitutions of the pellet feed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펠릿공급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을 난로(10)에 안내하는 공급로(111d)가 마련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난로(10)의 연소실 내에 구비되는 함체부(130); 상기 함체부(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으로 공급된 상기 펠릿이 적재되는 펠릿 적재부(150); 및 상기 펠릿 적재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시키는 레버(170);를 포함한다.The pellet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 supply path 111d for guiding pel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ve 10; A housing 1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A pellet mounting part 150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art 130 and loaded with the pellets supplied to the housing 110; And a lever 170 connected to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to pivot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하우징(110)은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을 난로(10)의 연소실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마련하며, 높이방향으로 장방향을 이루는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supply pel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rth 10. The housing 110 may have an internal spac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formed as a housing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한편,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로(10)의 외측에 구비되되, 별도의 결합방식을 통해 난로(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방식으로는 상보적인 형상에 의한 끼움구조나 볼팅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난로(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은 사용하고자 하는 난로(10)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10 is provided outside the fireplace 10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eplace 10 through a separate coupling method. For example, as the coupling method,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itting structure or a bolting structure by a complementary shape can be provided. Accordingly, the housing 1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rth 10. That is, the housing 110 can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to the stove 10 to be used.

한편, 하우징(1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을 난로(10)의 연소실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인 공급로(111d)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급로(111d)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관형부재(111)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형부재(111)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ath 111d which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At this time, the supply path 111d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tubular member 111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The tubular member 1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관형부재(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형부재(111)에는 중공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로(111d)가 마련될 수 있다.The tubular member 111 may be formed as a hollow hollow tub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tubular member 111 may be provided with the supply path 111d along the inner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ollow.

관형부재(111)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로(111d)가 외부와 연통되는 펠릿투입구(111a); 및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로(111d)가 상기 난로(10)의 연소실과 연통되는 펠릿배출구(111b);를 포함한다.The tubular member 111 includes a pellet inlet 111a through which the supply passage 111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110; And a pellet outlet 111b through which the supply passage 111d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through the housing 110. [

펠릿투입구(111a)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이 공급로(111d)로 투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펠릿투입구(111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부재(111)의 일측에 개방된 구멍형태로 마련되고, 이때 관형부재(111)의 일측이 하우징(110)의 상측면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펠릿투입구(111a)는 하우징(110)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공급로(111d)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펠릿은 펠릿투입구(111a)를 통해 공급로(111d)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The pellet input port 111a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are input into the supply path 111d. 2 and 3, the pellet inlet 111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opened to one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and one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Thus, the pellet inlet 111a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the supply path 111d with the outside. That is, the pelle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supply path 111d through the pellet inlet 111a.

펠릿배출구(111b)는 공급로(111d)를 통해 안내되는 펠릿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펠릿배출구(111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부재(111)의 타측에 개방된 구멍형태로 마련되고, 이때 관형부재(111)의 타측이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펠릿배출구(111b)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공급로(111d)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펠릿은 공급로(111d)를 통해 안내되가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pellet outlet 111b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pellets guided through the supply path 111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2 and 3, the pellet outlet 111b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open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ellet outlet 111b penetrate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the supply path 111d with the outside. That is, the pellets can be guided through the supply path 111d and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여기서, 펠릿배출구(111b)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배치된다고 설명하였는데, 바람직하게는 난로(10)의 출입구(10a)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로(111d)를 통해 안내되는 펠릿이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배출될 경우, 배출된 펠릿이 난로(10)의 출입구(10a)를 통과하여 난로(10)의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배출된 펠릿이 난로(10)의 연소실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펠릿 적재부(15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ellet outlet 111b is dispo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pellet outlet 111b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entrance 10a of the hearth 10 Do. This is because when the pellets guided through the supply path 111d are discharged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the discharged pellets are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through the entrance 10a of the stove 10 It is for this reason. More preferably, the pellets discharged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are supplied to a pellet mounting portion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한편, 관형부재(111)에는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배출되는 펠릿을 펠릿 적재부(15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인 가이드판(111c)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판(111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부재(1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데, 자세하게는 펠릿배출구(111b)의 일단으로부터 후술하는 펠릿 적재부(15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판(111c)은 펠릿배출구(111b)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즉, 펠릿은 가이드판(111c)의 경사면을 따라 펠릿 적재부(150)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The tubular member 111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late 111c that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pellets discharged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to the pellet mounting unit 150. [ The guide plate 111c extends from one end of the tubular member 111 as shown in FIGS. 2 and 3. More specifically, a pellet mounting portion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from one end of the pellet outlet 111b As shown in Fig. Thus, the guide plate 111c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from the pellet outlet 111b. That is, the pellet can be easily guid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late 111c.

