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747B1 -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747B1
KR102379747B1 KR1020210030765A KR20210030765A KR102379747B1 KR 102379747 B1 KR102379747 B1 KR 102379747B1 KR 1020210030765 A KR1020210030765 A KR 1020210030765A KR 20210030765 A KR20210030765 A KR 20210030765A KR 102379747 B1 KR102379747 B1 KR 10237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infection control
target area
result
contro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립
전현재
김소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세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세이프
Priority to KR102021003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며, 감염관리 대상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 수집하고,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 및/또는 관리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Objective Area}
본 발명은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 등 전염병의 원내 교차 감염(cross infection)으로 한해 800억 원 이상의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교차 감염은 의료기관, 요양시설, 어린이집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public use facilities)에서의 감염관리(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미흡으로 발생한다.
감염관리에 있어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현장 실태조사, 감염 관리 수행 인력에 대한 지도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감염관리에 관한 지속적인 감시체계 및 교육 과정의 부재로 체계적인 감염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다중이용시설이 자체적으로 감염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통합적으로 구축된 감염관리 평가 기준 또는 시스템이 부재해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감염관리가 제대로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502343호 (2012.01.26)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며, 감염관리 대상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 수집하고,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 및/또는 관리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과정;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분석 결과 및/또는 상기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및/또는 상기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평가 결과 및/또는 상기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proposal)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및/또는 상기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proposal)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전평가계획은, 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되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상기 평가 기준, 상기 평가 리스트 및 상기 사전평가계획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전수집부; 상기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하고, 상기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는 평가계획 수립부; 상기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지역의 감염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며, 감염관리 대상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 수집하고,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평가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감염관리의 감시 기능을 전산화하여 감염관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감염관리의 결과로서 분석 보고서 및/또는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피드백과 유의하여야 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되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평가 기준, 평가 리스트 및 사전평가계획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염관리 현황에 적응적으로 감염관리를 수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여러 측면에 따른 감염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감염관리 수행 전의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고,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전평가계획에 포함되는 평가 기준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 결과 및 분석 결과를 기초로 산정한 평가 결과를 분석 보고서의 형태로 제공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감염관리에 대한 단계적 관리가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감염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보고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염관리를 수행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염관리를 수행한 평가 결과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열람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2, 제1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의 감염관리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중이용시설(public use facilities)에서의 감염관리(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감염관리 장치 및 방법은 미생물이 증식하거나 전파될 수 있는 모든 환경(예: 냉장/냉동고 내부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감염관리에 한하여 적용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인터페이스(interface)는, 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는 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웹 페이지 등은 물론, 각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예: 웹 페이지 또는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시스템(10)은 감염관리 장치(infection management device, 100), 점검자 인터페이스(inspector interface, 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14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감염관리 시스템(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감염관리 시스템은 감염관리 장치, 점검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와 통신 가능하고 한 감염관리 IOT 장치(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IOT device,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감염관리 시스템(10)을 장치로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감염관리 시스템은 각 구성(100 내지 140)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염관리 장치(100)는 사전수집부(pre-collection unit, 102), 평가계획 수립부(evaluation process planning unit, 104), 모니터링부(monitoring unit, 106), 분석부(analysis unit, 108), 평가부(evaluation unit, 110), 사용자 제공부(user provider, 112) 및 갱신부(update unit, 11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하나,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사전수집부(102)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감염관리 대상영역이란 감염관리 시스템이 감염관리를 수행하는 영역으로, 하나 이상의 영역(도 1의 제1 영역 내지 제n 영역, n은 1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염관리 대상영역은 치과인 경우 감염관리 대상영역은 대기실, 데스크, 진료실, 처치실, 수술실, X-ray 실, 상담실, 화장실 등의 영역으로 분류 가능하다. 감염관리 대상영역과 관련하여 결정, 생성 또는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이 분류되는 영역별로 결정, 생성 또는 수집될 수 있다.
