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140B1 -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140B1
KR102379140B1 KR1020200073994A KR20200073994A KR102379140B1 KR 102379140 B1 KR102379140 B1 KR 102379140B1 KR 1020200073994 A KR1020200073994 A KR 1020200073994A KR 20200073994 A KR20200073994 A KR 20200073994A KR 102379140 B1 KR102379140 B1 KR 10237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link frame
link
rop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422A (ko
Inventor
김승룡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1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8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는 선박 계류에 이용되는 홋줄에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링크 장치로서, 선박 갑판 중 상기 홋줄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바닥 고정부; 상기 홋줄이 통과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 표면이 상기 홋줄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 시트부; 및 상기 링크 프레임과 상기 바닥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Link apparatus for preventing snapback of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홋줄 끊어짐, snapback)를 방지하기 위한 링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계류 시 각종 계류 장비를 이용하여 계류하게 된다. 이때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구성요소가 홋줄(계류삭, mooring rope)이며, 홋줄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홋줄의 최소 파괴 하중인 MBL(Minimum Breaking Load)를 초과하는 부하가 순간적으로 가해졌을 때, 이를 견디지 못하고 홋줄이 끊어지면서 줄의 탄성으로 인해 줄이 튕겨나가는 현상을 홋줄 끊어짐(snapback)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홋줄 끊어짐에 따른 위험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단계 1 내지 단계 5에서는 홋줄(50)이 계류 중 끊어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단편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홋줄(50)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렵고 예상치 못한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계류 시에는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홋줄 끊어짐에 따른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현재 선박에서는 안전사고가 예상되는 구역에 위험구역임을 나타낸 표시(Danger Zone)를 표기하여, 계류 중에는 해당 구역에 승선원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계류 중 해당 구역에 사람이 꼭 접근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인원이 접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어서는 비효율적이며, 실질적 사고 발생 시에 원천적인 사고 예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0969호 (2017.01.04. 공개) - 계류용 스탠션
본 발명은 선박 계류 시 홋줄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예: 홋줄 끊어짐)를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계류에 이용되는 홋줄에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링크 장치로서, 선박 갑판 중 상기 홋줄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바닥 고정부; 상기 홋줄이 통과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 표면이 상기 홋줄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 시트부; 및 상기 링크 프레임과 상기 바닥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로프를 포함하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링크 프레임은 상기 홋줄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링체이고, 내경이 상기 홋줄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마찰 시트부는 방사형으로 절개되고,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력적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조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각부는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호 부분은 상기 링크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로프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계류 시 홋줄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예: 홋줄 끊어짐)를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홋줄 끊어짐에 따른 위험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홋줄에 대한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의 설치위치 및 위험구역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홋줄에 대한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의 설치위치 및 위험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는 선박의 갑판 상에 홋줄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홋줄을 잡아주어 홋줄 끊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그 위험구역을 기존 대비 상당히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는 링크 프레임(110), 마찰 시트부(120), 연결 로프(130), 바닥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프레임(110)은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의 기본틀에 해당하며, 홋줄(5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원형)을 갖는 링체일 수 있다. 링크 프레임(110)은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 프레임(110)의 내경은 홋줄(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홋줄(50)이 원활히 링크 프레임(110) 내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링크 프레임(110)의 내경은 계류를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홋줄(50) 중 최대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다양한 홋줄(50)에 대해 호환성 있게 적용시킬 수도 있다.
링크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마찰 시트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찰 시트부(120)는 방사형으로 절개된 고탄력성의 다수의 조각부(122)로 구성되어 있어 탄력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조각부(122)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고무(rubber) 재질의 시트일 수 있다.
조각부(122)는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각부(122)의 호 부분은 링크 프레임(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조각부(122)의 중심 부분은 소정 길이만큼 절단되어 있어 홋줄(50)이 원활히 통과하게 할 수 있다.
