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203B1 -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203B1
KR102127203B1 KR1020180088346A KR20180088346A KR102127203B1 KR 102127203 B1 KR102127203 B1 KR 102127203B1 KR 1020180088346 A KR1020180088346 A KR 1020180088346A KR 20180088346 A KR20180088346 A KR 20180088346A KR 102127203 B1 KR102127203 B1 KR 10212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ranking data
search word
time search
exc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16A (ko
Inventor
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알오아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오아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알오아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8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수집 단계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E SERCH WORD RANKING DATA}
본 발명은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검색 엔진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실시간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하나의 엑셀 시트 상에 누적하여 저장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은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에 응답하여 검색 결과로서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신문기사, 이미지, 카페 또는 블로그 등의 자료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실시간 검색어는, 실시간 검색어의 특성상 특정 시간대에 다수의 네티즌에 의하여 가장 많이 다수의 네티즌들에 의하여 가장 많이 검색되는 검색 대상 정보를 포함하다는 점에서 사람들의 최근 관심 대상이 되는 최신 트렌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614470호(검색어 리스트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검색어에 설정된 태그를 획득하여 검색어에 태그에 상응하는 이펙트를 적용하여 이펙트가 적용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어 리스트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특허의 경우, 검색 엔진 상에서 제공되는 검색어 리스트에 새롭게 검색어 리스트에 추가된 검색어나 급격한 관심을 보이는 검색어의 태그에 이펙트를 적용하여 가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검색어의 성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이는 급상승 검색어 혹은 새로 갱신된 검색어의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을 희망하는 유저가 수시로 검색 엔진에 접속하여 일일이 검색어 정보를 수집하여야만 했으며, 바쁜 업무 등에 의하여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를 파악하지 못했을 경우, 지나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실시간 검색어가 트렌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광고 및 마케팅 대상 아이템을 선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광고 및 마케팅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은 이를 활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검색 엔진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저 단말에서 열람 가능한 엑셀 시트 상에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광고 및 마케팅 활동 등의 베이스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수집 단계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저장 단계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을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현재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저장 단계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유저 단말의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의 로드 요청이 있을 시,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엑셀 시트 상으로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일괄적으로 누적 저장한 후, 엑셀 시트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엑셀 시트 상에 유효하게 저장되어 엑셀 시트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캐시 메모리를 가용 상태로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엑셀 시트에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를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의 다른 시트 상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집 단계의 수행 전,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색 엔진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 엔진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수집 단계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쁜 업무나 일상으로 인하여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확인하지 못하는 유저들에게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추출하여 누적 저장한 결과물을 제공하여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엑셀 시트상에 제공하고,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로서 제공함으로써 최근 네티즌들 사이에서 이슈가되는 대상의 동향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광고 및 마케팅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주기별로 누적되어 제공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통계가 제공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검색 엔진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실시간 순위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하나의 엑셀 시트 상에 누적하여 저장한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검색 엔진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저 단말에서 열람 가능한 엑셀 시트 상에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으며, 또한,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광고 및 마케팅 활동 등의 베이스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 1 및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기는 예를 들어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즉, S1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15분이 경과할 때마다 실시간 검색어의 갱신된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엑셀 시트 상에 누적 저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전,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색 엔진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 엔진 정보 수신 단계(S1)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검색 엔진은, 인터넷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로서,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고 있는 웹 서비의 주소 목록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검색 엔진으로는 구글, 네이버, 야후, 넷서치 등이 존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술한 S1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 받기를 희망하는 검색 엔진의 웹 주소 정보를 입력 받는 것으로서, 이는 온라인 상에 다양한 검색 엔진이 존재하는 것과 실시간 검색어가 검색 엔진마다 네티즌들의 성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유저가 선호하거나, 유저가 특정 검색 엔진의 실시간 검색어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등 해당 검색 엔진의 웹 주소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의 실시간 검색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엑셀 파일의 시트 상에 저장하여 유저 단말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S10 단계의 수행 후,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에 대한 제1 실시 예로써, 상술한 S20 단계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을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현재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엑셀 시트가 생성된 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1행에 기록되어 저장되고, 기 설정된 주기가 예를 들어 15분 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15분 후, 유저 단말은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포함하는 엑셀 파일에 열기 명령을 내림으로써, 검색 엔진으로부터 새롭게 갱신되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1행의 다음행인 2행에 기록되게 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유저는 상술한 엑셀 시트를 포함하는 엑셀 파일로부터 주기를 가지고,시계열적으로 누적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시간별로 이슈가 되는 검색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술한 S20 단계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S20 단계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유저 단말의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의 로드 요청이 있을 시,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엑실 시트 상으로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일괄적으로 누적 저장한 후, 엑셀 시트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수집되는 즉시 엑셀 파일에 열기 명령을 내려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수집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엑셀 파일의 열기 요청이 있을 때까지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엑셀 파일이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열림 요청이 존재함에 따라 오픈된 것으로 판단될 시, 오픈된 엑셀 파일의 엑셀 시트 상에 상술한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로드하여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이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 엑셀 파일이 