현장 데이터란 감염관리 대상영역 현장에서 수집가능한 데이터이다. 현장 데이터에는 예컨대, 감염관리 시스템(10)에 의해 감염관리가 수행되기 전의 상태 정보로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청소 상태, 청소 주기, 구비된 장비 또는 도구(이하, "기구"), 창문/환풍구/배수구의 유무, 공기질, 기구의 표면 오염도,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관리자의 감염관리 교육 상태, 구비된 개인방호품(personal protective products) 상태 등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전수집부(102)는 각 인터페이스(120, 140)로부터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장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현장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음으로써 현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한하여 수집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점검자를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현장 배치한 후 점검자가 점검자 인터페이스(120)에 입력하는 데이터만을 현장 데이터로서 수집할 수 있다. 이로써 감염관리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현장 데이터 조작 내지 누락을 방지할 수 있고, 사전평가계획을 보다 정확히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가계획 수립부(104)는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대상지역의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한다. 평가계획 수립부(104)는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한다. 여기서 감염관리 레벨이란 감염관리 수행의 정도를 지정한 단계이다. 감염관리 레벨은 평가부(110)가 생성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갱신부(114)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예컨대, 감염관리 레벨의 갱신은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예: 사전평가계획의 평가 주기도래, 평가 기간의 도과 전/후 도래)하거나, 감염관리의 표준기준에 변경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평가 기준의 각 항목의 예시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감염관리 레벨 대상 체크 리스트 Documentation
Level 1 - 손위생/개인방호 80% 이상
- 중앙공급실프로세스 수행
80점이상(개인방호, 세척제,
CI/BI, 멸균일지 필수)
- 감염관리 위원회 구성
- 감염관리일반
- 손위생, 개인방호
- 중앙공급실프로세스
- 진료실 청결(직접진료실 안에서)
- 연간계획설명
- Level 1 설명
[모니터링]
- 표면 오염도 검사
- 멸균기 성능테스트
- 공기질 검사
- [1차 모니터링]
- 감염관리위원회구성표
- Level1 연간계획서
- 매뉴얼
[모니터링 후]
- 모니터링 결과
[종료시]
- 전체서류 파일화
Level 2 - 1단계 수행도 90% 이상
- 표면감염관리 일일관리 90% 이상
- 수관관리
- 일과 전/후 물빼기수행 90%이상
- 진료간물빼기수행 80% 이상
: 핸드피스, 스켈러, 3way 실린지
- 감염관리 위원회 구성
- 전년도 리뷰
- 표면관리,수관관리
- 연간계획설명
- Level 2설명
[모니터링]
- 표면 오염도 검사
- 멸균기 성능테스트
- 공기질 검사
[1차교육시]
- 감염관리위원회구성표
- Level2 연간계획서
- 매뉴얼 (리뉴얼시)
- Level2표면/수관관리 체크 리스트
[매 모니터링 후]
- 모니터링 결과
[종료시]
- 전체서류 파일화
Level 3 - 1단계 수행도90% 이상
- 2단계 수행도90% 이상
- 기계실 장비관리 문서화
- 감염관리 위원회 연간계획 수립 및 수행 문서화
- 수관세척, 수관모니터링포함
- 전년도 리뷰
- 에어로졸관리
- 수관세척
- MI 매뉴얼방법
- 기계실장비관리
- 인상체감염관리
- 기공물 감염관리
- Level 3 설명
[모니터링]
- 초음파세척기 내부 성능검사
- 수질모니터링
[1차교육시]
- 감염관리위원회 구성표
- Level3 연간계획서
- 매뉴얼(리뉴얼 시)
- Level3 표면/수관관리 체크 리스트
- Level3 일반환경관리 체크 리스트 (기계실/기공실/X-ray실)
- 외과수술 전/후 관리 체크 리스트
[매 모니터링 후]
- 모니터링 결과
[종료시]
- 전체서류 파일화
Level 4 [보건복지 인증평가에 준하는 수준]
- 1단계 수행도90% 이상
- 2단계 수행도90% 이상
- 3단계 수행도90% 이상
- 감염관리 위원회 연간 계획
- 모든장비 매뉴얼 및 감염관리 방법
- 문서화
평가계획 수립부(104)는 결정된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한다. 여기서 평가 리스트란 감염관리 대상영역을 감염관리하기 위한 평가 영역에 관한 리스트로, 각 평가 영역에는 평가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세분화되어 포함된다. 예컨대, 평가 리스트의 평가 영역에는 환경에 관한 감염관리, 표준주의 감염관리, 멸균기 성능, 기구의 표면 오염도,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공기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평가 기준이 관련된 각 평가 영역에 포함된다.
사전평가계획이란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감염관리 계획으로, 평가 리스트의 평가 기준이 포함된다. 감염관리에는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가 필요하므로 사전평가계획에는 평가 주기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평가 주기마다 수집된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부(108)의 분석과 평가부(110)의 평가가 수행된다.
