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860B1 -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860B1
KR102377860B1 KR1020210058753A KR20210058753A KR102377860B1 KR 102377860 B1 KR102377860 B1 KR 102377860B1 KR 1020210058753 A KR1020210058753 A KR 1020210058753A KR 20210058753 A KR20210058753 A KR 20210058753A KR 102377860 B1 KR102377860 B1 KR 10237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fuel tank
based mobile
fu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제일정밀산업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정밀산업기기(주) filed Critical 제일정밀산업기기(주)
Priority to KR102021005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8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으로 원격 조정이 되고 연료 급유 상태가 인식이 되어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출입 최소화하고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예방하는 안전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it is automatically remote controlled and the fuel refueling status is recognized, so that not only ca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be checked, but also the worker's This relates to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to minimize entry and exit and prevent fatal accidents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Description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으로 원격 조정이 되고 연료 급유 상태가 인식이 되어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출입 최소화하고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 예방하는 안전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it is automatically remote controlled and the fuel refueling status is recognized, so that not only ca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be checked, but also the worker's This relates to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to minimize entry and exit and prevent fatal accidents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동절기 골조 및 습식공사시 열풍기를 이용하여 양생 온도를 유지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During winter framing and wet construction, a hot air blower is used to maintain the curing temperature.

양생을 위해 열풍기를 12시간 이상 가동하여야 하나, 보통 가동 지속시간은 6 내지 10시간에 해당하므로, 양생 온도 관리 및 주유를 위한 근로자의 수시 출입이 필요하며, 연료통을 매번 고층까지 운반해야하는 불편이 따랐다.For curing, the hot air blower must be operated for more than 12 hours, but the operating duration is usually 6 to 10 hours, so workers need to come in and out frequently to manage the curing temperature and refuel,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ransport fuel containers to the upper floors every time. .

또한, 열풍기 불완전 연소에 따른 일산화 탄소 중독 등으로 사망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는바, 최근 아파트 시공 현장에서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사망한 사건까지 발생하고 있어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fat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heaters, and a recent incident of death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occurred at an apartment construction site, raising the need for safety management.

이러한 건설현장에서의 양생관리를 위하여 선 특허 특허등록제10-0608148호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여전히 동절기 열풍기 관리와는 상관없는 양상상태를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여전히 열풍기의 주유 관리 소홀에 따른 양생 온도 저하 시 품질 저하 우려되는 등 동절기 건설현장에서 열풍기 관리 문제가 난제로 남아 있다. For curing management at such construction sites, Sun Patent Registration No. 10-0608148 "Ubiquitous-based concrete cu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as proposed, but it is still about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condi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management of hot air blowers in the winter. , management of hot air blowers still remains a difficult issue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with concerns over quality deterioration when the curing temperature drops due to neglect of oil management of hot air blowers.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년간 건설현장의 열풍기 관리 업무를 개선코자 노력해 오다, 원격으로 조종이 가능한 연료 자동 급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아울러 내부 온도, 일산화탄소, 유기화합물 측정, 모니터링, 제어를 위한 측정기 부착으로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동절기 건설현장에서 열풍기의 효과적이고도 안전한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trying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hot air blowers at construction sites for many years, and has built an automatic fuel refueling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remotely, as well as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ternal temperature, carbon monoxide, and organic compounds. By developing a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with a measuring instrument attache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after confirming that effective and safe management of hot air blowers can be performed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08148호 (2006.07.26.)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08148 (2006.07.26.) “Ubiquitous-based concrete cu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16862호 "스마트 리마인더 시스템, 이를 이용한 학습 리마인드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16862 “Smart reminder system, learning reminder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으로 원격 조정이 되고 연료 급유 상태가 인식이 되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출입 최소화하고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 예방하는 안전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Not only can it check the operating status of IoT-based mobile heaters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m remotely and recognizing the fueling status, but it can also minimize workers' entry and exit and cause deaths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은 내부온도 수시 모니터링 및 제어로 온도 저하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저하 예방하는 품질 관리 측면을 제공하고, 스마트 안전 및 현장 관리 방식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 quality control aspect that prevents concrete quality degradation due to temperature decrease through frequent monitoring and control of internal temperature, and to provide smart safety and field management methods. It is for this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로 이루어진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 네트워크(200), 스마트단말(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스마트단말(300)의 제어부(32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미리 등록된 그룹에 해당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모바일을 이용한 모니터링 및 제어 앱을 제공한 관리서버(400)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고,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센서모듈로부터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정보, 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유량계(150)로부터 복수로 형성가능한 각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를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무선통신안테나(1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oT-based mobile heaters (100), a network (200), and a smart terminal (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including 300) and management server 400, the control unit 320 of the smart terminal 300 is an IoT-based device corresponding to a group pre-registered through the network 200. In order to access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of the mobile heater group (100g), the transmitter/receiver (310) is controlled to log i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at provides a monitoring and control app using mobile, and each IoT Not only does it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from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base mobile heater 100, but also receives the information of each fuel tank 190, which can be formed in plural, from the flow meter 150. Afte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310 to receive flow rate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제어부(320)는, 저장부(320)에 수신된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각 연료탱크(190) 별 유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20 내지 25%) 미만인 제 1 조건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flow rate information for each fuel tank 190 provid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received in the storage unit 320 is less than the preset critical flow rate (20 to 25%). It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whether a condition is present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320.

