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967B1 -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 Google Patents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967B1
KR101497967B1 KR1020130042215A KR20130042215A KR101497967B1 KR 101497967 B1 KR101497967 B1 KR 101497967B1 KR 1020130042215 A KR1020130042215 A KR 1020130042215A KR 20130042215 A KR20130042215 A KR 20130042215A KR 101497967 B1 KR101497967 B1 KR 10149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pace
wall
planting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4552A (en
Inventor
남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우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우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우그린
Priority to KR102013004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96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은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및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목 구조물(110, 120)은 중앙부에 수목이 삽입되도록 지주목 고리(111, 1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 고리(111, 121)와 상기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상기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의 설치간격은 약 5 내지 30 cm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기 토양공간(C)에 식재한 후 상부공간(A)을 덮을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200)을 더 포함한다.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은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틸 그레이팅(200)이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nd a frame 130. The support structure 110, 120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12 and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rods 111 and 121 and the frame 130 are installed .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5 to 30 cm. The transversal environmental plant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teel grating (20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space (A) after being planted in the soil space (C).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may both be installed below the steel grating 200 or may be installed above the steel grating 200. A steel grating 200 may also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Description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본 발명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어 식재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지주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planter structure for improving the lateral environment of an urban are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ng trees planted on a plantation planter structure.

도로에 식재된 가로수는 상당기간 동안 3개 또는 4개의 버팀목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바람이나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버팀목은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많은 관리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The roadside trees planted on the road are protected from wind or external pressure by fixing them with three or four strut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Conventionally, such a strut is not only bad in appearance but also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so that it takes a lot of management cost.

본 발명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어 식재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지주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protecting a planted tree installed on a planting pla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horizontal environment of an urban area.

본 발명자는 이미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12-30991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특허출원 제2012-30991호에서 개발된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적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식재된 수목을 지탱할 수 있고,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 has already developed a planting pla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street environment in the urban area and has filed the application with the patent application No. 2012-3099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nting pla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lateral environment of an urban area develop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12-30991, so that it can sustain a planted tree more firmly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it is buried in the ground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because it is not damaged by the external impact.

도시지역은 지표면이 주로 건물과 도로로 구성되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여 토양의 생명력이 점차 상실되어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자연생태적인 환경도 차츰 자취를 감추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불투수지역으로 이루어진 도심지구간에서는 이제까지 토양의 생명력이나 자연생태적 환경 보다는 홍수 방지에 대처하기 위한 방향으로 도시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래서 빗물을 도로의 하수관거를 통해 도시외곽 또는 하천이나 강 등으로 신속히 강제 배수하는 방식으로 도시환경이 조성되었다. In the urban area, the surface of the earth is composed mainly of buildings and roads, and the rainwater is not penetrated into the ground, so that the vitality of the soil is gradually being lost, and accordingly,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urban areas, which are mostly impervious areas, the urban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to cope with the flood prevention rather than the soil vitality or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Thus, the urban environment was created by the rapid drainage of rainwater through the sewer pipe of the road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rivers or rivers.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도시환경은 빗물의 지하침투를 감소시키고, 그로 인한 토양의 수자원기능을 상실시켜 지하수자원이 고갈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일시에 빗물을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빠른 유속의 우수유출과 첨두유출의 증가로 오히려 홍수를 유발하고 있고, 대기오염과 교통량 증가로 인한 도시 내 도로의 비점(非点) 오염이 증가하여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입됨으로써 하천오염을 초래하는 등, 결국 물 순환에 많은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urban environment, the underground penetration of the rainwater is reduced, the function of the water source of the soil is lost, and the groundwater resources are exhausted. Since rainwater must be discharged at one time, The increase of outflow causes rather flood, and the increase of air pollution and non-point pollution of roads in the city due to the increase of traffic volume lead to pollution of the river by flowing into the river together with rainfall, It is evident that adverse effects occur.

또한 도시지역에서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일시에 배출됨으로써 토양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이는 도시생태계의 훼손으로 이어져 먹이사슬 기반이 축소되고 식생구조가 단순화되며, 나아가 평균기온의 상승이나 기후 양극화현상을 가져와 결국 재난발생으로 이어진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can not penetrate into the ground in urban areas, and the ecosystem of the soil is destroyed, which leads to the destruction of the urban ecosystem. The food chain base is reduced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is simplified. Furthermore, And eventually lead to disaster.

