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128B1 - 의자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128B1
KR102381128B1 KR1020200033990A KR20200033990A KR102381128B1 KR 102381128 B1 KR102381128 B1 KR 102381128B1 KR 1020200033990 A KR1020200033990 A KR 1020200033990A KR 20200033990 A KR20200033990 A KR 20200033990A KR 102381128 B1 KR102381128 B1 KR 10238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upport
chair
support plat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588A (ko
Inventor
황종성
Original Assignee
황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성 filed Critical 황종성
Priority to KR102020003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128B1/ko
Priority to PCT/KR2021/003167 priority patent/WO2021187832A1/ko
Priority to US17/802,521 priority patent/US20230120809A1/en
Priority to CN202180017945.2A priority patent/CN115243585A/zh
Publication of KR2021011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을 받치고 있는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힌지(150)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으로 펼쳐진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고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유지하여서,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월등한 착석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받침대{A SUPPORT DEVIC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에 재치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대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착석감을 구현하여서 월등한 착석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의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데 쓰는 기구로, 착석시에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방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가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시트의 하방에 다리나 목받침을 부가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다리는 고정식이거나 하단에 캐스터가 마련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목받침은 이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에는 이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허리를 받쳐주기 위한 다양한 허리 받침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등받이의 중앙에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서, 이용자가 등을 기대는 경우에 허리가 안착되도록 허리 받침대 등의 기술이 있다.
이러한 허리 받침대는 앉아 있는 이용자의 허리만을 지지하고 있어서 안락함이나 편리함에는 한계가 있었고, 또한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전히 제거하지도 못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한편, 현대인의 생활의 다양화와 업무 등의 이유로 인하여 교통 수단 중에서도 비행기나 장거리 버스(고속버스, 시외버스), 고속열차를 이용하는 빈도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비행기나 장거리 버스(고속버스, 시외버스), 고속열차에 마련된 의자는 등받이를 젖히는 각도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허리에 하중이 많이 작용하고 착석감이 좋지 않고 또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비행기,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에 마련된 의자에 앉아서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에, 상반신의 하중이 엉덩이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하중의 전달에 의한 엉덩이 압박에 의해서 착석자는 고통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4068호(공고일: 2001.10.08)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887592호(공고일: 2009.03.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의 목적은,
첫째, 의자에 앉기만 해도 마치 침대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월등한 착석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착석시에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현격하게 경감하거나 또는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전혀 받지 않도록 하며,
셋째, 특히 비행기, 장거리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의 좁은 간격의 의자에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탁월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비행기,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서 장거리 이동시에, 상반신의 하중이 엉덩이로 전달됨으로써 발생하는 엉덩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받침대를 사용한 후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하여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제품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의자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의자용 받침대[의자용 등 및 허리 받침대]는,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놓여져서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을 받쳐주기 위한 의자용 받침대로서, 하단이 의자의 시트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에 지지되며,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을 받치고 있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가 제1 최대펼침각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의자의 시트부에 지지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서포트 플레이트가 제1 최대펼침각을 유지하여서,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의자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의자에 앉기만 해도 마치 침대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월등한 착석감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착석시에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현격하게 경감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 자체를 전혀 받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셋째, 특히 비행기, 장거리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의 좁은 간격의 의자에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비스듬히 누워 있는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있어서 탁월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비행기,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서 장거리 이동시에, 상반신의 하중이 엉덩이로 전달됨으로써 발생하는 엉덩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받침대를 사용한 후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하여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사시도 및 의자에 재치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를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접어서 2 단의 받침대(100)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내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히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힌 상태에서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접히는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변형예로서, 서포트 플레이트가 하나의 서포트 플레이트만(120)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2 단의 받침대로 구성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의자용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의자용 받침대는 엄밀하게는 의자용 등 및 허리 받침대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받침대(100)의 "바깥쪽"은 이용자를 향하는 방향이고, 받침대(100)의 "안쪽"은 의자를 향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자용 등 및 허리 받침대(100)]는, 시트부(11)와 등받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10)에 놓여져서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등, 허리, 또는 등 및 허리)을 받쳐주기 위한 의자용 받침대(100)로서, 하단이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측[의자에 재치한 경우의 기준으로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자에 재치한 경우의 기준으로는 상단]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구체적으로는 등(back), 허리]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구체적으로는 등(back), 허리]을 받치고 있는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하단]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접히는 경우에는 내면(110a,120a)이 서로 접촉되도록 안쪽으로 완전히 접힐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유지하여 제1 최대펼침각(θ1m)보다 더 큰 각도로 펼쳐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용자의 