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352B1 -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352B1
KR102382352B1 KR1020190160616A KR20190160616A KR102382352B1 KR 102382352 B1 KR102382352 B1 KR 102382352B1 KR 1020190160616 A KR1020190160616 A KR 1020190160616A KR 20190160616 A KR20190160616 A KR 20190160616A KR 102382352 B1 KR102382352 B1 KR 10238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plate
composite
concav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0632A (en
Inventor
임현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6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3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7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기둥부; 상기 외부기둥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내부기둥부; 및,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부;를 포함하는 합성기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pillar; an inner pillar part installed in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pillar part, and in which the uneven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t provides a composite pillar comprising a; and a fireproof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Description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 구조체{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A composite column and a composite column structure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본 발명은 좌굴성능 및 내화성능이 개선된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lumn having improved buckling performance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a composite column structur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건축물의 기둥부재는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주로 분담하는 압축재로서 구조시스템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column member of a building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structural system as a compression material that mainly shares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또한, 수직하중뿐만 아니라 축하중의 편심이나 풍하중, 지진하중, 충돌 및 폭발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이 복합하여 작용 시, 모멘트에 의한 휨이 발생하여 기둥의 단면 일부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In addition, when vertical loads as well as axial loads, eccentricity of axial loads, wind loads, seismic loads, and horizontal loads such as collision and explosion loads are combined, bending due to the moment occurs and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Should be.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경우, 주철근은 하중 전달방향인 종방향으로 배근되고, 주철근의 위치 고정과 수평하중에 의한 좌굴 저항을 목적으로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이 사용된다. In the cas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 transfer direction, and band reinforcing bars or spiral reinforcing bar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s and resisting buckling by horizontal loads.

띠철근, 나선 철근은 기둥의 연성 및 전단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횡방향 철근이라고 한다.Band reinforcing bars and spiral reinforcing bar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uctility and shear strength of columns, so they are called transverse reinforcing bars.

철골기둥은 스틸로 기둥을 형성하여 수평, 수직하중에 저항하며 흔히 H형강(Rolled-H, Built-up H)을 사용하고 각형 또는 원형강관으로 형성하기도 한다.Steel pillars are made of steel to resist horizontal and vertical loads. H-beams (Rolled-H, Built-up H) are often used, and they are sometimes formed into square or round steel pipes.

합성기둥은 철골부재 또는 강관과의 합성으로 기둥 형성하여 강관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기둥을 CFT(Concrete-Filled Tube), 콘크리트 기둥에 H형강이나 강관부재를 심어 합성한 기둥을 SRC(Steel-Reinforced Concrete)라고 한다.Composite columns form columns by combining them with steel frame members or steel pipes, and CFT (Concrete-Filled Tube) is a column filled with concrete, and SRC (Steel-Reinforced Concrete) is a column synthesized by planting H-beam or steel tube members in a concrete column. ) is called

기둥은 압축력, 인장력, 편심과 횡 방향 하중에 의한 휨 강도,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성능을 보유하면서, 사이즈를 최적화하여 건물사용자의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고층건축물의 경우 상하부 기둥부가 강성 연결되어 일체화 거동이 될 수 있어야 한다.Columns are designed to maximize the usable area of building users by optimizing their size while retaining structural performance to resist compressive force, tensile force, bending strength due to eccentricity and lateral load, and moment. And,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the upper and lower pillars should be rigidly connected to form an integrated behavior.

화재 시 건물 구조체의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가 기둥부재이고, 철골구조의 경우 열에 대한 약점 때문에 내화뿜칠이나 내화 페인트와 같은 피복재를 도포하여 기둥의 내화성능을 높인다. In case of fire, the most important member in terms of the safety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the column member, and in the case of a steel structure, because of its weakness to heat, coating materials such as fire-resistance paint or fire-resistance paint are applied to increas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olumn.

건축구조체의 국내 내화규준은 법정 내화구조와 인정 내화구조로 구분되고 성능실험 등을 통해 내화구조 인정서가 취득된 시스템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The domestic fire resistance standards of building structures are divided into legal fire resistance structures and certified fire resistance structures, and they are applied to systems that have obtained fire resistance structure certification through performance tests, etc.

