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272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272B1
KR102381272B1 KR1020200119824A KR20200119824A KR102381272B1 KR 102381272 B1 KR102381272 B1 KR 102381272B1 KR 1020200119824 A KR1020200119824 A KR 1020200119824A KR 20200119824 A KR20200119824 A KR 20200119824A KR 102381272 B1 KR102381272 B1 KR 10238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terminal body
gear
entr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185A (ko
Inventor
전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272B1/ko
Priority to US17/166,119 priority patent/US20220086344A1/en
Priority to CN202110702424.2A priority patent/CN114205433A/zh
Priority to CN202121418565.3U priority patent/CN215990871U/zh
Publication of KR2022003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4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측면으로 개방된 제1입사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몸체; 및 상기 단말기 몸체에 반입되어 상기 제1입사구를 통한 제1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되어 제2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넓은 화각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 주변을 넓은 화각으로 촬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은 통상적으로 180 ~ 360도 화각으로 피사체 주변을 촬상할 수 있다. 한편,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구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면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청에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넓은 화각의 카메라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측면으로 개방된 제1입사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몸체; 및 상기 단말기 몸체에 반입되어 상기 제1입사구를 통한 제1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되어 제2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넓은 화각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의 구현이 가능한 사진촬상 및 동영상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넓은 화각과 좁은 화각의 촬상 및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작동 상태에 따른 사시도 및 내부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2작동 상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1작동 상태 및 제2작동 상태에 따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전자제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 몸체(110), 제1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이 단말기 몸체(110) 및제1카메라 모듈(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액정화면, 제2카메라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는 휴대 단말기(100)에 필요한 여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제1카메라 모듈(200), 무선 통신 모듈, 액정 화면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빛의 입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에는 제1입사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입사구(114)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는 제1지름(D1)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1입사구(114)에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덮개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덮개 부재(1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덮개 부재(130)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덮개 부재(130)는 대체로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일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조명모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의 아래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조명모듈(120)은 소정의 광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조명모듈(120)은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제1카메라 모듈(200)의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모듈(120)은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주변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조명모듈(120)은 LED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모듈(1200이 형태가 LE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수용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은 단말기 몸체(110)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출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외부로로 개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측면(112)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동(202)의 지름(ED1)은 제1입사구(114)의 제1지름(D1)보다 클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수동 또는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1입사동(2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1카메라 모듈(2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입사구(1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입사구(114)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0)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서로 다른 화각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0)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2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넓은 화각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2)는 단말기 몸체(110: 110a, 110b),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몸체(110)는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전면 몸체(110a)와 배면 몸체(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몸체(110a)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을 형성하고, 배면 몸체(110b)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2측면(116)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는 휴대 단말기(102)에 필요한 여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빛의 입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에는 제1입사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입사구(114)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는 제1지름(D1)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1입사구(114)에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덮개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덮개 부재(1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덮개 부재(130)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덮개 부재(130)는 대체로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일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조명모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의 아래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조명모듈(120)은 소정의 광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조명모듈(120)은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제1카메라 모듈(200)의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모듈(120)은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주변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조명모듈(120)은 LED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모듈(1200이 형태가 LE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수용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은 단말기 몸체(110)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출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외부로로 개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측면(112)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동(202)의 지름(ED1)은 제1입사구(114)의 제1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수동 또는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1입사동(2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1카메라 모듈(2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입사구(1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입사구(114)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키거나 또는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축(160)의 형성위치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중심축(160)과 제2카메라 모듈(20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은 중심축(1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카메라 