또한, 제어부(320)는, 설정된 열풍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제 2 조건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whether the second condition exceeds the set critical temperature of the heater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320.

또한, 제어부(320)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TVOC)로부터 측정된 유기화합물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 3 조건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whether the organic compound measured b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TVOC) meets a third condition exceeding a preset threshold and stores the result in the storage unit 320.

또한, 제어부(320)는, 온도 및 유기화합물 농도 증가 및 열풍기 고온 이상 작동 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관리자단말에게 PUSH 알림 기능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when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increase and the heater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thereby providing a PUSH notification function to a separate manag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3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자동으로 원격 조정이 되고 연료 급유 상태가 인식이 되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출입 최소화하고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 예방하는 안전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utomatically remote controlled and the fuel refueling status is recognized, so that not only ca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be checked, but also minimize workers' entry and exit.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fatal accidents due to carbon monoxide poisoning.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내부온도 수시 모니터링 및 제어로 온도 저하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저하 예방하는 품질 관리 측면을 제공하고, 스마트 안전 및 현장 관리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lity management aspect that prevents concret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emperature decrease through frequent monitoring and control of internal temperature, and provides smart safety and field management.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스마트단말(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은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스마트단말(300)에 출력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보조 연료탱크(1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smart terminal 3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UI screen output to the smart terminal 3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auxiliary fuel tank 10 disposed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and ma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은 복수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로 이루어진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 네트워크(200), 스마트단말(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includes an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100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oT-based mobile heaters (100), a network (200), a smart terminal (300), and a management server ( 4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스마트단말(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단말(300)은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및 입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smart terminal 3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mart terminal 300 may include a transceiver 310, a control unit 320, a storage unit 330, and an input/output unit 34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은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스마트단말(300)에 출력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1) 중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보조 연료탱크(1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 UI screen output to the smart terminal 3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auxiliary fuel tank 10 disposed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는 표시 램프부(110), 무선통신안테나(120), 내장연료펌프(130), 자동급유 캡(140), 유량계(150), 주유 호스(160), 전원선(170), 컨트롤러(180), 연료탱크(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유 호스(160)가 컨트롤러(180)를 거쳐 자동급유캡(140)으로 연결되며, 전원선(170)은 컨트롤러(180)와 자동급유캡(140)과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cludes an indication lamp unit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a built-in fuel pump 130, an automatic refueling cap 140, a flow meter 150, and a refueling unit. It may include a hose 160, a power line 170, a controller 180, and a fuel tank 190. The refueling hose 160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refueling cap 140 through the controller 180, and the refueling hose 160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refueling cap 140 through the controller 180. The line 17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0 and the automatic refueling cap 140, respectively.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는 컨트롤러(180)와 연료탱크(190)의 병렬적 구조로 형성되며, 무선통신안테나(120)는 병령 구조의 컨트롤러(180)와 연료탱크(190)에서 주 컨트롤러에 해당하는 하나의 컨트롤러(180)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컨트롤러(180)의 내부에에는 각각 내장연료펌프(130) 및 자동급유캡(140)이 형성되며, 각 연료탱크(190)에도 모두 유량계(15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arallel structure of a controller 180 and a fuel tank 19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is parallel. In the structure of the controller 180 and the fuel tank 190, only one controller 180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troller can be formed, and a built-in fuel pump 130 and automatic refueling are installed inside the two controllers 180, respectively. A cap 140 is formed, and a flow meter 150 may be formed in each fuel tank 190.

