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235B1 -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7235B1 KR102377235B1 KR1020210135915A KR20210135915A KR102377235B1 KR 102377235 B1 KR102377235 B1 KR 102377235B1 KR 1020210135915 A KR1020210135915 A KR 1020210135915A KR 20210135915 A KR20210135915 A KR 20210135915A KR 102377235 B1 KR102377235 B1 KR 102377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forming part
- support bar
- cleaning lin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11111 card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8 functional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097592 Ptelea trifol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891 Ptelea trifol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6 corrugated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로서, 컨트롤서버에 의해 박스제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각 부품이 개별 제어되며,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박스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는 원판지(liner)에 파형의 골심지(corrugating medium)를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로서, 편면골판지 (single faced corrugated fiberboard), 양면골판지(double faced, single wall), 이중양면골판지(double wall), 삼중양면골판지(triple wall)로 나누어지며, 골판지 중 원판지는 기계적 충격이나 기후 조건으로부터 저항성을 부여하며 뒷면 원판지는 인쇄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원판지 사이에 구비되는 골심지는 골판지에 두께를 부여하고 견고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충격시 압축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을 제공한다.
골판지는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외장용과 내장용으로 나누어지는데, 완충 기능을 기본으로 하는 골판지에 다양한 기능을 더 부여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90525호는 장식용 골판지 상자로서, 골판지에 은박층을 형성하여 상품을 고품위로 포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부재로 기능성을 갖는 골판지로서 등록특허 제10-1653397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골판지"는 골판지의 전면에 기능성 시트를 접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로 인 하여, 골판지와 기능성 시트를 서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아 재활용에 애로사항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골판지"는 접어진 골판지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 부분이 타카핀으로 골판지의 타측에 고정됨으로 인해, 날개 부분을 뜯는 과정에서 힘이 많이 들고, 재활용을 위해 금속의 타카핀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 가능한 박스를 위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데 특히 택배용 박스의 경우, 포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통 테이프를 이용해서 경계부분을 부착한다.
그리고, 일단 택배가 도착하면 테이프를 떼어내게 되는데, 테이프를 분리하는 순간 박스의 표면까지 함께 떨어져 손상되므로 재사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박스를 폐기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고, 박스와 테이프를 구입하는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부분과 개폐되는 부분의 너비와 길이를 비슷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하여 골판지로 재활용될 수 있으며, 박스제조 장치의 부품을 IOT를 활용하여 제어하는 박스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는, 컨트롤서버에 의해 박스제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각 부품이 개별 제어되며,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박스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서버는, 상기 컨트롤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 및 상기 각 부품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1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박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상기 박스 제조를 수행하도록 구동하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컨트롤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 별 기준과 상기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각 부품이 정상상태인지 에러상태인지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부품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통해 각 부품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 따른 기준과 상기 각 부품의 상태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학습하여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딥러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종이 모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종이 모재의 접히는 부분에 접힘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접힘홈을 기준으로 상기 종이 모재를 접어 입체적인 박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적인 박스의 입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종이 모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이음부를 상기 종이 모재의 타단에 연결하여 접착하는 단계;로 박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보호하는 바닥형성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상기 바닥형성부에 세척수를 분출하여 종이 조각을 포함하여 상기 종이 모재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에 의해 오염된 상기 바닥형성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수모듈은, 하부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출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상기 돌출턱이 내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형성부; 일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일측에서 수직하게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홈이 구비되는 지지바; 타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된 중공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은 타측에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길이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과 상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클리닝라인; 및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형성부는,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돌출턱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내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과 통기되는 두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형성부 상판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으로 내입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턱은, 상기 상판홀의 내주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외주가 상기 상판홀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형성부는, 외측에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기 형성된 볼트 또는 볼트홀에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홀 또는 볼트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 하부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상기 지지바와 고정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지지바의 타측 상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와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중공으로 세척수를 유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리닝라인 자체가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상부는 하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클리닝라인과 연통되는 공급형성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클리닝라인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은, 하부와 상부에 연통되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을 하는 가이드라인이 구비되어 관통한 상기 지지바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상기 승하강부가와 체결된 상기 클리닝라인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일측 하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위치하고, 일측에서 상방으로 길이가 연장된 타측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과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까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상기 바닥형성부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가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를 필요에 따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일측 말단에 상기 승하강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홈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모터에 연결된 승하강제어부가 맞물리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상ㆍ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의 측부면에 연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일측 말단에 체결된 회전구동부에 구비된 분출관의 위치를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까지 위치시키거나 상기 바닥형성부의 내부 측면과 상부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상기 관통홀과 통기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공급형성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수를 타측 상부에서 공급받아 일측 하부에 구비된 회전구동부의 연결관 및 분출관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어 길이 연장되어 상부의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중공에 하부의 소구경 클리닝라인이 내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사이 중공에 내재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출방지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유출방지패킹과 인접하게는 상기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내부면과 상기 소구경 클리닝라인의 외부면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은,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서버는 박스제조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박스제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각 부품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 부품을 개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컨트롤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 및 상기 각 부품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1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박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상기 