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400B1 -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 Google Patents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400B1
KR102384400B1 KR1020200070850A KR20200070850A KR102384400B1 KR 102384400 B1 KR102384400 B1 KR 102384400B1 KR 1020200070850 A KR1020200070850 A KR 1020200070850A KR 20200070850 A KR20200070850 A KR 20200070850A KR 102384400 B1 KR102384400 B1 KR 10238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lectric field
hollow tube
field senso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917A (ko
Inventor
김예솔
이효선
조성호
최치원
임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덱스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덱스,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덱스
Priority to KR102020007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00B1/ko
Priority to PCT/KR2021/004600 priority patent/WO2021251606A1/ko
Publication of KR2021015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operating with electr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3S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7Sea b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X축 또는 Y축 방향의 센서부 내에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갇힌 기포가 제거되도록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 방향의 중공관이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접힘에 의해 펼쳐질 경우보다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는,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Z축 중공관; 및 상기 Z축 중공관에 연결되는 십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지지부의 각 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볼록부에는 각각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FOLDING 3-AXIS ELECTRIC FIELD SENSORS FOR UNDER WATER}
본 발명은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X축 또는 Y축 방향의 센서부 내에 갇히는 기포가 제거되도록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 방향의 중공관이 접히도록 동작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의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장치로는 음향 탐지 장치가 대표적이다.
수중 음향 탐지 장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격지의 수중 음원에서 방출되는 소음(음향)을 수중 음향 센서(하나 또는 다수의 수중 음향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이 감지된 수중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수상 또는 수중 음원의 성격과 특징 및 수상 또는 수중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활용되는 음향 탐지 장비이다.
이러한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수중에 위치한 표적을 탐지하는 방법은 크게 수동 음향 탐지 방식(Passive Acoustic Detection Mode)과 능동 음향 탐지 방식(Active Acoustic Detection Mode)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소노부이(Sonobuoy), 수상함 및 잠수함 탐지 소나(SONAR), TASS(Towed Array Sonar System), HMS(Hull Mounted Sonar)등), 항만 감시 체계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지만, 비교적 넓은 수역을 장기간 자동으로 잠수함을 탐지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음향 신호를 이용한 방법은 조류가 강하여 소음이 큰 지역이나 온도 및 염도차로 인하여 수층이 혼합되는 지역에서는 음향 신호를 이용한 탐지가 원활하지 못하고, 탐지 대상체에 흡음재가 설치될 경우에는 탐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자기장을 제공하여 수중 이동체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이동체를 탐지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또 다른 자기장이 인가될 경우 에는 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향 신호나 자기장이 아닌 전기장을 이용하여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39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해양의 수중에 떠 있는 상태 또는 해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전기장의 변화를 탐지하면서 특히 센서부가 X축과 Y축 및 Z축의 3축으로 구성됨으로써 전기장의 변화를 입체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상술한 3축 전기장 센서는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의 전기장을 측정한다.
그런데, 상기 3축 전기장 센서는 3축 중공관이 X축과, Y축과, Z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Z축 방향의 센서부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중공관을 따라 기포가 제거되어 기포 발생 없이 물이 채워지지만, X축과, Y축 방향의 수평으로 설치된 센서부에는 잔여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갇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잠수시킬 때는 X축, Y축, Z축 방향의 센서부의 타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포 배출구 및 연결된 중공관을 통해 기포가 배출된다.
하지만, X축과, Y축 방향 센서부의 타단면의 기포 배출구 및 연결된 중공관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전기장 센서부 내부에 갇힌 기포는 해수와 접촉해야 하는 센싱부가 해수와 완전히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계측 이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43959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X축 또는 Y축 방향의 센서부 내에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갇힌 기포가 제거되도록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 방향의 중공관이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접힘에 의해 펼쳐질 경우보다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는,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양단에는 전기장 센서를 갖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Z축 중공관; 및 상기 Z축 중공관에 연결되는 십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지지부의 각 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볼록부에는 각각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십자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Z축 중공관에 연결된 상기 십자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십자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Z축 중공관을 축으로 승강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Z축 중공관이 관통되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 일측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록부는 각각 제 2 관통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십자 지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은, 내부가 중공인 제 2 바디; 상기 제 2 바디에 형성되며 제 3 관통홀을 갖는 제 3 볼록부; 상기 제 2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4 관통홀을 갖는 제 4 볼록부; 및 상기 제 2 바디의 타단에 형성되는 전기장 센서를 갖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5 볼록부와 제 6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5 볼록부와 제 6 볼록부에는 각각 제 5 관통홀과 제 6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 5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제 2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2 볼록부의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5 볼록부의 제 5 관통홀은 제 1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 6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제 3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3 볼록부의 제 3 관통홀과 상기 제 6 볼록부의 제 6 관통홀은 제 2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십자 지지부의 각 단에 형성된 제 1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 4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볼록부의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4 볼록부의 제 4 관통홀은 제 3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며, 상기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가 Z축 상부 방향으로 각각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상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X축 또는 Y축 방향의 센서부 내에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갇힌 기포가 제거되도록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 방향의 중공관이 접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접힘에 의해 펼쳐질 경우보다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베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Z축 중공관(100)과, 십자 지지부(200)와, 지지부(300)와, 계측부(400)와, 가이드부(500)와,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과,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가이드부(500)가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500)와 연결된 연결부(700)의 일측이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때,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10)가 Z축 상부 방향으로 각각 상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가이드부(500)가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500)와 연결된 연결부(700)의 일측이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10)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펼쳐지게 된다.
