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361B1 -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361B1
KR102381361B1 KR1020210158969A KR20210158969A KR102381361B1 KR 102381361 B1 KR102381361 B1 KR 102381361B1 KR 1020210158969 A KR1020210158969 A KR 1020210158969A KR 20210158969 A KR20210158969 A KR 20210158969A KR 102381361 B1 KR102381361 B1 KR 10238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signal
module
clock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환
이원오
오종환
주형진
최형원
김동현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주)가온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온칩스 filed Critical (주)가온칩스
Priority to KR102021015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3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disabling clock generation o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거나,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신호 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의 상기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DYNAMIC CLOCK GATING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통신, 방송 등이 점차 통합되는 컨버전스(Convergence)화에 따라, 기존 ASIC(Application Specific IC: 주문형 반도체)와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특정용도 표준제품)의 수요는 SoC(System on Chip)의 수요로 변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IT(Information Technology)기기의 경박 단소화 및 고기능화 추세도 SoC를 촉진시키는 요인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SoC는, 반도체 공정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존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기능 블록들, 예컨대 IP(Intellectural Property)들이 하나의 칩 상에 집약적으로 구현된 형태이다.
칩의 고집적 및 IP간의 정보량 증가에 따라, SoC의 버스 기반 구조에서 나타나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네트워크 기술을 칩내에 응용하여 IP들을 연결하는 방식인 NoC(Networks on Chip) 기술도 제시되었다.
SoC의 집적도 및 사이즈가 커지고 동작 속도도 높아짐에 따라, 저전력 소비 이슈도 매우 중요한 팩터들 중의 하나가 된다. 왜냐하면 전력 소비가 심할 경우에 칩의 온도가 높아져 동작 불능은 물론 패키지(package)가 파손되는 경우도 초래될 수 있다.
SoC에서의 버스 장치에 대한 저전력 설계 방법들 중의 하나는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dynamic clock gating)이다.
최근에는 다이나믹 클록 게이팅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슬레이브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럭 게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거나,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신호 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의 상기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클럭 게이팅 장치를 통하여 슬레이브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 클럭 게이팅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방법을 나타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 클럭 게이팅 장치, 버스 인터커넥트 및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방법을 나타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 클럭 게이팅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모듈(10)은 마스터 장치(100) 및 슬레이브 장치(200)와 같이 여러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할 수 있다. 버스 모듈(10)은 물리적으로는 장치들간을 연결하는 어드레스 라인, 데이터 라인, 콘트롤 라인으로 구성된 와이어(wire)를 의미할 수 있고, 논리적으로는 마스터 장치(100)와 슬레이브 장치(200)간의 신호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버스 모듈(10)의 사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버스 모듈(10)의 사용은 마스터 장치(100)가 주체가 되어 기술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메인 CPU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마스터 장치가 하나의 버스 모듈(10)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에 대응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마스터 장치(100)가 주도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가 어드레스를 통해서 슬레이브 장치(200)에 대한 요청을 내리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버스 모듈(10)은 AMBA(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버스일 수 있다. AMBA 버스는 AHB, AXI(Advanced eXtensible Interface), APB(Advanced Peripheral Bus)의 3가지 버스 타입을 가지며 그 중 AHB는 시스템 버스로서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모듈(10)에는 AMBA 버스 외에 다른 버스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200)는 트랜잭션 처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처리부(210)는 슬레이브 장치(200)가 수행해야 하는 목적에 따라서 DRAM, SRAM 또는 Flash 메모리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관리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또는 HDD, ODD 등의 보조기억장치를 관리하는 메모리 관련 장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트랜잭션 처리부(210)는 디스플레이등을 담당하는 구동부, 사운드 발생부 등을 포함한 입출력 관련 장치일 수도 있다. 이처럼 트랜잭션 처리부(210)는 슬레이브 장치(200)가 수행해야 하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200)의 전력소모 절감을 위하여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슬레이브 장치(200)에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마스터 장치(100) 또는 외부로부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100)는 버스 모듈(10)을 통하여 클럭 게이팅 장치(300) 및 트랜잭션 처리부(210)에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트랜잭션 처리부(210)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트랜잭션 처리부(210)는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처리부(210)는 동작을 완료한 경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클럭 게이팅 장치(300)에 전송하고, 버스 모듈(10)을 통하여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마스터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여 트랜잭션 처리부(210)의 동작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트랜잭션 처리부(210)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 처리부(210)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 트랜잭션 처리부(210)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200)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클럭 게이팅 장치(300)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 및 클럭 신호 제공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에게도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의 트랜잭션 구동부의 동작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클럭 신호 제공 모듈(320)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는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 활성화 신호를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신호는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는 클럭 이네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은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거나, 마스터 장치가 아닌 외부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에게도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의 트랜잭션 구동부가 동작을 종료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킬 수 있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310)은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 비활성화 신호를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에 제공하거나,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에의 활성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신호는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비활성화 신호는 클럭 디스에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은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하거나 활성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의 트랜잭션 구동부가 동작을 수행할 때에만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슬레이브 장치에 인가되고, 트랜잭션 구동부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슬레이브 장치에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의 저전력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은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한 경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지 못하거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클럭 신호 제공모듈(320)은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한 경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에도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에 포함되지 않고 슬레이브 장치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클럭 게이팅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방법을 나타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럭 게이팅 방법은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10),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120),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30) 및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 클럭 게이팅 장치, 버스 인터커넥트 및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1000)는 버스 모듈(1100)을 통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 각각은 전술한 트랜잭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모듈(1100)은 제1 슬레이브 장치(1420) 및 제2 슬레이브 장치(1430)와 클럭 게이팅 장치(1400)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0), 버스 모듈(1100) 및 슬레이브 장치들(1200, 1300)의 트랜잭션 처리부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전력소모 절감을 위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슬레이브 클럭 신호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마다 동일할 수도 있고,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 마다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마스터 장치(1000) 또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1200, 1300) 각각에 대한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1000)는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터 장치(1000)는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에 대한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에 대한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버스 모듈(1100)에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젝션 시작 신호를 제공하고, 버스 모듈(1100)은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에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에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장치(1200)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제2 슬레이브 장치(1300)는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2 슬레이브 장치(1200)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레이브 장치(1200)는 동작을 완료한 경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버스 모듈(1100)에 전송하고, 제2 슬레이브 장치(1300)는 동작을 완료한 경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버스 모듈(1100)에 전송할 수 있다. 