박스 제조를 수행하도록 구동하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컨트롤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 별 기준과 상기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각 부품이 정상상태인지 에러상태인지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부품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종이 모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종이 모재의 접히는 부분에 접힘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접힘홈을 기준으로 상기 종이 모재를 접어 입체적인 박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적인 박스의 입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종이 모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이음부를 상기 종이 모재의 타단에 연결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 따른 기준과 상기 각 부품의 상태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학습하여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딥러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보호하는 바닥형성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상기 바닥형성부에 세척수를 분출하여 종이 조각을 포함하여 상기 종이 모재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에 의해 오염된 상기 바닥형성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척수모듈은, 하부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출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상기 돌출턱이 내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형성부; 일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일측에서 수직하게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홈이 구비되는 지지바; 타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된 중공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은 타측에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길이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과 상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클리닝라인; 및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형성부는,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돌출턱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내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과 통기되는 두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형성부 상판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으로 내입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턱은, 상기 상판홀의 내주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외주가 상기 상판홀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형성부는, 외측에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기 형성된 볼트 또는 볼트홀에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홀 또는 볼트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 하부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상기 지지바와 고정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지지바의 타측 상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와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중공으로 세척수를 유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리닝라인 자체가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상부는 하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클리닝라인과 연통되는 공급형성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클리닝라인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은, 하부와 상부에 연통되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을 하는 가이드라인이 구비되어 관통한 상기 지지바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상기 승하강부가와 체결된 상기 클리닝라인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일측 하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위치하고, 일측에서 상방으로 길이가 연장된 타측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과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까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상기 바닥형성부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가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를 필요에 따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바는 일측 말단에 상기 승하강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홈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모터에 연결된 승하강제어부가 맞물리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상ㆍ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의 측부면에 연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일측 말단에 체결된 회전구동부에 구비된 분출관의 위치를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까지 위치시키거나 상기 바닥형성부의 내부 측면과 상부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상기 관통홀과 통기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공급형성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수를 타측 상부에서 공급받아 일측 하부에 구비된 회전구동부의 연결관 및 분출관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어 길이 연장되어 상부의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중공에 하부의 소구경 클리닝라인이 내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리닝라인은, 사이 중공에 내재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출방지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유출방지패킹과 인접하게는 상기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내부면과 상기 소구경 클리닝라인의 외부면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은 몸체 부분과 개폐되는 부분, 이음새의 너비와 길이를 비슷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하여 골판지로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는 개폐부 및 개폐홈을 구비하여 별도의 테이핑 없이도 개폐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친환경 소재로 형성된 이음부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테이핑이나 접착 도구 없이 박스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스제조 장치의 부품을 IOT를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박스제조 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어떤 부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러인지 비교적 쉽게 원인파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스제조 장치의 일측면에는 세척수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세척수를 공급하여 박스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이 조각 및 먼지 등이 날림으로 박스제조 장치의 하단에 쌓이는 먼지를 유용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모듈의 세척부재는 수평봉을 구비하고 있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어 바닥형성부의 먼지를 고르게 닦아낼 수 있으며, 특히 좌우 왕복 유동수단은 바닥형성부와 박스제조 장치 간의 접하여 있지 않은 공간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골판지 등으로 제조된 박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제조 장치를 이용한 박스제조 방법 및 박스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을 위한 박스 제조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제조 장치를 이용한 박스제조 방법 및 박스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을 위한 박스 제조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종래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종래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종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골판지 등으로 제조된 박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발명은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의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된 채 접혀 형성된 측벽면과;
서로 마주보는 두 측벽면의 양측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되지 않은 측벽면의 내측에 위치되는 측 벽보강면과;
측벽보강면이 연결된 측벽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접혀 형성된 상부덮개면과;
상부덮개면의 양 측면 으로부터 돌출되어 접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면의 하단 또는 측벽면을 지나 바닥면 일측까지 접혀 모서리의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모서리강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에 가이드봉이 서로 직교한 채 설치되어 가이드봉에 둘러쌓인 공간에 세팅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세팅공간의 둘레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과;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박스 제조를 위해 공급된 용지를 세팅공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테이블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용지의 상부에 접착을 위한 수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부와;
테이블 일측의 세팅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와 실린더로드를 구비하여 세팅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용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세팅부와;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실린더에 연결된 실린더로드로 구성되어 있어 있을 수 있다.
세팅부의 실린더에 의해 세팅공간에 위치된 용지의 측벽면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봉과, 회전봉에 설치된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용지의 상부덮개면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부와;
테이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 도록 일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 더와 연결된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브라켓이 상부덮개면이 접혀진 용지의 모서리강화면을 압박하여 용지의 모서리강화면이 측벽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착부;로 구성된다.
종래 발명에 의해, 종래의 포장박스에 비해 모서리의 지지력이 강화되어 측면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측벽면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서리 부분이 세겹으로 되어 있어 박스를 다수 개의 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박스가 제공되며, 아울러, 최소한의 구성요소와 간단한 동선으로 상기 박스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 발명의 포장박스는 사각형 형태의 바닥면(10)을 가지며, 바닥면(10)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된 채 접혀 형성된 측벽면(20)을 갖는다.