종래의 3축 전기장 센서는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의 전기장을 측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3축 전기장 센서를 수중에 설치시 Z축 센서부(10)에는 기포 발생 없이 물(예를 들어, 해수)이 바로 채워진다.
하지만,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X축 또는 Y축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 포켓 현상에 의해 X축 또는 Y축 방향의 센서부(10)와, 이 센서부(10)와 연결된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 내부에 다수의 기포가 갇히게 된다.
이때 X축과, Y축 방향의 센서부(10)에 갇히게 된 기포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측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기포 배출구(11)를 통해 기포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기포 배출구(11)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전기장 센서부 내부에 갇힌 기포는 물(예를 들어, 해수)과 접촉해야 하는 센싱부가 물(예를 들어, 해수)과 완전히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계측 이상을 초래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상술한 도 2의 동작에 의해, 수중에 설치시 X축 또는 Y축 방향 센서부(10) 내에 기포가 갇히지 않도록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 중공관(600)이 접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를 수중에 설치시에는 도 2와 같은 상태로 수중에 설치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X축과 Y축 방향 센서부(10)와, Z축 방향 센서부(10) 내에 에어 포켓 작용 없이 물(예를 들어, 해수)이 가득 채워지게 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의 X축과 Y축 방향 센서부(10)와, Z축 방향 센서부(10)가 각각 3축을 형성하여 3축의 전기장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이 접힘으로써, X축 또는 Y축 중공관이 펼쳐질 경우보다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지상에서 이동과 보관이 유리하다.
이러한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의 각 구성 요소들과,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 관계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베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의 베이스 구조는 Z축 중공관(100)과, 십자 지지부(200)와, 지지부(300)와, 계측부(400)를 포함한다.
Z축 중공관(100)은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Z축 중공관(10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Z축 중공관(100)은 폭 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Z축 중공관(10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Z축 방향의 전기장을 감지한다.
즉,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예를 들면, 수중에서 Z축을 이루면서 수중으로의 노출 부위를 통해 전기장을 감지하고,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Z축 중공관(1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은 전기장 센서가 결합된다.
이때, Z축 중공관(10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는데, Z축 중공관(100)과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의 폭 방향 단면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십자 지지부(200)는 Z축 중공관(100)에 연결된다.
이때, 십자 지지부(200)는 Z축 중공관(100)의 중심 영역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Z축 중공관(100)에 대한 십자 지지부(200)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십자 지지부(200)의 각 단의 단부에는 갈래로 갈라진 제 1 볼록부(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제 1 볼록부(210)에는 각각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관통홀은 추후 설명하는 제 3 힌지 결합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십자 지지부(200)의 하부에는, Z축 중공관(100)에 연결된 십자 지지부(2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300)는 십자 지지부(200)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2개의 수직 지지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300)의 안정성을 위해 수직 지지대의 개수가 더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지지대 사이에 수평 지지대를 추가함으로써 지지부(300)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도 있다.
계측부(400)는 Z축 중공관(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Z축 방향의 전기장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가 센싱한 전기장 신호를 계측한다.
이러한 계측부(400)는 추후 설명하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에 결합되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전기장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가 센싱한 전기장 신호도 계측한다.
이와 같이 계측부(400)에 의해 계측된 전기장의 신호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거나 무선으로 외부에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십자 지지부(200)의 상부에는 Z축 중공관(100)을 축으로 승강하는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부(500)는 제 1 바디(510)와, 제 2 볼록부(520)와, 제 2 관통홀(5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디(51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가이드부(500)의 용이한 승강을 위해, Z축 중공관(100)이 원통 형상일 경우 제 1 바디(510)도 원통 형상을 형성되고, Z축 중공관(100)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일 경우 제 1 바디(510)도 Z축 중공관(100)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바디(510)의 내부가 원통 형상이더라도, 제 1 바디(510)의 외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바디(510)의 내부에는 Z축 중공관(100)이 삽입되어 관통된다.
즉, Z축 중공관(100)을 축으로 제 1 바디(510)가 승하강 하게 된다.
