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800B1 -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 Google Patents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800B1
KR102380800B1 KR1020210059590A KR20210059590A KR102380800B1 KR 102380800 B1 KR102380800 B1 KR 102380800B1 KR 1020210059590 A KR1020210059590 A KR 1020210059590A KR 20210059590 A KR20210059590 A KR 20210059590A KR 102380800 B1 KR102380800 B1 KR 10238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board
enclosure
coaxial cab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713A (ko
Inventor
박두현
Original Assignee
박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현 filed Critical 박두현
Priority to KR102021005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수전반 및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에서 고압용 전기의 수전 또는 배전을 위하여 설치되는 설비이다. 본 발명의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은, 외함과 도어와 구동부와 무선인식 태그와 중계부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부는 제1 고정구와 동축케이블과 제2 고정구와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안테나는 상기 동축케이블에 의해 하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SWITCHBOARD WITH SMART REMOTE CONTROL DOORS}
수전반 및 배전반(수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고압용 또는 특별고압용 전기의 수전 또는 배전을 위하여 해당 기계기구들이 설치되는 설비이며, 본 발명은 특히, 스마트한 원격제어 도어를 구비하는 수전반 및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전반 및 배전반은 내부의 고압용 인입구 개폐기, 차단기 등의 기계기구를 관리자만 취급할 수 있도록 금속제 함으로 격납 보호된다. 수전반 및 배전반은 고압과 그에 따른 대전류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전반 및 배전반을 취급하는 작업자는 안전 수칙에 따라 개폐기나 차단기를 조작하거나, 작업과 유지관리를 수행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154009호(2012.05.31)가 개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수전반 및 배전반에 근접하여 각종 계기류의 검침 결과를 기록하거나, 내부를 확인하거나, 단선, 단락, 지락 등의 사고 발생시 원인을 규명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한 기계기구를 교체하거나 하는 때에 도어를 열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수전반 및 배전반에 구비된 많은 개수의 도어들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모든 도어들을 열기 위하여 키 묶음이나 키 박스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도어에 대한 해당 키를 찾거나 해당 키를 찾아 일일이 각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스마트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을 제공하여서 작업자에게 작업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배전반의 기계기구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외함에 결합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도어에 기계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외함 또는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접속되며 외부 장치의 명령에 따라 도어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무선인식 태그와, 상기 무선인식 태그와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무선인식 리더 간의 신호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부는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의 내 측면을 관통하며, 내부가 중공인 볼트 형상의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을 관통하는 동축케이블과, 상기 외함 또는 도어의 일 면의 외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의 일 면을 관통한 상기 제1 고정구와 상기 동축케이블을 상기 제1 고정구와 쌍을 이루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 형상의 제2 고정구와, 상기 외함의 내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 단과 결합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외함의 외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 단과 결합하는 제2안테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외함의 내/외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에 의해 하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축(126a)을 포함하는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제1축(126a)의 몸체 위쪽에 경사진 비탈을 갖는 왕복축캠(126c1)이 형성되고,
수직막대 형상의 몸체(127a)로서, 상기 왕복축캠(126c1)에 하단(127c)이 맞닿아 접촉하고, 상단에는 슬립평판(127b)이 부착된 작동자(127)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이 상기 도어(120)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축(126a)과 함께 상기 왕복축캠(126c1)이 수평이동(a01)하면, 상기 왕복축캠(126c1)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a1)을 일으키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에는 그 아래로 수직막대 형상을 취하는 몸체(167a)를 갖는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가 고정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은 금속 파이프에 쌓이고, 중간에 시소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요소(170)가 구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천공된 관통 홀에 개재되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을 이루고,
상기 외함(110) 외부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의 타단에는 표식요소(175)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는 그 하단이 상기 작동자(127) 슬립평판(127b)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슬립평판(127b)의 상면은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밀면서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슬립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표식요소(175)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표식지지대(175a) 및 상기 표식지지대(175a)에 고정되는 표식(175b)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자(127)의 하단에는 롤러(127c1)가 구비된다.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은 도어 상태를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고, 원하는 도어만을 선택적으로 원격제어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든 도어들을 단번에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조작 및 관리와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전반 및 배전반 접촉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전 선로의 상태를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무선 전송함으로써,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자동화 제어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원 투입 전에 배전 선로의 상태를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무선인식 시스템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이나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a는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신호중계부의 작동 원리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신호중계부의 예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무선인식 태그의 예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5a는 다른 예시의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또 다른 예시의 블록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신호중계부의 예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9는 작동 원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에서, 스마트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은 하나 이상의 도어(120)를 구비하는 외함(110), 구동부(130), 무선인식 태그(140), 및 신호중계부(160)를 포함한다. 도어(120)는 구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도어(120)를 원격제어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b에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은 하나 이상의 도어(120)를 구비한다. 수전반 및 배전반(100)을 정면에서 볼 때 중앙부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도어(120)는 닫혀 있고, 왼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도어(120)는 개방되어 있다.
