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97B1 -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97B1
KR102384297B1 KR1020200189930A KR20200189930A KR102384297B1 KR 102384297 B1 KR102384297 B1 KR 102384297B1 KR 1020200189930 A KR1020200189930 A KR 1020200189930A KR 20200189930 A KR20200189930 A KR 20200189930A KR 102384297 B1 KR102384297 B1 KR 10238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mineral calcium
corona
calcium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이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엘피
Priority to KR102020018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독제 제조방법으로서, (1)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배합된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 생산된 상기 소독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 배합된 배합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소독제를 생산함으로써, 소독제가 다른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항바이러스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미네랄 칼슘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S OF DISINFECTANTS FOR COVID-19 CONTAINING MINERAL CALCIU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하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의 2020년 대유행에 따라 개인위생을 위한 마스크, 손 소독제 등과 같은 제품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손 소독제는 물로 손을 씻는 것을 대신하는 대용제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분사하여 사용하는 액상형 소독제나 적당량을 손에 덜어 사용하는 젤형 소독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진자가 방문한 공간이나,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는 방역을 위해 소독제를 분무하여 소독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독제의 주요 성분은 주로 에탄올로 이루어져 있으나, 소독제 내의 에탄올의 함량 제한으로 인해 살균력이 떨어지는 한계점으로 상술한 신종 전염병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 있다. 또한, 소독제는 각종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인체 및 환경에 좋지 않은 한계가 있다. 뿐만아니라, 대부분의 소독제에 계면활성제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잦은 손 소독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 및 환경에 영향이 적고 소독 효과도 높은 코로나19용 소독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8-0031697호(발명의 명칭: 신속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소독제 조성물, 공개일자: 2018년 03월 28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 배합된 배합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소독제를 생산함으로써, 소독제가 다른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미네랄 칼슘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은,
소독제 제조방법으로서,
(1)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배합된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 생산된 상기 소독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되, 산호, 패각, 풍화 퇴적된 산호 및 퇴적된 패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미네랄 칼슘을 나노화하여,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배합된 배합물에서 침전물을 걸러내, 분무하여 사용하는 액상의 소독제를 생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되, 상기 미네랄 칼슘은 전체 배합물의 0.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미네랄 칼슘은,
전체 배합물의 0.075 중량% ~ 0.15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소독제 원료는,
정제수를 포함하며,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 배합된 배합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소독제를 생산함으로써, 소독제가 다른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항바이러스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미네랄 칼슘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원료인 산호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원료인 풍화 퇴적 산호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 분말을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손에 분사하여 소독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손에서 비벼 소독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험예 2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
도 8은 실험예 3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
도 9는 실험예 4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은,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단계(S110),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는 단계(S120) 및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가지는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여, 소독제 원료와 제조된 미네랄 칼슘이 골고루 섞이도록 배합기에서 충분히 배합할 수 있으며, 잘 배합된 배합물을 이용하여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소독제를 제조 생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10에서는, 미네랄 칼슘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S110에서는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되, 산호, 패각, 풍화 퇴적된 산호 및 퇴적된 패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10에서 제조되는 미네랄 칼슘은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0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소독제의 제조를 위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되, 미네랄 칼슘은 원료를 1차 소성하는 단계와, 소성된 원료를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원료를 2차 소성하는 단계, 및 2차 소성된 원료를 급랭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원료인 산호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원료인 풍화 퇴적 산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소독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미네랄 칼슘은 바닷물 속에 함유된 탄산수소칼슘을 분해하여 탄산칼슘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산호, 패각, 수억만 년 동안 퇴적과정을 통하여 고화된 풍화 퇴적 산호 및 퇴적 패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단계 S110에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산호, 패각, 수억만 년 동안 퇴적과정을 통하여 고화된 풍화 퇴적 산호 및 퇴적 패각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전기로의 내측에 투입한 후 910℃~1000℃의 온도로 1차 소성하고, 이어 상기와 같은 산호, 패각, 풍화 퇴적 산호 또는 퇴적 패각이 1차 소성되어 형성되는 크링카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서냉할 수 있다. 이때, 크링카 중에서 백색의 크링카만을 수집하여 소성된 원료의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백색의 크링카를 전기로에서 500℃~700℃의 온도로 3~5시간 2차 소성할 수 있다. 그 후, 2차 소성된 크링카를 -20℃~-60℃의 온도로 급랭시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할 수 있다.
