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546A -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546A
KR20140034546A KR1020120101009A KR20120101009A KR20140034546A KR 20140034546 A KR20140034546 A KR 20140034546A KR 1020120101009 A KR1020120101009 A KR 1020120101009A KR 20120101009 A KR20120101009 A KR 20120101009A KR 20140034546 A KR20140034546 A KR 2014003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r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17337B1 (en
Inventor
하주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3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117Radio link,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ontrol unit which monitors a site and collects first information; and if an event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occurs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t least one among the event and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a user input unit receiving, from a user,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810) Step in which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onitors a site; (S1820) Step in which an event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occurs; (S1830) Step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o a mobile terminal; (S1840) Step in which the receiv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S1850) Step in which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omman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S1860) Step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S1870) Step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operate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terminals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o view a video or television program.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In general,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한편,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적절하게 배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시켜서, 물·불·지진 등과 같은 자연풍해에 잘 견디어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concrete cures a concrete mixture containing cement, sand, gravel, and water appropriately and i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civil engineering or building structures to withstand natural winds such as water, fire and earthquake.

이러한 콘크리트는 배치 플랜트(batch plant)에서 제조되어 레미콘으로 지칭하는 콘크리트 운반차로 운반된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어 다져지고 양생된다. 배치 플랜트는 1회의 콘크리트 반죽량을 계량하여 혼합기에 투입하고 완전히 반죽된 콘크리트를 배출시키고 나서 콘크리트 반죽을 새로이 하여 투입하는 식으로 1회마다 콘크리트를 반죽하는 것이다.Such concrete is produced in a batch plant and transported to a concrete truck called a ready-mixed concrete, which is then poured into a concrete structure to be compacted and cured. The batch plant is to weigh the amount of concrete dough one time, put it into the mixer, discharge the completely mixed concrete, and then insert the new concrete dough.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될 때 수화작용을 동반하는데, 수화작용은 용질(溶質)분자 혹은 이온이 그 주위에 몇 개의 물분자를 끌어들여 하나의 분자군을 이루는 현상이므로, 하나의 분자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된다.When concrete is poured, hydration is accompanied by hydration. Hydr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solute molecule or an ion attracts several water molecules around it to form a single molecule group. Therefore, Hydration heat i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수화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되어 온도균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균열은 양생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수화열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30℃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균열은 내부와 외부표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 외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과정에서 외부표면이 건조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건조수축균열 역시 존재하게 된다.The heat of hydration rais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resulting in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which is a cause of the temperature cracking. Such temperature cracks necessarily occur at the time of curing because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s due to hydration heat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becomes 30 ° C or more. In addition to cracking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rack, there is also a drying shrinkage crack caused by drying and shrink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during the curing process.

도 1a는 양생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내부와 외부표면의 온도 및 온도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양생이 종료할 때까지는 약 12~15일 정도가 소요된다. 그리고, 수화열에 따라 내부온도는 약 90℃까지 상승되게 되고, 내부온도와의 최대 온도차는 약 6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차를 가지면서 양생된 구조물에는 균열이 발생되게 된다.FIG. 1A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surfaces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curing time. FIG. It takes about 12 ~ 15 days to complete curing. Then, according to the hydration heat, the internal temperature is raised to about 90 DEG C,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internal temperature is about 60 DEG C or more. Therefore, cracks are generated in the cured structures having such a temperature difference.

특히, 외기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는 서중(暑中)에는 외부온도의 상승과 함께 수화열도 동반하여 상승하게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균열은 더욱 심하게 발생될 수도 있다. 그래서, 당업계에서는 온도균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재료적 대책, 시공적 대책, 그리고 구조적 대책 등 여러가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하절기 서중에 콘크리트의 시공적 대책으로는 아이스 플랜트 등에 의한 프리 쿨링(Pre-cooling)과 파이프 쿨링(Pipe cooling) 등이 이용되고, 또 다른 방법으로 외부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외부표면으로 물을 분사시켜 외부표면을 적시는 방법 등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hot weather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rises greatly, the heat of hydration is accompanied with the ris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crack of the concrete structure may be more severely generated.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various measures such as material countermeasures, construction countermeasures, and structural countermeasures are used to reduce temperature cracks. Especially, during construction in summer, pre-cooling by ice plant, cooling and pipe cooling are used. Another method is to install a pipe on the outside and spray water on the outer surface to wet the outer surface.

전자의 프리 쿨링은 모래나 자갈을 얼음물에 담근 다음 시멘트와 혼합하거나 골재나 모래에 차가운 냉각수를 뿌려주는 것이며, 후자의 파이프 쿨링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구조물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파이프를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파이프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콘크리트를 양생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다.The precooling of electrons is to immerse sand or gravel in ice water and then to mix with cement or to cool aggregate or sand with cool cooling water. The latter pipe cooling method is to place a pipe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structure before concrete pouring, It is a method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concrete by curing the concrete while circulating cooling water through the pipe.

도 1b는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에 파이프(30)를 설치하여 물을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분사시키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0)를 통해 물을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적시게 됨으로써 건조수축시에 발생되는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하게 된다. FIG. 1B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spraying water onto an outer surface 20 of a concrete structure 10 by installing a pipe 30 outside a conventional concrete structure 10. As shown in FIG. 1B, the water is wett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pipe 30, thereby preventing drying shrinkage cracks occurring during drying shrinkage.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할 뿐 외부표면(20)과 내부의 온도차에 의한 균열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this method prevents drying shrinkage cracking, but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crack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the outer surface 20 are still generated.

또한, 도 1c는 종래의 파이프(30) 쿨링방법에 의한 온도차 저감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에는 냉각수(60)가 저장되고, 펌프(미도시)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30)로 냉각수(60)가 공급된다. 따라서, 냉각수가 콘크리트 구조물내부에 흐르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 물의 내부를 냉각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가 냉각됨으로써 외부표면(20)과 내부의 온도차를 저감시키게 된다.1C schematically shows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by a conventional pipe 30 cooling method. 1C, the cooling water 60 is stored in the water tub 100 and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to the pipe 30 installed in the concrete structure 10 by a pump (not shown).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flows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to cool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oled,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그러나, 프리 쿨링은 아이스 플랜트 설비가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정확한 온도제어가 되지 못하며, 파이프 쿨링만 하는 경우는 내부의 온도만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으로 내외부 온도차 저감효과가 본 발명에 비해 적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cooling is complicated and the cost of the ice plant is increased, and temperature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accurately. In the case of only pipe cooling, only the internal temperature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더 나아가, 전술한 장비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양생 과정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way for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curing process at a short distance or at a long dist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bove-mentioned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줄이기 위해서 설비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며, 시공성이 용이한 온도균열 저감방법 및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emperature crack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도균열 저감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온도균열 저감장치가 수신하여, 수신한 정보에 따라 양생 과정을 수행하는 양생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emperature crack reduction apparatus to a mobile terminal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near-field communication, receiv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a curing automation system that performs the curing process according to one piece of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는,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2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monitors a site and collects first information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to the mobile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when an event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second control uni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rom a user;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y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ause the cy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 1 무선 통신부와 제 2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and ZigBee technolog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 And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echnique.