왼쪽의 개방된 도어(이하, 제1 도어라고 한다)(120)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제1 도어(120)는 내부 공간에 기계기구들이 배치되는 외함(110)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외함(110)에 결합된다. 제1 도어(120)의 일면에는 잠금 장치(125)가 결합된다. 잠금 장치(125)의 일단은 제1 도어(120)의 키 조립체(121)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구동부(130)에 결합된다. 구동부(130)는 외함(110) 내부에 부착된다.
잠금 장치(125)는 구동부(130)의 회전 운동, 직선 왕복 운동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축과, 제1축의 이동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경우, 제1축의 일단은 구동부(130)에 결합하고, 제2축의 일단은 도어(120)의 키 조립체(121)에 결합된다. 제2축의 왕복 운동은 키 조립체(121)를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키 조립체(121)는 외함(110)에 닫힘 상태로 결합하거나 열림 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30)로부터 잠금 장치(125)를 통하여 제1 도어(120)에 소정의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면, 잠금 장치(125)의 일단에 결합된 키 조립체(121)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1 도어(120)* 열리거나, 제1 도어(120)가 닫히면서 키 조립체(121)가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은 금속성 외함(110)이 무선인식 통신을 차단함에도 불구하고 수전반 및 배전반(100) 내부에 위치한 태그와 수전반 및 배전반(100) 외부에 위치한 리더 간에 무선인식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은 구동부(130)에 접속되는 무선인식 태그(140)를 구비한다. 무선인식 태그(140)는 리더의 명령에 의하여 기저장된 정보를 출력하고, 리더의 명령에 의하여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예컨대, 도어제어신호)를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무선인식 태그(140)는 동축케이블(150)을 의하여 구동부(13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인식 태그(140)는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금속성 외함(110)에 의하여 리더와의 통신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은 도어(120)나 외함(1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도어(120)나 외함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 연장 배치되는 신호중계부(160)를 구비한다. 신호중계부(160)는 무선인식 태그(140)와 리더 간의 통신 거리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중계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신호중계부(160)는 제1안테나(162), 제2안테나(164), 및 배선(166)을 구비한다. 신호중계부(160)는 수전반 및 배전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인식 태그와 수전반 및 배전반 외부에 위치하는 무선인식 리더가 금속성 외함에 의하여 통신 방해를 받지 않고 서로 전자기 유도 결합하도록 배전함(또는 수전함)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 실시례에서 제1안테나(162)와 제2안테나(164)는 각각 자체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제1 및 제2안테나들(162, 164)은 배선(166)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배선(166)은 제1 및 제2안테나들(162, 164)의 각 루프 안테나가 하나의 큰 폐쇄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신호중계부(160)의 제1안테나(162)는 무선인식 태그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배전함 내측에 배치되고, 제2안테나(164)는 무선인식 리더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배전함 외측에 배치된다. 제1안테나(162)는 통신 거리의 제한으로 인하여 무선인식 태그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신호중계부(100)의 각 부분의 형상이나 치수, 안테나의 루프 수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진 주파수, 임피던스 매칭, 커플링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신호중계부(160)는 인쇄회로기판, 플라스틱 기판, 가요성 시트, 절연성 필름 등과 같은 베이스 기재상에 도전성 패턴이 인쇄 또는 에칭 방식으로 패터닝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식 태그(이하, 간단히 태그라고 한다)(140)와 무선인식 리더(이하, 간단히 리더라고 한다)(200)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신호중계부(160)의 작동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인식 태그(140)는 장치 본체(145), 및 이 장치 본체(145)에 연결되는 안테나(148)를 구비하고, 리더(200)는 무선인식 태그에 대한 리더(reader) 및/또는 라이터(writer)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본체(202), 및 이 장치 본체(202)에 연결되는 안테나(204)를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리더(200)로부터 태그(140) 측으로 신호가 전송되면, 리더(200)의 신호가 외함에 의해 차단되어 태그(140)로 직접 전달되지 못한다. 하지만, 신호중계부(160)의 제2안테나(164)에는 리더의 안테나(204)에서 송출된 전자파와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 유도 전류는 배선(166)을 통하여 제2안테나(164)로부터 제1안테나(162)로 전달되고, 전달된 유도 전류는 제1안테나(162)에서 전자파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자파는 소정의 신호로서 배전함 내부의 태그(140)의 안테나를 통해 그 제어부에 수신된다.
