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94B1 -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94B1
KR102379994B1 KR1020190131216A KR20190131216A KR102379994B1 KR 102379994 B1 KR102379994 B1 KR 102379994B1 KR 1020190131216 A KR1020190131216 A KR 1020190131216A KR 20190131216 A KR20190131216 A KR 20190131216A KR 102379994 B1 KR102379994 B1 KR 10237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chid
callus
antioxidant
shrimp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512A (ko
Inventor
김동명
윤종성
한인석
Original Assignee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훠리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9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난초 난꽃 줄기의 조직절편을 배양조건이 형성된 캘러스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캘러스 형성을 유도하고, 배양된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캘러스 추출 및 분리방법을 통하면 적은 수량의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를 가지고도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들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ABT(Affinity Bid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여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에 관련된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피부 친화력이 향상된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Antioxidative and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kin affinitive ingredients extracted from the flower stem of orchid callus}
본 발명은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고, 유도된 캘로스로부터 항산화, 황노화성 추출물을 추출하여 피부 친화성이 높은 유효성분들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구성하는 잎, 줄기, 뿌리 등 그 일부만을 이식하여도 전체 개체가 다시 형성되는 형성능(totipotency)이 뛰어나다. 식물세포는 식물의 조직으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말하는데, 캘러스는 정상적인 기관형성이나 조직분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잃은 무정형의 조직 또는 세포덩어리로서,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옥신(Auxin)과 싸이토카인(Cytokines)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거나 식물체에 상처를 내거나 또는 식물체의 절편을 옥신으로 처리하였을 때 생긴다.
이러한 캘러스는 식물조직 배양기술을 통하여 잎, 줄기, 뿌리, 근경, 열매 등 식물의 어느 부분에서도 유도될 수 있으며, 계대배양에 의해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식물 조직배양 기술의 기본 원칙은, 모든 식물 조직은 그 조직이 유래되는 전체 식물을 건설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생물학적 사실을 이용한다. 이 전형성능은 동물의 배아줄기세포의 다분화성과 비교가능하다. 그러므로 식물 조직이 피부 줄기 세포의 보호 및 활성화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의 성질을 이용한 조직배양을 통한 미분화 세포덩어리인 캘러스 배양을 이용한다면 우수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닌 원료 소재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난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30만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 유효성분들은 식물조직의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차적으로 생산되어 식물조직과 그의 세포내에 특수한 장소에 축적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생화학적 혹은 생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미생물이나 외부 동물들로부터 식물체 자신을 방어하거나 생리활성 면에서 유리한 물질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새우난초속은 한국, 일본, 대만, 호주 등의 열대, 아열대 및 온대지역에 약 18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생지는 제주도와 남부도서 일부지역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중부 이북지역도 자생지로 보고되고 있다. 새우난초는 난과 새우난초속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이 지고 난 줄기의 모양이 새우의 등처럼 골이 지고 굽었다하여 새우난초라 명명되어졌고 아름답고 향이 좋은 꽃을 피우고, 꽃의 색 또한 개체마다 다른 특징을 보여 정원 또는 화분에 식재 후 감상하거나 꽃꽂이 등의 원예용으로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다.