버스 모듈(1100)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 또는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전송하고,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 또는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마스터 장치(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0)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의 동작 완료를 확인하고,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여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의 동작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하고,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1200) 및 제2 슬레이브 장치(1300)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 제1 슬레이브 장치(1200) 및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1200) 및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럭 게이팅 장치(1400)는 슬레이브 디코더(1410),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 제1 클럭 게이팅 모듈(1430), 제2 클럭 게이팅 모듈(1440) 및 버스 클럭 게이팅 모듈(145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또는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전송함으로써 제1 슬레이브 장치(1200)의 동작 시작을 지시하고,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클럭 게이팅 장치(1400)에 전송함으로써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의 동작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마스터 장치(1000)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장치(1200) 및 제2 슬레이브 장치(1300)에 맞도록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마스터 장치(1000)로부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또는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제1 클럭 게이팅 모듈(1430)에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하고, 제2 클럭 게이팅 모듈(1440)에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마스터 장치(1000)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첫번째 획득할 때,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고,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두번째 획득할 때,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레이브 디코더(1410)는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럭 게이팅 모듈(1430)은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 및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 제1 활성화 신호를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활성화 신호는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활성화 신호는 제1 클럭 이네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은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제1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럭 게이팅 모듈(1440)은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 및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 제2 활성화 신호를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활성화 신호는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활성화 신호는 제2 클럭 이네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은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제2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 및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거나, 마스터 장치가 아닌 외부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는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 또는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 또는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에 획득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는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는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 또는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는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1420)는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는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마스터 장치에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공하고,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마스터 장치에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1 슬레이브 장치에서 동작이 종료됨을 확인하고,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2 슬레이브 장치에서 동작이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31)은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 제1 비활성화 신호를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에 제공하거나,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에의 제1 활성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활성화 신호는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비활성화 신호는 제2 클럭 디스에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1432)은 제1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하거나 제1 활성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41)은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 제2 비활성화 신호를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에 제공하거나,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에의 제2 활성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활성화 신호는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에서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비활성화 신호는 제2 클럭 디스에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1442)은 제2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하거나 제2 활성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가 동작을 수행할 때에만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인가되고,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슬레이브 클럭 신호가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의 저전력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게이팅 모듈(1450)은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 및 버스 클럭 신호 제공 모듈(1452)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슬레이브 장치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또는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술한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첫번째 획득한 경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것으로 확인하고,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두번째 획득한 경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는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3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 또는 통합 트랜잭션 시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때 마다,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 버스 활성화 신호를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활성화 신호는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에서의 버스 클럭 신호의 제공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버스 활성화 신호는 버스 클럭 이네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은 버스 클럭 신호를 입력받고, 버스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버스 클럭 신호를 버스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버스 클럭 제공모듈(1452)는 버스 클럭 신호를 마스터 장치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버스 모듈은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로부터 버스 클럭 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슬레이브 장치 또는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 또는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거나,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버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장치 또한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전술한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것으로 표현하고,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가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마스터 장치에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공하고,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마스터 장치에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1 슬레이브 장치에서 동작이 종료됨을 확인하고,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제2 슬레이브 장치에서 동작이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 또는 통합 트랜잭션 종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경우, 제3 카운터의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킬 수 있다.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1451)은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 버스 비활성화 신호를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에 제공하거나,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에의 버스 활성화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비활성화 신호는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에서의 버스 클럭 신호의 제공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버스 비활성화 신호는 버스 클럭 디스에이블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1452)은 버스 비활성화 신호를 획득하거나 버스 활성화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버스 클럭 신호를 버스 모듈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만 버스 클럭 신호가 버스 모듈에 인가되므로서 버스 모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제2 슬레이브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스 클럭 신호가 버스 모듈에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버스 모듈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버스 모듈의 저전력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방법을 나타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럭 게이팅 방법은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따라 버스 모듈에 버스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10),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고,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의 획득에 따라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S220), 버스 