따라서, 펠릿은 하우징(110)에 마련된 관형부재(111)의 공급로(111d)를 통해 난로(10)의 연소실로 공급되되, 슈터의 경사면을 따라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된다.The pellets are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rth 10 through the supply passage 111d of the tubular member 111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suppli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hooter.

함체부(130)는 공급된 펠릿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S1)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함체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체부(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다고 설명하였는데, 바람직하게는 펠릿배출구(111b)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펠릿배출구(111b)의 하부에 배치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함체부(130)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어 펠릿배출구(111b)의 하부로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배치시킨다. 즉, 펠릿은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배출된 후, 자연스럽게 함체부(13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The housing portion 13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loading space S1 in which the supplied pellets can be loaded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ousing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formed as a housing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The housing part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part 11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where the pellet outlet 111b is disposed and the lower part of the pellet outlet 111b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hermetic unit 13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reby dispos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 top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ellet outlet 111b. That is, the pelle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and then naturally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ermetic part 130.

함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체부(130)의 내부공간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다.The housing 130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따라서, 함체부(130)는 하우징(110)이 난로(10)와 결합될 경우, 난로(10)의 출입구(10a)를 통해 난로(10)의 연소실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함체부(130)는 후술하는 펠릿 적재부(150)와 함께 난로(10)의 연소실에 삽입될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through the entrance 10a of the stove 10 when the housing 110 is coupled with the stove 10. [ Furthermore, the housing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together with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described later.

펠릿 적재부(150)는 펠릿이 적재되는 적재공간(S1)을 마련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펠릿 적재부(150)는,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151); 상기 프레임(151)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펠릿이 안착되는 그릴(153); 상기 프레임(151)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함체부(130)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155); 및 상기 프레임(151)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레버(170)와 연결되는 연결바(157);를 포함한다. The pellet loading part 150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loading space S1 in which pellets are loaded.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includes a frame 151 forming an outer frame; A grill 153 provided inside the frame 151 and on which the pellet is seated; A hinge pin 155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and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inge unit 130; And a connection bar 157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ame 151 and connected to the lever 170.

프레임(151)은 펠릭적재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프레임(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중공이 마련되며, 일정한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51)은 전술한 함체부(1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51)은 함체부(1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곽 형태를 마련하게 된다.The frame 151 is a component forming the outer edge of the Felic loading part. The frame 151 is hollowed inwardly as shown in FIG. 2, and forms a frame of a certain shape. Preferably, the frame 151 forms a rim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Accordingly, the frame 151 is provided with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rmetic unit 130.

그릴(153)은 펠릿이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그릴(15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핀이 제각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프레임(151)의 중공 내측에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그릴(153)이 이루는 간격은 펠릿이 이루는 두께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릴(153)은 프레임(151)의 중공 내측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마련된다.The grill 153 is a component in which the pellet is seated. 2 and 3, the grille 153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hollow of the frame 151, with a plurality of fins being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t this time, the gap formed by the grill 153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r the width formed by the pellets. Accordingly. The grille 153 is provided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hollow of the frame 151.

힌지핀(155)은 펠릿 적재부(150)를 함체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힌지핀(15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151)의 길이방향 일단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힌지핀(155)은 함체부(130)의 내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마련된다. 즉, 펠릿 적재부(150)는 함체부(130)에 구비되되, 힌지핀(155)을 통해 함체부(130)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이루기 힌지핀(155)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hinge pin 155 is a component that rotatably connects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o the housing portion 130. The hinge pin 155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protrudes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Accordingly, the hinge pin 155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30. That is,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hinge part 130 and can be pivoted on the basis of the hinge pin 155 that is hinged to the hinge part 130 through the hinge pin 155.

여기서, 전술한 펠릿 적재부(150)의 설치구조는 힌지핀(155)이 함체부(13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일체형의 구조로 설명하였는데, 이를 착탈식으로 함체부(130)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a one-piece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pin 155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0.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housing part 130 The following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possible structur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30)가 마련되는 하우징(110)의 전방 양측으로 측판(110a)을 돌출형성하되, 함체부(13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이격되게 마련한다. 이에 따라, 함체부(130)와 측판(110a) 사이에는 힌지핀(155)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로(110b)가 형성된다. 즉, 힌지핀(155)은 출입로(110b)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출입로(110b)의 끝단에 힌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 the side plate 110a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housing 130 is provided, and is spaced upward from the housing 130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an entrance and exit path 110b through which the hinge pin 155 can be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portion 130 and the side plate 110a. That is, the hinge pin 155 moves along the entry / exit path 110b and is hinged to the end of the entrance / exit path 110b.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는 함체부(13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출입로(110b)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hermetic part 130,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along the access path 110b.