아울러,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는 두 측벽면(20)의 양측 측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보강면(30)을 갖는데, 이 측벽보강면(3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된 상태에서 측벽보강면(30)을 갖지 않는 측벽면(20)의 내측에 위 치하여 측면의 압력에 대해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측벽보강면(30)이 연결된 측벽면(20)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접혀 형성된 상부덮개면(4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면(40)은 도시된 것처럼 상면 양측에서 다소 돌출된 형태의 덮개 형상을 취하게 되며, 이 부분 에는 농산물의 경우 필요에 따라 비닐 커버 등이 씌워지기도 한다.
모서리강화면(50)은 상부덮개면(40)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측벽면(20)의 하단까지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벽면(20)을 지나 바닥면(10) 일측까지 접혀 모서리의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서리 부분이 측벽면(20), 측벽보강면(30), 모서리강화면(50)이 3겹으로 설치되므로 상부 하중에 대해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의 압력에 대해서도 강하게 지탱할 수 있어 종래의 포장박스에 비해 훨씬 강화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를 통해 종래의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포장박스에 비해 모서리의 지지력이 강화되어 측면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측벽면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모서리 부분이 세겹으로 되어 있어 박스를 다수 개의 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상부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 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 발명의 포장박스 제조장치는 작업자의 가조립 작업 없이 자동으로 접합 작업이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또, 용지의 공급 및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동선을 최소화하여 소요되는 실린더 등의 동력 장치의 수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상기 포장박스를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각기 크기가 다른 박스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전부터 박스를 용이하게 제조하고 내부에 위치하는 물품의 보관과 운반을 위한 기술의 개발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실용신안 20-0251057을 참조하면, 내장된 전자제품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 혹은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되거나 운반될 수 있도록 골판지를 권회시킨 일단의 코러패드형 완충부재를 마련하여 이를 접 철하거나 혹은 재단하여 포장용 박스의 적정 지점(예컨대, 박스 내면의 상/하, 좌/우측면 및 모서리)에 일체로 부착시켜 줌으로서 포장작업의 간편성을 도모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유해포장재의 사용을 배제함과 동시에 박스의 체적을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현저히 낮춘 개선된 기능의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선행실용신안 20-0490227를 참조하면, 배송 및 보관 시 파손주의를 요하는 조명기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종이 재질의 재단지를 다수 회 폴딩시켜 고정함으로써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수용된 조명기구를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친환경적인 종이재질의 재단지를 이용함으로써 배송 혹은 보관 활용 후 폐지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기구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선행특허 10-2215211를 참조하면 박스 포장에 사용되는 접착부를 박스에 구비하여 박스 포장에 사용되는 비닐 소재의 접착 테이브프나 결속 스트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폐기물 발생이 줄어들도록 측면부, 상면부, 저면부 및 접착부가 포함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와 같이 환경 보호를 위한 박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발명은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에 제 1 측면세로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측면세로변과 평행하게 제 1 측면접이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세로변과 제 1 측면접이선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측면세로변과 수직하게 제 1 측면가로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가로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측면가로변과 소정 이격된 위치에 제 1 측면가로접이선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 1 측면날개 한 쌍이 상기 제 1 측면가로변과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접이선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2 측면가로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가로변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측면가로접이선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측면가로접이선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접이선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제 2 측면가로변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측면접이선과 나란하게 제 2 측면접이선이 형성되는 제 2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접이선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1 측면의 대향면이 되도록 상기 제 1 측면부와 닮음꼴을 이루며 제 3 측면세로접이선, 제 3 측면접 이선, 제 3 측면가로변 및 제 3 측면가로접이선이 구비되어 제 3 측면날개 한 쌍이 상기 제 3 측면가로변과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측면부;와
상기 제 3 측면세로 접이선으로 수직하게 접철되어 상기 제 2 측면부을 마주보는 대향면이 되며 상기 제 2 측면부와 닮음꼴을 이루도록 상기 제 3 측면세로접이선의 대향 위치에 제 4 측면세로변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면가로접이선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4 측면가로변과 제 4 측면가로접이선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4 측면부;와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으로 수직 접철되어 상기 제 1,2,3,4 측면부의 하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저면세로변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세 로변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저면가로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저면가로변의 내측으로 소정 이 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저면가로변과 나란하게 제 1 저면접이선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저면접이선 과 상기 제 2 측면가로접이선 사이에 저면커버가 구비되는 저면부;와
