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83B1 -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83B1
KR102384483B1 KR1020210035821A KR20210035821A KR102384483B1 KR 102384483 B1 KR102384483 B1 KR 102384483B1 KR 1020210035821 A KR1020210035821 A KR 1020210035821A KR 20210035821 A KR20210035821 A KR 20210035821A KR 102384483 B1 KR102384483 B1 KR 10238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nveyor
waste oil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3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0Thermal non-cataly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3/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3/00Recovery of fats, fatty oils or fatty acids from wast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6
    • H04N5/225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4Recovery of fats, fatty oils, fatty acids or other fatty substances, e.g. lanolin or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on device for crushing a container for receiving waste oil and multiply separating the received waste oil from crushed waste matter to collect raw material. The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conveyor to convey a container for receiving waste oil input to a top surface and having a region rising in a height direction along a progress direction; a crusher for receiving the container for receiving the waste oil from the first conveyor and crushing the container for receiving the waste oil to exhaust the crushed container downward; a filter conveyor installed therein with all or partial region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rusher and including a mesh belt to separate crushed waste matter of the container from the waste oil; and a second convey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onveyor to receive the crushed waste matter of the container from the filter conveyor at a purification tank and a top surface to convey the crushed waste matter to a preset exhaust position.

Description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가 투입되어, 컨테이너 용기로부터 원료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공정시스템을 구축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for constructing a process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raw materials from a container container in which a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waste oil is put. will be.

최근 바이오 연료가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바이오 연료는 거대 규모의 경작지에서 막대한 양의 비료를 사용하여 작물을 길러야 하고, 그 과정에서 환경 오염과 자원 소모로 인해 되려 친환경과 거리가 멀고 경제성 또한 낮다는 단점이 있다.Recently, biofuels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as a fuel that can replace fossil fuels. However, biofuel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far from eco-friendly and economical because it is necessary to grow crops using a huge amount of fertilizer on a large-scale arable lan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consumption in the process are far from eco-friendly.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될 수 있는 바이오 연료는 농작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가 아닌 재활용 연료이다. 재활용 연료를 얻는 주된 경료는 가정 또는 식당에서 음식을 튀기고 나서 발생하는 폐식용유 등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식당이나 학교 등 대량의 폐식용유가 발생하는 곳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폐식용유를 수거하는 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폐식용유를 활용한 바이오 연료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Biofuels that can be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re recycled fuels, not biofuels using crops. The main source of recycling fuel means waste cooking oil generated after frying food at home or in restauran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Korea, waste cooking oil is collected not only in places where a large amount of waste cooking oil is generated, such as restaurants and schools, but also at home. is being pursued.

기존의 폐식용유 등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은 다음과 같다.The apparatus and process for recovering the existing waste cooking oil, etc. are as follows.

통상적으로 폐식용유는 말통 또는 회수캔 등의 컨테이너 용기에 의해 수용된 채로 회수 공정에 투입된다. 투입된 컨테이너 용기는 톱니가 달린 작업대에 의해 밑부분이 절단되고, 내부에 수용되었던 폐식용유는 컨테이너로부터 방출된다. 빈 컨테이너 용기는 열을 가하여 외부면에 묻어 있는 폐식용유의 잔재물을 녹여서 추출한다. 이후, 컨테이너 용기는 별도의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고철하치장 등으로 배출된다.In general, the waste cooking oil is put into the recovery process while being accommodated by a container container such as a barrel or a recovery can. The input container container is cut at the bottom by a work bench with teeth, and the waste cooking oil accommodated therein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n empty container is extracted by applying heat to melt the remnants of waste cooking oil on the outside. Thereafter, the container container is compressed by a separate compression device and discharged to a scrap metal yard.

다만, 위와 같은 공정에 있어 폐식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를 투입하거나 또는 배출시키는 등의 과정에 많은 인력이 직접 투입되어야 한다. 이는 특히 폐식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의 중량 등으로 인해, 공정 처리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 process, a large number of manpower must be directly input in the process of inputting or discharging the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cooking oil. In particular, due to the weight of the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cooking oil,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process treatment is reduced.

이에 따라, 동시에 많은 양의 폐용유를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력 투입의 필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기술의 제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esent a technology for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waste oil at the same time and minimizing the need for manpower inpu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6875호(2010.12.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6875 (2010.12.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를 파쇄하고, 내부에 수용된 폐용유를 발생한 파쇄 잔재로부터 다중으로 분리하여 원료를 회수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that crushes a container container accommodating waste oil, and multiplies the waste oil accommodated therein from the generated crushing residue to recover the raw material.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상면에 투입된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를 이송하되, 진행방향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승되는 영역을 갖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로부터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가 투입되며, 상기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를 파쇄하여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는 파쇄기부;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이 상기 파쇄기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폐용유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분리시키는 메쉬(Mesh) 벨트를 포함하는 필터 컨베이어부;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폐용유가 투하되는 정화탱크부 및 상면에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배출 위치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ransfers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oil put on the upper surface, but a first conveyor unit having an area rising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 a shredder unit into which a container accommodating the waste oil is put from the first conveyor unit, crushing th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waste oil and discharging in a downward direction; a filter conveyor unit including a mesh belt installed so that all or part of the area is located below the crusher unit, and separates the crushing residues of the container from the waste oil; It may include a second conveyor that is installed under the filter conveyor and receives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from the filter convey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cation tank to which the waste oil is dropped, and transports them to a preset discharge lo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부는, 상하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축; 및 각각의 상기 구동축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는 파쇄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usher unit,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an open area is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t least one pair of drive shaft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of the driving shaf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는, 상기 메쉬 벨트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메쉬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lter convey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ed plat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mesh belts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mesh bel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부는, 상기 필터 컨베이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폐용유을 가열하는 제1 열선라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용유로부터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rification tank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installed to be located below the filter conveyor; a first heating line for heating the used oil contained in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discharge pipe install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separated from the waste oil is discharg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는, 상기 메쉬 벨트의 아래에 설치되어, 이송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로부터 빠져나오는 폐용유를 상기 정화탱크부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lter conveyor unit is installed under the mesh belt,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waste oil flowing out from the crushed residue of the container 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수거하는 가열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 heating tank for collecting the crushing remnants of the container from the second conveyor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가 수거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컨테이너 파쇄 잔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에 닿지 못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쉬 플레이트; 상기 메쉬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에 가열하는 제2 열선라인; 및 상기 메쉬 플레이트의 아래의 높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외부면으로부터 녹아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tank unit, a second housing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are collected from the second conveyor unit; a mesh plate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housing vertically into space to prevent the container crushing residue from tou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 second hot wire line for heating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plate; and a second discharge pipe installed at a height below the mesh plate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melted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discharg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상부의 개방된 영역이 외부 공간과 차단되도록 감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surround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open area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a camera unit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to photograph an open area of the upper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장치부; 상기 촬영장치부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는 보호유리부; 및 상기 촬영장치부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빛을 발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era unit, a photographing device unit; a protective glass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and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in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로부터 디젤 원료를 회수하는 자동 공정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chieve an automatic process system for recovering diesel raw materials from a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waste oil.

