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917B1 -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 Google Patents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917B1
KR102384917B1 KR1020200137925A KR20200137925A KR102384917B1 KR 102384917 B1 KR102384917 B1 KR 102384917B1 KR 1020200137925 A KR1020200137925 A KR 1020200137925A KR 20200137925 A KR20200137925 A KR 20200137925A KR 102384917 B1 KR102384917 B1 KR 10238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ll
main column
tube
filt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신인
한경수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스그린코리아(주)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스그린코리아(주),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3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9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ree filtration box using a column type filter wall module method, comprising: a column type filter wall formed of a plurality of pipes filled with media inside; and a plating unit in which a tree is plated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column type filter wall with soil. The prefabricated tree filtration box allows efficient initial rainfall nonpoint treatment and infiltration retention and is constructible without being affected by root size.

Description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본 발명은 부하없는 비점처리 및 빗물침투에 의해 최적의 물순환환경이 구축되며, 신규시공은 물론 기존 식재된 수목의 경우도 나무뿌리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수목여과상자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is established by boiling point treatment without load and rainwater infiltration, and in the case of new construction as well as existing planted trees, it is easy to construct with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rowth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ree root. It relates to a possible tree filter box.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As water quality problems have been raised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begun to mention the need for an economically efficient and sustainable water circulation system to protect water quality. Questions have also been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water management systems in protecting ecosystems and managing water quality.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 피해, 도시의 비점오염 피해, 지하수 고갈 및 그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 하천의 건천화 등의 여러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에서 처음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이라는 새로운 도시 계획 기법을 제안하였다.(위키백과)This is be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flood damage, urban non-point pollution damage, groundwater depletion and consequent subsidence, and dryness of rivers are getting worse as the impermeable layer increases due to the change in land use pattern due to urbaniza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is problem, a new urban planning technique called Low Impact Development (LID) was first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Wikipedia).

이러한 불투수층의 증가 즉 물순환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일 예로서 트리박스 필터(수목여과상자)가 제시된다. A tree box filter (tree filter box)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impermeable layer, that is, the distortion of water circulation.

이러한 트리박스 필터는 가로수가 식재되거나 화단이 조성되는 식생공간을 가지면서 초기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거나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로수나 화단을 조성함과 아울러 일측 상단에 강우유출수 등의 유입구가 구비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하단에 충전되는 여재층과, 상기 여재층의 상부에 충전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박스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여재층에 의해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지중이나 우수관로 또는 집수조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한다. This tree box filter is designed to temporarily store initial rainwater or treat non-point pollutants while having a vegetation space where street trees are planted or flower beds are created. A box with an inlet, a filter media layer filled in the lower inner part of the box body, a vegetation soil layer fi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media layer, and a treatment filtered by the filter media layer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x body Includes drainage pipes for draining water underground or into storm drains or sumps.

또한, 상기 박스체 일측 상단에 구비된 유입구는 트리박스 필터를 도로변에 설치하였을 경우 도로를 따라 흐르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도로를 향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리박스 필터는 도로 측으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박스체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식생토양층과 여재층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 여과되고, 박스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관을 통하여 지중이나 우수관로 또는 집수조로 배수되는 것으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 초기의 강우유출수는 물론 초기 강우 이후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유출수까지도 식생토양과 여재층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후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의 유입수량에 따른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le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box body is disposed toward the road so that the rain runoff flowing along the road can be introduced when the tree box filter is installed on the roadsid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ree box filter, rainfall runoff flowing into the box from the road side through the inlet is filtered down while passing down the vegetation soil layer and the filter media layer, and through the drain pip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x, it is underground or into a rainwater pipe or a water collecting tank. Drainage means that not only the rainfall runoff at the beginning of the rainfall,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but also the rain runoff containing a trac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after the initial rainfall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vegetation soil and filter media layer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fficie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inflow of rainfall runoff is not performed.

