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526B1 - Unit Chair - Google Patents

Uni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526B1
KR102379526B1 KR1020190114189A KR20190114189A KR102379526B1 KR 102379526 B1 KR102379526 B1 KR 102379526B1 KR 1020190114189 A KR1020190114189 A KR 1020190114189A KR 20190114189 A KR20190114189 A KR 20190114189A KR 102379526 B1 KR102379526 B1 KR 10237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ratchet
unit
teeth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2764A (en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26B1/en
Priority to JP2022516752A priority patent/JP2022549411A/en
Priority to US17/761,266 priority patent/US20220370277A1/en
Priority to EP20866600.8A priority patent/EP4032519A4/en
Priority to CN202080065058.8A priority patent/CN114423392A/en
Priority to PCT/KR2020/012344 priority patent/WO2021054685A2/en
Publication of KR2021003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7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26B1/en
Priority to JP2023199056A priority patent/JP2024023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 를 포함하고,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chair. In the unit chair including a link part for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head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part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fixable to the backrest part of the unit chair; a second link member whose one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with a first hinge pin;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 first ratchet member constraining the Including, The first ratchet member i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protru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having teeth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 a first ratchet base portion having an opposite surface fix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ooth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opposit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ratchet rotation portion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Description

유니트 체어{Unit Chair}Unit Chair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chair.

유니트 체어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등을 받치는 백레스트(등받침)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시트(다리받침)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머리받침), 수진자의 진료를 위해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공구를 거치하는 닥터 테이블이나 타구대, 급수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unit chair is a device for accommodating an examinee in a dentistry, etc., and generally includes a backrest (backrest) for supporting the examinee's back and a seat (legrest) for supporting the buttocks and legs.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headrest (headrest) for supporting the examinee's head, a doctor table or a cuspidor table, a watering table, etc. for holding dental tools such as a handpiece for the examinee's treatment.

상기 시트는 치과 진료 공간의 바닥면에 놓인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 및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시트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구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 is supported by a base plac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dental treatment space.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the seat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상기 백레스트는 상기 시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에 대하여 틸팅 동작을 할 수 있다. 백레스트를 전방으로 기립(起立)되도록 틸팅함으로써 상기 수진자를 앉은 상태로 만들고, 또한 백레스트를 후방으로 전도(顚倒)되도록 틸팅함으로써 상기 수진자를 누운 상태로 만들어 진료 상황에 맞는 수진자의 자세를 얻을 수 있다.The backrest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eat to perform a tilt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By tilting the backrest to stand forward, the examinee is placed in a seated state, and by tilting the backrest to be inverted backward, the examinee is placed in a lying state to obtain a posture suitable for the medical condition. can

상기 헤드레스트는 등받이의 상단에 형성되며, 진료의 목적이나 환자의 체형, 의료진의 편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진료의 상황을 살펴 보면, 의료진이 시술 공구를 한 손에 들고 있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거나, 수진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하중을 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The headres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reatment, the body type of the patie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medical staff. When looking at the situation of treatment that requires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headres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edical staff is holding the treatment tool in one hand, making it impossible to use both hands freely, or the examinee's head is applying a load to the headrest.

따라서, 상기 수진자가 머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헤드레스트의 각도 또는 자세 조절을 하려는 경우에는 별도의 버튼이나 레버 조작을 하지 않고, 한 손으로 헤드레스트를 가볍게 미는 동작 만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반대로 상기 수진자의 머리를 세우는 방향(역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하는 것은 별도의 버튼이나 레버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만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머리를 단단히 받치고 있는 편이 좋다.Therefore, when the examinee intends to adjust the angle or posture of the headre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xaminee bows or moves the head forward, the angle can be adjusted only by lightly pushing the headrest with one hand without operating a separate button or lever. it is preferable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aminee's head is erected (reverse direction) only when a separate button or lever is operated. Otherwise, it is better to firmly support the hea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역방향으로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조에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angle in only one direction and supports the examinee's head in the reverse direction.

또한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면서도, 상기 구조를 이루는 부품 간에 눌러 붙는 현상과 같은 부작용을 해결하고, 제작이 용이한 구조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guaranteeing durability,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posture of the headrest more precisely, solves side effects such as sticking between the parts constituting the structure, and is easy to manufacture.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만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어린이와 같이 매우 키가 작은 수진자를 포함한 다양한 키의 수진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the headrest that can take a posture corresponding to the body type of examinees of various heights, including very short examinees such as children, while adopt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can be adjusted only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정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되, 역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지지하는 구조의 내구성이 확보되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t chair in which the angle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supported when a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is applied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면서도, 그에 따른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of the headrest that can precisely adjust the posture of the headrest and solve the side effect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간소화하면서 사출 성형을 통한 제작이 용이한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a headres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while simplifying the number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니트 체어에 수용되는 다양한 키의 수진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a headrest that can take a postur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examinee of various heights accommodated in the unit chair.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관절의 운동 구속 상태를 독립적으로 해제 가능하면서, 일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2관절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of a two-joint headrest that can independently release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wo joints, and can adjust the angle in one dire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 를 포함하고,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unit chair including a link part for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head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ink part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fixable to the backrest part of the unit chair; a second link member whose one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with a first hinge pin;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 first ratchet member constraining the Including, The first ratchet member i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protru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having teeth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 a first ratchet base portion having an opposite surface fix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ooth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opposite surface may include a first ratchet rotation portion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또한,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고정되는 제3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3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링크부재가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2 래칫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link member having one end hinge-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a second hinge pin, the headrest being fixed to one surface; and the third link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and the third link member so that the third link member is rotatable only in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atchet memb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 및 상기 제1 해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lease unit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ratchet member; and a second release unit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first release unit and is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ratchet member.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칫부재는,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래칫부재의 상기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release part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ratchet member, wherein the first ratchet member includes a first ratchet base part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can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ccording to the meshing of the teeth and the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The first release unit may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first ratchet memb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elease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또한, 상기 제2 래칫부재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3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베이스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ratchet member, a plurality of the second ratchet members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and are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toothed teeth having a shape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opposite a second ratchet base having a surface fixed to the third link member; and a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eeth of the second ratchet base, and the opposite surface is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일면에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버튼에 외력 인가 시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release part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ratchet member, wherein the first release part is one out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a first button protruding from the side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and supported by a first elastic member,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are fixed to one surf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utton,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button It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member which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to space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from the first ratchet base part.