유사하게, 태그(140)로부터 리더 측으로 신호가 송출되면, 태그(140)의 신호는 외함에 의해 차단되어 리더로 직접 전달되지 못한다. 하지만, 신호중계부(160)의 제1안테나(162)에는 태그의 안테나(도 4의 158 참조)에서 송출된 전자파와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 유도 전류는 배선(166)을 통하여 제1안테나(162)로부터 제2안테나(164)로 전달되고, 전달된 유도 전류는 제2안테나(164)에서 전자파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자파는 소정의 신호로서 수전반 및 배전반 외부의 리더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수전반 및 배전반의 금속성 외함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신호중계부(160)를 통하여 태그(140)와 리더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신호중계부의 좀더 구체적인 일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중계부(160a)는 제1안테나(162a), 제2안테나(164a), 동축케이블(166a), 및 결합요소(j)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요소(j)는 고정구(168)가 그 일 실시례가 될 수 있다.
제1안테나(162a)는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와이어를 구비한다. 제1안테나(162a)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양단은 제1 커넥터(161)에 연결된다. 제2안테나(164a)는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와이어를 구비한다. 제2안테나(164a)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양단은 제2 커넥터(163)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안테나(162a, 164a)의 루프 안테나들은 동축케이블(166a)에 의하여 하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동축케이블(166a)은 도 2에서 설명한 배선(166)에 대응될 수 있다.
동축케이블(166a)은 수전반 및 배전반의 일부분 예컨대 도어의 소정 부분을 관통하며 고정구(188)에 의하여 도어에 고정 결합된다. 동축케이블(166a)은 고정구(188)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그 각각의 양단부에는 제1안테나(162a)의 제1 커넥터(161)와 결합되는 커넥터(미도시)와 제2안테나(164a)의 제2 커넥터(163)와 결합되는 또 다른 커넥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a의 무선인식 태그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인식 태그(140)는 저장부(142), 제어부(144), 출력부(146), 및 안테나(148)를 구비한다.
저장부(142)는 수전반 및 배전반이나 해당 도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2)는 마이크로 칩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4)는 저장부(142)에 연결되며, 수전반 및 배전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장치(리더)와 통신하며 저장부(142)에 저장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44)는 통신 처리, 메모리 액세스, 전력 변환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회로부로서, 수신 신호의 판독, 사용자 인증, 데이터 기록, 및 작동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4)는 리더측의 명령에 따라 소정 패턴 및 소정 레벨의 전압 또는 전류 신호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46)를 제어한다. 제어부(144)는 저장부(142), 및/또는 출력부(146)와 함께 단일 직접회로 칩(145a)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인식 태그(140)의 직접회로 칩(145a)은 도 2의 장치 본체(145)에 대응될 수 있다.
출력부(146)는 리더측의 명령에 따라 도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146)는 제어부(144)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6)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46)에서 출력되는 도어 제어 신호는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구동부를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때, 구동부는 도어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도록 토글(toggle) 방식 또는 전진/후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안테나(148)는 제어부(144)에 연결되며, 중계부를 통하여 리더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44)로부터의 신호를 리더측으로 송출한다.
