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022B1 -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22B1
KR102383022B1 KR1020210098425A KR20210098425A KR102383022B1 KR 102383022 B1 KR102383022 B1 KR 102383022B1 KR 1020210098425 A KR1020210098425 A KR 1020210098425A KR 20210098425 A KR20210098425 A KR 20210098425A KR 102383022 B1 KR102383022 B1 KR 10238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display area
unit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환
임경섭
Original Assignee
(주)알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이시스 filed Critical (주)알이시스
Priority to KR102021009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서를 하는 사용자를 계수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을 구분하고, 구분된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각각 다른 필기구로 판서를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화면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영역(D) 내의 상기 사용자의 판서를 감지하며, 상기 판서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10);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출력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 일측에 출력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에 적용되는 필기구의 종류를 적용하는 필기구설정부(3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에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는 화면할당부(40); 및 상기 전자칠판의 전원공급과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동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분할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상기 필기구가 서로 다른 종류로 선택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Electronic blackboard with user's personal screen assignm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서를 하는 사용자를 계수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을 구분하고, 구분된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사용자는 각각 다른 필기구로 판서를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화면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은 일반 칠판과 비유되는 말로서 학교나 영상회의 시에 사용되는 일종의 프레젠테이션 디스플레이장치이며 ‘스마트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전자칠판은 강의 자료 및 발표 내용의 문서를 디스플레이 하며, 디스플레이 된 화면 위에 전자펜의 접촉에 따라 판서, 글쓰기, 줄긋기, 도형 그리기 등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의 공유가 가능하므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기존의 분필을 사용하는 칠판을 미닫이 형식으로 채택하고, 중심에 전자칠판을 위치시켜 기존 칠판과 전자칠판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도 채택하여 활용한다.
이에 따라, 전자칠판의 활용 방법이 확장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837호‘전자칠판의 입력 인식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전자칠판에 빨강, 검정, 파랑 등의 색깔로 필기하는 필기구와, 그 필기된 내용을 원하는데로 지우는 지우개를 화면 밖에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며 펜과 지우개를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0772호‘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지우도록 마련된 지우개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지우개 디바이스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제한 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전자칠판의 화면에 여러 종류의 필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필기구 사용을 위한 별도의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으며 사용할 수 있는 전자칠판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837호 (2012.02.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0772호 (2020.06.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필기구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전자칠판 전면에 일반 칠판이 미닫이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일반 칠판이 전자칠판을 가리며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전자칠판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칠판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구의 종류에 대응하는 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사용자의 판서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로 출력함으로써, 판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영역(D) 내의 상기 사용자의 판서를 감지하며, 상기 판서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10);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출력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 일측에 출력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에 적용되는 필기구의 종류를 적용하는 필기구설정부(3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에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는 화면할당부(40); 및 상기 전자칠판의 전원공급과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동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분할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상기 필기구가 서로 다른 종류로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부(10)는 전방의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1 근접센서(11)를 구비하며, 상기 화면할당부(40)는 상기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적인 화면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0)는 전방의 전자칠판 커버(C)를 감지하도록 일측에 제2 근접센서(12)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2 근접센서(12)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영상출력부(20)는 상기 사용자의 판서의 종료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판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판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필기구설정부(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상기 필기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출력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판서 내용을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필기구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 전면에 일반 칠판이 미닫이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일반 칠판이 전자칠판을 가리며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전자칠판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자칠판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구의 종류에 대응하는 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사용자의 판서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로 출력함으로써, 판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신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버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버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신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은 터치스크린부(10)와, 영상출력부(20)와, 필기구설정부(30)와, 화면할당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성상 전자칠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수업을 듣는 학생, 수강자, 발표자가 될 수 있고, 전자칠판을 제어하는 관리자는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 강사를 예로들 수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와 관리자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을 활용하는 역할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스크린부(10)는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영역(D) 내의 사용자의 판서를 감지하며, 판서로 인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스크린부(10)는 터치스크린부(10)의 표면을 손 또는 도구로 터치(touch)하는 경우에 그 위치좌표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부(10)는 일반적인 모니터와 같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결합한 것으로, 터치패널부(10)는 사각의 픽셀 형태의 격자를 포함하여 물체가 닿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부(10)는 적외선의 직진성과 적외선이 장애물에 부딪히면 차단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다수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마주 보도록 터치패널부(10) 가장자리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이루는 격자(Matrix) 구조를 형성하고, 해당 격자구조 내에 물체나 손가락이 터치패널부(10)의 표면에 닿아 적외선을 차단하면, 적외선이 차단된 위치의 평면좌표(X,Y)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여 물체나 손가락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터치스크린부(10)의 구동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판서는 펜의 형상을 가진 도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판서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부(10)의 표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터치스크린부(10)의 표면과 닿는 부분이 날카롭지 않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디스플레이 영역(D)의 외주면을 감싸는 화면프레임이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부(10)와 터치스크린부(10)가 정면을 비추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몸체로 구성되어있으며, 몸체 내부에는 영상출력부(20)와, 화면할당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는 메인컨트롤러(M)가 구비된다.
