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205B1 -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205B1
KR102385205B1 KR1020190105957A KR20190105957A KR102385205B1 KR 102385205 B1 KR102385205 B1 KR 102385205B1 KR 1020190105957 A KR1020190105957 A KR 1020190105957A KR 20190105957 A KR20190105957 A KR 20190105957A KR 102385205 B1 KR102385205 B1 KR 10238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electric
battery
electric kickboard
service serv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288A (ko
Inventor
장기훈
Original Assignee
장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훈 filed Critical 장기훈
Priority to KR102019010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2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합니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원격으로 공유 전기차들의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인디케이터 표시수단에 의해 시각적으로 이상상태임이 표시되도록 하는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에에서는 공유 전기차의 제어부가 인디케이터 표시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THE METHOD OF INDICATIONG CONDITION OF SHARING ELECTRIC KICKBOARD WITH REALTIME}
본 발명은 공유운송수단의 효율적인 이용 기술에 관하며, 특히 배터리로 운행하는 공유 전기차의 이용에 관한다.
도심에는 자동차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이로 말미암아 교통체증과 주차장 부족 문제로 유발되는 불편함이 도시생활의 일상사가 되고 말았다. 무엇보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해 도시 상공에 초미세먼지가 자욱해지는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슬기로운 대책의 일환으로 공유 자동차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소카TM로 알려진 승용차 공유 서비스는 자가 승용차의 이용을 줄여준다는 점에서는 유의미하지만 수요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의 문제는 여전했다. 최근 서울시에서는 자전거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호평을 받고 있지만, 인간의 힘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느리고 힘들며 언덕길에서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 전기차의 일종인 킥고잉TM 이름의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소속된 사람들이 전동킥보드를 일일이 충전하여 일정한 지역에 배치하고 있지만, 운행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에는 어쩔 수 없이 수동으로 운전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일반자전거보다 더 불편해진다.
요컨대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공유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유료로 결제하면서도 공유 전기차의 성능을 제대로 알 수 없었다. 공유 전기차의 성능은 이용에 적합한 것으로 가정되어 있을 뿐이다. 사용자의 지각 능력으로는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 부실을 인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픈 소박한 마음으로 오랫동안 고민하고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445호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3954호
공유 전기차는 어딘가에 배치된다. 그곳에 배치된 공유 전기차는 이용에 적합할 것으로 전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관념이 사실은 그렇지 않고 이용 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편리를 추구하려고 공유 전기차를 이용했는데 예기치 못한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작동이 원활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할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공유 전기차를 사용하기 전에 공유 전기차의 성능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용하기에 부적합한 공유 전기차, 이용해서는 안 되는 공유 전기차가 공유될 수 없도록 예방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국면은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으로서:
(a) 서비스 서버가 공유 전기차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N(N은 1보다 큰 정수)대의 공유 전기차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배터리 상태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유 전기차를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로 특정함과 아울러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공유 전기차로 전송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상기 공유 전기차가 수신하면, 인디케이터 표시수단에 의해 시각적으로 배터리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s)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 계정으로 상기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으로서:
공유 전기차의 제어부가 공유 전기차에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인디케이터 표시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배터리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공유 전기차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면서 상기 배터리 이상 상태 표시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유 전기차를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로 등록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의 계정으로 상기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에 대한 점검명령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전기차는 전기 자전거, 전동 킥보드 및 전기 자동차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배치된 공유 전기차의 배터리의 이상상태를 알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편리를 추구하려고 공유 전기차를 이용했는데 배터리 방전으로 말미암아 운행을 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간단하게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 공유 전기차(100)의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냈다.
식별코드가 할당된 N(N은 1보다 큰 정수)대의 공유 전기차(100)는 구역 정보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 공유 전기차(100)는 바퀴가 있고 배터리로 구동한다. 또한 공유 전기차(100)는 무선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 특히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서버장치로 구성되며, 복수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공유 전기차(1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공유 전기차의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 서버(200)와 공유 전기차(100)의 실시간 통신에서 주고받는 데이터는 공유 전기차에 부여된 식별코드가 표지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식별코드는 공유 전기차가 배치된 위치를 알려주는 배치 구역 아이디와 매칭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공유 전기차(100)로부터 배터리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서비스 서버(200)의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은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으며 배치 및/또는 관리되고 있는 공유 전기차(100)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이들 공유 전기차(100)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이들 공유 전기차(100)를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밖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그 예로는 로그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 과금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디바이스(20) 또는 관리자 디바이스(30)에 설치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유 전기차(100)가 배치된 위치에 가서 공유 전기차(100)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30)에는 공유 전기차 사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여 소정의 인증 및 과금 프로세스를 행한 다음에 특정된 공유 전기차(100)를 이용한다.