또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현장의 양생 과정 중 에러(error)가 발생된 이벤트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오프(off)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vent may include an event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site and an event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n on- ) Or off (off) information.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s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designated in advance,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는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온도차 저감장치이고, 상기 온도차 저감장치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된 메인수조;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메인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수조에 저장된 상기 냉각수가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는 감소되고, 내부로 공급된 상기 냉각수가 가열되어 가열냉각수를 출력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서 의해 출력되는 가열냉각수가 내부로 공급되며, 외면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 냉각수가 상기 구멍으로 배출되는 호스; 내부에 가열수가 저장된 보조수조; 및 상기 보조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가열수를 상기 외부표면에 공급하는 공급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상기 특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수조에서 상기 파이프로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온도 미만에서는 보조수조에서 상기 공급파이프로 상기 가열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that is formed in a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concrete after a steel frame is assembled, a form is installed, concrete is poured into a form, A main water tank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cooling water circulation conduits disposed in the mold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by the pouring of the concre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concrete structure, A pipe through whic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reduced and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is heated to output heating cooling water;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ipe through the holes. hose; An auxiliary water tank in which heated water is store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and supplying the heating water to the outer surfac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to the pipe from the main water tank and supply the heating water to the supply pipe from the auxiliary water tank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pecific temperature.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의 출력단은 상기 파이프와 상기 호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상기 특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공급파이프에 의해 상기 호스로 상기 가열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변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utput end of the supply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pipe and the hose,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lower than the specific temperature,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is cut off, And may further comprise a conversion valve configured to supply water.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ncrete curing process using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onitors the site Collecting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an event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The cy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to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by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또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gnitive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technolog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또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현장의 양생 과정 중 에러(error)가 발생된 이벤트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오프(off)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vent may include an event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site and an event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an on- ) Or off (off) information.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s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designated in advance,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the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the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the curing information by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the first information ; Generating an event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The cy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to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by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또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gnitive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technolog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If at least one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줄이기 위해서 설비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하며, 시공성이 용이한 온도균열 저감방법 및 저감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 method and a device for reducing temperature cracks, which can simplify facilities to reduce temperature cracks of concrete, reduce cost, enable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and facilitate easy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온도균열 저감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온도균열 저감장치가 수신하여, 수신한 정보에 따라 양생 과정을 수행하는 양생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erature crack reduc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temperature crack reduction apparatus to a mobile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near-field communication, receiv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curing automation system that performs the c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표면 온도와 내부 온도 및 온도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종래 외부에 설치된 파이프를 이용하여 외부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건조수축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c는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파이프 관을 설치한 온도차 저감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 과정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조작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양생 자동화 과정이 수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양생 자동화 과정이 수행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평면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FIG. 1A is a graph showing an external surface temperature, an internal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f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1B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preventing drying shrinkage cracking by spraying water onto an outer surface using a pipe installed in the outside.
1C is a schematic view of a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ipe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n a conventional concrete struct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A.
2C is a plan view of the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flow of a conversion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conversion concret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curing process-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6A.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uring autom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uring automation process performed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shows an example of a plan view of the conversion 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conversion 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converting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양생정보 관리장치와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선결적으로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양생정보 관리장치를 도 2a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4. Fig.

도 2a 내지 도 3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양생정보 관리장치는 콘크리트의 양생화 과정에 관여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Figs. 2A to 3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a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ay include all the devices capable of participating in the curing process of concre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표면(20) 상단에 설치된 호스(300),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50)를 관통하고 있는 파이프(120), 냉각수(60)가 저장된 메인수조(100), 제1펌프(110), 물 회수용 덕트(400), 양생포(200), 보온부재(210), 회수관(130), 내부(50)에 가열수(61)가 저장된 보조수조(700), 제 2펌프(730), 가열수(61)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710),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740), 제3펌프(75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2A,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includes a hose 3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 pipe 120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e main water tank 100 in which the cooling water 60 is stored, the first pump 110,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 curing cloth 200, the warming member 210, the recovery pipe 130, A supply pipe 710 for supplying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with the heating water 61, a second pump 730 and heating water 61, a connection pipe 710 for connecting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 second pump 740, a third pump 750, and a controller 600.

파이프(1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에 매설, 관통되어 있다. 파이프(12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에 매설되게 된다. 파이프(120)는 냉각수(60)를 저장하는 메인수조(100)와 연결되어 있다. 메인수조(100)에는 물이 공급되고, 일정량의 냉각수(60)가 저장된다. 그리고, 파이프(120)와 메인수조(100) 사이에는 제1펌프(110)가 구비되어,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가 제1펌프(110)에 의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된다.The pipe 120 is embedded in and penetrates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s shown in FIG. 2A. The pip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formwork and embedded in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fore the concrete is installed. The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for storing the cooling water 60.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and a certain amount of cooling water 60 is stored. A first pump 110 is provided between the pipe 120 and the main water tank 100 so that 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is supplied to the pipe 120 by the first pump 110 do.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는 제1펌프(110)에 의해 파이프(120) 내부로 공급된다.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에 의해 가열된다. 즉, 양생 초기단계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는 약 60~100℃이고, 냉각수(60)의 온도는 약 0~30℃이므로 상호 간의 열전달에 의해 냉각수(60)는 가열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는 냉각되게 된다.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is supplied into the pipe 120 by the first pump 110.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is hea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at is, in the early stage of c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about 60 to 100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60 is about 0 to 30 ° C. Therefore, the cooling water 60 is heated by mutual heat transfer, The inside of the structure 50 is cooled.

냉각수(60)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의 온도에 의해 가열되어 가열냉각수로서 호스(300)에 공급되게 된다.The cooling water 60 is hea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and supplied to the hose 300 as heating cooling water.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는 제1펌프(110)에 의해 파이프(120)에 공급되고,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냉각수(60)의 공급속도, 파이프(120) 내의 유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제1펌프(110)는 인버터 펌프로 구성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파이프(120) 내부에 존재하는 냉각수(60)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 사이에 상호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량속도를 갖도록 냉각수(60)가 파이프(120)로 공급된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120) 내에 냉각수(60)의 유량속도는 호스(300)에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결정하게 된다. 호스(300)에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40~70℃정도가 되도록 제어부(600)는 파이프(120) 내의 냉각수(60) 유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is supplied to the pipe 120 by the first pump 110 an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pump 110 to control the supply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rate in the pipe 120. That is, the first pump 110 may be an inverter pump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600.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to the pipe 120 between the cooling water 60 existing in the pipe 120 and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so as to have a flow rate at which mutual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in the pipe 120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in the pipe 12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about 40 to 70 ° C.

호스(300)는 파이프(120) 각각에 연결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의 끝단은 폐쇄부로 구비되고, 외면에는 복수의 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300)에 공급된 가열냉각수는 호스(300) 구멍(3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hose 3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ipes 120 and at least on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2A, the end of the hose 300 is provided as a closed por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310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refore, the heat-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e 310 of the hose 300.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에서 높은 쪽 상단 외부표면(20)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A, the hose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upper,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따라서, 호스 구멍(310)을 통해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하부쪽으로 외부표면(20)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Thus, the heat-cool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se hole (310) flows downward on the outer surface (20) by gravity naturally.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는 물회수용 덕트(400)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receiving duct 400.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회수용 덕트(4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 하단 일측면에 구비된다. 또는 이러한 물 회수용 덕트 (400) 대신에 콘크리트 구조물(10) 하부와 지면사이에 수로를 구성하여 가열냉각수를 회부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water recovery duct 4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 water channel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ground to transfer the heating cooling water.

따라서, 가열냉각수는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이게 되고,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된다.Accordingly, 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covery pipe 130.

호스 구멍(310)에 의해 배출된 가열냉각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은 가열된다.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lant water discharged by the hose hole 310.

즉, 가열냉각수의 온도는 40~70℃정도가 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은 10~30℃ 정도에 이르기 때문에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이 가열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는 냉각되고,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은 가열되어 내부(50)와 외부표면(20)의 온도차가 저감된다.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is about 40 to 70 ° C., and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reaches 10 to 30 ° C., so that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ling water.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oled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heated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50 and the exterior surface 20. [

그리고, 양생중,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 더이상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아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 제어부는 제1펌프(110)의 작동을 중단시켜 파이프(120)로 냉각수(60)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켜 보조 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공급하게 된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during curing, the cooling water 60 is no longer heated and the external surface 20 is heated Can not. 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0, The supply is interrupted.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second pump 730 to supply the heated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do.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이 구비되고, 저장된 가열수(61)를 40~70℃정도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는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 표면(20)으로 공급되어 가열수(6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 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A,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and the stored heated water 61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70.degree.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and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y the heating water 61 (20) is heated.