또한 난초과는 관상용의 원예 식물일 뿐만 아니라 의학적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난초과에 속하는 덴드로비움 종(Dendrobium spp.)의 항산화 효과, 자란 종(Bletilla striata spp.)의 항산화, 미백 및 항암 효과, 천마(Gastrodia elata spp.) 종의 신경보호 작용 등 많은 연구가 되어있다. 뿌리는 마비 및 골절 뼈 결합 치료, 잎은 종기, 만성질환, 현기증, 화상 치료 등의 민간요법에 사용되며 약리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들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고 과학적 데이터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식물체의 조직 캘러스는 식물체 조직에 상처가 났을 때 상처의 조직세포가 분열 능력을 회복하여 상처를 막고 비대하여 지는 조직으로,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옥신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방법 등에 의해 생기는 특수한 조직덩어리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캘러스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4차 산업혁명을 예고하는 스마트 팜(smart farm) 등의 최첨단 시설에서 대량생산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난초류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고 상기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조한 예는 전무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노화, 항산화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의 캘러스 내의 유효성분들이 항산화, 항노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의 대량 증식을 위한 캘러스 조직배양 및 배양된 캘로스로부터 피부 친화력이 높은 유효성분만을 분리하여 함유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을 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14509호(공개일 2018.10.18)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01538호(공개일 2011.01.0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로부터 캘러스 조직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캘러스를 유도하고 그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에 관련된 유효성분들을 추출하여 이를 함유하는 피부 친화적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BT(Affinity Bead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여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에 관련된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피부 친화력이 높은 항산화, 항노화 활성만을 기대할 수 있는 피부 친화적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종래에 식물 또는 조직으로부터 얻어진 자칭 천연 추출물들 대부분이 유효성분 이외에도 피부 독성과 자극 또는 부작용을 심각하게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은 새우난초 난꽃 줄기의 조직절편을 배양조건이 형성된 캘러스 유도용 배지로 배양하여 캘러스 형성을 유도하고, 배양된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피부 친화적인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캘러스 유도용 배지는 MS배지(Murashige and Skoog Medium)를 기본배지로 하고, 옥신, 싸이토카인 및 생장호르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는 정제수를 가한 다음 초음파 처리(Hwashin Tech, Daegu, Korea)한 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시켜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용매를 제거시킨 후 동결 건조하는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캘러스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상기 캘러스 추출물을 마그네틱 비드가 분산된 콜로이드용액에 넣고 상기 캘러스 추출물의 특정성분이 비드와 결합하게 한 다음 자기장을 이용하여 비드를 분리시키는 ABT(Affinity Bead Technology) 기술을 적용시켜 피부 친화도가 높은 항산화, 항노화성에 관련된 유효성분만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캘러스 추출을 통해 적은 수량의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를 가지고도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들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ABT(Affinity Bid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여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피부 친화도가 높은 항산화, 항노화에 관련된 유효성분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높은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MS Spectrum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ABT(Affinity Bid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들과 공통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0.5%의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2: 10% SLS을 함유한 조성물)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의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의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은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조직절편을 캘러스 배양에 적합한 배양조건이 형성된 캘러스 유도용 배지에서 배양하여 캘러스 형성을 유도하고, 배양된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여기서,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는 새우난초에서 피는 난꽃과 연결된 줄기를 말하며, 꽃대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캘러스 유도용 배지는 MS 배지(Murashige and Skoog Medium)를 기본배지로 하고, 옥신 및 싸이토카인의 생장호르몬을 포함한다.
<실시예 1>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 제조
무균처리한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를 최대한 작은 크기로 절취하여 MS 기초배지(Murashige and Skoog 1962, Duchefa 사, Cat No. M0221)에 Sucrose 40.0 g/L, Hyponex 3.0 g/L, Pepton 4.0 g/L, Banana powder 35.0 g/L, Charcoal 2.0 g/L , Agar 5∼10.0 g/L, NAA 0.1∼1 mg/L 및 BA 0.01∼0.1 mg/L를 함유한 pH 5.5∼6.0, 바람직하게는 pH 5.7∼5.8의 MS 고체배지에 치상하였다. 약 20∼25주가 경과된 후, 배지에 치상된 절취된 난꽃 줄기에서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상기 유도된 캘러스를 액체질소 상에서 곱게 갈아서 분말화 하였다.
<실시예 2>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의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 추출 및 분석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 분말 70g을 취해 4배의 정제수를 가한 후 1시간 음파 처리(Hwashin Tech, Daegu, Korea) 후 24시간 이상 동일한 분말 양으로 7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로 여과시켜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Heidolph, Schwabach, Germany)하여 에탄올 용매를 제거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분말은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10mg/mL 농도로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의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분말을 대상으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이 있는지 MS Spectrum을 이용하여 검사본 결과, gallic acid, 4-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Coumaric acid, Ferulic acid 이렇게 총 7가지의 유효성분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참고)
<실시예 3>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의 추출물로부터 피부 친화성 유효성분 분리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의 추출물로부터 피부 친화성 유효성분들의 획득은 ABT를 적용하여 분리한다.
성분 분리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순서대로 진행하는데, 우선 마그네틱 비드가 분산된 콜로이드 용액에 추출물 샘플을 넣고 특정 성분만 비드와 결합시킨다(A). 그리고, 시험관에 자기장을 걸어 비드를 한 곳에 분리하고 추출물의 상층액을 빼내어 비드만을 분리한 후에(B), 분리한 비드에 세정 버퍼액을 적가하고 세적하여 성분을 분리한다(C). 마지막으로 성분이 분리 되면 상등액은 빼낸다(D).
