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853B1 -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853B1
KR102382853B1 KR1020177018016A KR20177018016A KR102382853B1 KR 102382853 B1 KR102382853 B1 KR 102382853B1 KR 1020177018016 A KR1020177018016 A KR 1020177018016A KR 20177018016 A KR20177018016 A KR 20177018016A KR 102382853 B1 KR102382853 B1 KR 10238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a presentation
present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implemen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538A (ko
Inventor
알린 오스칼 베컬린
칼 시그프리즈
펄 에커달
리차드 티트머스
에반 쉬러브솔
제이미 커크패트릭
Original Assignee
스포티파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포티파이 에이비 filed Critical 스포티파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22701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3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creating hot-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공유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일태양으로, 서버시스템은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제 1 전자 디바이스를 승인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한다. 하나 이상의 기타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이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미디어 표현시스템용 인증토큰이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더욱이,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이 하나 이상의 기타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제 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에 따라,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전송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개시된 구현들은 일반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전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유 미디어 표현시스템에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소셜 모임에서, 사용자들은 종종 친구, 친척 및 새로운 아는 사람들과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한다. 가령, 파티 주최자는 모바일 장치의 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여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가령, 스피커에 음악을 틀거나 스크린에 비디오를 스트림)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가령, 손님들)도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고 싶을 수 있고, 주최자는 (가령, 미디어 컨텐츠의 선택시 다른 사용자들도 공유하게 하도록) 이런 액세스를 제공하고 싶을 수 있다. 다른 사용자들이 차례대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하게 허용하는 것(가령,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을 한번에 하나씩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은 느리고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공유하는 목적을 방해한다. 더욱이, 액세스 또는 라이센스 제한으로 인해, 파티 주최자의 휴대장치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도록 인가된 유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 주최자의 휴대장치를 돌리는 것도 또한 비실용적이고 사생활 및 보안 이유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그리고 보안적으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 컨트롤시스템에 액세스를 공유하고 공유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를 승인한 다음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을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더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그리고 보안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 및 방법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한 종래 방법들을 선택적으로 보완하거나 대체한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이 구현되는 한가지 특정 분야는 소셜 모임(가령, 파티, 뮤직 페스티벌, 등) 동안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소셜 모임의 주최자는 주최자와 연결된 장치를 이용해 손님들이 주최자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가령,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피커들)을 사용하게 하는 핫스팟을 생성한다. 이런 요청은 가령 휴대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 다른 모바일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기타 전자 디바이스들을 통해 많은 방법들로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주최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스마트폰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방에 있는 스피커에 액세스를 공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요청을 수신한 다음, 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인증토큰을 주최자의 스마트폰으로 보낸다. 주최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하거나 미디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해 핫스팟에 연결한 후, 주최자의 손님들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손님들은 자신의 전자 디바이스(가령, 휴대폰)를 이용해 미디어 컨트롤 요청(가령, 뮤직 컨텐츠를 스트림하도록 요청)을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낼 수 있다(가령, 미디어 컨트롤 요청이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보내지고, 그런 후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낸다). 이런 식으로, 주최자와 그 또는 그녀의 손님들은 소셜 모임 동안 컨텐츠의 표현에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예는 공유 미디어 표현 시스템에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는 한가지 가능한 방법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래 상세한 설명에 더 상세히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구현들도 또한 고려된다.
몇몇 구현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갖는 서버시스템(가령,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서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하나의 스피커 또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제 1 전자 디바이스를 승인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인증토큰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 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방법은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 따르면,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서버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술한 서버측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서버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술한 서버측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 따르면,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서버시스템은 상술한 서버측 방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유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더 빠르고, 더 효율적인 방법이 제공되며, 이로써 미디어 컨텐츠 전달 시스템과 관련된 효과, 효율, 및 사용자 만족이 증가된다.
첨부도면의 그림들에서, 제한하는 식으로 아니라 예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현들을 예시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부분을 언급한다.
도 1은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에 사용된 예시적인 인증데이터 구조와 예시적인 미디어계정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5c는 몇몇 구현에 따른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6b, 및 7은 몇몇 구현에 따른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공유하는데 사용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구현들을 참조할 것이며, 첨부도면에 구현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명세서에서, 수많은 구체적인 세부내용들은 다양하게 기술된 구현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하게 기술된 구현들은 이들 구체적인 세부내용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명백하다. 다른 예로, 불필요하게 구현의 태양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방법, 절차, 부품, 회로 및 네트워크들도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 않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몇몇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요소들에 사용되나, 이들 요소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국한되지 않아야 함을 또한 알게 된다. 이들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데만 사용된다. 예컨대, 다양하게 기술된 구현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제 1 디바이스를 제 2 디바이스라 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장치를 제 1 장치라 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모두 장치들이나 이들은 동일한 디바이스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들의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양하게 기술된 구현들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이 명확히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단수형인 "a", "an", 및 "the"는 또한 복수형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해 열거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말하며 이를 포함하는 것임을 또한 알 것이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다", 및/또는 "구비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경우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부품들의 표현을 명기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부품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음이 또한 알게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만일"이라는 용어는, 선택적으로, 문맥에 따라 "경우" 또는 "때" 또는 "판단에 응답해" 또는 "감지에 응답해" 또는 "판단에 따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판단되면" 또는 "[진술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감지되면"이라는 어구도, 선택적으로, "판단시", 또는 "판단에 응답해" 또는 "[진술된 조건 또는 이벤트] 감지시" 또는 "[진술된 조건 또는 이벤트] 감지에 응답해" 또는 "[진술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판단에 따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그런 부류 중 최선을 나타내는"의 의미가 아니라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이용하는"의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가령,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및 하나 이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스피커(108-1), TV(108-2), DVD(108-3), 및/또는 기타 미디어 표현시스템(108-n)을 포함한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가령, 네트워크(들)(112))은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를 미디어 컨텐츠 전달시스템(10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몇몇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12)은 공중통신망, 사설통신망, 또는 공중통신망과 사설통신망 모두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12)은 인터넷, 기타 광역망(WAN), 근거리통신망(LAN), 가상사설망(VPN), 대도시통신망(MAN),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및/또는 애드혹 연결(ad-hoc connections)과 같은 임의의 네트워크(또는 네트워크들의 조합)일 수 있다.
