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59B1 -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 Google Patents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59B1
KR102383059B1 KR1020200064234A KR20200064234A KR102383059B1 KR 102383059 B1 KR102383059 B1 KR 102383059B1 KR 1020200064234 A KR1020200064234 A KR 1020200064234A KR 20200064234 A KR20200064234 A KR 20200064234A KR 102383059 B1 KR102383059 B1 KR 10238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lock
release paper
plate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7273A (en
Inventor
이승현
강민기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디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시스 filed Critical (주)디오시스
Priority to KR102020006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59B1/en
Publication of KR2021014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1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5Rotary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패드시트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시트롤을 갖추어 상기 패드시트를 일방향으로 풀림공급하는 풀림축 ; 상기 패드가 박리된 이형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형지를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는 감김축 ; 상기 풀림축과 감김축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림축으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가 상부면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안내되고, 선단이 접해지는 이형지를 상기 감김축 측으로 향하여 예각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박리용 안내판 ;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되는 패드가 상부면에 올려지는 복수개의 패드블럭 ; 상기 복수개의 패드와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핀을 외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는 회전체 ; 상기 패드블럭을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패드블럭에 올려진 복수개의 패드의 각 상부면과 상기 복수개의 누름핀의 각 선단이 접하여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이형지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인접하는 다른 패드로부터 완전분리하여 픽업한다.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s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heet roll in which the pad sheet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and an unwinding shaft for unwinding and supplying the pad sheet in one direction; a winding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lease paper from which the pad is peeled to wind the release paper in the form of a roll; A peeling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shaft and the take-up shaft, and the pad sheet supplied unwinding from the unwinding shaf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guided in one direction, and the release paper, the tip of which is in contact, is directed toward the take-up shaft at an acute angle. for information boards ; a plurality of pad blocks on which pads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are placed on an upper surface; a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ds one-to-on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a first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move the pad block closer to or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A second actua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ad blocks and the respective tip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ssurize or spaced apart are included, the release paper The pad peeled off from one side of the pad block and placed on the pad block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ther adjacent pads and picked up.

Description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안티노이즈 패드를 분리하여 픽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음발생원과 조립되는 구성품에 부착되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패드를 이형지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패드를 픽업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and picking up an anti-noise pad, and more particularly, a pad that is attached to a noise source and a component to be assembled and absorbs vibration and shock generated between them to prevent noise from being stably removed from a release paper. It relates to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that separates and picks up the separated pads.

일반적으로, 자동차 캐빈의 패널과 같은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의 조립에 관한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각 부품의 고정, 조립요소의 설계 및 적절한 구성, 각 부품 사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완벽한 결합 및 조립의 보장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the automobile industry related to the assembly of various plastic parts such as panels of automobile cabins, the securing of each part, the design and proper configuration of assembly elements, and the guarantee of perfect bonding and assembly to prevent movement between each part need.

이처럼 각 부품의 완벽한 조립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어셈블리 부품 사이의 유동을 최소화해야만 하지만 결합된 부품들 사이에는 항상 접촉면이 생성되고 고정, 커플링 및 조립요소가 고도로 완성 되었다하더라도 차량의 이동시 발생하는 롤링 및 도로의 조건으로부터 마찰과 소음이 발생한다. As such, to ensure the perfect assembly of each part, the flow between each assembly part must be minimized. However, a contact surface is always created between the combined parts, and even if the fixing, coupling, and assembly elements are highly completed, the rolling that occurs during vehicle movement and friction and noise from road conditions.

이러한 마찰 및 소음에 기인하여 소비자는 불편해 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을 낮은 품질의 제품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구매자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Due to such friction and noise, consumers may be uncomfor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satisfaction with the purchaser while recognizing the vehicle as a low-quality product.

이에 따라, 차량 운전시 부품간의 유격에서 불가피하는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발생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재로서 마찰과 소음을 일으키는 부품 사이의 접촉면 또는 각 부품의 표면에 부직포와 같은 흡음부재의 일면에 접착면을 구비하는 안티 노이즈 패드(이하 패드이라함.)를 부착하여 차량을 완성제조하게 된다. Accordingly, as a cushion member made of a material that absorbs shock and noise as one way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occurrence of shock and noise that are inevitable in the gap between parts when driving a vehicl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arts causing friction and noise, or An anti-noise p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d.) having an adhesive surface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sound-absorbing member such as a non-woven fabric on the surface of each part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of the vehicle.

(특허문헌 1) KR10-0302152 B1 (Patent Document 1) KR10-0302152 B1

특허문헌 1에는 패드의 박리시 패드 손실됨이 없고, 그 폭이 좁으나마 거의 완전 박리되게 하여 작업자가 보다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에도 가열을 통한 강한 접착력으로 불량발생이 방지되는 도어래치 부착용 패드 박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no pad loss when the pad is peeled, and although the width is narrow, it is almost completely peeled off so that the operator can remove it more easily, and even in winter, the pad for attaching the door latch prevents defects due to strong adhesion through heating even in winter. A peeling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패드 박리장치는 이형지에 부착된 패드를 박리하는 과정에서 이형지로부터 패드를 분리하는 공정은 불량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은 있지만,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패드와 패드들사이의 절취선을 경계로 하여 이들사이를 완벽하게 절단분리하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정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However, the pad peel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ad from the release paper in the process of peeling the pad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is smoothly performed without defects, but between the pad and the pads made of a fiber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There was a frequent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completely cut and separate between the perforated lines as a boundary, resulting in process defects.