상기 제 4 측면가로접 이선에 수직으로 접철되어 상기 저면부의 대향면으로 상기 제 1,2,3,4 측면부의 상부 커버를 형성하도록 제 1 상면세로변 한 쌍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세로변을 서로 연결하도 록 제 1 상면가로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면가로변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 1 상면 가로변과 나란하게 제 1 상면접이선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상면접이선과 상기 제 4 측면가로접이 선 사이에 상면커버가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커버, 상기 저면커버 또는 상기 제 1,3 측면날개중 어는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친환경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선행특허 10-2020-0128625를 참조하면, 액세서리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한 포장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박스가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박스는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판; 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에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후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행특허 10-1919612를 참조하면, 재활용이 가능한 셀룰로오스 섬유; 제1 내부면과 제1 외부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부; 제2 내부면과 제2 외부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하부; 상기 케이스 상부의 제1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1 내부 수지코팅층; 상기 케이스 하부의 제2 내부면에 형성되는 제2 내부 수지코팅층; 및 내부에는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상부와 케이스 하부의 가장자리를 밀봉하여 구성되는 종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상부와 상기 케이스 하부는 모두 종이로 만들어지고,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재활용이 용이한 친환경 보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특허 10-1919612가 개시한 내용에 의하면 양면이 코팅된 종이케이스를 이용하여 내부에는 종이등을 재활용하여 분쇄된 셀룰로오스 물질을 포함하도록 밀봉하여 사용하는 재활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 10-1410680를 참조하면, 종래의 골판지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골판지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된 종래의 전분 접착 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의 부가에도 접착력의 저하가 최소화되어, 고강도의 기능성 친환경 박스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광촉매, 숯 또는 활성탄 및 난연제 성분과 같은 기능성 첨가제 성분이 미세 다공성 입자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접착제 성분 내에서 안정적으로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접 착제 성분과의 상용성을 극대화하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 성분이 혼합됨으로써, 종래 발명의 골판지는 박스 구조로 제조되었을 때,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광촉매 성분으로 오염물의 분해에 효과적인 이산화티탄과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오염물 제거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 발명의 기능성 친환경 골판지로 제조된 박스 내부의 오염물질을 분해 혹은 흡착을 통해 제거하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켜 내용물의 신선도 혹은 보관기간을 장기화할 수 있고, 난연제 성분에 의한 내화성이 향상 및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다양한 종류의 방향 성분을 추가적으로 혼합시킴으로써, 골판지 박스의 사용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 10-1712412를 참조하면, 재활용이 가능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 덕트 형상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 개구를 덮는 상부 덮개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부 개구를 덮는 하부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덮개부는 상기 몸통부의 마주보는 양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를 덮는 제1 상부 덮개 및 제2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상부 덮개에는 상기 몸통부와의 경계로부터 안쪽으로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반대쪽 변에는 마감 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 덮개에는 상기 몸통부와의 경계 반대쪽 변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삽입돌기와 상기 몸통부에는 상호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테이프 등 박스에 손상을 주는 소재의 사용을 없애고 손쉬운 조립을 통해 박스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박스의 재활용을 통해 환경오염을 줄이고 박스와 테이프의 구입비용을 크게 줄여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행특허 10-2013-0091838를 참조하면, 패스트푸드를 먹고 일부가 남은 경우, 원래 패스트푸드를 포장하는데 사용되었던 포장박스를 간편하게 재활용하여 공간이 줄어든 포장박스로 재활용할 수 있는 패스트푸드용 포장박스 및 그 재활용방법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 발명은 사각 형태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테두리 전면에 형성되는 하부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테두리 양측면에 형성되는 하부측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테두리 후면에 형성되는 하부후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덮개; 상기 하부덮개의 하부후면판 상부와 연설되어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가장자리 테두리 전면에 형성되는 상부전면판, 상기 덮개판의 가장자리 테두리 양측면에 형성되는 상부측면 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덮개; 상기 하부덮개의 하부후면판과 상부덮개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상부절취 선; 상기 하부덮개의 양측 하부측면판에 각각 V자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절취선; 및, 상기 측면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역삼각 형태의 분리판;을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종래 발명은 먹고 남은 패스트푸드를 별도의 포장박스를 이용하지 않고 원래의 포장박스를 재활용하여 공간이 줄어든 포장박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포장박스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 10-1112060를 참조하면, 재활용가능한 리필용 티슈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티슈박스 내부에 저장된 티슈를 다 사용한 후, 티슈박스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납박스와 커버박스로 구성하여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티슈를 리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티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리필용 티슈박스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은 일반적인 티슈박스와 달리 티슈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 하고, 이로 인해 리필용 티슈만을 따로 구입하여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구입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 발명은 티슈를 다 사용한 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특허 10-1335587를 참조하면, 포장용 박스는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 발명을 통해 통신용 디바이스, 리모콘 등의 포장 박스로 사용한 후, 박스본체의 조립을 해체하고 완충부를 제거한 다음,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박스본체를 재조립함으로써 전선을 정리하는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치로폼과 같은 별도의 완충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박스본체를 뒤집어서 재조립한 후, 전선 정리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회사상호나 상품명 등을 감출 수 있고 더러운 면이 박스 내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 20-2014-0000162를 참조하면, 특정 물품이 포장되는 포장상자 상에 권총과 같은 완구 형상의 전개도를 마련하여 포장상자로서의 역할이 종료된 후 해당 전개도를 포장상자로부터 분리한 다음 포장상자 내측에 별도로 구비된 부품을 이용해 완구로 완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폐품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어 광고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완구로 재활용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로 재활용 가능한 포장상자는 내측에 물품 포장용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본체와, 상기 포장박스 본체 상에 마련되되 그 가장자리에는 상기 포장박스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완구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완구부재에 장착되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는 종이 모재의 몸체 부분의 상단에 형성된 개폐부(210)과 개폐홈(230)을 이용하여 종이 모재의 몸체 부분을 개폐할 