모듈(2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 부재(310)의 타 단에 배치된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에는 제1구동수단(4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곡면에는 제1기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312)는 소정 영역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부(312)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서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대체로 9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어부(312)의 형성범위가 90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수단(400)의 구성이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제1구동모터(420)의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고정 축(17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기어부(3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의 제1구동기어(4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는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구동기어(422) 및 제1기어(410)를 통해 제1회전 부재(310)에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2)는 제1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복수의 촬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2)는 제1화각의 제1촬상 모드와 제2화각의 제2촬상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제1화각(대체로 80도 미만)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일 측에 위치한 좁은 영역을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촬상 모드에서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입사구(114)를 통해 입사되는 제1화각의 영역만을 촬상할 수 있다. 제1입사구(114)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보다 작으므로, 제1화각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본 화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제2화각(대체로 120도 이상)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일 측에 넓은 영역을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촬상 모드에서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입사동(202)을 통해 입사되는 제2확각의 영역을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촬상 모드에서는 어안 렌즈 형태인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렌즈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므로,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에 위치한 넓은 영역을 일시에 촬상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 또는 제2촬상 모드에서 제1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수단(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수단(400)의 제1구동력을 통해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은 60 ~ 120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 범위가 60 ~ 12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을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촬상 모드에서 제1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수단(400)의 제2구동력을 통해 제1회전 부재(3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은 제1입사동(202)의 광축을 제1입사구(114)의 광축과 대체로 일치시키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2)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자동으로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시키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2)는 제1촬상 모드 또는 제2촬상 모드를 통해 협각 또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2)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복수의 촬상 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2)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4)는 단말기 몸체(110: 110a, 110b),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 제2카메라 모듈(500), 제2반출수단(600), 제2구동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몸체(110)는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전면 몸체(110a)와 배면 몸체(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몸체(110a)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을 형성하고, 배면 몸체(110b)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2측면(116)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는 휴대 단말기(102)에 필요한 여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 제2카메라 모듈(500), 제2반출수단(600), 제2구동수단(700)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빛의 입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에는 제1입사구(114)가 형성되고, 제2측면(116)에는 제2입사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입사구(114)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는 제1지름(D1)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2입사구(118)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입사구(118)는 제2지름(D2)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1입사구(114)와 제2입사구(118)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나 또는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입사구(114, 118)에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구(114, 118)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덮개 부재(130, 13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덮개 부재(130, 132)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덮개 부재(130, 132)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덮개 부재(130, 132)는 대체로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일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측면(112)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동(202)의 지름(ED1)은 제1입사구(114)의 제1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1입사동(2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1카메라 모듈(2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입사구(1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입사구(114)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키거나 또는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축(160)의 형성위치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중심축(160)과 제2카메라 모듈(20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은 중심축(1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카메라 모듈(2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 부재(310)의 타 단에 배치된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에는 제1구동수단(4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는 제1기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312)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312)는 소정 영역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부(312)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서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대체로 9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어부(312)의 형성범위가 90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수단(400)의 구성이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제1구동모터(420)의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고정 축(17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기어부(3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의 제1구동기어(4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는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구동기어(422) 및 제1기어(410)를 통해 제1회전 부재(3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2측면(116)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입사동(502)의 지름(ED2)은 제2입사구(118)의 제2지름(D2)보다 크고, 제1입사동(202)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1카메라 모듈(200)과 마찬가지로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반입 및 반출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의 반입 및 반출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카메라 모듈(5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2입사동(5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2카메라 모듈(5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2입사구(11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입사구(118)는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2반출수단(600)은 제2카메라 모듈(5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반출수단(600)은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키거나 또는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시킬 수 있다. 