위와 같은 도시지역에서의 물 순환의 악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시설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설들은 빗물을 저수하는 기능 위주의 시설들로서 빗물을 저류하면서 침투시켜 지하수 자원을 함양하는 기능은 없고 집중강우 또는 강우지속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빗물을 하수관거를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흘려보내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토양생태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킨 후 빗물을 저류하면서 침투시키는 기능 없이 일부 침투로 지하수로 함양시키거나 하수관거를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흘려보내는 등 빗물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고, 식생공간의 외벽 및 저판(바닥면)이 콘크리트로 밀폐되어 주변토양과의 호환성이 없어짐으로써 혐기성 박테리아와 미생물에 의한 식생기반 및 근계의 부패가 우려될 뿐 아니라 근계의 생장에 제한이 발생되어 식물고사의 원인이 되거나 강풍에 의한 식물 전도를 초래하는 등 도시기후변화에 대응하기는 부적당하다.In order to solve the adverse effects of water circulation in the above-mentioned urban areas, various faciliti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se facilities are function-oriented facilities for storing rainwater, and there is no function of raising groundwater resources by infiltrating stormwater, Or the rainwater that overflows during the rainfall flow is only flowed to the river or river through the sewer pipe, so that the above-mentioned ecological problem of the soil is not fundamentally solved. Als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rainwater resources are wasted such as raising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water by some infiltration or flowing it to the river or river through the sewer pipe without the function of infiltrating the rainwater afte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 And the bottom plate (bottom surface) are closed with concrete,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surrounding soil is eliminated, so that the vegetation base and the root vegetation due to the anaerobic bacteria and microorganisms are worried about corruption, It is not appropriate to cope with urban climate change, such as causing vegetative conduction by strong winds.

이에 본 발명자는 빗물의 생태적 순환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빗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지하수 자원을 함양시키며 지속적인 식물성장이 가능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을 개발하고, 이에 적용할 수 있는 지주목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planting 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process of rainwater, removing pollutants from rainwater, cultivating groundwater resources, Street Trees), and developed a support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적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식재된 수목을 지탱할 수 있는 새로운 지주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support structure which can be applied to a planting pla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ransverse environment of an urban area, thereby supporting a more rigidly planted tre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목 구조물이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정리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주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support structure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us can provide an organized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주목 구조물이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아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지주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that can be managed without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because the support structure is embedded in the groun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에서 빗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지하수를 함양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에 적용함으로써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효과를 갖는 도시지역의 자연생태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지주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impact develo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low-impact development ")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planting structure for a street plant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groundwater, Low Impact Development), which can restore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urban area.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은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및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목 구조물(110, 120)은 중앙부에 수목이 삽입되도록 지주목 고리(111, 1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 고리(111, 121)와 상기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가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structu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nd a frame 130. The support structure 110, 120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12 and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rods 111 and 121 and the frame 130 are installed .

상기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상기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의 설치간격은 약 5 내지 30 cm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5 to 30 cm.

상기 지주목 구조물이 설치되는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부에 빗물을 집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부공간(A), 상기 상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빗물을 서서히 토양속으로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수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공간(B), 및 상기 상부공간과 저류공간의 내부쪽으로 형성되며 식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이 채워지는 토양공간(C)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structure is installed includes an upper space A for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part, a rain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pace to penetrate the rainwater slowly into the soil, And a soil space (C)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pace and the storage space and filled with soil for planting.