수 있고, 종이 모재의 몸체는 이음부(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이 모재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몸체 부분을 형성하는 이음부(210)는 몸체 부분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형성되되,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10)와 개폐홈(230)은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의 몸체 부분의 상단을 덮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개폐부(210)와 개폐홈(230)은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의 하단을 덮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10)와 개폐홈(230)의 개수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박스 본체의 하단부 모서리(네 개)의 영역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의 소재는 종이 모재로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친환경 소재,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종이재, 수시재 등의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 또는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끼워 맞춤으로 박스의 형상을 갖게 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음부(250)의 일측면에는 종이 모재의 타측면과 맞닿아 접착 고정되어 몸체 부분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테이프 또는 접착제, 벨크로 등의 접착 가능한 소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이음부(250)는 친환경 소재,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종이재, 수시재 등의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의 몸체의 일측면에 접착 고정 가능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200)는 개폐부(210) 및 개폐홈(230)을 구비하여 별도의 테이핑 없이도 개폐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친환경 소재로 형성된 이음부(250)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테이핑이나 접착 도구 없이 박스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제조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제조 방법은 종이 모재를 절단하는 단계(S1100), 종이 모재의 접히는 부분에 접힘홈을 성형하는 단계(S1300), 접힘홈을 기준으로 종이 모재를 접어 입체적인 박스를 형성하는 단계(S1500), 입체적인 박스의 입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종이 모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이음부를 종이 모재의 타단에 연결하여 접착하는 단계(S1700)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박스제조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보호하는 바닥형성부(11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장치(100)는 컨트롤서버(900)와 통신할 수 있고, 컨트롤서버(900)에 의해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장치(100)의 각 부품이 구동될 수 있다.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장치(100)의 하단에는 바닥형성부(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바닥형성부(110)는 박스제조 장치(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박스제조 장치(10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박스제조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서버(900)는 통신부(910), 제1 상황분석부(930), 제2 상황분석부(950), 데이터베이스부(970) 및 컨트롤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박스제조 장치(100) 및 박스제조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는 각 부품과 통신할 수 있다.
제1 상황분석부(930)는 박스제조 장치(100)가 박스를 제조하는 단계(종이 모재를 절단하는 단계, 종이 모재에 접힘홈을 형성하는 단계 등)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상황분석부(950)는 박스제조 장치(100)가 박스 제조를 수행하도록 구동하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970)는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고,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970)는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971) 및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 따른 기준과 상기 각 부품의 상태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학습하여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딥러닝부(97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990)는 데이터베이스부(970)에 저장되어 있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 별 기준과 제2 상황분석부(950)를 통해 확인되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비교하여 각 부품이 정상상태인지 에러상태인지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990)는 각 부품의 상태에 따라 각 부품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을 위한 박스 제조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을 위한 박스제조 장치(100)는 박스 제조 과정에서 종이 조각 또는 먼지 날림으로 인하여 하단이 더럽혀졌을 때 세척수를 분출하는 세척수모듈(150)은 상단형성부(1510), 지지바(1520) 및 클리닝라인(15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형성부(1510)는 하부면에 구비된 돌출턱(1511)이 바닥형성부(110)의 상판홀에 내입되어 지지되고, 바닥형성부(110)의 내부와 통기되는 두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바닥형성부(110) 상판에 걸려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하기의 지지바(1520)와 클리닝라인(1530)을 바닥형성부(110)의 상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단형성부(1510)의 하부면에는 판상의 상단형성부(1510)에서 하부로 돌출된 돌출턱(1511)이 구비되어 바닥형성부(110)의 상판에 위치된 상판홀에 돌출턱(1511)이 내입되어 걸리고, 상단형성부(1510)가 상판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돌출턱(1511)의 형태는 상판홀의 내주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턱(1511)의 외주가 상판홀의 내주에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단형성부(1510)의 외측에는 바닥형성부(110)의 상판에 기형성된 볼트 또는 볼트홀에 상단형성부(15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홀 또는 볼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단형성부(1510)에 구비되는 두 개의 관통홀은 각각 하기 지지바(1520)와 클리닝라인(1530)을 바닥형성부(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내입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지지바(1520)가 관통되는 관통홀은 바닥형성부(110)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지지바(15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바(1520)의 일측(하부)이 바닥형성부(110)의 바닥면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지지바(1520)와 고정체결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지지바(1520)의 일측이 바닥형성부(110)의 바닥면에 안착된 이후에는 관통홀을 관통한 지지바(1520)의 타측(상부)이 상단형성부(1510)와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1520)가 관통되는 관통홀의 하부와 상부에는 관통홀과 연통되고 바닥형성부(110)의 바닥 면과 수직한 방향을 하는 가이드라인(1512)이 구비되어 관통홀을 관통한 지지바(1520)가 바닥형성부(110)의 바닥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라인(1530)이 관통되는 관통홀은 클리닝라인(1530)의 중공으로 세척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리닝라인(1530) 자체가 관통홀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리닝라인(1530)의 상부는 관통홀의 하부에 체결되고 관통홀의 상부에는 클리닝라인(1530)과 연통되는 공급형성부(1513)가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라인(1530) 또는 공급형성부(1513)에는 공급관이 연결되어 세척수가 공급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지지바(1520)는 상단형성부(1510)의 두 개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일측은 바닥형성부(110)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일측에서 수직하게 길이가 연장되어 바닥형성부(110)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홈(152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하기 승하강부(1550)가 지지바(1520)를 따라 상ㆍ하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승하강부(1550)와 체결된 클리닝라인(1530)이 바닥형성부(110) 내부의 바닥면과 상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바(1520)의 일측(하부)은 상단형성부(1510)의 관통홀을 관통한 후, 바닥형성부(110)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진다. 