이러한 구성의 경우 두 개의 연료탱크(190)가 복수개인 적어도 2개 이상이 놓이고 상호간에 별도의 연결 호스가 형성되고, 각 연결 호스에는 제 1 연료탱크에서 제 2 연료탱크 방향의 정방향과, 제 2 연료탱크에서 제 1 연료탱크의 역방향으로 연료를 제공하기 위한 흡기와 배기가 가능한 연결 주입 펌프가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연료탱크 각각의 유량계(160)에서의 미리 설정된 임계연료량인 20%에 미달하는 일정 연료 소진시, 다음 연료탱크에서 하나의 연료탱크로 펌핑토록 중간 선택 스위치 구성부가 하나의 연료탱크와 매칭하여 형성된 컨트롤러(180)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at least two of the two fuel tanks 190 are placed and separate connection hoses are formed between them, and each connection hose has a positive direction from the first fuel tank to the second fuel tank, and a second fuel tank. By forming a connection injection pump capable of intake and exhaust to provide fuel from the second fuel tank to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fuel tank, 20% of the preset critical fuel amount in the flow meter 160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uel tanks is formed. When fuel consumption falls below a certain level, an intermediate selection switch component may be formed in the controller 180 to match one fuel tank to pump from the next fuel tank to one fuel tank.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탱크(190)가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열풍장치(100a)를 통해 연료 연소를 통해 열풍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밤샘작업이 필요한 겨울철에 부족시 보조 연료탱크(10)를 연결하면 보조 연료탱크(10)의 용량에 따라 열풍장치(100a)의 가동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re is at least one fuel tank 190, so hot air can be provided through fuel combustion through the hot air device 100a for a preset time. However, in case of shortage in winter when overnight work is required, an auxiliary fuel tank 10 is connected. T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hot air device 100a can be extend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auxiliary fuel tank 10.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단말(300)의 제어부(32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미리 등록된 그룹에 해당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모바일을 이용한 모니터링 및 제어 앱을 제공한 관리서버(400)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20 of the smart terminal 300 uses a mobile device to access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100g corresponding to a group pre-registered through the network 200. The transceiver unit 310 can be controlled to log i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at provides a monitoring and control app using .

이후, 제어부(320)는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센서모듈로부터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정보, 유기화합물 농도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유량계(150)로부터 복수로 형성가능한 각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를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무선통신안테나(1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wards, the control unit 320 not only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from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but also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formation from the flow meter 150. After controll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10 to receive flow rate information of each fuel tank 190 that can be form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receive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한편, 제어부(320)는 저장부(320)에 수신된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각 연료탱크(190) 별 유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20 내지 25%) 미만인 제 1 조건이거나, 설정된 열풍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제 2 조건이거나,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TVOC)로부터 측정된 유기화합물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 3 조건인지 여부를 분석하여 저장부(320)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20 sets the first condition that the flow rate information for each fuel tank 190 provid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received in the storage unit 320 is less than a preset critical flow rate (20 to 25%). Or, whether it is a second condition that exceeds the set critical temperature of the heater, or whether the organic compound measured from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TVOC) is a third condition that exceeds a preset threshold can be analyz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

이후, 제어부(320)는 제 1 내지 제 3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경우, 입출력부(340)를 통해 알람 출력하거나 네트워크(200)를 통해 해당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표시 램프부(110)에 추가로 형성가능한 각 표시 램프 LED 유닛으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if any of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are met, the control unit 320 outputs an alarm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340 or transmits the alarm to the corresponding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By controlling 310, an alarm can be output to each display lamp LED unit that can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display lamp unit 11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뿐만 아니라, 제어부(320)는 온도 및 유기화합물 농도 증가 및 열풍기 고온 이상 작동 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관리자단말(미도시)에게 PUSH 알림 기능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0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function to a separate manager terminal (not shown) 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when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increase and the heater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10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과 함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보조 연료탱크(10)를 배치한다(S110).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n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long with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e auxiliary hose 16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the built-in fuel pump 130 of the controller 180. Place the fuel tank 10 (S110).