제2반출수단(600)은 제2회전 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1회전 부재(3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중심축(160)과 제2카메라 모듈(50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은 중심축(1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카메라 모듈(5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 부재(610)의 타 단에 배치된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2회전 부재(6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에는 제2구동수단(7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는 제2기어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612)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612)는 소정 영역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부(612)는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서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대체로 9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기어부(612)의 형성범위가 90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구동수단(700)은 제2회전 부재(6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700)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2회전 부재(6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수단(700)은 제2기어(710), 제2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구동수단(700)의 구성이 제2기어(710), 제2구동모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700)은 제2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구동수단(700)의 일부 구성을 제1구동수단(400)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420)와 제2구동모터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기어(7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고정 축(17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기어(710)는 제2회전 부재(6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기어부(6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기어(710)는 제1구동모터(4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제1기어(410)를 통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작동에 필요한 구동력뿐만 아니라 제2회전 부재(610)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4)는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통해 복수의 촬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4)는 제1화각의 제1촬상 모드와 제2화각의 제2촬상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제1화각(대체로 80도 미만) 및 제3화각(제1화각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일 측 및 타 측에 위치한 좁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촬상 모드에서는 제1입사구(114)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을 촬상하거나 또는 제2입사구(118)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1입사구(114) 및 제2입사구(118)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보다 각각 작으므로, 제1입사구(114) 및 제2입사구(118)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의 크기 또는 화상의 영역은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의 본래의 화상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제2화각(180도 이상) 및 제4화각(180도 이상)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전방 및 후방의 모든 영역을 일체로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4)는 제2촬상 모드를 통해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 또는 제2촬상 모드에서 제1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수단(400) 및 제2구동수단(7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기어(410) 및 제1기어부(3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1회전 부재(310)에 전달되어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기어(410), 제2기어(710), 제2기어부(6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2회전 부재(610)에 전달되어 제2회전 부재(6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 시 제1기어(410)와 제2기어부(612)는 상호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와 제2기어부(61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구동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4)는 제1촬상 모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104)의 전방 및 후방을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4)는 제2촬상 모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104)의 둘레 환경을 일시에 촬상하여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6)는 단말기 몸체(110: 110a, 110b),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 제2카메라 모듈(500), 제2반출수단(600), 제2구동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몸체(110)는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전면 몸체(110a)와 배면 몸체(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몸체(110a)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을 형성하고, 배면 몸체(110b)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2측면(116)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는 휴대 단말기(102)에 필요한 여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는 제1카메라 모듈(200), 제1반출수단(300), 제1구동수단(400), 제2카메라 모듈(500), 제2반출수단(600), 제2구동수단(700)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빛의 입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몸체(110)의 제1측면(112)에는 제1입사구(114)가 형성되고, 제2측면(116)에는 제2입사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입사구(114)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구(114)는 제1지름(D1)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2입사구(118)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입사구(118)는 제2지름(D2)을 갖는 원형일 수 있다. 제1입사구(114)와 제2입사구(118)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나 또는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입사구(114, 118)에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구(114, 118)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덮개 부재(130, 13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덮개 부재(130, 132)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덮개 부재(130, 132)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덮개 부재(130, 132)는 대체로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130, 132)는 양면이 평탄한 형태일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측면(112)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고정 부재(210), 제1렌즈 모듈(230), 제1탄성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부재(210)는 제1렌즈 모듈(230)이 제1회전 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부재(210)는 제1렌즈 모듈(230)의 일단과 결합하여 제1회전 부재(310)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230)은 제1회전 부재(210)의 관통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제1렌즈 모듈(230)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모듈(230)은 제1회전 부재(210)의 관통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모듈(230)은 단말기 몸체(110)의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전방의 물체 측으로 돌출되고, 단말기 몸체(110)의 제1수용공간에 반입 또는 수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230)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모듈(230)은 복수의 렌즈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230)은 단말기 몸체(110)의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모듈(230)은 제1회전 부재(310)에 배치된 제1연결단자(810)를 매개로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렌즈 모듈(23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모듈(230)에는 단말기 몸체(1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와 제1렌즈 모듈(230)의 경사면 간의 접촉에 의해 단말기 몸체(110)의 제1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반입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250)는 제1렌즈 모듈(230)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250)는 제1렌즈 모듈(230)을 제1회전 부재(310)로부터 전방(물체 측)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250)는 제1렌즈 모듈(230)의 위치에 따라 압축되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250)는 제1렌즈 모듈(230)이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압축되고, 제1렌즈 모듈(23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사동(202)의 지름(ED1)은 제1입사구(114)의 제1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은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카메라 모듈(2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1입사동(2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1카메라 모듈(2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카메라 모듈(2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1입사구(1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입사구(114)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1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출수단(300)은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키거나 또는 제1카메라 모듈(200)을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시킬 수 있다. 