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670B1 -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70B1
KR102383670B1 KR1020210065539A KR20210065539A KR102383670B1 KR 102383670 B1 KR102383670 B1 KR 102383670B1 KR 1020210065539 A KR1020210065539 A KR 1020210065539A KR 20210065539 A KR20210065539 A KR 20210065539A KR 102383670 B1 KR102383670 B1 KR 10238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coupled
arm
scraper arm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06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6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two or more scrapers fixed at different heights on a central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센터케이지; 상기 센터케이지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래퍼 암; 및 상기 스크래퍼 암에 연결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크래퍼 암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A circular-type sludge collector with increasing removal efficiency of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효율을 증대시키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하지 않은 상태의 침전지의 바닥면과 이러한 바닥면 위로 이동되되 스크래퍼 암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이동되는 스크래퍼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형성된 일정한 공간에 슬러지가 적층되지만, 고정된 높이의 위치에서만 이동되는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되지 않아, 이러한 슬러지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나 팽화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미세플럭의 침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설비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활성오니를 이용한 분해 및 침전 단계, 그리고 침전 단계에서 걸러진 상등수를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호기성 박테리아를 번식시키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된 이후에는 2차 침전지에서 상등수를 재분리하고, 다시 3차 침전지나 여과지를 통과한 최상등수를 약품 처리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상하수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처리 설비에서 원수 내의 부유물을 제거하거나 활성오니를 이용하여 폐수를 분해할 때는 슬러지(침전물 혹은 거품)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슬러지의 제거 혹은 수집을 위해 슬러지 수집기가 사용된다.
슬러지 수집기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 장방형 슬러지 수집기 등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으며, 장방형 슬러지 수집기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우수하여 대형 하수처리장, 정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에 적용되나,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원형 슬러지 수집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중소 규모의 상하수 처리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원형 침전지의 바닥면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넓은 바닥면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넓은 면적의 바닥면은 중앙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넓은 면적의 바닥면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됨에 따라, 침전지의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대한 평평도를 맞춘다 하더라도 어느 한 부분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 부분에서는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잔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평평하지 않은 상태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래퍼가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적층된 슬러지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높이에서만 일정하게 이동되는 스크래퍼와 평평하지 않은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일정한 공간에 적층된 슬러지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침전지 내의 악취 및 팽화 현상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나아가,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서 센터케이지, 스크래퍼 암 및 스크래퍼가 회전됨에 따라 침전지 내의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난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에 따라 미세플럭이 침강되지 않고 다시 부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실정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를 설명한다.
원형 슬러지 수집기는 원형 침전지의 바닥면(10)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스크래퍼(40), 스크래퍼(40)가 결합된 스크래퍼 암(30), 스크래퍼 암(30)을 회전이동시키는 센터케이지(20), 센터케이지(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및 구동축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스크래퍼 암(30)의 하단에 결합된 스크래퍼(40)가 바닥면(10)에 근접하여 위치된 상태이다. 센터케이지(20)에 고정결합되어 상하이동의 여유가 없는 상태의 스크래퍼 암(30)에서, 이러한 스크래퍼 암(30)에 고정결합된 스크래퍼(40) 또한 상하이동의 여유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평평하지 않은 상태의 바닥면(10) 위로 스크래퍼(40)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만 이동됨에 따라, 스크래퍼(40)의 하단이 적어도 바닥면(10)에서 돌출된 부분에 접촉할 정도로 위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바닥면(10)에서 아래로 파인 부분이나 높이 차이로 발생되는 단턱진 부분 등에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에서는 미세플럭의 침강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침전지 내의 물의 흐름을 가이드할 어떠한 기술적 특징도 개시하고 있지 않아, 여전히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이 예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10-2025700 B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으로 인하여 고정된 높이에서만 이동되는 스크래퍼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아 적층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서 침전지 내의 물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을 최대한 정류 