단계(S110) 이후, 스마트단말(3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모바일 앱을 통해 관리서버(400)로의 로그인을 통해 단계(S110)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도 5와 같이 관리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뒤,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선택을 통해 관리서버(400)의 중계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와 데이터 세션을 연결함으로써,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가동 제어 명령을 통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컨트롤러(180)에 의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열풍장치(100a)에 대한 구동을 온(ON)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0).After step (S110), the smart terminal 300 logs in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mobile app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uses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of step S110. )'s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s shown in FIG. 5, and then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s selected through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relay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By connecting the data session with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8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for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device 100a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S120).

단계(S12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단계(S120)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400)로부터 업데이트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을 포함하는 복수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 중 자신이 제어하고 있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열풍장치(100a)의 구동 온(ON) 및 구동 오프(OFF)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함으로써, 열풍기 가동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30).After step (S120), the smart terminal 300 selects itself among a plurality of IoT-based mobile heaters (100) including the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100g) upd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step (S120). By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operation on (ON) and operation off (OFF) status information of the hot air device (100a) of the controlled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hot air blower (100) An operation status check function can be provided (S130).

단계(S13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단계(120)에서 구동 온(ON) 된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센서모듈로부터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정보, 유기화합물 농도정보, 유량계(150)로부터 복수로 형성가능한 각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를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무선통신안테나(1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직접 수신하거나, 관리서버(400)의 DB에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관리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도 6a와 같이 구동제어 되고 있는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 유기화합물, 급유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40).After step S130, the smart terminal 300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and organic compounds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from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turned on in step 120.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flow rate information of each fuel tank 190, which can be formed in plural, from the flow meter 150 are received directly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 the DB of (4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being driven and controlled as shown in FIG. 6A An information confirmation function that outputs temperature, organic compounds, and oil supply amou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S140).

단계(S14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단계(S140)에서의 정보 확인 기능을 각 구동제어 되고 있는 각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 유기화합물, 급유량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에 대해서 각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 또는 관리서버(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 제공을 수신하거나 구동제어 되고 있는 모든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통합 정보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액세스를 통해 확인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수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50).After step (S140), the smart terminal 300 uses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function in step (S140) to integr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organic compounds, and oil supply amount inform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being driven and controlled. Information is periodically received from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of all IoT-based mobile heaters (100) that are operated and controlled is sent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network (20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equent monitoring function using mobile that can be checked through access to (400) (S150).

단계(S15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단계(S120)에서 따라 구동 제어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열풍기 가동시 이상 체크 기능으로, 구동 제어되고 있는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탱크(190) 중 각 연료탱크(190) 별 유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20 내지 25%) 미만인 제 1 조건이거나, 설정된 열풍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제 2 조건이거나,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TVOC)로부터 측정된 유기화합물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 3 조건인지 여부에 대해서 실시간 분석을 수행하는 제 1 내지 제 3 조건에 대한 열풍기 가동시 이상체크을 수행할 수 있으며(S160), 온도 및 유기화합물 농도 증가 및 열풍기 고온 이상 작동 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관리자단말(미도시)에게 PUSH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160). After step S150, the smart terminal 300 has an abnormality check function when operating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in step S120, and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is operated.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flow rate information for each fuel tank 190 among the at least one fuel tank 190 is less than a preset critical flow rate (20 to 25%),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it exceeds the set critical temperature of the heater, or the volatile organic An abnormality check can be performed when the heater is operated for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which performs real-time analysis as to whether the organic compound measured from the compound sensor (TVOC) is a third condition that exceeds a preset threshold (S160), When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increase and the heater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or high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reby providing a PUSH notification function to a separate manager terminal (not shown) (S160).