제1반출수단(3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축(160)의 형성위치가 단말기 몸체(110)의 좌우 이등분 지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심축(160)은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중심축(160)과 제2카메라 모듈(20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은 중심축(1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카메라 모듈(2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는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 부재(310)의 타 단에 배치된 제1카메라 모듈(200)은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310)에는 제1구동수단(4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는 제1기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312)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312)는 소정 영역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부(312)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서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대체로 9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어부(312)의 형성범위가 90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회전 부재(3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동수단(400)의 구성이 제1기어(410), 제1구동모터(4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400)은 제1구동모터(420)의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고정 축(17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회전 부재(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기어부(3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는 제1구동모터(420)의 제1구동기어(4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는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구동기어(422) 및 제1기어(410)를 통해 제1회전 부재(3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특정 방향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2측면(116)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를 촬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넓은 화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은 대체로 150 ~ 180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1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는 광각 촬상이 가능하도록 어안 렌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2고정 부재(510), 제2렌즈 모듈(530), 제2탄성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부재(510)는 제2렌즈 모듈(530)이 제2회전 부재(6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부재(510)는 제2렌즈 모듈(530)의 일단과 결합하여 제2회전 부재(510)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530)은 제2회전 부재(610)의 관통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제2렌즈 모듈(530)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모듈(530)은 제2회전 부재(510)의 관통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말기 몸체(110)의 일 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모듈(530)은 단말기 몸체(110)의 제2수용공간으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고, 단말기 몸체(110)의 제2수용공간에 반입 또는 수납된 상태에서 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530)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모듈(530)은 복수의 렌즈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530)은 단말기 몸체(110)의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모듈(530)은 제2회전 부재(610)에 배치된 제2연결단자(820)를 매개로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렌즈 모듈(530)은 제2카메라 모듈(500)의 반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모듈(530)에는 단말기 몸체(1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와 제2렌즈 모듈(530)의 경사면 간의 접촉에 의해 단말기 몸체(110)의 제2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반입될 수 있다.
제2탄성 부재(550)는 제2렌즈 모듈(530)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탄성 부재(550)는 제2렌즈 모듈(530)을 제2회전 부재(610)로부터 일 측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탄성 부재(550)는 제2렌즈 모듈(530)의 위치에 따라 압축되거나 또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탄성 부재(550)는 제2렌즈 모듈(530)이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압축되고, 제2렌즈 모듈(53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입사동(502)의 지름(ED2)은 제2입사구(118)의 제2지름(D2)보다 크고, 제1입사동(202)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가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1카메라 모듈(200)과 마찬가지로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반입 및 반출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카메라 모듈(500)의 반입 및 반출은 제1카메라 모듈(200)의 반입 및 반출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와 반입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광학특성의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광각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카메라 모듈(500)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면, 제2입사동(502) 및 어안 렌즈 형태인 제1렌즈의 표면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므로 제2카메라 모듈(500)을 통한 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카메라 모듈(500)은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된 상태에서 협각 촬상이 가능할 수 있다.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 축소는 단말기 몸체(110)의 제2입사구(11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입사구(118)는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여 제2카메라 모듈(500)의 화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2반출수단(600)은 제2카메라 모듈(5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반출수단(600)은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키거나 또는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시킬 수 있다. 제2반출수단(600)은 제2회전 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1회전 부재(3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중심축(160)과 제2카메라 모듈(500)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은 중심축(16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카메라 모듈(5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는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 부재(610)의 타 단에 배치된 제2카메라 모듈(500)은 제2회전 부재(6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되거나 또는 단말기 몸체(110)로 반입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610)에는 제2구동수단(700)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는 제2기어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612)는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612)는 소정 영역에 한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부(612)는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서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대체로 90도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기어부(612)의 형성범위가 90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구동수단(700)은 제2회전 부재(6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700)은 중심축(160)을 중심으로 제2회전 부재(6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수단(700)은 제2기어(710), 제2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구동수단(700)의 구성이 제2기어(710), 제2구동모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700)은 