더불어, 적은 인력으로 다량의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를 동시에 투입함과 동시에 높은 처리량을 갖게 되어, 디젤 원료 자동 회수 공정의 경제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put a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ste oil with a small amount of manpower and have a high throughput at the same tim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automatic diesel raw material recovery process.

또한, 회수 대상 폐용유에 다중으로 정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회수되는 디젤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되는 디젤 원료의 양을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recovered diesel raw material can be improved and the amount of the recovered diesel raw material can be increased by performing multiple purification processes on the waste oil to be recover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상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구성을 회수 공정 순서에 따라 배열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기술 구성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에 나타난 파쇄기부의 상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에 나타난 필터 컨베이어부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에 나타난 정화탱크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D 영역에 나타난 가열탱크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gular view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of FIG. 1 .
3 is a side view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of FIG. 1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recovery process sequence.
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function of each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each area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apparatus of FIG. 1 is displayed separately.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area of the crusher shown in area A of FIG. 5 .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area of the filter conveyor shown in area B of FIG. 5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rification tank unit shown in area C of FIG. 5 separat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ing tank part shown in the region D of FIG. 5 separa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상시도를, 도 3은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구성을 회수 공정 순서에 따라 배열한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기술 구성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FIG. 1 , and FIG. 3 is the 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FIG. 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each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컨테이너 용기(또는 컨테이너)는 폐용유를 수용할 수 있는 캔, 말통 등의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회수 대상이 되는 폐용유가 수용된 상태로 투입되는 모든 형태의 용기를 포함한다.Container The container (or container) described below means including a container, such as a can, a barrel, which can accommodate the waste oil. That is, it includes all types of containers in which the waste oil to be recov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 the accommodated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제1 컨베이어부(10), 파쇄기부(20), 필터 컨베이어부, 정화탱크부(40), 제2 컨베이어부(50)를 장치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yor unit 10, a crusher unit 20, a filter conveyor unit, a purification tank unit 40, and a second conveyor unit. (50) may be included a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각 구성은 바이오 디젤 원료의 자동 회수 공정에 있어 서술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nstalled sequentially in the order described in the automatic recovery process of biodiesel raw material, but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 various combinations as needed.

제1,2 컨베이어부는 배치된 운반물을 이송할 수 있는 상면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로서, 일례로 에이프런 컨베이어(Apron conveyor)일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는 자동 회수 대상인 폐용유가 수용된 컨테이너 용기를 파쇄기부(20)로 이송한다. 제2 컨베이어부(50)는 파쇄기부(20)를 통과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된 조각, 찌꺼기 등의 잔재를 기설정된 배출 방향으로 이송한다.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units are chain conveyors having an upper surfa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disposed goods, and may be, for example, an apron conveyor. The first conveyor unit 10 transfers the container container in which the waste oil, which is the object of automatic collection, is accommodated, to the crusher unit 20 . The second conveyor unit 50 transfers the remnants such as crushed pieces and residues of the container container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crusher unit 20 in a predetermined discharge direction.

이에 따라 제1,2 컨베이어부는 이송 과정에서 각각 컨테이너 용기 또는 그 파쇄 잔재로부터 유출되는 폐용유와 컨베이어 벨트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고무 컨베이어 벨트는 기름과의 접촉하게 되면 소재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1,2 컨베이어부는 기름과의 접촉으로 인해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철근 컨베이어 벨트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units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veyor belt and the waste oil flowing out from the container container or the crushed remnants, respectively, during the transfer process. However, in general, when the rubber conveyor belt comes into contact with oil, problems such as stretching of the material may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parts are applied with a reinforcing bar conveyor belt that does not cause a problem in quality due to contact with oil.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부(10)는 진행 방향의 시작 지점인 일단에서 폐용유를 수용한 채로 컨테이너 용기가 투입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을 따라 이송하도록 설치되되,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 방향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승되는 영역(H)을 갖는다. 즉, 투입된 컨테이너 용기를 진행 방향에 따라 이송하는 한편, 컨테이너 용기가 처음 투입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파쇄기부(20)를 향해 투하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올라가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As shown, the first conveyor unit 10 is installed so that the container container is put while accommodating the waste oil at one end,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ranspo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It has a region H that ris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while transporting the put container container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the container container forms a predetermined angle that rises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so that the container container can be dropped toward the crusher unit 20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input position. .