연결바(157)는 펠릿 적재부(150)를 회동시키는 후술하는 레버(17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바(15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를 이루는 바(ba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51)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연결바(157)는 프레임(151)의 길이방향 일단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바 사이를 가로지르는 상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57)는 프레임(1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프레임(151)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The connecting bar 157 is a component connected to a lever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rotates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e connection bar 157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ame 151. In detail, the connecting bars 157 are provided so as to cross between the extending bars exten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Accordingly, the connection bar 15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151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151.

연결바(15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1)의 테두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제한부(171)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기 위함이다.The connecting bar 157 is preferab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im of the frame 151 as shown in Figs. This is to correspond to the restriction unit 171 described later.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는 함체부(1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51)에 의해 함체부(130)의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구비되고, 힌지핀(155)을 통해 함체부(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릴(153)을 통해 펠릿배출구(111b)로 배출된 펠릿을 적재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 적재부(150)가 함체부(130)에 구비될 경우, 펠릿 적재부(150)의 상부로 펠릿을 적재가능한 적재공간(S1)이 마련되는 것이다.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s easily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130 by the frame 15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0, The pellet can be loaded on the pellet outlet portion 111b through the grill 153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130. 3, when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s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130, the mounting space S1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to mount the pellet.

한편, 펠릿 적재부(150)는 후술하는 레버(170)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함체부(13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펠릿이 적재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적재공간(S1)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레버(170)를 설명한 후, 이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Meanwhile,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 the mounting space S1, which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30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170 to be described later, . The operation of the lever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레버(170)는 펠릿 적재부(150)를 회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레버(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바(bar)로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레버(170)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전술한 연결바(157)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레버(170)는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하우징(110)을 관통한다. 즉, 레버(170)는 작업자에 의해 노출된 타단이 밀려질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해 전진하게 되며, 노출된 타단이 당겨질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해 후진하게 된다.The lever 170 is a component that rotates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e lever 170 may be formed as a bar of a certain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lever 1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157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us, the lever 170 passes through the housing 110 in a state where the lever 17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That is, when the other end exposed by the operator is pushed, the lever 170 advanc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as shown in FIG. 4, When the other end is pulled, it is pulled back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1 as shown in FIG.

한편, 레버(170)의 일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바(157)와 연결되고, 연결된 연결바(157)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요소인 제한부(171)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한부(17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157)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150)를 상기 함체부(130)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스토퍼(171a); 상기 연결바(157)의 타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150)를 상기 함체부(130)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스토퍼(171b); 및 상기 제1스토퍼(171a)와 상기 제2스토퍼(171b)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바(157)를 상기 제1스토퍼(171a)나 상기 제2스토퍼(171b)로 안내하는 안내면(171c);을 포함한다.One end of the lever 170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171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157 and restri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connecting bar 157, . 2 and 3, the restricting portion 17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hermetic container 130 A first stopper 171a; A second stopper 171b contacting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hermetic part 130; And a guide surface 171c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opper 171a and the second stopper 171b and guiding the connecting bar 157 to the first stopper 171a and the second stopper 171b .

제1스토퍼(171a)는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150)를 함체부(130)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스토퍼(171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되며, 레버(170)의 하부로부터 레버(170)의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171a)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스토퍼(171a)로 구성되는 내측면이 전술한 연결바(157)의 일측면과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1스토퍼(171a)는 전술한 연결바(157)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으로 형성되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된다. 즉, 제1스토퍼(171a)를 이루는 내측면에는 연결바(157)의 일측면이 면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171a is a component that restricts rot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 The first stopper 171a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17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s formed as an inner side surfa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170 toward the inside of the lever 17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topper 171a is formed to be inclined. This is to make the inner surface constituted by the first stopper 171a form a complementary shape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first stopper 171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70, which is formed as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described above. That is,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1a.