한편, 무선인식 태그(140)의 안테나(148)가 구동부 내의 안테나(미도시)와 전자기 유도 결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 경우, 구동부는 자체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작동스위치 또는 전원스위치를 온오프 또는 전진/후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자체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인식 태그(140)와 구동부는 구동부의 전원스위치의 활성화 또는 작동을 유도하는 접점에 무선인식 태그(140)의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이 인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무선인식 태그(140)는 구동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a)은 하나 이상의 도어(120a)를 구비하는 외함(110a), 구동부(130a), 및 무선인식 태그(140a)를 구비한다. 도어(120a)는 구동부(130a)의 동작에 의해 개폐된다.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a)은 도어(120a)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130a)와 도어(120a)의 외측에 설치된 무선인식 태그(140a)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도어(120a)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수전반 및 배전반(100a)의 하나 이상의 도어(120a)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b의 일 실시례로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a)은 적어도 세 개의 도어들(120a)을 구비한다. 수전반 및 배전반(100a)을 정면에서 볼 때 세 개의 도어(120a)는 닫혀 있다. 중앙의 닫혀진 도어(120a)를 제2 도어라고 할 때, 제2 도어(120a)의 외측 상단부에는 무선인식 태그(140a)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부(도 1b의 130 참조)는 제2 도어(120a)의 내측 또는 수전반 및 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무선인식 태그(140a)는 도 4에 도시한 무선인식 태그(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무선인식 태그(140a)에서 출력되는 도어 제어 신호는 무선인식 태그(140a)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 예컨대 동축케이블(150a)을 통해 구동부로 전달된다. 동축케이블(150a)은 제2 도어(120a)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수전반 및 배전반(100a) 외부로부터 내부에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르면, 수전반 및 배전반(100a) 외부에 설치된 무선인식 태그(140a), 무선인식 태그(140a)의 도어제어신호를 수전반 및 배전반(100a) 내부의 구동부에 전달하는 동축케이블(150a), 및 도어(120a)의 키 조립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조작하는 구동부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수전반 및 배전반의 도어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즉, 수전반 및 배전반 외부에 위치하는 무선인식 리더를 사용하여 수전반 및 배전반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 또는 모든 도어를 닫힘 또는 열림 모드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b)은 하나 이상의 도어(120b)를 구비하는 외함(110b), 구동부(130b), 및 무선인식 태그(140b)를 구비한다. 도어(120b)는 구동부(130b)의 동작에 의해 개폐된다.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b)은 도어(120b)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부(130a) 및 무선인식 태그(140a)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도어(120b)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수전반 및 배전반(100b)의 도어(120b)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례로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b)은 적어도 세 개의 도어들(120b)을 구비한다. 수전반 및 배전반(100b)을 정면에서 볼 때 세 개의 도어(120b)는 닫혀 있다. 중앙의 닫혀진 도어(120b)를 제3 도어라고 할 때, 제3 도어(120b)의 외측 상단부에는 구동부(130b) 및 무선인식 태그(140b)가 설치된다.
무선인식 태그(140b)는 도 4에 도시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무선인식 태그(140b)에서 출력되는 도어제어신호는 무선인식 태그(140b)와 구동부를 접속하는 배선 예컨대 동축케이블(150b)을 통해 구동부(130b)로 전달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수전반 및 배전반(100b)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30b)와 무선인식 태그(140b)로서, 도어(120b)의 키 조립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조작하는 구동부(130b), 및 구동부(130b)에 도어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무선인식 태그(140b)에 의하여 도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작업자가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 내부의 각종 계기류의 검침 결과를 확인하거나 개폐기나 차단기를 조작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도어(120)를 원격제어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때와 관련하여 편의를 위하여 진보된 실시례를 알아본다.
작업자는 도어(120)를 원격제어하여 개방을 하게 되는데, 관리하여야 할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이 수많이, 다수 제공되어 있을 때에 설령, 특정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관리를 수행하가 위하여 관련 목록을 가지고 도어제어신호를 송출했다고 하더라도, 현장의 수많은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 중에서 도어제어신호를 보낸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과 일치하는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도어(120)를 바로 발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때가 있다. 특히, 관리자가 바뀌거나 현장에 다수의 작업방해요소가 있는 경우 생각보다 많은 곤란함을 갖게 된다.