특히,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초기 강우유출수는 물론 초기 강우 이후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된 강우유출수까지도 여재층을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여재층의 여과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부하에 의해 빗물의 역류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 식재된 나무에 트리박스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나무뿌리의 사이즈가 외부에서 파악되지 않아 굴착 후에 나무뿌리 사이즈에 따라 박스체의 사이즈가 선택되어야 하므로 그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not only the initial rainfall runoff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but also the rainfall runoff containing a trac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after the initial rainfall passes through the filter media lay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ration load of the media layer increases. There are problems such as backflow of rainwater.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tree box filter on an existing planted tree, the size of the tree root cannot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the size of the box body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ree root after excavation, so the construction is not eas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06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91066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효율적인 초기강우 비점처리 및 침투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고 신규는 물론 기존 나무의 경우도 뿌리사이즈에 덜 영향을 받으면서 시공이 가능한 수목여과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enables efficient initial rain boiling point treatment and infiltration storage, and provides a tree filter box that can be constructed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root size of new as well as existing trees. is to do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열식 필터벽체를 이용한 수목여과상자(이하 "본 발명의 상자"라함)는, 내부에 여재가 충진된 복수의 관으로 형성되는 주열식 필터벽체;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 내부에 토사가 충진되어 나무가 식재되는 식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tree filter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olumn-type filt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umn-type filter wall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filled with a filter medium therein.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nting part in which the soil is filled inside the main-heated filter wall and trees are planted.

하나의 예로 상기 관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테두리가 구성되어 인접하는 관간에 상,하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groove and the slide edge are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assemb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between adjacent tubes.

하나의 예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는 상기 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주열식 필터벽체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하도록 측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communicate by variab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ube.

하나의 예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에 있어 모서리에 위치하는 관의 하단에는 외주연에 수평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전단돌기가 형성되는 앵커링관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tube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column-type filter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ing tube in which a plurality of shear protrusions formed with horizontal through-hol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re communicated.

하나의 예로 주열식 필터벽체 상단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 상단이 수용되는 프레임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an upper surface is opened at the top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and a fram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is accommodated is configured.

하나의 예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투수성재질 또는 구조로서 중앙부에 식재공이 형성되는 덮개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planting hole in the central portion as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하나의 예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에는 양측에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테두리가 형성되어 관사이에 체결되며 가변부가 형성되는 연결구가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main column filter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nector is formed with slide grooves and slide rims formed on both sides, which are fastened between the tubes, and in which a variable part is formed.

하나의 예로 상기 가변부는 슬라이드홈 및 슬라이드테두리와 직교하도록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variabl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lide groove and a cut-out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lide edge.

하나의 예로 상기 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체결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의 콘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it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tub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nd a cone portion having a narrower diameter toward the lower end is further configured.

하나의 예로 상기 콘부는 한쌍으로 이격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의 삽입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the cone part comprises a pair of protruding protruding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sert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nd a diameter narrowing toward the lower end. do.

하나의 예로 상기 콘부가 관의 상단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의 상단에 상기 삽입몸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관 상단으로 돌출단이 노출되도록 체결되며, 복수의 콘부에 의한 돌출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지공간에는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의 제 2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when the cone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tube, it is fasten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ube, and the insertion space formed by the protruding end by the plurality of cone por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rame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is mou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자는 여과공간과 식재공간을 구획하여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초기우수는 우선 여과공간을 통해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류 및 침투가 되도록 하고 초기우수 이후의 우수에 대해서는 식재공간을 통한 침투가 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비점의 제거 및 침투를 통한 최적의 물순환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iltration space and the planting space so that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is first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space so that it is stored and permeated. It has the effect of establishing an optimal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through efficient removal of boiling points and penetration by allowing penetration through the planting space.

또한 본 발명의 상자는 신규시공은 물론 기존 식재된 수목의 경우도 나무뿌리의 사이즈에 덜 영향을 받으면서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growth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size of the tree root in the case of new construction as well as existing planted trees.

또한 본 발명의 상자는 시공후 지반침하, 뿌리의 생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수용토록 하여 전체 파손을 방지함에 의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intain and manage by preventing overall damage by accommodating the deformation that may occur due to ground subsidence and root growth afte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 주열식 필터벽체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주열식 필터벽체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olumnar filter wall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lumnar filter wall in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의 상자(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여재(22)가 충진된 복수의 관(21)으로 형성되는 주열식 필터벽체(2);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 내부에 토사가 충진되어 나무가 식재되는 식재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x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lumn filter wall 2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21 filled with a filter medium 22 therei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filled with soil and a planting part (3) in which trees are plan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즉 본 발명의 상자(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열식 필터벽체(2)와 식재부(3)로 구성되는데 강우시 등에 보도포장 등 지표로부터 유동하는 빗물(W1)이 우선적으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로 유입되도록 하여 여과가 된 빗물이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를 월류한 빗물(W2)은 상기 식재부(3)로 침투되어 지반으로 침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box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column filter wall 2 and a planting part 3 as shown in FIG. The filtered rainwater flows into the thermal filter wall (2) so that the filtered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ground. to make it happen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의 경우는 우선 주열식 필터벽체(2)에서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중으로 침투시키고 초기우수 이후의 보다 많은 강우량에 의한 빗물 즉 주열식 필터벽체(2)를 월류내지 수평 통과된 빗물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아 지반으로 침투시키도록 하여 부하를 방지하면서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in the case of initial rainwater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filtration is first performed on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and penetrates into the ground. ),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horizontally or overflows has a relatively low degree of pollution, so it is allowed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to prevent the load and to circulate the water.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는 여재(22)가 충진된 복수의 관(2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신규시공으로 물론 기존에 식재된 나무에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2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됨에 의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tubes 21 filled with the filter material 22,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existing trees with new construction as well as new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ll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by being formed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tubes 21 .