열려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닫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량 저감할 수 있게 되며, 빈번한 엑셀 파일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유저 단말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엑셀 시트 상에 유효하게 저장되어 엑셀 시트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술한 캐시 메모리를 가용상태로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는 데이터의 처리 속도가 빠른 대신 용량이 적은 캐시 메모리의 특성을 반영한 구성인 것으로서, 캐시 메모리를 가용 상태로 초기화함으로써 캐시 메모리를 안정성이 높은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시스템의 성능 및 저장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앞서 언급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서로 순차적 또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 단계에 의하여 엑셀 시트에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통계 데이터는 기 설정된 주기를 기초로 시계열적으로 누적처리되어 저장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생성되는 엑셀 시트가 포함되는 엑셀 파일 상의 다른 엑셀 시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유저는 주기별로 누적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시에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 빈도수가 높은 순에 따라 정렬된 검색어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에 따라 유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지되거나 변동되는 네티즌의 관심도 높은 검색어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광고 및 마케팅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광고 및 마케팅의 효과가 극대화된 컨텐츠를 제작 및 판매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쁜 업무나 일상으로 인하여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확인하지 못하는 유저들에게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추출하여 누적 저장한 결과물을 제공하여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엑셀 시트상에 제공하고,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로서 제공함으로써, 최근 네티즌들 사이에서 이슈가되는 대상의 동향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광고 및 마케팅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10)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10)는 바람직하게 데이터 수집부(11) 및 저장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데이터 수집부(11)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30)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앞서 언급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5분)마다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가 포함된 데이터를 유저에게 제공함에 따라서, 시간별로 이슈가 되는 검색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검색어의 순위 변동 및 엑셀 시트 상에 입력되는 검색어의 입력 빈도에 따라 통계 데이터를 생섬하에 따라 이슈가 되는 검색어를 선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저장부(12)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엑셀 시트에 상술한 수집부(11)에 의하여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앞서 언급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10)에는 검색 엔진 정보 수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검색 엔진 정보 수신부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색 엔진(30)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즉, 상술한 검색 엔진 정보 수신부는 도 1의 S1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상술한 검색 엔진 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유저 단말(20)로부터 유저가 선호하는 검색 엔진(30)에서 추출되어 누적된 지나간 검색어 순위 리스트를 유저 단말(20)에서 열람 가능한 엑셀 파일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는 시간과 상관없이 과거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쁜 업무나 일상으로 인하여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확인하지 못하는 유저들에게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추출하여 누적 저장한 결과물을 제공하여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 및 지나간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엑셀 시트상에 제공하고,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로서 제공하여 광고 및 마케팅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주기별로 누적되어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엑셀 파일에 포함된 시트 상에 검색 엔진으로부터 수집된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누적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엑셀 시트 상에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수집한 시간 정보(101), 상술한 시간 정보에 수집된 검색어의 순위 정보(10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100을 예로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100에는 2018년 7월 2일자에 오전 9시부터 15분 간격으로 수집된 검색어 정보가 도시되어 있으며, 오전 9시에는 1순위로 축구 선수 이강인이, 2순위로 러시아와 스페인이, 3순위로 태풍 진로 예상 등의 검색어가 수집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유저가 바쁜 업무 및 바쁜 일상에 실시간 검색어를 제때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주기로 누적된 실시간 검색어 및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통계가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로부터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2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기가 예를 들어 201과 같이 일별로 설정되어 있을 때, 일별로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로부터 검색어마다의 입력 빈도(203)를 연산하고, 연산된 입력 빈도 값이 높은 검색어(202) 순으로 정렬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통계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수집되어 누적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포함하는 엑셀 파일 상에 생성되되, 상술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와는 다른 엑셀 시트 상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누적 저장되는 엑셀 시트가 시트 1일 때, 상술한 통계 데이터는 시트 2(210)에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가 높은 검색어 정보를 추출하여 통계 데이터로서 제공하여 광고 및 마케팅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광고 및 마케팅의 효과가 극대화된 컨텐츠를 제작 및 판매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의 30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수행 전,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색 엔진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 수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검색 엔진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검색 엔진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검색 엔진의 웹 주소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이는 온라인 상에 다양한 검색 엔진이 존재하는 것과 실시간 검색어가 검색 엔진마다 네티즌들의 성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유저가 선호하거나, 유저가 특정 검색 엔진의 실시간 검색어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등 해당 검색 엔진의 웹 주소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의 실시간 검색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엑셀 파일의 시트 상에 저장하여 유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검색 엔진의 주소 정보는 하나 이상 입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검색 엔진 마다 수집되는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서로 다른 시트 상에 저장하여 구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엑셀 시트에 상기 수집 단계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엑셀 시트에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를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의 다른 시트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을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현재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수집됨이 감지될 경우,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의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파일의 로드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상기 엑셀 시트 상으로 로드하여, 이전 주기에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기록된 행의 다음 행에 일괄적으로 누적 저장한 후,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시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상기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가 상기 엑셀 시트 상에 유효하게 저장되어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에 닫기 명령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캐시 메모리를 가용 상태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단계의 수행 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가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색 엔진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 엔진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엑셀 시트에 상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엑셀 시트에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를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의 다른 시트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장치.