형태로 하여 미세플럭의 침강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는, 센터케이지(200); 상기 센터케이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래퍼 암(300); 및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 연결되는 스크래퍼(4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400)는 상기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452)이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 결합되고, 타측(454)이 상기 스크래퍼(400)에 결합되는 연결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대(45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래퍼 암(300)과 상기 스크래퍼(400)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대의 일측(452)이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래퍼(400)에 결합된 휠(4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휠(410)이 상기 스크래퍼(400)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휠(410)의 하단은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이거나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452)은 상기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측(454)이 상기 스크래퍼(4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암(300)은 상기 센터케이지(200)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는 침전지 내의 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층층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베인(5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유선형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스크래퍼 암이 센터케이지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연장된 상태에서,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을 따라 스크래퍼가 일정 정도의 범위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는 바, 침전지의 바닥면에서 평평하지 않은 부분까지 스크래퍼가 이동되어 적층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하지 않은 부분에 제거되지 않은 슬러지가 적층되어 발생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래퍼 암에 배치된 가이드베인으로 인하여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이 일정한 정류 형태의 흐름으로 가이드되는 바, 난류 형태의 물에 흐름에 따른 미세플럭의 부상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퍼 암과 스크래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퍼 암과 스크래퍼의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의 바닥면(100), 구동부(160), 센터케이지(200), 스크래퍼 암(300) 및 스크래퍼(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유동관(120)을 통해 원수가 침전지 내로 유입되고, 침전지의 바닥면(100)의 중앙 부분에 수집된 슬러지는 슬러지유동관(140)을 통해 침전지의 외부로 배출된다.
구동부(160)의 구동력이 구동축에 전달되고, 센터케이지(200)에 전달되어 센터케이지(20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터케이지(200)가 회전됨에 따라 센터케이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래퍼 암(300)이 회전되고, 스크래퍼 암(300)에 연결된 스크래퍼(400)가 침전지의 바닥면(100)을 따라 이동되면서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모으면서 수집한다.
스크래퍼 암(300)이 센터케이지(200)의 하부에 결합된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슬러지 수집기에서는 센테케이지(200)의 하부보다 더 높은 위치의 센테케이지(200)의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래퍼 암(300)은 센테케이지(200)의 중앙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퍼(400)는 스크래퍼 암(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크래퍼 암(3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스크래퍼 암(300)의 끌어 당김에 따라 스크래퍼(400)가 침전지의 바닥면(1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래퍼(400)는 침전지의 바닥면(100) 상에 위치되어 침전지의 바닥면(100)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모아 수집할 수 있다. 스크래퍼(400)에 수집된 슬러지는 스크래퍼(400)의 이동에 따라 경사진 침전지의 바닥면(100)을 따라 이동되면서 결국 침전지의 바닥면(100)의 중앙 부분으로 수집되어지고, 이후 슬러지유동관(140)을 거쳐 침전지의 외부인 별도의 사용처로 배출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300)이 센터케이지(200)의 중앙 부분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400)는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300)은 센터케이지(200)의 중앙을 중앙으로 하여 서로 수직된 4개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 암(300)에는 후술할 가이드베인(500)이 배치되는 바, 침전지 내에서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을 일정한 정류 형태로 가이드하여 미세플럭의 침강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일방의 스크래퍼 암(300)과 이와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된 다른 일방의 스크래퍼 암(300)은 턴버클(320)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300)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스크래퍼(400)와 스크래퍼 암(300)은 연결대(45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45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정한 간격을 둔 스크래퍼(400)와 스크래퍼 암(300) 사이가 연결대(450)에 의해 연결되어, 스크래퍼 암(300)의 구동력이 연결대(450)를 거쳐 스크래퍼(400)에 전달됨에 따라 스크래퍼(400)가 침전지의 바닥면(10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연결대의 일측(452)이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연결대의 타측(454)이 스크래퍼(40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대의 일측(452)이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연결대의 타측(454)이 스크래퍼(400)의 상단에 결합되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450)는 센터케이지(200)가 위치되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스크래퍼 암(300)과 스크래퍼(4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스크래퍼 암(300)에서 바로 수직 방향의 아래에 스크래퍼(400)가 위치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스크래퍼 암(3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스크래퍼 암(300)이 앞에 위치되고 스크래퍼(400)가 뒤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크래퍼 암(300)이 뒤쪽에 위치된 스크래퍼(400)를 끌고 가면서 이동될 수 있다.