한편, 제1스토퍼(171a)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제한부(171)의 다른 구성을 설명한 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scription of a method of maintaining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in a horizontal state via the first stopper 171a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fter describ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imiting portion 171. [

제2스토퍼(171b)는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150)를 함체부(130)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유지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스토퍼(171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되되, 전술한 제1스토퍼(171a)와 대향되는 상태로 제1스토퍼(171a)보다 레버(170)의 상부에 마련되며, 레버(170)의 하부로부터 레버(170)의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171b)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술한 제1스토퍼(171a)와 마찬가지로 연결바(157)의 타측면과 상보적인 형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2스토퍼(171b)는 전술한 연결바(157)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으로 형성되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된다. 즉, 제2스토퍼(171b)를 이루는 내측면에는 연결바(157)의 일측면이 면접촉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171b restricts rot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to keep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part 130. [ The second stopper 171b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17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s provided with a lever 171a which is opposed to the first stopper 171a,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170 and in the form of an inner si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170 toward the inside of the lever 170. At this time, the second stopper 171b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which is simila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as the first stopper 171a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econd stopper 171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70, which is formed as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described above. That is,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71b.

한편, 제2스토퍼(171b)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를 경사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제한부(171)의 다른 구성을 설명한 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scription of a method of holding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in an inclined state via the second stopper 171b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fter describ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imiting portion 171. [

안내면(171c)은 전술한 연결바(157)를 제1스토퍼(171a)나 제2스토퍼(171b)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면(171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되며, 제1스토퍼(171a)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제2스토퍼(171b)의 내측면 상단까지 연장형성되는 내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면(171c)은 서로 다른 높낮이를 이루는 제1스토퍼(171a)와 제2스토퍼(171b)를 연장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내면(171c)은 제1스토퍼(171a)와 제2스토퍼(171b)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레버(170)의 일단에 마련된다. 즉, 안내면(171c)에는 연결바(157)의 상측면이 면접촉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171c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connecting bar 157 to the first stopper 171a or the second stopper 171b. The guide surface 171c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ver 17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1a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71b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surface 171c extends the first stopper 171a and the second stopper 171b, which are different in height, they are formed to be inclined naturally. The guide surface 171c is formed at an end of the lever 170 so as to be incli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171a and the second stopper 171b.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157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71c.

여기서, 제한부(17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스토퍼(171a), 제2스토퍼(171b) 및 안내면(171c)의 내측면들이 연장되어 홈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170)의 일단에는 하부가 개방된 홈 형태의 제한부(171)가 마련된다.2 and 3,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1a, the second stopper 171b, and the guide surface 171c are extended to form a groove-like structure, . Accordingly, the lever 170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groove-shaped restricting portion 171 having an open bottom.

한편, 제한부(171)는 연결바(157)를 제2스토퍼(171b)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인 안내돌기(171d)가 마련된다. 이러한, 안내돌기(171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171b)의 내측면 하단으로부터 제1스토퍼(171a)를 향해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돌기(171d)는 레버(170)의 하부에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지 않을 많큼의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바(157)가 제한부(171)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안내돌기(171d)는 제2스토퍼(171b)의 내측면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스토퍼(171a)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연결바(157)는 출입공간을 통해 제한부(171)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이때 안내돌기(171d)를 따라 연장된 제2스토퍼(171b)로 안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icting portion 171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71d which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connecting bar 157 to the second stopper 171b. The guide protrusion 171d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71b toward the first stopper 171a in a linear direction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rotrusion 171d is formed to protrude to a large length so as not to block the opening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170. [ This is for securing an access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bar 157 can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restricting portion 171.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171d is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71b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topper 171a. That is, the connecting bar 157 can enter the inside of the restricting portion 171 through the entry / exit space and can be guided to the second stopper 171b extending along the guide protrusion 171d at this time.

따라서, 레버(170)는 일단에 마련된 제한부(171)를 통해 연결바(157)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레버(170)와 펠릭 적재부는 서로 연동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Therefore, the lever 1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157 through the restriction part 171 provided at one end. That is, the lever 170 and the Felck mounting portion are structur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이, 펠릿이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S1)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도록 레버(170)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lever 170 to expand or contract the loadable space S1 in which the pellet can be loa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래와 같은 펠릿 적재부(150)의 작동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펠릿 적재부(150)는 프레임(151)의 일단에 마련된 힌지핀(155)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프레임(151)의 타단으로 무게가 치우치게 되어 프레임(151)의 타단이 항시 함체부(130)의 내부공간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펠릿 적재부(150)에 마련된 연결바(157)는 이에 대응하여 회동하면서 제한부(171)의 안내면(171c)에 접촉되어 걸리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는 연결부가 제한부(171) 내에 구비됨에 따라 제한부(171)를 이루는 각 구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래와 같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Before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as described below,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rotates on the basis of the hinge pin 155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151. In this cas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151 always rotates to the inner space of the hermetic container 1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r 157 provided on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157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71c of the restricting part 171. Accordingly,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can be restricted in its pivoting mo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respective constructions constituting the restriction portion 171 since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in the restriction portion 171, .