관리자는 공유 전기차(100)를 관리한다. 공유 전기차(100)의 점검, 배터리 충전 또는 교환, 공유 전기차(100)의 배치와 수거 등의 관리를 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자 단말(30)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한다. 관리자 단말(30)에는 공유 전기차 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면서 공유 전기차(100)에 대한 데이터 수신, 정보 열람, 위치확인, 이벤트 입력, 정보 수정 등의 일련의 행위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전기차(100)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공유 전기차(100)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01)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1)는 배터리(110)와 통신하여,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서버(2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인디케이터 표시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터리(110)의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공지의 센서모듈이 추가로 설치될 것이다. 그러한 상태정보로는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온도,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표준상태에서 충전할 경우 총충전량 대비 배터리에 남아 있는 충전량의 비율),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 배터리의 가장 이상적인 상태를 기준으로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그 값을 %로 표기한 값) 등이 있다.
무선 통신모듈(120)은 공유 전기차(100)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기능한다.
인디케이터 표시부(130)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외부 주체(예컨대 사용자나 관리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표시부(130)는 1개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입수된 배터리 상태정보의 수치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이를 "이상상태"라고 표현해 보자), 적색등이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배터리의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하여 공유 전기차(100)를 구동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적 및/또는 기계적 부품을 포함한다. 보통은 공유 전기차(100)의 바퀴가 전기의 힘으로 굴러가도록 하는 구성들이다. 대표적으로 모터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입력장치, 메모리 등이 공유 전기차(100)에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서비스 서버가 N대의 공유 전기차와 실시간으로 통신한다(S100). 서비스 서버는 네트워크에 식별코드로 등록되어 있는 공유 전기차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서버는 공유 전기차로부터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이 그런 배터리 상태정보로는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온도, 배터리의 SOC, 배터리의 SOH 등이 있다.
그리고 입수한 배터리 상태정보의 수신값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비교한다(S120).
배터리 상태정보가 상기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이상상태임을 판단하여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생성한다(S130). 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전압의 기준치가 2.9~4.2V의 범위로 등록되어 있을 수 있고, 입수한 배터리 셀 전압의 수치가 위와 같은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저전압 또는 고전압 이상상태에 해당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 온도의 기준치가 -20도~45도인 경우, 입수한 배터리 모듈 온도가 상기 기준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이상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OC < 25% 인 경우, 충전이 필요한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OH <= 60% 인 경우, 배터리 교환이 필요한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네 가지 상태정보 요소, 즉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온도, SOC, SOH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유 전기차의 상태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는 기준치 범위를 벗어난 공유 전기차에 인디케이터 표시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및 SOC의 수치에 대해서는 기준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공유 전기차로 인디케이터 표시 명령을 전송하되, SOH의 경우 관리자 단말로 배터리 교체 이벤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공유 전기차는 상기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수신하여 인디케이터 표시수단을 ON시킨다(S140).
또한 서비스 서버는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생성한 해당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에 대한 정보를 통지한다(S141).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어떤 공유 전기차가 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도 4의 실시예는 공유 전기차의 제어부가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생성한다.
공유 전기차 제어부는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200).
그리고 배터리 상태정보 수치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비교한다(S210).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배터리 상태정보로 활용되는 요소로는 그런 배터리 상태정보로는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온도, 배터리의 SOC, 배터리의 SOH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전압의 기준치가 2.9~4.2V의 범위로 공유 전기차의 제어부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입수한 배터리 셀 전압의 수치가 위와 같은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저전압 또는 고전압 이상상태에 해당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 온도의 기준치가 -20도~45도인 경우, 입수한 배터리 모듈 온도가 상기 기준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이상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OC < 25% 인 경우, 충전이 필요한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OH <= 60% 인 경우, 배터리 교환이 필요한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네 가지 상태정보 요소, 즉 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온도, SOC, SOH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유 전기차의 상태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정보가 상기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이상상태임을 판단하여 공유 전기차 제어부는 표시부를 온 시켜서 배터리 이상상태를 나타낸다(S220).