몇몇 구현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과 관련된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이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랩탑,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피처폰, 스마트폰,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이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동일한 타입의 디바이스이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모두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대안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이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102-2)는 네트워크(112)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102-2)는,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가령, 음악, 영화, 플레이리스트, 또는 기타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재생하도록 요청)을 네트워크(112)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전송한다. 추가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102-2)는 몇몇 구현에서 또한 네트워크(들)(112)을 통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초기에 특정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대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송신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연이어 상기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해당하는 인증토큰을 수신한 후 상기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대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또한 송신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102-2)는 또한 네트워크(들)(112)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액세스가 이용가능한 것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에 통지하고/하거나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이용해 인증토큰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로 송신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과 직접 통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가령, 유선연결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 또는 BLUETOOTH/BTLE 통신기술, 무선주파수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적외선 통신기술과 관련된 바와 같은 단거리 무선신호 등을 통해)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네트워크(들)(112)을 통해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과만 통신한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대한 초기 셋업 및 설정 동작을 마치기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과 직접 연결을 이용한다. 예컨대,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은 TV(108-2)를 포함하고,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TV(108-2)를 로컬무선망(가령, WiFi)에 연결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직접연결을 이용한다(가령, 네트워크 식별자와 사용자명 및 네트워크에 대한 패스워드 세부내용을 TV(108-2)에 제공한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각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스피커(108-1), TV(108-2), DVD(108-3), …, 미디어 표현시스템(108-n))에 표현을 위한 미디어 컨텐츠를 요청하게 하는 (도 2에 도시되고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을 포함한다.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몇몇 구현에서, 내장형 스피커 또는 스크린과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일부일 수 있거나, 무선결합 스피커(가령, 스피커(108-1))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의 (도 2에 도시되고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미디어 표현 공유모듈(230)을 더 포함한다. 미디어 표현 공유모듈(230)은,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에 의한 사용을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고/내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제공하게 한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표현 공유모듈(23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의 사용자가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모두 또는 일부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게 한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의 사용자는 (도 6a의 쉐어-올 어포던스(share-all affordance)(604)와 같은)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선택해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스피커(108-1), TV(108-2), DVD(108-3), 및/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108-n)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낸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네트워크(112)를 통해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 102-2)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에 의해 요?S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에 제공한다.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의해 저장되고 제공된 컨텐츠는, 몇몇 구현에서, 텍스트(가령, 기사, 블로그 포스트, 이메일 등), 이미지(가령, 사진, 그림, 렌더링, 등), 비디오(가령, 단편 비디오, 음악 비디오, 텔레비전 쇼, 영화, 클립, 미리보기 등), 오디오(가령, 음악, 스포큰 워드(spoken word), 팟캐스트 등), 게임(가령, 2차원 또는 3차원 그래픽 기반의 컴퓨터 게임 등), 또는 컨텐츠 타입들의 임의의 조합(가령, 상술한 타입의 컨텐츠 또는 명백히 열거되지 않은 기타 컨텐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웹 페이지들)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컨텐츠를 포함한다. "서버"로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대한 설명은 디바이스, 시스템, 프로세스 코어, 및/또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기인된 기능을 제공하는 기타 구성요소들의 기능적 설명으로서 나타내진다.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하나의 서버 컴퓨터일 수 있거나, 다수의 서버 컴퓨터들일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더욱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다른 서버들 및/또는 서버 시스템들,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데이터베이스들,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들(가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네트워크 캐시들 등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서버 시스템의 동작(가령, 클라우드 컴퓨팅)을 수행하도록 함께 작동하는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가령, 스피커(108-1), TV(108-2), DVD(108-3), …, 미디어 표현시스템(108-n))은 (가령,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를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구현에서, 스피커(108-1)는 네트워크 연결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가령,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갖는 무선/알람시계, 또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구성요소이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따라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가 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다. 예컨대,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컴퓨터, 전용 미디어 플레이어, 네트워크 연결된 스테레오 및/또는 스피커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된 차량 미디어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된 텔레비전, 네트워크 연결된 DVD 플레이어, 및 재생장치치에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USB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각 미디어 표현시스템(108)은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고유하게 식별 및/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과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가령, 고유 하드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네트워크 어드레스 등)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네트워크(들)(112)를 통해,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가령, 새 노래를 재생하도록 요청)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낸다. 인증토큰이 유용한 것을 검증한 후에(도 4 및 5를 참조로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됨),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몇몇 구현에서, 인증토큰(가령, 도 4의 미디어 계정 데이터 구조(404)의 MPS ID 필드로부터 MPS ID, 여기서 MPS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나타냄)과 관련된 특정한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가령, TV(108-2))의 식별자를 검색한다. 따라서,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가령, TV(108-2))에 송신하도록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가 인증되었는지 먼저 검증하고 그런 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가 그렇지 않고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가령, TV(108-2))과 관련 없더라도, 상기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을 미디어 표현시스템(108)(가령, TV(108-2))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사용자는 공유된 미디어 컨텐츠 표현시스템에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2는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령, 도 1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및/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s), 즉, 프로세서 또는 코어)(202),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또는 기타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12), 및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들(214)을 포함한다. 통신버스들(214)은 선택적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들 간에 통신을 상호연결하고 제어하는 회로(때로 칩셋이라 함)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출력 디바이스들(206)과 입력 디바이스(들)(208)을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입력 디바이스들은 키보드, 마우스 또는 트랙패드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몇몇 구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터치감지면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감지 디스플레이이다.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를 갖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물리적 키보드는 선택적이다(가령, 키보가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소프트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가령, 출력 디바이스(들)(206))은 또한 선택적으로 스피터 또는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폰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연결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몇몇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은 마이크 및 음성 인식장치를 사용해 키보드를 보완하거나 대체한다. 선택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은 오디오(가령, 사용자로의 말)을 캡쳐하기 위해 오디오 입력장치(가령, 마이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은 GPS(Global Positioning Satellite) 또는 기타 지리적위치 수신기와 같은 위치감지장치 및/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위치감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메모리(212)는 DRAM, SRAM, DDR RAM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기타 랜덤 액세스 고체상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CPU(s)(202)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2), 또는 대안으로, 메모리(212)내 비휘발성 고체상태 저장장치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메모리(212) 또는 메모리(212)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다음의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를 저장한다:
·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들을 취급하고 하드웨어에 따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 운영시스템(216);
· 인터넷, 기타 WANs, LANs, PANs, MANs, VPNs,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 애드-혹 연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1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210)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가령, 표현 시스템(108),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및/또는 기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모듈(들)(218);
·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포인팅장치, 시선추적 구성요소, 3차원 제스처 추적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들(208)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04)(가령, 컴퓨터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스크린,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들(206))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및 기타 출력들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0); 및
· 미디어 컨텐츠(가령, 미디어 컨텐츠 스트림,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광고, 웹페이지, 비디오, 오디오, 게임 등)를 브라우징, 수신, 처리 및 표현하기 위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가령, 미디어 플레이어,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를 포함한 미디어 컨텐츠 공급자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은 또한 다음의 모듈들(또는 명령어 세트)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나 수퍼세트를 포함한다: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예컨대, 도 1의 하나 이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해당하는 인증토큰(가령, 인증토큰(들)(228))을 보내고,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하며, 선택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대한 인증토큰들을 생성하기 위한 인증모듈(224);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사용하도록 승인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전송하기 위한 인증토크(들)(228)(또는, 대안으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직접 액세스를 공유하기 위해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보내질 수 있는 인증토큰(들)(228))을 포함한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 관련된(컨트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식별하기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 모듈(226);
○ 사용을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을 보내고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컨트롤(가령,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 생성, 핫스팟을 위한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구성, 핫스팟에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승인 등)하기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 공유모듈(230); 및
○ 미디어 컨텐츠가 로컬로 또는 원격으로 저장되는지 간에, 사용자가 네비게이션하여, 재생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미디어 컨텐츠를 컨트롤 또는 인터랙트할 수 있는 컨트롤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츠 브라우징 모듈(232);
· 웹사이트에 액세스하고, 보고 그리고 인터랙트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234)(가령,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사의 파이어폭스, 애플의 사파리, 또는 구글의 크롬); 및
· 워드 프로세싱, 캘린더링, 맵핑, 날씨, 주식, 타임 키핑, 가상 디지털 비서, 프리젠팅, 수치처리(스프레드시트), 드로잉, 인스턴트 메시징, 이메일, 전화통신, 비디오 컨퍼런싱, 사진관리, 비디오 관리,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2D 게이밍, 3D(가령, 가상현실) 게이밍, 전자책 리더기, 및/또는 워크아웃 서포트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기타 애플리케이션(244).