단계(S16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포함된 연료탱크(190)가 하나인 경우 유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20 내지 25%) 미만인 경우 단계(S110)에서 배치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연결된 보조 연료탱크(10)로부터 임계유량 미만에 해당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이 80 내지 85% 사이가 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트롤러(180)에 형성된 무선통신안테나(120)로 내장연료펌프(13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S170).After step (S160), the smart terminal 300 performs step (S110) when the flow rate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critical flow rate (20 to 25%) when there is only one fuel tank 190 includ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 corresponds to less than the critical flow rate from the auxiliary fuel tank (10)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the built-in fuel pump (130) of the controller (180) of the fuel hose (16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placed in ).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fuel pump 130 can be controll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formed in the controller 180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tank 190 is between 80 and 85% ( S170).

단계(S170)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단말(300)은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포함된 연료탱크(190)가 복수인 경우 각 연료탱크(190) 중 열풍장치(100a)로 최초로 공급을 수행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20 내지 25%) 미만인 경우 1차적으로 차순위로 공급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를 확인하여 차순위 연료탱크(190)의 임계유량(20 내지 25%)을 초과하는 유량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최초 공급 수행하는 연료탱크(190)로의 공급을 수행하고, 순차적으로 차순위 연료탱크(190)에 대한 최초 공급 수행하는 연료탱크(190)로의 공급이 완료된 경우에는 마지막에 연결된 연료탱크(190)에 대해서 단계(S110)에서 배치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연결된 보조 연료탱크(10)로부터 임계유량 미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탱크(190)의 유량이 80 내지 85% 사이가 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트롤러(180)에 형성된 무선통신안테나(120)로 내장연료펌프(13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tep (S170), the smart terminal 300 selects a hot air device ( If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fuel tank 190 that is first supplied to 100a) is less than the preset critical flow rate (20 to 25%),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fuel tank 190 that is supplied first is checked and the next-priority fuel tank is selected. For flow rates exceeding the critical flow rate (20 to 25%) of (190), fuel is first supplied to the fuel tank 190, which performs the first supply, and sequentially performs the first supply to the next-priority fuel tank 190. When the supply to the tank 190 is completed, the built-in fuel pump ( A controller (200) is used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flow rate of at least one fuel tank 190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critical flow rate from the auxiliary fuel tank 10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130) is between 80 and 85%.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fuel pump 13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formed in 180).

단계(S170) 이후, 스마트단말(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를 이용하여 양생이 수행되는 대상에 대한 양생 종료를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센서모듈에 함께 구비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 뒤, 양생 종료로 분석하는 경우 각 구역에 대한 양생을 위한 제어 대상이 되는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선택적인 구동 오프(OFF)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직접 제어하거나 모바일 앱을 통해 관리서버(400)에 대한 구동 오프(OFF) 요청을 통해 관리서버(400)에 의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해당하는 각 열풍기 전원 차단 및 연료탱크(190)에서의 열풍장치(100a)의 급유, 내장연료펌프(130)를 이용한 연료탱크(190)로의 급유를 중단할 수 있다(S180).After step S170, the smart terminal 300 uses at least on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o monitor the end of curing for the object being cured using a camera that can be equipped with a sensor module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fte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200, when analyzing the end of curing, selective oper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which is the control target for curing in each zone, is turned off. Each heater corresponding to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s turned off and the fuel tank 190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direct control or a request to turn off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mobile app. ), the refueling of the hot air device (100a) and the refueling of the fuel tank (190) using the built-in fuel pump (130) can be stopped (S18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단말(300)은 연료가 소진된 연료탱크(190)에 대한 유량 정보 뿐만 아니라, 보조 연료탱크(10)에 추가로 구비된 IoT 유량계로부터 유량 정보가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의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직접 수신되거나 관리서버(4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입출력부(340)를 통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위치정보, 그리고 연료가 소진된 연료탱크(190)의 유량 정보 및 보조 연료탱크(10)의 유량 정보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단계(S170)에서의 보조 연료탱크(10)에서 연료탱크(190)로의 급유 시작 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erminal 300 provides not only flow rate information for the fuel tank 190 with exhausted fuel, but also flow rate information from the IoT flow meter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auxiliary fuel tank 10. When received directly through the network 200 by the based mobile heater 100 or receiv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340, In addition to outputting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fuel tank 190 whose fuel is exhausted and th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fuel tank 10, refueling from the auxiliary fuel tank 10 to the fuel tank 190 begins in step S170. Time information can be output.