제2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구동수단(700)의 일부 구성을 제1구동수단(400)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420)와 제2구동모터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2기어(7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단말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고정 축(17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기어(710)는 제2회전 부재(6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제2회전 부재(6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기어부(61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기어(710)는 제1구동모터(4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어(710)는 제1기어(410)를 통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 부재(310)의 회전작동에 필요한 구동력뿐만 아니라 제2회전 부재(610)의 회전동작에 필요한 구동력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6)는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통해 복수의 촬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6)는 제1화각의 제1촬상 모드와 제2화각의 제2촬상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에 반입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제1화각(대체로 80도 미만) 및 제3화각(제1화각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일 측 및 타 측에 위치한 좁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촬상 모드에서는 제1입사구(114)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을 촬상하거나 또는 제2입사구(118)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제1입사구(114) 및 제2입사구(118)는 제1카메라 모듈(200)의 제1입사동(202)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의 제2입사동(502)보다 각각 작으므로, 제1입사구(114) 및 제2입사구(118)를 통해 입사되는 화상의 크기 또는 화상의 영역은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의 본래의 화상영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촬상 모드는 구동수단(400, 700)의 구동에 의해 제2촬상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420)에 의해 제1기어(4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기어(410)와 맞물린 제1기어부(312) 및 제2기어(7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회전 부재(310) 및 제2회전 부재(610)는 각각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참고로, 제1기어부(412)는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710)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제1기어부(412)는 제2기어부(712)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촬상 모드는 제2화각(180도 이상) 및 제4화각(180도 이상)으로 휴대 단말기(102)의 전방 및 후방의 모든 영역을 일체로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6)는 제2촬상 모드를 통해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 또는 제2촬상 모드에서 제1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수단(400) 및 제2구동수단(7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촬상 모드에서 제2촬상 모드로의 변경은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기어(410) 및 제1기어부(3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1회전 부재(310)에 전달되어 제1회전 부재(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력은 제1기어(410), 제2기어(710), 제2기어부(6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제2회전 부재(610)에 전달되어 제2회전 부재(6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모터(420)의 구동 시 제1기어(410)와 제2기어부(612)는 상호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410)와 제2기어부(6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구동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 몸체(11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82, 184)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82, 184)은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182, 184)의 광축 방향 길이(hp1, hp2)는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의 광축 방향 높이(h1, h2)보다 크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5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 및 반출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3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입된 상태에서 후방 및 전방으로 돌출되고,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300)은 동일한 기준으로 중심으로 단말기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 모듈(200) 및 제2카메라 모듈(300)은 단말기 몸체(110)로부터 반출된 상태에서 동일한 광축(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6)는 제1촬상 모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106)의 전방 및 후방을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6)는 제2촬상 모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106)의 둘레 환경을 일시에 촬상하여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6)는 렌즈 배럴(230, 530)과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기판부(210, 510) 간의 거리를 충분히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0, 500)의 초점조정 및 초점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10 단말기 몸체
112 제1측면
114 제1입사구
116 제2측면
118 제2입사구
160 중심축
200 제1카메라 모듈
202 제1입사동
300 제1반출수단
310 제1회전 부재
312 제1기어부
400 제1구동수단
410 제1기어
420 제1구동모터
500 제2카메라 모듈
502 제2입사동
600 제2반출수단
610 제2회전 부재
612 제2기어부
700 제2구동수단
710 제2기어
720 제2구동모터

Claims (15)

  1. 제1측면으로 개방된 제1입사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몸체; 및
    상기 단말기 몸체에 반입되어 상기 제1입사구를 통한 제1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되어 제2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입사구는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제1입사동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을 상기 단말기 몸체로 반입 또는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반출수단; 및
    상기 제1반출수단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출수단은,
    상기 제1카메라 모듈과 결합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1회전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상기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1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 부재에 형성된 제1기어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1렌즈 모듈;
    상기 제1렌즈 모듈을 상기 제1회전 부재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 및
    상기 제1렌즈 모듈이 상기 제1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일단을 상기 제1회전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배럴에는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반입 시 상기 단말기 몸체와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몸체에는 제2측면으로 개방된 제2입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몸체에 반입되어 상기 제2입사구를 통한 제3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되어 제4화각의 촬상 및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카메라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을 상기 단말기 몸체로 반입 또는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반출수단; 및
    상기 제2반출수단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출수단은,
    상기 제2카메라 모듈과 결합하고, 상기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제2회전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은,
    상기 단말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2고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 부재에 형성된 제2기어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사구는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의 제2입사동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13. 제1측면으로 개방된 제1입사구와 제2측면으로 개방된 제2입사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몸체;
    상기 제1입사구를 통해 촬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카메라 모듈;
    상기 제2입사구를 통해 촬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카메라 모듈;
    상기 단말기 몸체에 형성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을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입 및 반출시키는 제1반출수단;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을 상기 단말기 몸체로부터 반입 및 반출시키는 제2반출수단; 및
    상기 제1반출수단 및 상기 제2반출수단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카메라 모듈의 제1입사동은 상기 제1입사구의 지름보다 큰 휴대 단말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 모듈의 제2입사동은 상기 제2입사구의 지름보다 큰 휴대 단말기.