특히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는 상기 관(21)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주열식 필터벽체(2)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하도록 측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를 구성하는 관(21)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각 벽체에 측개구가 형성됨에 의해 하부가 아치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된 나무의 뿌리가 생장함에 있어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ariab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ube (21). Similarly, the pipe 21 constituting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lengthens from the central part to both sides, and side openings are formed in each wall so that the lower part is configured in an arcuate shape. to minimize interference in the growth of the roots of

즉 이와 같은 형상의 주열식 필터벽체(2)는 구조적으로 상재하중을 아치형상의 각각 관(2)으로 완화시키도록 하며 식재부(3)에는 토양이 충진되어 구조적 건전성을 도모하면서 상기 식재부(3)에서 생장하는 나무에 있어 뿌리가 시공시 또는 생장과정에서 하방향 및 측방향에서 개구된 구조에 의해 뻗어나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주열식 필터벽체(2)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나무뿌리 사이즈에 덜 영향을 받으면서 시공할 수 있으며 생장과정에서 뿌리 등에 의해 주열식 필터벽체(2)가 깨지거나 솟아오르는 문제 등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columnar filter wall 2 of this shape structurally relieves the superimposed load with each of the arcuate tubes 2, and the planting part 3 is filled with soil to promote structural soundness while the planting part 3 ), since the roots can be extended by the structure opened in the downward and lateral directions during construction or during the growth process, the size of the columnar filter wall 2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tree roots is less affected. It can be constructed while receiving a sieve, and problems such as cracking or rising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due to roots or the like during the growth process can be controlled.

주열식 필터벽체(2)를 구성하는 관(21)의 형상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관(21)은 상, 하면이 개구되어 유체의 상, 하유동을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The shape of the tube 21 constituting the column-type filter wall 2 is not limited to the type,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A and 3B ,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or a rectangular shape. The tube 21 of this shape should have upper and lower openings to enable the upper and lower flow of the fluid.

주열식 필터벽체(2)를 구성하는 관(21) 간에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212)과 슬라이드테두리(211)가 구성되어 인접하는 관(21)간에 체결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 하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생장과정에서 일정부분의 뿌리 등에 의해 간섭이 이루어지는 경우 일체로 구성된다면 일부분에 의해 전체가 솟아오르거나 깨짐의 문제가 발생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나 주열식 필터벽체(2) 중에 해당 관(21)에 대해서만 솟아오름이 유도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해당 관(21)만을 컷팅하는 등에 의해 전체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구조가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 a slide groove 212 and a slide edge 211 are formed between the tubes 21 constituting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between the adjacent tubes 21 is impossi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so that it can slid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s possible. The reason for such a configuration is that if it is formed integrally in the case of interference by a certain part of the root during the growth process, the whole rises or breaks due to a part, so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not easy, but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 not only to prevent damage by inducing rising only for the pipe 21, but also to cut only the pipe 21, etc.

도면에서는 주열식 필터벽체(2)의 단면이 4각형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의 각 관(21)은 상호 측면에서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관(21) 간에 빗물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체흐름을 원활히 하고 일부 관(21)의 여재(22)가 폐색되는 경우 빗물이 타관으로 유동토록 하여 원활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formed in a quadrangl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ach tube 21 of the column filter wall 2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side. can be That is, it is desirable to make the flow of rainwater freely between each pipe 21 to facilitate fluid flow, and to allow rainwater to flow to the other pipe when the filter media 22 of some pipe 21 is blocked so that smooth filtration is achieved. Do.