여기서, 비드는 도 3에 나와 있는 항산화, 항노화에 관한 유효성분들만 분리하여 샘플을 제조하였으므로 각 분자들의 공통점인 카복실기, 페놀기에 친화적인 비드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하기에서는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의 피부 안전성 및 피부 진정성,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을 함유한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시험
피험자 50명(평균연령 35세, 연령분포 20세-50세)을 대상으로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피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시험부위인 상박 부위를 1차 증류수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정제수(음성 대조군), 정제수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난초 캘러스 추출물을 0.5 중량%로 함유한 조성물, 및 정제수에 SLS(Sodium Lauryl Sulfate)를 10중량%로 함유한 조성물(양성대조군)을 각각 25 ㎕씩 핀 챔버에 적하시킨 후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일반적으로, 10% SLS가 피부에 닿을 경우, 붉게 부풀어올라 피부자극실험시 양성대조군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48시간 동안 피부에 첩포를 적용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자극도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자극도 = {[(+-)수x1] + [(+)수x2] + [(++)수x3]} ÷ 피험자수
시료 피험자수 판정 자극도 비고
++ + +- --
10% SLS 50 10 28 10 2 1.92
0.5% 샘플 50 0 0 1 49 0.02
* 판정기준 : (-)홍반이나 특이현상 없음, (+-)주위보다 약간 붉음, (+)주위보다
매우붉음, (++)주위보다 심하게 붉고 자극적이며 부풀음
도 4는 피험자 50명의 실험결과 중 무작위로 선별한 5명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정제수 자체만을 실험한 결과는 자극도 0으로 나타나 상기 표 1이나 도 4에는 따로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실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을 용매에 0.1, 0.5, 1, 5mg/mL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10 μL씩 분주하고 200 μM DPPH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190 μ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에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550 nm에서 Biotrak Ⅱ Plate reader (Amersham Life Science, Buckinghamshire, UK)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Quercetin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준비된 샘플Ⅰ∼Ⅳ 모두 60.2%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quercetin은 0.5, 1, 5 mg/mL 농도에서 43.9%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샘플Ⅰ∼Ⅳ는 0.1, 0.5, 1.0, 5.0 mg/mL의 모든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quercetin과 비교하여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희석액 샘플들은 0.5 mg/mL 농도에서 약 최고 9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관찰되었다.(도 5 참고)
<실험예 3> 총 페놀 함량 시험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의 총 페놀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총 페놀 함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을 사용하였다. 0.1% 샘플 (50 μL), DW (1.65mL), 100 L Folin-Denis 시약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혼합하고 5분 후 1 N Na2CO3 200 μL 를 추가한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그리고 750 nm에서 Spectronic Genesys 5 (Milton Roy Company, New York,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얻은 표준 곡선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표 2]에 gallic acid equivalents per gram extracts (mg GAE/g)로 나타내었다.
Samples Total phenolics contents(mg GAE/g)
33.7±0.2
37.6±0.5
46.2±0.2
55.9±0.3
그 결과 세 번의 반복 시험을 통해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샘플 Ⅲ는 46.2±0.2mg GAE/g, 샘플 Ⅳ는 55.9±0.3mg GAE/g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샘플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비례하여 상관성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들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항산화능을 입증하는 총 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피부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험예 4> 영양크림의 피부 진정효과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적용 시 피부 자극 완화 효과(피부 진정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40대 남여 20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완화 시험을 하였다.