KR1020200119824A 2020-09-17 2020-09-17 휴대 단말기 KR10238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24A KR10238127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 단말기
US17/166,119 US20220086344A1 (en) 2020-09-17 2021-02-03 Portable terminal with retractable camera module
CN202110702424.2A CN114205433A (zh) 2020-09-17 2021-06-24 便携式终端
CN202121418565.3U CN215990871U (zh) 2020-09-17 2021-06-24 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24A KR10238127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85A KR20220037185A (ko) 2022-03-24
KR102381272B1 true KR102381272B1 (ko) 2022-03-30

Family

ID=8051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824A KR102381272B1 (ko) 2020-09-17 2020-09-1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86344A1 (ko)
KR (1) KR102381272B1 (ko)
CN (2) CN21599087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272B1 (ko) * 2020-09-17 2022-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14615404A (zh) * 2022-02-22 2022-06-10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一种可伸缩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9188A (ja) *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914B1 (ko) * 2003-09-15 200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결합구조
KR20060073745A (ko) * 2004-12-24 2006-06-29 주식회사 팬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듀얼카메라 장치
KR100857296B1 (ko) * 2006-11-16 2008-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091812A (zh) * 2011-11-04 2013-05-0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改良对焦准确率的镜头及其摄像装置
US9819863B2 (en) * 2014-06-20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Wide field of view array camera for hemispheric and spherical imaging
DE102016200285A1 (de) * 2016-01-13 2017-07-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Abbild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bereichs
CN208158640U (zh) * 2018-02-09 2018-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9105282U (zh) * 2018-10-31 2019-07-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图像采集模块
CN110278361B (zh) * 2019-06-28 2021-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1218632B2 (en) * 2019-11-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Retractable panoramic camera module
CN211089684U (zh) * 2020-03-26 2020-07-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功能模块
KR102381272B1 (ko) * 2020-09-17 2022-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9188A (ja) *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05433A (zh) 2022-03-18
CN215990871U (zh) 2022-03-08
US20220086344A1 (en) 2022-03-17
KR20220037185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749B2 (en) Camera module
US9055220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US6829011B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US7567287B2 (en) Rotating prism for a digital camera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8432226B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US6459857B2 (en) Electronic camera
KR102381272B1 (ko) 휴대 단말기
KR100803504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1852979A (zh) 全景相机
CN108833746B (zh) 摄像组件及电子设备
KR2018001268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JP6009383B2 (ja) マウントアダプタ
CN114693569A (zh) 双摄像头视频融合的方法和电子设备
JP3644763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20030089359A (ko)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JP2002062578A (ja) カメラ撮影用ホルダ
JP2003018276A (ja) 携帯通信端末
KR20050106913A (ko) 다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533999B2 (en) Auxiliary lighting device of camera
CN210867794U (zh) 移动终端
JP2007311978A (ja) カメラ回転止め構造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2001066665A (ja) カメラ
KR102345109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CN215818291U (zh) 摄像头模组、电子设备及保护壳
KR20020080566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