또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에 있어 모서리에 위치하는 관(21)의 하단에는 외주연에 복수의 전단돌기(41)가 형성되는 앵커링관(4)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앵커링관(4)은 초목 생태 및 생육을 위한 관수 통수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구성 재질에 따라 중공처리 하여 전단돌기(41)가 천공되어 앵커링(4)관 외연에 형성된 다수의 유출공들을 통해서 수목하부 지중의 방사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물 또는 양분이 배출되어 가로수 성장과 생육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tube 21 located at the edge of the column-type filter wall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ing tube 4 in which a plurality of shear projections 4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communicates. This anchoring pipe (4) can be used as an irrigation pipe for vegetation ecology and growth, and through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choring (4) pipe, the shear protrusion 41 is perforated by hollow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 Water or nutrients are continuously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ound beneath the tree to help the growth and growth of street trees.

상기 앵커링관(4)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중공을 형성하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의 말뚝으로 구성되어 지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관(21) 하단에 나사돌기가 구성되고 별도로 원기둥형상의 말뚝을 구성하여 나사돌기가 말뚝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링관(4)의 외주연에 전단돌기(41)는 지중에서 마찰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앵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anchoring pipe 4 is not limited in its material, and is made of, for example, a pile made of high-strength plastic material that forms a hollow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ground.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screw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pile by separately configuring a cylindrical pile. The shear protrusion 4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choring tube 4 i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in the ground so that the anchoring is strong.

또한,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 상단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2) 상단이 수용되는 프레임(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upper end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2)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a frame (5)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2) is accommodated is configured.

상기 프레임(5)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열식 필터벽체(2)의 단면과 대향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 하면이 개구되는 몸체(51)에는 내부에 주열식 필터벽체(2)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하여 주열식 필터벽체(2)의 형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5) 상면은 개구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의 마개(52)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마개(52)의 구성에 의해 주열식 필터벽체(2)로 유입되는 빗물 중에 혼입된 나뭇잎 등 입자가 비교적 큰 이물질을 선제적으로 여과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마개(52)의 재질은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로서 다양한 공지의 재질 또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me 5 is configured in a shape opposite to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are located inside the body 51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It serves to hold the shape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to be accommod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 is open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stopper 52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is formed. It is to preemptively filter foreign substances with relatively large particles such as leaves. Here, the material of the stopper 52 is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well-known materials or structures may be applied.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51) 내부에 지지대(53)가 더 구성되도록 하여 주입식 필터벽체(2)의 형상을 더욱 견고히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a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ppropriate to further firmly hold the shape of the injection-type filter wall 2 by further configuring the support 53 inside the body 51 .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투수성재질 또는 구조로서 중앙부에 식재공(61)이 형성되는 덮개판(6)이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5)의 형상을 내부에서 더 잡아주면서 식재부(3)에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덮개판(6)의 재질은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로서 다양한 공지의 재질 또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 cover plate 6 in which a planting hole 61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as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is configured, and while further holding the shape of the frame 5 from the inside, the planting part 3 to prevent loss. Here too, the material of the cover plate 6 is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well-known materials or structures may be applied.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반의 침하, 뿌리의 생장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하중이 부과될 수 있는데 상, 하 간에 작용하는 외력(F1)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열식 필터벽체(2)에 있어 해당 부분의 관(21)이 상,하 슬라이드에 의해 전체 파손 등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a load may be partially imposed due to subsidence of the ground and growth of roots. In this case, the pipe 21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to be controlled so that the entire breakage is controlled by the up and down slides.

이에 더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F2)에 대해서는 연결구(23)에 의해 주열식 필터벽체(2)의 횡방향 가변이 유도되도록 하여 전체 파손을 방지토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for the external force F2 act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transverse change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induced by the connector 23 to prevent overall damage. there is.

본 실시 예에서 연결구(23)는 양측에 슬라이드홈(232)과 슬라이드테두리(231)가 형성되어 관(21)사이에 체결되며 가변부(23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주열식 필터벽체(2)에 하나 이상 게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중양부에 연결구(23)가 하나 게재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2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slide grooves 232 and slide rims 231 are formed on both sides, fastened between the tubes 21, and a variable portion 233 is formed.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connector 23 is pos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figure to be published in one or more.

상기 가변부(233)는 슬라이드홈(232) 및 슬라이드테두리(231)와 직교하도록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뿌리의 생장 등에 의해 횡방향 하중(F2)이 부과되는 경우 상기 가변부(233)의 구성에 의해 연결구(23)가 신장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구(23)의 신장에 의해 주열식 필터벽체(2)의 해당부분이 횡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어 전체 구조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뿌리 생장의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variable part 23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ut-out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lide groove 232 and the slide edge 231. When (F2) is imposed, the connector 23 is extend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part 233, and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is displ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extension of the connector 23. This is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root growth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entire structure.

