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260B1 -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260B1
KR102381260B1 KR1020200016081A KR20200016081A KR102381260B1 KR 102381260 B1 KR102381260 B1 KR 102381260B1 KR 1020200016081 A KR1020200016081 A KR 1020200016081A KR 20200016081 A KR20200016081 A KR 20200016081A KR 102381260 B1 KR102381260 B1 KR 10238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package
user
travel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751A (ko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김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영 filed Critical 김소영
Priority to KR102020001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2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MENDING PACKAGE TOUR GOODS BY USER GRUPING}
본 발명은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이 추천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 지방 또는 외국 등을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객들은 현지 사정이나 여행 경비 등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여행사 등에서 제공하는 여행 상품들 중 자신의 일정에 부합하는 여행 상품을 선택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곤 한다.
한편 이러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종래 기술은,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9-0000976호(맞춤형 여행 패키지 제공 방법)에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여행 항목 및 일정이 선택되면, 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 리스트를 단순 제공하는 정도의 기술에 불과하였다.
즉, 상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패키지 여행 상품들은, 사용자의 개별 일정을 고려하여 매칭되는 여행 상품을 제공할 뿐으로, 패키지 여행 일정 동안 함께 동행하게 되는 구성원들의 성향 정보를 포함한 유사성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 하고 있지 않은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여행사들은 단순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여행객을 선착순으로 모집하고, 선착순 모집된 여행객을 일괄적으로 패키지 여행을 떠나 보내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여행자가 여행지에서 만족할 만한 경험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이 추천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예약한 유저 측에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평가를 요청함으로써, 유저의 경험 기반 평가 결과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은,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서버는,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이력을 로드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기간별 평균 예약 유저 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산출된 평균 예약 유저 수를 기초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서버는, 예약 접수 단계의 수행 후,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을 초과할 경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하고,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 미만일 경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정보 수집 단계는, 유저 단말에,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대한 가중치 입력을 요청하여,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유저 정보에 입력된 가중치를 고려한 유사도 분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정보 수집 단계는, 유저 단말에서, 단위 유저 그룹 구성원에 대한 선호 정보가 더 수집되도록 하여,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선호 정보가 반영된 단위 유저 그룹으로서 상기 유저 집단을 그룹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서버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유저 단말에,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고, 이용 만족도 평가에 의해 도출된 평가 점수를,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함으로써,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의 수행 시,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이용 만족도 평가에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경험 기반의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 설정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기준 점수를 미충족한 여행 스팟에 대한 정보를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부;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부;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유사도 분석 결과를 근거로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유저 그룹에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에 따라, 후행 그룹화 수행 시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는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갱신됨에 따라서, 합리적인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측의 모객 실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 또한 수행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 유저 정보가 수집되는 인터페이스의 제공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정보를 기초로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별로 크롤링되어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을 기초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의 그룹화 기준이 갱신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여행 스팟의 평가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이 추천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예약한 유저 측에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평가를 요청함으로써, 유저의 경험 기반 평가 결과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은, 먼저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상술한 유저의 개인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생년월일, 성별, 거주 지역, 희망하는 여행 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술한 여행 컨셉 정보는, 효도 여행, 신혼 여행, 골프 여행, 트래킹 여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10 단계는, 후술할 그룹화 단계에서 복수의 유저들을 유저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는 기준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20 단계는, S10 단계에서 수집된 유저 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 즉 예를 들어 여행 컨셉의 유사도가 70%이상이고, 개인 정보의 유사도가 50%이상인 유저들을 기 설정된 인원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S20 단계에서 하나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유저들은, 후술할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의 수행 시, 동일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추천을 받게 되는 유저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 사이트로부터 상술한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S30)가 수행된다.