그리고, 보조수조(700)와 메인수조 (100)사이에는 연결파이프(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가 보조수조(700)로 공급되고, 보조수조(700)에 구비된 가열수단(500)에 의해 냉각수(60)가 가열되어 가열수(61)가 공급파이프(71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 표면(2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a connection pipe 74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nd the main water tank 100. 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nd the cooling water 60 is heated by the heating means 500 provid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y a supply pipe (710).

또한, 도 2b는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에는 파이프(120)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120)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가 흐르면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를 냉각하게 된다.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As shown in FIG. 2B,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provided with a pipe 120. The pipe 120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flows to cool the inside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에서, 높은 쪽 상단 외부표면(20)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호스 구멍(310)을 통해 배출된 가열 냉각수(60)는 자연스럽게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을 따라 하부 쪽으로 흐르게 되고, 흘러내린 가열냉각수는 물 회수용 덕트(400)로 모이게 된다. 2b, the hose 300 is loc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10 at the upper, upper, outer surface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heat-cooling water 60 discharged through the hose hole 310 flows naturally dow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flowing heat-cooling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는 양생포(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 회수용 덕트(40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흘러내린 가열냉각수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냉각수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provided with a curing fabric 200. The main water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a return pipe 130 and a return pipe 130 connecting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position where the heated water cooling water is collected, And a recovery pump (not shown) for recovering the heated cooling water.

양생포(200)는 부직포 등과 같은 면재질로 구비된다. 따라서, 호스 구멍(310)에서 배출되는 가열냉각수 일부가 양생포(200)에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가열냉각수를 흡수한 양생포(200)는 항상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접촉해 있기 때문에, 가열냉각수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항상 닿아 있게 된다. 호스 구멍(310)에 의해 배출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는 40~70℃정도에 해당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The curing fabric 200 is made of a surface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Therefore, a part of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hole 310 is absorbed by the curing cloth 200. Therefore, since the curing cloth 200 absorbing the heating cooling water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e heating cooling water always touches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cooling water discharged by the hose hole 310 corresponds to about 40 to 70 ° C.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표면(20)은 대략 10~30 ℃ 정도에 해당하여 배출되는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은 가열되게 된다.The surface 20 is heated to about 10 to 30 DEG C so that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ed cooling water.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과 내부(50) 각각에 표면부 온도센서(71)와 중심부 온도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에 설치된 중심부 온도센서(72)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거푸집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00)가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표면(20)에 설치된 표면부 온도센서(71)와 콘A surface temperature sensor 71 and a central temperature sensor 72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inner surface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respectively. The central temperature sensor 72 install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before the concrete is laid. 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600 detect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71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크리트 구조물 내부(50)에 설치된 온도센서(72)에 의해 외부표면(20)과 내부(50) 사이의 온도차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된 온도차에 기초하여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파이프(120)에 공급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조절하여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inside 50 can b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72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rest structure 5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cooling water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by controlling the first pump 110 based on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fference.

양생포(200)는 가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양생포(200)가 외부표면(20)에 접하게 됨으로써 호스구멍(310)으로 배출되는 가열냉각수는 계속 빈틈없이 외부표면(20)과 접하게 되어 더욱 신속하게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키게 된다. 또한, 양생포(200)와 호스(300)는 보온 부재(210)에 의해 덮여 있 다. 보온부재(210)를 양생포(200) 위에 덮음으로써 가열수(61)가 보온된다. 즉, 더욱 오랜 시간 동안 가열수(61)의 온도를 유지시켜 가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온부재(210)는 보온 효과를 갖는 비닐캔버스, 버블시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Curing fabric 200 is installed to increase heating efficiency. The heating water discharged into the hose hole 310 by the contact of the cyan foam 200 with the outer surface 20 continue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20 continuously to more quickly contact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 In addition, the curing cloth 200 and the hose 300 are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210. The heating member (61) is kept warm by covering the curing agent (200) with the insulating member (210). That is,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61 for a longer time. The insulating member 210 may be a vinyl canvas or a bubble sheet having a thermal effect.

그리고, 양생중,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 더 이상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아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의 작동을 중단시켜, 파이프(120)로 냉각수(60)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으로 공급하게 된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during curing, the cooling water 60 is no longer heated and the external surface 20 is heated . 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0,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60 is cut off.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second pump 730 to supply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do.

또한,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이 구비되고, 저장된 가열수(61)를 40~70℃정도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는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 표면(20)으로 공급되어 가열수(6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and the stored heating water 61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70 ° C.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concrete structure outer surface 2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so that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heated by the heating water 61 do.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는 제1펌프(11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에 구비된 파이프(120)로 공급된다.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 양생단계에서는 파이프(120) 내에 흐르는 냉각수(60)는 가열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는 냉각되게 된다.2C is a plan view of the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is supplied to the pipe 120 provi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by the first pump 1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pump 110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In the initial curing step,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is heated and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is cooled.

파이프(120) 내에서 가열된 냉각수(60)는 가열냉각수로서 호스(300)로 공급되고, 파이프(120)에 공급된 가열냉각수는 호스(300)에 형성된 구멍(310)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310)으로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물 회수용 덕트(400)까지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모이게 된다.The cooling water 60 heated in the pipe 120 is supplied to the hose 300 as heating cooling water and the heat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pipe 120 is discharged to the hole 310 formed in the hose 300. As shown in FIG. 3B, the heat-cooling water discharged into the hole 310 naturally flows down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is collected.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생포(200)가 외부표면(20)을 덮고 있고, 양생포(200)에 흡수된 가열냉각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 그리고, 양생포(200) 위에 보온부재(210)를 포함하고 있어,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더욱 오랫동안 유지시키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회수용(400)에 모인 가열냉각수는 회수관(130)으로 다시 메인수조(00)로 회수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냉각수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냉각수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ring cloth 200 covers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heated by the heated cooling water absorbed by the curing cloth 200. In addition, the curing agent 200 includes the insulating member 21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ling water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3B, the heating cool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container 400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00 by the recovery pipe 130 agai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recovery pump for recovering the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a recovery pipe 130 and a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heated cooling water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

그리고, 양생중,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 정도)가 되면, 더 이상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아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 제어부는 제1펌프(110)의 작동을 중단시켜, 파이프(120)로 냉각수(60) 공급을 차단 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켜 보조 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공급하게 된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during curing, the cooling water 60 is no longer heated and the external surface 20 is heated . 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0, ) Suppl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pump 730 to supply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이 구비되고, 저장된 가열수(61)를 40~70℃정도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킨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는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 표면(20)으로 공급되어 가열수(6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 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As shown in FIG. 2C,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and the stored heated water 61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70 ° C.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supply pipe 710 and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y the heating water 61, Is heated.

외부표면(20)에 공급된 가열수(61)는 양생포에 흡수되어 흘러내려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물 회수용 덕트(400)에 연결된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되게 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수(61)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수(61)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가열수(61)를 메인수조(100)로 회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 사이에는 연결 파이프(740)를 구비하여, 메인수조(100)에 냉각수(60)가 보조수조(700)에 공급되고, 보조수조(700)에 설치된 가열수단(500)에 의해 가열된 가열수(61)가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로 공급되면서 순환하게 된다.The heated water (61)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is absorbed by the curing cloth and flows down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n, the water is return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connected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 heating water 61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and the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flowing down heated water 61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covery pump so as to recover the heating water 61 to the main water tank 100. A connection pipe 74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so that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e heated water 61 heated by the installed heating means 500 is circulated while being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제어부(600)에 의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 중심에 구비되는 중심부 온도센서(72)와 외부표면(20)에 구성되는 표면부 온도센서(71)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중심부 온도센서(72)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 온도를 전송받고, 표면부 온도센서(71)로부터 외부표면(20) 온도를 전송받아 내부(50)와 외부표면(20) 사이의 온도차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게 된다.FIG. 3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the control unit 600 of the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entral temperature sensor 7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71 formed at the external surface 20. [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from the center temperature sensor 72 and receives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20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71 to receive the inner surface 50 and the outer surface 20 ) In real time.