제1 컨베이어부(10)의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공정의 용량에 따라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바이오 디젤 원료 회수 공정에 있어 지게차 등의 운송 수단은 팔레트를 이용하여 한번에 60개 이상의 말통 캔을 운반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의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나 길이 등은 위와 같이 한번에 투입될 수 있는 컨테이너 용기의 양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The width or length of the conveyor belt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process. For example, in the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process,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forklift can transport 60 or more cans at a time using a pallet. The width or length of the conveyor belt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ontainer containers that can be put in at once as described above.

한편, 폐용유가 수용된 컨테이너 용기는 통상 개당 15kg 이상인 고중량의무게를 갖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부(10)는 상승되는 영역(H)을 포함하나, 해당 영역에서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 용기라도 진행 방향의 반대, 즉 컨베이어 벨트의 역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장치의 고장 문제뿐만 아니라 현장의 인력 들에게 불의의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container in which the waste oil is accommodated may have a high weight of 15 kg or more pe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veyor unit 10 includes an area H to be raised, but if any one container container in the area fall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that i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the device malfunctions. In addition to problems, there is a risk of an unexpected and serious safety accident for field personnel.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컨베이어부(10)는 상면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되는 지지부(S)를 포함하여, 상승되는 영역(H)에서 컨테이너 용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지지부(S)는 컨테이너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되,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veyor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container container from falling from the rising region H. At this time, each of the support parts (S)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container container, it may be formed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제1 컨베이어부(10)는 진행 방향의 도착 지점인 일단은 파쇄기부(20)의 상부를 향해 이송한 컨테이너 용기를 투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컨베이어부(10)의 컨베이어 벨트가 진행 방향에서 끝나는 지점의 아래에 파쇄기부(20)의 상부 영역이 위치하도록 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송된 컨테이너 용기가 도착지점에서 투하되도록 설치된다.One end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which is an arrival point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installed to drop the transported container container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er unit 20 . That is, the upper region of the crusher unit 20 is positioned below the point where the conveyor belt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ends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container container transfer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installed to be dropped from the destination point.

도 5는 도 1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각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한 사시도를, 도 6은 도 5의 A 영역에 나타난 파쇄기부(20)의 상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도 7은 도 5의 B 영역에 나타난 필터 컨베이어부(3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도 8은 도 5의 C 영역에 나타난 정화탱크부(4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region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of FIG. 1 separately, and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region of the crusher unit 20 shown in region A of FIG. 5 , FIG.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region of the filter conveyor unit 30 shown in region B of FIG. 5 ,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shown in region C of FIG. 5 separately.

파쇄기부(20)는 제1 컨베이어부(10)의 진행 방향의 도착 지점인 일단에서 투하된 컨테이너 용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컨테이너 용기에 대해 파쇄 작용을 수행한다. 이후, 파쇄된 컨테이너 용기로부터 발생한 캔조각, 찌꺼기 등의 잔재와 내부로부터 방출된 폐용유를 아래 방향으로 토출한다.The crusher unit 20 receives the container container dropped from one end, which is the arrival point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and performs a crushing action on the put container container. Thereafter, remnants such as can pieces and residues generated from the crushed container container and the waste solvent discharged from the inside are discharged in a downward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쇄기부(20)는, 상하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21); 상기 본체(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축(22) 및 각각의 상기 구동축(22)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는 파쇄날(2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rusher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 hav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an open area is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may include at least a pair of driving shafts 22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installed on each of the driving shafts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체(21)는 투하된 컨테이너 용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부면에 개방 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21)는 상부의 개방 영역이 회수 공정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직경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1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 또는 진행 속도를 고려하여, 시간당 투입되는 컨테이너 용기의 양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영역의 전체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The main body 21 is formed with an open area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dropped container container is put into the interior. In this case, the main body 21 may be designed so that the upper open area has an appropriate diameter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recovery process. 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conveyor belt of the first conveyor or the traveling speed, it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ontainer containers input per hour. For example, the entire upper region may be in an open form.

본체(2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구동축(22)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파쇄날(23)을 형성된다. 이때, 한 상의 구동축(22)은 본체(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4)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4)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a pair of driving shafts 22 ar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 , and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are formed on each of the driving shafts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one-phase driving shaft 22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4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21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24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쇄기부(20)는 이축유압 형태를 이루는 파쇄장치일 수 있다. 즉, 한쌍의 구동축(22)은 서로 다른 구동축(2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파쇄날(23)이 상호 중복되는 파쇄 영역(P)을 형성한다. 이때, 서로 다른 구동축(2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파쇄날(23)은 파쇄 영역(P)에서 상호 교차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구동축(22)은 상호 독립적인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6, the crusher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rushing device forming a twin-screw hydraulic type. That is, the pair of drive shafts 22 form a crushing region P in which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installed on different drive shafts 22 overlap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installed on different drive shafts 22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crushing area P.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drive shafts 22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mutually independent directions.

즉, 상호 교차 배치된 복수 개의 파쇄날(23)이 각각 구동축(22)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회전하는 상기 파쇄날(23)의 블레이드면이 투입된 파쇄 대상물과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 대상물은 블레이드면에 의해 깨지고 부셔지며 파쇄 작용이 일어난다.That is, the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intersecting each other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shaft 22 , and the blade surface of the rotating crushing blade 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rushed object. And the crushing object is broken and crushed by the blade surface, the crushing action occurs.

본체(21) 상부의 개방 영역으로 컨테이너 용기가 폐용수를 수용한 채로 투입되면, 컨테이너 용기는 파쇄 영역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파쇄날(23)의 블레이드면과 접촉하여 파쇄된다. 이때, 컨테이너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었던 폐용유가 외부로 방출됨과 동시에, 파쇄된 컨테이너 용기로부터 캔조각, 스러지 등의 찌꺼기가 파쇄 잔재물로 발생한다. 방출된 폐용유와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는 아래 방향으로 토출된다.When the container container is put into the open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21 while containing waste water, the container container is crushed in contact with the bla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23 rotating in the crushing area. At this time, the waste oil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residues such as can pieces and garbage are generated as crushing residues from the crushed container container. The discharged waste oil and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are discharged downward.