즉, 상술한 S30 단계는, S20 단계에서 그룹화된 n개의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로 크롤링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상술한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은,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되, 여행사 웹 사이트의 관리자로부터 추천 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이 크롤링되거나,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최근 뷰(View)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최근 부상도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자동 추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종래 무분별하게 추천되던 패키지 여행 상품에 노출되어 유저들이 느끼던 피로감을 현저히 절감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자유 여행에 비하여 이용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상술한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고,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S40)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S40 단계는, 유저 단말에서 예약 요청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하여, 해당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웹 사이트로 예약을 접수하는데 있어서, 앞서 S10 단계에서 수집한 유저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패키지 여행의 예약 접수를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유저는, 별도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예약하는데 있어서 개인 정보의 입력을 새로 입력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는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이력을 로드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기간별 평균 예약 유저 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시, 산출된 평균 예약 유저 수를 기초로 상술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성수기 및 비수기에 따라 패키지 여행에 모집되는 인원이 상이한 점과, 여행 컨셉별로 모집되는 인원이 상이한 여행 상품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패키지 여행 상품(예를 들어 가족 여행)에 대한 평균 예약 유저 수가 40명이고, 제2 패키지 여행 상품(예를 들어 나홀로 여행)에 대한 평균 예약 유저 수가 20명일 경우, 가족 여행을 여행 컨셉으로 그룹화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40, 나홀로 여행을 여행 컨셉으로 그룹화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20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이력을 기초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함에 따라서, 합리적인 그룹화 기준 체계를 마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는, 상술한 S40 단계의 수행 후,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예를 들어 80%)를 초과할 경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반대의 예로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예를 들어 80%) 미만일 경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들의 수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위 유저 그룹에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에 따라, 후행 그룹화 수행 시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는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갱신됨에 따라서, 합리적인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측의 모객 실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서버는, S40 단계의 수행을 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유저 단말에,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고, 이용 만족도 평가에 의해 도출된 평가 점수를,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은,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S30)의 수행 시,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유저 단말 측으로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하여, 유저 단말 측에 제공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각각의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크롤링되어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는 평가 점수가 표시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려는 유저의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보조할 수 있도록 기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이용 만족도 평가에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여행 스팟에 대한 세부 평가가 포함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경험 기반의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 설정된 기준 점수(총 점의 50%)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점수를 미충족한 여행 스팟에 대한 정보를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실시 예는, 실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 또한 수행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앞서 언급한 각각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유사도 분석 결과를 근거로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위 유저 그룹에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에 따라, 후행 그룹화 수행 시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는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갱신됨에 따라서, 합리적인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측의 모객 실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 또한 수행되도록 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 유저 정보가 수집되는 인터페이스의 제공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화면 100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로 하여금, 여행 출발일과 같은 여행 일정 정보인 제1 유저 정보(101)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여행 출발일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에 한정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여행 종료일에 대한 정보 역시 요청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여행 출발일 및 종료일에 대한 정보는 필수 입력 사항이 아닌 선택 입력 사항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여행 일정 입력이 요청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여행 일정에 대한 정보 입력이 요청되지 않을 시 앞서 언급한 그룹화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여행 일정은 유저 정보의 유사도 분석에 이용되지 않는 제외 정보인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제1 유저 정보(101)외에도 유저 정보로서, 유저의 이름, 생년월일, 동행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정보(102)의 입력이 요청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 측에 여행 컨셉에 대한 정보인 제3 유저 정보(103)로서 여행 컨셉 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 입력 창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여행 컨셉은 여행 테마 및 여행 목적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혼 여행, 가족 여행, 효도 여행, 골프 여행, 크루즈 여행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후술할 그룹화 단계에서 유저 정보로 수집되는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에 따라 그룹화가 수행되는 것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가 입력되도록 하는 유저 정보별 가중치 입력에 따른 제4 유저 정보(104)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가중치에 대한 입력에 