본 발명의 상기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기 토양공간(C)에 식재한 후 상부공간(A)을 덮을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200)을 더 포함한다.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은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틸 그레이팅(200)이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horizontal environmentally-planting plan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el grating 20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space A after being planted in the soil space C.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may both be installed below the steel grating 200 or may be installed above the steel grating 200. A steel grating 200 may also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4개의 외벽(10, 20, 30, 40), 4개의 내벽(50, 60, 70, 80), 하부중앙벽(90), 중간수평부재(95), 및 바닥부재(97)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 내벽, 및 중간수평부재에 의하여 상부쪽에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 하부중앙벽, 중간수평부재, 및 바닥부재에 의하여 하부쪽에 저류공간(B)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 의하여 안쪽으로 토양공간(C)이 형성된다.The later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our outer walls 10, 20, 30, 40, four inner walls 50, 60, 70, 80, a lower center wall 90, And a bottom member (97), wherein an upper space (A) is formed at an upper side by the outer wall, an inner wall and an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wall A storage space 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by the member, and a soil space C is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inner wall.

토양공간(C)은 식재플랜터 구조물(100) 외부 주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간수평부재(95) 위에 상기 외벽(10, 20, 30, 40)과 상기 내벽(50, 60, 70, 80) 사이에 내부관통벽(55, 65, 75, 85)을 설치하고, 구조물 하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벽(90)을 설치하여 하부 중앙홀(91)을 형성한다.The soil space C comprises the outer wall 10, 20, 30, 40 and the inner walls 50, 60, 70, 70 on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95 so as to penetrate the soil around the outside of the planting plant structure 100. [ 80 and a lower center hole 90 is formed to penetrate the soil below the structure and a lower center hole 91 is formed.

상기 외벽(10, 20, 30, 40)에는 상기 내부관통벽(55, 65, 75, 85)에 의하여 외벽 상부홀(11, 21, 31, 41)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10, 20, 30, 40)의 하부에는 저류공간(B)이 외부 토양과 관통하도록 외벽 하부홀(12, 22, 32, 42)이 형성된다. The outer walls 10, 20, 30 and 40 are formed with outer wall top holes 11, 21, 31 and 41 by the inner penetration walls 55, 65, 75 and 85, 22, 32, and 42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wall 30, 40 so that the storage space B penetrates the outer soil.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체예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4개의 외벽(10, 20, 30, 40), 2개의 내벽(50, 70), 하부중앙벽(90), 중간수평부재(95), 및 바닥부재(97)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 내벽, 및 중간수평부재에 의하여 상부쪽에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 하부중앙벽, 중간수평부재, 및 바닥부재에 의하여 하부쪽에 저류공간(B)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 의하여 안쪽으로 토양공간(C)이 형성된다.The transverse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our outer walls 10,20, 30,40, two inner walls 50,70, a lower center wall 90, an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95, And the bottom member 97. The upper space 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by the outer wall, the inner wall, and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and the lower space is formed by the outer wall, the lower center wall,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And a soil space C is formed inwardly by the inner wall.

토양공간(C)은 식재플랜터 구조물(100) 외부 주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외벽(20, 40)에 외벽 상부홀(61, 81)과 중간홀(21, 41)이 형성되고, 구조물 하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벽(90)을 설치하여 하부 중앙홀(91)을 형성한다.The soil space C includes outer wall upper holes 61 and 81 and intermediate holes 21 and 41 formed in the outer walls 20 and 40 so as to penetrate the soil around the outside of the planting plant structure 100, A lower center wall 9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oil below the structure to form a lower center hole 91.

상기 내벽(50, 70)에는 상부공간(A)과 관통할 수 있도록 내벽홀(51, 71)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10, 20, 30, 40)의 하부에는 저류공간(B)이 외부 토양과 관통하도록 외벽 하부홀(12, 32)이 형성된다. In the inner walls 50 and 70, inner wall holes 51 and 71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space A and a storage space B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s 10, 20, 30 and 40, Outer wall lower holes 12 and 32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so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적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식재된 수목을 지탱할 수 있고, 지주목 구조물이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정리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아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지주목 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nting pla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transverse environment of an urban area, so that the planted tree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and the tree structure is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the pla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because it is not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목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목 구조물의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4도는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에 스틸 그레이팅(200)이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이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상부에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7도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on a transverse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upper strut structure 110 and a lower strut structure 120 of a stru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pport structure having a steel grating 200 installed between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re both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grating 200.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anting plant struct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본 발명은 도시지역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어 식재된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지주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planter structure for improving the lateral environment of a city are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ng planted trees installed on a planting plant structure.