센터케이지(20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래퍼 암(300)과 높이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뒤쪽에 위치된 스크래퍼(400)는 이러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 연결대(450)에 의해 스크래퍼 암(3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300)은 센테케이지(20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되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 상에서 이동되는 스크래퍼(400)의 상하이동이 필요하지만, 센터케이지(200)의 중앙부분에 고정결합된 스크래퍼 암(300)은 상하이동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된 연결대의 일측(452)이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정된 높이에서 이동되는 스크래퍼 암(300)에 불구하고, 스크래퍼(400)는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을 따라 이동하되 이러한 연결대(450)에 의해 상하이동의 여지가 있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위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을 따라 스크래퍼(400)가 스크래퍼 암(300)의 끌어당김에 의해 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고정결합된 상태의 스크래퍼 암(300)과 스크래퍼(400) 사이의 높이에 따른 간격이 좁아지면서, 연결대의 일측(452)이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되, 연결대의 타측(454)이 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대(450)의 말단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도 6 (a) 참조).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을 따라 스크래퍼(400)가 스크래퍼(400)의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크래퍼 암(300)과 스크래퍼(400) 사이의 좁아진 간격이 커지면서, 연결대의 일측(452)이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되, 연결대의 타측(454)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대(450)의 말단부분이 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도 6 (b) 참조).
이에 따라, 스크래퍼 암(300)이 센테케이지(200)에 고정결합되더라도,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대의 일측(452)이 회전됨에 따라(이에 따라 연결대(450)의 경사진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스크래퍼 암(3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퍼(400)가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스크래퍼 암(300)을 따라 전진 이동될 수 있다(도 6 참조).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에서 바닥의 높이 차이가 형성된 부분에 적층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래퍼(400)의 후면부에 휠(wheel)(41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휠(410)의 하단은 스크래퍼(40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거나 스크래퍼(4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에서 스크래퍼(400)가 원할하게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휠(410)의 하단이 스크래퍼(400)의 하단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스크래퍼(400)의 하단과 침전지의 바닥면(100) 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침전지의 바닥면(100) 상에서 스크래퍼(40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스크래퍼(400)의 하단이 침전지의 바닥면(100)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이나 마모 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평평하지 않은 침전지의 바닥면(100)에 스크래퍼(400)의 하단이 걸리면서 스크래퍼(400)의 이동이 중단되는 문제점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400)은 일정한 높이와 공간을 차지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스크래퍼 암(400)의 내측에는 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베인(500)이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은 1열 내지 4열 등 다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열에는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이 층층히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베인(5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유선형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베인(5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뒤쪽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래퍼 암(300)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서, 스크래퍼 암(300)이 이동되면서 가이드베인(500)에 접촉되는 난류 형태의 물 흐름은 이러한 곡면 형태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일정한 정류 형태의 흐름으로 변화될 수 있다. 침전지 내의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이 일정한 정류 형태의 흐름으로 변화됨에 따라 미세플럭이 재부상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세플럭의 침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어느 한 열에서 층층이 위치된 가이드베인(500)의 개수는 센터케이지(200)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적어질 수 있다. 일례로, 센터케이지(200)에 근접한 1열 및 2열에는 4개의 가이드베인(500)이 층층이 위치될 수 있지만, 센터케이지(200)로부터 멀어지는 3열에서는 3개의 가이드베인(500)이 층층이 위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 암(300)이 센터케이지(20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바, 센터케이지(200)로부터 외측에 위치된 스크래퍼 암(300) 부분의 회전속도는 센터케이지(200)에 근접한 스크래퍼 암(300)의 부분보다 회전속도가 더 빨라진다.