도 3은 몇몇 구현에 따른 예시적인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코어(CPUs)(302),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304), 메모리(306), 및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들(308)을 포함한다.
메모리(306)는 RAM, SRAM, DDR RAM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기타 랜덤 액세스 고체상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6)는 하나 이상의 CPU(s)(302)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나 이상의 저장장치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메모리(306), 또는 대안으로, 메모리(306)내 비휘발성 고체상태 저장장치(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메모리(306) 또는 메모리(306)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 다양한 기본 시스템 서비스들을 취급하고 하드웨어에 따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 운영시스템(310);
· 인터넷, 기타 WANs, LANs, PANs, MANs, VPNs,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 애드-혹 연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1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304)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네트워크 통신모듈(312);
·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모듈들(314); 및
·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 및 상기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저장 및 액세스를 다루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서버 데이터 모듈(들)(324)의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를 저장하고,
서버 애플리케이션 모듈들(314)은:
○ 인증 및/또는 인증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인증모듈(316); 및
○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고 이런 디바이스들 또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가령, 도 1의 스피커(108-1))에 선택적으로 스트리밍 데이터 컨텐츠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요청된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미디어 요청 처리모듈(3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인증모듈(316)은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가령, 도 1의 스피커(108-1))의 사용을 허용하는 인증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토큰생성모듈(318); 및
·인증토큰이 유효한지 (가령, 아직 만료되지 않았거나 아직 철회되지 않았는지) 검증하기 위한 토큰검증모듈(3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몇몇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서버 데이터 모듈(들)(324)은:
○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가령,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6);
○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과 관련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328); 및
○ 사용자 프로파일, 크리덴셜(가령, 사용자 식별자, 패스워드, 이메일 어드레스 등), 임의의 링크된 계정들의 크리덴셜 또는 식별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 미디어 계정에 대한 계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미디어 계정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웹 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 뿐만 아니라 CGI(Common Gateway Interface) 스크립트, PHP(PHP Hyper-text Preprocessor), ASP(Active Server Pages),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Java, JavaScript,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XHP, Javelin, WURFL(Wireless Universal Resource File) 등을 이용해 구현된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메모리(212 및 306)에 저장된 상술한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에 해당한다. 상술한 모듈들 또는 프로그램들(즉, 명령어 세트)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절차, 또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모듈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이 다양한 구현들로 조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배열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메모리(212 및 306)는 선택적으로 상술한 데이터 구조 및 각각의 모듈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를 저장한다. 더욱이, 메모리(212 및 306)는 상술되지 않은 추가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를 선택적으로 저장한다.
도 3은 몇몇 구현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도시한 것이나, 도 3은 상술한 구현들의 구조적 개요로서보다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들에 표현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들의 기능적 설명으로서 의도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그리고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별개로 도시된 아이템들은 조합될 수 있고 몇몇 아이템들은 별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별개로 도시된 몇몇 아이템들은 단일 서버들에 구현될 수 있고 단일 아이템들은 하나 이상의 서버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구현하는데 사용된 서버들의 실제 개수와 특징들이 이들 사이에 어떻게 할당되는지는 구현마다 달라질 것이며, 선택적으로, 서버 시스템이 피크 사용주기 동안 뿐만 아니라 평균 사용주기 동안 다루어야만 하는 데이터 트래픽양에 부분적으로 따른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타 적절한 데이터 구조(가령, 인증모듈(402) 및/또는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4))를 이용해 각각의 사용자들을 각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과 연결시키고 각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과 관련된 인증토큰(즉, 액세스 토큰)을 관리한다.
도 4는 몇몇 구현에 따른 인증모듈(316)에서의 인증 데이터구조(402)와 미디어 계정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예시적인 미디어 계정 데이터구조(404)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몇몇 구현에서, 인증 데이터구조(402)는 "토큰 ID"(가령, 인증 데이터구조(402)내에 포함된 각 레코드(402-2, 402-3, 등)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MPS ID"(가령, 각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또는 복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해당하는 식별자), "액세스 토큰"(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인증토큰에 해당하는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 인증토큰), 및 "유효한가?(is valid?)"(가령, 각각의 액세스 토큰이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표시)를 위한 필드들(가령, 헤더(402-1)내 각 필드)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계정 데이터구조(404)는 미디어 acct ID(가령, 미디어 계정 데이터구조(404)에서 각 레코드(402-2, 402-3, 등)에 대한 고유 식별자), 미디어 사용자 ID(가령, 사용자 생성 사용자명일 수 있는 사용자와 관련된 식별자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식별자), 및 MPS IDs(가령,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해당하는 식별자 세트)를 위한 필드들(가령, 헤더(404-1)내 각 필드)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디바이스가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기 전에 상기 컨텐츠 공급자가 각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이 특정 사용자 계정(또는 사용자 계정들)과 연관있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사용자는 로그인 크리덴셜(가령,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차례로, (가령,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통해) 컨텐츠 공급자에 스스로를 및/또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로그인 크리덴셜을 제공한다). 인증 후,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계정과 관련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낼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108)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있음을 보장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 공급자는 특정 사용자 계정에 대한 규칙과 정책을 실행하고, 특정 사용자 계정과 관련있는 계정-지정 데이터에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컨텐츠 공급자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미디어 표현시스템과 함께 있는대로 상기 특정 계정에 적용되는 액세스 제한들을 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미 미디어 컨텐츠의 최대 할당량을 소비했다면, 사용자는 추가 미디어 컨텐츠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낼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저장된 플레이리스트와 같이 계정-지정 데이터, "선호" 컨텐츠 아이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 등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통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특정예로, 사용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연결 텔레비전(가령, 도 1의 텔레비전(108-2))을 셋업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공급자는 미디어 계정 데이터 구조(404)의 레코드(가령, 레코드 404-3)를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함으로써 텔레비전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서 사용자 계정과 연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98)가 임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과 아직 연결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또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의 구성요소, 가령, 인증모듈(316))는 레코드(404-3)를 미디어 계정 데이터 구조(404)에 추가한다(이 예에서, 텔레비전(108-2)은 TV_13의 MPS ID를 가지므로, 미디어 계정 데이터 구조(404)의 레코드(404-3)는 MPS IDs 필드에서 TV_13의 MPS ID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예로써, 몇몇 구현으로, 사용자(98)가 TV_13에 액세스를 공유하나, TV_13와 관련된 액세스 토큰이 나중에 무효인 경우, 인증모듈(316)은 인증 데이터 구조(402)에 레코드를 업데이트시켜 액세스 토큰의 무효를 반영한다(가령, 레코드(402-3)는 TV_13에 대한 액세스 토큰이 무효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추가 예로, 사용자(2)는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자(2)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는 Spk_0의 MPS ID와 관련된 스피커에 액세스를 공유하면(가령, 도 1의 스피커(108-1)와 관련된 핫스팟을 생성하면), 인증모듈(316)은 사용자(2)가 Spk_0와 관련 있음을 검증(가령, 사용자(2)와 관련된 레코드(404-2)가 Spk_0에 대한 MPS IDs 필드에 엔트리를 갖고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30)와 통신한다(가령, 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30)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에 SQL 쿼리를 보내고, 응답으로 상기 쿼리를 바탕으로 한 레코드를 수신한다). 사용자(2)가 스피커(108-1)를 사용하도록 승인받았다는 판단에 따라, 인증모듈(316)은 스피커(108-1)에 해당하는 액세스 토큰을 생성하기 위해 토큰생성모듈(318)에 액세스한다. 몇몇 구현에 따르면, 인증모듈(316)은 MPS ID (가령, Spk_0), 생성된 액세스 토큰, 및 토큰이 유효하다는 표시를 포함해 새 레코드(가령, 레코드(402-2))를 인증 데이터 구조(402)에 추가한다.