이때, 메인컨트롤러(M)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구성 가능하며, 메인컨트롤러(M)를 통하여 관리자는 본 발명의 전자칠판을 모니터처럼 사용하는 윈도우 모드 또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에 판서를 할 수 있는 전자칠판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부(10)의 터치패널을 터치하여 판서 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터치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되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터치스크린부(10)와, 영상출력부(20), 화면할당부(30), 제어부(40)에 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터치스크린부(10)에서 출력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은 터치스크린부(10)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화면의 면적을 나타낸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의 일측에 영상으로 출력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신호에 적용되는 필기구의 종류를 적용하는 필기구설정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필기구설정부(30)는 디스플레이 영역(D) 일측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창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창의 내부에는 판서에 필요한 필기구와 옵션이 아이콘의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필기구설정부(30)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필기구의 종류는 디스플레이 영역(D)에 판서의 내용을 표시하는 펜과, 표시된 판서의 내용을 삭제하는 지우개로 구분되며, 펜과 지우개의 선택은 전술한 펜 아이콘과 지우개 아이콘의 형상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 예로, 필기구설정부(30)의 펜 아이콘은 펜의 굵기와 색상, 점선과, 디스플레이 영역(D) 내에 두 개의 점을 직선으로 잇는 직선과 네 개의 점을 직선으로 이어 면으로 출력하는 기능과 판서의 시작과 끝을 선분 형태인 직선으로 연결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펜 관련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기구설정부(30)의 지우개 아이콘은 지우개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부(10)에 접촉하는 사용자 손의 외곽을 지우개의 면적으로 설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밑면이 평평한 장방형의 지우개 모형을 지우개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든 판서 내용을 한 번에 지울 수 있는 전면지우개를 선택하도록 하는 지우개 관련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판서 된 내용을 취소하고 직전으로 되돌리는 되돌리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구설정부(30)는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의 하단부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아이콘을 터치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필기구설정부(30)를 짚고 드레그하여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되, 필기구설정부(30) 내부에 배치되는 아이콘의 종류와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터치스크린부(10)와, 영상출력부(20)와, 필기구설정부(30)와, 화면할당부(40)를 구동하는 전원공급과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화면을 공유하도록 연동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터치스크린부(10)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외부컴퓨터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를 터치하여 판서하면 판서에 대응하여 화면에 펜이 출력되거나, 출력된 펜을 지울 수 있는 전자칠판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개인적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에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는 화면할당부(40)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을 제어하는 관리자는 화면할당부(40)를 통하여 하나의 화면을 하나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화면할당부(40)를 통하여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영역(D)은 4개로 하여, 제1 화면(D1), 제2 화면(D2), 제3 화면(D3), 제4 화면(D4)로 구분된다.
또한, 고유식별번호는 제1 화면(D1) 내지 제4 화면(D4)을 나타내는 D1 내지 D4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면에는 각각의 필기구설정부(30)가 화면 일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로, 제1 화면(D1)의 사용자는 파란색의 굵기가 5mm인 펜을 선택하고, 제2 화면(D2)의 사용자는 빨간색의 굵기가 10mm인 펜으로 판서할 수 있으며, 제3 화면(D3)의 사용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지우개를 선택하여 제3 화면 영역 내의 판서 내용을 지울 수 있다.
그리고, 화면할당부(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를 4개로 나누었으나 필요에 따라 관리자는 제어부(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을 1개 내지 4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화면할당부(40)는 디스플레이 영역(D)를 분할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D)의 폭을 나누고자 하는 개수에 대응하여 균등하게 분할하거나, 제1 화면(D1) 내지 제4 화면(D4)의 위치를 고정하여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하는 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칠판은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전자칠판을 사용할 때에 각자에게 필요한 필기구를 개인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사용자 각자에게 필요한 서로 다른 종류의 필기구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사용자가 판서할 때, 다른 사용자의 판서에 간섭없이 개인의 판서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사용자 각자에게 필요한 펜 또는 지우개를 포함하는 필기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화면(D1)의 필기구가 제2 화면(D2)을 포함하는 다른 영역의 디스플레이 영역(D)의 필기구의 종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터치스크린부(10)는 하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1 근접센서(11)를 구비하여 전방에 판서를 위해 나와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며, 화면할당부(40)는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을 분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개인적인 화면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수업 시간 중 학생이 문제를 풀기 위해 전자칠판 앞에 섰을 때, 제1 근접센서(11)가 전방에 서 있는 학생을 감지하며, 감지된 출력신호의 개수에 대응하여 화면의 개수를 분할한다.