또한, 작업자가 이형지로부터 분리된 패드를 수작업으로 차량의 부품에 부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er has to manually attach the pad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to the vehicle par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overall work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work load of the worker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절취선에 의해서 예비절단된 패드를 이형지로부터 완벽하게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이형지로부터 개별분리된 패드를 픽업하는 공정과 픽업된 패드를 조립품에 부착하는 공정을 연동하여 자동화할 수 있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is to completely and individually separate the pre-cut pads from the release paper by the perforation line,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individually separated pads from the release paper, and the picked-up pa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that can be automated by interlock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o the assembly.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형지의 일면에 띠형태로 부착된 복수개의 패드가 절취선을 경계로 예비절단된 패드시트로부터 복수개의 패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패드를 픽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시트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시트롤을 갖추어 상기 패드시트를 일방향으로 풀림공급하는 풀림축 ; 상기 패드가 박리된 이형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형지를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는 감김축 ; 상기 풀림축과 감김축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림축으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가 상부면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안내되고, 선단이 접해지는 이형지를 상기 감김축 측으로 향하여 예각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박리용 안내판 ;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되는 패드가 상부면에 올려지는 복수개의 패드블럭 ; 상기 복수개의 패드와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핀을 외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는 회전체 ; 상기 패드블럭을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패드블럭에 올려진 복수개의 패드의 각 상부면과 상기 복수개의 누름핀의 각 선단이 접하여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이형지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인접하는 다른 패드로부터 완전분리하여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separates a plurality of pads from a pad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ads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release paper in the form of a band are pre-cut with a perforation line as a boundary, and , An apparatus for picking up a separated pad, comprising: an unwinding shaft having a sheet roll wound in the form of a roll to unwind and supply the pad sheet in one direction; a winding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lease paper from which the pad is peeled off and winding the release paper in the form of a roll; A peeling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shaft and the take-up shaft, and the pad sheet supplied unwinding from the unwinding shaf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guided in one direction, and the release paper, the tip of which is in contact, is directed toward the take-up shaft at an acute angle. for information boards ; a plurality of pad blocks on which pads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are placed on an upper surface; a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ds one-to-on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a first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move the pad block closer to or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A second actua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ad blocks and the respective tip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ssurize or spaced apart are included, the release paper It provides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peeled off from one surface of the pad and mounted on the pad block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other adjacent pads and picked up.

이때, 상기 박리용 안내판의 상부면 선단 양측에는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 양측테두리와 접해지면서 안내하는 에지 가이더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may be provided with an edge guider for guiding while in contact with both edges of the release paper of the pad sheet.

이때, 상기 패드가 올려지는 패드블럭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드의 픽업시 상기 패드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토출홀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on which the pad is mounte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for spraying air toward the pad when the pad is picked up.

이때, 상기 패드블럭은 일정길이를 갖는 상부지지바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바의 하단은 블럭지지판의 장착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럭지지판은 고정판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판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바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패드블럭과 블럭지지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패드블럭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d block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having a certain leng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is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block support plate, and the block support plate is slidably assembled to the fixed plat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lower support bars fixedly installed on the moving plate, and between the pad block and the block support plate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ad block upward.

이때, 상기 누름핀은 누름판의 자유단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공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의 고정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pin may be replaced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formed through a free end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fixed end of the pressing plate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이때, 상기 제1엑추에이터는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과 연결부재를 매개로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고정판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ctuator includes at least one cylinder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by connecting the rod end to the moving plate through which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are fixedly installed and a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The slider provided in the can be slidably assembled to the rai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이때, 상기 제2엑추에이터는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수직고정판의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구동회전축과 일단이 연결된 회전체의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타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2수직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조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ctuator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ixed plate provided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on which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are fixedly installed, and the driving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actuator and one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whole may be assembled by being rotatably supported by a second vertical fixing plat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late.