역으로, 작업수행을 완료한 후에 작업현장으로부터 철수할 때에, 다수의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도어(120)의 잠금상태를 일일이 확인하기는 많은 노력, 시간 및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모든 도어(120) 잠금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하기 위한 수단, 방법을 필요로 한다.
더하여, 많은 현장의 작업을 집중하여 수행하다 보면 어느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의 도어(120)를 잠그고 어느 도어(120)를 잠그지 않았는지를 망각하거나, 각 도어(120)마다 그 개폐 여부를 확신하지 못 할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각 도어(120)의 잠금(또는 개폐)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전기적인 신호의 구축을 통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전기적인 신호과정을 장기간 또는 혹독한 환경에서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류, 기능부작동 등의 발생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도어(120) 개폐를 가장 확실하게 확신할 수 있도록, 도어(120) 개폐에 따라 필연적으로, 자연스럽게 작동하게 되는 기계, 물리적인 방법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b에서,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잠금장치(125)는 구동부(130)의 회전운동, 직선으로 왕복하는 운동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왕복운동(이동, 동작)하는 왕복축(126)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왕복축(126)은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1축(126a)과, 상기 제1축(126a)의 이동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는 제2축(126b)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왕복축(126)은 운동매개요소(126c)를 갖는다. 도 9에서, 상기 왕복축(126)의 왕복운동(a0)은 다른 추가된 구성요소에 필연적으로 물리(기계)적인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다.
도 9 A의 예시는 상기 제1축(126a)의 몸체에 상기 운동매개요소(126c)가 구비되는 경우이다. 여기에서, 상기 운동매개요소(126c)는 경사진 비탈을 갖는 왕복축캠(126c1)이 상기 제1축(126a) 몸체의 위쪽에 형성되는 방법으로 제공된다. 다음, 상기 왕복축캠(126c1)에는 하단(127c)이 맞닿아 접촉하고 상단에 슬립평판(127b)이 부착된, 기립된 수직막대 형상의 몸체(127a)를 갖는 작동자(12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126a)과 함께 상기 왕복축캠(126c1)이 수평이동(a01)하면, 필연적으로 상기 왕복축캠(126c1)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작동자(127)를 위로 밀거나 중력의 영향으로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여서,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a1)을 일으킨다. 이때, 상기 작동자(127)의 하단에는 상기 왕복축캠(126c1)과의 마찰을 줄여서 스무스한 작동을 보장하도록 회전축 및 롤러(127c1)를 구비하여 회전축에 롤러를 축결합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부착(또는 결합)은 접착, 용접, 플렌지결합, 브라킷을 통한 결속, 나사/볼트 조임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직접 연장하여 동체로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9 B의 예시는 상기 제2축(126b)에 상기 운동매개요소(126c)가 구비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제2축(126b)이 작동하였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바, 상기 제2축(126b)의 왕복운동(a02)(a02)은 도 1b 예시처럼 키 조립체(121)를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키 조립체(121)는 외함(110)에 닫힘 상태로 결합하거나 열림 상태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120)의 잠금, 잠금의 해제 상태를 확실하게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도 9 B에서, 상기 운동매개요소(126c)는 상기 제2축(126b)의 몸체로부터 일단이 수평하게 연장(또는 부착)되어 배치되는 수평막대 형상의 축연장막대(126c2)로 제공된다. 다음, 상기 축연장막대(126c2)의 타단에는 대략 수직으로 기립되게 연장되는 작동자(127)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자(127)는 수직막대 형상의 몸체(127a) 상단에 슬립평판(127b)을 구비하고 그 하단은 상기 축연장막대(126c2)의 타단 위쪽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2축(126b)의 상하방향 수직운동을 따라 이와 함께 상기 축연장막대(126c2)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필연적으로 상기 축연장막대(126c2)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작동자(127)도 동일하게 상하로 움직이는 수직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함께, 추가되는 구성에 관하여, 또한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이 어떻게 도어(120)의 개폐상태를 표현하게 되는 지를 알아본다.