국내의 내화설계는 건축법 제 40조의 내화구조 의무 규정과 건축법 시행령 제56조 및 제53조의 내화구조 대상 건축물에 대한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Fire-resistance design in Korea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mandatory provisions of Article 40 of the Building Act and the provisions of Articles 56 and 5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for fire-resisting structures.

시행령 제3조에는 내화구조에 해당하는 예시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구조에 대해서는 별도의 내화시험(KS F 2257-1)을 거쳐 내화구조로 개별 인정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Decree specifies examples of fire-resistance structures, and stipulates that structures that do not fall under this category must undergo a separate fire-resistance test (KS F 2257-1) to receive individual recognition as fire-resistance structures.

내화성능은 시험결과(변형, 온도)에서의 시간으로 판단하여 건물의 용도, 규모, 높이 등에 따라 기준을 정하고 있다.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judged by the time in the test results (deformation, temperature), and standards are set according to the use, scale, and height of the building.

용도purpose 규모- 층수 / 최고높이Scale- Number of floors / highest height 기둥부재column member (사양설계)
피복두께
(Specification design)
cover thickness
일반, 주거, 상업시설General, residential, commercial facilities 13층이상 / 50m 이상13th floor or more / 50m or more 3시간3 hours 40 mm40 mm 5~12층 / 20 ~ 50m5th to 12th floor / 20 to 50m 2시간2 hours 30 mm30 mm 1~4층 / 20m 이하1st to 4th floor / less than 20m 1시간1 hours 20 mm20 mm

KR 10-2002-0004747 AKR 10-2002-0004747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직하중, 수평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극대화하여 합성기둥의 사이즈를 절감하여 사용면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column and a composite column structure that can maximize the structural performance against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to reduce the size of the composite column and expand the use are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합성기둥의 내화성능을 향상되고, 수직하중 연결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illar and a composite pillar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illar and facilitate vertical load conn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기둥부; 상기 외부기둥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내부기둥부; 및,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기둥부는,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이 서로 연결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의 일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합성기둥을 제공한다.As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pillar; an inner pillar part installed in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pillar part, and in which the uneven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fire resistant part installed between the outer pillar part and the inner pillar part, wherein the inner pillar part forms a closed cross-section while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provides a composite pillar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to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기둥부는 내부가 중공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기둥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의 다각형 형상의 각변에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요철모듈판이 배치되고, 다각형의 모서리부분에서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pillar portion is composed of a metal tub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polygon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inner pillar portion is a concave-convex module plate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each side of the polygonal shap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orners of the polyg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기둥부는, 둘레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pillar portion,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composed of a tubular body with a hollow insid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모듈판은,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과,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는 경사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요철모듈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내입판을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수평연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and a protruding plate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are alternately disposed, the inner stand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is connected by an inclined plate, and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is formed in a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whil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A connection plate;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연결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입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경사판은 수평하게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uneven module plate, and the inclined plate may be formed while being horizontally spread.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모듈판은,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과,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는 경사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요철모듈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의 모서리부분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내접판; 및, 상기 내접판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사연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and a protruding plate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art are alternately disposed, the inner stand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an inscribed plate connected to the slanted plate between the slanted plates,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being disposed at a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d join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outer pillar; and an inclined extension plate extending obliquel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scribed plate and extending relatively longer than the inclined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고, 건식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식내화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resistant unit may be formed of a dry fire resistant material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and constructed in a dry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시트형태의 내화시트재; 및, 상기 내부기둥부와 상기 내화시트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화중공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resistant unit may include: a sheet-shaped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and a fire-resistant hollow portion surrounded by the inner pillar and the fire-resistant sheet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부는, 상기 내화시트재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내화중공부분의 적어도 일부영역까지 설치되는 내화요철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resista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resistant concavo-convex material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and is installed up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e resistant hollow part.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 및 경화되도록 습식방식으로 시공되는 습식내화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resistant unit may be composed of a wet fire resistant material constructed in a wet manner so as to fill and harde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기둥부의 내부에 타설되어 상기 내부기둥부와 강합성되는 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is poured into the inside of the inner pillar portion and the concrete portion is reinforced with the inner pill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기둥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를 이격시키고,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는 전단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is installed through the inner pillar portion, spaced apart between the outer pillar portion and the inner pillar portion, the shear reinforcement portion embedded in the concrete; may further inclu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합성기둥이 높이방향으로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합성기둥 중 어느 일측의 상기 내부기둥부가 타측의 상기 외부기둥부로 삽입되면서 인접한 상기 합성기둥이 연결되는 합성기둥 구조체를 제공한다.As an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composite pillar i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inner pillar part of any one side of the composite pillar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llar part of the other side while adjacent It provides a composite pillar structure to which the composite pillar is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하중, 수평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극대화하여 합성기둥의 사이즈를 절감하여 사용면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for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mposite column and expanding the usable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기둥의 내화성능을 향상되고, 수직하중 연결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column is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vertical load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 구조체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 구조체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lan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composite colum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composite colum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pilla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기둥(10)은 외부기둥부(100), 내부기둥부(200), 내화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부(400) 및, 전단보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e pilla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pillar part 100 , an internal pillar part 200 , and a fireproof part 300 , and additionally a concrete part 400 and a shear reinforcement part 500 . ) may be included.

