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95B1 -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95B1
KR102377595B1 KR1020210078095A KR20210078095A KR102377595B1 KR 102377595 B1 KR102377595 B1 KR 102377595B1 KR 1020210078095 A KR1020210078095 A KR 1020210078095A KR 20210078095 A KR20210078095 A KR 20210078095A KR 102377595 B1 KR102377595 B1 KR 10237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inding device
pin
fixing pin
stop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무
정용민
Original Assignee
오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무 filed Critical 오병무
Priority to KR102021007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6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balls or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물체와 제2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는, 상기 제2 물체는 상기 결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물체는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멈춤핀 개구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 상기 멈춤핀 개구에 삽입되어 헤드부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체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한 멈춤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멈춤핀 개구는 연통되고, 상기 멈춤핀은 상기 멈춤핀 개구의 지름과 일치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축소부를 갖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면 상기 축소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개구가 완전 개방되고, 상기 헤드부를 가압해제하면 상기 확장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하고, 상기 결속장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제2 개구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를 갖고,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 개구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체결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가 가압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과 정합되어 상기 고정핀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나사를 회전시켜 두 물체를 결합하면서, 나사를 회전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결합되는 물체를 당김으로써 결합된 두 물체 사이의 유격과 진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결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Coupling device for firmly joining two objects}
본 발명은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비를 운용할 때는 하나의 물체에 다른 물체를 원터치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종래에 원터치 형태로 하나의 물체에 다른 물체를 결합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대부분 두 물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약간의 유격이 있고, 그에 따라 사용 중에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장비 운용시에 두 물체의 결합 상태에서 유격과 진동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정밀한 작동을 요하는 분야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비를 사용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두 물체 사이의 유격은 점점 커져 결국에는 장비를 빨리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유격과 진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결속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5-01623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나사를 회전시켜 두 물체를 결합하면서, 나사를 회전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결합되는 물체를 당김으로써 결합된 두 물체 사이의 유격과 진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결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물체와 제2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는, 상기 제2 물체는 상기 결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물체는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멈춤핀 개구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 상기 멈춤핀 개구에 삽입되어 헤드부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체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한 멈춤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멈춤핀 개구는 연통되고, 상기 멈춤핀은 상기 멈춤핀 개구의 지름과 일치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축소부를 갖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면 상기 축소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개구가 완전 개방되고, 상기 헤드부를 가압해제하면 상기 확장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하고, 상기 결속장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제2 개구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를 갖고,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 개구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체결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가 가압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과 정합되어 상기 고정핀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를 회전하면 상기 고정핀이 위로 당겨지면서 정합된 상기 확장부의 일부와 상기 걸림홈이 함께 당겨지면서 상기 제1 물체와 상기 결속장치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걸림홈의 상부에 이탈방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장치는, 상기 몸체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 홈까지 연장되는 돌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를 회전할 때,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이탈방지 홈의 벽부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핀의 종방향 이동 및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3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3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물체와 제2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는, 상기 제2 물체는 상기 결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물체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와, 상기 물체 본체에 설치되어 제1 개구 내로 출몰 가능한 출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장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제2 개구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를 갖고,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핀;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 개구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체결나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 개구로 삽입되어 상기 출몰부가 상기 제1 개구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과 정합되어 상기 고정핀의 이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를 회전시켜 두 물체를 결합하면서, 나사를 회전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결합되는 물체를 당김으로써 결합된 두 물체 사이의 유격과 진동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결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제1 물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결속장치가 제1 물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속장치 및 제1 물체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장치와 제1 물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인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물체의 멈춤핀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결속장치가 제1 물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물체의 멈춤핀을 가압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제1 물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결속장치가 제1 물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속장치 및 제1 물체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장치와 제1 물체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인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물체의 멈춤핀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결속장치가 제1 물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물체의 멈춤핀을 가압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결속장치(100)는 제1 물체(10, 20)와 제2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물체(10, 20)에 삽입되어 축과 축이 만나는 부위를 걸리게 하고 나사 회전에 의해 제1 물체(10, 20)를 견인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결속장치(100)가 제1 물체(10, 2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물체는 결속장치(100)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나 원터치 방식,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물체가 결속장치(100)에 결합되는 방식은 여러 형태로 적용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속장치(100)는 몸체부(110), 고정핀(120), 체결나사(130), 돌기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소정의 체적을 갖고,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제2 개구(111)가 형성된다.