그리고,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 각각의 톱니는, 상기 각각의 톱니가 형성된 면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teeth of eac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may form an inclinatio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and 50 degrees or less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spective teeth are formed.

그리고, 상기 경사각은 45도일 수 있다.And,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45 degrees.

그리고,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수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수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 이상인 배수일 수 있다.And, any one of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may be a multiple of two or more of the other.

그리고,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수는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may be twice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그리고,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각인 간격을 이루며 환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may b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t equal an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member is restricted from motion by the first ratchet member, and is rotatable only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a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and the third link member is moved by the second ratchet member. Being constrained, the second link member may be rotatable on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abl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일면에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버튼에 외력 인가 시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elease unit, a second button protruding from one out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and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the second button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are fixed to one surface, and the second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It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 member that mov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to separate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from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외부 면 중,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선단이 되는 면은,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요입(凹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among the external surfaces of the second link member, a surface that becomes a tip when the second link member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is concave when viewed from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pin. can be formed with

그리고,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백레스트부에 고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가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에 닿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when the first link member is fixed to the backrest par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not the one end of the sea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in the on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ach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손으로도 유니트 체어의 헤드레스트의 정 방향 각도 조절은 자유롭게 가능하되, 역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of the unit chair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with one hand, b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that firmly supports when a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니트 체어에 수용되는 다양한 수진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면서도,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이루는 부품 간의 눌러붙음과 같은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djust the posture of the headrest in response to the body types of various examinees accommodated in the unit chair, while solving side effects such as sticking between parts constitut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headrest.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스프링이나 판스프링같은 복잡한 부품을 배제하여 부품 수를 간소화하면서, 사출 성형을 통한 제작이 용이한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of the headres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through injection molding while simplifying the number of parts by excluding complex parts such as a gas spring or a plate sprin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니트 체어에 수용되는 다양한 키의 수진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the posture of the headrest in response to the body shape of the examinee of various heights accommodated in the unit chair.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관절의 운동 구속 상태를 독립적으로 해제 가능하면서, 일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2관절 헤드레스트의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upport structure of a two-joint headrest capable of unidirectional angle adjustment while independently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wo joi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래칫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제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링크부재의 조립된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a) 및 우측면도(b)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링크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ratch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leas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a) and a right side view (b) for explaining the assembled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lin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second lin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ight side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igh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는 치과 진료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료 중에 수진자가 앉거나 눕는 장치이다. 유니트 체어(10)는, 진료 중 수진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체형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The unit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dental treatment space and allows the examinee to sit or lie down during treatment. The unit chair 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so that the examinee does not feel discomfort during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nit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의 다리가 거치되는 시트부(200) 및 수진자의 등이 기대어 지는 백레스트부(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unit chai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seat portion 200 on which the examinee's legs are mounted and a backrest portion 300 on which the examinee's back rests. include

또한, 상기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부(600),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700), 상기 백레스트부(3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0) 및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부(300) 및 상기 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수진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chair 10 includes a headrest part 600 for supporting the examinee's head, a base part 700 for supporting the seat part 200 , the backrest part 300 and the seat part 200 . ) may include a driving unit 400 for driving at least one and a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0 . An armrest on which an examinee's arm is mounte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ckrest unit 300 and the seat unit 200 .

또한, 상기 유니트 체어(10)는, 연계장치(Associated Device)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진자의 진료를 위한 시술 기구,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거나, 기구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진료 테이블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진자를 비추기 위한 조명유닛(미도시), 수진자의 입을 행구기 위한 가글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유닛(미도시), 콘트롤유닛(미도시),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 풋컨트롤유닛 (미도시, Foot Control Unit), 전원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chair 10 may include an associated devic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treatment table unit 800 having a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instrument, or holding a treatment instrument, treatment chart, and the like for the examinee's treatment. In addition, a lighting unit (not shown) for illuminating the examinee,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gargle water for rinsing the examinee's mouth, a control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not shown), a foot control uni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oot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시트부(200)는, 수진자의 엉덩이를 포함하는 하체에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시트부(200)는 베이스부(7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시트부(200)의 끝단에는 수진자의 발 부분을 지지하는 레그레스트(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시트부(200)에 결합된 레그레스트(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각도 및/또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The seat part 200 may be a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ody including the buttocks of the examinee. The seat part 200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part 700 . A leg res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examinee's foot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at 200 . The leg rest (not shown) coupled to the seat unit 200 may have an angle and/or distance adjusted as needed.

진료자 및 수진자의 편의를 위해, 유니트 체어(10)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For the convenience of medical practitioners and examinees, one part of the unit chair 10 may operate separately from other parts.

백레스트부(300)는, 수진자의 등(back)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의 상측에는 헤드레스트부(6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에 연결된 헤드레스트부(600)는, 필요에 따라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부(600)의 각도는, 전동 및/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백레스트부(300)는, 시트부(200) 및/또는 베이스부(7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ackrest part 300 may be a part in contact with the examinee's back part. A headrest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backrest unit 300 . The angle of the headrest unit 600 connected to the backrest unit 300 may be adjusted as needed. The angle of the headrest unit 600 may be electrically and/or manually adjusted. The backrest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seat part 200 and/or the base part 700 .

헤드레스트부(600)는, 수진자의 머리 부분과 접촉되는 헤드레스트(61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610)는, 머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오목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The headrest unit 600 may include a headrest 6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xaminee's hea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headrest 610 may be processed into a concave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ead.

암레스트는, 시트부(200) 또는 백레스트부(30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암레스트는, 수진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시트부(200)에 착석한 수진자의 양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armrest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art 200 or the backrest part 300 . The armres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both arms of the examinee seated on the seat 200 are naturally positioned so that the examinee can receive the examination in a stable posture.