종래에는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석회석을 소성로에서 1,200℃~1,650℃ 등의 온도로 소성하여 산화칼슘을 얻는 방법이 있었으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산화칼슘은 대기 중에 방치되면 수분과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수산화칼슘(소석회)과 탄산칼슘으로 변하게 되어 공업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시멘트 제조공정에서도 석회석과 점토, 규석 등을 분말화하여 로타리 킬른에서 약 1,450℃로 가열 소성하여 시멘트 크링카를 만든 후 석고를 첨가하고 미분쇄하여 시멘트를 얻는 과정에서도 산화칼슘(생석회)을 얻을 수 있지만, 위와 같은 제조방법으로는 양질의 제품을 대량으로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료를 1차 소성하는 단계, 소성된 원료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원료를 2차 소성하는 단계, 및 2차 소성된 원료를 급랭하는 단계를 통해 미네랄 칼슘을 제조함으로써, 양질의 수용성 칼슘 등의 미네랄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고, 불순물을 최소화하면서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우리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서, 미네랄 칼슘 분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의 단계 S110에서 제조되는 미네랄 칼슘은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에서는, 미네랄 칼슘을 나노화하여,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네랄 칼슘을 다시 분쇄하여 나노화하여, 나노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나노화를 위해 초음파 분쇄를 할 수 있으며, 초음파 분쇄를 통해 미네랄 칼슘을 지름 50㎚ ~ 200㎚ 크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 크기로 나노 입자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이용하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계 S120에서 미네랄 칼슘과 소독제 원료가 더 잘 배합될 수 있고, 미네랄 칼슘의 표면적이 넓어져 항바이러스 및 소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10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10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되, 미네랄 칼슘은 전체 배합물의 0.2 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S120에서 미네랄 칼슘은, 전체 배합물의 0.075 중량% ~ 0.15 중량%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0의 소독제 원료는, 정제수를 포함하며,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소독제는 각종 유해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인체 및 환경에 좋지 않은 한계가 있는데 특히,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나 알코올 성분은 전염병 유행 등으로 소독제를 자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피부 건조함이나 피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의 단계 S120에서는, 소독제 원료로서, 소독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알코올 성분이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전체 배합물의 0.075 중량% ~ 0.15 중량%의 적은 양으로도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하는 미네랄 칼슘을 이용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단계 S120에서는, 정제수를 기본으로 하는 소독제 원료에 미네랄 칼슘을 배합해 적절한 온도에서 충분히 흔들어 배합함으로써, 미네랄 칼슘의 항바이러스력을 물에 전이 또는 응착시킬 수 있다.
한편, 소독제 원료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존제, 보습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존제는, 제품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천연 성분의 보존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보습제는, 피부의 건조를 막아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해 주는 물질로서, 글리세린, 하이루론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란, 소독제, 화장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유기물질로서, 소독제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독제 원료로서, 안전한 정제수, 천연 성분의 보존제, 보습제 등을 포함하고, 계면활성제, 알코올 성분 등을 함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나 임산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에서 배합된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생산된 소독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에서 배합된 배합물에서 침전물을 걸러내, 분무하여 사용하는 액상의 소독제를 생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생산된 소독제는 손 소독제로서 액상 또는 젤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는,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한 배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배합물에서 침전물을 걸러내 제조된, 분무하여 사용하는 액상의 소독제로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손에 분사하여 소독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의 한 형태인 액상형 스프레이 소독제는, 손이나 물건 등에 분무하여 사용하며, 손이나 물건 전체에 고루 도포함으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손에서 비벼 소독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의 한 형태인 젤형 손 소독제는, 일정량을 손에 덜어 손 존체에 고루 도포함으로써,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10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캡슐화하여, 캡슐화된 형태의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캡슐화된 형태의 미네랄 칼슘을 액상형 또는 젤형 손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여, 코로나19용 손 소독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도 6에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화된 형태의 미네랄 칼슘이 함유된 손 소독제를 손에 도포할 때에 두 손을 마찰시켜 도포하게 되면, 캡슐이 깨지면서 미네랄 칼슘이 직접 손에 닿게 되어 항바이러스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 따라,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S110), 미네랄 칼슘이 전체 배합물의 0.2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S120), 배합물에서 침전물을 걸러내 파우더가 없는 액상의 소독제를 생산하였다(S130).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의 소독제를 생산하되, 단계 S120에서 미네랄 칼슘이 전체 배합물의 0.1 중량%가 되도록 미네랄 칼슘의 함량을 조절하여 소독제를 생산하였다.
실험예 1 - 바이러스 확보 및 세포 배양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독제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SARS-CoV-2(NCCP 43326)를 질병관리청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받아 바이러스를 확보하였다.