고정핀(120)은 길이가 길고 원형 단면을 갖는 핀 형태로 되어 몸체부(110)의 제2 개구(111)에 삽입된다. 고정핀(120)은 제2 개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가 제2 개구(111) 외부로 돌출된다. 고정핀(120)의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1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120)은 2개로 구비되고, 그에 따라 제2 개구(111)도 2개가 형성된다.
체결나사(130)는 제2 개구(111)에 삽입되어 고정핀 개구(122)의 나사산과 체결된다.
고정핀(120)의 하부에는 라운드진 홈의 형상을 갖는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걸림홈(121)의 상부에는 이탈방지 홈(123)이 형성된다. 이탈방지 홈(123)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홈 형상을 갖고, 홈의 주위로 벽부가 형성된다.
돌기부(140)는 몸체부(110)를 통해 삽입되어 이탈방지 홈(123)까지 연장된다. 돌기부(14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부(1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3 개구(113)가 형성되어, 돌기부(140)를 회전시켜 제3 개구(113)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1 물체(10, 20)는 물체 본체(10)와 멈춤핀(20)을 포함한다. 제1 물체(10, 20)의 구성은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으로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물체 본체(10)는 고정핀(120)이 삽입되는 제1 개구(11)와, 상기 제1 개구(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멈춤핀 개구(12)가 형성된다. 제1 개구(11)와 멈춤핀 개구(12)는 연통된다.
멈춤핀(20)은 멈춤핀 개구(12)에 삽입되어 헤드부(21a)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물체 본체(10)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멈춤핀(20)은 멈춤핀 몸체(21), 말단부(22), 결합핀(23), 스프링(24)을 포함한다.
멈춤핀 몸체(21)는 길이가 길고 원형 단면을 갖는 핀 형태로 되어 멈춤핀 개구(12)에 삽입된다. 멈춤핀 몸체(21)는 헤드부(21a)와,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부(21b)와, 결합핀(23)을 삽입하기 위한 멈춤핀 개구(21c)를 갖는다. 확장부(21b)는 헤드부(21a)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멈춤핀 개구(12)의 지름과 일치하는 지름을 갖고, 확장부(21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확장부(21b)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축소부로 형성된다.
말단부(또는 확장부)(22)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결합핀(23)에 의해 멈춤핀 몸체(21)의 하단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멈춤핀 개구(12)의 지름과 일치하는 지름을 갖는다. 말단부(22)는 결합핀(23)을 삽입하기 위한 말단부 개구(22a)를 갖는다.
멈춤핀 몸체(21)를 말단부(22)에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핀(23)을 말단부 개구(22a)와 멈춤핀 개구(21c)에 삽입하면 멈춤핀 몸체(21)가 말단부(22)와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멈춤핀 개구(12)에는 말단부(22)가 있는 부분에 인접하여 단턱부(13)가 형성되고, 단턱부(13)에 의해 말단부(22) 및 멈춤핀 몸체(21)의 이동이 제한된다.
스프링(24)은 멈춤핀 몸체(21)에 삽입되고, 멈춤핀 몸체(21)가 멈춤핀 개구(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턱부(13) 및 확장부(21b) 사이에 위치된다.
도 4는 결속장치(100)와 제1 물체(10, 20)가 분리된 상태, 즉 고정핀(120)이 제1 개구(11)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때 헤드부(21a)는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물체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4에서 좌측의 도면은 도 2에서 B-B'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고, 우측의 도면은 C-C'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확장부(21b)와 말단부(22)의 일부 원호 부분은 제1 개구(11) 쪽으로 돌출되어 제1 개구(11)를 차단하도록 위치된다. 그에 따라, 고정핀(120)을 제1 개구(11)로 삽입하더라도 이 부분에 의해 진입이 제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핀(120)을 제1 개구(11)로 삽입하기 전에 헤드부(21a)를 가압한다. 그에 따라, 확장부(21b)와 말단부(22)는 멈춤핀 개구(12)를 따라 수평 이동하여 축소부가 제1 개구(11) 위치(제1 개구(11)와 멈춤핀 개구(12)가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되고, 축소부는 제1 개구(11) 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지름을 가지므로 제1 개구(11)는 완전 개방된 상태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상태에서 고정핀(120)을 제1 개구(11)로 밀어넣어, 걸림홈(121)이 제1 개구(11)와 멈춤핀 개구(12)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2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부(21b) 및 말단부(22)가 제1 개구(11) 위치에 대응되어 확장부(21b) 및 말단부(22)의 일부가 제1 개구(11)를 차단하면서, 걸림홈(121)과 정합하게 된다. 즉, 확장부(21b) 및 말단부(22)의 돌출되는 부분의 형상이 걸림홈(121)의 라운드진 홈과 일치하여 고정핀(120)의 이동이 방지된다.