도 1을 참조하면, 합성기둥(10)은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내부기둥부(200) 및,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mposite pillar 10 has an external pillar part 100 and an internal pillar part 200 in which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and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 and a fire resistant part 300 installed between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and the inner pillar part 200 .

도 1을 참조하면, 외부기둥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xternal pillar 100 may be configured as a tubular body having a hollow interior.

외부기둥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강재 등의 금속소재의 관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pillar 1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composed of a tubular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having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외부기둥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강관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outer pillar 100 may be made of a steel pipe having a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shape with a hollow inside.

도 1을 참조하면, 내부기둥부(200)는 외부기둥부(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내부기둥부(200)와 외부기둥부(10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ner pillar 2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uter pillar 100 , and the inner pillar 200 and the outer pillar 1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내부기둥부(200)와 외부기둥부(100)의 사이에는 이격공간(S1)이 형성되고, 이격공간(S1)에는 내화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A separation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illar 200 and the outer pillar 100 , and the fire resistant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space S1 .

내부기둥부(200)는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pillar 200 may be composed of a tubular body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inside is hollow.

내부기둥부(200)는 외부기둥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요철구조가 반복됨으로써, 합성기둥(10)에 작용하는 자중 등의 수직하중과, 풍하중, 지진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inner pillar 20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pillar 100 and the uneven structure is repeated, so that vertical loads such as self-weight acting on the composite pillar 10 and horizontal loads such as wind loads and earthquake loads are supported. can play a role in improving

일례로, 내부기둥부(200)는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파형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pillar 200 may be composed of a corrugated steel pipe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내부기둥부(200)는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 주변에 배치되고, 내부기둥부(200)의 내부의 타설공간(S2)에는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면서 콘크리트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pillar 200 is dispos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100, and the concrete portion 400 may be formed in the pouring space S2 inside the inner pillar 200 while the concrete is poured and hardened. .

도 1을 참조하면, 내화부(300)는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화재 등에 의해 외부기둥부(100)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내부기둥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재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ire resistant par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and the inner pillar part 200 , and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f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due to a fire or the like is transferred to the internal pillar. It may serve as a fireproofing material that blocks transmission to the unit 200 .

내화부(300)는 내부기둥부(200)와 외부기둥부(100)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S1)에 설치되어 합성기둥(10)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e resistant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space S1 formed between the inner pillar 200 and the outer pillar 100 to improv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pillar 10 .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부기둥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기둥부(200)는,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다각형 형상의 각변에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요철모듈판(200M)이 배치되고, 다각형의 모서리부분에서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to 4 , the outer pillar 100 is composed of a metal tube having a hollow polygonal cross section, and the inner pillar 200 has a polygonal shape of the outer pillar 100 . A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 and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orners of the polyg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내부기둥부(200)는, 둘레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ner pillar 200 may be configured as a tubular body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ollow inside.