본체(21)는 폐용유 및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아래 방향으로 토출할 수있도록, 하부의 개방 영역이 형성된다. 즉, 본체(2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방 영역을 갖는 관통된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본체(21)는 하부의 개방 영역이 회수 공정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직경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시간당 토출되는 폐용유 및 컨테이너 용기 파쇄 잔재의 양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일례로 하부의 전체가 개방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main body 21 has an open area at the bottom so that the waste oil and the crushing residues of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the body 21 has a perforated structure having an open area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respectively. Similarly, the main body 21 may be designed so that the lower open area has an appropriate diameter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recovery process. At this time, it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ste oil and container container crushing residues discharged per hour, for example, may be of a form in which the entire lower part is opened.

파쇄기부(20)의 하부에는 정화탱크부(40)가 폐용유를 수거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정화탱크부(40)와 파쇄기부(20)의 사이 공간에는 필터 컨베이어부(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필터 컨베이어부(30)는 파쇄기부(20)로부터 정화탱크부(40)에 폐용유 외의 파쇄 잔재가 투하되는 것을 방지한다.A purification tank unit 4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rusher unit 20 at a position where waste oil can be collected. At this time, a part or all of the filter conveyor 3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and the crusher unit 20 . The filter conveyor unit 30 prevents crushing residues other than the waste oil from being dropped from the crusher unit 20 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즉, 필터 컨베이어부(30)는 방출된 회수 대상 폐용유로부터 파쇄된 컨테이너 용기의 잔재 찌꺼기인 캔조각, 슬러지 등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컨베이어부(30)는 메쉬(Mesh)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3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례로 녹이 잘 슬지 않고 쉽게 깨지지 않는 스텐(stainless steel) 재질의 메쉬 벨트(31)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conveyor unit 30 serves to primarily separate can pieces, sludge, etc., which are remnants of the crushed container container, from the discharged waste oil to be recovered. To this end,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conveyor belt 31 in the form of a mesh, and for example, a mesh made of stainless steel that does not easily rust and is not easily broken. The belt 31 may be formed.

토출된 폐용유는 메쉬 벨트(31)를 통과하여, 필터 컨베이어부(30)의 아래에 위치한 정화탱크부(4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달리, 일정 크기 이상의 부피를 갖는 캔조각 등의 찌꺼기는 메쉬 벨트(31)에 필터링(filtering)되어, 정화탱크부(40)로 투하되지 않고 필터 컨베이어부(30)의 상면에 배치된다. The discharged waste oil passes through the mesh belt 31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located below the filter conveyor unit 30 . On the other hand, residues such as can pieces having a volume of a certain size or more are filtered by the mesh belt 31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onveyor unit 30 without being dropped in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이후, 회수 대사인 폐용유로부터 걸러진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는 필터 컨베이어부(30)를 따라 이송되어, 제2 컨베이어부(50)로 전달된다. Thereafter,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filtered from the waste oil that is the recovery metabolite is transferred along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unit 50 .

필터 컨베이어부(30)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 있어, 스텐 소재의 메쉬 벨트(31)는 투하된 파쇄 잔재와 마찰이 일어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 과정에서 파쇄 잔재에 잔존하고 있던 폐용유가 마찰로 빠져나와, 메쉬 벨트(31)의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conveyor unit 30, the stainless steel mesh belt 31 may cause friction with the dropped crushing residues. As a result, the waste oil remaining in the crushing residues in the transport process may come out by friction and fall down the mesh belt 31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컨베이어부(30)는, 메쉬 컨베이어벨트의 아래에 설치되어 이송 과정에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로부터 빠져나오는 폐용유를 정화탱크부(4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이드부(33)은 메쉬 벨트(3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이송 과정에서 떨어지는 폐용유를 받아낸다. 그리고 받아낸 잔존 폐용유가 정화탱크부(40)로 떨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mesh conveyor belt to guide the waste oil flowing out from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33). Although not shown, the guide part 33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esh belt 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to receive the waste oil falling in the transport process. And it may b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received residual waste oil can fall 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고중량을 갖는 컨테이너 용기가 파쇄되어 발생한 캔조각 등의 찌꺼기 역시 큰 중량을 갖기에, 자칫 한번에 큰 힘이 가해져 메쉬 벨트(31)에 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가 투하되는 파쇄 잔재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그 중량과 힘을 버티지 못하고 그 형태가 변형되거나 장치에 큰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sidue such as can pieces generated by crushing the container container having a high weight as described above also has a large weight, a large force may be applied at once, thereby causing great damage to the mesh belt 31 . That is,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crushing residues dropped by the conveyor belt, the weight and force may not be endured, and the shape may be deformed or a major failure of the device may occur.

위와 같이 고중량을 갖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신뢰성 있게 운송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컨베이어부(30)는, 메쉬 벨트(31)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메쉬 벨트(31)의 하면을 지지하는 타공판(32)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스텐 재질이 메쉬 벨트(31)가 이송면을 갖는 컨베이어를 이루고, 상기 메쉬 벨트(31)가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타공판(32)이 설치되는 2중 구조일 수 있다.In order to reliably transport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having a high weight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mesh belts 31 and the mesh belts 31 . It may be to further include a perforated plate 32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hat is, the stainless material may have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mesh belt 31 forms a conveyor having a conveying surface, and the perforated plate 32 is installed inside the conveyor belt formed by the mesh belt 31 .