이때, 일측에서 상방으로 길이가 연장된 타측은 상단형성부(1510)의 관통홀(또는 관통홀과 가이드라인(1512))에 의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지지바(1520)는 바닥형성부(110)의 상부에서 내부의 바닥면까지 수직하게 세워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바닥형성부(110)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바닥형성부(110)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가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바닥형성부(110)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바(1520)를 필요에 따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바(1520)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부는 관통홀의 상부임과 동시에 바닥형성부(110)의 외부에 위치되어 노출될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복수 개의 지지바(1520)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지바(1520)로 구성하는 경우의 작업자는 바닥형성부(110)의 상부에 기설치된 상단형성부(1510)의 관통홀에 바닥형성부(110)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지지바(1520)를 연결하며 인입시켜 바닥형성부(110)의 높이에 대응하는 지지바(1520)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바(1520)에 구비되는 지지홈(1521)은 지지바(15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성되어 하기 승하강부(1550)의 동력모터(1542)에 연결된 승하강제어부(1551)가 맞물리어 승하강부(1550)가 지지바(1520)의 길이방향으로 상ㆍ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바(1520)의 측부면에 연속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하강부(155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지바(1520) 일측 말단 일정부분에는 지지홈(1521)이 미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리닝라인(1530)은 상단형성부(1510)의 두 개의 관통홀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타측은 바닥형성부(110)의 외부에 위치되 중공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은 타측에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길이연장되어 바닥형성부(110) 내부의 바닥면과 상부 사이에서 위치이동되는 구성으로서, 클리닝라인(1530)의 일측 말단에 체결된 하기의 회전구동부(1540)에 구비된 분출관(1560)의 위치를 바닥형성부(110)의 바닥면까지 위치시키거나 바닥형성부(110)의 내부 측면과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바닥형성부(110)의 상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클리닝라인(1530)은 관통홀과 통기되도록 연결되고 상단형성부(1510)의 상부에 장착된 공급형성부(1513)를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수를 타측(상부)에서 공급받아 일측(하부)에 구비된 회전구동부(1540)의 연결관(1543) 및 분출관(156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클리닝라인(1530)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어 길이연장되는데, 상부의 대구경 클리닝라인(1530)의 중공에 하부의 소구경 클리닝라인(1530)이 내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클리닝라인(1530) 사이에는 클리닝라인(1530)의 중공에 내재된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유출방지패킹(157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출방지패킹(1570)과 인접하게는 대구경 클리닝라인(1530)의 내부면과 소구경 클리닝라인(1530)의 외부면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마찰감소패킹(1571)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모듈(150)은 세척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500)는 제1 회전부(521), 제2 회전부(522), 제3 회전부(523), 유동부(524), 좌우세척솔(525) 및 먼지감지센서(5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부(521)는 제1 동력부(521a) 및 수직봉(5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동력부(521a)의 구동에 의해서 수직봉(521b)이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회전부(522)는 제1 회전부(521)의 맨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수평봉(521c)을 통해 분기되어 설치되며 별도의 동력부(522a)로부터 회전 동력을 공급받아 제1 회전부(52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회전부(523)는 제1 회전부(521)의 맨 하단부에서 타측으로 수평봉(521d)을 통해 분기되어 설치되며 별도의 동력부(523a)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제1 회전부(52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동부(524)는 제 1 회전부와 제 2 회전부 사이 그리고 제 1 회전부와 제 3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 동력부(52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좌우 유동모터는 수평봉(521c, 521d)과 연결되어 지지봉을 좌우로 펼치거나 접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좌우세척솔(525)은 각각 제2 회전부(522)과 제3 회전부(523)의 저면에 부착되어 바닥형성부(110)를 청소할 수 있다. 먼지감지센서(526)는 바닥형성부(110)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며, 회전제어부(미도시)는 먼지가 감지되면 제1 회전부(521), 제2 회전부(522) 및 제3 회전부(523)를 구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굳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 회전부(521, 522, 523)에 의해서 원할하게 먼지가 비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물을 공급하여 물을 뿌리면서 회전부를 동작시키게 되는바,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분출관(156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수위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현재 원수 임시저장탱크에 담긴 물의 양을 파악하여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하며, 이때 물공급용 펌프를 구동하여 물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바닥형성부(110)를 청소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동작을 살펴보면, 회전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먼지감지센서(526)에 의해서 바닥형성부(110)의 먼지가 감지되면 제1 회전부(521)을 구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직봉(521b)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2 회전부(522) 및 제 3 회전부(523)을 구동하여 제1 회전부(521)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1 회전부(521)를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회전부(522) 및 제3 회전부(523)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제1 회전부(521)을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회전부(522) 및 제3 회전부(523)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며, 제1 회전부(521)와 제2 회전부(522) 및 제3 회전부(523)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 바닥형성부(110)를 훨씬 잘 닦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때, 유동부(524)를 구동하여 수평봉(521c, 521d)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하여 바닥형성부(110)의 먼지를 고르게 닦아낼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좌우 왕복 유동수단은 바닥형성부(110)의 크기와 박스제조 장치(100)의 구성에 맞추어서 조절할 수 있어서 바닥형성부(100)와 박스제조 장치(100) 간의 접하여 있지 않은 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수 저장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원수 임시저장탱크로 투입되도록 하였는바, 회전 수단이 회전할 때 상수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원수 임시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박스제조 장치