이때, 제1 근접센서(11)는 터치스크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화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화면프레임의 밑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1 근접센서(11)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영역(D)의 분할 개수에 대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 설치된 터치스크린 장치에 대하여는 화면프레임 밑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1 근접센서(11)를 구비하여 응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제1 근접센서(11)는 디스플레이 영역(D)를 4개로 나눌 수 있도록 D1 내지 D4 각각의 중심에 각각 설치되어 총 4개가 설치되었으나, 제1 근접센서(11)의 위치와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면할당부(40)는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만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영역(D)를 분할하고, 제어부(50)는 분할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영역(D)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되지 않도록 화면할당부(40)를 제어한다.
더하여, 관리자는 제어부(50)를 통하여 제1 근접센서(11)가 출력하는 출력신호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분할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영역(D)을 분할되기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 예로, 제1 근접센서(11)는 전면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적외선을 활용한 적외선 근접센서를 사용하였으나, 정전 용량형 근접센서, 레이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근접센서(11)의 종류를 적외선 근접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칠판에 여러 학생이 동시에 나와서 판서를 진행하는 경우, 터치스크린부(10)의 위치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나 각각의 학생마다 키가 다르므로 판서 되는 높이가 다르게 된다.
그리고, 교실 내에서 학생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칠판을 기준으로 나열되어 학생마다 다른 거리에 있으며, 학생의 체구도 각기 다르므로 앞자리의 학생으로 인하여 뒷자리 학생의 시야가 가려짐으로 인하여 판의 판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출력부(20)가 판서의 종료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판서를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로 출력함으로써, 판서의 내용을 여러 학생이 디스플레이 영역(D)을 공유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하여, 판서의 종료는 터치스크린부(10)의 위치신호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위치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이후 판서를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로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영상출력부(20)는 사용자가 다시 자리로 돌아감에 따라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 변화 감지하여 판서의 종료를 판단하는 설계 또한 가능하다.
더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에 출력된 판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D)의 양측 세로축과 가로축 각각에 맞도록 확장과 정렬을 할 수 있으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일정하게 확장하고, 확장 시에 판서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영역(D)을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칠판은 사용자의 판서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로 출력할 수 있고, 판서의 크기를 조절하여 판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의 판서 가능한 공간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사용자가 판서 내용을 확장할 수 있도록 기존의 판서 내용을 저장하고, 판서를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화면을 영상출력부(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D)에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새로운 화면을 출력하기 위하여 필기구설정부(30) 일측에 마련된 화면추가버튼 아이콘(미도시)을 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영역(D)을 짚어 디스플레이 영역(D)의 일측으로 밀어내는 제스쳐로 설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D)을 공유하는 외부컴퓨터(미도시)를 통하여도 가능하되, 새로운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버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커버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분필을 사용하는 칠판으로 터치스크린부(10)의 전면을 닫는 미닫이 형식을 채택하는 경우, 기존의 분필을 사용하는 칠판을 전자칠판의 커버(C)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부(10)는 전면의 커버(C)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12)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칠판의 영상출력부(20)의 영상신호를 차단하여 영상출력부(20)의 불필요한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터치스크린부(10)는 전방의 전자칠판 커버(C)를 감지하도록 일측에 제2 근접센서(12)를 구비하며, 제어부(50)는 근접센서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칠판의 화면출력을 제어하고, 관리자가 현장에 없는 경우와, 커버(C)에 의하여 터치스크린부(10)가 가리어 영상출력부(20)가 불필요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절약한다.