내부기둥부(200)는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요철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pillar 200 may be formed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ncave-convex tube having a hollow inside.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기둥부(200)는,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200M)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2A to 4 , the inner pilla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외부기둥부(100)의 다각형 형상의 각변에 요철모듈판(200M)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200M)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i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polygonal shape of the external pillar 100 ,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200M)이 서로 연결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폐단면의 내부가 콘크리트부(400)의 타설을 위한 타설공간(S2)으로 활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the inside of the closed cross-section may be utilized as a pouring space S2 for pouring the concrete part 400 .

요철모듈판(200M)은,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210)과,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230)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210)과 상기 돌출판(230)의 사이는 경사판(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an inner standing plate 210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100, and a protruding plate 230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100 alternately is arranged, and between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and the protruding plate 230 may be connected by a swash plate 250 .

도 3a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200M)은 외부기둥부(100)와 용접에 의해 용접부(W)가 형성되며서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3A ,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may be joined while forming a welding portion W by welding with the external pillar portion 100 .

인접한 요철모듈판(200M)은 횡방향 단부 부분이 서로 용접 접합될 수 있고, 인접한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은 외부기둥부(100)와 함께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may have lateral end portions weld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may be welded together with the external pillar 100 .

일례로, 외부기둥부(100)가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각관으로 구성될 경우, 인접한 2개의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과 다각관의 모서리부분은 함께 용접 접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outer pillar 100 is composed of a polygonal tube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 connection portion of two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and a corner portion of the polygonal tube may be welded together.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부기둥부(100)가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사각관으로 구성될 경우, 4개의 요철모듈판(200M)은 사각관의 4개의 모서리부분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2A to 4 , when the outer pillar part 100 is composed of a square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four uneven module plates 200M are wel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quare tube. there is.

또한, 인접한 2개의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과 사각관의 모서리부분은 함께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wo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s 200M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tube may be welded together.

도 3a를 참조하면, 요철모듈판(200M)은,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210)과,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230)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210)과 상기 돌출판(230)의 사이는 경사판(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a, the uneven module plate 200M,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and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is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ding plates 23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nd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and the protruding plate 230 may be connected by an inclined plate 250 .

이때, 요철모듈판(200M)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과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내입판(210)을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수평연결판(270)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while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inner standing plates 210 to the external pillar part. A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7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00 may be provided.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수평연결판(270)이 외부기둥부(100)와 접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내입판(210)은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By bond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70 dispos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with the external pillar 100, the plurality of inner standing plates 21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100. They may be spaced apart.

도 3a의 확대부분을 참조하면, 수평연결판(270)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입판(2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경사판(250)은 수평하게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3A ,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70 is form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dispos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and the inclined plate 250 horizontally. It can be formed as it unfolds.

수평연결판(270)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입판(2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경사판(250)은 수평하게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고, 수평연결판(270)의 단부가 외부기둥부(100)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70 may be formed 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and the inclined plate 250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are horizontally spread out,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An end of th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illar 100 by welding or the like.

요철모듈판(200M)의 횡방향 단부에 배치된 수평연결판(270)은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의 모서리부분에 용접부(W)를 형성하면서 접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70 disposed at the transverse end of the uneven module plate 200M may be joined while forming a welding portion W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100 .

이에 따라, 요철모듈판(200M)의 횡방향 단부 이외의 부분에 배치된 복수 개의 내입판(210)은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격공간(S1)에 습식방식으로 습식내화재(302)가 충전되어 경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inner standing plates 210 disposed in portions other than the transverse end of the uneven module plate 200M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paced apart ( S1) may be cured by filling the wet refractory material 302 in a wet manner.

이때,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서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입판(210)의 이격거리는 충전되는 습식내화재(302)의 내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저피복두께를 충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inner standing plates 210 disposed closes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100 may be configured to meet the minimum coating thickness capable of exhibit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lled wet fire resistant material 302 .

도 3b를 참조하면, 요철모듈판(200M)은,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210)과,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230)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210)과 상기 돌출판(230)의 사이는 경사판(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b, the uneven module plate 200M,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and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is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ding plates 23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nd the inner standing plate 210 and the protruding plate 230 may be connected by an inclined plate 250 .

이때, 요철모듈판(200M)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200M)의 연결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모서리부분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내접판(280) 및, 상기 내접판(28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2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사연장판(290)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is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200M, and the inscribed plate 280 is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external pillar 100, and the inscribed plate It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t 280 , and may include an inclined extension plate 290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the inclined plate 250 .