영양크림은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일실시예로서,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 1.0, 0.5, 0.1, 0.05 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안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자극원으로 일반적으로 SLS처럼 피부 진정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많이 사용되는 5.0% 락틱산(L-lactic acid)을 이용하고, 하기 제제예1의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 함유 영양크림에 첨가하여 10일간 사용하도록 하여, 락틱산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에 대한 완화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게 한 다음 자극 여부 및 강도를 설문지에 표시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의 평가는 1일 1회로 하였으며, 주관적 자극과 객관적 자극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물질(%) 주관적 자극 객관적 자극 합계
샘플 1.0 4 2 6
0.5 3 2 5
0.1 2 1 3
0.05 1 - 1
락틱산 5.0 45 27 72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이 1.0% 함유된 조성물이 5% 락틱산에 의해 유발된 피부 자극의 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 및 분리된 샘플은 상대적으로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Sucrose 40.0 g/L, 시판되는 식물영양제 Hyponex 3.0 g/L, Pepton 4.0 g/L, Banana powder 35.0 g/L, Charcoal 2.0 g/L, Agar 5∼10.0 g/L, 생장조절제 NAA 0.1∼1 mg/L와 BA 0.01∼0.1 mg/L를 함유한 pH 5.7∼5.8의 MS 고체배지에 무균처리한 새우난초 난꽃 줄기의 조직절편을 배양하여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 형성을 유도한 다음 유도된 캘러스를 액체질소 상에서 갈아서 분말화하고,
    상기 새우난초 난꽃 줄기 캘러스 분말 70g에 4배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1시간 초음파 처리(Hwashin Tech, Daegu, Korea)한 후 24시간 이상 동일한 분말 양으로 7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모아 여과지로 여과시켜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Heidolph, Schwabach, Germany)하여 에탄올 용매를 제거시킨 후 동결 건조하는 방법으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캘러스 추출물을 추출하며,
    상기 캘러스 추출물에 마그네틱 비드가 분산된 콜로이드용액에 넣고 상기 캘러스 추출물에 포함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이 비드와 결합하게 한 다음 자기장을 이용하여 비드를 분리시키는 ABT(Affinity Bead Technology) 기술을 적용시켜 항산화, 항노화성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31216A 2019-10-22 2019-10-22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379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16A KR102379994B1 (ko) 2019-10-22 2019-10-22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216A KR102379994B1 (ko) 2019-10-22 2019-10-22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12A KR20210047512A (ko) 2021-04-30
KR102379994B1 true KR102379994B1 (ko) 2022-03-29

Family

ID=7574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16A KR102379994B1 (ko) 2019-10-22 2019-10-22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9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68B1 (ko) * 2009-05-25 2009-12-14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78B1 (ko) * 2006-02-24 2008-04-04 (주)에이티젠 양친매성 화합물을 이용한 자성 나노복합체 및 이를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81059B1 (ko)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605B1 (ko) * 2011-12-02 2018-07-04 (주)아모레퍼시픽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685808B (zh) 2017-04-10 2021-06-11 百岳特美肤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使用兰花愈伤组织萃取物于制备一护肤组合物的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68B1 (ko) * 2009-05-25 2009-12-14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12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1486T2 (de) Antiproliferative zubereitungen
Meher et al. A review on: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raditional uses of Tamarindus indica L
Moneruzzaman Khandaker et al. Bioactive constituen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ree cultivars of wax apple (Syzygium samarangense L.) fruits
Sahu et al. Quisqualis indica Linn: A review of its medicinal properties
Pathala et al. A review on gambhari (Gmelina arborea Roxb.)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Misle et al. Maqui [Aristotelia chilensis (Mol.) Stuntz]-the amazing chilean tree: A review
AL-Ghudani et al.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ot crude extracts of Adenium obesum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bone dislocations and rheumatism
García-Cruz et al. Cultivation, quality attributes, postharvest behavior, bioactive compounds, and uses of Stenocereus: A review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wiecień et al. Cultivation of Hypericum Perforatum (St. John’s Wort) and biotechnological approaches for improvement of plant raw material quality
Dhakar et 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of Limonia acidissima: a review
KR102379994B1 (ko) 새우난초의 난꽃 줄기 캘러스로부터 추출한 항산화, 항노화성 추출물을 피부 친화적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용 조성물
Singh et al. Phytochemistry and medicinal uses of moringa oleifera: an overview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ekha et al. Cultivation prospects of endangered species Celastrus paniculatus Willd.
Kulhari et al. Survey, collection and conservation of Commiphora wightii (ARN.) Bhandari-an important medicinal plant heading towards extinction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ikolic et al. Assaying the variation in secondary metabolites of St. John’s wort for its better use as an antibiotic
Barno Study of the Effect of Common Flavanoids of the Medicinal Plant Mavrak (Salvia Officinalis) on Cellular Processes
KR101291460B1 (ko) 섬오갈피나무의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hmed et al.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oe Barbadensis Miller Gel Extract from Ghardaia, Algeria
Ikram et al. Medicinal use of endangered plant Commiphora wightii
KR20180006824A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