엉덩이가 시트부(11)에 걸친 상태에서 받침대(100)에 기대면, 이용자의 등 및 허리를 동시에 지지하는데, 특히 등을 더 많이 지지함으로써, 착석시에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하거나 또는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의자에 앉으면서도 마치 침대에 비스듬히 누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비행기, 장거리 버스, 자동차, 고속열차 등의 좁은 간격의 의자에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비스듬히 누워서 착석할 수 있으므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착석시에 허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목받침(13)이 있는 의자(10)의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받침대(100)를 접고 펼 수 있는 구성으로 구현함으로써 받침대(100)를 사용한 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로 접을 수 있어서 사용 후에는 부피를 박형의 소형으로 할 수 있어서, 휴대 및 보관이 쉽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얇은 판상이므로, 손가방이나 백팩에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성 및 휴대성이 더욱더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어서, 휴대성이 더욱더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100)의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얇은 박형이므로, 손가방이나 백팩에 넣어서 휴대 및 이동 후에 비행기, 장거리 버스, 고속열차 등의 착석시에 간편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혁혁하게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은 둔각(90 도보다 크고 180 도보다 작은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은, 120 ~ 160 도의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150 도의 펼침각도를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도의 펼침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하단)이 서로 접촉되어서 펼침 동작이 스토핑됨으로써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 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 간의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설정하기 위한 스토핑부(14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부(14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상기 스토핑부(141)에 스토핑되어서 제1 최대펼침각(θ1m)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부(141)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기 스토핑부(141)에 스토핑되어서 제1 최대펼침각(θ1m)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토핑부(141)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에 형성되는 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하단[구체적으로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하단(122)]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토핑부(14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에서 서포트 플레이트(120,130) 쪽으로 일체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핑부(14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므로, 보기에 따라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을 돌출 형성하고, 이 돌출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또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하단(122)이 접촉되어 스토핑되어서 제1 최대펼침각(θ1m)이 형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상단(121)과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하단(132)이 서로 접촉되어서 펼침 동작이 스토핑됨으로써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최대 펼침 상태를 유지 즉,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 자체의 구성에 의해서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하나 이상의 제2 힌지(160)에 의해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어느 하나의 일측(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다른 하나의 타측(상단)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져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허리, 등)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을 받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본 명세서에서는 3단 받침대(100)라고 칭한다.]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30)에 제2 힌지(16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일측(하단(122))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타측(상단)이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서로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제2 힌지(160)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져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허리, 등)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신체의 배면을 받치고 있으며,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으로 펼쳐져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고,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유지하고[즉, 제1 최대펼침각(θ1)보다 더 큰 각도로 펼쳐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유지하여서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상기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은 둔각(90 도보다 크고 ~ 180 도보다 작은 각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은 120 ~ 160 도의 둔각이며, 바람직하게는 130 ~ 150 도의 펼침각도를 형성되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35 도의 펼침각도를 형성한다. 안정적이고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 또는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하단(122)에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 간의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설정하기 위한 스토핑부(14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부(141)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가 상기 스토핑부(141)에 스토핑되어서 제1 최대펼침각(θ1m)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부(141)가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기 스토핑부(141)에 스토핑되어서 제1 최대펼침각(θ1m)이 형성되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3 개의 플레이트(110,120,130)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순차 적층되도록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3단 받침대(100)의 부피를 최소로 하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각각의 외면(120b,130b)이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평평하여서 기대었을 때 더욱더 편안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제2 최대펼침각(θ2m)은 18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상단(121)과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하단(132)이 서로 접촉되어서 펼침 동작이 스토핑됨으로써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최대 펼침 상태를 유지 즉,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 자체의 구성에 의해서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설정하고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내면(120a)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면(110a)이 서로 밀착되거나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혀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내면(130a)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면(110b)이 접촉하거나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접혀져서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순서로 순차 적층되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면(110a)에는 베이스 보강살(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면(110a)에는 제1 보강살(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면(110a)에는 제2 보강살(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테두리(11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 쌍의 제1 돌테(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 쌍의 제2 돌테(13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114)가 제1 돌테(124)의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접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힌 상태에서 제2 돌테(134)가 제1 돌테(124)와 밀착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덮도록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접힘으로써,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순서로 순차 적층되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는(114)는 