경사연장판(290)은 상기 내접판(28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2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내입판(210)을 상기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과 이격시킬 수 있다.The inclined extension plate 290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inscribed plate 280, and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inclined plate 250 so as to attach a plurality of the inner standing plates 210 to the external pillars 100. )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즉, 연결모듈판의 연결부분인 종방향 단부 부분에는 외부기둥부(100)와의 연결을 위해 내접판(280)과, 경사연장판(290)이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inscribed plate 280 and the inclined extension plate 290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module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

경사연장판(290)이 요철모듈판(200M)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경사판(25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경사판(250)이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이격된 부분에 습식방식으로 습식내화재(302)가 충전되어 경화될 수 있다.As the inclined extension plate 29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250 installed on the uneven module plate 200M, the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25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wet refractory material 302 may be filled and cured in the spaced part by a wet method.

이때, 복수 개의 경사판(250)과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까지의 이격거리는 충전되는 습식내화재(302)의 내화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저피복두께를 충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wash plates 2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illar 100 may be configured to satisfy the minimum coating thickness capable of exhibit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wet fire resistant material 302 to be filled.

인접한 연결모듈판은 내접판(280)이 서로 연결되거나, 경사연장판(290)이 서로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내접판(280)과 경사연장판(290)이 각각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djacent connection module plates, the inscribed plates 28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inclined extension plates 2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Of course, the inscribed plate 280 and the inclined extension plate 290 may be connected by welding, respectively.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내화부(300)는,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의 이격공간(S1)에 배치되고, 건식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식내화재(301)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 the fire resistant part 300 is disposed in a space S1 between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and the inner pillar part 200, and is constructed in a dry manner. It may be made of a refractory material 301 .

내화부(300)는 섬유타입, 블랭킷타입, 보드타입, 블록타입 등의 건식내화재(301)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fire resistant unit 300 , a dry fire resistant material 301 such as a fiber type, a blanket type, a board type, or a block type may be installed.

내화부(300)는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섬유(FiBER), 블랭킷(Blanket) 등으로 구성된 시트형태의 내화시트 또는 보드타입의 내화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resistant unit 300 is composed of a sheet type fire resistant sheet or board type fire board composed of fibers (FiBER), a blanket, etc. disposed between the outer pillar unit 100 and the inner pillar unit 200 . can b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화부(300)는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에 복수 개의 내화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re resistant unit 300 , a plurality of fire resistant block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illar 100 and the inner pillar 200 .

일례로, 건식방식에 의해 시공되는 내화블랭킷 등의 내화시트재(310)로 구성될 수 있고, 내화시트재(310)는 내화섬유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such as a fire resistant blanket constructed by a dry method, may be composed of, and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may be composed of a fire resistant fiber film.

도 2a를 참조하면, 내화부(300)는,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의 이격공간(S1)에 배치되는 시트형태의 내화시트재(310) 및, 상기 내부기둥부(200)와 상기 내화시트재(3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화중공부분(33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fire resistant unit 300 includes a sheet-shaped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disposed in a space S1 between the outer pillar 100 and the inner pillar 200, and, A fireproof hollow portion 330 surrounded by the inner pillar 200 and the fireproof sheet material 310 may be provided.

내화시트재(310)는 건식방식에 의해 시공되고, 내화시트재(310)는 막타입의 내화섬유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is constructed by a dry method, and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may be composed of a film-type fire resistant fiber film.

내화시트재(310)는 이격공간(S1)의 일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내화중공부분(330)은 이격공간(S1)에서 내화시트재(310)의 설치부분을 제외한 부분일 수 있다.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may be dispos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separation space S1 , and the fire resistant hollow portion 330 may be a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S1 exclud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

내화중공부분(330)은 공기 등의 채워진 빈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eproof hollow part 330 may be composed of an empty space filled with air or the like.

도 2b를 참조하면, 내화부(300)는, 상기 내화시트재(310)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내화중공부분(330)의 적어도 일부영역까지 설치되는 내화요철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fire resistant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fire resistant concavo-convex material 3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310 and installed up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e resistant hollow part 330 . can

내화요철재(350)는 내화중공부분(3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fractory uneven material 35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efractory hollow part 330 .