진료테이블부(800)는, 유니트 체어(10)를 진료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각종 치과용 시술기구(Dental Instrumens)가 배치된 거치대(Cradle)일 수 있다. 진료 테이블부(800)에는 시술기구의 동작에 사용될 전기, 공압, 유압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된 전기로 시술기구 중 하나인 구강용 라이트를 점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treatment table unit 800 may be a cradle in which various dental instruments for using the unit chair 10 for treatment and/or treatment are disposed. At least one of electricity, pneumatic, and hydraulic pressure to b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surgical instrument may be supplied to the treatment table unit 800 .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supplied electric furnace can turn on the oral light, which is one of the surgical instruments.

진료 테이블부(800)는, 각종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시술자의 위치를 고려할 때 진료 테이블부(800)는 시술자가 손을 뻗어 쉽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진료 테이블부(800)에는 유니트 체어(10) 각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The treatment table unit 800 may include various switches.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the treatment table 800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ach with his or her hand. Accordingly, various switches capable of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unit chair 10 may be located in the treatment table unit 800 .

조명유닛(미도시)은, 시술자의 몸 등에 의하여 검진자의 구강 내부가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진자가 상체를 움직여 수진자 구강 내부를 검진하는 경우에 구강 내부가 어두워지지 않는 상방 위치에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lighting unit (not shown)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inside of the examinee's oral cavity is not covered by the operator's body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examinee moves the upper body to examine the inside of the examinee's oral cavity, this means that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can be positioned above the darkening.

조명유닛(미도시)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 밝기 및/또는 검진내용에 따라서 밝기의 조절 및/또는 파장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lighting unit (not shown) may emit different lights as needed.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brightness and/or the wave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and/or the contents of the examination.

일 실시 예로, 본원 발명의 링크부(900)의 작동에 의한 헤드레스트(610)의 자세 조절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유닛(비도시)의 조명의 광도를 제어부(100)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00 in response to the posture adjustment of the headrest 610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급수유닛(미도시)은, 검진자가 구강내부를 세척하는 등의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급수유닛(미도시)은, 배수장치 및/또는 침을 뱉는 타구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used for procedures such as clean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by the examinee. The water supply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drainage device and/or a spitting cuspidor.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은, 검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진자 구강 상태를 촬영한 X-ray 영상, 수진자 구강 내부를 촬영한 영상 등이 실시간으로 표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유닛(207)은 검진자가 피로를 덜 느끼도록 필요에 따라 상하좌우로 위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not shown)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examination. For example, it means that an X-ray image of the examinee's oral condition and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examinee's mouth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The position/angle of the display unit 207 may be adjusted up, down, left and right as needed so that the examinee feels less fatigue.

풋컨트롤유닛(미도시)은,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시술기구의 동작의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검진자는, 발로 풋컨트롤유닛(미도시)을 조작하여 시술기구를 제어하면서도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The foot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dental surgical instrument. The examinee can freely use both hands while controlling the surgical instrument by manipulating the foot control unit (not shown) with the foot.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 각 부분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 각 부분이 유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each part of the unit chair 10 . The control unit 100 may cause each part of the unit chair 10 to be organically operated.

제어부(100)는, 복수의 위치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800)에는 제1 제어부가 제어하고, 진료 테이블부(800)는 제2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제1, 2 제어부는 일방 또는 상방간 신호를 송신하여 유니트 체어(10)가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0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For example, the base unit 800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treatment table unit 800 may be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ler.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may transmit one-way or upward signals so that the unit chair 10 as a whole operates harmoniously.

제어부(100)는, 유니트 체어(10)의 연계장치(Associated Device)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800)에 제어부(100)가 위치하고 있을 때, 검진 시 베이스부(800)와 함께 사용되는 유니트 체어(10)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계장치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control unit 10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on the associated device of the unit chair 10 .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00 is located in the base unit 8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unit chair 10 used together with the base unit 800 during the examination. it means. For example, it means that an activation or deactivation control operation for the associated device can be performed.

전원부(미도시)는, 유니트 체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교류/직류전원에 대한 변환기 및/또는 각 구성요소에 적절한 전압/전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it chair 10 .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converter for AC/DC power and/or a voltage/current converter suitable for each compon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헤드레스트부(600)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610)와 상기 헤드레스트(610)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을 링크 연결하는 링크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rest unit 600 includes a headrest 610 that supports the examinee's head, and one end of the headrest 610 and the backrest unit 300 . It may include a link unit 900 for link-connecting the .

상기 링크부(900)는, 헤드레스트(610)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레스트(610)를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에 연결하고 수진자의 머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으면서, 진료시 편의에 따라 수진자 머리의 앞 뒤 방향으로 상기 헤드레스트(310)를 숙이거나 펴는 각도 조절 동작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31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자세 조절이 가능하다.The link unit 90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headrest 610 . That is, the headrest 6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300 and basically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n the examinee's head, while the headrest moves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examinee's head for convenience during treatment. An angle adjustment operation of bending or unfolding the 310 or a posture adjustment of moving the headrest 310 forward or backward is possible.

사용자(의료진)은 한 손으로 상기 헤드레스트(610) 잡고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각도 또는 자세 조절이 가능하다.A user (medical staff) can adjust the angle or posture by holding the headrest 610 with one hand and applying an external force.

이하 본 발명의 링크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900)는, 일련의 제1 링크부재(910), 제2 링크부재(920) 및 제3 링크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 the link unit 900 may include a series of first link members 910 , second link members 920 , and third link members 930 .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의 백레스트부(300)에 고정 가능하다. The first link member 910 is fixable to the backrest portion 300 of the unit chair 1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반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member 9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300 to be semi-permanently fix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일단의 삽입공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member 910 is formed to be long and may be slidably coupled to an insertion hole of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300 .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가 키가 큰 수진자를 수용해야 하는 경우, 헤드레스트(6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상기 일단과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unit chair 10 needs to accommodate a tall examinee, the first link member 910 slides the headrest 610 away from the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300 to a specific position. can be fixed to

상기 제1 링크부재(910)는, 상기 유니트 체어(10)가 키가 다소 작은 수진자를 수용해야 하는 경우, 헤드레스트(6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상기 일단과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link member 910 is slid so that the headrest 610 approaches the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300 when the unit chair 10 needs to accommodate a rather short examinee. can be fixed in position.