또한 사전평가계획의 기초가 되는 현장 데이터의 변경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전평가계획에는 평가 기간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사전평가계획에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을 현장에서 점검할 점검자에 관한 정보(점검자의 감염관리를 수행할 능력, 감염관리를 수행한 연차 등)나 감염관리를 실제 수행할 수행 인력에 관한 정보(감염관리위원회의 구성, 교육 계획 등)가 더 포함되어 체계적인 감염관리가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부(106)는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한다. 평가 리스트의 문답은, 환경에 관한 감염관리로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영역 유형에 따른 체크 리스트의 문답,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대한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도, 멸균기 성능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구비되는 기구의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공기질 측정 결과 및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06)는 점검자가 점검자 인터페이스(120)에 입력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직접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등의 방식으로 평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06)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평가 데이터를 감사(auditing)할 수 있다. 감사란, 의심가는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이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06)는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며 어느 시간대에 어떤 작업들이 주로 발생하는지 등을 추적하고, 이상 작업의 발생 시 관련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분석부(108)는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분석은 예컨대, 평가 항목별 등급 분석,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분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 결과에는 평가 항목별 등급 분석 결과, SWOT 분석 결과, 분석 보고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08)는 각 평가 데이터가 평가 기준에 어느 정도로 부합하는지 그 부합의 정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분석은 기 설정된 평가 기준의 평가 테이블, 평가 수식 또는 평가 모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분석부(108)는 SWOT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거나 분석자의 자문 결과를 수신 또는 입력받는 등의 방식으로 SWOT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평가부(11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평가 결과는 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평가 영역별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평가부(110)는 환경감염관리 영역의 체크 리스트 문답을 수치화하여 환경 감염관리 점수를 생성하고, 해당 점수가 우수한지 여부, 개선되어야 하는지 여부 등에 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부(110)는 분석 결과의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부(110)는 분석 주기의 회차별 평가 결과를 누적하여 누적된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부(110)는 분석 결과를 수치화 및/또는 도식화하여 평가 결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송신할 수 있다.
평가부(110)는 분석 결과 및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 보고서에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를 의뢰한 사용자의 고객명(또는 식별자),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정보(현장 데이터, 분류된 영역 등), 점검자에 관한 정보(점검자의 감염관리를 수행할 능력, 감염관리를 수행한 연차 등), 평가 주기의 회차(또는 점검 일자)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분석 보고서에는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proposa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에는 예컨대, 분석 결과 보완되어야 할 감염관리 방식이 있는 경우(예: 손위생 등) 해당 감염관리 방식의 보완을 요청하거나, 다음 주기의 감염관리에 앞서 재교육을 제안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은 분석 결과 및 평가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초로 쿼리(query)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획득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쿼리는 예컨대, 환경감염관리의 각 체크 리스트의 문답 점수,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도, 멸균기 성능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구비되는 기구의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공기질 측정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산출되는 정규식(regular expression)일 수 있다.
사용자 제공부(112)는 평가 결과, 분석 보고서 및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는 쿼리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제공한다. 사용자 제공부(112)는 현장 데이터, 평가 데이터, 사전평가계획 및 분석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제공부(112)는 바람직하게는 평가 결과, 분석 보고서,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 현장 데이터, 평가 데이터, 사전평가계획 및 분석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의 권한에 따라 차별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제공할 수 있다.
갱신부(114)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되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한다. 갱신부(114)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평가 기준, 평가 리스트 및 사전평가계획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할 수 있다.
점검자 인터페이스(120)는 현장 데이터 및/또는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아 감염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예컨대,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점검자를 현장 배치한 후 점검자가 점검자 인터페이스(120)에 입력하는 현장 데이터 및/또는 평가 데이터를 각각 사전수집부(102) 또는 모니터링부(106)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감염관리 장치(100)로부터 평가 결과, 분석 보고서,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 현장 데이터, 평가 데이터, 사전평가계획 및 분석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감염관리 장치(100)가 요청하는 권한 검증을 수행하고, 수행된 권한 검증 결과에 따라 감염관리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평가 결과, 분석 보고서,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 현장 데이터, 평가 데이터, 사전평가계획 및 분석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신하거나 전술한 데이터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권한 검증 결과에 따라 허용된 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감염관리 장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 수집한다(S200).
감염관리 장치는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한다(S202).