일례로, 도 2b를 참조하면, 내화요철재(350)는 내화중공부분(330) 전체 영역까진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2B , the fire resistant uneven material 350 may be installed up to the entire area of the fire resistant hollow part 330 .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화요철재(350)는 내화중공부분(330)의 일부 영역까지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fire resistant uneven material 350 may be installed up to a partial area of the fire resistant hollow part 330 .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화부(300)는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의 이격공간(S1)에 충진 및 경화되도록 습식방식으로 시공되는 습식내화재(302)로 구성될 수 있다.3A to 4 , the fire resistant part 300 is a wet fire resistant material constructed in a wet manner so as to fill and harden the space S1 between the outer pillar 100 and the inner pillar 200 . (302).

일례로, 습식내화재(302)는 내열성 보강재가 혼입된 내화몰탈 또는 내화콘크리트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t refractory material 302 may be composed of refractory mortar or refractory concrete mixed with a heat-resistant reinforcing material.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합성기둥(10)은 내부기둥부(200)의 내부에 타설되어 상기 내부기둥부(200)와 강합성되는 콘크리트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A to 4 , the composite pillar 10 may further include a concrete portion 400 that is poured into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and is strongly compounded with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

요철구조를 가지는 내부기둥부(200)와 콘크리트부(400)가 강합성되면서 좌굴강성 등의 구조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Structural performance such as buckling rigidity can be greatly improved as the internal pillar 200 and the concrete part 400 having the concave-convex structure are strongly composited.

내부기둥부(200)의 요철구조에 의해 콘크리트부(4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면서 내부기둥부(200)와 콘크리트부(400) 사이의 합성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crete part 400 increases due to the uneven structure of the internal pillar 200 , the composite force between the internal pillar 200 and the concrete part 400 may be improved.

도 4를 참조하면, 합성기둥(10)은 내부기둥부(20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100)와 상기 내부기둥부(200)의 사이를 이격시키고, 상기 콘크리트부(400)에 매립되는 전단보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mposite pillar 10 is installed through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 and spaced apart between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and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 and the concrete portion 400 . ) may further include a shear reinforcement part 500 embedded in the.

전단보강부(500)는 내부기둥부(200)를 관통하여 내부기둥부(20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The shear reinforcement unit 500 may be installed ov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pillar 200 through the inner pillar (200).

전단보강부(500)는 내부기둥부(200)의 외부에서 외부기둥부(100)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외부기둥부(100)와 내부기둥부(200) 사이의 이격공간(S1)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hear reinforcement part 5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nal pole part 100 from the outside of the internal pole part 200 while securing a space S1 between the external pole part 100 and the inner pole part 200. can play a role

전단보강부(500)는 내부기둥부(200)의 내부에서 콘크리트부(400)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hear reinforcement part 50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400 in the interior of the inner pillar part 200, and may serve to improve the synthesis force with the concrete.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합성기둥(10) 구조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mposite column 10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B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합성기둥(10) 구조체는 합성기둥(10)이 높이방향으로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합성기둥(10) 중 어느 일측의 상기 내부기둥부(200)가 타측의 상기 외부기둥부(100)로 삽입되면서 인접한 상기 합성기둥(10)이 연결될 수 있다.5A and 5B,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e pillar 10, the composite pillar 10 i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inner pillar part 200 on either side of the composite pillar 10 i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pillar part 100 on the other side, and the adjacent composite pillar 10 may be connected.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는 2개의 합성기둥(10) 중 어느 일측의 내부기둥부(200)를 외부기둥부(10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된 내부기둥부(200)가 연결되는 타측의 합성기둥(10)의 외부기둥부(100)로 삽입되면서 2개의 합성기둥(10)은 연결될 수 있다.The inner pillar part 200 of either side of the two synthetic pillars 10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pillar part 100, and the other side to which the protruding inner pillar part 200 is connected. The two composite pillars 10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ternal pillar portion 100 of the composite pillar 10 of the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합성기둥(11)은 하측으로 내부기둥부(200)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합성기둥(12)은 외부기둥부(100)의 상부영역에는 내부기둥부(200)가 설치되지 않고 이부분에 제1 합성기둥(11)의 내부기둥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mposite pillar 11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has an inner pillar portion 200 protruding downward, and the second composite pillar 12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has an inner pillar portion in the upper region of the outer pillar portion 100 . 200 is not installed, and the inner pillar 200 of the first composite pillar 11 may be inserted into this portion.