대하여,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부등호에 의한 입력에 의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에서 입력된 수치적 기재에 의한 가중치가 설정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유저 정보별 가중치 입력에 따라서,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유저 정보에 입력된 가중치를 고려한 유사도 분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의 취향 정보를 더욱 명확히 반영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추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저 정보 수집 단계의 수행 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에서 단위 유저 그룹 구성원에 대한 선호 정보가 더 입력되도록 하여,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선호 정보가 반영된 단위 유저 그룹으로서 유저 집단을 그룹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단위 유저 그룹 구성원에 대한 선호 정보는, 예를 들어, 사람의 성격과 관련된 성향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단위 유저 그룹 구성원에 대한 선호 정보 입력을 통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정보를 기초로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의 200을 참조하면, 서버는, 복수의 유저 단말에서 수집된 유저 정보들을 기초로, 복수의 유저들을 n개의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200에서는 보다 개념 상의 이해를 위하여 복수의 유저들을 여행 컨셉 정보를 기초로 하여 n개의 단위 유저 그룹(201, 202, 203)으로 그룹화하는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그룹화 기준은, 유저의 개인 정보, 유저의 여행 컨셉 정보 및, 상술한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에 설정된 가중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목의 유사도를 고려하여 그룹화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도 3의 200에서 도시한 개념도의 실시 예에서는 n개의 단위 유저 그룹(201, 202, 203)이 모두 동일한 유저 수를 갖도록 그룹화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은 그룹화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소속 유저 수를 가질 수 있음이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별로 크롤링되어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300은,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상품의 리스트가 유저 단말로 제공되는 실시 예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러한 패키지 여행 상품의 리스트는, 단위 유저 그룹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에는 해당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이력이 있는 타 유저들의 경험 기반 평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단위 유저 그룹별로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맞춤 추천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패키지 여행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의 합리적인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을 기초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의 그룹화 기준이 갱신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의 400은, 앞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는 것에 대한 실시 예로 이해될 것이다.
도 5의 400의 실시 예를 기초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의 갱신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복수의 유저들이 수집된 유저 정보를 기준으로 단위 유저 그룹 A, B 및 C로 그룹화되었고, 각각의 예약 비율이 95%, 60% 및 50%이며, 기 설정된 임계 기준은 예약률 95%라고 가정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위 유저 그룹 A의 경우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인 95%에 해당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유저 수의 변동 없이 기존 소속 유저 수 20명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을 초과(예를 들어, 예약률이 100%를 초과하여, 실제 예약 접수가 수행되지 않은 유저들의 예약 요청까지 카운트)할 경우,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유저 수를 상대적으로 적은 수(예를 들어 15명)로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의 400의 실시 예에서 보여지듯이 단위 유저 그룹 B 및 C의 경우, 예약 비율이 각각 임계 기준 미만인 60% 및 50%에 해당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2배수 및 3배수 증가하여, 각각 40명 및 60명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위 유저 그룹에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에 따라, 후행 그룹화 수행 시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는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갱신됨에 따라서, 합리적인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측의 모객 실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여행 스팟의 평가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500의 화면을 살펴보면, 500은, 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유저 단말에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이 완료됨에 따라, 서버로부터 실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유저 단말 측에 이용 만족도의 평가를 위해 제공되는 평가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평가 인터페이스는, 숙소, 경유 장소를 포함하는 여행 스팟에 대하여 1점부터 5점까지의 정량화된 평가 점수 입력을 요청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세부 평가 및 종합 평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500의 이용 만족도 평가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되도록 하여,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기능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평가 기준, 예를 들어 5점 만점 중 3점(기준 점수) 이하의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 결과가 도출 될 시, 해당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 점수를 여행사 관리 단말로 전송하여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패키지 여행 상품 A를 이용한 유저들 중 과반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스트라호프 수도원에 대한 평가 점수가 1.5점이라고 평가되었을 시, 해당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에는 510과 같은 여행 스팟 변경 추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에 따라서, 여행사는 실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고객의 후기 정보를 반영하여 잠재 고객들의 평가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여행 스팟들로 구성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급자인 여행사 및 수요자인 유저 양 측의 니즈를 반영한 양질의 패키지 여행 상품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10)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10)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10)는, 바람직하게 유저 정보 수집부(11), 그룹화부(12), 여행 상품 크롤링부(13) 및 예약 접수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유저 정보 수집부(11)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20)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유저 정보 수집부(11)는, 후술할 그룹화부(12)가 유저들을 하나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게 하기 위한 분류 기준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술한 유저 정보 수집부(11)는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그룹화부(12)는, 유저 정보 수집부(11)에 의하여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그룹화부(12)는, 유저 정보 수집부(11)에서 수집한 유저 정보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유사성이 임계 유사도 이상을 보이는 유저들을 하나의 단위 유저 그룹의 소속 구성원 유저로서 분류할 수 있다.