콘크리트 구조물(10) 양생이 시작되고, 수화열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차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작동시켜 파이프(120)에 냉각수(60)를 공급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first pump 110 to supply the cooling water 60 to the pipe 120 when the concrete structure 10 begins to be cured and become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e heat of hydration.

그리고, 온도센서는 파이프(120) 내부와 공급파이프(710) 내부 및 호스(300)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파이프(120) 내부 온도, 공급파이프(710)의 내부온도 및 호스(300)에 흐르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온도센서가 감지한다.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와 외부표면(20)의 온도차, 파이프(120) 내부 온도, 및 가열수(61)의 온도에 기초하여 파이프(120)에 공급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조절한다. 파이프(120)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결정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ipe 120, inside the supply pipe 710, and inside the hose 300.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pipe 120,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upply pipe 7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flowing in the hose 300.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pump 110 to control the pipe 120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exterior surface 20,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ipe 120,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is controlled.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side the pipe 120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또한, 제어부는 보조수조(700)에 구비된 가열수단(5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에 기초하여, 가열수(61)를 40 ~80℃로 가열하고,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열수(61)의 유량속도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means 500 provid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nd heats the heating water 61 to 40 to 80 ° C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e flow speed of the heating water 61 supplied through the pipe 710 is controlled.

그리고, 제어부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예를 들어, 50℃)이상이 되는 경우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키지 않지만, 특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제2펌프(730)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20)를 통한 냉각수(60) 공급은 중단되고,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표면(20)으로 가열수(61)를 공급하도록 제2펌프(730)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second pump 730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50 ° C)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730 is stopped.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60 through the pipe 120 is stopped and the second pump 730 is controlled to supply the heating water 61 to the concrete structure outer surface 20 via the supply pipe 710 .

또한, 무선 통신부(780)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Als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8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us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ies.

또한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 single mode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t least one can be used.

또한, 디스플레이부(79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90 may display the collected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0.

여기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used herei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가 적용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concrete using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를 참조하면,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B, the reinforcing bars are assembled and the formwork is installed.

그리고, 거푸집 내부에는 파이프(120)를 설치한다. 또한, 거푸집 내부에 온도센서(71, 7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을 형성한다(S10-1).A pip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In addition,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ld. Then,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formwork (S10-1).

그리고, 파이프(120) 각각에 대하여 일측 끝단은 냉각수(60)가 저장된 메인수조(100)와 연결시키고, 타측 끝단은 호스(300)와 연결한다. 파이프(120)와 연결된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설치되어 진다(S2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의 끝단은 막혀있고, 외면에는 복수의 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설치된다.One end of each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in which the cooling water 60 is stor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300. The hose 300 connected to the pipe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S20-1).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hose 300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holes 31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hose 300 is the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생이 시작되면서,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와 외부표면(20)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S30-1).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와 내부(50)에 설치된 온도센서(71, 72)는 외부표면(20)과 내부(50)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600)는 온도센서(71, 72)에서 감지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 온도와 내부(50)의 온도에 의해 온도차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게 된다.As cur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gins,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outside surface 20 is generated by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concrete (S30-1).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installed in the interior 50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interior 50. [ The control unit 600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real time by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5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제어부(600)는 연산된 온도차에 의거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되는 냉각수(60)의 공급속도, 즉, 파이프(120) 내에 흐르게 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120) 내에 흐르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는 호스(300)로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결정짓게 된다.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e supply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based on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f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따라서, 실시간으로 연산된 온도차에 근거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가 제어부(6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by the control unit 600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lculated in real time.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설정된 유량속도로 파이프(120) 내로 냉각수(60)를 공급하게 된다(S40-1). 파이프(120)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60)는 파이프(120) 내에 흐르면서, 가열되게 된다. 즉, 초기 양생단계에서,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는 약 0~30℃의 온도를 갖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 온도는 약 70~100℃정도에 해당함으로 냉각수(6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가 냉각된다(S50-1).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pump 110 to supply the cooling water 60 into the pipe 120 at the set flow rate (S40-1).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into the pipe 120 flows through the pipe 120 and is heated. That is, in the initial curing step,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has a temperature of about 0 to 30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about 70 to 100 ° C.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60 (S50-1).

그리고, 동시에,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는 가열되게 된다. 가열된 냉각수(60)는 가열냉각수로써, 호스(300)로 공급된다(S6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에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는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50)온도와 파이프(120) 내에 흐르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600)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조절하여 가열냉각수의 온도가 40~70℃정도가 되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is heated. The heated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as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hose 300 (S60-1).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is about 40 to 70 ° C.

그리고, 호스(300)로 공급된 가열냉각수는 호스(300) 외면에 구비된 구멍(310)으로 배출된다(S7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설치된다. 따라서, 호스구멍(310)에서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외부표면(20)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려올 수 있다. 그리고, 외부표면(20)은 양생포(200)에 의해 덮여있다. 따라서, 양생포(200)는 가열수(61) 일부를 흡수하고, 양생포(200)에 흡수된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이 가열된다(S80-1).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생포(200)는 보온부재(210)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보온부재(210)에 의해 보온효과를 가지면서, 외부표면(20)이 효율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20)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6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가 냉각되고, 호스 구멍(310)으로 배출되는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이 가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와 외부표면(20)의 온도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Then, 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ischarged to the hole 310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300 (S70-1). As described above, the hose 3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us, the heat-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hole 310 can flow naturally along the outer surface 20. [ The outer surface 20 is covered by the curing cloth 200. Therefore, the curing cloth 200 absorbs a part of the heating water 61, and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ling water absorbed in the curing cloth 200 (S80-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ing cloth 200 is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210, the outer surface 20 can be heated efficiently while keeping the insulating effect by the insulating member 210. Accordingly,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side the pipe 120, and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ling water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50 and the outer surface 20. [

호스구멍(310)에서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여 회수관(130) 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된다(S90-1). 그리고, 이러한 순환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가 되기 전까지 계속된다. 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hole 310 is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covery pipe 130 in step S90-1. This circulation is continued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set specific temperature.

또한, 흘러내린 가열냉각수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냉각수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가열냉각수를 메인수조(100)로 회수시킬 수도 있다.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recovery pump for recovering the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a recovery pipe 130 and a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heated cooling water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So that the heating cooling water can be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 정도)가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너무 낮아, 더 이상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S100-1), 제어부는 제1펌프(110)의 작동을 중단시켜 파이프(120)로 냉각수(60) 공급을 차단 시키게 된다(S110-1). 그리고, 제어부(600)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로 공급하게 된다(S120-1)Furthe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too low, And the outer surface 20 can not be heated. 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 C) (S100-1),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0,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60 is interrupted (S110-1).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second pump 730 to supply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supply pipe 710 (S120-1)

그리고,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가열수(61)가 공급하게 된다(S130-1).Then, the heating water 61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S130-1).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가열수(61)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키게 된다(S140-1).Thus, heating water 61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o heat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S140-1).

또한,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이 구비되고, 저장된 가열수(61)를 40~70℃정도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킨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는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 표면(20)으로 공급되어 가열수(6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 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 외부표면(20)에 공급된 가열수(61)는 양생포에 흡수되어 흘러내려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물 회수용 덕트(400)에 연결된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되게 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수(61)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수(61)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and the stored heated water 61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70 ° C.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supply pipe 710 and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y the heating water 61, Is heated. The heated water (61)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is absorbed by the curing cloth and flows down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n, the water is return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connected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 heating water 61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and the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flowing down heated water 61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And may further comprise a recovery pump.

