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11B1 -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11B1
KR102383711B1 KR1020180149161A KR20180149161A KR102383711B1 KR 102383711 B1 KR102383711 B1 KR 102383711B1 KR 1020180149161 A KR1020180149161 A KR 1020180149161A KR 20180149161 A KR20180149161 A KR 20180149161A KR 102383711 B1 KR102383711 B1 KR 10238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edestal
tray
vibration damping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731A (ko
Inventor
문병욱
김태희
박인선
김재건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5374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6039A/ko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14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은,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복수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결속되고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들은 각각,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서로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거나, 한 쌍이 X자형으로 결속되거나, 일부가 사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트레이의 제진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는 배관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뉘어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며, 상기 트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을 이용하면, 상기 배관의 내진,제진 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for pip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다발의 소방배관 등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구조부재에 대한 내진 설계 개념은,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인명 안전이나 붕괴 방지 수준에서 건축구조물의 크고 작은 손상 및 상기 구조부재의 소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조부재는 마감재 등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지진 발생 후 손상된 구조 부재를 찾아내서 보수하는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에 부가적으로 제진장치를 설치하여, 제진 장치에 손상을 집중시키고 주요 구조부재의 소성 변형은 방지되도록 하여, 건축구조물의 보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내진 설계 개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지진 발생시 건물 붕괴가 방지되더라도 화재에 의한 인명, 재산 피해가 매우 크므로, 지진 후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소방관련 설비의 내진 설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축구조물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제진장치로는 브레이스(brace)나 댐퍼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지진 하중 발생으로 인한 횡하중과 종하중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횡하중 제진장치(122)와 종하중 제진장치(124)를 별도로 설계하여 좁고 복잡한 공간에서의 시공이 불리하며 가격 경쟁력이 낮다. 즉 하나의 트레이(110)마다 최소한 2개의 횡하중 제진장치(122)와 2개의 종하중 제진장치(124), 즉 최소한 4개의 제진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상기 트레이(110)의 양쪽 끝에 각각 상기 횡하중에 대비한 상기 제진장치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내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트레이(110)와 배관(100)을 결속하는 클램프의 체결 특성 상 상기 트레이(110)와 배관(100)의 종방향 결속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바 상기 트레이(110)의 양쪽 끝에 상기 종하중에 대비한 제진장치를 설치하더라도 내진 성능 확보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978호(공개일자;2016년6월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하중 발생으로 인한 횡하중 및 종하중을 함께 대비할 수 있도록 트레이의 배치 구조를 설계하여 소방배관 등의 배관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을 제공하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은,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복수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결속되고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들은 각각,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서로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고; 상기 각 트레이의 제진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는 배관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뉘어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며,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결속되는 트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들 중 일부는 상기 배관의 횡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트레이는, 상기 배관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결속하는 결속구 및, 상기 받침대를 천정 측에 메다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트레이의 제진장치는 상기 트레이의 양쪽 끝에 하나씩 결속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은,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복수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결속되고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종방향에 따른 복수 지점 중 적어도 일부 지점에는 한 쌍의 트레이가 X자형으로 결속되어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트레이의 제진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는 배관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나뉘어 상기 트레이에 결속되며,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결속되는 트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은,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복수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결속되며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의 사선부는 적어도 상기 배관이 결속되는 트레이의 중앙부분에 위치되거나 상기 배관을 중심으로 상기 배관의 양쪽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배관의 횡방향을 기준으로 그 사선 방향이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이웃한 트레이의 사선부와 반대되며; 상기 제진장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트레이의 사선부에 결속되며,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결속되는 트레이의 사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은, 건축구조물의 천정 측에 소방배관을 포함하여 다발로 설치되는 배관들,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각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복수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결속되고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들은, 각각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서로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거나, 서로 X자형으로 결속되는 한 쌍을 이루어 각각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각 트레이의 제진장치는 상기 트레이의 양쪽 끝에 각각 하나씩 결속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결속되는 트레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트레이가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아울러 제진장치 또한 트레이와 동일하게 사선 배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제진장치가 지진 발생으로 인한 횡방향 하중과 종방향 하중을 함께 제어할 수 있어 좁고 복잡한 공간에서도 시공이 용이하며 가격 경쟁력이 높고, 배관이 그 횡방향은 물론 종방향으로도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어 배관의 내진,제진 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방 목적 외 다른 배관들과 함께 다발로 설치되는 소방배관의 내진설계에 효율적이므로, 지진 발생시 소방배관의 파손을 방지하여 지진 발생으로 인한 화재 피해를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의 일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시스템이 설비된 건축구조물은, 건축구조물 내 천정 측에 설치되는 배관(10)과, 상기 배관(10)의 내진 성능 확보를 위한 제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10)은 어떠한 목적의 배관(10)이든 무방하다. 