더욱 쉬운 이해를 위한 예를 들면, 일 실시 예로서, 여행 컨셉 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100으로 설정된 유저들 중 가족 여행을 선택한 유저가 3명, 신혼여행을 선택한 유저가 4명, 나홀로 여행을 선택한 유저가 3명이라고 가정해볼 경우, 상술한 그룹화부(12)는, 가족 여행을 선택한 유저 3명을 단위 유저 그룹 A로, 신혼 여행을 선택한 유저 4명을 단위 유저 그룹 B로, 나홀로 여행을 선택한 유저 3명을 단위 유저 그룹 C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그룹화부(12)에 의하여 유저 정보의 유사성이 존재하는 유저 집단으로 구성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맞춤화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추천하여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패키지 여행 상품 검색에 따른 유저의 노력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결과적으로 상술한 그룹화부(12)는,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여행 상품 크롤링부(13)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 사이트 서버(30)로부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크롤링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종래 무분별하게 추천되던 패키지 여행 상품에 노출되어 유저들이 느끼던 피로감을 현저히 절감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술한 크롤링부(13)는 앞서 언급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예약 접수부(14)는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20)에 제공하고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예약 접수부(14)는, 앞서 유저 정보 수집부(11)에서 수집한 유저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유저 단말(20)에서 선택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과적으로 상술한 예약 접수부(14)는 앞서 도 1의 S40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추천 장치(10)는, 각각의 구성들에 의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유저 정보를 기초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 집단을 유사도 분석 결과를 근거로 그룹화하여 각각의 단위 유저 그룹별 여행 컨셉에 맞는 패키지 여행 상품을 추천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단위 유저 그룹에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에 따라, 후행 그룹화 수행 시의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되는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하는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서, 합리적인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하는 여행사 측의 모객 실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실제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 평가 결과로부터 여행사 측의 패키지 여행 상품의 재구성 및 개선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에 있어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 중 상기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공급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뷰(View)수를 기반으로 부상도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를 포함하되,
    서버는,
    상기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이력을 로드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기간별 평균 예약 유저 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상기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산출된 평균 예약 유저 수를 기초로,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하되,
    상기 예약 접수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유저 단말에,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 의해 도출된 평가 점수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의 수행 시,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경험 기반의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 설정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점수를 미충족한 여행 스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에 여행 스팟 변경 추천 메시지로서 제공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하고,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비율이 임계 기준 미만일 경우,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기 설정된 유저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설정하여 그룹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개인 정보 및 상기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에 대한 가중치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유저 정보에 입력된 가중치를 고려한 유사도 분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단위 유저 그룹 구성원에 대한 선호 정보가 더 수집되도록 하여,
    상기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선호 정보가 반영된 단위 유저 그룹으로서 상기 유저 집단을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7. 삭제
  8. 삭제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에 있어서,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부;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 중 상기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공급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뷰(View)수를 기반으로 부상도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부;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부;를 포함하되,
    서버는,
    상기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이력을 로드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기간별 평균 예약 유저 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상기 그룹화부의 기능 수행 시, 산출된 평균 예약 유저 수를 기초로,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하되,
    상기 예약 접수부의 기능 수행 후,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부의 기능 수행 시,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유저 단말에,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 의해 도출된 평가 점수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여행 상품 크롤링부의 기능 수행 시,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경험 기반의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 설정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점수를 미충족한 여행 스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에 여행 스팟 변경 추천 메시지로서 제공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패키지 여행 상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의 개인 정보 및 여행 컨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를 수집하는 유저 정보 수집 단계;
    수집된 하나 이상의 유저 정보들 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임계 유사도 이상의 유사성을 보이는 유저 집단을 단위 유저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단계;