또한, 공유 전기차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면서 상기 배터리 이상상태 표시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221).배터리 셀 전압, 배터리 모듈, SOC의 수치 및 SOH의 수치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서버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유 전기차를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로 등록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의 계정으로 상기 이상상태 공유 전기차에 대한 점검명령을 통지한다. 관리자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전기차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공유 전기차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전거, 전동 킥보드 및 전기 자동차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a) 서비스 서버가 공유 전동 킥보드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N(N은 1보다 큰 정수)대의 공유 전동 킥보드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배터리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배터리 상태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유 전동 킥보드를 이상상태 공유 전동 킥보드로 특정함과 아울러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공유 전동 킥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표시명령을 상기 공유 전동 킥보드가 수신하면, 사용되기 전 외부 주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LED에 의해 시각적으로 배터리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s)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 계정으로 상기 이상상태 공유 전동 킥보드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되기 전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
  2. 삭제
  3. 공유 전동 킥보드의 제어부가 공유 전동 킥보드에 내장된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사용되기 전 외부 주체에 의해 식별될 수 있도록 LED를 통해 시각적으로 배터리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이벤트를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공유 전동 킥보드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면서 상기 배터리 이상 상태 표시 이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유 전동 킥보드를 이상상태 공유 전동 킥보드로 등록함과 아울러, 미리 등록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의 계정으로 상기 이상상태 공유 전동 킥보드에 대한 점검명령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되기 전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 표시 방법.
  4. 삭제
KR1020190105957A 2019-08-28 2019-08-28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KR10238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57A KR102385205B1 (ko) 2019-08-28 2019-08-28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57A KR102385205B1 (ko) 2019-08-28 2019-08-28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88A KR20210028288A (ko) 2021-03-12
KR102385205B1 true KR102385205B1 (ko) 2022-04-12

Family

ID=7517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57A KR102385205B1 (ko) 2019-08-28 2019-08-28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271A (ko) 2021-07-28 2023-02-08 주식회사 엔트리버 공유킥보드를 이용한 미세먼지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2619335B1 (ko) * 2022-01-24 2024-01-02 에코브 주식회사 차량 교환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96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KR102011745B1 (ko) * 2017-07-18 2019-08-19 (주)파워에스티 전기차량의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9774A1 (it) * 2015-12-30 2017-06-30 Clear Channel Jolly Pubblicita S P A Sistema per condividere biciclette elettriche pubbliche provvisto di un sistema elettronico automatico per gestire in remoto l'alimentazione elettrica delle biciclette stes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296B1 (ko) *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KR102011745B1 (ko) * 2017-07-18 2019-08-19 (주)파워에스티 전기차량의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88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7942B (zh) 电动汽车救援系统及电动汽车救援方法
US11192459B2 (en)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 traction energy storage device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N110588432B (zh) 电动汽车及其电池管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502989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385205B1 (ko) 공유 전동 킥보드의 실시간 상태표시 방법
US20120086395A1 (en) Telematics device for remote charging control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thereof
KR101132770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소 운영시스템
JP6258375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車両監視方法
CN112519631B (zh) 电池控制装置、充放电系统、停车场系统、二次电池再利用系统、电池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10174670U (zh) 一种电动汽车bms充电桩监控系统
US11279251B2 (en) Charging system
US10026068B2 (en) Charging fee payment system and target apparatus used in the same
CN111483415B (zh) 一种车辆蓄电池亏电后的救援方法及装置
CN111038335A (zh) 电池的充电管理方法、充电管理装置及计算机设备
US20140207397A1 (en) Electric vehicle charge-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display
JP2021086191A (ja) 貸出システム、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6412793U (zh) 适用于v2g充电管理系统的双向dc/dc充电机
KR101217537B1 (ko) 차량용 전자단말기기 및 그를 이용한 휴일제 관리시스템
CN110614933A (zh) 一种电动汽车充电远程管控平台
CN210363461U (zh) 一种能侦测电池状态及电动单车运行轨迹的充电系统
KR101252965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전기자동차의 제어 방법
JP5868656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車載器
KR101184025B1 (ko) 전기자동차의 2차 전지 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18205812A (ja) 電気料金演算装置、電気自動車、電気料金演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73309B1 (ko) 차량의 전원 최적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