평가 실험 전날(감염 전날), 실험을 위한 세포배양을 하였다. BL2 시설에서 Vero E6 세포를 2×104/well의 농도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시딩(seeding) 하였다. 세포배양은 2% 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 소독제(0.2 중량%) 효능평가
평가 실험일(감염일), 실험예 1에서 준비한 세포 및 실시예 1에서 생산한 소독제(0.2 중량%)를 ABL3 내부로 반입하고, 다음 표 1과 같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구성하였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1
소독제대조(처리구 2)는, 실시예 1에서 생산한 소독제 25㎕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중화액대조(처리구 3)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중화액 900㎕를 혼합한 혼합액 중 25㎕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양성대조(처리구 4)는, SARS-CoV-2 바이러스 25㎕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소독제 시험구(처리구 5, 6)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소독제 900㎕를 혼합한 혼합액을 상온에 1분, 5분 각각 정치한 후, 혼합액 중 25㎕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배양 및 15분마다 흔들어 주었다. 2~5일 동안 배양 및 세포병변(CPE) 관찰을 수행하였다.
표 1과 같은 실험군 및 대조군에 따른 실험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소독제 시험구를 각각 1분, 5분 반응한 결과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99.99% 이상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2
도 7은 실험예 2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이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염 후 3일 후에 관찰한 결과, 양성대조군 및 중화액대조군과 달리, 1분 반응한 소독제시험구와, 5분 반응한 소독제시험구 모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멸한 것을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소독제(0.1 중량%) 1차 효능평가
평가 실험일(감염일), 실험예 1에서 준비한 세포 및 실시예 2에서 생산한 소독제(0.1 중량%)를 ABL3 내부로 반입하고, 다음 표 3과 같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구성하였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3
소독제대조(처리구 2)는, 실시예 2에서 생산한 소독제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중화액대조(처리구 3)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중화액 900㎕를 혼합한 혼합액 중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양성대조(처리구 4)는, SARS-CoV-2 바이러스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소독제 시험구(처리구 5, 6, 7)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소독제 900㎕를 혼합한 혼합액을 상온에 1분, 3분, 5분 각각 정치한 후, 혼합액 중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배양 및 15분마다 흔들어 주었다. 2~5일 동안 배양 및 세포병변(CPE) 관찰을 수행하였다.
표 3과 같은 실험군 및 대조군에 따른 실험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소독제 시험구를 각각 1분, 3분, 5분 반응한 결과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99.99% 이상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4
도 8은 실험예 3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이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염 후 3일 후에 관찰한 결과, 양성대조군 및 중화액대조군과 달리, 1분 반응한 소독제시험구, 3분 반응한 소독제시험구, 5분 반응한 소독제시험구 모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멸한 것을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소독제 원액접종 시 세포병변이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어 소독제독성에 대한 재실험이 요구되는바, 다음 실험예 4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4 - 소독제(0.1 중량%) 2차 효능평가
평가 실험일(감염일), 실험예 1에서 준비한 세포 및 실시예 2에서 생산한 소독제(0.1 중량%)를 ABL3 내부로 반입하고, 다음 표 5와 같이 실험군 및 대조군을 구성하였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5
소독제대조(처리구 2)는, 실시예 2에서 생산한 소독제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중화액대조(처리구 3)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중화액 900㎕를 혼합한 혼합액 중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양성대조(처리구 4)는, SARS-CoV-2 바이러스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소독제 시험구(처리구 5, 6)는, SARS-CoV-2 바이러스 100㎕와 소독제 900㎕를 혼합한 혼합액을 상온에 10초, 30초 각각 정치한 후, 혼합액 중 100㎕를 Vero E6 세포가 배양된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4회 반복 단계 희석하였다.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배양 및 15분마다 흔들어 주었다. 2~5일 동안 배양 및 세포병변(CPE) 관찰을 수행하였다.