이를 위해 단계(S170)에서 급유 시작 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스마트단말(300) 및 관리서버(400)로 급유 시작 시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가 설치에 따라 설정된 설치번호에 따라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위치 정보 및 작동 여부를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연료탱크(10)의 연료 공급 여부, 공급 시작 시간 등이 스마트단말(300)의 최종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when starting refueling in step S170,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ransmits refueling start tim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IoT-based mobile heater ( 100) can track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number set upon installation, as well as whether fuel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fuel tank (10), the supply start time, etc. It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inal monitoring screen of the terminal 30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 :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100 :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100g :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스마트단말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30 : 저장부
340 : 입출력부
400 : 관리서버
1: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system
100: IoT-based mobile heater
100g: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200: network
300: Smart terminal
310: Transmitter and receiver
320: control unit
330: storage unit
340: input/output unit
400: Management server

Claims (5)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과 함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보조 연료탱크(10)를 배치하는 제 1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모바일 앱을 통해 관리서버(400)로의 로그인을 통해 상기 제 1 단계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관리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뒤,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선택을 통해 관리서버(400)의 중계에 따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와 데이터 세션을 연결함으로써,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가동 제어 명령을 통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컨트롤러(180)에 의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열풍장치(100a)에 대한 구동을 온(ON) 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상기 제 2 단계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400)로부터 업데이트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그룹(100g)을 포함하는 복수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 중 자신이 제어하고 있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열풍장치(100a)의 구동 온(ON) 및 구동 오프(OFF)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받아 출력함으로써, 열풍기 가동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상기 제 2 단계에서 구동 온(ON) 된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구비된 센서모듈로부터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정보, 유기화합물 농도정보, 유량계(150)로부터 복수로 형성가능한 각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정보)를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무선통신안테나(12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직접 수신하거나, 관리서버(400)의 DB에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관리서버(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구동제어 되고 있는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 유기화합물, 급유량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제 4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정보 확인 기능을 각 구동제어 되고 있는 각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온도, 유기화합물, 급유량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에 대해서 각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 또는 관리서버(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 제공을 수신하거나 구동제어 되고 있는 모든 IoT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통합 정보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액세스를 통해 확인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수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제 5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상기 제 2 단계에서 따라 구동 제어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열풍기 가동시 이상 체크 기능으로, 구동 제어되고 있는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탱크(190) 중 각 연료탱크(190) 별 유량정보(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연료탱크 내부의 최대용량 20 내지 25%) 미만인 제 1 조건이거나, 설정된 열풍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제 2 조건이거나, 휘발성유기화합물 센서(TVOC)로부터 측정된 유기화합물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 3 조건인지 여부에 대해서 실시간 분석을 수행하는 제 1 내지 제 3 조건에 대한 열풍기 가동시 이상체크을 수행하며, 온도 및 유기화합물 농도 증가 및 열풍기 고온 이상 작동 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관리자단말에게 PUSH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제 6 단계;
스마트단말(300)이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포함된 연료탱크(190)가 하나인 경우 유량정보(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연료탱크 내부의 최대용량 20 내지 25%)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치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연결된 보조 연료탱크(10)로부터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 미만에 해당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이 80 내지 85% 사이가 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트롤러(180)에 형성된 무선통신안테나(120)로 내장연료펌프(13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 7 단계; 및
스마트단말(30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를 이용하여 양생이 수행되는 대상에 대한 양생 종료를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센서모듈에 함께 구비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 뒤, 양생 종료로 분석하는 경우 각 구역에 대한 양생을 위한 제어 대상이 되는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대한 선택적인 구동 오프(OFF)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직접 제어하거나 모바일 앱을 통해 관리서버(400)에 대한 구동 오프(OFF) 요청을 통해 관리서버(400)에 의해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해당하는 각 열풍기 전원 차단 및 연료탱크(190)에서의 열풍장치(100a)의 급유, 내장연료펌프(130)를 이용한 연료탱크(190)로의 급유를 중단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방법.
Along with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n auxiliary fuel tank 10 is install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fuel hose 16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the built-in fuel pump 130 of the controller 180. The first step of placing;
The smart terminal 300 logs in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mobile app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nd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 the first step. Aft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 data session is established with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relay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selection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By connecting, the operation control command for the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turns on the hot air device 100a of the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by the controller 180 of the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ON) a second step;
The smart terminal 300 selects the IoT-based device it controls among a plurality of IoT-based mobile heaters 100 including the IoT-based mobile heater group 100g upda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in the second step.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the operating status of the hot air blower by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driving on (ON) and driving off (OFF) status information of the hot air device (100a) of the mobile hot air blower (100) through the network (2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third step is to do;