홋줄(50)이 통과할 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각부(122)들이 홋줄(50)의 진행 방향(도 3 상단의 화살표 참조)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져 홋줄(5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홋줄(50)이 링크 프레임(110)을 통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전방에서 홋줄 끊어짐이 발생한 경우 홋줄(50)의 외면에 밀착력이 가해져 홋줄(50)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바닥 고정부(140)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를 선박의 갑판(10) 중 지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게 한다. 예를 들어, 바닥 고정부(140)는 러그(lug) 혹은 아이 플레이트(eye plate)일 수 있다.
바닥 고정부(140)는 그 바닥판이 선박의 갑판(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의 상면에는 연결 로프(130)의 일단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거나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로프(130)의 타단은 링크 프레임(110)의 일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링크 프레임(110)은 연결 로프(130)에 의해 바닥 고정부(140)로부터 지정된 구역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지정 구역은 연결 로프(130)의 길이에 종속된다. 장애물이 없다면 지정 구역은 바닥 고정부(14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연결 로프(130)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지역일 수 있다. 장애물이 있다면 연결 로프(130)가 장애물에 닿을 때까지는 바닥 고정부(14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연결 로프(130)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제1 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과, 장애물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연결 로프(130)의 길이에서 바닥 고정부(140)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뺀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제2 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합한 영역일 수 있다.
연결 로프(130)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홋줄 끊어짐에 따른 순간적인 외력에 의해 링크 프레임(110)이 지정 구역을 일시 이탈해도 복원력에 의해 다시 지정 구역 내로 복귀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홋줄에 의한 순간적인 외력에 의해 홋줄이 링크 프레임(110)을 빠져 나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링크 프레임(110), 특히 마찰 시트부(120)에 의해 홋줄(50)이 잡혀 있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이 마련되고, 홋줄(50)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지정된 위치(P1~P4)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바닥 고정부(140)를 홋줄(50)이 지나가는 경로 상의 지정된 위치(P1~P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고정부(140)는 갑판(10)에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바닥 고정부(140)에 대해 연결 로프(130)를 통해 마찰 시트부(120)가 부착된 링크 프레임(110)을 체결할 수 있다. 홋줄(50)은 링크 프레임(110) 내를 통과한 후 윈치 드럼에 권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치 드럼은 모터 혹은 홋줄 권취를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링크 프레임(110) 내의 마찰 시트부(120)는 홋줄(50)의 통과 방향(권취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그 표면이 홋줄(50)의 외면에 밀착되어, 해당 지점에서 홋줄(50)을 견고하게 그립핑해 줄 수 있다.
홋줄(50)이 윈치 드럼에 귄취되는 과정에서 윈치 드럼의 폭을 따라 홋줄(50)이 어느 정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 로프(130)에 의해 링크 프레임(110)이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고 좌우 이동 가능하므로, 이러한 홋줄 권취 과정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안정적인 계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계류가 완료되면, 마찰 시트부(120)의 표면이 홋줄(50)의 외면에 밀착되어 홋줄(50)의 특정 지점(도면에서는 P1~P4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의 체결이 수립될 수 있다.