다만, 지진 발생시 화재 등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소방설비의 내진 설계가 매우 중요한 바, 무엇보다 상기 제진 시스템에 의해 소방배관(10)의 내진 성능이 확보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구조물의 천정 측에는 소방배관(10)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의 배관(10)들이 함께 설비되는 바, 상기 제진 시스템은 소방배관(10)과 하나의 다발을 이루는 배관(10)들의 내진 성능을 함께 향상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발의 배관(10)들은 상기 제진 시스템에 함께 결속될 수 있도록 배관(10)의 횡방향(L2), 즉 배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진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발을 이루는 소방배관(10) 및 다른 배관(10)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22,24,26,28) 및 제진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22,24,26,28)는 상기 다발의 배관(10)들 아래에서 상기 다발의 배관(10)들을 받치는 받침대(20a)와, 상기 받침대(20a)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a) 위에 설치되는 다발의 배관(10)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구(20b)와, 상기 받침대(20a)를 천정 측에 메달 수 있도록 천정 측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20a)에 결속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a)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다발의 배관(10)들을 한번에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속구(20b)는 상기 다발의 배관(10) 수에 맞춰 상기 한의 트레이(22,24,26,28)마다 하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경우 상기 받침대(20a)의 강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결속구(20b)는 상기 배관(10)을 결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을 감쌀 수 있는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c)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0a)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20a)와 이중 너트에 의해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2,24,26,28)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음과 같이 제1유형의 트레이(2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10)의 종방향(L1), 즉 상기 배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22)들은 각각 상기 받침대(20a) 전체가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θ)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10)의 종방향을 따라 이웃한 트레이(22)와 상기 배관(10)의 횡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사선 배치됨으로써 서로 상기 배관(10)의 종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유형의 트레이(22)의 사선 배치 각도는 지진 발생으로 인한 횡방향 하중 및 종방향 하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 정도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유형의 트레이(22)의 사선 배치 각도는 다양한 설비 조건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22,24,26,28)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음과 같이 제2유형의 트레이(2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10)의 종방향에 따른 복수 지점 중 적어도 일부 지점에는 한 쌍의 트레이(24)가 서로 X자형으로 결속되어 각각의 트레이(24)의 받침대(20a) 전체가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형의 트레이(24)의 사선 배치 각도 또한 45도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22,24,26,28)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음과 같이 제3유형의 트레이(26)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26)의 받침대(20a)는 전체가 아닌 일부만이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진장치(30)가 결속되는 사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트레이(26)의 받침대(20a)는 상기 트레이(26)의 받침대(20a)의 강축을 따라 중앙부분이 사선으로 배치되거나, 그 중앙부분이 상기 배관(10)의 횡방향으로 일자형으로 배치되고 그 나머지 양쪽 끝부분이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유형의 트레이(26)의 사선부 또한 그 사선 배치 각도가 45도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22,24,26,28)들 중 일부는 제4유형(28)으로서, 그 받침대(20a)가 종래와 같이 상기 배관(10)의 횡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트레이(22,24,26,28)들은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 배치되는 제1유형 내지 제3유형(22,24,26) 중 어느 하나의 유형만 선택되어 설비되거나, 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중 여러 유형이 혼합되어 설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진장치(30)는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브레이스(brace)나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을 감쇠시키는 댐퍼(damp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진장치(30)는 제진설계구조에 따라, 상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상기 브레이스와 댐퍼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장치(30)는 각각의 트레이(22,24,26,28)에 복수개가 쌍을 이루어 결속될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22,24,26,28)들 중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에 결속되는 경우 2개로도 충분히 지진 발생으로 인한 횡하중 및 종하중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진장치(30)는 상기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에 결속되는 경우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다발의 배관(10)을 중심으로 나뉘어 상기 트레이(22,24,26,28)의 양쪽 끝에 하나씩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진장치(30)는 상기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그 결속되는 트레이(22,24,26,28)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진장치(30)는 평면 또는 저면에서 볼 경우, 상기 트레이(22,24,26,28)의 받침대(20a)의 강축을 따라 그 연장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유형의 트레이(22,24,26,28)에 결속되는 제진장치(30)는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설치되거나, 4개가 한 쌍을 이루어 2개는 상기 배관(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나머지 2개는 상기 배관(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내 배관(10)의 제진 시스템의 작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의 종방향을 따라 복수 지점에서 상기 다발의 배관(10)들을 결속하는 트레이(22,24,26,28)들은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4유형(22,24,26,28) 중 여러 유형이 혼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에 결속되는 한 쌍의 제진장치(30)는 상기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내지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와 동일하게 상기 배관(10)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제1유형 내지 제4유형(22,24,26,28) 제3유형(22,24,26)의 트레이(22,24,26,28)에 결속되는 각각의 제진장치(30)는 상기 트레이(22,24,26,28)를 상기 배관(10)의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동시에 결속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로도 충분히 지진 발생으로 인한 횡방향 하중과 종방향 하중을 동시에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배관 20a; 받침대