900: 컨트롤서버
900: 컨트롤서버
Claims (5)
- 컨트롤서버에 의해 박스제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각 부품이 개별 제어되며,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박스제조 장치에 의해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하단에 위치한 바닥형성부에 세척수를 분출하여 종이 조각을 포함하여 상기 종이 모재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에 의해 오염된 상기 바닥형성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모듈은,
하부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돌출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상기 돌출턱이 내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단형성부;
일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일측에서 수직하게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홈이 구비되는 지지바;
타측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부에 위치된 중공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은 타측에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길이 연장되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과 상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클리닝라인; 및
상기 지지바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바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형성부는,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돌출턱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홀에 내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과 통기되는 두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형성부 상판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고정시키고,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지지바와 상기 클리닝라인을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으로 내입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은,
상기 상판홀의 내주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외주가 상기 상판홀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단형성부는,
외측에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판에 기 형성된 볼트 또는 볼트홀에 고정 가능하도록 볼트홀 또는 볼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관통홀은,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지지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 하부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상기 지지바와 고정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이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지지바의 타측 상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와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중공으로 세척수를 유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클리닝라인 자체가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리닝라인의 상부는 하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클리닝라인과 연통되는 공급형성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클리닝라인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은,
하부와 상부에 연통되며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을 하는 가이드라인이 구비되어 관통한 상기 지지바가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승하강부가와 체결된 상기 클리닝라인이 상기 바닥형성부 상측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는,
일측 하부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후,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위치하고, 일측에서 상방으로 길이가 연장된 타측은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기 관통홀과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바닥형성부의 외측부에서 상측면까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상기 바닥형성부에 각각 대응되는 길이가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상기 지지바는,
일측 말단에 상기 승하강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지지홈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모터에 연결된 승하강제어부가 맞물리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상ㆍ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의 측부면에 연속되어 구비되고,
상기 클리닝라인은,
일측 말단에 체결된 회전구동부에 구비된 분출관의 위치를 상기 바닥형성부의 바닥면까지 위치시키거나 상기 바닥형성부의 내부 측면과 상부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바닥형성부의 상부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클리닝라인은,
상기 관통홀과 통기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부에 장착된 상기 공급형성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수를 타측 상부에서 공급받아 일측 하부에 구비된 회전구동부의 연결관 및 분출관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클리닝라인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세척관이 순차적으로 내입되어 길이 연장되어 상부의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중공에 하부의 소구경 클리닝라인이 내입되고,
상기 클리닝라인은,
사이 중공에 내재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출방지패킹이 장착되고, 상기 유출방지패킹과 인접하게는 상기 대구경 클리닝라인의 내부면과 상기 소구경 클리닝라인의 외부면 간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고,
세척부재는,
제1 동력부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는 수직봉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의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수평봉을 통해 분기되어 설치되며, 동력부로부터 회전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회전부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의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수평봉을 통해 분기되어 설치되며 동력부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1 회전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사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3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며,내부에 제2 동력부를 포함하는 유동부;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3 회전부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형성부를 청소하는 좌우세척솔; 및
상기 바닥형성부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2 회전부의 수평봉과 상기 제3 회전부의 수평봉과 연결된 좌우 유동모터에 의해 지지봉을 좌우로 펼치거나 접히도록 동작하고,
상기 먼지감지센서는,
먼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3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서버는,