  8.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 대상으로 설정된 검색 엔진에서 갱신되는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및
    상기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가 저장되는 엑셀 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엑셀 시트에 상기 수집 단계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검색어 순위 데이터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엑셀 시트에 저장된 실시간 검색어의 순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엑셀 시트 상에 입력 빈도수가 높은 검색어를 추출하여 연별, 월별, 주별 및 일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는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를 상기 엑셀 시트가 포함된 엑셀 파일의 다른 시트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80088346A 2018-07-30 2018-07-30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2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46A KR102127203B1 (ko) 2018-07-30 2018-07-30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46A KR102127203B1 (ko) 2018-07-30 2018-07-30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16A KR20200013316A (ko) 2020-02-07
KR102127203B1 true KR102127203B1 (ko) 2020-07-07

Family

ID=6957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46A KR102127203B1 (ko) 2018-07-30 2018-07-30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2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802B1 (ko) 2022-06-15 2022-12-05 (주)애드레시피 키워드 분석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KR102483987B1 (ko) 2022-08-05 2023-01-04 주식회사 컨택틱 오픈마켓 내 타겟 제품 및 타겟 시장에 대한 자동화 분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238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이의 제어 방법 및 급상승 검색어 순위 생성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802B1 (ko) 2022-06-15 2022-12-05 (주)애드레시피 키워드 분석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KR102483987B1 (ko) 2022-08-05 2023-01-04 주식회사 컨택틱 오픈마켓 내 타겟 제품 및 타겟 시장에 대한 자동화 분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16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Automatic classification of non-functional requirements from augmented app user reviews
Zaiane et al. Classifying text documents by associating terms with text categories
US9251157B2 (en) Enterprise node rank engine
US931756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mputational social network development environment for human intelligence
US8694514B2 (en) Collaborative filtering engine
US9946775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detection of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Pervin et al. Fast, scalable, and context-sensitive detection of trending topics in microblog post streams
Lee et al. Leveraging microblogging big data with a modified density-based clustering approach for event awareness and topic ranking
Malarvizhi et al. Frequent pagesets from web log by enhanced weighted association rule mining
Ksibi et al. Adaptive diversification for tag-based social image retrieval
Arnaiz-González et al. MR-DIS: democratic instance selection for big data by MapReduce
JP2017220204A (ja) 検索クエリに応答してホワイトリストとブラックリストを使用し画像とコンテンツをマッチング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127203B1 (ko) 검색어 순위 데이터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im et al. Two applications of clustering techniques to twitter: Community detection and issue extraction
Meoni et al. Dataset popularity prediction for caching of CMS big data
Datta et al. A mobile app search engine
Liu et al. A study of software pools for seismogeology-related software based on the Docker technique
Khodaei et al. Temporal-textual retrieval: Time and keyword search in web documents
Jing et al. High-order co-clustering text data on semantics-based representation model
Chalamalasetti et al. Evaluating FPGA-acceleration for real-time unstructured search
Li et al. MATAR: Keywords enhanced multi-label learning for tag recommendation
Li et al. A social network-aware top-N recommender system using GPU
Karimzadehgan et al. A learning approach to optimizing exploration–exploitation tradeoff in relevance feedback
von Wyl et al. A parallel cross-modal search engine over large-scale multimedia collections with interactive relevance feedback
Nguyen et al. Multiple models for recommending temporal aspects of ent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