그리고,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 사이에는 연결 파이프(740)를 구비하여, 메인수조(100)에 냉각수(60)가 보조수조(700)에 공급되고, 보조수조(700)에 설치된 가열수단(500)에 의해 가열된 가열수(61)가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로 공급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 부온도가 특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시작되어 양생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 양생이 종료된 후에, 파이프(120) 내를 그라우팅 충진하여 구조물(10)을 완성하게 된다.A connection pipe 74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so that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e heated water 61 heated by the installed heating means 500 is circulated while being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This circulation is start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nd is continued until curing is finished. Finally,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mpleted, the structure 10 is completed by grouting and filling the pipe 120.

한편,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 과정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조작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ing process is displayed and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790)를 통해 양생 과정과 관련된 소정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ing process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790. FIG.

또한, 도 3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0)를 함께 표시하였다.3A, a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6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is also show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the portable terminal.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기(1100)는 무선 통신부(1110), A/V(Audio/Video) 입력부(1120), 사용자 입력부(1130), 센싱부(1140), 출력부(1150), 메모리(1160), 인터페이스부(1170), 제어부(1180) 및 배터리(1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120, a user input unit 1130, a sensing unit 1140, an output unit 1150, a memory 1160, A controller 1180, a battery 1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10)는 휴대 단말기(1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100)와 휴대 단말기(1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12), 무선 인터넷 모듈(1113), 근거리 통신 모듈(1114) 및 위치정보 모듈(1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15, and the like. .

방송 수신 모듈(1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such as DVB-CB, OMA-BCAST, o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60.

이동통신 모듈(1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100 or externally.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technology of the wireless Internet.

근거리 통신 모듈(1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 정보 모듈(1115)은 휴대 단말기(1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away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a triangulation method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chord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s obtaine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accurately.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15 may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도 5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121)와 마이크(1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121 and a microphone 1122. The camera 1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1151. [

카메라(1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121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

이때, 카메라(1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cameras 1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일 예로, 상기 카메라(1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51)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1121a, 1121b)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1100)의 디스플레이부(1151)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1121c)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112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s 1121a and 1121b for shooting 3D imag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re the display unit 1151 is provided, A third camera 1121c for self-photographing of the user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terminal 1100 on which the display unit 1151 is provided.

이때, 제1 카메라(1121a)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1121b)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amera 1121a may be for photographing a left eye image that is a source image of a 3D image, and the second camera 1121b may be for photographing a right eye image.

마이크(1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1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The user input unit 11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사용자 입력부(1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30 may receive from the user a signal designating two or more contents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for designating two or more contents may be received via the touch input, or may be received via the hard key and soft key input.

사용자 입력부(1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1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3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the one or more content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100 can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to generate an icon related to a function that the portable terminal 1100 can perform.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30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140)는 근접 센서(1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battery 1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141. The proximity sensor 141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lation to the touch screen.

출력부(1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151), 음향 출력 모듈(1152), 알람부(1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151, an acoustic output module 1152, an alarm unit 1153, a haptic module 154 and a projector module 1155,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2D and 3D display modes.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1)는 이하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151a)에 스위치 액정(1151b)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1151b)을 이용하여 광학 시차 장벽(50)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151a)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That is, the display unit 1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witch liquid crystal 1151b is combined with a general display device 1151a as shown in FIG. 5 below. Then, the optical parallax barrier 50 is operated by using the switch liquid crystal 1151b to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so that different lights can b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Therefore, when a combined image of the right eye image and the lef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51a, the user can see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eye and feel as if the image is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즉, 디스플레이부(1151)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151b) 및 광학 시차 장벽(50)을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1a)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80, the display unit 1151 drives only the display device 1151a without driving the switch liquid crystal 1151b and the optical parallax barrier 50 in the 2D display mode Performs normal 2D display operation.

또한, 디스플레이부(1151)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151b)과, 광학 시차 장벽(50) 및 디스플레이 장치(1151a)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1a)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151 drives the switch liquid crystal 1151b and the optical parallax barrier 50 and the display device 1151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80 in the 3D display mode, 1151a to perform a 3D display oper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portion 1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portion 1151 of the terminal body.

휴대 단말기(1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For exampl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15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80)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controller 1180. Thus, the control unit 1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기 근접 센서(1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The proximity sensor 1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wrapped by the touch screen,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52)은 휴대 단말기(1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152 can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or stored in the memory 1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associated with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100. The sound output module 1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153)는 휴대 단말기(1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51)나 음성 출력 모듈(1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inputting a key signal,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1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152. In this case, the display 115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be a kind of alarm unit 1153. May be classified.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15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154)은 휴대 단말기(1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1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a user to feel a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ular sensation such as a finger or an arm. At least two haptic modules 1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프로젝터 모듈(1155)은, 휴대 단말기(1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155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is similar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5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180 Or at least partly display another image on an external screen or wall.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155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that generates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 light source And a lens (not shown)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Further, the projector module 1155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to adjus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프로젝터 모듈(1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1155 can be divided into a CRT (Cathode Ray Tube) modu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play means. In particular, the DLP module may be advantageous in downsizing the projector module 1151 by enlarging and projecting an image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on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155)은, 휴대 단말기(1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155)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1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referably, the projector module 115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front or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jector module 1155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as necessary.

메모리(1160)는 제어부(1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송수신 메시지 히스토리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180 and ma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e.g., telephone directory, message, audio, still image, electronic book, History, and the like). The memory 116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e.g., each telephone number, each message, and frequency of use for each multimedi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메모리(1160)는 본 발명에 따라, 3D 또는 2D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웹브라우저가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memory 1160 stores a web browser displaying a 3D or 2D web p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메모리(1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The portable terminal 1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170)는 휴대 단말기(1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170 serves as a path to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100. The interface unit 1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100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1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181)은 제어부(1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180.

상기 제어부(1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한편, 제어부(1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51)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TOLED(Transparant OLED)로 구비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된 프리뷰 영상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또는 TOLED(Transparant OLED)의 화면 상에 풀업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의 크기가 조절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크기가 조절된 프리뷰 영상이 표시된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영역 내의 화소들의 구동을 오프시킴으로써, 전원 공급부(119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151 is formed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TOLED (Transparent OLED), the controller 118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51, When the preview image is pulled up on the screen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the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size of the preview ima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90 to the display unit 151 can be reduced by turning off the driving of the pixels in the second area except for the first area where the preview image with the adjusted preview image is displayed.

전원 공급부(119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1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180. [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100)는 바 형태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portable terminal 1100 includes a bar-shaped main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101 and a rear case 1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101 and the rear case 1102. [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01 and the rear case 1102. [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휴대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101)에는 디스플레이부(1151), 음향출력부(1152), 제3 카메라(1121c), 사용자 입력부(1130/1131,1132), 마이크(1122), 인터페이스(1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body 1101 mainly includes a display unit 1151, an audio output unit 1152, a third camera 1121c, user inputs 1130/1131 and 1132, a microphone 1122, an interface 1170, Etc. may be disposed.

디스플레이부(1151)는 프론트 케이스(1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151)와 카메라(1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131)와 마이크(1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132)와 인터페이스(1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1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101. A sound output unit 1151 and a camera 1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151 and a user input unit 1131 and a microphone 1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1132 and the interface 1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102. [

사용자 입력부(1130)는 휴대 단말기(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131,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31,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131 and 1132. The operation units 1131 and 1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131, 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32)은 음향출력부(1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s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units 1131 and 1132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132 receives a command to adjust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152, The touch recognition mode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6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6A.

도 6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102)에는 제3 카메라(1121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카메라(1121c)는 제1 및 제2 카메라(1121a, 1121b)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및 제2 카메라(1121a, 1121b)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a third camera 1121c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102. FIG. The third camera 1121c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121a and 1121b and may be a camera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pixels as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121a and 1121b have.