제 2 볼록부(520)는 제 1 바디(510) 일측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볼록부(520)는 제 1 바디(510)의 일단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제 1 바디(510)의 외면에 적정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볼록부(520)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Z축을 기준으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형성되며, 이는 3축 전기장 센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 2 볼록부(520)에는 각각 제 2 관통구(5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관통구(521)가 형성되는 이유는 제 1 힌지 작용을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제 2 바디(610)와, 제 3 볼록부(620)와, 제 3 관통홀(621)과, 제 4 볼록부(630)와, 제 4 관통홀(631)을 포함한다.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의 일부가 타단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폭 방향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단에 결합되어 X축 또는 Y축 방향의 전기장을 감지한다.
즉,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예를 들면, 수중에서 X축 또는 Y축을 이루면서 수중으로의 노출 부위를 통해 전기장을 감지하고,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타단은 전기장 센서가 결합된다.
이때,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은 타단이 개방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는데,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과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의 폭 방향 단면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디(610)는 외면에 제 3 볼록부(620)를 포함하고, 제 3 볼록부(620)에 제 3 관통홀(62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바디(610)는 일단에 제 4 볼록부(630)를 포함하고, 제 4 볼록부(630)에 제 4 관통홀(631)이 형성된다.
제 3 볼록부(620)에 제 3 관통홀(621)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 2 힌지 작용을 위함이다.
또한, 제 4 볼록부(630)에 제 3 관통홀(631)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 3 힌지 작용을 위함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복수의 전기장 센서부(10)의 타단 부근에는 복수의 기포 배출구(11)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에서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부(700)는 제 5 볼록부(710)와, 제 5 관통홀(711)과, 제 6 볼록부(720)와, 제 6 관통홀(721)을 포함한다.
연결부(700)는 가이드부(500)와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700)의 일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5 볼록부(710)를 포함하고, 연결부(700)의 타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6 볼록부(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5 볼록부(710)에는 제 5 관통홀(711)이 형성되고, 제 6 볼록부(720)에는 제 6 관통홀(7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5 볼록부(710)에 제 5 관통홀(711)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 1 힌지 작용을 위함이다.
또한, 제 6 볼록부(720)에 제 6 관통홀(721)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 2 힌지 작용을 위함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제 1 힌지 결합과,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힌지 결합은 연결부(7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5 볼록부(710)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가이드부(500)의 제 2 볼록부(520)가 삽입되며, 제 2 볼록부(520)의 제 2 관통홀(521)과 제 5 볼록부(710)의 제 5 관통홀(711)은 핀 등의 힌지 결합 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힌지 결합은 연결부(700)의 타측에 형성된 제 6 볼록부(720)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제 3 볼록부(620)가 삽입되며, 제 3 볼록부(620)의 제 3 관통홀(621)과 제 6 볼록부(720)의 제 6 관통홀(721)은 핀 등의 힌지 결합 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제 3 힌지 결합은 십자 지지부(200)의 각 단에 형성된 제 1 볼록부(210)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일단에 형성된 제 4 볼록부(630)가 삽입되며, 제 1 볼록부(210)의 제 1 관통홀(211)과 제 4 볼록부(630)의 제 4 관통홀(631)은 핀 등의 힌지 결합 부재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1 힌지 결합 내지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가이드부(500)가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500)와 연결된 연결부(700)의 일측이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때,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10)가 Z축 상부 방향으로 각각 상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에서, 가이드부(500)가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500)와 연결된 연결부(700)의 일측이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X축 또는 Y축 중공관(600)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10)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 관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1000)는 Z축을 중심축으로 상부를 향해 X축과 Y축이 접히도록 하여 전기장 센서부 내부에 갇힌 기포를 제거하여 센싱부가 물(예를 들어, 해수)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접힘에 의해 펼쳐질 경우보다 부피가 줄어들어 이동과 보관이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 : 센서부
100 : Z축 중공관
200 : 십자 지지부
210 : 제 1 볼록부
211 : 제 1 관통홀
300 : 지지부
400 : 계측부
500 : 가이드부
510 : 제 1 바디
520 : 제 2 볼록부
521 : 제 2 관통홀
600 : X축 또는 Y축 중공관
610 : 제 2 바디
620 : 제 3 볼록부
621 : 제 3 관통홀
630 : 제 4 볼록부
631 : 제 4 관통홀
700 : 연결부
710 : 제 5 볼록부
711 : 제 5 관통홀
720 : 제 6 볼록부
721 : 제 6 관통홀
S : 전기장 센서
1000 :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Claims (11)

  1. Z축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고 양단에는 전기장 센서를 갖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Z축 중공관; 및
    상기 Z축 중공관에 연결되는 십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지지부의 각 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1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볼록부에는 각각 제 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Z축 중공관에 연결된 상기 십자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십자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Z축 중공관을 축으로 승강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Z축 중공관이 관통되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 일측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록부는 각각 제 2 관통홀을 갖고,