우선,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150)를 함체부(130)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First, an operation method of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and keeping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part 13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70)의 타단을 파지하여 직선방향으로 레버(170)를 밀어 전진시킨다. 이 경우, 연결바(157)는 안내면(171c)의 경사를 따라 제1스토퍼(171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57)의 일측면이 제1스토퍼(171a)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때 상측면이 안내면(171c)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연결바(157)는 제1스토퍼(171a)에 가로막혀 이동이 제한되며, 안내면(171c)에 가로막혀 회동이 제한된다.As shown in FIG. 4, the other end of the lever 17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s grasped and the lever 170 is pushed in a linear direction to advance. In this case, the connecting bar 157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topper 171a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surface 171c. As a result,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15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71a,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71c.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ar 157 is blocked by the first stopper 171a to restrict movement, and is blocked by the guide surface 171c.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바(157)가 안내면(171c)의 경사를 따라 하향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프레임(151)의 타단이 상향 회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30)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Accordingly, as the connecting bar 157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surface 171c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frame 151 is rotated upwardly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bar 157, As shown in FIG. 5A, the container 130 is in a horizontal state.

즉, 함체부(130)에 마련되는 적재공간(S1)은 수평상태를 이루는 펠릿 적재부(150)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 설명하는 경사상태를 이루는 펠릿 적재부(15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는 적재공간(S1)이 이루는 범위보다 비교적 축소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ading space S1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loading unit 150 which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loading unit 150, The load space S1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range formed by the load space S1.

반대로,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150)를 함체부(130)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유지시키는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Conversely, an operation method of restricting rotation of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and keeping the pellet mounting part 150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pellet part 13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170)의 타단을 파지하여 직선방향으로 레버(170)를 당겨 후퇴시킨다. 이 경우, 연결바(157)는 안내면(171c)의 경사를 따라 제2스토퍼(171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57)의 타측면이 제2스토퍼(171b)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때 상측면이 안내면(171c)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연결바(157)는 제2스토퍼(171b)에 가로막혀 이동이 제한되며, 안내면(171c)에 가로막혀 회동이 제한된다.As shown in FIG. 5, the other end of the lever 17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s grasped, and the lever 170 is retracted in a linear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bar 157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topper 171b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surface 171c. Thus,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15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71b,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171c. That is, the connection bar 157 is blocked by the second stopper 171b and is restric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guide surface 171c.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바(157)가 안내면(171c)의 경사를 따라 상향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프레임(151)의 타단이 하향 회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30)에 대하여 경사상태를 이루게 된다.Accordingly, as the connecting bar 157 moves upwar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surface 171c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frame 151 is rotated downward in coopera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So that the inclined state of the hinge unit 130 is achieved.

즉, 함체부(130)에 마련되는 적재공간(S1)은 경사상태를 이루는 펠릿 적재부(150)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전술한 수평상태를 이루는 펠릿 적재부(15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는 적재공간(S1)이 이루는 범위보다 비교적 확장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ading space S1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13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ellet loading unit 150 which is in an inclined stat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loading unit 150 The load space S1 is formed in a relatively expanded stat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는 관형부재(111)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펠릿 적재부(15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인 통풍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풍수단(180)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181); 및 상기 관형부재(111)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구(18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ellet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entilation means 180, which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external air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outlet of the tubular member 111 . The ventilation means 180 includes an air inlet 181 through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110; And at least one air outlet (183) through which the tubular member (111) communicates with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공기유입구(181)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기유입구(18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입구(181)는 펠릿배출구(111b)에 대향하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유입구(181)와 펠릿배출구(111b)를 일직선상에 배치하여 공기의 유동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181)는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즉,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81)를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The air inlet 181 is a componen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e air inlet 18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Here, the air inlet 181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opposite to the pellet outlet 111b. This is to arrange the air inlet 181 and the pellet outlet 111b in a straight line to smooth the flow of air. Accordingly, the air inlet 18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communicat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with the outside. That is, outside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inlet 181.