제1 합성기둥(11)과 제2 합성기둥(12)의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합성기둥(11)의 내부기둥부(200)와 제2 합성기둥(12)의 내부기둥부(200)는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mposite pillar 11 and the second composite pillar 12 are connected,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of the first composite pillar 11 and the inner pillar portion 200 of the second composite pillar 12 are It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in the heigh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합성기둥(10) 구조체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합성기둥(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pillar 10 having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composite pillar 10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합성기둥(10) 구조체에서 활용되는 합성기둥(10)의 외부기둥부(100), 내부기둥부(200), 내화부(3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기둥(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pillar 10 used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e pillar 10, such as the outer pillar 100, the inner pillar 200, the fire resistant unit 300, and the like of the composite pillar 10, 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합성기둥 11: 제1 합성기둥
12: 제2 합성기둥 100: 외부기둥부
200: 내부기둥부 200M: 요철모듈판
210: 내입판 230: 돌출판
250: 경사판 270: 수평연결판
280: 내접판 290: 경사연장판
300: 내화부 301: 건식내화재
302: 습식내화재 310: 내화시트재
330: 내화중공부분 350: 내화요철재
400: 콘크리트부 500: 전단보강부
S1: 이격공간 S2: 타설공간
W: 용접부
10: composite column 11: first composite column
12: second composite column 100: external column part
200: inner pillar 200M: uneven module plate
210: inner standing plate 230: protruding plate
250: inclined plate 270: horizontal connecting plate
280: inscribed plate 290: inclined extension plate
300: refractory unit 301: dry refractory material
302: wet refractory material 310: refractory sheet material
330: refractory hollow part 350: refractory irregularities
400: concrete part 500: shear reinforcement part
S1: Separation space S2: Pour space
W: Weld

Claims (14)

외부기둥부;
상기 외부기둥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에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내부기둥부; 및,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기둥부는,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이 서로 연결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요철모듈판의 일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하는 합성기둥.
external pillar;
an inner pillar part installed in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pillar part, and in which the uneven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cluding;
The inner pillar portion,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sectio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module plates is a composite pillar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to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둥부는 내부가 중공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기둥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의 다각형 형상의 각변에 횡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요철모듈판이 배치되고, 다각형의 모서리부분에서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illar part is composed of a metal tube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with a hollow inside,
The inner pilla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 having the concave-convex structure repea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polygonal shape of the outer pillar, and the concave-convex module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s of the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부는,
둘레방향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상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pillar portion,
A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composed of a hollow tubula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모듈판은,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과,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는 경사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요철모듈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내입판을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수평연결판;을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even module plate,
An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and a protruding plate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between the inner stand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is connected by an inclined plate,
The uneven module plate,
A composite column comprising a; a horizontal connecting plate formed on a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column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nal column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내입판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경사판은 수평하게 펼쳐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orizontal connecting plate,
Composite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d the swash plate is formed while being horizontally spr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모듈판은,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내입판과, 상기 외부기둥부의 내주면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돌출판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입판과 상기 돌출판의 사이는 경사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요철모듈판은,
인접한 상기 요철모듈판의 연결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의 모서리부분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내접판; 및,
상기 내접판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사연장판;을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even module plate,
An inner standing plate disposed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and a protruding plate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pillar portion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between the inner standing plate and the protruding plate is connected by an inclined plate,
The uneven module plate,
an inscribed plate disposed on a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concave-convex module plate and join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rner portion of the outer pillar; and,
A composite pillar having a; inclined extension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inscribed plate and extending relatively longer than the incline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고, 건식방식으로 시공되는 건식내화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resistant unit,
Synthetic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and composed of a dry refractory material constructed in a dry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시트형태의 내화시트재; 및,
상기 내부기둥부와 상기 내화시트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화중공부분;을 구비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resistant unit,
a sheet-shaped fire resistant sheet material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and,
A composite pillar having a; fire-resistant hollow portion surrounded by the inner pillar portion and the fire-resistant sheet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는,
상기 내화시트재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내화중공부분의 적어도 일부영역까지 설치되는 내화요철재;를 더 포함하는 합성기둥.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e resistant unit,
The composite pillar further comprising a; fire-resisting uneven material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fire-resisting sheet material and installed up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e-resistant hollow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는,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 및 경화되도록 습식방식으로 시공되는 습식내화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resistant unit,
Synthetic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wet refractory material constructed by a wet method so as to fill and harde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부의 내부에 타설되어 상기 내부기둥부와 강합성되는 콘크리트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기둥.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column further comprising; a concrete part that is poured into the inner column part and is strongly compounded with the inner column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외부기둥부와 상기 내부기둥부의 사이를 이격시키고,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는 전단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기둥.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osite pillar further comprising a; is installed through the inner pillar portion, spaced apart between the outer pillar and the inner pillar portion, the shear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성기둥이 높이방향으로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합성기둥 중 어느 일측의 상기 내부기둥부가 타측의 상기 외부기둥부로 삽입되면서 인접한 상기 합성기둥이 연결되는 합성기둥 구조체.
The synthetic colum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o 13 i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A composite pillar structure in which the adjacent composite pillars are connected while the inner pillar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mposite pillar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llar portion of the other side.
KR1020190160616A 2019-12-05 2019-12-05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KR102382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16A KR102382352B1 (en) 2019-12-05 2019-12-05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16A KR102382352B1 (en) 2019-12-05 2019-12-05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32A KR20210070632A (en) 2021-06-15
KR102382352B1 true KR102382352B1 (en) 2022-04-04