도 4는 표로서 데이터 구조(400)를 도시한 것이나, 데이터 구조(400)는 SQL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 XML 파일, 데스크탑 데이터베이스, 플랫 파일, CSV 파일, 및/또는 기타 조직화된 데이터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은 각 데이터 구조에 대한 소스들을 2이상의 별개의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조합하거나 블렌딩한다.
도 5a-5c는 몇몇 구현에 따른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는 방법(5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몇몇 구현에 따른 방법(500)은 서버시스템(가령, 도 1 및 도 3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의해 수행된다. 도 5a-5c는 컴퓨터 메모리 또는 기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가령, 도 3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의 메모리(306))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해당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시스템(가령,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스피커(108-1))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사용자(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와 관련된 제 1 전자 디바이스를 승인한다(502). 이 승인은, 가령, 제 1 사용자가 먼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셋업하거나 제 1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와 관련된 믿이어 컨텐츠 공급자에 로그할 때 발생한다.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컨트롤은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를 통한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보냄으로써 스피커(108-1)를 컨트롤하고 각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가 나중에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또는 상기 서버의 구성요소에 의해 스피커(108-1)로 보내진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와 스피커(108-1)가 동일한 네크워크(가령, WiFi 네트워크) 상에 있으면(가령, 연결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와 직접적으로는 스피커(108-1)에 모두 보낼 수 있는데, 이는 더 빠른 응답시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가령, 미디어 컨트롤 요청과 상기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포함된 요청된 새 노래 또는 기타 컨텐츠의 재생 간에 지연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스피커(108-1)와 동일한 네트워크(가령, WiFi)에 있지 않다. 예컨대, 손님은 파티 주최자의 무선(가령, WiFi)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이들 구현에서, 단지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보내며, 스피커(108-1)에 직접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보내지 않는다.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몇몇 구현에서, 스피커, 복수의 스피커들,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 무선 음악 스트리밍 디바이스, 또는 텔레비전 미디어 스트리밍 디바이스를 포함한다(504).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타입을 포함한다(가령, 도 1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들, 텔레비전, 및 DVD 플레이어). 추가 예로서,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텔레비전(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미디어 표현시스템) 또는 내장형 네트워크 호환성(가령, WiFi) 스피커를 갖는 디바이스(가령, 발광다이오드(LED) 램프)에 대한 무선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USB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타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하나의 스피커 또는 복수의 스피커들)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한다(506).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한 사용을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핫스팟을 생성한다라고 한다.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은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가 (가령, 도 2의 드래그, 확장 탭,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상에 임시 탭으로) 상기 제 1 전자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는(가령, 도 2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의 미디어 표현 공유모듈(2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포던스(affordance)(가령, 아이콘, 슬라이드바 등)를 선택한 후에 발생된다. 이들 구현에서 어포던스는 상기 어포던스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이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사용하게 하는 미디어 컨트롤용 핫스팟이 생성될 것임을 나타내는 텍스트(가령, (도 6a의 핫스팟 활성화 어포던스(602)와 같이) 하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에 대한 "쉐어" 버튼 및/또는 (도 6a의 쉐어-올 어포던스(604)와 같이) 복수의 미디어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에 대한 "쉐어-올"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현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도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이용하게 하도록 긍정적으로 동의하게 (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상에 디스플레이된 "나는 동의한다" 버튼을 클릭하거나 탭하게) 요구받을 수 있다.
도 6a를 참조로 특정 예로서, 제 1 사용자는 해당 미디어 표현시스템(이 예에서는 스피커(108-1))에 대한 핫스팟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핫스팟 활성화 어포던스(602)를 클릭한다. 핫스팟이 생성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 공유모듈(230)과 같은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의 구성요소)은, 몇몇 구현에서, 핫스팟이 스피커(108-1)에 대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업데이트된다(가령,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은 스피커(108-1)에 해당하는 핫스팟 활성화 어포던스(602)를 제거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핫스팟 표시자(606)(예컨대, "쉐어" 라는 텍스트를 가진 강조된 버튼)를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구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은 또한 제 1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의 이용가능한 미디어 표현 시스템들 모두에 대한 핫스팟을 생성하게 하는 쉐어-올 어포던스(604)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제 1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쉐어-올" 어포던스(604)를 선택하면(탭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또는,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제 1 사용자의 이용가능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 모두(가령, 핫스팟 및 상기 핫스팟에 액세스를 허용하는 관련된 토큰은, 이 예에서, 스피커(108-1), 텔레비전(108-2), DVD(108-3), 및 미디어 표현시스템(108-n))를 포함한 핫스팟을 생성한다.
도 7을 참조로 특정예를 이어나가면, 제 1 사용자가 핫스팟을 생성한 후에, 다른 사용자들은 제 1 사용자의 생성된 핫스팟과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사용자가 스피커(108-1)를 포함한 핫스팟을 생성한 후에, 다른 사용자(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제 2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에 액세스할 경우, (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상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는 다른 사용자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의 스피커(108-1))에 해당하는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는 하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과 연결된 것이 아니라, 대신 사용자와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 모두와 연결된다(가령,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와 관련된 핫스팟이 (도 6a의 모두-공유 어포던스(604)와 같이) 모두-공유 어포던스를 이용해 생성되었다면, "사용자(2)의 스피커(108-1)"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신에, 상기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 옆에 설명하는 텍스트는 가령 "사용자(2)의 핫스팟" 또는 "사용자(2)의 모든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대한 컨트롤을 공유"를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생성된 핫스팟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고(가령, 알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무선 네트워킹 기술(가령,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WiFi, 멀티캐스트(Multicast) DNS, 또는 애플 멀티피어 커넥티비티(Apple Multipeer connectivity))를 통해 생성된 핫스팟(또는 전송된 메시지)를 감지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가 생성된 핫스팟을 감지한 후에,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가령,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내에서)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가령,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0)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대안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몇몇 구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에 생성된 핫스팟과 관련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가령, 도 5a-5c를 참조로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인증토큰을 수신하고 미디어 표현시스템(가령, 스피커(108-1))을 이용하기 시작하도록 코드를 스캔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의 제 2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또는 핫스팟을 연결하기 위한 요청들의 관리를 담당하는 몇몇 다른 디바이스에 요청을 보내기 위해 조인 핫스팟 어포던스(608)를 선택(가령, 탭)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도 5a-5c를 참조로 더 상세히 언급된 바와 같이, 요청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로 보내지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의 사용자가 핫스팟을 조인하기 위한 요청을 승인한 후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인증토큰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로 보낸다. 인증토큰을 수신한 후, 몇몇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핫스팟과 관련된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이용할 수 있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는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내고, 그런 후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스피커(108-1)로 보내진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508).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해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 제한을 명시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오디오 출력 파라미터들(가령, 음량, 저음, 또는 이퀄라이저 셋팅)을 변경하는 것에 대한 제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턴오프하는 것에 제한, 또는 특정한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가령, 외설적인 컨텐츠를 포함한 미디어 아이템들)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송신하는 것에 대한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셧오프, 기정의된 임계량을 넘어선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양을 조절, 및/또는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규제를 위반(가령, 외설적 언어가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몇몇 구현에서, 핫스팟을 생성하는 것의 일부로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는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도 2)의 미디어 표현 공유모듈(230)에 의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로부터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선택한다. 몇몇 구현에서, 액세스-컨트롤 셋팅이 선택된 후에 제 1 사용자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핫스팟을 생성한다(가령,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패턴을 바탕으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몇몇 구현에서, 액세스-컨트롤 셋팅은 (가령,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패턴을 바탕으로) 서버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인증토큰을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보낸다(510)(가령, 인증모듈(316)의 토큰생성모듈(318)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보내어지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고유 인증토큰을 생성한다).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인증토큰을 보내는 것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에 응답해 수행된다(512). 대안으로, 인증토큰은 (가령, 인증 동안(502))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사전에 보내졌다. 다른 대안적인 구현으로, 제 1 전자 디바이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가령, 인증모듈(224)을 이용해)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인증 데이터 구조(402)에 저장을 위해 상기 인증토큰을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낸다.