실제로 결속장치(100)를 제1 물체(10, 20)에 결합할 때는, 고정핀(120)을 제1 개구(11)로 적당히 밀어넣은 상태에서, 헤드부(21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고정핀(120)을 제1 개구(11)로 더 밀어넣어, 걸림홈(121)이 확장부(21b) 및 말단부(22)의 돌출되는 부분과 정합되게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체결나사(130)를 회전하면 체결나사(130)와 나사결합된 고정핀(120)이 위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정합된 확장부(21b) 및 말단부(22)의 일부와 걸림홈(121)이 함께 당겨지면서 제1 물체(10)가 결속장치(100) 쪽으로 이동하여 제1 물체(10)와 결속장치(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구(111)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체결나사(130)의 헤드는 단턱부(112)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120)에는 걸림홈(121)의 상부에 이탈방지 홈(123)이 형성되고(도 3 참조), 이탈방지 홈(123)에는 몸체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돌기부(140)가 위치하고 있다.
체결나사(130)를 회전시킬 때 체결나사(130)와 고정핀(1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돌기부(140)는 이탈방지 홈(123)의 벽부와 접촉되어 고정핀(120)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나사(130)는 결속장치(100) 하단과 제1 물체의 상면이 완전 밀착될 때까지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제1 물체(10)와 결속장치(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나사(130)를 반대로 회전하여 고정핀(120)이 체결나사(130)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고정핀(120)이 몸체부(110)에서 이탈할 수 있으므로, 돌기부(140)가 이탈방지 홈(123)의 벽부와 접촉되어 고정핀(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돌기부(140)는 이탈방지 홈(123)의 벽부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고정핀(120)의 종방향 이동도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00)는 고정핀(120)을 제1 물체의 제1 개구(11)를 통해 삽입하고, 고정핀(120)과 제1 물체의 결합 부위가 접촉되어 걸린 상태에서, 체결나사(130)를 회전시켜 제1 물체를 결속장치(100) 쪽으로 견인함으로써 결속장치(100)와 제1 물체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결합은 결속장치(100)와 제1 물체 사이의 유격을 없앨 수 있고, 결속장치(100)에 제2 물체를 결합하였을 때, 제1 물체와 제2 물체 사이의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한다.
상기에서, 제1 물체(10, 20)는 물체 본체(10)와 멈춤핀(20)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멈춤핀(20)은 제1 개구(11) 내로 출몰되어 고정핀(120)의 걸림홈(121)과 정합되기 위한 것으로 걸림홈(121)과 정합되기 위한 구성은 여러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특정 구성을 갖는 멈춤핀(20)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물체는 제1 개구(11)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10)와, 이러한 물체 본체(10)에 설치되어 제1 개구(11) 내로 출몰 가능한 출몰부(여기서는 멈춤핀의 확장부)를 포함하고, 고정핀(120)은 제1 개구(11)로 삽입되어 출몰부가 제1 개구(11)로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홈(121)과 정합되어 고정핀(120)의 이동이 방지되고, 체결나사(130)의 회전에 의해 제1 물체는 결속장치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몰부는 제1 개구(11) 내에 위치되는 돌출 위치와, 제1 개구(11) 내에 위치되지 않는 비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물체 본체
11 : 제1 개구
12 : 멈춤핀 개구
13 : 단턱부
20 : 멈춤핀
21 : 멈춤핀 몸체
21a : 헤드부
21b : 확장부
21c : 멈춤핀 개구
22 : 말단부
22a : 말단부 개구
23 : 결합핀
24 : 스프링
100 : 결속장치
110 : 몸체부
111 : 제2 개구
112 : 단턱부
113 : 제3 개구
120 : 고정핀
121 : 걸림홈
122 : 고정핀 개구
123 : 이탈방지 홈
130 : 체결나사
140 : 돌기부

Claims (5)

  1. 제1 물체와 제2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체는 상기 결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물체는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멈춤핀 개구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 상기 멈춤핀 개구에 삽입되어 헤드부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체 본체 내외로 출몰 가능한 멈춤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멈춤핀 개구는 연통되고,
    상기 멈춤핀은 상기 멈춤핀 개구의 지름과 일치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축소부를 구비하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면 상기 축소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제1 개구가 완전 개방되고, 상기 헤드부를 가압해제하면 상기 확장부가 상기 제1 개구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제1 개구를 차단하고,
    상기 결속장치는,
    제2 개구(111)가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제2 개구(111)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제2 개구(111)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122)를 갖고, 걸림홈(121)이 형성되는 고정핀(120);
    상기 제2 개구(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 개구(122)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체결나사(130);
    를 포함하고,
    상기 멈춤핀의 상기 헤드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120)은 상기 제1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가 가압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부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121)과 정합되어 상기 고정핀(120)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제2 개구(111)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130)의 헤드는 상기 단턱부(112)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단턱부(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130)를 회전하면, 상기 체결나사(130)와 상기 고정핀 개구(122)의 나사산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핀(120)이 위로 당겨지면서 정합된 상기 확장부의 일부와 상기 걸림홈(121)이 함께 당겨지면서 상기 제1 물체와 상기 결속장치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120)에는 상기 걸림홈(121)의 상부에 이탈방지 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장치는,
    상기 몸체부(11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 홈(123)까지 연장되는 돌기부(1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130)를 회전할 때, 상기 돌기부(140)가 상기 이탈방지 홈(123)의 벽부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핀(120)의 종방향 이동 및 회전을 제한하는 결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4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3 개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40)가 상기 제3 개구(113)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결속장치.