도 7에서, 상기 작동자(127)의 상단에는 저면이 고정되어 제공되는 슬립평판(127b)이 구비된다. 외함(11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안테나(162a)와 연결되는 동축케이블(150)의 일단에는 그 아래로 기립된 수직막대 형상을 취하는 몸체(167a)를 갖는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가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상단은 상기 동축케이블(150)의 일단 아래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50)은 그 몸체의 허리가 굽지 않도록 금속 파이프와 같은 단단한 표피에 쌓이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그 몸체의 중심에 시소 또는 레버(seesaw or lever)처럼 회전축요소(170)를 갖는다.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는 그 하단이 상기 작동자(127) 슬립평판(127b)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립평판(127b)의 상면은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밀면서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슬립이 가능하도록 미끄럽게 제작된다.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에는 질량이 큰 납과 같은 부재로 되어 무게추의 역할을 하는 질량체(167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질량체(167b)의 역할은 상기 작동자(127)가 하향할 때에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가 동시에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질량체(167b)의 하단은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 역할을 대신하며, 미끄럽게 상기 슬립평판(127b)의 수평방향으로 슬립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질량체(167b) 외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몸체(167a)에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120)에 타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sp)을 초기 텐션을 주어서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자(127)가 하향하게 될 때에 상기 인장스프링(sp)의 탄성인력으로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를 도어(120)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스프링(sp)과 상기 질량체(167b)는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함께 사용되어 상호 보완작용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150)의 상기 회전축요소(170)와 관련하여 관통된 구멍(통로)를 갖는 스피어(sphere, 球) 형상의 스피어축(171b)이 구비된다. 도 7의 예시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50)은 그 몸체의 중간이 상기 스피어축(171b)의 구멍을 관통하여 개재되어 있다. 또한, 스피어축받이(171a)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어축받이(171a)는 상기 스피어축(171b)의 외주변과 대응하는 내주변을 갖고 상기 스피어축(171b)의 외주변을 감싸서 시소(또는 레버)의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어축받이(171a)의 내주변에 의해 상기 스피어축(171b)의 외주변이 축받이 된 후, 상기 스피어축(171b)에 중심이 끼워져 구비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50)의 양단(일단과 타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자유로이 시소(레버)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스피어축받이(171a)는 횡단면으로 절단된 상태로 양분되게 만들어진 후 상기 스피어축(171b)을 개재시킨 후에 상기 양분된 양자를 서로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시소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피어축과 상기 스피어축받이의 접촉면에는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요소(j)의 다른 실시례로서, 스피어축(171b)과 상기 스피어축을 축받이 하는 스프이축받이(171a)의 조합이 제공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50)은 상기 회전축요소(170)를 통하여 상기 도어(120)의 소정 부분을 관통한다. 즉, 상기 동축케이블은 그 중간이 상기 스피어축(171b)에 개재되며, 상기 스피어축(171b)은 상기 스피어축받이(171a)에 축결합되고, 상기 스피어축받이(171a)는 상기 도어(120)의 소정 부분에 천공된 관통 홀에 개재시켜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50)이 상기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100)의 도어(120)에 축결합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표식요소(175)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식요소(175)는, 상기 외함(110) 외부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150)의 타단에 고정되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표식지지대(175a)와 상기 표식지지대(175a)의 단부에 고정되는 표식(175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동축케이블(150) 단부의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의 표식지지대(175a)가 예시되어 있다.