메쉬 벨트(31)의 상면에 파쇄된 컨테이너 용기의 잔재가 투하될 때 타공판(32)은 상기 메쉬 벨트(31)의 하면(이송면의 반대면) 아래에서 지지하여, 상기 메쉬 벨트(31)가 순간적인 고중량의 힘을 받아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타공판(32)은 폐용유가 통과할 수 있는 타공 구조를 이루고 있어, 아래에 위치한 정화탱크부(40)로 폐용유가 투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When the remnants of the crushed container container are dro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belt 31, the perforated plate 32 is supported under the lower surface (opposite side of the transfer surface) of the mesh belt 31, so that the mesh belt 31 is It prevents the shape from being deformed by momentary heavy force. At the same time, the perforated plate 32 has a perforated structure through which the waste oil can pass, so that it does not prevent the waste oil from being dropped in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located below.

정화탱크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컨베이어부(30)에 의해 1차적으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개 등이 걸러진 상태의 폐용유를 수거한다. 이후, 폐용유가 바이오 디젤 원료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저장탱크 등에 회수되도록 제공한다.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collects the waste oil in a state in which the crushed residue of the container container is primarily filtered by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s described above. Thereafter, the waste oil is provided to be recovered in a separate storage tank so that it can be reused as a biodiesel raw material.

한편, 필터 컨베이어부(30)의 1차적인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정화탱크부(40)가 수거한 폐용유에는 미소한 크기의 잔재물 등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화탱크부(40)는, 가열를 통해 2차적으로 폐용유로부터 컨테이너 용기의 미소한 잔재물을 분리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spite of the primary filtering of the filter conveyor unit 30 , micro-sized remnants and the like may still remain in the waste oil collected by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Accordingly,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a process of secondarily separating the minute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from the waste oil through heating.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화탱크부(40)는, 필터 컨베이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하우징(41); 상기 제1 하우징(41)의 내부에 수용된 폐용유에 대해 가열을 행하는 제1 열선라인(42);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용유로부터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배출관(4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more detail,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41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lter conveyor; a first hot wire line 42 for heating the waste oil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41; and a first discharge pipe 43 install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separated from the waste oil is discharged.

제1 하우징(41)은 상부면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폐용유가 수거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중공의 공간을 이룬다. 따라서, 제1 하우징(41)은 파쇄기부(20)로부터 폐용유 및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가 투하되는 아래 위치하되, 상기 파쇄기부(20)의 투하 위치와의 사이 공간에 필터 컨베이어부(30)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The first housing 41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forms a hollow space having a capacity for collecting waste oil therein. Therefore, the first housing 41 is located below the waste oil and the crushing residues of the container container are dropped from the crusher unit 20, but in the space between the dropping position of the crusher unit 20 and the filter conveyor unit 30 installed to be located.

제1 열선라인(4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하우징(41)의 내부 방향으로 열을 제공하는 등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41)의 일면 상에 설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41)의 내벽면의 일측에는 가열 이후 정화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배출관(43)이 설치된다. 이때, 제1 배출관(43)은 별도의 바이오디젤 원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배출된 원료가 상기 원료 저장탱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heating wire line 42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1 so as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such as providing heat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1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 first discharge pipe 43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urified raw material is discharged after heat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1 .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pipe 43 is connected to a separate biodiesel raw material storage tank so that the discharged raw material can move to the raw material storage tank.

제1 하우징(41)의 내부에 수거된 폐용유는 내벽면에 설치된 제1 열선라인(42)으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가열된다. 제1 열선라인(42)의 가열에 의해 폐용유에 잔존하는 미소한 잔재물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가라앉는 반면, 분리된 디젤 원료는 잔재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부상한다. 이후, 분리된 디젤 원료는 제1 배출관(43)을 통해 배출되어, 별도로 설치된 바이오 디젤 원료 저장탱크 등으로 회수된다.The waste oil collected inside the first housing 41 is heated by receiving heat from the first heating wire line 42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The minute residue remaining in the waste oil by the heating of the first hot wire line 42 sink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while the separated diesel raw material floats to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residue. Thereafter, the separated diesel raw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43 and is recovered to a separately installed biodiesel raw material storage tank.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배출관(43)은 소정의 높이만큼 제1 하우징(41)의 바닥면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제1 하우징(41)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미소한 잔재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부상한 디젤 원료가 수월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the first discharge pipe 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1 by a predetermined height. This is to prevent the minute remnants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1 from being discharge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diesel raw material floating to a relatively high position to be easily discharged.

한편, 필터 컨베이어부(30)에 의해 걸러진 컨테이너 용기의 찌꺼기는, 메쉬 컨베이버 벨트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어, 제2 컨베이어부(50)에 전달된다. 제2 컨베이어부(50)는 걸러진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미리 정해진 배출 위치에 이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filtered by the filter conveyor unit 30 are transferr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conveyor belt, and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or unit 50 . The second conveyor unit 50 transfers the crushed remnants of the filtered container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discharge position.

도 9는 도 5의 D 영역에 나타난 가열탱크부(60)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ing tank unit 60 shown in the region D of FIG. 5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배출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수거하는 가열탱크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컨베이어부(50)의 진행 방향의 도착 지점에 가열탱크부(60)가 위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부(50)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가열탱크부(60)를 향해 배출한다.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tank unit 60 for collecting the crushing residues of the discharged container containers. That is, the heating tank unit 60 is located at the arrival poin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or unit 50 , and the second conveyor unit 50 discharges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toward the heating tank unit 60 . do.