  5. 제1 물체와 제2 물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체는 상기 결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물체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물체 본체와, 상기 물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개구 내로 출몰 가능한 출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장치는,
    제2 개구(111)가 형성되는 몸체부(110);
    상기 제2 개구(111)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제2 개구(111) 외부로 돌출되고,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핀 개구(122)를 갖고, 걸림홈(121)이 형성되는 고정핀(120);
    상기 제2 개구(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 개구(122)의 나사산과 체결되는 체결나사(13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120)은 상기 제1 개구로 삽입되고, 상기 출몰부가 상기 제1 개구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21)과 정합되어 상기 고정핀(12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제2 개구(111)에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130)의 헤드는 상기 단턱부(112)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단턱부(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130)를 회전하면, 상기 체결나사(130)와 상기 고정핀 개구(122)의 나산산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핀(120)이 위로 당겨지면서 정합된 상기 출몰부와 상기 걸림홈(121)이 함께 당겨지면서 상기 제1 물체와 상기 결속장치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120)에는 상기 걸림홈(121)의 상부에 이탈방지 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장치는,
    상기 몸체부(11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 홈(123)까지 연장되는 돌기부(1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130)를 회전할 때, 상기 돌기부(140)가 상기 이탈방지 홈(123)의 벽부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핀(120)의 종방향 이동 및 회전을 제한하는 결속장치.
KR1020210078095A 2021-06-16 2021-06-16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KR10237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95A KR102377595B1 (ko) 2021-06-16 2021-06-16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95A KR102377595B1 (ko) 2021-06-16 2021-06-16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595B1 true KR102377595B1 (ko) 2022-03-22

Family

ID=8098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95A KR102377595B1 (ko) 2021-06-16 2021-06-16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13B1 (ko) * 2018-03-21 2018-10-31 황은태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KR102064773B1 (ko) * 2019-01-08 2020-01-10 피에스엠피주식회사 원터치식 체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픽업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13B1 (ko) * 2018-03-21 2018-10-31 황은태 원터치 다보 및 원터치 다보 세트
KR102064773B1 (ko) * 2019-01-08 2020-01-10 피에스엠피주식회사 원터치식 체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픽업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011B1 (ko) 유체 이송 시스템용 커플링
EP3667147A1 (en) Quick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hose
US3932016A (en) Printed circuit card receptacle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603035B2 (ja) 縦構造部材を相対的に位置決めする装置
US7497705B2 (en) Lockout device
JP3231542B2 (ja) プラグ誤脱防止機構
KR10242140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0722433B1 (ko)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
US8164921B2 (en) Cover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60000424A (ko)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536620B1 (ko) 볼잠금 연결체
KR102377595B1 (ko) 두 물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속장치
US7285005B2 (en) Locking el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033132A1 (en) Locking push pin
CN109936110A (zh) 缆线端头配合件和缆线接合器及其固定方法
KR20170020980A (ko) 원터치 푸쉬풀형 커넥터
JP2006300143A (ja) 樹脂クリップ部構造
CN108306151B (zh) 连接器
US6400248B1 (en) Device for absorbing electric noise
KR20220085439A (ko) 커넥터
JP4593093B2 (ja) 軟質ボードへの取り付け用ピン
JP6737876B2 (ja) 安全スイッチ
JP4341750B2 (ja) 携帯型機器の盗難防止用施錠具
CN113574908A (zh) 外壳紧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