본 발명의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은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및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목 구조물(110, 120)은 중앙부에 수목이 삽입되도록 지주목 고리(111, 1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 고리(111, 121)와 상기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가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structu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nd a frame 130. The support structure 110, 120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12 and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rods 111 and 121 and the frame 130 are installed .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목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upport structure installed on a transverse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상기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의 설치간격은 약 5 내지 30 cm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목 구조물의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5 to 30 cm.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upper strut structure 110 and a lower strut structure 120 of a stru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및 프레임(130)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재로 제조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nd the frame 130 are made of steel so as to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상기 지주목 구조물(110, 120)은 중앙부에 수목이 삽입되도록 지주목 고리(111, 121)가 형성된다. 지주목 고리(111, 121)는 링(ring)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수목이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폐구조(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개구된 상태에서 수목을 삽입시키고, 수목이 삽입되면 폐쇄구조로 체결된다. 이러한 개폐구조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sts 110 and 120 are formed with supporting legs 111 and 121 so that a tree is inserted in the center. Although the support legs 111 and 121 ar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they need to have an opening / closing structure (not shown) because the tree must be inserted. That is, the tree is inserted in the opened state, and the tree is closed with the closed structure when the tree is inserted. Such an open / close structure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지주목 고리(111, 121)와 상기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는 모두 4개씩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의 지지대(112)와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의 지지대(122)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한다. 예를 들어,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의 지지대(112)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면,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의 지지대(122)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Although four support rods 112 and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rods 111 and 121 and the frame 130 are shown in each case, the number of support rods is not limited to four. . The support posts 112 of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the support posts 122 of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sts 112 of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support posts 122 of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re installed diagonally.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상기 프레임(130)은 4각형 구조물로 식재플랜터 구조물(10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를 고정시킨다.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를 고정시키는 방식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The frame 130 is installed in the planting structure 100 as a quadrangular structure to fix a plurality of supports 112 and 122. The method of fixing the plurality of supports 112 and 122 may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지주목 구조물이 설치되는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부에 빗물을 집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부공간(A), 상기 상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빗물을 서서히 토양속으로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수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공간(B), 및 상기 상부공간과 저류공간의 내부쪽으로 형성되며 식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이 채워지는 토양공간(C)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structure is installed includes an upper space A for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part, a rain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pace to penetrate the rainwater slowly into the soil, And a soil space (C)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pace and the storage space and filled with soil for planting.

본 발명의 상기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기 토양공간(C)에 식재한 후 상부공간(A)을 덮을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200)을 더 포함한다.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은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틸 그레이팅(200)이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4도는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에 스틸 그레이팅(200)이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이고, 제5도는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이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상부에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이다. 제1도는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이 모두 스틸 그레이팅(200) 하부에 설치된 지주목 구조물을 도시한다.The horizontal environmentally-planting plan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el grating 20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space A after being planted in the soil space C. The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20 may both be installed below the steel grating 200 or may be installed above the steel grating 200. A steel grating 200 may also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4 is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a steel grating 200 is installed between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support structure 110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120 both of which are steel grating 200). FIG. 1 illustrates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are disposed under the steel grating 200.

본 발명의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도시가로의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을 땅속 지하에 함양시켜 자연생태적인 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이다. The planting plan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impact type planting structure of a low-impact type that collects rainwater in the city side and recovers the collected rainwater in the ground underground to restore a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본 발명은 빗물을 저류기능 없이 지하수로 함양하거나 집중강우 또는 강우지속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빗물을 하수관거를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흘려보내서 토양생태적인 문제를 야기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that raises rainwater to groundwater without storing the rainwater or causes rainwater overflowing in the case of intensive rainfall or rainfall to flow to the river or river through the sewer to cause soil ecological problem Developed.

본 발명은 도시지역의 가로 및 광장부에서 발생하는 표면유출수를 침투형 식재 플랜터에서 집수와 동시에 오염된 초기우수를 처리하여 지하수 함양을 시킴으로써 지하수자원의 고갈 방지와, 침투 저류공간에 빗물을 저류시킴으로써 표면유출량 감소로 하수관의 용량부담을 저하시켜 집중강우 또는 강우지속시 홍수조절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groundwater resources from being depleted by treating surface runoff occurr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rtions of an urban area by treating the contaminated initial stormwater simultaneously with the collection of the surface runoff from the permeable planting planter, And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sewer pipe due to the decrease of the surface runoff, thereby being able to play a role of flood control in the case of concentrated rainfall or persistent rainfall.