상기 컨트롤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 및 상기 각 부품과 통신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1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박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상기 박스제조 장치가 상기 박스 제조를 수행하도록 구동하는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컨트롤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 별 기준과 상기 제2 상황분석부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각 부품의 구동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각 부품이 정상상태인지 에러상태인지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부품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통해 각 부품을 개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 따른 기준과 상기 각 부품의 상태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학습하여 각 부품의 상태에 따른 기준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딥러닝부;를 포함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제조 장치는,
종이 모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종이 모재의 접히는 부분에 접힘홈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접힘홈을 기준으로 상기 종이 모재를 접어 입체적인 박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적인 박스의 입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종이 모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이음부를 상기 종이 모재의 타단에 연결하여 접착하는 단계;로 박스를 제조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성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유지하며 상기 박스제조 장치를 보호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구동하여 상기 제2 회전부의 수평봉과 상기 제3 회전부의 수평봉을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하여 상기 바닥형성부의 먼지를 고르게 닦아내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2413A KR102439558B1 (ko) | 2021-08-31 | 2022-02-21 |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 제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315 | 2021-08-31 | ||
KR20210115315 | 2021-08-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2413A Division KR102439558B1 (ko) | 2021-08-31 | 2022-02-21 |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 제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7235B1 true KR102377235B1 (ko) | 2022-03-22 |
Family
ID=809917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915A KR102377235B1 (ko) | 2021-08-31 | 2021-10-13 |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KR1020220022413A KR102439558B1 (ko) | 2021-08-31 | 2022-02-21 |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 제조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2413A KR102439558B1 (ko) | 2021-08-31 | 2022-02-21 | 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스 제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377235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07A (ja) * | 1995-07-10 | 1997-01-28 | Toshiba Corp | 移動式清掃装置 |
KR0150772B1 (ko) * | 1996-03-19 | 1998-10-15 | 구자홍 | 진공청소기의 먼지센서 감도 자동조정장치 |
KR101131111B1 (ko) | 2010-02-26 | 2012-04-03 | 류용승 | 골판지를 이용한 rfid 탑재 박스의 제조방법 |
KR101535266B1 (ko) * | 2014-04-16 | 2015-07-08 | 해원산업주식회사 |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
KR101712412B1 (ko) | 2014-12-31 | 2017-03-06 | 손현우 | 재활용이 가능한 박스 |
KR102176821B1 (ko) * | 2020-02-04 | 2020-11-10 | 신희철 | 플라스틱 제조 장치 구동 제어 시스템 |
KR20210008765A (ko) * | 2019-07-15 | 2021-01-25 | 현용욱 |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
-
2021
- 2021-10-13 KR KR1020210135915A patent/KR1023772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2-21 KR KR1020220022413A patent/KR1024395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4007A (ja) * | 1995-07-10 | 1997-01-28 | Toshiba Corp | 移動式清掃装置 |
KR0150772B1 (ko) * | 1996-03-19 | 1998-10-15 | 구자홍 | 진공청소기의 먼지센서 감도 자동조정장치 |
KR101131111B1 (ko) | 2010-02-26 | 2012-04-03 | 류용승 | 골판지를 이용한 rfid 탑재 박스의 제조방법 |
KR101535266B1 (ko) * | 2014-04-16 | 2015-07-08 | 해원산업주식회사 |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
KR101712412B1 (ko) | 2014-12-31 | 2017-03-06 | 손현우 | 재활용이 가능한 박스 |
KR20210008765A (ko) * | 2019-07-15 | 2021-01-25 | 현용욱 | 친환경 택배포장박스 |
KR102176821B1 (ko) * | 2020-02-04 | 2020-11-10 | 신희철 | 플라스틱 제조 장치 구동 제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9558B1 (ko) | 2022-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31480B2 (en) | Water box apparatus and method | |
TWI414462B (zh) | 包裝套組及包裝部件 | |
US9352891B2 (en) | Suspension packag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US10442597B1 (en) | Retention package with article-loading aper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GB2482454A (en) | Soda lime cartridge for a carbon dioxide scrubber | |
KR102454707B1 (ko) | Iot 기반의 박스제조 장치를 활용한 친환경 박스 제조 방법 | |
US7497332B1 (en) | Polygon-shaped, knockdown, and stackable container | |
KR102377235B1 (ko) |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박스 | |
US9156590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ble receptacle for refuse | |
EP3116799A1 (en) | Edge fitting to support and protect a cargo casing | |
EP4345028A2 (en) | A packed roof window | |
US20200324935A1 (en) | Collapsible dunnage box | |
US10202246B2 (en) | Pedestal for supporting an adhesive melt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AU2007201346B2 (en) | Temporary bulkhead | |
CA2411645A1 (en) | Transportation and dispenser box made of cardboard and including a roll of items to be used in garages | |
US9901172B2 (en) | Pallet hilo fork guard, a coated insert incorporated into such as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shelf, and an assembleable and plastic coated containers for holding bagged items | |
US6367626B1 (en) | Clearview packaging assembly for basiloid handling of irregular top appliances | |
JP4582766B2 (ja) | 水溜め式切花立て輸送容器 | |
CN208086346U (zh) | 一种用于长方桌的内包装纸箱 | |
CN207292717U (zh) | 一种仓储纸箱 | |
CN201400343Y (zh) | 可折叠的储物盒 | |
CN217622937U (zh) | 一种卷轴式文创类壁画挂件 | |
CN2550277Y (zh) | 折叠式多功能周转箱 | |
KR200483390Y1 (ko) | 평판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운반용 대차 | |
US20060236876A1 (en) | Panel filt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