    상기 십자 지지부와 각각 연결되는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은,
    내부가 중공인 제 2 바디;
    상기 제 2 바디에 형성되며 제 3 관통홀을 갖는 제 3 볼록부;
    상기 제 2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4 관통홀을 갖는 제 4 볼록부; 및
    상기 제 2 바디의 타단에 형성되는 전기장 센서를 갖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는 복수개로 갈라진 제 5 볼록부와 제 6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5 볼록부와 제 6 볼록부에는 각각 제 5 관통홀과 제 6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 5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제 2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2 볼록부의 제 2 관통홀과 상기 제 5 볼록부의 제 5 관통홀은 제 1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 6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제 3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3 볼록부의 제 3 관통홀과 상기 제 6 볼록부의 제 6 관통홀은 제 2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 지지부의 각 단에 형성된 제 1 볼록부 사이의 복수개로 갈라진 공간에는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 4 볼록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 1 볼록부의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4 볼록부 제 4 관통홀은 제 3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Z축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며,
    상기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가 Z축 상부 방향으로 각각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상기 제 1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Z축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제 2 힌지 결합과 제 3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X축 또는 Y축 중공관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부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KR1020200070850A 2020-06-11 2020-06-11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KR10238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50A KR102384400B1 (ko) 2020-06-11 2020-06-11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PCT/KR2021/004600 WO2021251606A1 (ko) 2020-06-11 2021-04-12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50A KR102384400B1 (ko) 2020-06-11 2020-06-11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917A KR20210153917A (ko) 2021-12-20
KR102384400B1 true KR102384400B1 (ko) 2022-04-08

Family

ID=7884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50A KR102384400B1 (ko) 2020-06-11 2020-06-11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4400B1 (ko)
WO (1) WO2021251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8682B (zh) * 2021-12-23 2023-06-06 宜昌测试技术研究所 一种水下电场探测用电缆布放绞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0451A (ja) * 2014-09-22 2016-04-25 防衛装備庁長官 水中情報計測装置
KR101643959B1 (ko) * 2015-12-28 2016-08-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수중용 3축탐지센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272B2 (ja) * 1996-11-12 1999-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展開型水中探知装置
US10132952B2 (en) * 2013-06-10 2018-11-20 Saudi Arabian Oil Company Sensor for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fields on land and underwater
US9654893B2 (en) * 2014-12-30 2017-05-16 Stephen Xavier Estrada Surround sound recording ar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0451A (ja) * 2014-09-22 2016-04-25 防衛装備庁長官 水中情報計測装置
KR101643959B1 (ko) * 2015-12-28 2016-08-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수중용 3축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606A1 (ko) 2021-12-16
KR20210153917A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9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ismic streamer positioning
CN109059876B (zh) 空投式海气界面一体化探测装置及其方法
US7646670B2 (en) Autonomous ocean bottom seismic node recording device
US8437979B2 (en) Smart tether system for underwater navigation and cable shape measurement
JP6931497B2 (ja) 水底探査装置及び地形探査システム
US8228066B2 (en) Instrument for measuring electromagnetic signals
US96513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henomena in an open water environment
NO20130392A1 (no) Marine seismiske undersokelsessystemer og fremgangsmater som benytter autonome eller fjernstyrte kjoretoyer
CN103518143A (zh) 声纳数据采集系统
CN109591962A (zh) 一种低干扰高稳定性水下声场探测潜标
KR102384400B1 (ko) 접이식 수중용 3축 전기장 센서
KR200469633Y1 (ko) 해안 수심 측량 장치
JP6640421B1 (ja) 自体浮力型弾性波探査モジュールを含む弾性波探査装置及びその方法
GB2162315A (en) Marine seismic device
US10583897B2 (en) High angle deployment system for a seismic marine surface vessel
KR102399994B1 (ko) 수중 방사소음 측정장치
CN108828605A (zh) 水下定位装置及水下定位方法
KR101489857B1 (ko) 지지대연결이 용이한 음향측심기 소나센서 보호장치
JP5297269B2 (ja) 海底ケーブル探査方法
KR102367673B1 (ko) 자체 진단 기능을 갖는 3축 전기장 측정 장치
CN114018224A (zh) 一种海图水深数据检核系统和方法
CN211336351U (zh) 可定位沉浮式海洋探测装置
Meng et al. Measurement for the Hydrodynamic Coefficients of the Model of an Ultra-Deep Water Work-Class ROV in the O-Tube Facility
CN113063562A (zh) 基于自由上浮方式的大尺度模型水动力噪声测量方法
CN207208389U (zh) 一种带有牵引式地震勘测装置的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