좌우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 형성된 측변 테두리(114a)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 형성된 하단 테두리(114b)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 테두리(114b)에는 제1 보강살(125)을 수용하기 위한 보강살 안착홈(116)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힌지(1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힌지 하부 브라켓(151)과,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하단(122)에 형성된 제1 힌지 상부 브라켓(152)과, 상기 제1 힌지 하부 브라켓(151)과 제1 힌지 상부 브라켓(152)을 힌지 연결하는 제1 힌지핀(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힌지핀(153)과 나사체결하는 제1 너트(15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160)는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힌지 하부 브라켓(161)과,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하단(132)에 형성된 제2 힌지 상부 브라켓(162)과, 상기 제2 힌지 하부 브라켓(161)과 제2 힌지 상부 브라켓(162)을 힌지 연결하는 제2 힌지핀(1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힌지핀(153)과 나사체결하는 제2 너트(16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2 개의 플레이트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에 의해서 구성(본 명세서에서는 2단 받침대라고 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2단 받침대(100)이든 3단 받침대(100)이든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데, 2단의 받침대(100)와 3단 받침대(100)는 단지 의자의 크기나 사용자의 신체의 크기에 의해서 이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된 사용예는, 3 개의 플레이트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에 의해서 3단 받침대(100)를 구성하고,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접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만을 받침대(100)로 사용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2개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 또는 4 개의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며, 그 분할되는 개수에 관계 없이 모두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펼쳐서 이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최대펼침각(θ1m)로 최대한 펼치고,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제2 최대펼침각(θ2m)로 최대한 펼쳐서 받침대(100)를 펼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을 시트부(11)에 지지시키고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상단을 등받이부(12)에 지지시켜서 의자(10)에 재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허리 쪽이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경계에 위치하고, 이용자의 등이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누우면 이용자는 마치 등받이를 세운 상태의 침대에 누워있는 것처럼 매우 안락하고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이때,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경계에 이용자의 체중의 일부 하중(F1)이 작용하는데, 이 하중(F1)이 작용하더라도 제1 최대펼침각(θ1m)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대략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경계에 이용자의 다른 하중(F2)이 작용하는데, 이 하중(F2)이 작용하더라도 제2 최대펼침각(θ2m)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번호 (θ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 간이 형성하는 각도인 제1 펼침각(θ1)이고, 도면번호 (θ2)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 간이 형성하는 각도인 제2 펼침각(θ2)이다.
다음으로 보관이나 휴대를 위해서 접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도 7의 (a)),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접는다(도 7의 (b)).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내부로우측의 제1 돌테(124)의 사이로] 쏙 들어간다.
다음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8의 (a)),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접으면 받침대가 모두 접힌다(도 8의 (b)).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접히면 제2 돌테(134)와 제1 돌테(124)가 서로 접촉하여서 깔끔한 외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용 받침대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0a :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면 110b :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면
111 :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114 : 테두리
114a : 측변 테두리 114b : 하단 테두리
115 : 베이스 보강살 116 : 보강살 안착홈
θ1 : 제1 펼침각 θ1m : 제1 최대펼침각
120 : 제1 서포트 플레이트
120a : 제1 서포트 플레이트의 내면 120b : 제1 서포트 플레이트의 외면
121 : 제1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단 122 : 제1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단
124 : 제1 돌테 125 : 제1 보강살
θ2 : 제2 펼침각 θ2m : 제2 최대펼침각
130 : 제2 서포트 플레이트 130a : 제2 서포트 플레이트의 내면
130b : 제2 서포트 플레이트의 외면 132 : 제2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단
134 : 제2 돌테 135 : 제2 보강살
141 : 스토핑부
150 : 제1 힌지
151 : 제1 힌지 하부 브라켓 152 : 제1 힌지 상부 브라켓
153 : 제1 힌지핀 154 : 제1 너트
160 : 제2 힌지
161 : 제2 힌지 하부 브라켓 162 : 제2 힌지 상부 브라켓
163 : 제2 힌지핀 164 : 제2 너트
10 : 의자 11 : 시트부
12 : 등받이부 13 : 목받침

Claims (5)

  1. 시트부(11)와 등받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10)에 놓여져서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을 받쳐주기 위한 의자용 받침대(100)로서,
    하단이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이용자의 상반신 배면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을 받치고 있는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접히는 경우에는 내면(110a,120a)이 서로 접촉되도록 안쪽으로 완전히 접힐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면(110a)과 서프트 플레이트(120,130)의 내면(120a,130a)이 의자를 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면(110b)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외면(120b,130b)이 이용자를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으로 펼쳐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유지하여 제1 최대펼침각(θ1m)보다 더 큰 각도로 펼쳐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과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이 서로 접촉되어서 펼침 동작이 스토핑됨으로써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이 유지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111) 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서포트 플레이트(120,130) 간의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설정하기 위한 스토핑부(14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펼침각(θ1m)은, 120 ~ 160 도의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하나 이상의 제2 힌지(160)에 의해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어느 하나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의 다른 하나의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져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을 받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30)에 제2 힌지(160)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의 타측이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되며,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는 서로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제2 힌지(160)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져서 이용자의 상반신의 배면과 밀착되어서 이용자의 신체의 배면을 받치고 있으며,
    상기 제1 힌지(15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는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으로 펼쳐져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의자(10)의 시트부(11)에 지지되고, 상기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의자(10)의 등받이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상반신 체중이 제1,2 서포트 플레이트(120,130)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가 제1 최대펼침각(θ1m)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와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제2 최대펼침각(θ2m)을 유지하여서 이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서포트 플레이트(120)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순차 적층되도록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받침대.