제3 카메라(1121c)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123)와 거울(1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123)는 제3 카메라(1121c)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124)은 사용자가 제3 카메라(1121c)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123 and a mirror 112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camera 1121c. The flash 112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third camera 1121c. The mirror 1124 enable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third camera 1121c.

휴대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 모듈(1152, 도 6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152 (see FIG. 6A) and may be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akerphone mode during the call.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6)가 휴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11, 도 5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116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An antenna 1116 forming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11 (see FIG. 5)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10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 power supply unit 1190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리어 케이스(1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135)는 디스플레이부(1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The rear case 1102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1135 for sensing a touch. The touch pad 1135 may be of a light transmitting type for the display portion 1151. [ In this case, if the display unit 1151 is configured to output the time information on both sides (i.e., in the directions of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the tim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pad 1135 do. The information output on both surfaces may be controlled by the touch pad 1135. [

한편, 터치 패드(1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display for the touch pad 1135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touch screen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1102.

터치 패드(1135)는 프론트 케이스(1101)의 디스플레이부(1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135)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135)는 디스플레이부(1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pad 1135 operates in correlation with the display portion 1151 of the front case 1101. The touch pad 1135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151. [ The touch pad 1135 may have a siz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portion 1151.

이하에서는, 전술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 및 이동 단말기(1100)를 기초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nd the mobile terminal 1100. [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양생 자동화 과정이 수행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uring autom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양생 자동화 시스템은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 및 이동 단말기(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을 시스템이 더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the curing automation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nd a mobile terminal 110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ystem to adopt additional configurations as needed.

도 7을 참조하면, 현장(3000)에 위치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전술한 장치 및 방법을 기초로 현장에 적용되는 양생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located at the site 3000 collects specific information on the curing process applied to the sit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이때, 수집되는 정보는 중심부의 온도 정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 온도 정보, 외부표면(20) 온도 정보, 내부(50)와 외부표면(20) 사이의 온도차 정보, 파이프에 냉각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llected information includes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entral par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outside surface 20, temperature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inside 50 and the outside surface 20, And the like.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의 수집과정은 전술한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pecific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described above.

또한, 수집된 구체적인 정보는 무선통신부(78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0)의 무선 통신부(1110)와 통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ed specific information can be communica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of the mobile terminal 110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80.

여기서 적용되는 통신 방식은 전술한 근거리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used.

또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무선통신부(78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0)의 무선통신부(1110)을 통해, 소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can receive a predetermined comman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of the mobile terminal 1100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80. [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0)의 디스플레이부(1151)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가 수행할 구체적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onfirms the displayed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51 of the mobile terminal 1100, and can input a specific command to be performed by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30.

또한, 입력된 명령 정보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10)를 통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 전송된다.The input comm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80. [

이에 대응하여,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i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can execute a command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양생 자동화 과정이 수행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uring automation process performed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가 현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810).Referring to FIG. 8, first,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can monitor the site (S1810).

즉, S1810 단계를 통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중심부의 온도 정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 온도 정보, 외부표면(20) 온도 정보, 내부(50)와 외부표면(20) 사이의 온도차 정보, 파이프에 냉각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수지한다.That i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enter porti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outside surface 20,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inside 50 and the outside surface 20 ,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pipe, and the like.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S1820).Thereafter, an event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may be generated (S1820).

즉, 정상적으로 과정이 진행되는 현장의 조건을 넘어서는 이벤트,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을 넘어서는 이벤트 등이 발생될 수 있다.That is, an event exceeding the condition of the site where the process normally proceeds, an event exceeding the condition for normally operat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가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1830).When the event occur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o the mobile terminal (S1830).

전술한 것과 같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와 이동 단말기(1100) 사이에는 무선 통신 방식 및 근거리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ocal communication system can be used betwee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nd the mobile terminal 1100. [

이후,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S1840).Thereaf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splayed (S1840).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100)를 이용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1850).Also, the user can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using the mobile terminal 1100 (S1850).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S1860).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transmit the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S1860).

명령정보를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수신하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수신한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the command informatio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mmand,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respond to the generated even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100)는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100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즉, 소정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수동으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generated, the power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2000 can b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manually.

또한, 소정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자동으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디폴트 지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generated, a default may be set so that the power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is automatically turned of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부터 구체적인 정보가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rete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to the mobile terminal.

이때, 이동 단말기(1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가 주기적으로 표시되거나 상기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알람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by using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100, the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displayed or an alarm that the information is receive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정보가 전송되는 것 이외에 비상 사태를 알리기 위한 추가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generated, additional information for notifying information of an emergency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information.

여기서 추가 정보는 경고, 알람 발생을 위한 신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warning information and signal information for alarm occurrence.

또한, 이동 단말기(110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에 모두 구체적인 정보가 전송되거나, 비상 사태를 알리기 위한 추가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100, specific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notifying an emergency may be transmitted together.

또한, 이동 단말기(1100)가 복수이고, 현장에 따른 팀(team)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팀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1100)에 대해서만, 구체적인 정보가 전송되거나, 비상 사태를 알리기 위한 추가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100 and a team according to the field is configured, specif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100 included in the team, or additional information for notifying an emergency May be transmitted togeth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100)가 복수인 경우,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일부로 제한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100,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command signals may be limited to a part.

즉,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만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정하고, 나머지 이동 단말기는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만 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an transmit a command signal, and the remaining mobile terminals ca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only.

또한, 현장에 따른 팀(team)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기만 명령 정보가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 team according to the field is configured, it is possible that only one mobile terminal transmits comma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한편, 이러한 제한 기능은 비밀번호 부여 등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limiting function can be realized through password granting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러한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 정보를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가 보장된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user can not only quickly grasp such a situ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hen a specific event is generated, but also can transmit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guarante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여기서 양생정보 관리장치(2000)는 변환식 온도차 저감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2000 is a conversion typ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tion apparatus.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rsion-type concret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9b은 변환식 온도차 저감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9B shows a plan view of the conversion-typ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식 온도차 저감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표면(20) 상단에 설치된 호스(300),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를 관통하고 있는 파이프(120), 냉각수(60)가 저장된 메인수조(100), 제1펌프(110), 물 회수용 덕트(400), 양생포(200), 보온부재(210), 회수관(130), 내부에 가열수(61)가 저장된 보조수조(700), 제2펌프(730), 가열수(61)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710),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740), 제3펌프(75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9A and 9B, the conversion typ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tion apparatus includes a hose 30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structure outer surface 20, a pipe 120 penet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a cooling water 60, The first pump 110,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 curing cloth 200, the warming member 210, the recovery pipe 130, and the heating water 61 are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A supply pipe 710 for supplying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he second pump 730 and the heating water 61; a connection pipe 740 for connecting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 control unit 750, and a control unit 600.

양생 초기 단계에서는(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특정온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변환밸브(720)를 제어하여, 공급파이프(710)에서 호스(300)로의 가열수(61) 공급을 차단하고, 메인수조(100)에서 파이프(120)로 냉각수(60)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양생 초기 단계에서는 제어부는 제1펌프(110)를 작동시켜 냉각수(60)를 메인수조(100)에서 파이프(120)로 이동시키고, 파이프(120)로 공급된 냉각수(6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가 냉각되고, 동시에 냉각수(60)가 가열되어 가열냉각수로서 호스(300)로 공급된다. 호스(300)에 공급된 가열 냉각수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호스 구멍(310)으로 배출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키고, 물 회수용 덕트(400)로 모이고,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되게 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냉각수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냉각수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initial stage of curing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not low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version valve 720 to cut off the supply of the heating water 61 from the supply pipe 710 to the hose 300 And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tank 100 to the pipe 120. Therefore, in the early stage of curing, the controller operates the first pump 110 to move the cooling water 60 from the main water tank 100 to the pipe 120, and by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The inside of the structure 10 is cooled and simultaneously the cooling water 60 is heated and supplied to the hose 300 as heating and cooling water. The heat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to heat the concrete structure outer surface 20 to be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to be returned to the recovery pipe 130 to the main water tank 100 agai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recovery pump for recovering the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a recovery pipe 130 and a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heated cooling water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

그리고, 양생 중간 단계에서(즉,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특정온도 이하가 된 경우)는, 제어부는 변환밸브(720)를 제어하여, 호스(300)로의 냉각수(60)의 공급을 차단하고, 공급파이프(710)에 의해 가열수(61)가 호스(3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특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더 이상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으므로, 변환밸브(720)를 작동시켜, 파이프(120)와 호스(300) 간의 순환을 차단시키게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version valve 720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60 to the hose 300 in the middle of curing (i.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nd the heating water 61 is supplied to the hose 300 by the supply pipe 710. Tha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is no longer heated, so that the conversion valve 720 is operated, Thereby blocking the circulation between the hoses 300.