제2 링크부재(92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910)와 제1 힌지핀(911)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be hinge-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910 with a first hinge pin 911 .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와 제2 힌지핀(931)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hinge-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by a second hinge pin 931 instead of the one end.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610)가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headrest 610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third link member.

상기 링크부(900)는, 상기 제1 링크부재(910) 및 상기 제2 링크부재(9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래칫부재(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unit 9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atchet member 940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ink member 9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제1 래칫부재(940)는 상호 접촉하여 상호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두 개의 서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may include two sub-member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relative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두 개의 서브부재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일 수 있다.The two sub-members may be a first ratchet base part 941 and a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가스스프링이나 판스프링같은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래칫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헤드레스트부(30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urther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headrest part 300 by using a structure of a ratchet without using a structure such as a gas spring or a leaf spring.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구속할 수 있다.The first ratchet member 940 may constrain the mo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to a one-way rotational motion.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도 4의 아래쪽 '+' 모양의 중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도 4의 아래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In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the second link member 920 moves in one direction (in FIG. 4)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the center of the lower '+' shape in FIG. 4).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be constrained to be rotatable only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downward dotted arrow).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제1 래칫부재(94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include a release unit 960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

본 발명의 링크부(90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9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래칫부재(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unit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atchet member 950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he third link member 930 .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은, 구조적으로 상기 제1 래칫부재(94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be structurally form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을 일방향 회전 운동으로 구속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constrain the mo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to a unidirectional rotational motion.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도 4의 위쪽 '+' 모양의 중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도 4의 위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In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the third link member 930 moves in one direction (in FIG. 4)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the center of the upper '+' shape in FIG. 4). The movement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constrained to be rotatable only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upward dotted arrow).

제2 래칫부재(950)를 더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상기 해제부(96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at further includes a second ratchet member 950 , the release unit 960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to release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 It may be possible.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제1 링크부재(910) 및 상기 제2 링크부재(9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atchet member 94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ink member 9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9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he third link member 93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래칫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ratch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a) 및 그 일부의 확대도인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칫부재(940)는,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된 경사진 형상의 톱니들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and Fig. 5 (b),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thereof,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the second link according to the engagement of the teeth of the inclined shap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be restricted so that the member 920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

제1 래칫부재(940)는,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복수의 톱니로 각각 이루어진 두 개의 톱니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may include two tooth group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eth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상기 두 개의 톱니 그룹은, 도 5의 위쪽에 도시된 부품(941)에 형성된 톱니들(942)의 그룹 및 도 5의 아래쪽에 도시된 부품(945)에 형성된 톱니들(946)의 그룹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The group of two teeth means a group of teeth 942 formed in the part 941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5 and a group of teeth 946 formed in the part 945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5 . may be doing

제1 래칫부재(940)는, 상기 두 개의 톱니 그룹의 상호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The first ratchet member 940 is configured such that,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the two tooth groups,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be restricted.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50)과 동등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have a structure equivalent to that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50 .

제2 래칫부재(950) 또한,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된 경사진 형상의 톱니들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also moves the third link member 930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according to the engagement of the inclined teeth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constrained to be rotatable.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복수의 톱니로 각각 이루어진 두 개의 톱니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include two tooth group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eth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제2 래칫부재(950)는, 상기 두 개의 톱니 그룹의 상호 접속을 통해,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hird link member 930 can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the two tooth groups. Movement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restricted.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래칫부재(940)의 상기 두 개의 톱니그룹의 상호 접속을 해제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first release unit 97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releasing the interconnection of the two tooth groups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can be turned off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의 상기 두 개의 톱니그룹의 상호 접속을 해제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unit 98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releasing the interconnection of the two tooth groups of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can be turned off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래칫부재(940)는,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는 상호 접속될 경우 힘을 전달하는 클러치(clutch)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즉, One-Way-Clutch System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may include a first ratchet base part 941 and a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1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ortion 945 may form a clutch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force when interconnected. That is, a One-Way-Clutch System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2 래칫부재(950)는, 제2 래칫베이스부(951) 및 제2 래칫회동부(9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래칫베이스부(951) 및 제2 래칫회동부(955)는 상호 접속될 경우 힘을 전달하는 클러치(clutch) 구성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may include a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and a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5 .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5 may form a clutch (clutch)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force when interconnected.

제1 래칫베이스부(941)는, 그 일면에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9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1 링크부재(9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1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on one surface thereof,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942 may be formed. An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may be fixed to the first link member 910 .

제2 래칫베이스부(951)는, 그 일면에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9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3 링크부재(93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on one surface thereof, protrud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952 may be formed. An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may be fixed to the third link member 930 .

제1 래칫회동부(945)는, 그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의 톱니(942)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9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에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eth 946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ortion 945, at least a portion of which engag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eeth 942 of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1. An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may be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제2 래칫회동부(955)는, 그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의 톱니(952)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9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에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eth 956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ortion 955,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eeth 952 of the second ratchet base portion 951. An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may be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이와 같이 환형으로 배열된 톱니들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통해, 톱니의 수만큼 제1 래칫회동부(945)와 제1 래칫베이스부(941)가 상호 전달하는 힘 및 제2 래칫회동부(955)와 제2 래칫베이스부(951)가 상호 전달하는 힘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강한 힘으로 수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지며, 래칫부재들의 수명을 길게 하여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nnularly arranged teeth to mesh with each other, the force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ortion 955 that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and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1 transmit to each other by the number of teeth ) and the force transmitted between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may be distributed.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support the examinee's head with a stronger force, and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durability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ratchet members.

또한 제1 래칫회동부(945)와 제1 래칫베이스부(941)를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로 형성하여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재료 및 가공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945 and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1 of a synthetic resin-based material rather than a metal and manufacturing it through injection molding,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and processing costs.

상기 톱니(946) 또한 일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들(942, 946)의 각각의 빗면에 상호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나, 직각인 면에 상호 미는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제1 래칫회동부(945)의 상호 회전 또한 불가하다.The teeth 946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inclined only in one direction. Therefore, when a mutual force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eeth 942 and 946, sliding is possible, but when a mutual pushing force is transmitted to a perpendicular surface, sliding is impossible, so the first ratchet base part ( 941) and the mutual rotation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945 is also impossible.