이때, 배출되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의 외부면에는 분리되지 못한 폐용유가 잔존하여 묻어 있을 수 있다. 가열탱크부(60)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에 잔존하는 폐용유로부터 추가적으로 원료를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ste oil that has not been separated may remain and be bur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ed remnants of the discharged container container. The heating tank unit 60 may be to additionally perform a process for additionally extracting a raw material from the waste oil remaining in the crushing residue of the container container.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탱크부(60)는 수거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에 대해 열을 가하여, 외부면에 묻어있는 폐용유를 녹이는 방식으로 원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로부터 녹아서 분리된 폐용유 원료는 바닥으로 떨어지고, 정화탱크부(40)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에 모인 원료를 별도의 바이오 디젤 원료 저장탱크에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tank unit 60 may extract the raw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llected container container, and melting the waste oi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t this time, the waste oil raw material melted and separated from the crushing residue of the container container falls to the floor, and like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the raw material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ferred to a separate biodiesel raw material storage tank.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열탱크부(60)는, 제2 컨베이어부(50)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가 수거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61); 컨테이너 파쇄 잔재가 상기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닿지 못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61)의 내부를 상하로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쉬 플레이트(64); 상기 메쉬 플레이트(64)의 상면에 배치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에 가열을 행하는 제2 열선라인(62); 및 상기 메쉬 플레이트(64)의 아래의 높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용기의 외부면으로부터 녹아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배출관(6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heating tank uni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housing 61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are collected from the second conveyor unit 50; a mesh plate 64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61 into spaces vertically to prevent the container crushing residue from tou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a second hot wire line 62 for heating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plate 64; and a second discharge pipe 63 installed at a height below the mesh plate 64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melted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ntainer is discharged.

제2 하우징(61)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가 수용될 수 있는 용량의 공간을 이룬다. 제2 컨베이어부(50)의 진행 방향의 도착 지점의 일단에 위치한다. 메쉬 플레이트(64)는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가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제2 하우징(61)의 내부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즉, 메쉬 플레이트(64)의 상부 공간에는 수거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가 수용되며, 이와 분리된 아래 공간에는 추출된 원료가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모이게 한다. The second housing 61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forms a space having a capacity in which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arrival poin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or unit 50 . The mesh plate 64 is installed to prevent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from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 while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61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at is,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llected container containers are accommodated in the upper space of the mesh plate 64 , and the extracted raw materials are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in the separated lower space.

제2 열선라인(6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2 하우징(61)의 내부의 메쉬 플레이트(64) 위에 배치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를 향하여 열을 제공하는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61)의 일면 상에 설치된다. 또한, 제2 하우징(61)의 또 다른 일측에는 가열 이후 컨테이너 용기 파쇄 잔재의 외부면으로부터 녹아 추출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배출관(63)이 설치된다. 이때, 제2 배출관(63)은 별도의 바이오디젤 원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배출된 원료가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heating wire line 62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that provides heat to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disposed on the mesh plate 64 inside the second housing 61, It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 In addition, a second discharge pipe 63 is installed on ano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61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melted and extra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after heating is discharged.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pipe 63 is connected to a separate biodiesel raw material storage tank, so that the discharged raw material can move to the storage tank.

제2 하우징(61)의 내부에 투입된 컨테이너 용기의 파쇄 잔재는, 상기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메쉬 플레이트(64)의 상면에 놓여진다. 제2 열선라인(62)의 가열에 의해 컨테이너 용기 파쇄 잔재의 외부면에 잔존하던 폐용유가 녹아 추출된다. 추출된 폐용유는 메쉬 플레이트(64)를 통과하여,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이후, 추출된 디젤 원료는 제2 배출관(63)을 통해 배출되어, 별도의 바이오 디젤 원료 저장 탱크로 이송된다.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put into the second housing 61 do not rea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and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plate 64 . By the heating of the second hot wire line 62, the waste molten oil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remnants of the container container is melted and extracted. The extracted waste oil passes through the mesh plate 64 and i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 Thereafter, the extracted diesel raw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63 and transferred to a separate biodiesel raw material storage tank.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배출관(63)은 상기 제2 하우징(61)의 일면 중 메쉬 플레이트(64)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제2 하우징(61)의 바닥면에 떨어져 모인 디젤 원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폐용유가 모두 추출된 파쇄 잔재는 집게차 등을 이용하여 출하하고. 이후 고철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discharge pipe 6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lower space partitioned by the mesh plate 64 among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 This is to allow the diesel raw material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1 to be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crushing residues from which all of the waste oil has been extracted are shipped using a tong truck. Thereafter, i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scrap iron.

전술한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원료로부터 1차적으로 필터 컨베이어부(30)가 철조각 등의 파쇄 잔재를 1차적으로 걸러낸 이후, 2차적으로 정화탱크부(40)가 미소한 잔재물과 원료를 분리하고, 추가적으로 가열탱크부(60)는 파쇄 잔재의 외부면 등에 잔존하는 원료를 다시금 추출하여 회수하는 방식으로 다중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onveyor unit 30 first filters out crushing residues such as iron chips from the raw material, and then, secondarily, the purification tank unit 40 ) separates minute residues and raw materials, and additionally, the heating tank unit 60 extracts and recovers the raw materials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ed residues, etc., thereby implementing multiple processe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의 공정 제어 상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improving the safety in process control of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본체(21)를 상부의 개방된 영역이 외부 공간과 차단되도록 감싸는 프레임부(100); 및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21)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00 surrounding the main body 21 so that the upper open area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a camera unit 200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100 to photograph an open are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 .

프레임부(100)는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가 파쇄기부(20)에 투입되거나 상기 파쇄기부(20)를 관통하녀 파쇄되는 과정에서 폐용유 또는 파쇄 잔재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부(100)는 제1 컨베이어부(10)의 진행 방향에 따른 도착 지점과 상기 파쇄기부(20)의 상부 영역을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frame unit 100 prevents the waste oil or crushing residue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oil is put into the crusher unit 20 or is crushed by passing through the crusher unit 20 . The frame unit 100 may be formed to simultaneously cover the arrival point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unit 10 and the upper region of the crusher unit 20 .