표 5와 같은 실험군 및 대조군에 따른 실험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소독제 시험구를 각각 10초, 30초 반응한 결과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99.99% 이상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20144198711-pat00006
도 9는 실험예 4에 따른 항바이러스 시험 세포사진이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염 후 3일 후에 관찰한 결과, 양성대조군 및 중화액대조군과 달리, 10초 반응한 소독제시험구와, 30초 반응한 소독제시험구 모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멸한 것을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는, 0.1 중량%의 적은 양의 미네랄 칼슘을 함유한 소독액을 10초의 짧은 시간 동안 정치한 것만으로도 99.99% 이상의 코로나19 바이러스 사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반응 후 3~5일까지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손이나 물건에 분무하여 사용하는 경우 0.075 중량% ~ 0.15 중량%의 적은 배합 비율로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충분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 배합된 배합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소독제를 생산함으로써, 소독제가 다른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항바이러스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미네랄 칼슘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코로나19용 소독제를 제조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10: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단계
S120: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는 단계
S130: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하는 단계

Claims (8)

  1. 소독제 제조방법으로서,
    (1)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되, 산호, 패각, 풍화 퇴적된 산호 및 퇴적된 패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미네랄 칼슘을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되, 상기 미네랄 칼슘은 전체 배합물의 0.075 중량% ~ 0.15 중량%로 배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배합된 배합물로 소독제를 생산하되, 상기 배합물에서 침전물을 걸러내, 분무하여 사용하는 액상의 스프레이 소독제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1)에서는,
    (1-1) 산호, 패각, 풍화 퇴적된 산호 및 퇴적된 패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910℃~1000℃의 온도로 1차 소성하는 단계;
    (1-2) 1차 소성되어 형성되는 크링카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서냉하고, 상기 크링카 중에서 백색의 크링카만을 수집하여 소성된 원료를 분리하는 단계;
    (1-3) 상기 단계 (1-2)에서 분리된 상기 백색의 크링카를 500℃~700℃의 온도로 3~5시간 2차 소성하는 단계; 및
    (1-4) 2차 소성된 크링카를 -20℃~-60℃의 온도로 급랭하는 단계를 통해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고,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미네랄 칼슘을 초음파 분쇄를 통해 지름 50㎚ ~ 200㎚ 크기로 나노화하여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제조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캡슐화화여, 캡술화된 형태의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을 액상형 스프레이 소독제 원료와 배합하며,
    상기 단계 (2)의 소독제 원료는,
    정제수를 포함하며,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단계 (3)에서 생산된 상기 소독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되, 상기 소독제를 도포하고 마찰 시 상기 캡슐화된 형태의 나노화된 미네랄 칼슘이 마찰에 의해 깨지면서 항바이러스 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KR1020200189930A 2020-12-31 2020-12-31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30A KR102384297B1 (ko) 2020-12-31 2020-12-31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30A KR102384297B1 (ko) 2020-12-31 2020-12-31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297B1 true KR102384297B1 (ko) 2022-04-29

Family

ID=8142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930A KR102384297B1 (ko) 2020-12-31 2020-12-31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2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0A (ja) * 2000-02-18 2001-08-21 Hozawa Hiroki 滅ウィルス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9884A (ko) * 2007-03-12 2008-07-29 도쿄 나노 바이오테크날러지 가부시키가이샤 패각을 원료로 하는 항바이러스제
JP2009207947A (ja) * 2008-02-29 2009-09-17 Tamagawa Eizai Co Ltd ウイルス除去剤
KR20170035514A (ko) * 2015-09-23 2017-03-31 박수일 천연 살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442B1 (ko) * 2019-02-27 2020-02-03 임이종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77415B1 (ko) * 2020-05-11 2020-11-12 (주)듀라핌 패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용액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살균용 천연 항균용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0A (ja) * 2000-02-18 2001-08-21 Hozawa Hiroki 滅ウィルス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9884A (ko) * 2007-03-12 2008-07-29 도쿄 나노 바이오테크날러지 가부시키가이샤 패각을 원료로 하는 항바이러스제
JP2009207947A (ja) * 2008-02-29 2009-09-17 Tamagawa Eizai Co Ltd ウイルス除去剤
KR20170035514A (ko) * 2015-09-23 2017-03-31 박수일 천연 살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442B1 (ko) * 2019-02-27 2020-02-03 임이종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77415B1 (ko) * 2020-05-11 2020-11-12 (주)듀라핌 패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용액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살균용 천연 항균용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150065452A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CN108371191A (zh) 一种空气消毒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72442B1 (ko)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297B1 (ko) 미네랄 칼슘을 포함하는 코로나19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US6187324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Kumazasa extract and medicinal carbon
CN103083356B (zh) 抗敏消炎水
KR101785090B1 (ko) 수소수 혼합물의 제조 방법
KR20160022006A (ko)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459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CN104231709A (zh) 一种绿色环保型长效抗菌腻子及制造方法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CN104177902A (zh) 一种建筑内墙用龙涎香型生态腻子膏
KR101831523B1 (ko)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644868B1 (ko)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085370A (zh) 一种新型抗菌除臭粉
EP0379846B1 (en) Product for protecting, nourishing and treating the skin
KR960004496B1 (ko) 양파, 마늘 분말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JP6931437B1 (ja) 抗ウイルス溶液
CN104231710B (zh) 一种具有驱蚊虫功能的室内装饰用的找平腻子
KR101994300B1 (ko) 흑마늘 성분이 함유된 필오프형 연고제 조성물
KR100868640B1 (ko) 광물성 생약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9474A (ko) 화산회와 곡물을 이용한 기미·주근깨·잡티 제거용 팩 재료
KR102553206B1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20210136679A (ko) 미네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