감염관리 장치는,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한다(S204).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 생성한다(S206).
감염관리 장치는 사전평가계획에 기초한 감염관리 매뉴얼 또는 교육 자료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여 감염관리를 수행하는 인력의 교육을 장려할 수 있다(S208).
감염관리 장치는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한다(S210).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S212).
감염관리 장치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S214).
감염관리 장치는 분석 결과를 수치화 또는 도식화한 평가 결과 및/또는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한다(S216).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사전평가계획의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될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평가 기준, 평가 리스트 및 사전평가계획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한다(S218).
도 2에서는 과정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의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S208 단계, S216 단계 및/또는 S218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새로운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또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에 대응하는 매뉴얼 또는 교육 자료의 제공과정이 새로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보고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감염관리 장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를 의뢰한 사용자의 고객명(또는 식별자),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정보(현장 데이터, 분류된 영역 등), 점검자에 관한 정보(점검자의 감염관리를 수행할 능력, 감염관리를 수행한 연차 등), 평가 주기의 회차(또는 점검 일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초로 분석 보고서를 생성한다.
감염관리 장치가 평가 데이터를 수집한 후, 평가 데이터에 기초한 점검 총평을 입력받거나 점검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분석 보고서에 포함시킨다.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고, 평가 기준에 기초한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결과를 분석 보고서에 포함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환, 즉 분석 결과나 평가 결과를 수치화 또는 도식화하여 분석 보고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감염관리 장치는 각 평가 항목별로 평가 수행 결과 산정된 등급을 평가 결과로서 분석 보고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을 입력받거나 점검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분석 보고서에 더 포함시킨다.
감염관리 장치는 평가 결과나 평과 결과에 대한 제안 및/또는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제공은 사용자의 식별자(ID 등)별로 설정된 권한을 기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식별자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평가 결과, 평과 결과에 대한 제안 및/또는 분석 보고서의 공개 권한, 공개 기간, 공유 설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염관리를 수행한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감염관리 총평, 환경감염관리, 표준감염관리에 관한 평가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염관리 총평에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산출한 총점과, 총점에 기초한 코멘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감염관리 총평에는 총점, 총점에 기초하여 감염관리 수행의 우수 정도의 평가,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개선에 관한 제안이 포함된 코멘트가 포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환경감염관리에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각 영역(도 4의 대기실%데스크, 진료실, 중앙공급실, 방사선실, 기계실)별 평가 점수와 환경에 관한 감염관리 수행의 총점 및 우수 정도의 평가가 포함된다.
표준감염관리에는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각 평가 항목에 따른 회차별 그래프, 가장 최근 회차의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도 및 우수 정도의 평가가 포함된다.
그밖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멸균기 성능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구비되는 기구의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공기질 측정 결과 등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염관리를 수행한 평가 결과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기구의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로서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각 영역(도 5의 (a)의 "진료실")의 기구(도 5의 (a)의 "큐어링라이트")에 대하여 기준 오염도 대비 측정 오염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b)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영역별 공기질 측정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역별 공기질 측정 결과를 공기질을 측정할 평가 항목(PM2.5, PM10, Particles, CO2, HCHO 등)에 대하여 측정한 측정값과 해당 측정값에 대한 평가(좋음, 기준치 초과 등)를 영역별 테이블로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측정값 및 평가를 정리한 "결과" 콘텐츠 및 해당 결과에 대한 제안을 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의하여야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장치, 서버(server), 부(unit), 과정, 단계 등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 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 또는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톱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톱,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감염관리 시스템
100: 감염관리 장치
102: 사전수집부
104: 평가계획 수립부
106: 모니터링부
108: 분석부
110: 평가부
112: 사용자 제공부
114: 갱신부
120: 관리자 인터페이스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5)

  1.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과정;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류되고,
    상기 감염관리 레벨, 상기 평가 기준, 상기 평가 리스트, 상기 평가 데이터,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평가 결과 각각은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이 분류된 영역별로 결정, 생성 또는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평가계획은, 평가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주기마다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은,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영역 유형에 따른 체크 리스트의 문답,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대한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도, 멸균기 성능검사 결과,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구비되는 장비 또는 도구의 표면 오염도 검사 결과,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공기질 측정 결과 및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평가 항목별 등급 분석 결과 및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분석 결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분석 결과 및/또는 상기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및/또는 상기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및/또는 상기 분석 보고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proposal)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상기 제안은,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는 쿼리(query)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평가계획은, 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되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상기 평가 기준, 상기 평가 리스트 및 상기 사전평가계획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갱신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수집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사전평가계획에 기초한 감염관리 매뉴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감염관리 대상영역에 관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전수집부;
    상기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결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기준을 결정하고, 상기 평가 기준을 기초로 평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리스트를 포함하는 사전평가계획을 생성하는 평가계획 수립부;
    상기 사전평가계획에 따라 상기 평가 리스트의 문답을 상기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평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평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지역의 감염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및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는 쿼리(query)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제안(proposal)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사용자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지역의 감염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평가계획은, 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평가 기간 도과 후에 적용되는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새로운 감염관리 레벨을 기초로 상기 평가 기준, 상기 평가 리스트 및 상기 사전평가계획을 갱신하는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관리 대상지역의 감염관리 장치.