일반적으로 톱니바퀴의 톱니는 회전하는 양 방향에 대응하여 빗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톱니들(942, 946, 952, 956)은 도 5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는 경사진 빗면이 형성되고, 타방향으로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teeth of the gear wheel are formed as inclined planes corresponding to both directions of rotation. However, the teeth 942, 946, 952, 956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plane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S. 5 (a) and (b), and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in the other direction. there is.

본 발명의 상기 직각은 기하학적인 의미가 아닌 실질적 의미에서의 직각을 의미할 수 있다.The right ang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right angle in a practical sense rather than a geometric meaning.

상기 경사진 빗면이 지나치게 완만할 경우, 래칫베이스부(941, 951) 및 그에 대응하는 래칫회동부(945, 955)의 상호 운동 구속 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진자를 수용하여 진료를 하는 중에 헤드레스트(610)가 수진자의 후방으로 제껴질 수 있어, 불편함 및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When the inclined bevel surface is too gentle, the mutual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ratchet base parts 941 and 951 and the corresponding ratchet rotation parts 945 and 955 can be easily released. In this case, the headrest 610 may be turned to the rear of the examinee while receiving the examinee for treatment, which may cause discomfort and risk.

상기 경사진 빗면이 지나치게 급한 경사를 이룰 경우, 래칫베이스부(941, 951) 및 그에 대응하는 래칫회동부(945, 955)의 일 방향 회전이 어렵게 된다. 이 경우 한 손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 및 자세를 진료에 필요한 상태로 변형시킨다는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된다.When the inclined bevel surface forms an excessively steep inclination,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ratchet base portions 941 and 951 and the corresponding ratchet rotation portions 945 and 955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changing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headrest with one hand to a state necessary for medical treatment.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 각각의 톱니(942, 946)는, 상기 각각의 톱니(942, 946)가 형성된 면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경사각(도 5 (b)의 CL)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1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ortion 945, each tooth 942, 946, is 40 degrees or more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spective teeth 942 and 946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CL in FIG. 5(b)) of 50 degrees or les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CL)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CL is 45 degrees.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 각각의 톱니(952, 956)는, 상기 각각의 톱니(952, 956)가 형성된 면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5, respectively, have teeth 952 and 956 of 40 degrees or more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spective teeth 952 and 956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of 50 degrees or les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45 degrees.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의 톱니(942)의 수(數)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의 톱니(946)의 수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 이상인 배수(倍數)일 수 있다.Any one of the number of teeth 942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1 and the number of teeth 946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is a multiple of 2 or more of the other one can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의 톱니(952)의 수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의 톱니(956)의 수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 이상인 배수일 수 있다.Any one of the number of teeth 952 of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and the number of teeth 956 of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may be a multiple of two or more of the other.

이와 같이, 래칫베이스부(941, 951) 및 그에 대응하는 래칫회동부(945, 955) 중 하나의 톱니의 수를 다른 하나의 톱니의 수를 다르게 구성하고, 더 나아가 서로 배수, 약수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많은 면에서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number of teeth of one of the ratchet base portions 941 and 951 and the corresponding ratchet rotation portions 945 and 955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the number of the other teeth, an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of multiples and divisors to each other is Designing to work has many advantages.

먼저, 래칫베이스부(941, 951) 및 그에 대응하는 래칫회동부(945, 955) 중 사출 성형이 더 까다로운 형상을 지닌 부품에 대해서 일부의 톱니를 생략함으로써, 사출성형이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First, by omitting some teeth for parts having a more difficult shape for injection molding among the ratchet base portions 941 and 951 and the corresponding ratchet rotation portions 945 and 955,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jection molding becomes easier. .

또한, 일 방향 회전 시 톱니의 수가 많은 부품에서의 연접한 두 개의 톱니가 이루는 각도를 회전의 최소 각도로 유지하여 보다 정밀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마찰면을 줄임으로써 래칫베이스부(941, 951) 및 그에 대응하는 래칫회동부(945, 955)가 상호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ratchet base portion (941, 951) by reducing the friction surface while enabling more precise operation by maintaining the angle formed by two contiguous teeth in a part having a large number of teeth during one-way rotation at the minimum angle of rot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orresponding ratchet rotating parts (945, 955) are pressed to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의 톱니(946)의 수는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의 톱니(942)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의 톱니(956)의 수는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의 톱니(952)의 수의 두 배일 수 있다(도 5 참조).More preferably, the number of teeth 946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945 may be twice the number of teeth 942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1 . The number of teeth 956 of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may be twice the number of teeth 952 of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see FIG. 5 ).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의 톱니(946)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의 톱니(956)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각인 간격을 이루며 환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eeth 946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and the teeth 956 of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5 may each b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with equal angular intervals.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92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mo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constrained by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at surface 310 of the backrest part 300 . can only be rotated,

상기 시트면(310)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외면 중 수진자의 등이 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at surface 310 may mean a surface that the examinee's back touches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backrest part 30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크부재(93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회전 가능한 방향(도 4의 아래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mo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nstrained by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rotatable (a dotted line below in FIG. 4 ). It may be rotatable on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indicated by the arrow).

도 6은 본 발명의 해제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leas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부(960)는, 제1 해제부(970) 및 상기 제1 해제부(97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 해제부(98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6 , the release unit 960 includes a first release unit 970 and a second release unit 980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first release unit 970 . can do.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외력(도 6(b)의 오른 쪽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6(b), the first release unit 970 transmits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arrow in FIG. 6(b)) to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to The motion con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be released.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외력(도 6(b)의 왼 쪽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unit 980 transmits an external force (acting in the left arrow direction in FIG. 6(b)) to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to determine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releasabl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링크부재의 조립된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a) 및 우측면도(b)이다.7 is a front view (a) and a right side view (b) for explaining the assembled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lin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제1 버튼(971) 및 제1 작동부재(972)를 포함할 수 있다.7 , the first release unit 970 may include a first button 971 and a first operation member 972 .