본 발명의 구조물은 가로수 하부에 미리 설치하고 그 위에 가로수를 식재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로수가 식재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installed in advance in the lower part of the avenue and planting the roadside tree thereon.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adside plant is planted using a transverse environmental pla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상부에 빗물을 집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부공간(A), 상기 상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빗물을 서서히 토양속으로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수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공간(B), 및 상기 상부공간과 저류공간의 내부쪽으로 형성되며 식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이 채워지는 토양공간(C)으로 이루어진다.The low impact pla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space (A) for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part, a rainwater collecting unit (B) for storing the rainwater, and a soil space (C)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upper space and the storage space and filled with soil for planting.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7도는 제6도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제8도는 제7도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environmental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lanting plant structure of FIG. 6, AA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4개의 외벽(10, 20, 30, 40), 4개의 내벽(50, 60, 70, 80), 하부중앙벽(90), 중간수평부재(95), 및 바닥부재(97)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벽, 내벽, 및 중간수평부재에 의하여 상부쪽에 상부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 하부중앙벽, 중간수평부재, 및 바닥부재에 의하여 하부쪽에 저류공간(B)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 의하여 안쪽으로 토양공간(C)이 형성된다.The later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our outer walls 10, 20, 30, 40, four inner walls 50, 60, 70, 80, a lower center wall 90, And a bottom member (97), wherein an upper space (A) is formed at an upper side by the outer wall, an inner wall and an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and the upper wall A storage space 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by the member, and a soil space C is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inner wall.

상기 토양공간(C)에 가로수를 식재한 후 상부커버(200)로 상부공간(A)을 덮는다. 상부커버(200)는 기존에도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 통상 철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trees are planted in the soil space (C), the upper space (A) is covered with the upper cover (200). The upper cover 200 is conventionally used for protecting the roadside water, and is preferably made of steel.

상부공간(A)은 내벽(50, 60, 70, 80)에 의하여 형성된 토양공간(C)을 제외하고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공간을 형성한다. The upper space A forms a separate and unified space except for the soil space C formed by the inner walls 50, 60, 70 and 80.

토양공간(C)은 식재플랜터 구조물(100) 외부 주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간수평부재(95) 위에 상기 외벽(10, 20, 30, 40)과 상기 내벽(50, 60, 70, 80) 사이에 내부관통벽(55, 65, 75, 85)을 설치하고, 구조물 하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벽(90)을 설치하여 하부 중앙홀(91)을 형성한다.The soil space C comprises the outer wall 10, 20, 30, 40 and the inner walls 50, 60, 70, 70 on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95 so as to penetrate the soil around the outside of the planting plant structure 100. [ 80 and a lower center hole 90 is formed to penetrate the soil below the structure and a lower center hole 91 is formed.

토양공간(C)은 가로수를 식재하는 공간으로 나무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다. 상기 외벽(10, 20, 30, 40)과 상기 내벽(50, 60, 70, 80) 사이의 외벽 상부홀(11, 21, 31, 41)을 통하여 뿌리가 구조물 바깥의 토양으로도 뻗어나갈 수 있고, 하부 중앙홀(91)을 통하여 뿌리가 구조물 하부의 토양으로도 뻗어나갈 수 있다. Soil space (C) is a space where trees are planted, and the roots of trees can be extended. The roots can be extended to the soil outside the structure through the outer wall upper holes 11, 21, 31, 41 between the outer walls 10, 20, 30, 40 and the inner walls 50, And the roots can extend to the soil under the structure through the lower central hole 91.

상기 내벽(50, 60, 70, 80)에는 내벽홀(51, 61, 71, 81)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외벽(10, 20, 30, 40)의 하부에는 저류공간(B)이 외부 토양과 관통하도록 외벽 하부홀(12, 22, 32, 42)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wall holes 51, 61, 71 and 81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inner walls 50, 60, 70 and 80 and the storage spaces B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walls 10, The outer wall lower holes 12, 22, 32, and 42 may be selectively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soil.