도 1b, 도 7 및 도 8과 함께 다음은, 상술한 구성이 구비된 후의 작동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b에서 잠금장치(125)가 구동부(1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하는 왕복축(126)을 가지며, 상기 왕복축(126)은 제1축(126a)과, 상기 제1축(126a)의 이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왕복하는 제2축(126b)으로 구성된다. 도 9에서 상기 왕복축(126)의 왕복 직선 운동에 따라 작동자(127)는 수직이동(a1)을 수행한다. 도 8은 상기 작동자(127)의 수직이동(a1)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는 하향 수직이동을 예시한다. 도 8에서 상기 하향 수직이동(a1)에 따라 상기 외함(110) 내부에서는, 상기 작동자(127) 상단의 슬립평판(127b)에 접촉하는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의 상기 질량체(167b)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또는 초기 텐션이 주어진 상기 인장스프링(sp)의 끄는 힘에 의하여, 상기 스피어축(171b)을 중심 회전축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50)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을 따라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에 고정된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가 하향(a2)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162a)도 하향하므로 상기 무선인식 태그(140)와 접촉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 및 거리를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상술한 작동에 따라서, 상기 외함(110) 외부에서는 반대로 상기 스피어축(171b)을 중심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단이 시소(또는 레버)처럼 상향(a3)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동시에, 상기 동축케이블(150)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안테나가 상향(a3)하게 되는데, 이를 작업자가 관찰하면서, 도어(120)의 잠금여부(개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식요소(175)가 구성되어 함께 상향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식요소(175)의 표식은 반사표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3M에서 제공하는, 관찰각도에 따라 반사율 또는 반사하는 색상이 달라지는 반사표지를 적용하면, 상기 동축케이블의 회전을 따라 상기 표식요소(175)가 상향하거나 하향할 때에 상기 반사율 또는 상기 반사하는 색상이 달라지므로, 보다 용이하게 외부에 도어(120)의 개폐, 잠금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어서 신속, 정확하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는 작업전에 잠금해제된 도어(120)를 용이하게 찾아가거나, 작업후에 상기 도어(120)의 잠금여부를 확인시에 원거리에서 그 여부를 한 눈에 확실하게 파악 가능하여 잠금이 안 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 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10: 외함 120: 도어 130: 구동부 140: 무선인식 태그 160: 신호중계부

Claims (1)

  1. 배전반의 기계기구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외함에 결합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도어에 기계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외함 또는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접속되며 외부 장치의 명령에 따라 도어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무선인식 태그와, 상기 무선인식 태그와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무선인식 리더 간의 신호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부는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의 내 측면을 관통하며, 내부가 중공인 볼트 형상의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을 관통하는 동축케이블과, 상기 외함 또는 도어의 일 면의 외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의 일 면을 관통한 상기 제1 고정구와 상기 동축케이블을 상기 제1 고정구와 쌍을 이루어 상기 외함 또는 상기 도어 일 면에 고정 결합하는 너트 형상의 제2 고정구와, 상기 외함의 내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 단과 결합하는 제1안테나와, 상기 외함의 외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 단과 결합하는 제2안테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외함의 내/외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에 의해 하나의 폐쇄 루프를 형성하되,
    일단이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축(126a)을 포함하는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제1축(126a)의 몸체 위쪽에 경사진 비탈을 갖는 왕복축캠(126c1)이 형성되고,
    수직막대 형상의 몸체(127a)로서, 상기 왕복축캠(126c1)에 하단(127c)이 맞닿아 접촉하고, 상단에는 슬립평판(127b)이 부착된 작동자(127)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이 상기 도어(120)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축(126a)과 함께 상기 왕복축캠(126c1)이 수평이동(a01)하면, 상기 왕복축캠(126c1)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상기 작동자(127)의 상하 수직운동(a1)을 일으키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에는 그 아래로 수직막대 형상을 취하는 몸체(167a)를 갖는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가 고정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은 금속 파이프에 쌓이고, 중간에 시소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요소(170)가 구성되어 상기 도어(120)의 천공된 관통 홀에 개재되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을 이루고,