도 5b를 참조하며,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제 2 전자 디바이스(가령, 도 1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로부터 수신하고(514),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몇몇 구현에서,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요청한 후(즉, 핫스팟에 액세스를 요청한 후)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인증토큰을 수신한다. 인증토큰은, 가령, 웹사이트 링크, 소셜-네트워킹 링크, QR(Quick Response) 코드,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mDNS(Multicast DNS), 또는 애플 멀티피어 커넥티비티(Apple Multipeer Connectivity)를 이용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 2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 2 전자 디바이스로 인증토큰을 전송하기 전에,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에 액세스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가령, 제 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승인한다. 예컨대,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하고, 제 1 사용자는 허용하거나 거부한다. 요청을 승인하는 것은, 몇몇 구현에서, 각 디바이스마다 다른 수준의 액세스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장하고/하거나 각 승인된 장치/요청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 요청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서 오디오 출력 파라미터들을 변경, 노래 재생, 비디오 재생, 재생목록에 있는 모든 노래들을 재생, 영화 재생, 또는 비디오 출력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는 기능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516). 몇몇 구현에서, 오디오 출력 파라미터들은 음량, 저음, 고음, (다양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해) 이퀄라이저 셋팅, 노래들 간에 전환을 위한 셋팅 및 기타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비디오 출력 파라미터들은 재생률(refresh rate), 종횡비, 해상도, 휘도, 콘트라스트 및 기타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기준들이 만족되는지 검증한다(518). 보다 상세하게,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검증한다: 1) 미디어 컨트롤 요청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따르는지 검증한다(520); 2)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기정의된 거리 내에(또는 제 1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 기정의된 영역 내에) 있는지 검증한다(522); 및 3)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기정의된(가령, 임계) 거리 내에(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포함한 기정의된 영역 내에) 있는지 검증한다(524). 몇몇 구현에서, 상기 검증들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데 응답해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이 보내진다(아래 526).
몇몇 구현에서, 상기 검증에 사용된 기정의된 거리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다. 몇몇 구현에서, 기정의된 거리에 대한 디폴트 값이 서버시스템에 의해 검색된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기정의된 거리에 대한 디폴트 값을 검색하고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패턴에 따라(가령,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이전에 연결된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들 간에 거리를 바탕으로 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과 상기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이전에 연결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간에 거리를 바탕으로)상기 디폴트 값을 변경한다.
제 1 전자 디바이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와 제 2 전자 디바이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2))가 서로 기정의된 거리 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임의의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 그들의 각각의 위치정보를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내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서로의 기정의된 거리 내에(가령, 5, 10, 25, 또는 50피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거리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다른 구현으로,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이들이 서로의 기정의된 거리 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서로 통신한다. 어느 한 장치에 의해 서로의 기정의된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된 후에,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낼 수 있다(이들 미디어 컨트롤 요청은,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내지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낸다).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전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은 위치 정보(가령, GPS 좌표를 기초로, 무선신호 강도 등에 따른 삼각측량)를 교환하는 하나 의 디바이스 또는 두 개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들은 이들의 감지된 지리적 위치들을 바탕으로 한 이들의 상호 근접도(및, 이에 따라, 이들이 기정의된 거리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몇몇 구현에서, (가령, 서버시스템에 의해)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에 따라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낸다(526). 몇몇 구현에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의 미디어 요청 처리모듈(322)은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수신하고 그런 후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판단, 선택, 또는 생성한다.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은, 몇몇 구현에서, 상기 토큰이 유효한지 검증하고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도록 승인되었는지 검증하는 것을 포함한다(528).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530)은 상기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보류 명령어 큐에 추가한다.
몇몇 구현에서, 보류 명령어 큐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에 의해 유지 및 관리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큐가 유지 및 관리되고, 여전히 다른 구현으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의해 큐가 유지 및 관리된다. 몇몇 구현으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디바이스가 (가령, 대역폭 제한, 이용가능한 CPU 자원들 등을 바탕으로) 큐를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지 판단한다. 다른 구현으로, 보류중인 명령어들의 큐는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제 1 전자 디바이스, 및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의해 결합해 유지 및 관리된다(가령, 큐의 일부는 각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 및 관리된다).
몇몇 구현에서,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아이템의 적어도 일부분을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전송한다(532). 미디어 아이템은 제 2 디바이스 상에 제 2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식별되나 미디어 컨트롤 요청시 요청되지 않는다. 몇몇 구현으로, 미디어 아이템의 일부는 제 2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가 기정의된 시간량(가령, 5초, 10초 등)보다 더 길게 미디어 아이템을 (가령, 터치기반의 제스처, 스타일러스, 또는 커서로) 떠돈다. 예컨대,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또는, 대안으로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전자 디바이스의 제 2 사용자가 (가령, 임계 시간량보다 더 길게 특정 미디어 아이템을 브라우징하였다는 판단을 토대로) 재생을 위해 특정 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것 같다고 판단하거나 알리며, 응답으로, 특정 미디어 아이템의 적어도 일부(가령, 사전 페치된 캐시부 또는 미리보기 부분)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낸다. 미디어 표현이 (가령, 도 6a에서 사용자가 모두-공유 어포던스(604)를 이용해 핫스팟을 생성했기 때문에) 복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을 포함한 몇몇 구현에서, 특정 미디어 아이템의 일부는 복수의 미디어 표현시스템들 내 각각의 미디어 표현 시스템으로 각각 전송된다. 따라서, 몇몇 구현에서, 사용자 행동 및/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령, 제 2 전자 디바이스)와의 인터랙션으은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가 추후 및/또는 (사용자 입력 없이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 생성될 수 있는) 또 다른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응답해 재생될 수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사전패치하게 한다. 사전패치된 컨텐츠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으로 보내지고, 상기 시스템에서 캐시된다.