이때,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픽업하는 픽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부는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픽업하는 픽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부는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일정각도 분할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내외부관과, 상기 안내외부관의 내부공에 일단이 대응삽입되어 방사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드의 외면과 접하여 진공흡착하는 흡착블럭 및 상기 안내외부관과 흡착블럭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블럭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actuator includes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the pickup unit includes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and the pickup uni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rotating plate which is divid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plate, a plurality of outer guide tubes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rotating plate,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outer guide tube to be assemb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It includes an actuating bar, an adsorption block mounted on the end of the actuating bar for vacuum adsorp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and a second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guide outer tube and the adsorption block to elastically support the adsorption block to the outside. can do.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절취선에 의해서 예비절단된 패드를 이형지로부터 1차 박리하여 패드블럭에 올려놓은 다음, 임시적인 가압고정력에 의해서 임시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강제이동시킴으로써, 절취선을 경계로 서로 연결된 패드를 개별적으로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형지로부터 개별분리된 패드를 불량없이 픽업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패드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공정과, 패드를 픽업하여 조립품에 부착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The pads pre-cut by the perforation line are first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and placed on the pad block, and then the pads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perforation line are individually perfected by forcibly moving the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of being temporarily fixed by the temporary pressing and fixing force. Since the pads can be separated easily and individually separated pads from the release paper can be picked up without defects,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ad that absorbs vibration and shock from the release paper and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pad and attaching it to the assembly are continuously automated.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일반적인 안티노이즈 패드가 절취선을 경계로 예비절단되어 이형지의 일면에 띠형태로 부착된 패드시트 및 패드시트가 권취된 시트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에 구비되는 풀림축, 감김축, 박리용 안내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에 구비되는 패드블럭, 회전체,누름핀 및 제1,2엑추에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에 구비되는 픽업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에 구비되는 픽업부의 흡착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h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의 공정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d sheet in which a general anti-noise pad is pre-cut along a perforation line and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release paper in the form of a strip and a sheet in which the pad sheet is wound.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n unwinding shaft, a winding shaft, and a guide plate for peeling provided in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ad block, a rotating body, a pressing pin, and first and second actuators provided in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pickup unit provided in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dsorption block of a pickup unit provided in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H are process state diagrams of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바람직 실시예에 따른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100)는 도 2a, 도 2b, 도 3, 도 4a, 도 4b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지(2)의 일면에 띠형태로 부착된 패드(1)가 절취선(3)을 경계로 예비절단되어 구비되는 패드시트(4)의 이형지로부터 각각의 패드를 개별적으로 완벽하게 분리하고, 조립품의 내면에 부착하는 공정 이전에 분리된 패드(1)를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풀림축(11), 감김축(12), 박리용 안내판(20), 패드블럭(30), 회전체(40), 제1,2엑추에이터(50.60) 및 픽업부(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2B, 3, 4A, 4B and 5,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ip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2 Each pad is individually and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of the pad sheet 4 provided with the pad 1 attached in the form of a pre-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3, and separated before the process of attach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Unwinding shaft 11, winding shaft 12, guide plate for peeling 20, pad block 30, rotating body 40, first and second actuators 50.60 so that the pad (1) can be stably picked up. ) and a pickup unit 70 may be included.

상기 풀림축(11)은 상기 패드시트(4)가 일정길이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시트롤(R)을 갖추어 미도시된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서 상기 시트롤로부터 일방향으로 서서히 풀려지는 패드시트(4)를 풀림공급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다. The release shaft 11 is provided with a seat roll (R) on which the pad sheet 4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of a certain length, and the pad sheet 4 is slowly released from the seat roll in one direction by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not shown). ) is a shaft member of a certain length that unwinds and supplies.

상기 감김축(12)은 상기 패드(1)가 일면으로부터 박리된 이형지(2)를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면서 수거하도록 미도시된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서 일방향인 감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다.The winding shaft 12 is a shaft of a certain length that is rotated in one winding direction by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not shown) to collect the release paper 2 peeled from one side of the pad 1 while winding it in a roll form. is absent

이러한 감김축(12)에는 상기 패드가 박리되어 분리되어 수거되는 이형지(2)의 선단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이형지 고정클립(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elease paper fixing clip 14 for elastically fixing the tip of the release paper 2 from which the pad is peeled off and collected on the winding shaft 12 .

상기 풀림축(11)의 일단과 감김축(12)의 일단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판(19)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판(18)과 서로 다른 높이차이를 두고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One end of the unwinding shaft 11 and one end of the winding shaft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different height difference from the vertical plate 18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9 fixed to the ground. placed side by side

상기 박리용 안내판(20)은 상기 풀림축(11)에 구비된 시트롤(R)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4)가 상부면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선단이 접해지는 패드시트의 이형지(2)를 상기 감김축(12) 측으로 향하여 대략 예각으로 급격하게 방향전환시키는 판부재이다. The guide plate for peeling 20 is a release paper ( 2) is a plate member that abruptly changes direction toward the winding shaft 12 at an approximately acute angle.

이러한 박리용 안내판(20)은 도면상 상부 측에 위치하는 풀림축(11)과 하부 측에 위치하는 감김축(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풀림축(11)으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4)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일면에 패드(1)가 띠형태로 연속하여 부착된 이형지(2)를 급격하게 방향전환시킴으로써 상기 패드블럭(30)과 마주하는 박리용 안내판(20)의 뾰족한 선단에서 절취선(3)을 경계로 이형지의 일면에 부착된 패드(1)를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절취선을 경계로 예비절단된 패드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peeling guide plate 20 is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shaft 11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winding shaft 12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and the pad sheet supplied unwound from the unwinding shaft 11 ( 4) The sharp tip of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facing the pad block 30 by rapid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lease paper 2 to which the pad 1 is continuously attached to one side in the form of a band while guiding the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pad 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can be peeled off with the perforated line 3 as the boundary, the pre-cut pad and the release paper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the perforated line as the boundary.

상기 박리용 안내판(20)의 일측단은 상기 풀림축(11)과 감김축(12)의 각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수직판(18)과 연결되어 대략 수평하게 고정설치된다.One end of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is connected to a vertical plate 18 to which each end of the unwinding shaft 11 and the winding shaft 12 is connected and fixedly installed, and is approximately horizontally fixedly installed.

상기 풀림축(11)과 박리용 안내판(20)과의 사이에는 상기 풀림축(11)에 장착된 시트롤(R)에 인접하여 상기 풀림축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핀치롤(13)을 포함한다. At least one upper pinch roll ( 13) is included.