The smart terminal 300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flow meter 150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from the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turned on in the second step. ), the flow rate information (capacity information of fuel for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of each fuel tank 190, which can be formed in plur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o the network 200 ), or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in the DB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IoT-based mobile being operated and controlled A fourth step of providing an information confirmation function that output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rganic compounds, and oil supply amount of the heater 100;
The smart terminal 300 uses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function in the fourth step to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organic compounds, and oil supply amount inform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being driven and controlled. (1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periodically receives information or provides access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real time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of all IoT-based mobile heaters (100) that are operated and controlled. The 5th step of providing frequent monitoring function using mobile to check through;
As an abnormality check function when the smart terminal 300 operates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in the second step, at least one fuel tank is install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190), the flow rate information (capacity information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for each fuel tank 190 is a preset critical flow rate (threshold value for the capacity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The first condition is less than (20 to 25% of the maximum capacity inside the fuel tank), the second condition is more than the set critical temperature of the heater, or the organic compound measured from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TVOC) exceeds the preset threshold. 3. An abnormality check is performed when the heater is operated for the first to third conditions, which performs real-time analysis as to whether the condition is present, and when the temperature and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 increases and the heater operates at an abnormally high temperature, the management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A sixth step of providing a PUSH notification function to a separate administrator terminal by providing information to a .
When the smart terminal 300 has one fuel tank 190 included in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the flow rate information (capacity information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is set to a preset critical flow rate (fuel If 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for the capacity of the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tank (20 to 25% of the maximum capacity inside the fuel tank), among the refueling hoses 16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rranged in the first step. From the auxiliary fuel tank 10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the built-in fuel pump 130 of the controller 180, the amount corresponding to less than the critical flow rate (threshold for the capacity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Built-in fuel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120 formed in the controller 180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tank 190 (capacity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is between 80 and 85%. A seventh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and
The smart terminal 3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that can be equipped with the sensor module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to indicate the end of curing of the object being cured using at least on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fter analysis, when analyzing the end of curing, the selective operation of each IoT-based mobile heater (100), which is the control target for curing for each zone, is directly controlled through the network (200) or mobile Through a request to turn off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app, the management server 400 turns off the power to each hot air blower corresponding to the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and turns off the hot air device in the fuel tank 190 ( An eighth step of stopping the refueling of 100a) and the fuel supply to the fuel tank 190 using the built-in fuel pump 130;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method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스마트단말(300)이 각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에 포함된 연료탱크(190)가 복수인 경우 각 연료탱크(190) 중 열풍장치(100a)로 최초로 공급을 수행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20 내지 25%) 미만인 경우 1차적으로 차순위로 공급되는 연료탱크(190)의 유량정보(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정보)를 확인하여 차순위 연료탱크(190)의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연료탱크 내부의 최대용량 20 내지 25%)을 초과하는 유량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최초 공급 수행하는 연료탱크(190)로의 공급을 수행하고, 순차적으로 차순위 연료탱크(190)에 대한 최초 공급 수행하는 연료탱크(190)로의 공급이 완료된 경우에는 마지막에 연결된 연료탱크(190)에 대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배치된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100)의 주유 호스(160) 중 컨트롤러(180)의 내장연료펌프(130)와 연결된 끝단이 아닌 반대쪽 끝단에 연결된 보조 연료탱크(10)로부터 임계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에 대한 임계치) 미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탱크(190)의 유량(연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연료의 용량)이 연료탱크 내부의 최대용량 80 내지 85% 사이가 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컨트롤러(180)에 형성된 무선통신안테나(120)로 내장연료펌프(13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venth step is:
If the smart terminal 300 has multiple fuel tanks 190 included in each IoT-based mobile hot air blower 100, the fuel tank 190 that supplies first to the hot air device 100a among each fuel tank 190 Firstly, if the flow rate information (capacity information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is less than the preset critical flow rate (threshold value for the capacity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20 to 25%) By checking the flow rate information (capacity information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of the fuel tank 190 supplied in the next priority, the critical flow rate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of the next priority fuel tank 190 is checked. For the flow rate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for the capacity (20 to 25% of the maximum capacity inside the fuel tank), supply is preferentially performed to the first fuel tank 190, and sequentially to the next priority fuel tank 190. When the supply to the first fuel tank 19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80 of the fuel hose 160 of the IoT-based mobile heater 100 arranged in the first step is connected to the last connected fuel tank 190. ) from the auxiliary fuel tank 10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rather than the end connected to the built-in fuel pump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formed in the controller 180 through the network 200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tank 190 (capacity of fuel at a preset time stored inside the fuel tank) is between 80 and 85% of the maximum capacity inside the fuel tank.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fuel pump 130 at (120); IoT-based mobile heater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58753A 2021-05-06 2021-05-06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KR102377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53A KR102377860B1 (en) 2021-05-06 2021-05-06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53A KR102377860B1 (en) 2021-05-06 2021-05-06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60B1 true KR102377860B1 (en) 2022-03-22