빗물은 본 발명의 구조물로 모인 후 상부커버(200)를 통하여 상부공간(A)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저장된 물은 중간 수평부재(95)를 통과하여 저류공간(B)에 모이게 된다. 저류공간(B)은 하부중앙벽(90)에 의하여 형성된 토양공간(C)을 제외하고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공간을 형성한다. The rainwater collects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emporarily stored in the upper space A through the upper cover 200 and the stored water passes through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95 and is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B. The retention space B forms a separate, unified space except for the soil space C formed by the lower center wall 90.

중간 수평부재(95)는 상부공간(A)에 모인 빗물이 토양공간(C)으로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투수성을 가져야 한다. 중간 수평부재(95)는 자연적으로 여과층으로서의 기능도 갖게 된다. The middle horizontal member 95 should have permeability because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upper space A must descend into the soil space C. [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95 also naturally has a function as a filtration layer.

저류공간(B)에 저류된 빗물은 바닥부재(97)를 통하여 하부의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에 합류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땅속의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 바닥부재(97)도 중간 수평부재(95)와 같이 투수성을 가져야 한다. 저류공간(B)에 저류된 빗물은 상기 외벽(10, 20, 30, 40)의 하부에 형성된 외벽 하부홀(12, 22, 32, 42)을 통하여 측부의 외부 토양속으로 스며들게 할 수도 있다.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B) seeps into the lower ground through the bottom member (97) and joins the groundwater, thereby restoring the ecosystem in the ground. The bottom member 97 should also be water permeable like the middle horizontal member 95.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B may be impregnated into the outer soil of the side portion through the outer wall lower holes 12, 22, 32, and 42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walls 10, 20, 30 and 40.

본 발명의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의 크기와 형상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이나 식재 수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Since the planting pla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semi-permanently us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he size and shape of the structure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place to be installed, the plant species, and the like, and such modific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기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구체적으로 한정하게 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식재플랜터 구조물 110: 상부 지주목 구조물
120: 하부 지주목 구조물 130: 프레임
111, 121: 지주목 고리 112, 122: 지지대
200: 스틸 그레이팅
100: plant planter structure 110: upper support structure
120: lower support structure 130: frame
111, 121: pedestal rings 112, 122: supports
200: Steel grating

Claims (6)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및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목 구조물(110, 120)은 중앙부에 수목이 삽입되도록 지주목 고리(111, 1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목 고리(111, 121)와 상기 프레임(13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112, 122)가 설치되는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로서, 상기 지주목 구조물은,
상부에 빗물을 집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부공간(A);
상기 상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빗물을 서서히 토양속으로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수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공간(B); 및
상기 상부공간과 저류공간의 내부쪽으로 형성되며 식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이 채워지는 토양공간(C);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목 구조물.
The supporting posts 110 and 120 are formed of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and 120 and a frame 130. The supporting posts 110 and 120 are formed with supporting legs 111 and 121 so that a tree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structure 110, There is provided a support structure provided on a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planter structure of a low impact development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bases 112 and 12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frames 111 and 121 and the frame 130 are installed, The structure,
An upper space A for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rainwater on the upper part;
A storage space (B) for storing rainwater collected to be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space and allowing the rainwater to slowly penetrate into the soil; And
A soil space (C)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upper space and the storage space and filled with soil for planting;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상기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 사이의 설치간격은 5 내지 30 c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120) is in the range of 5 to 30 cm. Support structur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주목 구조물(110)과 상기 하부 지주목 구조물(120)의 하부 또는 상부, 또는 그 사이에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2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teel grating (200) disposed below or above o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110, 120) A side structure installed on the plant structure of the lateral environment plant of low impact development ty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은 4개의 외벽(10, 20, 30, 40), 4개의 내벽(50, 60, 70, 80), 하부중앙벽(90), 중간수평부재(95), 및 바닥부재(97)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공간(A)은 상기 외벽, 내벽, 및 중간수평부재에 의하여 상부쪽에 형성되고,
상기 저류공간(B)은 상기 외벽, 하부중앙벽, 중간수평부재, 및 바닥부재에 의하여 하부쪽에 형성되고,
상기 토양공간(C)은 상기 내벽에 의하여 안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목 구조물.
The horizontal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environment planting structure comprises four outer walls (10,20, 30,40), four inner walls (50,60,70,80), a lower center wall (90) (95), and a bottom member (97)
The upper space 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by the outer wall, the inner wall, and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The storage space (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by the outer wall, the lower center wall, the middle horizontal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Wherein the soil space (C) is formed inward by the inner 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공간(C)은 식재플랜터 구조물(100) 외부 주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중간수평부재(95) 위에 상기 외벽(10, 20, 30, 40)과 상기 내벽(50, 60, 70, 80) 사이에 내부관통벽(55, 65, 75, 85)을 설치하고, 구조물 하부의 토양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 중앙벽(90)을 설치하여 하부 중앙홀(9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목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il space (C)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s (10, 20, 30, 40) on the middle horizontal member (95) so as to penetrate the soil around the outside of the planting structure And the lower central wall 90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soil below the structure so that the lower central hole 91 (see FIG. Of the support structure.