상기 시트롤(R)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4)는 상기 상부핀치롤(13)의 외부면에 외접하면서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2)의 타면인 하면이 박리용 안내판(20)의 상부면에 접해지면서 상기 패드블럭 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한다. The pad sheet 4 supplied to be unwound from the sheet roll R has a lower surface that is the other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2 of the pad sheet while circumscrib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inch roll 13 is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It guides so as to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pad block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상기 박리용 안내판(20)의 직하부에는 상기 패드가 분리된 이형지(2)를 감김축으로 안내하는 하부핀치롤(22)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핀치롤(22)과 상기 감김축(12)과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핀치롤과 외접하여 일방향 진행하는 이형지(2)를 상기 감김축(12) 측으로 맞물림 안내하는 제1,2하부롤(23,2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ower pinch roll 22 for guiding the release paper 2 from which the pad is separated to a take-up shaft is provided under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the lower pinch roll 22 and the take-up shaft 1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first and second lower rolls 23 and 24 for engaging and guiding the release paper 2 running in one direction in outer contact with the lower pinch roll to the take-up shaft 12 side.

상기 제1하부롤(23)의 양단은 상기 감김축과 풀림축의 각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수직판(18)과, 이에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다른 수직판(23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하부롤(24)의 양단은 상기 수직판(18)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롤러블럭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first lower roll 23 are a vertical plate 18 to which one end of the winding shaft and the unwinding shaft are fixed, and another vertical plate 23a vertical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so as to be parallel thereto.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 and both ends of the second lower roll 24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roller block having one end fixed to the vertical plate 18 .

또한, 상기 박리용 안내판(20)의 상부면 선단 양측에는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 양측테두리와 접하여 박리용 안내판으로부터 패드시트가 벗어나는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형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에지 가이더(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guide plate 20 for peeling, an edge guider 21 for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of the release paper while preventing the pad sheet from departing from the release guide plate in contact with both edges of the release paper of the pad sheet. It is preferable to have

이에 따라, 상기 풀림축의 시트롤에서 박리용 안내판(20) 측으로 안내이동되는 패드시트(4)는 상기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접하여 감김축 측으로 급격하게 방향전환되면서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2)는 상기 하부핀치롤 및 제1,2하부롤에 의해서 상기 감김축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는 반면에, 상기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서 상기 패드는 이형지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이형지와 분리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ad sheet 4 guided and moved from the sheet roll of the unwinding shaft to the peeling guide plate 20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eeling guide plate and abruptly changed to the winding shaft side, and the release paper 2 of the pad sheet is On the other hand, the pad at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while being peeled off from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while being wound in the form of a roll on the winding shaft by the lower pinch roll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rolls.

상기 패드블럭(30)은 상기 박리형 안내판(20)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형지(2)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이형지로부터 분리되는 패드(1)가 상부면에 올려져 배치되는 것이다. The pad block 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peelable guide plate 20 so that the pad 1 peeled off from on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2 and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30 .

상기 이형지(2)로부터 박리되는 패드(1)가 올려지는 패드블럭(30)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드의 픽업시 상기 패드의 접착면이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부착되지 않고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미도시된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패드의 접착면 측으로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토출홀(31)을 구비하는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30 on which the pad 1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2 is placed is not shown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d is not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and is smoothly separated when the pad is picked up. It is to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31 that ar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line and spray air towar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d.

상기 복수개의 에어토출홀은 상기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일자형 장홈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a straight long groove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여기서, 상기 패드블럭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되면서 진행되는 패드(1)의 선단과 접해지는 걸림턱을 상부면 일측에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상부면에는 상기 픽업부에 의한 패드의 픽업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패드의 접착면과 부분적으로 접하여 접착력을 저하시키도록 돌기를 형성하거나 상기 패드의 접착면이 부착되지 않도록 특수소재로 코팅처리되는 코팅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a locking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ad 1, which is peeled off from the release pap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pickup unit Forming a protrusion to partially conta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ad to reduce the adhesive force so that the pickup process of the pad by it is preferable

이러한 패드블럭(30)은 일정길이를 갖는 상부지지바(32)의 상단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바(32)의 하단은 블럭지지판(33)의 장착공을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럭지지판(33)은 상기 베이스판이나 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51)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판(56)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바(34)의 상단과 결합되어 수평하게 지지되며, 상기 패드블럭(30)과 블럭지지판(33)과의 사이에는 상기 패드블럭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체(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block 30 is replace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3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32 penetrates the mounting hole of the block support plate 33 and is movable up and down. and the block support plate 33 is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bars 34 whose lower ends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56 slidably assembled to the base plate or the fixed plate 51 fixed thereto. )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supported horizontally, and between the pad block 30 and the block support plate 33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ody 3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ad block upward.

이때, 상기 제1탄성체(35)는 상기 패드블럭과 상단이 접해지고 상기 블럭지지판과 하단이 접해지도록 상기 상부지지바(32)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body 35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disposed on the upper support bar 32 so that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pad block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lock support plate.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체(35)는 상기 패드블럭(30)에 올려진 패드(1)의 픽업이송을 위한 상기 픽업부의 흡착블럭과 패드와의 접촉시 직하부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반발력을 상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착블럭과 패드와의 밀착성을 높여 상기 흡착블럭의 진공흡착에 의한 패드의 픽업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body 35 is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directly below the suction block of the pickup unit for pickup and transfer of the pad 1 mounted on the pad block 30 and the pad is in contact with the pad block 30 and is compressed and elastic. By generating the restoring force,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provided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adsorption block and the pad is increased, and the pad pickup process by vacuum adsorption of the adsorption block can be smoothly performed.