이때, 제2 근접센서(12)는 터치스크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화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칠판 커버(C)의 닫힘을 감지하도록 화면프레임 상면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 근접센서(12)의 위치와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 예로, 제2 근접센서(12)는 전면의 금속 재질의 커버(C)를 감지하도록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를 사용하였으나, 정전 용량형 근접센서, 레이더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와 같은 비접촉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되는 커버(C)의 일측에 걸려 닫힘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근접센서(12)의 종류를 정전 용량형 근접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전자칠판 커버(C)의 종류로 기존의 분필을 사용하는 칠판을 예시로 하였으나, 커버(C)를 터치스크린부(10) 양 측면을 축으로 하는 힌지방식의 문의 형태 또는 미닫이문 형태의 커버(C)로 응용하여 활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기 설치된 터치스크린 장치에 대하여는 화면프레임 윗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2 근접센서(12)를 구비하여 응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터치스크린부
11: 제1 근접센서 12: 제2 근접센서
20: 영상출력부
30: 필기구설정부
40: 화면할당부
50: 제어부
C: 커버
D: 디스플레이 영역
M: 메인컨트롤러

Claims (5)

  1.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 영역(D) 내의 상기 사용자의 판서를 감지하며, 상기 판서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전방의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1 근접센서(11)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부(10);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으로 출력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 일측에 출력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에 적용되는 필기구의 종류를 적용하는 필기구설정부(30);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디스플레이 영역(D)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에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며, 상기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을 분할하는 화면할당부(40); 및
    상기 전자칠판의 전원공급과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동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분할이 완료된 디스플레이 영역(D)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동되지 않도록 화면할당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스크린부(10)는 상면 일측에 전방의 전자칠판 커버(C)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12)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2 근접센서(12)의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영상출력부(20)의 불필요한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하고,
    상기 영상출력부(2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0)의 위치신호와, 상기 제1 근접센서(11)의 출력신호 중 하나 이상이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상기 사용자의 판서 종료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판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D)의 상부 영역에 출력함으로써, 앞자리의 학생으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뒷자리 학생까지 상기 판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D)에서 상기 필기구가 서로 다른 종류로 선택 가능한 전자칠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설정부(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상기 필기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출력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펜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판서의 내용을 상기 터치스크린부(1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KR1020210098425A 2021-07-27 2021-07-27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KR10238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25A KR102383022B1 (ko) 2021-07-27 2021-07-27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25A KR102383022B1 (ko) 2021-07-27 2021-07-27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22B1 true KR102383022B1 (ko) 2022-04-08

Family

ID=8118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425A KR102383022B1 (ko) 2021-07-27 2021-07-27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7736A (zh) * 2022-07-07 2022-10-11 深圳乐播科技有限公司 一种图文位置调整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3229156A1 (ko) * 2022-05-2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290B1 (ko) * 2011-03-31 2011-07-07 주식회사 유크레아 프로젝터 제어 기능이 부가된 펜트레이를 갖는 전자 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123837B1 (ko) 2009-04-07 2012-03-15 주식회사 모든넷 전자칠판의 입력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2824A (ko) * 2015-02-23 2016-08-31 박범준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KR20180016780A (ko) * 2016-08-08 2018-02-20 (주) 엔피홀딩스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20200061511A (ko) * 2018-11-25 2020-06-03 박준석 화이트보드 겸용 전자칠판
KR102120772B1 (ko) 2013-06-28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37B1 (ko) 2009-04-07 2012-03-15 주식회사 모든넷 전자칠판의 입력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47290B1 (ko) * 2011-03-31 2011-07-07 주식회사 유크레아 프로젝터 제어 기능이 부가된 펜트레이를 갖는 전자 칠판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20772B1 (ko) 2013-06-28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
KR20160102824A (ko) * 2015-02-23 2016-08-31 박범준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KR20180016780A (ko) * 2016-08-08 2018-02-20 (주) 엔피홀딩스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20200061511A (ko) * 2018-11-25 2020-06-03 박준석 화이트보드 겸용 전자칠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6A1 (ko) * 2022-05-2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5167736A (zh) * 2022-07-07 2022-10-11 深圳乐播科技有限公司 一种图文位置调整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5167736B (zh) * 2022-07-07 2024-04-12 深圳乐播科技有限公司 一种图文位置调整方法、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022B1 (ko) 사용자의 개인적인 화면 할당이 가능한 전자칠판
JP5794711B2 (ja) デジタルホワイトボードシステム
US2015019903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60071915A1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taking notes with sketches and typed text
EP3190486A1 (en) Touch blackboard, touch blackboard frame, touch all-in-one machine and combined blackboard
US2015013808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US5701141A (en) Digitizer tablet system with dual-mode cursor/mouse
US20230057020A1 (en) Meeting interaction system
CN104216644A (zh) 一种映射被遮挡区的系统和方法
GB2193023A (en) Symbol displaying apparatus
KR20120107697A (ko)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1137903B2 (en) Gesture-based transitions between modes for mixed mode digital boards
JP2009116727A (ja) 画像入力表示装置
CN109144397B (zh) 擦除方法、装置以及智能交互平板
JP4266076B2 (ja) 電子黒板システム
JP6533566B2 (ja) 表示装置
Kudale et 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model based virtual whiteboard: A review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20160143051A (ko) 투명 칠판 스크린 장치
Kabulov et al. Virtual Keyboard and Fingers
Go et al. Touchscreen software keyboard for finger typing
JP6473680B2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Basumatary et al. Ultra low Cost Interactive Whiteboard us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A Review
JP6250336B2 (ja) 表示装置
JP2019061728A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