공기배출구(183)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관형부재(111)의 펠릿배출구(111b)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기배출구(18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부재(111)의 일단 중 펠릿배출구(111b)가 형성된 일단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공기배출구(183)는 관형부재(111)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때, 펠릿배출구(111b)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관통하되 홈 부분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관형부재(111)를 관통하는 구멍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공기배출구(18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관형부재(111)의 공급로(111d)로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111c)이 연장되는 관형부재(111)의 일측면에는 공기배출구(183)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로(111d)로 투입된 펠릿이 공기배출구(18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공기배출구(183)는 관형부재(111)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관형부재(111)의 공급로(111d)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킨다. 즉, 펠릿 적재부(150)에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구(183)를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The air discharge port 183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to the pellet loading unit 150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of the tubular member 111. [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ir outlet 183 may be formed as a groove that is recessed from one end of the pellet outlet 111b formed at one end of the tubular member 111. The air outlet 183 is formed so that the pellet outlet 111b penetrat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when the tubular member 111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is formed as a hole passing through the tubular member (111). He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ir outlet 183 is formed. This is to al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supply path 111d of the tubular member 111. [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port 183 is not formed on one 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in which the guide plate 111c extends. This is to prevent the pellets introduced into the supply path 111d from being caught by the air outlet 183. The air discharge port 183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member 111 to communicate the supply path 111d of the tubular member 111 wit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That is, external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air outlet 183.

여기서, 외부의 공기가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의 온도 변화에 의한 펠릿의 연소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mbustion of the pellets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external air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external air to the pellet mount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공기유입구(181)를 통해 저온 상태의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난로(10)의 연소실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고온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First, outside air at a low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inlet 181. At this time, the introduced outside air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and is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state.

다음, 고온화된 외부의 공기는 우선적으로, 도 3의 (F1-1)과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된 함체부(130)를 통해 재받이(200)의 수거공간(S2)으로 유입된 후, 그릴(153)의 핀 사이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된다.Next, the high-temperature external air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space S2 of the ash receptacle 200 via the housing part 130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1-1) And then f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fins of the grill 153.

이에 따라, 고온화된 외부의 공기(F1-1)는 난로(10)의 연소실 내에서 연소중인 펠릿에 추가적으로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게 된다.Thus, the warmed external air F1-1 provides additional high-temperature heat to the combustion pellets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된 펠릿은 난로(10)의 연소실 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한 연소작용 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된 고온 상태의 외부 공기(F1-1)에 의한 열기가 더해지면서 활발한 연소작용에 의해 연소된다.Therefore, the pellets suppli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re heated by the external air F1-1 at the high temperature 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rth 10 And is burned by an active combustion action.

한편, 재받이(200)의 수거공간(S2)에는 전술한 연소작용에도 불구하고, 미연소된 펠릿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llection space S2 of the ashtray 200, a part of unburned pellets can be accommodated in spite of the above-mentioned combustion action.

이에 따라, 재받이(200)의 수거공간(S2)으로 유입되는 고온화된 외부의 공기(F1-1)는 미연소된 펠릿에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게 된다.Thus, the hot external air F1-1 flowing into the collection space S2 of the ashtray 200 provides high-temperature heat to the unburned pellets.

따라서, 재받이(200)의 수거공간(S2)에 수용된 펠릿의 일부분은 고온 상태의 외부 공기(F1-1)의 열기에 의해 재연소작용이 일어나 완전연소된다.Therefore, a part of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space S2 of the ashtray 200 is reheated by the heat of the external air F1-1 at a high temperature, and is completely burned.

이처럼, 펠릿 적재부(150)에 적재된 상태로 연소중인 펠릿은 재받이(200)의 수거공간(S2)에 수용된 펠릿의 일부분이 완전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열기가 추가적으로 더해지면서 더욱 활발한 연소작용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The pellets in the state of being loaded on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re heated by the addition of heat generated by the complete combustion of a part of 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ng space S2 of the ashtray 200, . ≪ / RTI >

또한, 고온화된 외부의 공기는 도 3의 (F1-2)와 같이 공기배출구(183)를 통해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될 수 있다.Further, the high-temperature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rough the air outlet 183 as shown in (F1-2) of FIG.

이에 따라, 고온화된 외부의 공기(F1-2)는 난로(10)의 연소실 내에서 연소중인 펠릿에 또다시 추가적인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게 될 수 있다.Thus, the warmed external air F1-2 can again provide additional high temperature heat to the burning pellets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따라서, 펠릿 적재부(150)로 공급된 펠릿은 난로(10)의 연소실 내에서 발생Therefore, the pellets suppli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re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되는 열기에 의한 연소작용 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된 고온 상태의 외부 공기(F1-1)와 더불어 다른 고온 상태의 외부 공기(F1-2)에 의한 열기가 더해지면서 더욱더 활발한 연소작용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The heat generated by the external air F1-2 at the high temperature state and the hot air F1-2 at the other high temperature state are added 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

한편, 전술한 펠릿의 연소작용 중에는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연기의 대부분은 난로(10)의 배기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기의 일부는 난로(10)의 배기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난로(10)의 연소실에 잔존하게 된다. 이 경우, 잔존하는 연기는 펠릿배출구(111b)를 통과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200)(F1)을 따라 난로(10)의 연소실 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어 난로(10)의 배기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ellets, smoke is generated. At this time, most of the generated smok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structure of the hearth (10). At this time, a part of the smoke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structure of the stove 10, but remains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In this case, the remaining smoke passes through the pellet outlet 111b, and most of the smoke is moved back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10 along the ashtray 200 (F1) as shown in Fig. 3,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structure of the engine (10).