상기 회전체(40)는 상기 이형지(2)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복수개의 패드(1)와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핀(41)을 구비하는 원통형 회전구조물이다. The rotating body 40 is a cylindrical rotat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ads 1 peeled off from on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2 and a plurality of pressing pins 41 corresponding one-to-one.

상기 복수개의 누름핀(41)은 대략 사각판상의 누름판(42)의 자유단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공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의 고정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다. The plurality of pressing pins 41 are interchange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ree end of the pressing plate 42 o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and the fixed end of the press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여기서, 상기 패드블럭(30)에 올려진 패드(1)의 상부면과 대응하여 접해지는 누름핀(41)의 선단은 대략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름핀(41)은 상기 누름판의 장착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of the pressing pin 41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 mounted on the pad block 30 is substantially flat, and the pressing pin 41 is the It may be made of a male screw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crew-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formed in the mounting hole.

상기 누름판으로부터 상기 누름핀의 선단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누름핀의 선단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지는 패드의 상부면에 고르게 접하여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의 장착공에 나사결합된 누름핀의 나사이동에 의해서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tip of the pressing pin is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plate so that the tip of the pressing pin, which is formed on a plane, evenly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when the rotation body is rotated and makes surface contact. It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by the screw movement of the push pin screwed to the ball.

상기 제1엑추에이터(50)는 상기 패드가 올려지는 패드블럭(30)을 박리용 안내판(20)의 선단에 최대한 근접하거나 원상태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패드블럭(30)과 더불어 회전체(40)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56)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The first actuator 50 has a rotating body 40 along with the pad block 30 so that the pad block 30 on which the pad is placed is as close to the tip of the peeling guide plate 20 as possible or spaced apart in its original state. Power is provided to reciprocate the fixedly installed moving plate 5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제1엑추에이터(50)는 상기 이동판(56)과 연결부재(53)를 매개로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고정판(5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56)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54)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52)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rst actuator 50 includes at least one cylinder member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ed plate 51 by connecting the rod tip through the moving plate 56 and the connecting member 53, and the moving plate The slider 5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56 is slidably assembled to the rail 5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이에 따라, 상기 제1엑추에이터의 전후진작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의 직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판은 상기 패드블럭을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상기 감김축 측으로 상기 회전체와 더불어 전진이동되면서 상기 이형지의 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분리되는 패드가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공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패드블럭을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진복귀이동하면서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올려져 누름핀에 의해서 가압고정된 패드가 상기 이형지의 일면에 부착된 다른 패드와 절취선을 경계로 하여 완전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ing plate assemb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ly above the fixed plate by the forward/backward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rotates the pad block toward the winding axis so a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while performing a process in which the pad separated and peel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while moving forward together with the whole or moving the pad block backward and returning away from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ocess of completely separating the pad, which is put on and fixed under pressure by a pressing pin, from another pa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and the perforated line as a boundary.

상기 제2엑추에이터(60)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블럭에 올려진 복수개의 패드의 각 상부면과 상기 복수개의 누름핀의 각 선단이 접하여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The second actuator 60 drives the rotation body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ad blocks and the respective tip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ssurize or space them apart. provides the power to

이러한 제2엑추에이터(60)는 상기 이동판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수직고정판(65)의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구동회전축과 일단이 연결된 회전체(40)의 타단은 상기 이동판(56)의 타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2수직고정판(4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The second actuator 60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ixed plate 65 provided perpendicularly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and the driving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actuator and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40 are connected. The other end is assembled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vertical fixing plate 45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late 56 .

이에 따라,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작동에 의해서 상기 회전체에 구비되는 누름판의 누름핀은 상기 패드가 올려지는 패드블럭 측으로 정방향 회전이동되면서 상기 누름핀의 선단이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와 접하여 패드를 가압고정하는 공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패드블럭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역방향 회전복귀이동되면서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상기 픽업부에 의해서 간섭없이 픽업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the pressing pin of the pressing plate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forwardly toward the pad block on which the pad is placed, and the tip of the pressing pin is mounted on the pad block. Performs a process of pressing and fixing the pad in contact with the pad block, or picks up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without interference by the pickup unit as it rotates and returns in the reverse direction away from the pad block and transfers it to the subsequent process. can

상기 패드블럭(30)의 상부면에 올려진 패드(1)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도록 개별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부(70)를 포함하고, 이러한 픽업부는 도 6a 와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엑추에이터(71)에 의해서 일정각도 분할회전되는 회전판(7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72)의 몸체중앙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내외부관(74)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외부관(74)의 내부공에 일단이 대응삽입되어 걸립배치되면서 방사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75)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1)의 외면과 접하여 픽업하도록 미도시된 진공흡입라인과 연결되어 진공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흡착블럭(76)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안내외부관(74)과 흡착블럭(76)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블럭(76)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2탄성체(77)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pickup unit 70 that individually picks up the pad 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30 to be transferred to a post-process, and this pickup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as shown in FIGS. 6A and 6B , A plurality of guides including a rotation plate 72 divid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 third actuator 71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when applied, and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rotation plate 72 It includes a tube 74,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outer guide tube 74 to be interlocked, and an actuating bar 75 assemb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cluded, and the pad (1) It includes an adsorption block 76 that is connected to a vacuum suction line (not shown) to pick up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generates a vacuum adsorption force, while being provided between the guide outer tube 74 and the adsorption block 76, 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body 77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adsorption block 76 to the outside.