한편, 파쇄기부(20)에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를 투입하는 과정 또는 상기 파쇄기부(20)에서 파쇄 작용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장치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인력이 이를 직접 확인함에는 구조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더욱이 불의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oil into the crusher unit 20 or the crushing action is performed in the crusher unit 20, a failure of the device may occur. At this time,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for on-site personnel to directly check this, and furthermore, it may lead to an unexpected safety accident.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부(100)의 내부에는 파쇄기부(20) 본체(21)의 상부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200)가 설치된다. 카메라부(200)는 제어 시스템을 갖춘 별도의 단말장치 등과 통신 연결되어,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camera unit 200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upper direction of the crusher unit 20 and the body 21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100 . The camera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system and the like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captured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부(200)는, 촬영장치부(210); 상기 촬영장치부(21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는 보호유리부(220); 및 상기 촬영장치부(210)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빛을 발사하는 광원부(2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210; a protective glass unit 220 install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210; and a light source unit 230 that emits light in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210 .

프레임부(100) 내부에 설치된 촬영장치부(210)의 전방 렌즈에 폐용유가 튀는 등 접촉되는 경우, 촬영장치부(210)의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부(100)에 대한 내부 촬영은 밝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 When waste oil splashes on the front le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210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100 , the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unit 210 may not be smoothly performed, and a malfunction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frame unit 100 blocks external light, a bright image cannot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100 .

이때, 보호유리부(220)는 촬영장치부(210)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어 폐용유가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메라 장치를 보호한다. 더불어, 광원부(230)는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영역에 빛을 발함으로써 보다 밝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례로 LED광원이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glass unit 2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210 to protect the camera device by preventing waste oil from being deposited on the lens.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230 may obtain brighter image information by emitting light to the area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00 , and for example, an LED light source may be applied.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는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로부터 디젤 원료를 회수하는 자동 공정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n automatic process system for recovering the diesel raw material from the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oil.

더불어, 적은 인력으로 다량의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 용기를 동시에 투입함과 동시에 높은 처리량을 갖게 되어, 디젤 원료 자동 회수 공정의 경제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put a container contain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ste oil with a small amount of manpower and have a high throughput at the same tim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automatic diesel raw material recovery process.

또한, 회수 대상 폐용유에 다중으로 정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회수되는 디젤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되는 디젤 원료의 양을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recovered diesel raw material can be improved and the amount of the recovered diesel raw material can be increased by performing multiple purification processes on the waste oil to be recover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제1 컨베이어부
20: 파쇄기부
21: 본체
22: 구동축
23: 파쇄날
24: 구동모터
30: 필터 컨베이어부
31: 메쉬 벨트
32: 타공판
33: 가이드부
40: 정화탱크부
41: 제1 하우징
42: 제1 열선라인
43: 제1 배출관
50: 제2 컨베이어부
60: 가열탱크부
61: 제2 하우징
62: 제2 열선라인
63: 제2 배출관
64: 메쉬 플레이트
100: 프레임부
200: 카메라부
210: 촬영장치부
220: 보호유리부
230: 광원부
10: first conveyor unit
20: shredder donation
21: body
22: drive shaft
23: shredding blade
24: drive motor
30: filter conveyor unit
31: mesh belt
32: perforated plate
33: guide unit
40: purification tank unit
41: first housing
42: first hot wire line
43: first discharge pipe
50: second conveyor unit
60: heating tank unit
61: second housing
62: second hot wire line
63: second discharge pipe
64: mesh plate
100: frame part
200: camera unit
210: photographing device unit
220: protective glass part
230: light source unit

Claims (9)

상면에 투입된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를 이송하되, 진행방향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승되는 영역을 갖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로부터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가 투입되며, 상기 폐용유를 수용한 컨테이너를 파쇄하여 아래 방향으로 토출하는 파쇄기부;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이 상기 파쇄기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폐용유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분리시키는 메쉬(Mesh)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필터 컨베이어부;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폐용유가 투하되는 정화탱크부 및
상면에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배출 위치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타공판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정화탱크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이송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로부터 빠져나오는 폐용유를 받아내 상기 정화탱크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쇄기부로부터 상기 정화탱크부에 상기 파쇄 잔재가 투하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폐용유는 상기 메쉬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타공판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의 아래에 위치한 상기 정화탱크부로 투하되도록, 상기 필터 컨베이어부는 상기 정화탱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a first conveyor unit that transports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oil put on the upper surface, and has an area that rises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a shredder unit into which a container accommodating the waste oil is put from the first conveyor unit, crushing th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waste oil and discharging in a downward direction;
a filter conveyor unit including a conveyor belt in the form of a mesh that is installed so that all or part of the area is located under the crusher unit, and separates the crushing residues of the container from the waste oil;
a purification tank unit installed under the filter conveyor unit to which waste oil is dropped; and
and a second conveyor that receives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from the filter conveyor on the upper surface and transfers them to a preset discharge position,
The filter conveyor unit,
A perforated plat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nveyor belt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It is installed under the conveyor belt and is located above the purification tank part,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part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receives the waste oil that escapes from the crushed residue of the container in the transport process and guides it to fall into the purification tank part,
Prevents the crushing residue from being dropped from the crusher unit 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but the waste oil passes through the mesh-shaped conveyor belt and the perforated plate to be dropped into the purification tank unit located below the filter conveyor unit, the filter The conveyor part is located above the purification tank part,
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부는,
상하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축; 및
각각의 상기 구동축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는 파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er unit,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an open area is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t least one pair of drive shaft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body; and
An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of the drive shaft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부는,
상기 필터 컨베이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폐용유을 가열하는 제1 열선라인;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용유로부터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rification tank unit,
a first housing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lter conveyor;
a first heating line for heating the used oil contained in the first housing; and
and a first discharge pipe installed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separated from the waste oil is discharged.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를 수거하는 가열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ing tank unit for collecting the crushing residue of the container from the second conveyor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부터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가 수거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컨테이너 파쇄 잔재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에 닿지 못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쉬 플레이트;
상기 메쉬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파쇄 잔재에 가열하는 제2 열선라인; 및
상기 메쉬 플레이트의 아래의 높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외부면으로부터 녹아 분리된 원료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ing tank unit,
a second housing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are collected from the second conveyor unit;
a mesh plate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housing vertically into space to prevent the container crushing residue from tou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 second hot wire line for heating the crushed remnants of the contain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plate; and
and a second discharge pipe installed at a height below the mesh plate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melted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discharg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상부의 개방된 영역이 외부 공간과 차단되도록 감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rame part surround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open area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and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the automatic biodiesel raw material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open area of the upper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촬영장치부;
상기 촬영장치부의 렌즈 전방에 설치되는 보호유리부; 및
상기 촬영장치부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빛을 발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원료 자동 회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amera unit,
photographing unit;
a protective glass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unit; and
Biodiesel raw material automatic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KR1020210035821A 2021-03-19 2021-03-19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KR102384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21A KR102384483B1 (en) 2021-03-19 2021-03-19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21A KR102384483B1 (en) 2021-03-19 2021-03-19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483B1 true KR102384483B1 (en) 2022-04-12