그러나, 연기의 일부는 재받이(200)(F1)을 회피하여 공기배출구(183)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되고, 공기의 흐름(F1)에 영향을 덜 받는 역류 흐름(F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는, 공기배출구(183)에서 공기유입구(181)로 역류되는 연기의 진로를 차단하는 구성요소인 베플(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플(19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181) 및 상기 공기배출구(183) 사이를 가로지르는 가림판;으로 구성된다. However, a part of the smoke avoids the ash receptacle 200 (F1),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outlet 183, and flows backward flow F2 So that it may leak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ellet fee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190 as a component for blocking the path of the smoke flowing back from the air outlet 183 to the air inlet 181. As shown in FIG. 3, the baffle 190 is composed of a shield plate that traverses between the air inlet 181 and the air outlet 183.

가림판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되, 하우징(110)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가림판은 공기유입구(181)가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측면 하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관형부재(111)와 맞닿는 거리만큼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가림판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즉 공기유입구(181)와 공기배출구(183) 사이를 일부 가로막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가림판은 연기의 진로를 차단하게 된다.The shielding plate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disposed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n detail, the shielding plate extends by a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where the air inlet 181 is formed, and extends by a distance that the extended end is bent and abuts the tubular member 111. Accordingly, the shielding plate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that is, a part of the space between the air inlet 181 and the air outlet 183 is blocked. That is, the cover plate blocks the course of the smoke.

따라서, 전술한 공기의 흐름(F1)을 회피하여 공기의 흐름(F1)에 영향을 덜 받는 역류 흐름(F2)을 따라 역류되는 연기는 가림판에 가로막히기 때문에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연기는 가림판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난로(10)의 연소실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어 난로(10)의 배기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smoke flowing backward along the countercurrent flow F2, which avoids the above-described air flow F1 and is less affected by the air flow F1,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ecause it is obstructed by the cover plate . Further, the smoke may be reflected on the cover plate and may be moved back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furnace (1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structure of the furnace (10).

한편, 연소된 펠릿은 재가 되며, 이러한 재는 펠릿 적재부(150)의 그릴(153) 사이를 통해 함체부(130)의 내부공간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하는 재를 수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는, 재를 수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인 재받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받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거공간(S2)이 마련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재받이(200)는 함체부(1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곽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재받이(200)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함체부(130)의 내부공간, 바람직하게는 펠릿 적재부(150)의 하부로 배치되어 구비된다. 즉, 재받이(200)는 재가 낙하되는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재를 수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rned pellets are ashes, and these materials fall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portion 130 through the grills 153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pellet fee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llecting the falling ashes may further include the ash receiving unit 200 as a component capable of collecting ashes. As shown in FIG. 3, the ashtray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enclosure provided with a collection space S2 having an open top. Specifically, the ashtray 200 is formed in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30. Thus, the ashtray 2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130,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pellet mounting unit 150, through the housing 110. That is, since the ashtray 20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where the ash falls, the ash can be collected naturall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공급장치(100)는 펠릿이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S1)의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켜 펠릿의 적재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펠릿을 통해 발생되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pellet fee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or contract the range of the pellet loading space S1 to control the loading amount of the pellets, the thermal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ellets can be easily Can be adjusted.

자세하게는, 적재공간(S1)은 펠릿 적재부(15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그 범위가 정해지는데, 이때 펠릿 적재부(150)의 연결바(157)와 연결된 레버(170)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펠릿 적재부(15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펠릿 적재부(150)를 정해진 각도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적재공간(S1)의 범위가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detail, the range of the loading space S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linear movement of the lever 17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157 of the pellet mounting portion 150 The range of the loading space S1 can be enlarged or reduced because the rotation of the pellet loading part 150 is restricted to keep the pellet loading part 150 at a predetermined angle.

그리고, 난로(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는 별도로 통풍수단(18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펠릿의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펠릿의 착화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펠릿의 완전연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Since external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pellet through the ventilation means 180 separately from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urnace 10, it is possible to easily ignite the pellets, Can greatly contribute.