변환밸브(720)에 의해 공급파이프(710)와 호스(300) 사이를 개방시키는 경우,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가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호스(300)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호스(300)로 공급된 가열수(61)는 호스구멍(310)으로 배출되고, 호스구멍(310)으로 배출된 가열수(61)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수(61)는 물 회수용 덕트(400)로 모이고,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 되게 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수(61)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수(61)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는 연결파이프(740)에 의해 연결된다.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을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hose 30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when the supply pipe 710 and the hose 300 are opened by the conversion valve 720 do. The heated water 61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and the heated water 61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n heated. The heated water 61 is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covery pipe 130. The heating water 61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and the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flowing down heated water 61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And may further comprise a recovery pump.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pipe 740.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구비하여,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가열하게 된다.So that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heated.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에 구비된 중심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온도를 전송받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부에 구비된 표면부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표면온도를 전송받아, 온도차를 실시간으로 연산한다.10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ternal temperature measured by the centr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receives the measured internal temperature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Receives the surface temperature,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real time.

그리고, 양생이 시작되면 제어부는 제1펌프(110)를 작동시키고, 메인수조(100)에 저장된 냉각수(60)를 파이프(12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특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변환밸브(720)를 작동시켜, 파이프(120)와 호스(300) 사이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파이프(710)와 호스(300) 사이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호스(300)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가열수단(500)을 제어하여,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가 40 ~80℃ 정도가 되도록 한다.When the curing is start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pump 110 and supplies the cooling water 60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00 to the pipe 120.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conversion valve 720 to block the pipe 120 and the hose 300 from each other. Then, the supply pipe 710 and the hose 300 are opened. Therefore,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hose 30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means 500 so that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about 40 to 80 ° C.

또한,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0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transconduct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를 참조하면,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거푸집 내부에는 파이프(120)를 설치한다. 또한, 거푸집 내부에 온도센서(71, 7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을 형성한다(S10-2).Referring to FIG. 10B, the reinforcing bars are assembled and the formwork is installed. A pip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In addition,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ld. Then,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formwork (S10-2).

그리고, 파이프(120) 각각에 대하여 일측 끝단은 냉각수(60)가 저장된 메인수조(100)와 연결시키고, 타측 끝단은 호스(300)와 연결한다. 파이프(120)와 연결된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설치되어 진다(S2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의 끝단은 막혀있고, 외면에는 복수의 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each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in which the cooling water 60 is stor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300. The hose 300 connected to the pipe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S20-2).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hose 300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holes 31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생이 시작되면서,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와 외부표현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S30-2).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과 내부(50)에 설치된 온도센서(71, 72)는 외부표면(20)과 내부(50)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600)는 온도센서(71, 72)에서 감지한 콘크리트 구조물(1 0)의 외부표면(20) 온도와 내부(50)의 온도에 의해 온도차를 실시간으로 연산하게 된다.As the cur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gin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50 and the external expression is generated by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concrete (S30-2).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inner surface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20 and the inner space 50. The control unit 600 calculat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real time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5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s 71 and 72.

제어부(600)는 연산된 온도차에 의거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되는 냉각수(60)의 공급속도, 즉, 파이프(120) 내에 흐르게 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120) 내에 흐르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는 호스(300)로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를 결정짓게 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연산된 온도차에 근거하여 파이프(120)로 공급되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가 제어부(6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e supply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based on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f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by the control unit 600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lculated in real time.

그리고, 양생초기단계에서 제어부는 변환밸브(720)를 제어하여, 공급파이프(710)와 호스(300) 사이를 차단하고, 파이프(120)와 호스(300) 사이를 개방시키게 된다. 제어부(600)는 제1펌프(110)를 제어하여 설정된 유량속도로 파이프(120) 내로 냉각수(60)를 공급하게 된다(S40-2). 파이프(120)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60)는 파이프(120)At the initial stage of cur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version valve 720 to shut off the supply pipe 710 and the hose 300 and to open the pipe 120 and the hose 300.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first pump 110 to supply the cooling water 60 into the pipe 120 at the set flow rate (S40-2).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into the pipe 120 flows through the pipe 120,

내에 흐르면서, 가열되게 된다. 즉, 초기 양생단계에서,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는 약 0~30℃의 온도를 갖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온도는 약 70~100℃정도에 해당함으로 냉각수(6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가 냉각된다(S50-2). 그리고, 동시에, 파이프(120)에 공급된 냉각수(60)는 가열되게 된다.And is heated. That is, in the initial curing step,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has a temperature of about 0 to 30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about 70 to 100 ° C.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60 (S50-2). At the same time, the cooling water 60 supplied to the pipe 120 is heated.

가열된 냉각수(60)는 가열냉각수로써, 호스(300)로 공급된다(S6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에 공급되는 가열냉각수의 온도는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50) 온도와 파이프(120) 내에 흐르는 냉각수(60)의 유량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600)는 냉각수(60)의 유량속도를 조절하여 가열냉각수의 온도가 40~70℃정도가 되도록 한다.The heated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as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hose 300 (S60-2).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5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and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 the pipe 1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0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6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ling water is about 40 to 70 ° C.

그리고, 호스(300)로 공급된 가열냉각수는 호스(300) 외면에 구비된 구멍(310)으로 배출된다(S7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3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설치된다. 따라서, 호스구멍(310)에서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올 수 있다. 그리고, 외부표면(20)은 양생포(200)에 의해 덮여있다. 따라서, 양생포(200)는 가열냉각수 일부를 흡수하고, 양생포(200)에 흡수된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이 가열된다(S80-2).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ose 300 is discharged to the hole 31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300 (S70-2). As described above, the hose 3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erefore, the heat-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hole 310 can flow naturally. The outer surface 20 is covered by the curing cloth 200. Therefore, the curing cloth 200 absorbs a part of the heating water, and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ing water absorbed in the curing cloth 200 (S80-2).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생포(200)는 보온부재(210)에 의해 덮여있기 때문에, 보온부재(210)에 의해 보온효과를 가지면서, 외부표면(20)이 효율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20) 내부에 흐르는 냉각수(6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50)가 냉각되고, 호스 구멍(310)으로 배출되는 가열냉각수에 의해 외부표면(20)이 가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50)와 외부표면(20)의 온도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ing cloth 200 is covered with the insulating member 210, the outer surface 20 can be heated efficiently while keeping the insulating effect by the insulating member 210. Accordingly, the concrete structure interior 5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60 flowing inside the pipe 120, and the outer surface 2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ling water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50 and the outer surface 20. [

호스구멍(310)에서 배출된 가열냉각수는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여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된다(S90-2). 또한, 흘러내린 가열냉각수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냉각수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순환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가 되기 전까지 계속된다.The heating and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hole 310 is collected in the water recovery duct 400 and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covery pipe 130 at step S90-2.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recovery pump for recovering the heating cooling water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a recovery pipe 130 and a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heated cooling water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 This circulation is continued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set specific temperature.