몇몇 구현으로, 서버시스템은 기정의된 시간주기(가령, 1시간, 5시간, 1일, 3일, 1주, 등) 후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다(534). 기정의된 시간주기는, 몇몇 구현에서, 사용내역 및 특정 사용자(가령,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의 저장된 선호를 바탕으로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계산된다. 예컨대,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내역(가령, 미디어 계정 데이터 구조(404)에서 추가 필드)이 2시간 이내에 만료되어야 할 경우(가령, 사용내역은 제 1 사용자의 소셜 모임에 대한 평균시간길이 또는 제 1 사용자가 미디어 컨트롤 핫스팟을 개방시켜 둔 평균 또는 최대시간량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기정의된 시간주기는 2시간으로 설정된다. 다른 구현으로, 기정의된 시간주기는 (가령,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의 미디어 표현시스템 공유모듈(230)에 의해 표현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로, 몇몇 구현에서,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는 (가령, 미디어 애플리케이션(222)의 미디어 표현시스템 공유모듈(230)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인증토큰과 관련된 핫스팟을 없애고 따라서 (가령, 파티의 마지막에)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공유를 취소한다. 예컨대, 도 6b를 참조하면, 스피커(108-1)에 대한 핫스팟과 관련된 "공유(Sharing)" 버튼에 제 1 사용자에 의한 탭은 핫스팟을 무효화시키고 스피커(108-1)와 관련된 인증토큰을 없애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시한다(가령,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는 핫스팟이 없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로 보내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데 응답해, 미디어 컨텐츠 서버(104)는 인증 데이터 구조(402)에 적절한 레코드의 "유효한가?" 필드를 업데이트시켜 인증토큰의 무효화를 반영한다).
몇몇 구현으로, 서버시스템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인증을 취소하고, 인증 취소에 응답해,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다. 예컨대, 제 1 사용자의 계정이 만료될 수 있거나, 제 1 사용자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소유를 양도할 수 있다. 서버시스템은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사용자가 더 이상 미디어 표현시스템과 연관없기 때문에 승인을 취소할 것이다. 이 예에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승인을 취소한 후에, 서버시스템은 또한 인증토큰을 소유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계속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양도된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낼 수 없게 보장하도록 (미디어 표현에 대한 인증토큰이 여전히 유효한 경우)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다.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 후에(536), 서버시스템은 1) 무효화된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수신하고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없애며, 2) 서버시스템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액세스가 취소된 것을 제 1 전자 디바이스 및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알리는 것(540)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다양한 도면들 중 일부는 특정 순서에 따른 많은 논리 스테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나, 순서에 따르지 않는 스테이지들도 기록될 수 있고 다른 스테이지들도 조합되거나 위반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구현으로, 몇몇 스테이지들은 다른 스테이지들과 나란히 및/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가령, 도 5b의 동작(520, 522, 및 524)은 모두 함께 또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수행될 수 있다). 몇몇 레코딩 또는 기타 그룹핑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으나, 다른 것들도 당업자에 명백하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순서 및 그룹핑은 배타적인 대안 리스트가 아니다. 더욱이, 스테이지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설명을 위해 상기 설명은 특정 구현들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 예시적인 언급들은 배타적이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구현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어 있지 않다. 상기 교시를 고려해 많은 변형 및 변경들이 가능하다. 원리 및 원리의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구현들을 선택해 설명하였기에 당업자는 고려된 특정 사용에 맞는 것 같은 다양한 변형들로 상기 구현 및 다양한 구현들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갖는 서버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사용자와 관련된 제 1 전자디바이스를 승인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한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도록,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요청에 응답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인증토큰을 송신하는 단계;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위해 제 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에 응답해 제 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인증토큰을 수신한 제 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에 따라,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전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인,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은 스피커, 복수의 스피커들,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 무선 음악 스트리밍 디바이스, 또는 텔레비전 미디어 스트리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는 판단은 상기 인증토큰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단계 및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가 승인되었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정의된 시간주기 후에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표현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해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승인을 취소하는 단계 및, 승인 취소에 응답해,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 후에, 무효화된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인증토큰을 포함한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보내는 것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인증토큰을 무효화시킨 후에,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가 취소된 것을 제 1 전자 디바이스 및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보류중인 명령어 큐에 상기 명령어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토큰이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액세스를 허용한다고 판단한 후, 미디어 아이템의 일부를 미디어 표현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미디어 아이템은 제 2 전자 디바이스에 제 2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식별되나 미디어 컨트롤 요청시 요청되지 않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을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컨트롤 셋팅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 제한을 명시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미디어 컨트롤 요청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액세스-컨트롤 셋팅과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제 1 전자 디바이스의 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명령어는 검증에 응답해 보내지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전송하기 전에, 제 2 전자 디바이스가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명령어는 검증에 응답해 보내지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컨트롤 요청은 미디어 표현시스템에서 오디오 출력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노래를 재생하거나,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재생목록 내의 모든 노래들을 재생하거나, 영화를 재생하거나, 비디오 출력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는 기능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도록 요청한 사용자 입력 요청을 수신한 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기 위해 미디어 표현시스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도록 수신된 요청이 제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시, 서버시스템이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서버시스템.
  17. 서버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실행하게 구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8.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미디어 표현을 컨트롤하기 위한 서버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77018016A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8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0597A KR102435322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9045P 2014-12-31 2014-12-31
US62/099,045 2014-12-31
US14/668,732 2015-03-25
US14/668,732 US9112849B1 (en) 2014-12-31 2015-03-25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PCT/IB2015/002605 WO2016108086A1 (en) 2014-12-31 2015-12-28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creation of hotspots for media contro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597A Division KR102435322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538A KR20170100538A (ko) 2017-09-04
KR102382853B1 true KR102382853B1 (ko) 2022-04-05

Family

ID=537861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434A KR102490274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177018016A KR102382853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7001399A KR20230014857A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7010597A KR102435322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434A KR102490274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99A KR20230014857A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7010597A KR102435322B1 (ko) 2014-12-31 2015-12-28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9112849B1 (ko)
EP (5) EP3445055B1 (ko)
JP (6) JP6681645B2 (ko)
KR (4) KR102490274B1 (ko)
CN (5) CN111641648B (ko)
WO (1) WO2016108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4431B2 (en) 2009-03-16 2015-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WO2014204972A1 (en) * 2013-06-17 2014-12-24 Google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edia content streaming device setup
US9686819B2 (en) * 2013-09-24 2017-06-20 Xiaomi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outer access control
US9372597B2 (en) * 2014-01-13 2016-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systems providing user-friendly shared music playlist editing