모듈로부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고,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장치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S230), 버스 모듈로부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고,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따라 제2 슬레이브 장치에의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S240) 및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 및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의 획득에 따라 버스 모듈에의 버스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단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 내지 단계 S250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클럭 게이팅 장치에 있어서,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슬레이브 클럭 게이팅 모듈; 및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슬레이브 클럭 게이팅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럭 게이팅 모듈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기초로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1 클럭 신호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럭 게이팅 모듈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기초로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제2 클럭 신호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1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제1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1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제1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에의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2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제2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를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2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제2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의 상기 슬레이브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제1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키고,
    상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제2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키고,
    상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키는,
    클럭 게이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에 상기 제1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1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에 상기 제2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제2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게이팅 장치는,
    버스 모듈 - 상기 버스 모듈은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 및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클럭 게이팅 장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함 - 에 버스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버스 클럭 게이팅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 클럭 게이팅 모듈은,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신호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상기 버스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버스 모듈에 버스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버스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버스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클럭 신호를 상기 버스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신호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버스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버스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모듈에의 상기 버스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제3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신호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키는,
    클럭 게이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버스 활성화 신호를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3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에 상기 버스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버스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게이팅 장치는,
    슬레이브 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디코더는,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 또는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에 제공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디코더는,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첫번째 획득할 때, 상기 제1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두번째 획득할 때, 상기 제2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게이팅 장치는,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신호 및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제공된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1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상기 제1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제2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상기 제2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에 제공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10. 삭제
  11. 클럭 게이팅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하거나,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하는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 및
    클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신호 제공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비활성화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은 상기 비활성화 신호의 획득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의 상기 클럭 신호의 제공을 차단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트랜잭션 시작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증가시키고,
    상기 트랜잭션 종료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키는,
    클럭 게이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활성화 모듈은,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1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활성화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카운터의 카운팅 숫자가 0인 경우에 상기 비활성화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 제공모듈에 제공하는,
    클럭 게이팅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게이팅 장치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 내부에 포함되는,
    클럭 게이팅 장치.
KR1020210158969A 2021-11-17 2021-11-17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KR10238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69A KR102381361B1 (ko) 2021-11-17 2021-11-17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69A KR102381361B1 (ko) 2021-11-17 2021-11-17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361B1 true KR102381361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69A KR102381361B1 (ko) 2021-11-17 2021-11-17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868A (ko) * 2004-05-14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 구조하에서 다이나믹 클록 게이팅이 가능한 슬레이브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721444B1 (ko) * 2006-08-29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온-칩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06166A (ja) * 2011-11-14 2013-05-30 Sony Corp クロックゲーティング回路およびバスシステム
KR20180033149A (ko) * 2018-03-20 201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 버스 장치 및 그에 따른 루트 클럭 게이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868A (ko) * 2004-05-14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 구조하에서 다이나믹 클록 게이팅이 가능한 슬레이브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0721444B1 (ko) * 2006-08-29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온-칩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06166A (ja) * 2011-11-14 2013-05-30 Sony Corp クロックゲーティング回路およびバスシステム
KR20180033149A (ko) * 2018-03-20 201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온 칩 버스 장치 및 그에 따른 루트 클럭 게이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43B1 (ko) 네트워크-온-칩 응답 신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2101B1 (ko)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JP4524310B2 (ja) ハブベースのメモリシステムにおける書込みコマンドを終了させる方法とシステム
US20080059679A1 (en) Application processor circuit incorporating both sd host and slave function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769852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of clock signal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20060193189A1 (en) Multi-memory chip and data transfer method capable of directly transferring data between internal memory devices
US201701609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ybrid parallel-serial memory access
US7376850B2 (en) Methods of computer power status management and computers utilizing the same
KR100630071B1 (ko) 다중 프로세서 환경에서의 dma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1524B1 (ko) 버스 구조하에서 다이나믹 클록 게이팅이 가능한 슬레이브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9141050A1 (zh) 一种刷新处理方法、装置、系统及内存控制器
KR102381361B1 (ko) 다이나믹 클럭 게이팅 장치
US10209734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CN101510182B (zh) 低速dma接口的片上系统和内存访问方法
CN116401186A (zh) 基于axi总线的opi psram控制系统、方法
US10248155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hannel management circuit
US11789884B2 (en) Bu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s system
CN107025190B (zh) 系统及其操作方法
CN112148667B (zh) 一种基于fpga软核的缓存系统及方法
JPH08202677A (ja)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
US11233514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subsystem interfaces and communications method thereof
US8006012B2 (en) Data storage system
US20220326883A1 (en) High-performance input buffer and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104271A1 (en) System on chip and application processor
KR20070063124A (ko) 시스템 버스와 아이피간 인터페이싱 장치와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