이에 따라, 외측 부분에 동일한 개수의 가이드베인(500)이 배치되는 경우,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가이드베인(500)에 난류 형태의 물이 접촉됨에 따라, 물의 흐름이 더욱 빨리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정류 형태가 아닌 난류 형태의 물의 흐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크래퍼 암(30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되는 가이드베인(500)의 개수를 달리 할 필요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침전지의 바닥면
120: 원수유동관 140: 슬러지유동관
160: 구동부
200: 센터케이지
300: 스크래퍼 암
320: 턴버클
400: 스크래퍼
410: 휠 450: 연결대 452: 연결대의 일측 454: 연결대의 타측
500: 가이드베인

Claims (5)

  1. 센터케이지(200);
    상기 센터케이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래퍼 암(300);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 연결되는 스크래퍼(400); 및
    상기 스크래퍼(400)가 상기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452)이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 결합되고, 타측(454)이 상기 스크래퍼(400)에 결합되는 연결대(45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의 일측(452)은 상기 스크래퍼 암(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측(454)이 상기 스크래퍼(4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암(300)은 상기 센터케이지(200)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퍼 암(300)에는 침전지 내의 물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베인(5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층층이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베인(5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유선형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450)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스크래퍼 암(300)과 상기 스크래퍼(400)를 연결하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400)에 결합된 휠(4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휠(410)이 상기 스크래퍼(400)의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휠(410)의 하단은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이거나 상기 스크래퍼(4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되는 원형 슬러지 수집기.
  5. 삭제
KR1020210065539A 2021-05-21 2021-05-21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38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39A KR102383670B1 (ko) 2021-05-21 2021-05-21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539A KR102383670B1 (ko) 2021-05-21 2021-05-21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70B1 true KR102383670B1 (ko) 2022-04-08

Family

ID=8118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539A KR102383670B1 (ko) 2021-05-21 2021-05-21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110U (ja) * 1981-11-25 1983-05-26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中心駆動型汚泥掻寄機
US4390429A (en) * 1980-11-20 1983-06-28 Societe Anonyme Dite: Alstrom-Atlantique Decanter for decanting a fluid
KR20080038742A (ko) * 2006-10-31 2008-05-07 (주)덕성엔지니어링 침전지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143794B1 (ko) * 2019-11-01 2020-08-12 한석진 유지관리 편의성과 수집기능이 개선된 슬러지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429A (en) * 1980-11-20 1983-06-28 Societe Anonyme Dite: Alstrom-Atlantique Decanter for decanting a fluid
JPS5878110U (ja) * 1981-11-25 1983-05-26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中心駆動型汚泥掻寄機
KR20080038742A (ko) * 2006-10-31 2008-05-07 (주)덕성엔지니어링 침전지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143794B1 (ko) * 2019-11-01 2020-08-12 한석진 유지관리 편의성과 수집기능이 개선된 슬러지 수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6422A (en) Compact clarifier system for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US6174434B1 (en) Three zone dissolved air floatation clarifier with fixed lamellae and improved paddle-and-ramp sludge removal system
CA2697333C (en) Sedimentation basin for sewage treatment plants
CN105417904B (zh) 通沟污泥淘洗分离及污水处理回用方法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KR101162064B1 (ko)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US5846413A (en) Three zone dissolved air flotation clarifier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0395184Y1 (ko)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US4193877A (en) Apparatus for clarifying liquid
JPH08500282A (ja) 薄板式浄水装置及び方法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2383670B1 (ko) 슬러지 제거효율이 증대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0620102B1 (ko)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Shammas et al. Sedimentation
JP2004230348A (ja) 濾過装置
KR100658144B1 (ko)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CN109248475A (zh) 一种卷带式沉淀池
CN115124160A (zh) 一种河道水质旁路净化处理工艺
CN212269483U (zh) 一种格栅自动清洗装置
CN1118435C (zh) 水处理装置
KR100797651B1 (ko) 침전조의 고속멀티 경사판
US3733272A (en) Circular flotation system
Gantz et al. Equalization and primary treatment
KR102624472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CN220976755U (zh) 一种便于移动的分散式污水处理集成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