20b; 결속구 20c; 지지부재
22,24,26,28; 트레이 30; 제진장치

Claims (7)

  1.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배관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결속하는 결속구, 및 상기 받침대를 천정 측에 매다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트레이 및,
    상기 각 받침대의 양 단부에 각각 결속되어 상기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의 받침대는 각각,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서로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연속되고;
    상기 제진장치가 상기 받침대의 각 단부에 결속되는 방향은,
    상기 트레이가 설치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트레이의 받침대의 강축을 따르는 연장선에 해당되고,
    상기 제진장치에 의하여, 지진에 의한 상기 배관의 종방향 하중 및 횡방향 하중이 제어되는,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2.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배관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결속하는 결속구, 및 상기 받침대를 천정 측에 매다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트레이 및,
    상기 각 받침대의 양 단부에 각각 결속되어 상기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종방향에 따른 복수 지점 중 적어도 일부 지점에는 한 쌍의 트레이의 받침대가 X자형으로 결속되어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진장치가 상기 받침대의 각 단부에 결속되는 방향은,
    상기 트레이가 설치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트레이의 받침대의 강축을 따르는 연장선에 해당되고,
    상기 제진장치에 의하여, 지진에 의한 상기 배관의 종방향 하중 및 횡방향 하중이 제어되는,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3.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상기 배관의 복수 지점에 결속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되, 상기 배관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결속하는 결속구, 및 상기 받침대를 천정 측에 매다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트레이 및,
    상기 각 받침대의 양 단부에 각각 결속되어 상기 천정 측에 지지되며, 브레이스와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지진 발생으로 인한 하중에 대응하는 제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 중 적어도 일부의 트레이의 받침대는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선부는 상기 배관을 중심으로 상기 배관의 양쪽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배관의 횡방향을 기준으로 그 사선 방향이 상기 배관의 종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이웃한 트레이의 받침대의 사선부와 반대되며;
    상기 제진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사선부에 결속되며, 상기 배관의 횡방향 및 종방향에 대하여 결속되는 받침대의 사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선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진장치에 의하여, 지진에 의한 상기 배관의 종방향 하중 및 횡방향 하중이 제어되는,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트레이들 중 일부는 상기 배관의 횡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9161A 2016-11-18 2018-11-2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KR10238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61A KR102383711B1 (ko) 2016-11-18 2018-11-2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48A KR20180056039A (ko) 2016-11-18 2016-11-1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KR1020180149161A KR102383711B1 (ko) 2016-11-18 2018-11-2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748A Division KR20180056039A (ko) 2016-11-18 2016-11-1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731A KR20180129731A (ko) 2018-12-05
KR102383711B1 true KR102383711B1 (ko) 2022-04-05

Family

ID=8118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61A KR102383711B1 (ko) 2016-11-18 2018-11-28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7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365B1 (ja) * 1998-06-16 1999-10-12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下げ支持装置及びその上部取付具、外れ防止具並びに斜め支持具
KR101216994B1 (ko) * 2012-11-01 2013-01-02 (주)새서울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62Y1 (ko) 2016-05-13 2018-04-23 김대식 내진용 챤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365B1 (ja) * 1998-06-16 1999-10-12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吊り下げ支持装置及びその上部取付具、外れ防止具並びに斜め支持具
KR101216994B1 (ko) * 2012-11-01 2013-01-02 (주)새서울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731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806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US10106979B2 (en) Seismic reinforcing device
KR101359561B1 (ko)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EP2937485A1 (en) Suspended ceiling comprising a system for supporting a load
KR101531206B1 (ko) 강재댐퍼와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US10718399B2 (en) Anti-vibration support system
JP5601847B2 (ja) 建物
KR102383711B1 (ko)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KR101289555B1 (ko) 내진기능을 구비한 함체
JP5866261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
JP2015025280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80056039A (ko) 건축구조물 내 배관의 제진 시스템
US9334997B1 (en) Pipe vibration control system
KR20120074097A (ko) 결합위치 가변 행어 및 이 행어가 적용된 천장틀 시스템.
JP6733098B1 (ja) 屋内空間部の天井用ネット又はシート、及び屋内空間部の天井用ネット又はシートの吊り張り方法
KR102152745B1 (ko)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버스덕트 지지대의 내진장치
KR102018001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JP6383532B2 (ja) 既存構造物の免震化方法
KR102651890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CN110402314B (zh) 支承流体导管的金属结构和具有这种金属结构的工业设备
JP7138426B2 (ja) 免震建物
KR101230056B1 (ko) 면진 가동플로어 구조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1099754B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