상기 제1 버튼(971)은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인가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first button 97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o which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is applied.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member 97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상기 제1 작동부재(972)는, 제1 탄성부재(9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973)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member 972 may be supported by a first elastic member 973 . The first elastic member 973 may be formed of a coil spring, a plate spring,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상기 제1 탄성부재(973)의 일단은 상기 제1 작동부재(972)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973)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920)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973 is fixed to the first operating member 972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973 is a housing 920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 can be fixed to

상기 제1 탄성부재(973)는 상기 제1 버튼(971)에 인가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1 작동부재(972)를 원 위치시킬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button 971 is removed, the first elastic member 973 may return the first operating member 972 to its original position.

제1 작동부재(972)의 일면에 상기 제1 버튼(971)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1 버튼(971)에 외력 인가 시 제1 버튼(971)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링크부재(92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The first button 971 and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eration member 972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utton 971, the first operating member 972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button 971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945,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94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1 . When this separation occurs, the movement restraint in on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released.

상기 제2 해제부(980)는 구조적으로 상기 제1 해제부(97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unit 980 may be structurally form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release unit 970 .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제2 버튼(981) 및 제2 작동부재(9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lease unit 980 may include a second button 981 and a second operation member 982 .

상기 제2 버튼(981)은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인가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second button 98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o which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is applied.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member 98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920 .

상기 제2 작동부재(982)는, 제2 탄성부재(9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983)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member 982 may be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983 . The second elastic member 983 may be formed of a coil spring, a plate spring,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상기 제2 탄성부재(983)의 일단은 상기 제2 작동부재(98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983)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920)에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983 is fixed to the second operating member 982 ,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983 is a housing 920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 can be fixed to

상기 제2 탄성부재(983)는 상기 제2 버튼(981)에 인가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2 작동부재(982)를 원 위치시킬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981 is removed from the second elastic member 983 , the second operating member 982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제2 작동부재(982)의 일면에 상기 제2 버튼(981)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982)는, 상기 제2 버튼(981)에 외력 인가 시 제2 버튼(981)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링크부재(93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The second button 981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5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on member 982 . The second operating member 982 mov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button 981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981 to move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 When this separation occurs, the movement restraint in one direc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rel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링크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외부 면 중,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요입(凹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헤드레스트부(600)의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후단이 되는 면을 향하여 내입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second link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the surface 925, which is the tip when the second link member 920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is the first hinge pin. When observed from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911, it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headrest unit 600, the front end surface 925 may be concavely formed toward the rear end sur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측면에서 관찰 시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이 되는 면(925)은 상기 측면에서 관찰 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ront end surface 925 may be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More preferably, the front end surface 925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surface.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외형이 전체적으로 'C'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link member 920 may have an overall 'C' shape. Preferably,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와 같이 커브형으로 형성된 제2 링크부재(920)는, 어린이와 같이 매우 키가 작은 수진자에게 적합한 위치로도 헤드레스트(6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link member 920 formed in a curved shape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move the headrest 610 to a position suitable for a very short examinee such as a chil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어린이에게 적합한 위치에 헤드레스트가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8 is a right side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headrest is positioned at a suitable location for a child as described above.

도 8의 실시 에에서 상기 제1 링크부재(9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930) 각각은, 끝까지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8 , each of the first link member 920 and the third link member 930 may be in a fully rotated state.

도 8에서 상기 헤드레스트(610)는 어린이의 키에 맞추어 조정된 위치에 있다.In FIG. 8 , the headrest 610 is in a position adjusted to fit a child's height.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와 같은 커브 형상은,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수진자의 머리를 효과적으로 받칠 수 있는 자세 모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The curved shap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enables the realization of a posture mode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head of a short examinee, such as a child.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단순히 직선형으로 구현되어 된 경우,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이 연결되는 단부와 상기 제1 링크부재(910) 간의 거리(d')가 크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 7 , when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simply implemented in a straight shap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to which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nnected and the first link member 910 ( d') becomes large.

이 경우, 어린이와 같이 매우 키가 작은 수진자 수용 시 수진자의 머리가 지나치게 앞쪽으로 숙여지게 되어 머리 받침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In this case, when accommodating a very short examinee such as a child, the examinee's head is bent too far forward, so it is not suitable as a headrest.

그러나 제2 링크부재(920)가 본 발명과 같이 커브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이 연결되는 단부와 상기 제1 링크부재(910) 간의 거리(d)는 어린이의 체형에 맞추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 between the end to which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nnected and the first link member 910 is dependent on the body shape of the child. can be properly maintain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크부재(910)가 상기 백레스트부(300)에 고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타단부, 즉,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결합되는 단부는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에 닿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시트면(310)에 닿은 후 상기 시트면(310)을 변형시키도록 전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면(310)에 파 뭍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두부를 거치하기에 적합하도록 헤드레스트(610)의 높이(두께)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8 , when the first link member 910 is fixed to the backrest part 300 , the second link member 920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link. The other end of the member 920 , that is, the end to which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upled, may contact the seat surface 310 of the backrest unit 300 .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portion can advance so as to deform the seat surface 310 after contacting the seat surface 310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n the one direction. That is, it is buried in the seat surface 31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lower the height (thickness) of the headrest 610 to be suitable for mounting the head of a child.

상기 시트면(310)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외면 중 수진자의 등이 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at surface 310 may mean a surface that the examinee's back touches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backrest part 300 .

만일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단순히 직선형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제3 링크부재(930)가 결합되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단부는 구조적으로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에 닿을 수 없게 된다.I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simply implemented in a straight shape, th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to which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upled is structurally the seat of the backrest part 300 . The surface 310 cannot be reach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920)는 상기 제1 래칫부재(94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시트면(310)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mo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constrained by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at surface 310 of the backrest part 300 . can only be rotated,

상기 시트면(310)은 상기 백레스트부(300)의 외면 중 수진자의 등이 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at surface 310 may mean a surface that the examinee's back touches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backrest part 30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크부재(930)는 상기 제2 래칫부재(950)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920)가 회전 가능한 방향(도 4의 아래쪽 점선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mo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constrained by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rotatable (a dotted line below in FIG. 4 ). It may be rotatable on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indicated by the arrow).