KR1020130042215A 2013-04-17 2013-04-17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497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15A KR101497967B1 (en) 2013-04-17 2013-04-17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15A KR101497967B1 (en) 2013-04-17 2013-04-17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52A KR20140124552A (en) 2014-10-27
KR101497967B1 true KR101497967B1 (en) 2015-03-03

Family

ID=5199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15A KR101497967B1 (en) 2013-04-17 2013-04-17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9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82B1 (en) 2014-09-18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detecting motion using analysis of radio signal in vehicel and method thereof
KR102576525B1 (en) * 2021-12-27 2023-09-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ground tree support with rainwater retentio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93A (en) * 1999-05-06 2000-12-05 한남수 Block for public works having a multiple coupling structure and carrying out method of using it
KR100998823B1 (en) * 2010-06-07 2010-12-06 강찬성 Protector for tree on the road
KR101180310B1 (en) * 2012-02-24 2012-09-07 (주)블루이앤이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KR101218344B1 (en) * 2009-10-21 2013-01-03 (주)웸스 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93A (en) * 1999-05-06 2000-12-05 한남수 Block for public works having a multiple coupling structure and carrying out method of using it
KR101218344B1 (en) * 2009-10-21 2013-01-03 (주)웸스 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KR100998823B1 (en) * 2010-06-07 2010-12-06 강찬성 Protector for tree on the road
KR101180310B1 (en) * 2012-02-24 2012-09-07 (주)블루이앤이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52A (en)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248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Purification Filter
KR101393021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US9085887B2 (en) Integrated tree root and storm water system
KR101612620B1 (en) Rain garden construction method having vegetative growth palpation and nonpoint pollutants reduction
KR101454016B1 (en) Low-maintain greening module of the city
KR101329767B1 (en) Vegetation type rainwater management apparatus for filtering of nonpoint pollution
CN106917522B (en) A kind of Outdoor Parking position system based on sponge the idea of the city
KR101458540B1 (en) Water permeable block for apparatus draining of a road
KR20150110193A (en) Landscaping planting a por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impingement
KR101510615B1 (en) Pene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440988B1 (en) Penetrated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2345755B1 (en) Rainwater treatment device for road using vegetation zone
KR101497967B1 (en)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505984B1 (en)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street tree
KR20100063325A (en) Rain garden of an improved model
KR20120078850A (en) Street tree box and structure for creating street tree space for water circulation environment using the same
KR102115451B1 (en) Multifunctional tree support
KR101480037B1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Multi-purposes Filter Applicable to Weather Change
KR101374622B1 (en) A street tree box having function of sinking prevention
KR101309133B1 (en) Undergrounding reservoi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72409B1 (en) Filering box for tree and drainage system using thereof
JP5116709B2 (en) Parking lot greening system
KR101644848B1 (en)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2704435B1 (en) Low-impact development technique facility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nd flood runoff using Planter box
KR101595805B1 (en)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