상기 제2탄성체(77)는 상기 안내외부관의 단부와 일단이 접해지고 상기 작동바의 길이중간에 구비되는 고정물에 타단이 접해지도록 상기 작동바(75)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The second elastic body 77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disposed on the actuating bar 75 so that one end and one end of the guide outer tube are in contact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a fixtur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actuating bar.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체(77)는 상기 패드블럭(30)에 올려진 패드(1)의 픽업이송을 위한 상기 픽업부의 흡착블럭과 패드와의 접촉시 상기 작동바가 안내외부관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반발력을 패드 측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착블럭과 패드와의 밀착성을 높여 상기 흡착블럭의 진공흡착에 의한 패드의 픽업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elastic body 7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ction block and the pad of the pickup unit for pickup and transfer of the pad 1 mounted on the pad block 30, the operation bar enters the inside of the guide outer tube. By generating elastic restoring force by being compressed while being compressed, the repulsive force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prov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pad. can be performed smoothly.

그리고, 미도시된 로봇암의 작동에 의해서 하강작동후 상승복귀되는 픽업부(70)를 인접하는 다른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올려진 패드와 일대일 대응시킴과 동시에 상기 픽업부(70)의 제3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판(72)을 일정각도 회전작동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다른 흡착블럭을 다른 패드블럭와 일대응시켜 패드를 진공흡착하여 픽업하는 공정을 복수개의 패드블럭에 올려진 복수개의 패드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ckup unit 70, which rises and returns after the lower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not shown), corresponds one-to-one with the pa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another adjacent pad b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of the pickup unit 70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72 by an actuator at a certain angle, the process of vacuum adsorbing and picking up the pads by making the adjacent adsorption block correspond to the other pad block is continuous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ad blocks. can

상기 흡착블럭(7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블럭본체(76a)에 관통형성되어 진공흡입라인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흡착홀(78b)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흡착홀의 노출단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결홈(76c)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adsorption block 76 includes a plurality of adsorption holes 78b that are formed through the block body 76a fixed to the end of the operation bar and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lin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76c which is recessed to connect the exposed ends of the adjacent adsorption holes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올려진 패드와 흡착블럭이 일대일 대응된 상태에서 픽업부가 직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흡착블럭의 하부면이 패드와 접해지면, 상기 패드는 흡착블럭의 흡착홀을 통하여 제공되는 진공흡착력에 의해서 흡착블럭의 하부면에 흡착되어 픽업되는 것이다.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pa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and the suction block ar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he pickup unit is lowered directly below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pad, and the pad passes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suction block. It is picked up by being adsorb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lock by the vacuum adsorption force provided.

상기한 구성을 갖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를 이용하여 이형지의 일면에 부착된 패드를 박리하고 박리되는 패드를 절취선을 경계로 하는 다른 패드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공정 및 후공정인 패드부착공정을 수행하도록 개별적으로 분리된 패드를 픽업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Using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a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is peeled off, and the peeled pad is individually separated from other pads having the perforation line as a boundary, and the pad attaching process is a post process. The process of picking up individually separated pads to perform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먼저 도 8a 와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블럭(30)은 박리용 안내판(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상기 패드(1)가 이형지(2)의 일면에 부착된 패드시트(4)의 수평이동이 정지된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의 전진작동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판을 전진이동시키면, 상기 패드블럭은 상기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위치이동된다. First, as shown in FIGS. 8A and 8B , the pad block 30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ad 1 is a pa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2 . When the moving plate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fixed in position by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heet 4 is stopped, the pad block is as close as possible to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position is moved

그리고,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롤에 감겨진 패드시트(4)가 패드블럭 측으로 수평이동되면, 상기 박리용 안내판(20)의 뾰족한 선단에 접해지는 패드시트(4)가 감김축 측으로 향햐여 급격하게 예각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2)에 부착된 패드(1)는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박리되어 이형지와 분리되면서 전진이동된 패드블럭의 상부면에 올려져 배치된다. And, as shown in FIG. 8c , when the pad sheet 4 wound on the sheet roll is horizontally moved toward the pad block, the pad sheet 4 in contact with the pointed end of the guide plate 20 for peeling is the winding axis. The pad 1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2 of the pad shee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that is moved forwar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by peeling off the tip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while turning to the side and rapidly changing the direction at an acute angle. do.

상기 패드(1)가 박리되어 분리된 이형지(2)는 상기 하부핀치롤과 외접하면서 상기 제1,2하부롤사이를 통과하여 감김축(12)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다. The release paper 2, from which the pad 1 is peeled off, pas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rolls while circumscribing the lower pinch roll, and is wound around the winding shaft 12 in the form of a roll.

상기 이형지(2)의 선단은 감김축(12)에 구비되는 이형지 고정클립(14)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형지는 감김방향으로 회전되는 감김축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어 수거된다.The tip of the release paper 2 is elastically fixed by a release paper fixing clip 14 provided on the take-up shaft 12, so that the release paper is wound up in a roll form on the take-up shaft rotating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collected.