이후 예상치 못한 사고로 홋줄 끊어짐이 발생한 경우, 장력에 의해 홋줄(50)은 권취될 때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려고 한다. 이 경우 마찰 시트부(120)의 표면과의 마찰이 생기고, 마찰 시트부(120)가 접히는 과정에서 홋줄(50)을 보다 조여주게 되어 홋줄(50)의 이탈을 방해하고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홋줄(50)의 끊어진 단부는 인접한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100)의 설치 위치(P1~P4 중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당히 범위가 축소된 위험구역(A1~A4 중 하나) 내에서 움직이도록 예상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홋줄 파단 시 생기는 속도를 감소시켜 주변 인원이 받게 되는 실질적인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홋줄 파단 시 어디로 튈지 모르는 홋줄의 파단된 단부의 움직임 반경을 링크 장치(100)의 주변으로 한정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갑판 50: 홋줄
100: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110: 링크 프레임 120: 마찰 시트부
122: 조각부 130: 연결 로프
140; 바닥 고정부

Claims (4)

  1. 선박 계류에 이용되는 홋줄에 관련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링크 장치로서,
    선박 갑판 중 상기 홋줄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바닥 고정부;
    상기 홋줄이 통과하는 링크 프레임;
    상기 링크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 표면이 상기 홋줄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찰 시트부; 및
    상기 링크 프레임과 상기 바닥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 시트부는 방사형으로 절개되고,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력적 개폐가 가능한 복수의 조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각부는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호 부분은 상기 링크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평상시 상기 조각부는 상기 링크 프레임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펼쳐져 있고, 상기 홋줄이 통과할 때 상기 조각부가 상기 홋줄의 진행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그 표면이 상기 홋줄의 외면에 밀착되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프레임은 상기 홋줄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링체이고, 내경이 상기 홋줄의 외경보다 큰,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프는 신축성을 가지며, 홋줄 끊어짐에 따른 순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링크 프레임이 지정 구역을 일시 이탈한 경우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지정 구역 내로 복귀하게 하는,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4. 삭제
KR1020200073994A 2020-06-18 2020-06-18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KR10237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94A KR102379140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94A KR102379140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22A KR20210156422A (ko) 2021-12-27
KR102379140B1 true KR102379140B1 (ko) 2022-03-24

Family

ID=7917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94A KR102379140B1 (ko) 2020-06-18 2020-06-18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637A (ja) * 2003-03-12 2004-10-07 Sumitomo Rubber Ind Ltd 浮体の係留装置
US6925951B1 (en) 2004-02-09 2005-08-09 Delong Mark Boat docking rope cuff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25U (ko) * 2014-06-25 2016-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냅백 방지가 가능한 선박용 계류장치
KR20170000969A (ko) 2015-06-25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용 스탠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637A (ja) * 2003-03-12 2004-10-07 Sumitomo Rubber Ind Ltd 浮体の係留装置
US6925951B1 (en) 2004-02-09 2005-08-09 Delong Mark Boat docking rope cuffs
US20050172879A1 (en) * 2004-02-09 2005-08-11 Delong Mark Boat docking rope cuff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22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960B1 (ko) 로프보호대
CN105084161A (zh) 一种电梯
KR102379140B1 (ko) 선박의 홋줄 관련 안전사고 방지용 링크 장치
GB2565828A (en) Case or cradle for a fall arrest device
KR20130031451A (ko) 틸팅되는 시그널 포스트를 갖는 선박
NO20150074A1 (en) A mooring member
KR101236754B1 (ko) 선박용 레이더 마스트
WO2014049600A1 (en) A mooring line restrainer
JP2023113912A (ja) 海洋係留連結器
JP6607065B2 (ja) 係留構造体、及び、係留構造体における乗組員の保護方法
JP6246250B2 (ja) 船舶係留装置
KR20160000025U (ko) 스냅백 방지가 가능한 선박용 계류장치
KR101757807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라운드 슬링
JP7002107B2 (ja) 侵入防止構造体
WO2019200587A1 (en) Polarized deceleration brake for self retracting device
JPH11253568A (ja) 墜落防止器具
EP3656654B1 (en) Security arrangement
JP2012116304A (ja) 係船索用保護装置
JP6072147B2 (ja) ガバナテンショナーの耐震改造方法および耐震改造用具
US6297453B1 (en) Cable protector
WO2014011619A1 (en) Apparatus and anchor handling vessels for installing or removing and replacing a segment of a mooring line
KR102086922B1 (ko) 병렬구조를 가진 파공봉쇄장치
EP3294621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to ocean structures
KR20100003388U (ko) 외면 돌부와 보강 로프를 형성한 방충 튜브
JP2017137016A (ja) 係留構造体、及び、甲板機械の操作員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