US20150242597A1 (en) * 2014-02-24 2015-08-27 Google Inc. Transferring authorization from an authenticated device to an unauthenticated device
US9990129B2 (en) 2014-05-30 2018-06-05 Apple Inc. Continuity of application across devices
CN106464695B (zh) 2014-06-24 2020-01-14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认证在用户装置与流媒体内容装置之间的连接的方法、系统和媒体
CN105591763B (zh) * 2014-11-18 2019-05-21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分发照片的方法及终端
US9772813B2 (en) * 2015-03-31 2017-09-26 Facebook, Inc. Multi-user media presentation system
EP3215960B1 (en) 2015-04-01 2019-08-07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 playlists utilising device co-presence proximity
USD781919S1 (en) 2015-09-18 2017-03-21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D804531S1 (en) 2015-09-18 2017-12-05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D797149S1 (en) 2015-09-18 2017-09-12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D775233S1 (en) 2015-09-18 2016-12-27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D788820S1 (en) 2015-09-18 2017-06-06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D776162S1 (en) * 2015-09-18 2017-01-10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US10854180B2 (en) 2015-09-29 2020-12-01 Amper Music,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qualities of musical energy embodied in and expressed by digital music to be automatically composed and generated by an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ngine
US9721551B2 (en) 2015-09-29 2017-08-01 Amper Music, Inc. Machines, systems, processes for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mploying linguistic and/or graphical icon based musical experience descriptions
US10110608B2 (en) * 2016-01-07 2018-10-23 Google Llc Authorizing transaction on a shared device using a personal device
USD797807S1 (en) 2016-03-17 2017-09-19 Google Inc. Media streaming device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US10587616B2 (en) 2016-09-16 2020-03-10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uthentication of user devices to a display device
US11431836B2 (en) *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20200270871A1 (en) 2019-02-27 2020-08-27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Fire-resistant manufactured-wood based siding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1342073B2 (en) 2017-09-29 2022-05-2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Transmitted display casting for medical devices
EP4181553A1 (en) * 2017-12-08 2023-05-17 Google LLC Distributed identification in networked system
US11595397B2 (en) 2017-12-15 2023-02-28 Google Llc Extending application access across devices
US11270288B2 (en) * 2017-12-19 2022-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vice connection following a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US11477516B2 (en) * 2018-04-13 2022-10-18 Koji Yoden Services ov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high flexibility and efficiency
US10749852B2 (en) 2018-05-10 2020-08-1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private devices to public devices according to connection parameters
US10757109B2 (en) 2018-05-10 2020-08-2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US10666662B2 (en) 2018-05-10 2020-05-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without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s
US10630692B2 (en) 2018-05-10 2020-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providing a pre-installed content management application
US10652250B2 (en) 2018-05-10 2020-05-1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public device to a private device using mirroring applications
US11082742B2 (en) 2019-02-15 2021-08-03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shared listening sessions
US10838599B2 (en) * 2019-02-25 2020-11-17 Snap Inc. Custom media overlay system
US11893585B2 (en) * 2019-05-31 2024-02-06 Apple Inc. Associating multiple user accounts with a content output device
KR102436985B1 (ko) 2019-05-31 2022-08-29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CN110718218B (zh) * 2019-09-12 2022-08-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1024275B2 (en) 2019-10-15 2021-06-01 Shutterstock, Inc. Method of digitally performing a music composition us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having performance logic executing within a virtual musical instrument (VMI) library management system
US10964299B1 (en) 2019-10-15 2021-03-30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gital performances of music compositions using notes selected from virtual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the music-theoretic states of the music compositions
US11037538B2 (en) 2019-10-15 2021-06-15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ed musical arrangement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tyle transformation supported within an automated music performance system
FI20195978A1 (en) * 2019-11-15 2021-05-16 Genelec Oy Speakers and control systems for speakers
US11372387B2 (en) * 2020-03-03 2022-06-2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adata-based smart home automation
US20210320971A1 (en) * 2020-04-09 2021-10-14 Alexander Lebowitz Web Based Collaborative Music Playlist System
US11283846B2 (en) 2020-05-06 2022-03-22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a shared listening session
US11455689B1 (en) * 2020-05-08 2022-09-27 Nationwide Mutual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real-time iterative collaborative decision support
US11079913B1 (en) 2020-05-11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status indicators
US20210385204A1 (en) * 2020-06-09 2021-12-09 T-Mobile Usa, Inc. Acoustic signal-based authentication to a content delivery platform
US11197068B1 (en) 2020-06-16 2021-12-07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queuing for shared listening sessions based on user satisfaction
US11503373B2 (en) 2020-06-16 2022-11-15 Spotify Ab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queuing for shared listening sessions
EP4037354A1 (en) * 2020-07-30 2022-08-03 Spotify AB Selection of a wireless device that is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appliance for media presentation in a vehicle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11677840B2 (en) * 2021-01-11 2023-06-13 Cisco Technology, Inc. Preserving transmission properties of real-time scenes in an environment when an increasing number of users join a session
US11637880B2 (en) 2021-05-06 2023-04-25 Spotify Ab Device discovery for social playback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3004002A (es) * 2000-11-21 2003-08-19 Universal Electronics Inc Sistema de retorno de medios.
JP4221286B2 (ja) * 2001-06-06 2009-02-12 ヤフ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および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265640C (zh) * 2001-06-11 2006-07-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许可管理服务器、许可管理系统及使用限制方法
JP4301482B2 (ja) * 2001-06-26 2009-07-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バ、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US7822687B2 (en) * 2002-09-16 2010-10-26 Francois Brill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7899187B2 (en) * 2002-11-27 2011-03-01 Motorola Mobility, Inc. Domain-based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with easy and secure device enrollment
US20040235521A1 (en) * 2003-05-01 2004-11-25 Salil Pradhan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ing digital media
US7434166B2 (en) 2003-06-03 2008-10-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ireless presentation system
US20060008256A1 (en) * 2003-10-01 2006-01-12 Khedouri Robert K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WO2005055022A1 (en) * 2003-12-04 2005-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nection linked rights protection
US8843413B2 (en) * 2004-02-13 2014-09-23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content to a domain
WO2005088908A1 (ja) 2004-03-10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方法
US9977561B2 (en) *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9374607B2 (en) 2012-06-26 2016-06-21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guest access
CN101901324B (zh) * 2004-11-18 2012-12-12 康坦夹德控股股份有限公司 许可证中心的内容消费的方法、系统和设备
US20060173974A1 (en) * 2005-02-02 2006-08-03 Victor T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ccess to personal media
JP2006246081A (ja) * 2005-03-03 2006-09-14 Sharp Corp 暗号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icカード、暗号処理方法、暗号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217036A1 (en) 2005-05-04 2009-08-27 Vodafone Group Plc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244179B2 (en) * 2005-05-12 2012-08-14 Robin Dua Wireless inter-device data processing configured through inter-device transmitted data