이때, 상기 패드시트의 수평이동량 및 상기 이형지의 감김량은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져 픽업되는 패드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제어되며, 상기 감김축의 일단에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제어에 의해서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지는 패드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패드시트의 수평이동량 및 상기 이형지의 감김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of the pad sheet and the winding amount of the release paper are controll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length of the pad picked up on the pad block, and the rotation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shaft. It is to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of the pad sheet and the amount of winding the release pap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또한, 상기 패드블럭(30)에 올려진 패드를 절취선을 매개로 연결된 다른 패드와 서로 완전히 절단하여 분리하는 공정은, 도 8d 와 도 8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체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이에 더불어 정방향 선회되는 누름판에 구비된 누름핀의 단부가 패드의 상부면에 접해지면서 가압하여 이형지로부터 박리되어 분리된 패드를 위치고정한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cutting and separating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30 from the other pads connected via the perforation line, as shown in FIGS. 8d and 8e, the rotating body is moved by the second actuator When the rotation body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nd of the pressing pin provided on the pressing plate which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is 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o fix the position of the separated pad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의 후진복귀작동에 의해서 회전체와 패드블럭을 후진복귀시키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는 이에 인접하는 다른 패드에 대하여 외측으로 당겨지는 외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패드블럭의 패드는 절취선(3)을 경계로 하여 이형지에 부착된 다른 패드와 완벽하게 절단되어 완전 분리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ng body and the pad block are returned to the reverse by the reverse return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is pulled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other adjacent pads. The pad of the block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ther pads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with the perforated line 3 as a boundary.

그리고, 도 8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가 개별적으로 완전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패드와 단부가 접하여 가압하는 누름핀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누름가압력을 해제한다. And, as shown in FIG. 8F , when the pads mounted on the pad block are individually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second actuator, the pressing pin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ds and press the ends are in their original state. returns to to release the pressing force.

최종적으로, 도 8g 와 도 8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블럭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픽업부(70)를 하강시킴으로써 패드블럭 측으로 향하여 하강되는 작동바의 하부단에 구비되는 흡착블럭이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되어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와 서로 면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흡착블럭의 흡착홀을 통하여 인가되는 흡착력에 의해서 상기 흡착블럭의 하부면에 패드를 흡착한다. Finally, as shown in FIGS. 8G and 8H, the suction block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ar that is lowered toward the pad block by lowering the pickup unit 70 located directly above the pad block is the release paper. Since the pad separated from the pad and placed on the pad block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d is adsorb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lock by the adsorption force applied through the adsorption hole of the adsorption block.

그리고 상기 픽업부를 상승복귀시키면 상기 흡착블럭의 하부면에 패드를 흡착하여 픽업하고, 픽업된 패드는 조립품의 내면에 접착면을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Then, when the pickup unit is lifted and returned, the pad is picked up by adsorbing the pa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picked-up pad is transferred to a post-process to perform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dhesive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패드
2 : 이형지
3 : 절취선
4 : 패드시트
11 : 풀림축
12 : 감김축
13 : 상부핀치롤
20 : 박리용 안내판
30 : 패드블럭
40 : 회전체
50 : 제1엑추에이터
51 : 고정판
52 : 레일
53 : 연결부재
56 : 이동판
60 : 제2엑추에이터
65 : 제1수직고정판
70 : 픽업부
76 : 흡착블럭
R : 시트롤
1: Pad
2: Lee Hyungji
3: perforated line
4: pad sheet
11: loosening shaft
12: winding shaft
13: upper pinch roll
20: guide plate for peeling
30: pad block
40: rotating body
50: first actuator
51: fixed plate
52: rail
53: connecting member
56: moving plate
60: second actuator
65: first vertical fixing plate
70: pickup unit
76: adsorption block
R: citrol

Claims (8)