여기서 연결구(23)는 고무 등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탄성적 변위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Here, it is reasonable that the connector 23 is configured to enable elastic displacement behavior by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21)의 하단 또는 상단에 콘부(7)가 체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e part 7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r upper end of the tube 21 as shown in FIGS. 6 and 7 .

상기 콘부(7)는 복수의 관통공(731)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바, 관통공(731)의 형성에 의해 관(2)으로부터 하강하는 물이 상기 관통공(731)을 통해 지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cone part 7 is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31 are formed and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731) is to be discharged to the ground.

상기 콘부(7)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콘부(7)는 한쌍으로 이격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돌출단(71)과, 상기 돌출단(7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731)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의 삽입몸체(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one part 7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e part 7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ends 7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31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end 71 . ) is form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sertion body 73 having a shape that is narrower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상기 콘부(7)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21)의 상단에 체결시는 상기 삽입몸체(73)가 관(21)의 상단으로 삽입체결 되도록 하는 것이며, 관(21)의 하단에 체결시는 돌출단(71)이 관(21)의 하단으로 삽입체결 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cone part 7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21 as shown in FIG. 6 , the insert body 73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21 , and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21 . At the time, the protruding end 71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21 .

상기 콘부(7)가 관(21)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은 관(21)의 지중타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모서리 부분에서는 앵커링관(4)과 연결구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cone part 7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21 so that the underground type of the pipe 21 is easy, and also functions as an anchoring pipe 4 and a connector in the corner part.

또한, 상기 콘부(7)가 관(21)의 상단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21)의 상단에 상기 삽입몸체(73)가 삽입된 상태에서 관 상단으로 돌출단(71)이 노출되도록 체결되며, 복수의 콘부(7)에 의한 돌출단(71)에 의해 형성되는 삽지공간(72)에는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의 제 2프레임(8)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 상기 콘부(7)는 복수의 관(21)과 제 2프레임(8)의 연결구로서 기능을 하면서 복수의 관(21)에 의해 형성되는 필터벽체(2)의 형상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ne part 7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tube 21, the protruding end 71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73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ube 21, , the second frame 8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is mounted in the insertion space 72 formed by the protruding end 71 by the plurality of cones 7 . That is, in this case, the cone part 7 functions as a connector between the plurality of tubes 21 and the second frame 8, and functions to hold the shape of the filter wall 2 formed by the plurality of tubes 21. will be done

여기서 상기 제 2프레임(8)은 투수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구조에 의해 투수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투수성 재질 또는 구조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second frame 8 may be made of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it should have a water-permeable property by its structure. Since various known technologies exist for the water 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로부터 경계석을 통해 주열식 필터벽체(2)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열식 필터벽체(2)에는 내부로 연통하는 슬릿이 구성되어야 하고 이에 대향하는 경계석에는 도로와 슬릿이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rainwater to flow into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from the road through the boundary stone as shown in FIG. 8 . In this case, the main column filter wall (2) should be configured with a slit communicating insid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oad and the slit communicates should be formed in the boundary stone opposite to thi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본 발명 2 : 주열식 필터벽체
3 : 식재부
1: present invention 2: main column filter wall
3: planting department

Claims (11)