Family

ID=8098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53A KR102377860B1 (en) 2021-05-06 2021-05-06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8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957A (en)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아이테크 Hot-air spraying style wet floor removal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880A (en) * 1998-04-23 1999-11-15 윤종용 Air conditioner for warm air heating
KR100608148B1 (en)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KR20140034546A (en) * 2012-09-12 2014-03-20 현대건설주식회사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50016862A (en) 2013-08-05 2015-02-13 이은재 safety a tire
KR20200119942A (en) * 2019-04-10 2020-10-21 동일정밀공업 주식회사 Air heater
KR102235876B1 (en) * 2019-11-20 2021-04-02 (주)포스코건설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880A (en) * 1998-04-23 1999-11-15 윤종용 Air conditioner for warm air heating
KR100608148B1 (en)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KR20140034546A (en) * 2012-09-12 2014-03-20 현대건설주식회사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50016862A (en) 2013-08-05 2015-02-13 이은재 safety a tire
KR20200119942A (en) * 2019-04-10 2020-10-21 동일정밀공업 주식회사 Air heater
KR102235876B1 (en) * 2019-11-20 2021-04-02 (주)포스코건설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957A (en)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아이테크 Hot-air spraying style wet floor removal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860B1 (en)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US20130066470A1 (en) Automated building monitoring system
US200600441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trigger
AU20042429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intenance of a lift or escalator installation
US20070022994A1 (en) Remote starter for a pump
US8996229B2 (en)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ommunications
US2017032052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and for operating a manufacturing system
US20080030988A1 (en) Controlling parking lighting
US8872658B2 (en) Service method of gas appliances
KR101208060B1 (en) Led illumination remote control and united management system
KR102235876B1 (en)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20140214264A1 (en) Coordinated data transmission triggers
KR102377861B1 (en) Smart remote control hot air fan
KR100968853B1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Car's Exhaust Gas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2404039B1 (en) IoT RELAY WIRELESS REPEATER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UNDERGROUND MINES AND CLOSED AREAS
KR200354169Y1 (en) Parking System
KR102057437B1 (en) Smart warning lamp system for aircraft
KR20090127249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car's exhaust gas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2093615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alfuction monitorung method
KR101295851B1 (en) Remote water level regulator
CN111913131B (en) Vehicle Heating Monitoring System
KR20150137147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CN113055818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judging locomotive signal warehousing state
KR20040005017A (en) Remote checking system of optical fiber connecting box
CN220829657U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