또한, 양생 중간단계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 정도)가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너무 낮아, 더 이상 공급된 냉각수(60)가 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예를 들어, 약 50℃정도)가 되면(S100-1), 제어부는 제1펌프(110)의 작동을 중단시켜 파이프(120)로 냉각수(60) 공급을 차단 시키게 된다(S110-2). 그리고, 제어부는 제2펌프(730)를 작동시면서 동시에 변환밸브(720)를 제어하여, 파이프(120)와 호스(300) 사이를 차단하고, 공급파이프(710)와 호스(300) 사이를 개방한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를 공급파이프(710)로 공급하게 된다(S120-2).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캜) at the middle stage of c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too low, 60 can not be heated and thus the outer surface 20 can not be heated. According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50 ° C) (S100-1),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0,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60 is interrupted (S110-2).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controls the switching valve 720 while operating the second pump 730 to shut off the pipe 120 and the hose 300 and to open the supply pipe 710 and the hose 300 do. Accordingly,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710 (S120-2).

그리고,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가열수(61)가 호스(300)로 공급되어, 가열수(61)가 호스구멍(310)으로 배출된다(S130-2).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에 가열수(61)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표면(20)을 가열시키게 된다(S140-2).The heated water 61 is supplied to the hose 30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and the heated water 61 is discharged to the hose hole 310 at step S130-2. Thus, heating water 61 is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o heat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S140-2).

또한, 보조수조(700)에는 가열수단(500)이 구비되고, 저장된 가열수(61)를 40~70℃정도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시킨다. 따라서, 보조수조(700)에 저장된 가열수(61)는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호스(300)로 공급되어 호스구멍(310)으로 가열수(61)가 배출되어 가열수(61)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 표면(20)이 가열되게 된다.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500 and the stored heated water 61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70 ° C. The heating water 61 stor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hose 30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so that the heating water 61 is discharged into the hose hole 310, The outer surface 20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heated.

외부표면(20)에 공급된 가열수(61)는 양생포에 흡수되어 흘러내려 물 회수용 덕트(400)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물 회수용 덕트(400)에 연결된 회수관(130)을 통해 다시 메인수조(100)로 회수되게 된다. 또한, 흘러내린 가열수(61)가 집결되는 위치와 메인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관(130) 및 회수관(130)을 통해 메인수조(100)로 가열수(61)를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heated water (61) supplied to the outer surface (20) is absorbed by the curing cloth and flows down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n, the water is return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connected to the water recovery duct 400. The heating water 61 is recovered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rough the return pipe 130 and the recovery pipe 130 connecting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flowing down heated water 61 is collected and the main water tank 100 And may further comprise a recovery pump.

그리고, 메인수조(100)와 보조수조(700) 사이에는 연결 파이프(740)를 구비하여, 메인수조(100)에 냉각수(60)가 보조수조(700)에 공급되고, 보조수조(700)에 설치된 가열수단(500)에 의해 가열된 가열수(61)가 공급파이프(710)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 외부로 공급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내부온도가 특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시작되어 양생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S150-2). 마지막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 양생이 종료된 후에, 파이프(120) 내를 그라우팅 충진하여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A connection pipe 74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water tank 10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so that the cooling water 6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700 to the main water tank 100, The heated water 61 heated by the installed heating means 500 is circulated while being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through the supply pipe 710. This circulation start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becomes lower than a specific temperature and continues until the curing is finished (S150-2). Finally,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10 is completed, the structure is completed by grouting the inside of the pipe 120.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Claims (15)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는,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2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1. A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controller for monitoring the site and collecting first information; And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ler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an event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rom a user; And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ya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부와 제 2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ses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Concrete c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t least 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현장의 양생 과정 중 에러(error)가 발생된 이벤트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오프(off)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정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vent includes an event in which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site and an event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on or off inform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event-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t least one first mobil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the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는 철근을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온도차를 저감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온도차 저감장치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된 메인수조;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메인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수조에 저장된 상기 냉각수가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는 감소되고, 내부로 공급된 상기 냉각수가 가열되어 가열냉각수를 출력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서 의해 출력되는 가열냉각수가 내부로 공급되며, 외면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 냉각수가 상기 구멍으로 배출되는 호스;
내부에 가열수가 저장된 보조수조; 및
상기 보조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특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가열수를 상기 외부표면에 공급하는 공급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상기 특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수조에서 상기 파이프로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온도 미만에서는 보조수조에서 상기 공급파이프로 상기 가열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generated in the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the poured concrete after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s, installing the poured concrete into the mold,
The temperature difference reduc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water tank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cooling water circulation conduits disposed in the mold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by the pouring of the concre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concrete structure, A pipe through whic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reduced and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is heated to output heating cooling water;
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each of the pipes,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heating coolant output from the pipe is supplied to the inside,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discharge the heating coolant to the hole hose;
An auxiliary water tank in which heated water is stored; And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and supplying the heating water to the outer surfac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irst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ooling water to the pipe from the main water tank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c temperature, and to supply the heating water to the supply pipe from the auxiliary water tank below the specific temperature. Concrete cur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의 출력단은 상기 파이프와 상기 호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온도가 상기 특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냉각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공급파이프에 의해 상기 호스로 상기 가열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변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put end of the supply pipe is provided between the pipe and the hose,
Further comprising a changeover valve configured to shut off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and to supply the heating water to the hose by the supply pip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falls below the specified temperature, Automation system.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과정의 자동제어방법.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concrete curing process using a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Monitoring the site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llecting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an event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he concrete curing proces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과정의 자동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ses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현장의 양생 과정 중 에러(error)가 발생된 이벤트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오프(off)되는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정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과정의 자동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vent includes an event in which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site and an event in which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on or off inform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과정의 자동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event-related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he concrete curing proces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과정의 자동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when at least one first mobil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previously designated, the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양생정보 관리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현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 1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가 상기 제 2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A program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using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is tangibly embodied and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rete curing process includes:
Monitoring the site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llecting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an event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sing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seco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y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And performing, by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정보 관리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ur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via short-rang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uses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technolog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t least one of which is us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 1 정보 및 이벤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 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event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when at least one first mobil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s previously designated, the seco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KR1020120101009A 2012-09-12 2012-09-12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17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09A KR101417337B1 (en) 2012-09-12 2012-09-12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09A KR101417337B1 (en) 2012-09-12 2012-09-12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46A true KR20140034546A (en) 2014-03-20
KR101417337B1 KR101417337B1 (en) 2014-07-08

Family

ID=5064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009A KR101417337B1 (en) 2012-09-12 2012-09-12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3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76B1 (en) * 2019-11-20 2021-04-02 (주)포스코건설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377860B1 (en)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48B1 (en) *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KR100946359B1 (en) * 2007-11-05 2010-03-08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e of molding and system thereof
KR100941973B1 (en) * 2008-01-14 2010-02-11 양상규 Automatic System Controlling the Steam Curing and Method Controlling the Steam Curing using the Same
KR101175883B1 (en) * 2011-01-14 2012-08-21 현대건설주식회사 Exchange Type Reduction Device of Concrete Temperature Gap by means of Pipe Cooling, Exchange Type Red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and Structure using th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76B1 (en) * 2019-11-20 2021-04-02 (주)포스코건설 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377860B1 (en)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mobile hot air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I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337B1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512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194973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2341738B1 (en) Mobile terminal with Wi-Fi module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and providing an AP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terminal
JP5243204B2 (en) Mobile terminal having wireless charging menu providing function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of
KR102138506B1 (en) Mobile terminal
KR1017880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2029563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3762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ing charging state thereof
KR2009012072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therein
KR10204611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87235A (e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in
KR10206541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3200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witching identify modules thereof
KR101417337B1 (en) Automated system for curing the concreted surfa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393265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996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9155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6789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5244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0468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129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37238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2525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84866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1012334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