KR1020210030765A 2021-03-09 2021-03-09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KR10237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65A KR102379747B1 (ko) 2021-03-09 2021-03-09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65A KR102379747B1 (ko) 2021-03-09 2021-03-09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747B1 true KR102379747B1 (ko) 2022-03-29

Family

ID=8099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765A KR102379747B1 (ko) 2021-03-09 2021-03-09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7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2300A (ja) * 2007-10-26 2011-01-20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感染管理ソリューションの開発のための仮想現実ツール
JP2012502343A (ja) 2008-09-03 2012-01-26 ハイジネ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生習慣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511193A (ja) * 2008-12-08 2012-05-17 インフォノーツ インク. 疾病マッピングと感染制御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87795A (ko) * 2010-12-28 2012-08-0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환자 예방 건강 시스템 및 환자 가능화 조기 건강 및 예방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KR101779705B1 (ko) *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180133064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Iot 기반 지능형 감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2300A (ja) * 2007-10-26 2011-01-20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感染管理ソリューションの開発のための仮想現実ツール
JP2012502343A (ja) 2008-09-03 2012-01-26 ハイジネ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衛生習慣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2511193A (ja) * 2008-12-08 2012-05-17 インフォノーツ インク. 疾病マッピングと感染制御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87795A (ko) * 2010-12-28 2012-08-0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환자 예방 건강 시스템 및 환자 가능화 조기 건강 및 예방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KR101779705B1 (ko) *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180133064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Iot 기반 지능형 감염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dur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urkish version of"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in public hospitals in Turkey
Hodgen et al. Safety culture assessment in health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afety culture assessment modes
Drewe et al. SERVAL: a new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animal health surveillance
Manser et al. The German clinical risk management survey for hospitals: Implementation level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2015
Hoi et al. Determining nurse staffing needs: the workload intensity measurement system
Jeanes et al. Collecting the data but missing the point: validity of hand hygiene audit data
Schwendimann et al. Swiss nursing homes human resources project (SHURP): protocol of an observational study
Culley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ss casualty conceptual model
Sulistyawati et al. The implementation of 3S (SDKI, SIKI, SLKI) to The quality of nursing care documentation in hospital’s inpatient rooms
Dhaini et al. A longitudinal study on implicit rationing of nursing care among Lebanese patients–Study protocol
Cohen AAMI's benchmarking solution: analysis of cost of service ratio and other metrics
Hassan et al.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styles, employee’s well-being and employee’s safety behavior: an empirical evidence of COVID-19 from the frontline healthcare workers
KR102379747B1 (ko) 감염관리 대상영역의 감염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Minard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asthma record for primary care: integrating guidelines into practice
Kalp et al.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infection preventionists through competency, role, and activity self-assessment
Anand et al. Unsupervised home spirometry versus supervised clinic spirometry for respiratory disease: a systematic methodology review and meta-analysis
Vlayen et al. Evolu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Belgian acute, psychiatric and long-term care hospitals
Doloh et al. Factors affecting work performance among nurses in delivering health servic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tients at Dr. Moewardi Hospital, Surakarta
KR20110126319A (ko)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Fusco et al. Analysis of quality indicators of central sterile supply departments at accredited public hospitals
JP2023183726A (ja) 情報処理装置
La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hospital facility management: Literature review and a research methodology
Spetz et al. How can we obtain data on the demand for nurses?
Apisarnthanarak et al. National survey of environmental cleaning and disinfection in hospitals in Thailand
Dyson et al. A shortage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how would we kn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