Family

ID=8118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21A KR102384483B1 (en) 2021-03-19 2021-03-19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483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836A (en) * 1994-09-30 1996-04-20 김근철 Solid Fuel Manufacturing Equipment
KR20050011188A (en) * 2003-07-22 2005-01-29 김학수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KR200377514Y1 (en) * 2004-12-09 2005-03-10 (주)클린랜드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and empty oil can
KR20050095969A (en) * 2004-03-29 2005-10-05 최병대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KR100577583B1 (en) * 2003-11-18 2006-05-12 김학수 Smash equipment of useless oil filter
KR20090036922A (en) * 2007-10-10 2009-04-15 김정수 Apparatus for converting waste to solid fuel
JP2010030105A (en) * 2008-07-28 2010-02-12 Japan Steel Works Ltd:The Hot cuter
KR20100136875A (en) 2009-06-19 2010-12-29 박해영 Portable equipment for bio diesel production and the process flow thereof
JP2016074852A (en) * 2014-10-08 2016-05-12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Method for refining hydrocarbon oil
KR20160097876A (en)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오일텍 Apparatus for refinning waste oil
KR20200041557A (en) * 2018-10-12 2020-04-22 이미애 Fried crumbs-based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waste cooking oil and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836A (en) * 1994-09-30 1996-04-20 김근철 Solid Fuel Manufacturing Equipment
KR20050011188A (en) * 2003-07-22 2005-01-29 김학수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KR100577583B1 (en) * 2003-11-18 2006-05-12 김학수 Smash equipment of useless oil filter
KR20050095969A (en) * 2004-03-29 2005-10-05 최병대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KR200377514Y1 (en) * 2004-12-09 2005-03-10 (주)클린랜드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sed oil filter and empty oil can
KR20090036922A (en) * 2007-10-10 2009-04-15 김정수 Apparatus for converting waste to solid fuel
JP2010030105A (en) * 2008-07-28 2010-02-12 Japan Steel Works Ltd:The Hot cuter
KR20100136875A (en) 2009-06-19 2010-12-29 박해영 Portable equipment for bio diesel production and the process flow thereof
JP2016074852A (en) * 2014-10-08 2016-05-12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Method for refining hydrocarbon oil
KR20160097876A (en)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오일텍 Apparatus for refinning waste oil
KR20200041557A (en) * 2018-10-12 2020-04-22 이미애 Fried crumbs-based pellet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waste cooking oil and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5620B2 (en) Autonomous data collection and system control for material recovery facilities
KR101556406B1 (en) A separating system for the recycling wastes
CN1054384A (en) The iron class or the compression of non-iron class refuse and the machine of sorting that are used for container, jar, bottle class
US536616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of automotive oil filters
CN105057313B (en) Full Mechanical Driven mixes changing food waste dry type pretreatment unit and its method
KR100961271B1 (en) Electronic scrap crusher
CN203853367U (en) Feeding unit structure of kitchen fruit-vegetable garbage pulping system
CN103978014A (en) Kitchen fruit and vegetable garbage pulping system
CN108160154A (en) A kind of recycling breaker for glass rubbish
KR20080081875A (en)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of inflammable wastes
KR102384483B1 (en) Biodiesel material automatic collecting device
CN216763006U (en)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CN107148389A (en) Modularization waste product transfer station (MWT)
CN112224723B (en) Automatic dangerous waste storage, conveying, compatibility and treatment system
KR102510109B1 (en) Crushing and Recovery System for Dry Recycling of Solar Waste Module
KR20190074706A (en) sorting device for recyclable goods from waste wire
CN203853366U (en) Crushing unit structure for kitchen fruit and vegetable waste pulping system
CN210848539U (en) Plate shearing machine unloading collection device
JP4698429B2 (en) Sludge treatment method, fuel plant and treatment device
CN211134536U (en) Preliminary sorting unit of kitchen garbage
CN209791667U (en) Hierarchical comprehensive treat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aste
CN203803910U (en) Kitchen fruit-vegetable garbage pulping device
CN218778827U (en) Automatic bag breaking and screening integrated system
US7886997B2 (en) Materials crusher and bottom dump feeder
KR20090034614A (en) Automatic sorting disposal method for trashes from home cir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