이형지의 일면에 띠형태로 부착된 복수개의 패드가 절취선을 경계로 예비절단된 패드시트로부터 복수개의 패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패드를 픽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시트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시트롤을 갖추어 상기 패드시트를 일방향으로 풀림공급하는 풀림축 ;
상기 패드가 박리된 이형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형지를 두루마리형태로 권취하는 감김축 ;
상기 풀림축과 감김축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풀림축으로부터 풀림공급되는 패드시트가 상부면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안내되고, 선단이 접해지는 이형지를 상기 감김축 측으로 향하여 예각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박리용 안내판 ;
상기 이형지로부터 박리되는 패드가 상부면에 올려지는 복수개의 패드블럭 ;
상기 복수개의 패드와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핀을 외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하는 회전체 ;
상기 패드블럭을 박리용 안내판의 선단에 근접하거나 이격시키도록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
상기 복수개의 패드블럭에 올려진 복수개의 패드의 각 상부면과 상기 복수개의 누름핀의 각 선단이 접하여 가압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제2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이형지의 일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인접하는 다른 패드로부터 완전분리하여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In an apparatus for individually separating a plurality of pads from a pad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ads attached to one surface of a release paper in a band form are pre-cut along a perforation line, and picking up the separated pads,
an unwinding shaft provided with a sheet roll on which the pad sheet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and unwinding and supplying the pad sheet in one direction;
a winding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lease paper from which the pad is peeled to wind the release paper in the form of a roll;
A peeling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unwinding shaft and the take-up shaft, and the pad sheet supplied unwinding from the unwinding shaf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guided in one direction, and the release paper, the tip of which is in contact, is directed toward the take-up shaft at an acute angle. for information boards ;
a plurality of pad blocks on which pads peeled from the release paper are placed on an upper surface;
a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ds one-to-on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a first actuator for reciprocating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ad block approaches or separates the front end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A second actua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pad blocks and the respective tip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pi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ssurize or spaced apart are included,
A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peeled from one side of the release paper and placed on the pad block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other adjacent pads and picked 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용 안내판의 상부면 선단 양측에는 상기 패드시트의 이형지 양측테두리와 접해지면서 안내하는 에지 가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for peeling, edge guiders for guiding while in contact with both edges of the release paper of the pad sheet ar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올려지는 패드블럭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드의 픽업시 상기 패드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토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block on which the pad is placed has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for spraying air toward the pad when the pad is picked 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블럭은 일정길이를 갖는 상부지지바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바의 하단은 블럭지지판의 장착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럭지지판은 고정판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판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지지바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기 패드블럭과 블럭지지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패드블럭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block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having a certain leng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bar is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block support plate, and the block support plate is slidably assembled to the fixed plate. Anti-noise pad sepa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elastic bod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lower support bars having the lower ends fixed to the plat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ad block upward between the pad block and the block support plate. and pickup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핀은 누름판의 자유단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공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누름판의 고정단은 상기 회전체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in is installed in a mount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ree end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fixed end of the press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엑추에이터는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과 연결부재를 매개로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고정판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tuator includes at least one cylinder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by connecting the rod en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are fixed,
The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is slidably assembled on the rai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엑추에이터는 상기 패드블럭과 회전체가 고정설치되는 이동판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수직고정판의 일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엑추에이터의 구동회전축과 일단이 연결된 회전체의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타측단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2수직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ctuator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a first vertical fixed plate provided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on which the pad block and the rotating body are fixedly installed, and the driving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actuator and one end of the rotating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and assembled on a second vertical fixed plat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lat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블럭에 올려진 패드를 픽업하는 픽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부는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엑추에이터에 의해서 일정각도 분할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개의 안내외부관과, 상기 안내외부관의 내부공에 일단이 대응삽입되어 방사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패드의 외면과 접하여 진공흡착하는 흡착블럭 및 상기 안내외부관과 흡착블럭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블럭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노이즈 패드 분리 및 픽업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pad mounted on the pad block,
The pickup unit includes a rotating plate that is divid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 third actuator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plurality of outer guide tubes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inner hole of the outer guide tube An actuating bar having one end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diaphragm to be reciprocally assembled in a radial direction, an adsorption block mounted on the end of the actuating bar for vacuum adsorp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and provided between the outer guide tube and the adsorption block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ction block to the outside.
KR1020200064234A 2020-05-28 2020-05-28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KR102383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34A KR102383059B1 (en) 2020-05-28 2020-05-28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34A KR102383059B1 (en) 2020-05-28 2020-05-28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73A KR20210147273A (en) 2021-12-07
KR102383059B1 true KR102383059B1 (en) 2022-04-06

Family

ID=7886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34A KR102383059B1 (en) 2020-05-28 2020-05-28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267A (en) 2009-03-17 2010-09-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dhesive sheet piece
JP2013184797A (en) 2012-03-08 2013-09-19 Fujitsu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equipment, and seal peeling device
JP2015140189A (en) 2014-01-28 2015-08-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Sheet feeding device and sheet fee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43A (en) * 2015-07-07 2017-01-18 주식회사 프로텍 Apparatus and Method for Bonding Flip Ch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267A (en) 2009-03-17 2010-09-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dhesive sheet piece
JP2013184797A (en) 2012-03-08 2013-09-19 Fujitsu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equipment, and seal peeling device
JP2015140189A (en) 2014-01-28 2015-08-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Sheet feeding device and sheet fee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73A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91B1 (en) Splicing apparatus
CN113860056B (en) Automatic folding device of disposable sheet production
WO2019052029A1 (en) Automobile film sticking device and method
KR20200005756A (en) Multifunction backing fabric or fabric dual purpose unwinding splicing device
CN213415779U (en) Cutting workbench for processing fiber adhesive tape
CN111960156A (en) Automatic roll changing device
KR102383059B1 (en) Anti-noise pad separation and pickup apparatus
WO2020115925A1 (en) Wiping device and wiping method
CN109665134B (en) Automatic continuous film wrapping equipment
JP6739505B2 (en) Wiping device and wiping method
JP6789018B2 (en) Long body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KR101267519B1 (en) Tape applying device
KR20210149987A (en) Supply control device for pad alignment apparatus
JP6106529B2 (en) Cutting aid, long body joining device and method
CN217050898U (en) High-flatness material separating and cutting device for stretch film
KR101136511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il type steel plate
CN211366410U (en) Automatic roll changing device
CN110424144B (en) Full-automatic multi-layer cloth laying cutting bed
CN212769162U (en) Linkage rotating shaft replacement assembly with cutting function and melt-blown cloth production equipment
CN218639670U (en) Ox head machine convenient to location butt joint slide rail
CN219771262U (en) Steel sheet punching press rubberizing device
JP2002350679A (en) Polishing device for optical fiber ferrule end surface part
CN220612670U (en) Cloth cutting device
CN214831254U (en) Hot melt adhesive welting machine
JP2562323B2 (en) Sticking head of tape sti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