상기와 같이 제2 링크부재(920)의 요입된 선단부 형상과 함께, 제2 링크부재(920) 및 제3 링크부재(930) 각각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의사와 같은 사용자가 한손으로만 헤드레스트(610)을 잡고도, 용이하게 성인을 위한 헤드레스트 자세 모드(도 4 참조)로부터 어린이를 위한 헤드레스트 자세 모드(도 6 참조)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With the shape of the concave tip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directions in which each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he third link member 930 can rotate freely, a user such as a doctor can use it with one hand. Even holding only the headrest 610,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from the headrest posture mode for adults (see FIG. 4) to the headrest posture mode for children (see FIG. 6).

또한 해제부(960)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링크부재(920) 및 제3 링크부재(930) 각각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용이하게 다시 성인을 위한 헤드레스트 자세 모드(도 4 참조)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operating the release unit 960,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the third link member 930 each release the motion restraint state, thereby easily re-adjusting the headrest posture mode for adults (see FIG. 4 ). ) can be return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부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다.10 is a righ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lin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해제부(970) 및 상기 제2 해제부(980) 중 적어도 하나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 또는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이동(도 10(b)의 화살표 방향 참조)하는 버튼(981)을 포함할 수 있다.10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elease unit 970 and the second release unit 9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inge pin ( It may include a button 981 that moves along a trajectory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911 or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0(b)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제1 버튼(9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제1 래칫부재(950)의 적어도 일부를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971)은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래칫부재(940)의 상기 톱니들(942, 946)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lease unit 970 may include a first button 971 for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button may move while pus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50 along a trajectory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 The first button 971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teeth 942 and 946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while moving as described above, thereby releasing the motion con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 can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버튼(971)은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971)에 외력 인가 시 제1 버튼(971)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는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래칫회동부(945)가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94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링크부재(92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utton 97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utton 971 , the first button 971 and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move integrally, and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5 moves to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1 . ) can be separated from When this separation occurs, the movement restraint in on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is rel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제2 버튼(9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의 적어도 일부를 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981)은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의 상기 톱니들(952, 956)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lease unit 980 may include a second button 981 for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button may move while pus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along a trajectory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 The second button 981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teeth 952 and 956 of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while moving as described above, thereby releasing the motion con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 can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버튼(981)은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981)에 외력 인가 시 제2 버튼(981)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는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래칫회동부(955)가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95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3 링크부재(930)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구속이 해제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utton 98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981 , the second button 981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move integrally,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955 moves to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1 . ) can be separated from When this separation occurs, the movement restraint in one direction of the third link member 930 is rel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해제부(970)는 제1 버튼(971) 및 제1 작동부재(9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971)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힌지핀(911)의 중심축선과 나란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972)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탄성부재(9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작동부재(972)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971)과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래칫부재(940)의 상기 톱니들(942, 946)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lease unit 970 may include a first button 971 and a first operation member 972 . The first button 97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first hinge pin does not include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911 . It can move along a trajectory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911. The first operation member 97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973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first operation member 972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button 971 and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teeth 942 and 946 of the first ratchet member 940, 2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motion constraint state of the link member 9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해제부(980)는 제2 버튼(981) 및 제2 작동부재(9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981)은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힌지핀(931)의 중심축선과 나란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982)는 상기 제2 링크부재(9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탄성부재(9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작동부재(982)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버튼(981)과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950)의 상기 톱니들(952, 956)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930)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lease unit 980 may include a second button 981 and a second operation member 982 . The second button 98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920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hinge pin does not include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931 . It can move along a trajectory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931). The second operation member 98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920 and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983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operation member 982 mov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button 981 and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teeth 952 and 956 of the second ratchet member 950, 3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motion constraint state of the link member 930 .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elements, and are not necessarily used in a specific sequence or Used to describe the order of occurrenc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for example, in sequences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Likewise, where methods are described herein as includ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those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those steps may be performed, and any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or Any other steps not described may be added to the metho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Terms such as “left”, “right”, “front”, “back”, “top”, “bottom”, “top”, “bottom”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must It is not intended to describe an invariant relative pos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o used are interchangeable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o enab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to operate otherwise than, for example, as shown or described herein. As used herein, the term “connected”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being "adjacent" to one another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scope or area as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refers to the same, but not necessarily the sam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ences to 'connected', 'connecting', 'fastened', 'fastening', 'coupled', 'coupled', and the like, and various variations of these expressions, refer directly to other elements. It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being connected to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only,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유니트 체어 100: 제어부
200: 시트부 300: 백레스트부
310: 시트면
400: 구동부 600: 헤드레스트부
610: 헤드레스트
700: 베이스부 800: 진료테이블부
900: 링크부
910: 제1 링크부재 911: 제1 힌지핀
920: 제2 링크부재 921: 하우징
925: 선단이 되는 면
930: 제3 링크부재 931: 제2 힌지핀
940: 제1 래칫부재 941: 제1 래칫베이스부
942: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945: 제1 래칫회동부
946: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
950: 제2 래칫부재 951: 제2 래칫베이스부
952: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955: 제2 래칫회동부
956: 제2 래칫회동부의 톱니
960: 해제부
970: 제1 해제부 971: 제1 버튼
972: 제1 작동부재 973: 제1 탄성부재
980: 제2 해제부 981: 제2 버튼
982: 제2 작동부재 983: 제2 탄성부재
10: unit chair 100: control unit
200: seat portion 300: backrest portion
310: sheet surface
400: driving unit 600: headrest unit
610: headrest
700: base unit 800: treatment table unit
900: link unit
910: first link member 911: first hinge pin
920: second link member 921: housing
925: the leading side
930: third link member 931: second hinge pin
940: first ratchet member 941: first ratchet base portion
942: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945: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946: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950: second ratchet member 951: second ratchet base part
952: teeth of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955: the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956: teeth of the second ratchet rotation
960: release
970: first release unit 971: first button
972: first operation member 973: first elastic member
980: second release unit 981: second button
982: second operation member 983: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15)