US7555291B2 (en) 2005-08-26 2009-06-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song play list
TW200715139A (en) * 2005-10-07 2007-04-16 Benq Corp Projector and authoritizing method for computers thereof
JP4766249B2 (ja) * 2006-03-01 2011-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ークン譲渡方法、トークン譲渡システム及び権限認証許可サーバ
US8027634B1 (en) * 2006-05-16 2011-09-27 Eigent Technologies Inc. RFID system for subscription services with multiple subscribers and/or devices
US20070282905A1 (en) * 2006-06-06 2007-12-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he playback of distributed multimedia files
US8145532B2 (en) * 2006-06-27 2012-03-27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s to a media sharing service
US9438436B2 (en) * 2006-08-14 2016-09-06 Alcatel Lucent Broadcast anchor availability indication
US7873988B1 (en) * 2006-09-06 2011-01-18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rights propagation and license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in a social network
CN100581197C (zh) * 2006-10-30 2010-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媒体特征信息的方法和系统以及终端设备
JP4882686B2 (ja) 2006-11-10 2012-02-22 ヤマハ株式会社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4633042B2 (ja) 2006-12-19 2011-02-1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2008244633A (ja) * 2007-03-26 2008-10-09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7971261B2 (en) 2007-06-12 2011-06-28 Microsoft Corporation Domain management for digital media
US7886318B2 (en) * 2007-06-22 2011-02-08 Morega Systems Inc. Set top box w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ultiple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EP2250607A1 (en) * 2008-03-04 2010-11-17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execution of software code based on accessible entitlements
US20100005517A1 (en) * 2008-07-02 2010-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ptv content sharing in ims network
WO2010041991A1 (en) * 2008-10-06 2010-04-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user-controlled environment
US8296675B2 (en) * 2009-03-09 2012-10-23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ggregating and presenting attention hotspots in shared media
WO2010107490A1 (en) * 2009-03-18 2010-09-2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Entertainment server and associated social networking services
EP3832975A1 (en) 2009-05-29 2021-06-09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private digital content
US8898453B2 (en) * 2010-04-29 2014-11-25 Blackberry Limited Authentication server and method for granting tokens
CN101945252B (zh) * 2010-07-01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跨平台媒体系统及其实现方法
CA2715146C (en) * 2010-09-17 2011-11-22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one or more devices having hidden configuration settings
US9445139B2 (en) * 2010-10-05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ed content discovery
US20130347044A1 (en) 2011-02-20 2013-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amless playback of content
US8346867B2 (en) 2011-05-09 2013-01-01 Google Inc. Dynamic playlist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20311444A1 (en) * 2011-06-05 2012-12-06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media playback using gestures
US8621352B2 (en) * 2011-06-08 2013-12-31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meeting video sharing
JP5930847B2 (ja) * 2011-06-29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バー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39812A (ko) * 2011-10-13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2368770A (zh) * 2011-10-20 2012-03-07 江西省南城县网信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网络的多媒体资源共享系统
US9454849B2 (en) * 2011-11-03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playspaces with adaptive game rules
KR102066125B1 (ko) * 2011-11-29 2020-01-14 스포티파이 에이비 멀티 디바이스의 보안 애플리케이션 통합을 갖춘 컨텐츠 공급자
US8918908B2 (en) * 2012-01-06 2014-12-23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digital content using electronic tickets and ticket tokens
CA2764283A1 (en) * 2012-01-16 2013-07-16 Giovanni J. Morelli Mobile device control application for improved security and diagnostics
US9386057B2 (en) * 2012-01-18 2016-07-05 Numecent Holdings, Inc. Application streaming and execution system for localized clients
US8966092B2 (en) * 2012-02-24 2015-02-24 Wyse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sharing using near proximity communication
US9191133B2 (en) * 2012-03-01 2015-11-17 Htc Corporation Multimedia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547679B2 (en) 2012-03-29 2017-01-17 Spotify Ab Demographic and media preference prediction using media content data analysis
US20130268593A1 (en) 2012-04-10 2013-10-10 Google Inc. Determining music in social events via automatic crowdsourcing
CN103368925B (zh) * 2012-04-10 2017-10-27 天津米游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认证的方法
US9137281B2 (en) * 2012-06-22 2015-09-15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Dynamically enabling guest device supporting network-based media sharing protocol to share media content over local area computer network of lodging establishment with subset of in-room media devices connected thereto
CA2792482C (en) * 2012-06-22 2013-07-30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Dynamically enabling guest device supporting network-based media sharing protocol to share media content over computer network with subset of media devices connected thereto
US9195383B2 (en) 2012-06-29 2015-11-24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ath control signals for media presentation devices
US20140029921A1 (en) * 2012-07-27 2014-01-30 Adam Warren Systems and methods for hotspot enabled media
KR101960062B1 (ko) 2012-08-24 2019-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US8910265B2 (en) * 2012-09-28 2014-12-09 Sonos, Inc. Assisted registration of audio sources
JP6002913B2 (ja) * 2012-10-30 2016-10-05 株式会社モルフォ 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US10540385B2 (en) 2013-03-15 2020-01-21 Spotify Ab Taste profile attributes
CN103237029A (zh) * 2013-04-25 2013-08-07 杨春生 网络设备的控制方法
US9727544B2 (en) 2013-05-06 2017-08-08 Dropbox, Inc. Animating edits to documents
FR3005820B1 (fr) 2013-05-17 2015-05-29 Envivio France Procede de gestion de listes de lecture personnalisees du type comprenant un gabarit d'uri et une liste d'identifiants de segments.
JP2014228951A (ja) 2013-05-20 2014-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代理認可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装置
US9742757B2 (en) * 2013-11-27 2017-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and destroying potentially misappropriated access tokens
CN103945268B (zh) * 2014-03-17 2017-10-2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多帐号与多目标设备的控制处理方法及系统
US9432431B2 (en) 2014-03-18 2016-08-30 Accenture Global Servicse Limited Manifest re-assembler for a streaming video channel
US10778739B2 (en) * 2014-09-19 2020-09-15 Sonos, Inc. Limited-access media
US9516466B2 (en) 2014-12-15 2016-12-06 Google Inc. Establishing presence by identifying audio sample and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1245B1 (en) 2018-10-17
KR20220045073A (ko) 2022-04-12
JP2023159200A (ja) 2023-10-31
US9288200B1 (en) 2016-03-15
JP7330414B2 (ja) 2023-08-21
CN111641645B (zh) 2022-04-05
CN111641644B (zh) 2021-10-15
EP3996377A1 (en) 2022-05-11
JP6681645B2 (ja) 2020-04-15
EP3737103B1 (en) 2022-01-05
CN107113309A (zh) 2017-08-29
JP2023103322A (ja) 2023-07-26
US9432428B2 (en) 2016-08-30
US20170085552A1 (en) 2017-03-23
EP3554091A1 (en) 2019-10-16
KR20230014857A (ko) 2023-01-30
WO2016108086A1 (en) 2016-07-07
US9935943B2 (en) 2018-04-03
US20200059462A1 (en) 2020-02-20
JP2022064976A (ja) 2022-04-26
CN111641645A (zh) 2020-09-08
JP7442725B2 (ja) 2024-03-04
JP2018507465A (ja) 2018-03-15
JP2020115354A (ja) 2020-07-30
EP3445055B1 (en) 2019-07-24
US20180351937A1 (en) 2018-12-06
EP3554091B1 (en) 2020-07-22
KR102435322B1 (ko) 2022-08-23
KR102490274B1 (ko) 2023-01-19
JP7019089B2 (ja) 2022-02-14
CN111641644A (zh) 2020-09-08
CN111641647A (zh) 2020-09-08
EP3737103A1 (en) 2020-11-11
EP3041245A1 (en) 2016-07-06
JP6952149B2 (ja) 2021-10-20
US11057370B2 (en) 2021-07-06
JP2022020627A (ja) 2022-02-01
CN107113309B (zh) 2020-06-26
US9112849B1 (en) 2015-08-18
EP3445055A1 (en) 2019-02-20
KR20170100538A (ko) 2017-09-04
US10313331B2 (en) 2019-06-04
JP7277625B2 (ja) 2023-05-19
CN111641648B (zh) 2021-08-17
KR20220122773A (ko) 2022-09-02
CN111641648A (zh) 2020-09-08
CN111641647B (zh) 2022-12-02
US20160191590A1 (en)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853B1 (ko) 미디어 컨트롤을 위한 핫스팟의 동적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469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ing User Experience Based on Discovery Met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