KR1020200033990A 2020-03-19 2020-03-19 의자용 받침대 KR10238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990A KR102381128B1 (ko) 2020-03-19 2020-03-19 의자용 받침대
PCT/KR2021/003167 WO2021187832A1 (ko) 2020-03-19 2021-03-15 의자용 받침대
US17/802,521 US20230120809A1 (en) 2020-03-19 2021-03-15 Support for chair
CN202180017945.2A CN115243585A (zh) 2020-03-19 2021-03-15 椅子用支撑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990A KR102381128B1 (ko) 2020-03-19 2020-03-19 의자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588A KR20210117588A (ko) 2021-09-29
KR102381128B1 true KR102381128B1 (ko) 2022-03-30

Family

ID=7777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990A KR102381128B1 (ko) 2020-03-19 2020-03-19 의자용 받침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20809A1 (ko)
KR (1) KR102381128B1 (ko)
CN (1) CN115243585A (ko)
WO (1) WO202118783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23577Y (zh) 2007-12-14 2008-10-01 杨丽霞 一种两用椅
JP2016005508A (ja) 2014-06-20 2016-01-14 博志 山田 座椅子
JP2018023861A (ja) * 2017-11-15 2018-02-15 直久 松永 腰痛防止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540A (en) * 1887-04-05 Max bussack
US4679848A (en) * 1985-02-11 1987-07-14 Spierings Petrus A M Back support mechanism and method
KR200234068Y1 (ko) 2001-03-19 2001-10-08 성용기업 주식회사 허리보조받침부를 구비한 의자
KR100887592B1 (ko) 2008-11-20 2009-03-10 이병열 허리보호를 의한 받침부재를 구비한 의자
KR20180009104A (ko) * 2016-07-18 2018-01-26 이두형 좌식의자
KR101750887B1 (ko) * 2016-11-29 2017-06-26 서준석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NO343283B1 (en) * 2017-06-06 2019-01-14 Knut Einar Kopperud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23577Y (zh) 2007-12-14 2008-10-01 杨丽霞 一种两用椅
JP2016005508A (ja) 2014-06-20 2016-01-14 博志 山田 座椅子
JP2018023861A (ja) * 2017-11-15 2018-02-15 直久 松永 腰痛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832A1 (ko) 2021-09-23
CN115243585A (zh) 2022-10-25
KR20210117588A (ko) 2021-09-29
US20230120809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187B2 (en) Sleepy head's/neck pillow invention
US3469882A (en) Piece of furniture
CA2169250C (en) Sofa bridge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JP2001224467A (ja) 折り畳み可能なクッション付き椅子
CA2345603A1 (en) Chair with synchronously moving seat and seat back
KR102381128B1 (ko) 의자용 받침대
KR200485063Y1 (ko) 접이식 의자의 목받침 구조
CN212878554U (zh) 一种组合式沙发
CN210748268U (zh) 一种多功能的组合沙发
CN212243368U (zh) 一种标准型乘客座椅
CN208941381U (zh) 一种可躺式办公椅
CN107616641A (zh) 婴儿座椅
KR20130080120A (ko) 공간절약 접이식 3인용 책상의자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KR200440799Y1 (ko) 등받이소파
CN205524269U (zh) 一种火车休息座椅
CN215271694U (zh) 儿童多功能小桌椅
CN106617832A (zh) 可折叠的便携式餐椅
CN216059873U (zh) 一种办公椅
CN216702070U (zh) 一种方便手包、肩包存放的椅子
CN207754888U (zh) 一种可用作手提箱的椅子
CN215604420U (zh) 一种功能沙发
CN213720932U (zh) 一种多用组合式靠背椅
CN213786398U (zh) 一种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