Family

ID=7641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16A KR102382352B1 (en) 2019-12-05 2019-12-05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3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216A (en) 2022-01-06 2023-07-13 최영철 Metal pipe for composite column, composite column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ting metal pipe for composite column
KR102571669B1 (en) * 2022-10-07 2023-08-29 (주)아이에스스틸 A steel box member with a web of thin steel plate using an anti-buckl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056A (en) * 1992-10-20 1994-05-10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pipe concrete pole for fireproof construction
KR20020004747A (en) 2000-07-07 2002-01-16 박영호, 정광량 CFT(Concrete-Filled steel Tube) structure arranging spiral hoop
KR101191742B1 (en) * 2010-11-16 2012-10-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 plate for structure and column structure using it
KR101281320B1 (en) * 2011-09-29 2013-07-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Connectable multi-layer tub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KR20150061768A (en) * 2013-11-28 2015-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tructure for connecting steel plate concrete wall's surface plate with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102020441B1 (en) * 2017-05-30 2019-09-11 주식회사 포스코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steel tube colum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32A (en)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Explor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stability and response of prefabricated volumetric modular steel structures
US5099628A (en) Apparatus for enhancing structural integrity of masonry structures
US5671573A (en) Prestressed concrete joist
KR101767677B1 (en)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JP2020002610A (en) 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KR102382352B1 (en)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column structure
CA2542039A1 (en) Composite floor system with fully-embedded studs
KR101982520B1 (en) Steel column enhanc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KR20110003884A (en) Heterogeneity reinforcing composite profile beam
JP6422795B2 (en) Composite beam, PCa composite beam member constituting the same, and composite ramen structure
CN211037391U (en) Shear wall structure for optimizing stress distribution
KR102314546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JP2018003556A (en) Fire-resisting structure
JP5750246B2 (en)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JP3412042B2 (en) Seismic isolation wall structure
JP4897854B2 (en) Seismic structure
Raj et al. Shear strength of RC deep beam panels–a review
JP7121640B2 (en) floor slab
RU2462563C2 (en) Ceiling element
KR101940857B1 (en) Steel tube and composite column using the same
KR101038291B1 (en) Steel beam and hybrid beam of steel concrete for slim floor
JP6712858B2 (en) building
KR100887706B1 (en) Spacer inserted in slab and slab using it
CN101024972A (en) Building with combin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JP4881084B2 (en) Seismic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