    상기 외함(110) 외부에 위치하는 동축케이블의 타단에는 표식요소(175)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는 그 하단이 상기 작동자(127) 슬립평판(127b)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슬립평판(127b)의 상면은 상기 케이블수직연장요소(167)의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밀면서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슬립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표식요소(175)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표식지지대(175a) 및 상기 표식지지대(175a)에 고정되는 표식(175b)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자(127)의 하단에는 롤러(127c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KR1020210059590A 2018-08-07 2021-05-07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KR10238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90A KR102380800B1 (ko) 2018-08-07 2021-05-07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14A KR102278270B1 (ko) 2016-10-26 2018-08-07 스마트 수배전반
KR1020210059590A KR102380800B1 (ko) 2018-08-07 2021-05-07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14A Division KR102278270B1 (ko) 2016-10-26 2018-08-07 스마트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713A KR20210057713A (ko) 2021-05-21
KR102380800B1 true KR102380800B1 (ko) 2022-03-30

Family

ID=6344375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14A KR102278270B1 (ko) 2016-10-26 2018-08-07 스마트 수배전반
KR1020210059590A KR102380800B1 (ko) 2018-08-07 2021-05-07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KR1020210069602A KR102422835B1 (ko) 2018-08-07 2021-05-29 지능형 수배전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14A KR102278270B1 (ko) 2016-10-26 2018-08-07 스마트 수배전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02A KR102422835B1 (ko) 2018-08-07 2021-05-29 지능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78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153B1 (ko) * 2018-08-07 2022-07-27 전금옥 스마트 제어 배전반
CN113894605B (zh) * 2021-09-24 2023-06-02 珠海格力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安全控制装置及方法
KR102505782B1 (ko) * 2022-03-24 2023-03-06 주식회사성광기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접지 불량에 따른 지락사고 예방을 위한 배전반의 전기 안전 시스템
CN116388019B (zh) * 2023-06-05 2023-08-29 牧铭智能制造(山东)有限公司 一种抗爆型母线槽插接开关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997B1 (ko) * 2010-06-30 2012-11-28 한국신기술 주식회사 버스바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진단하는 유비쿼터스형 배전반
KR101154009B1 (ko) * 2010-06-30 2012-06-21 한국신기술 주식회사 스마트한 원격제어 도어가 적용된 유비쿼터스형 배전반
KR101670283B1 (ko) * 2014-11-21 2016-10-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101920933B1 (ko) * 2016-10-26 2018-11-21 박경희 지능형 원격제어 수배전반
KR102078353B1 (ko) * 2016-10-26 2020-02-19 주식회사 셀시스템 스마트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KR20180091797A (ko) * 2018-08-07 2018-08-16 박두현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270B1 (ko) 2021-07-16
KR102422835B1 (ko) 2022-07-19
KR20210067997A (ko) 2021-06-08
KR20210057713A (ko) 2021-05-21
KR20180091796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800B1 (ko) 지능형 수전반 및 배전반
KR101920933B1 (ko) 지능형 원격제어 수배전반
KR101154009B1 (ko) 스마트한 원격제어 도어가 적용된 유비쿼터스형 배전반
MX2013012084A (es) Modulo de sello electronico de pasador reutilizable con sistema de comunicaciones y rastreo por sistema de posicionamiento global/telefono celular.
CN104898532A (zh) 用于检测电活动的电活动传感器设备以及电活动监视装置
BRPI0712669A2 (pt) dispositivo de vigiláncia de posição de uma parte móvel de um aparelho elétrico interruptor
KR102389952B1 (ko) 지능형 제어 수배전반
KR102426153B1 (ko) 스마트 제어 배전반
KR102078353B1 (ko) 스마트 도어를 구비한 배전반
KR20180091797A (ko) 배전반
CN201147038Y (zh) Rfid实时监控文物金属柜
KR102032559B1 (ko) 수배전반
JP2011259690A (ja) Icタグを用いた制御機器の操作状態検出装置
KR20180122577A (ko) 지능형 배전반
JP5340492B1 (ja) Icタグを用いた制御機器用の操作状態検出装置、回転スイッチ機構、及び検出アダプター
CZ281801B6 (cs) Zařízení pro uložení čidla
EP2393100B1 (en) Portable actuator assembly
KR20190001436U (ko) 도어락 장치
US7436304B1 (en) Evidence tracking
RU2307401C2 (ru) Электронное запорно-блок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9520007B2 (en) Remotely operable lockout system
CN214069349U (zh) 一种基于rfid的接地线管理装置
CN210508702U (zh) 一种定位防拆电子标签
JPWO2017149622A1 (ja) 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検出システムの操作具、検出システムの機構
JP7437954B2 (ja) ロック状態検出装置及びロック状態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