내부에 여재가 충진된 복수의 관으로 형성되는 주열식 필터벽체;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 내부에 토사가 충진되어 나무가 식재되는 식재부; 및
상기 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체결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의 콘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부는,
한 쌍으로 이격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의 삽입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a main column filter wall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filled with a filter medium;
a planting unit in which soil is filled in the main-heated filter wall and trees are planted; and
Containing; a cone part fastened to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tub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nd having a narrower diameter toward the lower end;
The cone part,
A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end that protrudes while forming a pair of spaced apart, and an insert body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end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nd the diameter is narrower toward the lower end.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modular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테두리가 구성되어 인접하는 관간에 상,하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pipe is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column-type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groove and the slide border are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sembled to slide up and down between adjacent pip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는 상기 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주열식 필터벽체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하도록 측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column filter wall is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main column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ide openings are formed so that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main column filter wall communicate by variab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에 있어 모서리에 위치하는 관의 하단에는 외주연에 복수의 전단돌기가 형성되는 앵커링관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main column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ing tube having a plurality of shear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of the tube located at the corner in the main column filter wall.
제 1항에 있어서,
주열식 필터벽체 상단에는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 상단이 수용되는 프레임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 prefabricated tree filtration box using a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is opened and a frame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upper end of the main column type filter wal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투수성재질 또는 구조로서 중앙부에 식재공이 형성되는 덮개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6. The method of claim 5,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main column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is composed of a cover plate with a planting hole formed in the central part as a water-permeable material or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열식 필터벽체에는 양측에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테두리가 형성되어 관사이에 체결되며 가변부가 형성되는 연결구가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column filter wall has slide grooves and slide rim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s fastened between the tubes, and at least one connector in which a variable part is form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슬라이드홈 및 슬라이드테두리와 직교하도록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ariable part is a slide groove and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main column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lide ed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부가 관의 상단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의 상단에 상기 삽입몸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관 상단으로 돌출단이 노출되도록 체결되며, 복수의 콘부에 의한 돌출단에 의해 형성되는 삽지공간에는 투수성 재질 구조의 제 2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열식 필터벽체 모듈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수목여과상자.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e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tube, it is fasten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is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e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ube, and the insertion space formed by the protruding end by the plurality of cone portions is water permeable A prefabricated tree filter box using a main column filter wall modul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rame of the material structure is mounted.
KR1020200137925A 2020-10-23 2020-10-23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KR102384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25A KR102384917B1 (en) 2020-10-23 2020-10-23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25A KR102384917B1 (en) 2020-10-23 2020-10-23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917B1 true KR102384917B1 (en) 2022-04-25

Family

ID=8145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25A KR102384917B1 (en) 2020-10-23 2020-10-23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91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92A (en)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Sheet pile wall for purification of underground 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water purification facility
KR100910661B1 (en) 2008-07-29 2009-08-05 신강하이텍(주) Eco-tree box filiter system for treating road runoff pollutants
KR101636362B1 (en) * 2015-09-09 2016-07-05 전형우 LID Facilities Structure Having Vegetation Filter-Box
KR101661520B1 (en) * 2015-12-28 2016-09-30 김기범 A Multifunctional infiltration drainage apparatus and a building method therof
KR101815206B1 (en) * 2015-02-02 2018-01-0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Infiltration and Filtration Car-Stopper
KR20200109993A (en)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Underground support for tre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92A (en)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Sheet pile wall for purification of underground 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water purification facility
KR100910661B1 (en) 2008-07-29 2009-08-05 신강하이텍(주) Eco-tree box filiter system for treating road runoff pollutants
KR101815206B1 (en) * 2015-02-02 2018-01-0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Infiltration and Filtration Car-Stopper
KR101636362B1 (en) * 2015-09-09 2016-07-05 전형우 LID Facilities Structure Having Vegetation Filter-Box
KR101661520B1 (en) * 2015-12-28 2016-09-30 김기범 A Multifunctional infiltration drainage apparatus and a building method therof
KR20200109993A (en)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Underground support for tre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gutter pan flow diverter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KR101728208B1 (en) Expansion infiltration pot pacility for plant growth by surface detention storage and evaporation
KR101636362B1 (en) LID Facilities Structure Having Vegetation Filter-Box
KR101393021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20180071063A (en) Water catchment type water permeable block
KR101510615B1 (en) Pene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40124555A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Purification Filter
JP2009127359A (en) Drainage structure for side ditch
KR102089235B1 (en)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KR101333120B1 (en) Street tree box and structure for creating street tree space for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using the same
KR102384917B1 (en) Modular prefabricated tree box filter using underground secant media-column wall method
KR101440988B1 (en) Penetrated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20080101132A (en) Rainwater undercurrent flower bed for a lawn zone
KR101792845B1 (en)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lid facility using garden near river stream
KR101331596B1 (en) Permeate piping the initial rain purification
KR101380776B1 (en) 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KR100961174B1 (en) Drain belt and apparatus for channelling groundwater using the same
JP2002339437A (en) Rainwater draining treatment system
KR100714315B1 (en) A flower bed type infiltration and detention system
KR101862177B1 (en) vegetation box for low impact development of module type
KR102072409B1 (en) Filering box for tree and drainage system using thereof
JP4948832B2 (en) Gutter block
KR20130070075A (en) A street tree box having function of sinking prevention
KR102377744B1 (en) Plant box with LID infiltration d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