또, 베플(190)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누출되려는 연기의 진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연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펠릿의 연소실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F1)을 따라 연기의 진로가 펠릿 연소실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연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더더욱 방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ute of the smoke to be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s blocked through the baffle 190, leakage of the smoke can be prevented, and furthermore, The smoke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because the path of the smoke may be changed to the pellet combustion chamber.

10 : 난로 10a : 출입구
100 : 펠릿공급장치 110 : 하우징
111 : 관형부재 111a : 펠릿투입구
111b : 펠릿배출구 111c : 가이드판
111d : 공급로 130 : 함체부
150 : 펠릿 적재부 151 : 프레임
153 : 그릴 155 : 힌지핀
157 : 연결바 170 : 레버
171 : 제한부 171a : 제1스토퍼
171b : 제2스토퍼 171c : 안내면
171d : 안내돌기 180 : 통풍수단
181 : 공기유입구 183 : 공기배출구
190 : 베플 200 : 재받이
S1 : 적재공간 S2 : 수거공간
F1 : 공기의 흐름 F2 : 역류 흐름
10: stove 10a: entrance
100: pellet feeder 110: housing
111: tubular member 111a: pellet inlet
111b: pellet outlet 111c: guide plate
111d: supply path 130:
150: pellet loading part 151: frame
153: Grill 155: Hinge pin
157: connecting bar 170: lever
171: Restriction section 171a: First stopper
171b: second stopper 171c: guide surface
171d: guide projection 180: ventilation means
181: Air inlet 183: Air outlet
190: Baffle 200: ashtray
S1: Loading space S2: Collection space
F1: Air flow F2: Reverse flow

Claims (3)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펠릿을 난로에 안내하는 공급로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난로의 연소실 내에 구비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공급된 상기 펠릿이 적재되는 펠릿 적재부; 및
상기 펠릿 적재부에 연결되어 상기 펠릿 적재부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는,
상기 펠릿 적재부와 함께 상기 난로의 연소실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난로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공급장치.
A housing provided with a supply path for guid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stove;
A hous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A pellet moun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nd loaded with the pellets supplied to the housing; And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pellet mounting portion to pivot the pellet mounting portion,
The housing section
The pellet mounting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stove,
The housing includes:
Wherein the pellet is provided outside the st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적재부는,
상기 레버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펠릿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함체부에 마련되는 적재공간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공급장치.
The pellet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ing space provided in the container portion is enlarged or reduced so that the pellet can be loaded as the pellet is interlocked and rotated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적재부는,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펠릿이 안착되는 그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함체부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펠릿공급장치.
The pellet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 frame forming an outer frame;
A grill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on which the pellet is seated;
A hinge pin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section; And
And a connecting ba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lever.
KR1020170117906A 2017-09-14 2017-09-14 Pellet burner KR201900304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06A KR20190030448A (en) 2017-09-14 2017-09-14 Pellet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06A KR20190030448A (en) 2017-09-14 2017-09-14 Pellet bu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48A true KR20190030448A (en) 2019-03-22

Family

ID=6594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06A KR20190030448A (en) 2017-09-14 2017-09-14 Pellet b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44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6B1 (en) 2020-03-02 2020-09-03 박영주 A Stove-Free Hea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40Y1 (en) 2014-11-06 2016-11-04 김광철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40Y1 (en) 2014-11-06 2016-11-04 김광철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6B1 (en) 2020-03-02 2020-09-03 박영주 A Stove-Free He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286B2 (en) Wood fired boiler
KR100917787B1 (en) Hot air blower for solid fuel
KR100752761B1 (en) Burning apparatus using pellet fuel
KR101524436B1 (en) Firewood and pellet combination stove
KR101291402B1 (en) Wood pellet stove
US9995489B2 (en) Pellet stove
US4347831A (en) Fuel burning stove
JP4785980B1 (en) Combustion device
KR200486674Y1 (en) Stove
US4350139A (en) Solid fuel heater with improved primary/secondary air control system
KR20190030448A (en) Pellet burner
KR101708370B1 (en) A barbecue apparatus using Stack effect
KR200438793Y1 (en) Solid fuel-fired stove
KR102023110B1 (en)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KR200481740Y1 (en)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KR20150002292U (en) Pellet and firewood combination stove
KR101861205B1 (en) Heater for solid fuel
US4320740A (en) Fireplace heater with reflector, heat retainer, forced draft and grate
KR100891187B1 (en) Wood and silid foel fired boiler
JP5797039B2 (en) Combustion device
RU211042U1 (en) camp stove
JP7242111B1 (en) Wood-burning stove
KR20100006637U (en) the multipurpose firewood burn up system by downward look type
US4653465A (en) Heater
IE46204B1 (en) Improvements in h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