헤드레스트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유니트 체어의 백레스트부에 고정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제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래칫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1 래칫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1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칫부재는,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제1 해제부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래칫부재의 상기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In the unit chair comprising a link portion for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headrest,
The link unit,
a first link member fixable to the backrest portion of the unit chair;
a second link member whose one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with a first hinge pin;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so that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 first ratchet member constraining the
The first ratchet member,
A plurality of the first hinge pins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nd the teeth are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is fixed to the first link member a first ratchet base unit; and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on one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engag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ortion, and the opposite surface includes a first ratchet rotating portion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The second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release unit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ratchet member,
The first ratchet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hinge pin according to the meshing of the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and the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con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The first release uni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ratchet member,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o release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second link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와 제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고정되는 제3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3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링크부재가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을 구속하는 제2 래칫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link member whose one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with a second hinge pin, and the headrest is fix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The third link memb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link member and the third link member, and the third link member is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The unit chai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atchet member for restricting mov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해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3 링크부재의 운동 구속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2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ink member,
and a second release unit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first release unit and is capable of releasing the motion restraint state of the third link member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ratchet member.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칫부재는,
상기 제2 힌지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환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융기되고 일 방향으로만 경사진 형상을 지닌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3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베이스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적어도 일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톱니가 일면에 형성되고, 반대면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된 제2 래칫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ratchet member,
A plurality of the second hinge pins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hinge pin, and the teeth are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inclined in only one direction. a second ratchet base unit; and
A unit comprising a; a second ratchet rotation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teeth of the second ratchet base, and the opposite surface is fixed to the second link member. ch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일면에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버튼에 외력 인가 시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lease unit,
a first button protruding from one out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t is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and supported by a first elastic member,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are fixed to one surf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utton, the first button and the first and a first operation member which moves integrally with the ratchet rotating part to separate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from the first ratchet bas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 각각의 톱니는, 상기 각각의 톱니가 형성된 면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40도 이상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atchet base part and the teeth of each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ar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n inclinatio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and 50 degrees or less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espective teeth are form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is 45 degre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수 및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수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2 이상인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8. The method of claim 7,
Any one of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is a multiple of 2 or more of the other unit chai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의 수는 상기 제1 래칫베이스부의 톱니의 수의 두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ng part is twice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base par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회동부의 톱니는 각각 복수 개가 등각인 간격을 이루며 환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11. The method of claim 10,
A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eeth of the first ratchet rotation part are each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with equal angular interv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래칫부재에 의해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link member is restricted in motion by the first ratchet member, and is rotatable only in a direction toward the sea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The third link member is limited in motion by the second ratchet member, and is rotatable on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abl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해제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 외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일면에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버튼에 외력 인가 시 상기 제2 버튼 및 상기 제2 래칫회동부와 일체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래칫회동부를 상기 제2 래칫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release unit,
a second button protruding from one out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t is formed inside the second link member and supported by a second elastic member, the second button and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are fixed to one surf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the second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2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peration member which moves integrally with the ratchet rotating part to separate the second ratchet rotating part from the second ratchet bas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외부 면 중,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선단이 되는 면은, 상기 제1 힌지핀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요입(凹入)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mong the external surfaces of the second link member, a surface that becomes a tip when the second link member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when viewed from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pin. A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백레스트부에 고정된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가 상기 백레스트부의 시트면에 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irst link member is fixed to the backrest portion,
The unit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other than the one end, can contact the sea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through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in the one direction.
KR1020190114189A 2019-09-17 2019-09-17 Unit Chair KR1023795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89A KR102379526B1 (en) 2019-09-17 2019-09-17 Unit Chair
JP2022516752A JP2022549411A (en) 2019-09-17 2020-09-11 unit chair
US17/761,266 US20220370277A1 (en) 2019-09-17 2020-09-11 Unit Chair
EP20866600.8A EP4032519A4 (en) 2019-09-17 2020-09-11 Unit chair
CN202080065058.8A CN114423392A (en) 2019-09-17 2020-09-11 Diagnosis and treatment chair
PCT/KR2020/012344 WO2021054685A2 (en) 2019-09-17 2020-09-11 Unit chair
JP2023199056A JP2024023393A (en) 2019-09-17 2023-11-24 unit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89A KR102379526B1 (en) 2019-09-17 2019-09-17 Unit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64A KR20210032764A (en) 2021-03-25
KR102379526B1 true KR102379526B1 (en) 2022-03-28

Family

ID=752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189A KR102379526B1 (en) 2019-09-17 2019-09-17 Unit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1130B2 (en) 2009-02-11 2011-01-18 Dental Equipment, Llc Biarticulated headrest for chair
JP2018000331A (en) * 2016-06-28 2018-01-11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Headres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26A (en) * 1995-08-31 1997-03-27 김태구 Angle adjuster of car headrest
KR101274451B1 (en) * 2007-11-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eadres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1130B2 (en) 2009-02-11 2011-01-18 Dental Equipment, Llc Biarticulated headrest for chair
JP2018000331A (en) * 2016-06-28 2018-01-11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Headre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64A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300B2 (en) Leg placement table for colonoscopy and bed for colonoscopy
JP2024023393A (en) unit chair
KR102379526B1 (en) Unit Chair
KR102364722B1 (en) Unit Chair
WO2020004516A1 (en) Chair-type phototherapy device
KR102361807B1 (en) Unit Chair
US8070322B2 (en) Examination light with readily accessible controls
US11333336B1 (en) Portable lamp assembly
CN108969837A (en) Internal Medicine-Cardiovascular Dept. multifunctional transfusion massage armchair
KR102524488B1 (en)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KR102319877B1 (en) Unit chair
KR102157423B1 (en) Unit Chair
KR102552952B1 (en) Dental unit chair device that is easy to replace handpiece holder
JP5843360B2 (en) Dental lighting fixture
JP3636034B2 (en) Patient model device for dental training and dental training device
KR102500874B1 (en) Assembly Structure For Holding Container And Dental Cup Dispenser Using The Same
KR101187252B1 (en) Device for whitening teeth
KR101238029B1 (en) Arm rest for medical
JP2007029226A (en) Remote controller for chair type massage machine, and chair type massage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336843B1 (en) Unit chair
US20080143075A1 (en) Therapeutic wheelchair system
JP5814665B2 (en) Medical examination table and medical training device
JP3244216U (en) Hygiene shield for dental treatment chairs and dental treatment equipment
WO2022074774A1 (en) Dental x-ray device
KR200433987Y1 (en) Dental unit chair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lighting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