    패키지 여행 상품의 공급 계약이 체결된 하나 이상의 여행사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의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 중 상기 여행사 웹 사이트에서 공급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뷰(View)수를 기반으로 부상도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을 크롤링하는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 및
    크롤링된 패키지 여행 상품 정보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에 소속된 각각의 유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접수를 수행하는 예약 접수 단계;를 포함하되,
    서버는,
    상기 여행 컨셉 정보에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 이력을 로드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기간별 평균 예약 유저 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상기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산출된 평균 예약 유저 수를 기초로, 상기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를 설정하되,
    상기 예약 접수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된 패키지 여행 상품의 예약 현황을 분석하여,
    후행 그룹화 단계의 수행 시,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해 분석된 예약 현황에 따라 단위 유저 그룹을 구성하는 유저 수가 갱신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예약을 수행한 유저 단말에,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 의해 도출된 평가 점수를, 상기 단위 유저 그룹별로 매칭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의 크롤링 기준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여행 상품 크롤링 단계의 수행 시, 평가 점수가 높은 순의 패키지 여행 상품이 우선적으로 크롤링되도록 하고,
    상기 이용 만족도 평가에는,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에 포함된 여행 스팟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행 스팟에 대한 경험 기반의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산출된 평가 점수를 기 설정된 기준 점수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 점수를 미충족한 여행 스팟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공급한 여행사 관리 단말에 여행 스팟 변경 추천 메시지로서 제공하여 상기 패키지 여행 상품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16081A 2020-02-11 2020-02-11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81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81A KR102381260B1 (ko) 2020-02-11 2020-02-11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81A KR102381260B1 (ko) 2020-02-11 2020-02-11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51A KR20210101751A (ko) 2021-08-19
KR102381260B1 true KR102381260B1 (ko) 2022-03-30

Family

ID=7749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81A KR102381260B1 (ko) 2020-02-11 2020-02-11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92B1 (ko) * 2022-01-19 2022-12-20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01B1 (ko) * 2008-05-28 2011-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902B1 (ko) * 2011-01-11 2012-10-30 (주)제이벤투스마이투어 여행 일정 디자인 시스템
KR20150031105A (ko) * 2013-09-13 2015-03-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관광 상품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80090A (ko) * 2013-12-30 2015-07-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하둡 기반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상품 추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38529A (ko) * 2014-05-29 2015-12-10 (주) 도래소프트 데이터마이닝기법을 활용한 여행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5053A (ko) * 2014-06-18 2015-12-29 김부용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여행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51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91847A1 (en) Automated feature identification based on review mapping
US8706656B1 (en) Multi-label modeling using a plurality of classifiers
US201503566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ed Tourism Content Based On Collecting And Structurizing Of Unstructured Tourism Data
Tao et al. Utility modelling, equilibrium, and coordination of resource service transaction in service-oriented manufacturing system
Ara et al. Web-of-objects based user-centric semantic service composition methodology in the internet of things
KR102464783B1 (ko) 소비자의 비정형 평가 정보를 이용한 소비자 니즈 분석 방법 및 장치
CN115151928A (zh) 使用机器学习技术的用于通信工作流的增强的处理
Karimzadehgan et al.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 constrained multi-aspect committee review assignment
Zhang An improved immune algorithm for simple assembly line balancing problem of type 1
US20190266617A1 (en) Reader reaction learning-based article cataloging management
Lei et al. Identification approach for bottleneck clusters in a job shop based on theory of constraints and sensitivity analysis
KR102381260B1 (ko)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160600B1 (ko) 사용자 반응 향상을 위한 해시태그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US20190079971A1 (en) Determining whether to take an action by applying a metric calculate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kens
Morillo Torres et al. A new model and metaheuristic approach for the energy-based resource-constrained scheduling problem
US11144987B2 (en) Dynamically normalizing product reviews
KR20230099999A (ko) 인공지능 자연어처리를 이용한 객체 평판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irshner et al. Scalable dynamic bid prices for network revenue management in continuous time
US20220004718A1 (en) Ontology-Driven Conversational Interface for Data Analysis
Cabrerizo et al. Group decision making: Consensus approaches based on soft consensus measures
Zheng et al. On dynamic performance estimation of fault-prone Infrastructure-as-a-Service clouds
KR102127203B1 (ko)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20300821A1 (en) Hybrid model and architecture search for automated machine learning systems
KR102221098B1 (ko) 기업 맞춤형 신약개발추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49436A (ko) 인공지능을 통한 대형 상가 내 상점 입주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